KR20000001380U - 모니터 - Google Patents

모니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1380U
KR20000001380U KR2019980011090U KR19980011090U KR20000001380U KR 20000001380 U KR20000001380 U KR 20000001380U KR 2019980011090 U KR2019980011090 U KR 2019980011090U KR 19980011090 U KR19980011090 U KR 19980011090U KR 20000001380 U KR20000001380 U KR 2000000138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ion shaft
main body
monitor
tooth portion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10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진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800110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1380U/ko
Publication of KR200000013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1380U/ko

Links

Landscapes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니터에 관한 것이다. 스탠드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도록 설치되어 본체가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일면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랙부를 가지는 가이드랙과,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랙의 랙부에 맞물리는 기어부를 가지는 피니언축과, 상기 피니언축이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회전억제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스탠드에 대한 본체의 높이를 원하는 위치로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니터
본 고안은 모니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탠드에 대한 본체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는 모니터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본체에서 처리된 정보를 화상출력하는 모니터는 일반적으로 화상을 형성하는 음극선관이나 액정표시패널이 내장된 본체와, 이 본체를 지지하는 스탠드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종래 모니터에 있어서는 본체가 스탠드에 대해 틸트(tilt; 수평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나 스위벨(swivel; 수직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될 수는 있도록 결합되어 있으나, 스탠드에 대한 본체의 높이는 조절할 수 없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모니터 본체는 그 모니터가 놓이는 테이블의 높이차이, 사용자의 자세나 신장의 차이에 의해 사용자가 보기 편한 높이에 위치하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불편한 자세로 본체를 주시하여야 하므로 쉽게 피로감을 느끼며 작업능률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모니터가 놓이는 테이블의 높이, 사용자의 자세나 신장 등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자가 보기 편한 높이에 본체가 위치될 수 있도록 개선된 모니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의 개략적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니터의 "A"부의 개략적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모니터의 Ⅲ-Ⅲ선 개략적 결합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피니언축이 제2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보이는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모니터의 Ⅴ-Ⅴ선 개략적 결합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본체 11...케이싱
112...제1톱니부 15...액정표시패널
20...스탠드 30...가이드랙
31...랙부 40...피니언축
41...기어부 43...제2톱니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는, 화상표시수단을 가지는 본체와 이 본체를 지지하는 스탠드를 구비한 모니터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본체가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일면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랙부를 가지는 가이드랙;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랙의 랙부에 맞물리는 기어부를 가지는 피니언축; 및 상기 피니언축이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회전억제수단;을 포함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모니터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의 개략적 분리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니터의 "A"부의 개략적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모니터의 Ⅲ-Ⅲ선 개략적 결합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모니터는 본체(10)와, 스탠드(2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본체(10)는 케이싱(11)과, 이 케이싱(11) 내에 설치되어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패널(LCD)을 포함한다. 상기 스탠드(20)는 하부스탠드(21)와 이 하부스탠드(21)에 대해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상부스탠드(2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스탠드(20)에는 가이드랙(30)이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도록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랙(30)의 일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소정피치로 배치된 기어치들을 가지는 랙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가이드랙(30)에는 본체(10)가 승강될 수 있게 끼워진다. 상기 본체(10)에는 피니언축(4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피니언축(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에 형성된 기어부(41)와 일측단부에 형성된 손잡이부(42)를 구비하고 있으며, 본체(10)의 케이싱(11)에 형성된 삽입공(111)을 통해 기어부(41)가 케이싱(11) 내로 삽입되어 가이드랙(30)의 랙부(31)와 맞물리게 된다. 피니언축(40)의 타측단부는 케이싱(11)의 관통공(113)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따라서, 피니언축(40)은 그 양단부가 삽입공(111)과 관통공(113)의 내면에 지지된 상태로 그 피니언축(4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본체(10)에 대해 소정거리 이동될 수 있다. 관통공(113)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 피니언축(40)의 단부(44)에는 나사공(45)이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 단부(44)의 단면에는 나사공(45)에 체결되는 나사(70)에 의해 스토퍼부재(50)가 고정된다. 이 스토퍼부재(50)에 의해 본체(10)에 대한 피니언축(40)의 이탈이 방지된다.
한편, 본체(10)의 케이싱(11)에는 피니언축(40)의 손잡이부(41)측으로 돌출된 제1톱니부(112)가 형성되어 있으며, 피니언축(40)에는 상기 제1톱니부(112)와 맞물릴 수 있는 제2톱니부(4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토퍼부재(50)와 케이싱 사이에는 압축코일스프링(6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압축코일스프링(60)에 의해서 피니언축(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톱니부(43)가 제1톱니부(112)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이동되어 있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는 제1톱니부(112)와 제2톱니부(43)와의 간섭으로 인하여, 본체(10)의 자중 등에 의해 그 본체(10)가 임의로 하강되거나 또는 작은 외력에 의해 본체(10)가 임의로 상승되어 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제1톱니부(112)와 제2톱니부(43)는 본체(10)에 대한 피니언축(40)의 회전을 억제하기 위한 수단에 포함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모니터에 있어서, 본체(10)를 도 5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적 높은 위치에 위치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낮은 높이로 위치조절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서, 본체(10)를 사용자가 편한 자세로 주시할 수 있는 높이로 조절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제1톱니부(112)와 피니언축(40)의 제2톱니부(43)가 맞물려서 피니언축(40)의 회전이 방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피니언축(40)의 손잡이부(42)를 잡고 그 피니언축(40)의 길이방향으로 잡아당긴다. 이와 같이 하면, 피니언축(4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이동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압축코일스프링(60)은 압축되면서 복원력을 지니게 되고, 그 피니언축(40)의 제2톱니부(43)는 본체(10)의 제1톱니부(112)와의 맞물림이 해제되게 된다. 이처럼, 제1톱니부(112)와 제2톱니부(43)와의 맞물림에 해제된 상태에서 손잡이부(42)를 통해 피니언축(40)에 화살표(R; 도 5참조) 방향으로 회전력을 가하게 되면, 그 피니언축(40)은 가이드랙(30)의 랙부(31)를 따라 구르면서 하강하게 되며, 그 피니언축(40)이 지지된 본체(10)도 도 5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하강하여 원하는 높이에 위치하게 된다. 그 후, 피니언축(40)의 그 길이방향으로 가해지고 있던 외력을 제거하게 되면, 피니언축(40)은 상기 압축되어 있던 압축코일스프링(60)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이동되고 제2톱니부(43)는 제1톱니부(112)에 다시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제1톱니부(112)와 제2톱니부(43)와의 맞물림에 의해 피니언축(40)은 회전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본체(10)는 그 위치로부터 스탠드(20)에 대해 임의로 상승되거나 하강되는 것이 억제된 상태로 위치고정되게 된다.
이처럼,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에 있어서는 본체(10)가 스탠드(20)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스탠드에 대한 높이가 조절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테이블의 높이나 그 사용자의 신장 등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편안한 자세로 작업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압축코일스프링(60)이 마련되어 피니언축(40)을 상기 제1톱니부(112)와 제2톱니부(43)가 맞물리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켜 주도록 되어 있으나, 이 압축코일스프링(60)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즉, 압축코일스프링(60)이 설치되어 있지 않더라도, 제1톱니부(112)와 제2톱니부(43)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있는 상태에서 피니언축(40)을 회전시켜서 본체(10)를 원하는 높이상에 위치시켜 둔 후, 사용자가 직접 피니언축(40)에 외력을 가해서 제2톱니부(43)가 제1톱니부(112)에 맞물리도록 그 피니언축(40)을 이동시켜두는 구성을 취하더라도 본 고안의 목적이 충분히 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는, 스탠드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도록 설치되어 본체가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일면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랙부를 가지는 가이드랙과,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랙의 랙부에 맞물리는 기어부를 가지는 피니언축과, 상기 피니언축이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회전억제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스탠드에 대한 본체의 높이를 원하는 위치로 조절할 수 있다.

Claims (2)

  1. 화상표시수단을 가지는 본체와 이 본체를 지지하는 스탠드를 구비한 모니터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본체가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일면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랙부를 가지는 가이드랙;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랙의 랙부에 맞물리는 기어부를 가지는 피니언축; 및
    상기 피니언축이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회전억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축은 상기 본체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회전억제수단은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제1톱니부와, 상기 피니언축에 형성되며 상기 제1톱니부와 맞물림 가능한 제2톱니부를 구비하여,
    상기 피니언축이 상기 제1위치에 위치할 때는 상기 제1톱니부와 제2톱니부가 서로 맞물려서 피니언축의 회전이 방지되고, 상기 피니언축이 상기 제2위치에 위치할 때는 상기 제1톱니부와 제2톱니부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피니언축의 회전이 허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KR2019980011090U 1998-06-25 1998-06-25 모니터 KR2000000138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1090U KR20000001380U (ko) 1998-06-25 1998-06-25 모니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1090U KR20000001380U (ko) 1998-06-25 1998-06-25 모니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1380U true KR20000001380U (ko) 2000-01-25

Family

ID=69518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1090U KR20000001380U (ko) 1998-06-25 1998-06-25 모니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1380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792B1 (ko) * 2002-07-06 2005-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100793754B1 (ko) * 2006-07-07 2008-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KR100845863B1 (ko) * 2006-06-01 2008-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니터 스탠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792B1 (ko) * 2002-07-06 2005-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100845863B1 (ko) * 2006-06-01 2008-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니터 스탠드
US7458546B2 (en) 2006-06-01 2008-12-02 Lg Electronics Inc. Monitor stand
KR100793754B1 (ko) * 2006-07-07 2008-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US8033513B2 (en) 2006-07-07 2011-10-11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15853B2 (en) Mounting mechanism suitable for head mount display device and head mount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442726B1 (ko) 표시장치
EP0989351B1 (en) Support structure and display apparatus equipped therewith
JPH06161603A (ja) 多位置結合キーボードを含むコンピュータターミナル
JP2004070279A (ja) 表示装置用スタンド
US20070205341A1 (en) Rotatable apparatus
JP2009267570A (ja) 表示画面旋回装置およびテレビジョン装置
US4575033A (en) Tilt-swivel base for a CRT display terminal
JP2005209156A (ja) 携帯型電子機器
JP2008116769A (ja) 表示画面旋回装置
CN111828800A (zh) 一种具有调节性的电子设备显示支架
KR20000001380U (ko) 모니터
EP0249515B1 (en) Tilt apparatus for cathode ray tube display
JP2004304736A (ja) 電子機器の角度調整機構
JPH07270163A (ja) 測量用三脚における昇降機構
KR100296283B1 (ko)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높이조절장치
KR200300934Y1 (ko) 액정 모니터의 승강장치
KR100370254B1 (ko) 영상표시기기의 위치조정장치
KR100808453B1 (ko) Tv 모니터용 스탠드장치
CN216667071U (zh) 电视机摄像头
KR200241393Y1 (ko) 표시장치의 고정유니트
KR20030029382A (ko) 음극선관 모니터
KR101682723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장치
JPH07288572A (ja) 端末装置
KR100845597B1 (ko) 평판 모니터를 지지할 수 있는 스탠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