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1224U - 냉장고용 도어의 발포액 누설 방지 구조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도어의 발포액 누설 방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1224U
KR20000001224U KR2019980010883U KR19980010883U KR20000001224U KR 20000001224 U KR20000001224 U KR 20000001224U KR 2019980010883 U KR2019980010883 U KR 2019980010883U KR 19980010883 U KR19980010883 U KR 19980010883U KR 20000001224 U KR20000001224 U KR 2000000122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efrigerator
door plate
liquid leakage
foa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08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상근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800108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1224U/ko
Publication of KR200000012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1224U/ko

Links

Landscapes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장고용 도어의 발포시에 도어 플레이트와 도어 캡 사이의 갭을 통하여 발포액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므로써, 액 누설부의 후가공으로 인한 생산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냉장고용 도어의 발포액 누설 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용 도어의 발포액 누설 방지 구조는, 전면과 좌우측면을 형성하는 도어 플레이트와, 상기 도어 플레이트의 상하측에 설치되는 도어 캡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도어 캡에는 상기 도어 플레이트의 상하측면이 그 사이에 끼워지는 제1 및 제2 리브가 돌출 형성된 냉장고용 도어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리브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도어 플레이트와 상기 리브 사이의 갭을 통해 발포액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발포액 누설 방지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용 도어의 발포액 누설 방지 구조에 의하면, 도어 발포시에 발포액이 외부로 누설되지 않고 발포액 누설 방지홈에 모여지게 되므로, 액 누설부를 제거하기 위한 후가공을 제거할 수 있게 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냉장고용 도어의 발포액 누설 방지 구조
본 고안은 냉장고용 도어의 발포시에 도어 플레이트와 도어 캡 사이의 갭을 통하여 발포액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므로써, 액 누설부의 후가공으로 인한 생산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냉장고용 도어의 발포액 누설 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고내에 저장된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냉장고의 캐비넷(1) 내부는 그 기능에 따라 냉동실(2)과 냉장실(3)로 구분되며, 냉동실(2)과 냉장실(3)은 각각의 도어(10)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된다.
한편, 냉장고 고내와 고외의 공기가 순환하게 되면 냉각 기능이 효과적으로 수행되지 못하므로 캐비넷(1)과 도어(10)의 내부에는 고외와 고내를 차단시키기 위한 폴리우레탄 등의 단열재가 충진되는바, 단열재는 일반적으로 캐비넷(1)과 도어(10)의 내부에 화학 반응에 의해 폴리우레탄으로 성형되는 두종류의 발포액을 주입한 후 발포시키므로써 충진된다.
이러한 도어(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과 좌우측면을 형성하는 도어 플레이트(11)와, 도어(10)의 내측면을 구성하는 도어 내상(12)과, 도어 플레이트(11)와 도어 내상(12)의 상하측에 각각 설치되는 도어 캡(13)과, 도어 내상(12)의 테두리부에 장착되어 고내를 밀폐시키는 개스킷(14)으로 구성된다.
도어 플레이트(11)와 도어 캡(13)에는 개스킷(14)을 지지하기 위한 안내부(11a,13a)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도어 캡(13)에는 도어 플레이트(11)의 전면과 좌우측면의 끝단부가 삽입되는 제1 및 제2 리브(13b,13c)가 구비되어 있으며, 도어 캡(13)의 안내부(13a)는 안내부(11a)와 (13a) 사이의 갭을 통해 발포액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해 도어 플레이트(11)의 안내부(11a)에 소정치만큼 중첩되도록 절곡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어 플레이트(11)의 상하측에 도어 캡(13)을 설치하고, 개스킷(14)이 설치된 도어 내상(12)을 도어 플레이트(11)의 후측에 배치한 후, 발포액(15)을 발포하면 도 3에서와 같이 도어의 조립이 완료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도어 캡에 구비된 리브 사이에 도어 플레이트의 상하측면이 삽입되는 종래의 도어에 있어서는, 도어 캡의 리브와 도어 플레이트 사이에 갭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도어 발포시에 발포액이 상기 갭을 통해 누설되며, 발포액이 누설되어 형성된 액 누설부는 외관성을 위해 발포후에 후가공하여야 하므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냉장고용 도어의 발포시에 도어 플레이트와 도어 캡 사이의 갭을 통하여 발포액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므로써, 액 누설부의 후가공으로 인한 생산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냉장고용 도어의 발포액 누설 방지 구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 캡과 도어 플레이트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캡과 도어 플레이트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도어 플레이트 23 : 도어 캡
23b, 23c : 리브 23b' : 발포액 누설 방지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용 도어의 발포액 누설 방지 구조는, 전면과 좌우측면을 형성하는 도어 플레이트와, 상기 도어 플레이트의 상하측에 설치되는 도어 캡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도어 캡에는 상기 도어 플레이트의 상하측면이 그 사이에 끼워지는 제1 및 제2 리브가 돌출 형성된 냉장고용 도어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리브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도어 플레이트와 상기 리브 사이의 갭을 통해 발포액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발포액 누설 방지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도어의 발포액 누설 방지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캡과 도어 플레이트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어 캡(23)에는 도어 플레이트(21)의 상하측부가 끼워지는 제1 및 제2 리브(23b,23c)가 도어 캡(23)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돌출 형성되어 있는바, 여기에서 제1 리브(23b)는 도어 플레이트(21)의 전면에 배치되는 리브를 말하고, 제2 리브(23c)는 도어 플레이트(21)의 후면에 배치되는 리브를 말한다.
그리고, 제1 리브(23b)의 후면에는 소정의 높이차를 두고 2개의 발포액 누설 방지홈(23b')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누설 방지홈(23b')은 리브(23b)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르면, 도어 발포 작업시에 제2 리브(23c)와 도어 플레이트(21) 사이의 갭을 통한 발포액이 제1 리브(23b)에 형성된 누설 방지홈(23b')에 모이게 되므로, 발포액(25)이 외부로 누설되는 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발포액 누설 방지 구조에 의하면, 도어 발포시에 발포액이 외부로 누설되지 않고 발포액 누설 방지홈에 모여지게 되므로, 액 누설부를 제거하기 위한 후가공을 제거할 수 있게 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전면과 좌우측면을 형성하는 도어 플레이트와, 상기 도어 플레이트의 상하측에 설치되는 도어 캡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도어 캡에는 상기 도어 플레이트의 상하측면이 그 사이에 끼워지는 제1 및 제2 리브가 돌출 형성된 냉장고용 도어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리브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도어 플레이트와 상기 리브 사이의 갭을 통해 발포액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발포액 누설 방지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의 발포액 누설 방지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액 누설 방지홈은 상기 도어 플레이트의 전면에 배치되는 상기 제1 리브의 후면에 상기 도어 캡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의 발포액 누설 방지 구조.
KR2019980010883U 1998-06-23 1998-06-23 냉장고용 도어의 발포액 누설 방지 구조 KR2000000122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0883U KR20000001224U (ko) 1998-06-23 1998-06-23 냉장고용 도어의 발포액 누설 방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0883U KR20000001224U (ko) 1998-06-23 1998-06-23 냉장고용 도어의 발포액 누설 방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1224U true KR20000001224U (ko) 2000-01-25

Family

ID=69518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0883U KR20000001224U (ko) 1998-06-23 1998-06-23 냉장고용 도어의 발포액 누설 방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122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955B1 (ko) * 2009-03-19 2009-06-15 에이테크솔루션(주) 작동식 게이지가 구비된 냉장고용 도어의 발포성형지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955B1 (ko) * 2009-03-19 2009-06-15 에이테크솔루션(주) 작동식 게이지가 구비된 냉장고용 도어의 발포성형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60429A (ko) 냉장고 및 그 내부 도어의 제조 방법
US7967403B2 (en) Home bar for refrigerator and assembly method thereof
KR20000001224U (ko) 냉장고용 도어의 발포액 누설 방지 구조
JP3797850B2 (ja) 冷蔵庫の仕切り構造
US20210095914A1 (en) Refrigeration appliance and door body thereof
JP3546345B2 (ja) 冷凍冷蔵庫
KR100678677B1 (ko) 냉장고의 홈바 밀폐구조
KR900000403B1 (ko) 냉 장 고
CN217303324U (zh) 一种门堵头、门体和冷柜
JP2003156283A (ja) 冷蔵庫
KR100199984B1 (ko) 냉장고용 도어
JP2018119696A (ja) センターシールの取付構造
KR200184602Y1 (ko) 냉장고
KR0114425Y1 (ko) 냉장고 캐비넷의 우레탄 홀캡 구조
KR20000002366U (ko) 냉장고 도어의 이슬 맺힘 방지구조
KR19990029523U (ko) 냉장고의 도어
KR101443918B1 (ko) 김치냉장고 도어
KR100234111B1 (ko) 냉장고용 도어
KR19990037488U (ko) 냉장고
KR19990028661U (ko) 냉장고의 홈바
JP3869765B2 (ja) 断熱箱体
JPH0849965A (ja) 冷蔵庫
KR20050058036A (ko) 김치냉장고
KR20060036311A (ko) 냉장고용 단열층 배기구조
KR19990021514U (ko) 냉장고의 도어 시일링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