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1184U - 카메라의 액정 디스플레이 각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의 액정 디스플레이 각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1184U
KR20000001184U KR2019980010828U KR19980010828U KR20000001184U KR 20000001184 U KR20000001184 U KR 20000001184U KR 2019980010828 U KR2019980010828 U KR 2019980010828U KR 19980010828 U KR19980010828 U KR 19980010828U KR 20000001184 U KR20000001184 U KR 2000000118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camera
display assembly
camera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08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내진
Original Assignee
유무성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무성,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무성
Priority to KR20199800108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1184U/ko
Publication of KR200000011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1184U/ko

Links

Landscapes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Studio Device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Abstract

카메라의 액정 디스플레이 각도 조절장치는 액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카메라 바디의 상단에 배치되어 상면과 일정한 각을 이루도록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이 액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카메라 바디의 일측에 배치되는 액정 디스플레이 각도 조절수단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기울지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카메라 액정 디스플레이 각도 조절장치는, 액정 디스플레이가 일정한 각도로 세워지므로 뒷면에서 시야각의 범위에 들게 되도록 하여 촬영자가 촬영순간의 정보를 정확하게 관찰함으로서 촬영자의 의도대로 촬영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고, 뷰 파인더에 설치되는 액정 디스플레이는 카메라 바디의 상단에 설치되는 액정 디스플레이와 중복되므로 생략할 수 있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카메라의 액정 디스플레이 각도 조절장치
본 고안은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에 장착되는 액정 디스플레이를 쉽게 볼 수 있도록 하여 촬영이 촬영자의 의도대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부품의 수를 감소시켜 생산비용을 줄이는 카메라의 액정 디스플레이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메라는 빛을 받아들여 필름에 상을 맺게 하는 장치로서,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빛을 받아 필름면에 도립상으로 초점을 맺게하는 렌즈군과, 이 렌즈군을 통하여 들어오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조리개와, 필름에 피사체의 상이 선명하게 맺혀지도록 렌즈와 필름면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초점 조절장치와, 필름을 일정한 간격으로 이송하는 필름 이송장치와, 필름이 빛에 노출되는 시간을 조절하는 셔터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는 필름매수, 줌 표시, 스트로보 모드 및 촬영 모드등을 표시하는 액정 디스플레이가 배치되기도 한다. 이러한 액정 디스플레이는 카메라 바디의 상단부 및 뷰 파인더 내부에 배치되어 카메라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특히 카메라 바디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액정 디스플레이는 조그만 압력과 충격에도 쉽게 파손되기 때문에 액정 디스플레이를 보호하기 위해서 액정 디스플레이 고정용 프레임으로 지지하여 고정한다.
종래의 카메라는 촬영순간의 정보를 보기 위해서 사용자가 카메라의 뒷면에 설치되는 뷰 파인더를 통하여 초점 등을 맞추고, 카메라의 상면에 설치되는 액정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초점거리, 노출에 대한 정보 등의 카메라 정보를 확인하게 된다. 이때 카메라의 상면에 고정되는 액정 디스플레이는 시야각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정보의 내용을 잘 볼 수 없어 촬영순간의 정보를 놓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촬영자의 의도대로 촬영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뷰 파인더의 내측 및 카메라 바디의 상면에 액정 디스플레이가 각각 중복으로 설치되어 생산비용을 증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카메라에 설치되는 액정 디스플레이를 카메라 뒷면에서 관찰이 가능하도록 하여 촬영시에 카메라의 정보를 신속하게 파악하여 촬영자의 의도대로 촬영을 하기 위한 카메라의 액정 디스플레이 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부품의 수를 줄임으로서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생산비용을 감소시키는 카메라의 액정 디스플레이 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액정 디스플레이 각도 조절장치가 적용되는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액정 디스플레이 각도 조절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3a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에 적용되는 액정 디스플레이가 배럴과 연동하여 각도조절이 이루어지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3b는 도3a의 걸림부재와 팝업 구동레버를 상세하게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3의 배럴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5는 도2를 조립하여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7은 팝업 스트로보에 적용되어 각도조절이 이루어지는 액정 디스플레이 각도 조절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8은 본 고안에 따른 제3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카메라의 액정 디스플레이 각도 조절장치는 액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카메라 바디의 상단에 배치되어 상면과 일정한 각을 이루도록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이 액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카메라 바디의 일측에 배치되는 액정 디스플레이 각도 조절수단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경사지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카메라의 액정 디스플레이 각도 조절장치는 수동 또는 주밍에 관계하는 배럴과 연동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각도 조절수단에 의하여 촬영자가 촬영순간의 정보를 알 수 있도록 일정한 각도로 조절이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카메라 바디(1)와, 이 카메라 바디(1)의 상단에 배치되는 액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를 도시하고 있다. 이 액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는 상단에서 프론트 측이 일정한 각도로 회동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룬다. 이러한 액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는 카메라 바디(1) 내부에 배치되는 액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각도 조절수단에 의해서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카메라 바디(1)의 뒤쪽에는 촬영시에 피사체를 관찰할 수 있도록 뷰 파인더(5)가 설치되며 이 뷰 파인더의 내부에는 또 다른 액정 디스플레이(도시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카메라의 상단에 배치되는 액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는, 도2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카메라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액정 디스플레이(7)와, 이 액정 디스플레이(7)를 보호하기 위한 액정 디스플레이 고정용 프레임(9)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 액정 디스플레이 고정용 프레임(9)은 액정 디스플레이(7)가 작은 압력과 충격에도 쉽게 파손이 되기 때문에 액정 디스플레이(7)를 보호하기 위하여 외부를 감싸는 구조로 배치되고 있다.
그리고 액정 디스플레이 고정용 프레임(9)은 후단부가 카메라 바디(1)와 힌지 결합되어 일정한 각을 이루며 회동할 수 있도록 힌지 결합부(11)를 갖는다.
이 힌지 결합부(11)의 일측에는 회동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13)가 배치되며, 카메라 바디(1)의 내부 일측에 회동하는 스토퍼(13)와 대응하여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 이동 제한부(14)(도5에 도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를 일정한 각도로 회동시키기 위한 액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각도 조절수단은, 액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를 항상 오픈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는 팝업 탄성부재(15)와, 액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의 회동을 제한하는 걸림부재(17), 그리고 걸림부재(17)를 항상 일정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는 걸림부재 탄지용 탄성부재(18)로 이루어지고 있다.
팝업 탄성부재(15)는 토오션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이 토오션 스프링은 일측이 액정 디스플레이 고정용 프레임(9)의 일측에 형성되는 돌출부(20)에 탄지되고, 타측이 카메라 바디(1)의 내부에 형성되는 돌출부(23)에 탄지된다. 따라서 토오션 스프링은 액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가 리어측의 힌지 결합부(11)를 중심으로 프론트측이 일정한 각도로 회동할 수 있도록 탄성력이 작용하게 된다.
걸림부재(17)는 일단이 카메라 바디(1)와 힌지 결합되며 타단이 액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의 상면과 접촉하는 걸림부(17a)를 형성하고 있다. 이 걸림부(17a)는 액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의 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그리고 이 걸림부(17a)의 외측에는 노브(17b)를 형성하여 손으로 이 걸림부재(17)를 이동시킴으로서 걸림부(17a)가 액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와 이탈되어 팝업 탄성부재(15)의 탄성력에 의하여 회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걸림부재(17)는 일측에 배럴과 연동하여 작동되도록 일측이 돌출되는 배럴연동부(17c)를 포함하고 있다.
이 배럴 연동부(17c)는, 도3, 4, 5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줌 작동에 따라 배럴과 연동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팝업 구동레버 지지부재(19)와 힌지 결합되어 있는 팝업 구동레버(32)에 의하여 가압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배럴(21)은 카메라 바디(1)에 수납되며 줌 스위치(도시생략)의 작동에 따라 광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배럴(21)은 배럴 베이스(24)와, 이 배럴 베이스(24)의 내측에 수납되며 헬리코이드에 의하여 광축방향으로 회전 및 직진운동을 하는 캠 배럴(25)과, 이 캠 배럴(25)의 내측에 수납되는 가이드 배럴(27)과, 이 가이드 배럴(27)의 내측에 수납되어 가이드 배럴(27)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27a)을 따라 광축방향으로 이동함으로서 주밍이 이루어지는 줌링(29)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액정 디스플레이 팝업 구동레버 지지부재(19)는, 배럴 베이스(24)의 가이드 공(23a)을 관통하여 가이드 배럴(27) 및 캠 배럴(25)의 후단부에 배치된다.
액정 디스플레이 팝업 구동레버(32)는, 하단부가 절곡되어 가이드 배럴(27)의 가이드 홈(27a)을 관통하여 캠 배럴(25)의 내주면에 원주를 따라 형성된 또 다른 가이드 홈(25a)에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가이드 돌기(19a)가 상방으로 돌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액정 디스플레이 팝업 구동레버(32)는, 팝업 구동레버 지지부재(19)의 하단부가 힌지 결합되어 이 힌지 결합부(32a)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팝업 구동레버(32)는 한쪽 끝이 결림부재(17)의 배럴 연동부(17c)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절곡되는 구조를 갖는다.
팝업 구동레버(32)는 일측에 팝업 구동레버 지지부재(19)에 걸림작용을 할 수 있는 돌기(32a)가 마련된다. 이 돌기(32a)는 팝업 구동레버(32)가 걸림부재(17)의 배럴 연동부(17c)를 가압할 때 힌지 결합부(32a)에 의하여 회전하지 않고 걸림부재(17)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팝업 구동레버(32)의 돌기(32a)를 팝업 구동레버 지지부재(19)에 밀착 시킬 수 있도록 토오션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탄성부재(34)가 개재되는데, 이 탄성부재(34)는 일단이 팝업 구동레버(32)에 고정되고 타단이 팝업 구동레버 지지부재(19)에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걸림부재 탄지용 탄성부재(18)는 걸림부재(17)의 걸림부(17a)가 항상 액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에 밀착되어 액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일단이 걸림부재(17)에 탄지되고, 타단이 카메라 바디(1)의 내부에 탄지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걸림부재 탄지용 탄성부재(18) 역시 토오션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양단이 걸림부재(17) 및 카메라 바디(1)의 내측에 고정되는 것은 각각 돌출부(31)(33)가 형성됨으로서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토오션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팝업 탄성부재(15) 및 걸림부재 탄지용 탄성부재(18)는 양단이 액정 디스플레이 고정용 프레임(9) 및 걸림부재(17) 그리고 카메라 바디(1)의 내부에 형성되는 돌출부(20)(23)(31)(33)에 의하여 탄지되고 있는 예를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돌출부 대신에 홈(도시생략)을 형성하여 토오션 스프링의 일단을 이 홈에 삽입하여 탄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액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 또는 걸림부재(17)의 일측에 홈을 형성하여 토오션 스프링의 일단을 삽입하는 것은 돌출부(20)(23)(31)(33) 및 토오션 스프링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외관상 미려함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카메라의 액정 디스플레이 각도 조절장치는, 도5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액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9)가 걸림부재(17)의 걸림부(17a)에 의하여 카메라 바디(1)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촬영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 노브(17b)를 일점쇄선 화살표 방향으로 가압한다. 그러면 걸림부재 탄지용 탄성부재(18)가 가압되면서 걸림부재(17)의 걸림부(17a)가 이탈되는 순간 액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는 팝업 탄성부재(15)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액정 디스플레이(7)의 팝업이 이루어져 일정한 각도를 가지며 세워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촬영자는 용이하게 뷰파인더(5)를 통하여 피사체를 관찰하고 액정 디스플레이(7)를 통하여 카메라의 정보를 알 수 있어 촬영자의 의도대로 촬영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액정 디스플레이(7)의 팝업은 배럴(21)의 이동에 따라 연동하여 작동하는 데, 이는 줌 스위치(도시생략)를 작동시키면 줌 모터(도시생략)가 회전하여 줌 감속기어(도시생략)를 통하여 배럴(21)이 구동됨으로서 이루어진다. 이때 상술한 캠 배럴(25)이 가이드 배럴(27)의 가이드 홈(27a)을 따라 카메라 바디(1)에서 광축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팝업 구동레버 지지부재(19)가 함께 연동하여 이동하게 된다. 이 액정 디스플레이 팝업 구동레버 지지부재(19)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팝업 구동레버(32)의 선단부가 배럴 연동부(17c)를 가압하여 걸림부재(17)를 회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팝업 구동레버(32)의 돌기(32a)는 팝업 구동레버 지지부재(19)에 고정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걸림부재(17)의 걸림부(17a)가 액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와 이탈되면서 액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의 팝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계속해서 팝업 구동부재(32)가 클로우즈 방향에서 오픈 방향으로 이동하면 배럴 연동부(17c)는 팝업 구동레버(32)의 선단부 아래측으로 이동하여 원상태로 걸림부재 탄지용 탄성부재(18)에 의하여 복귀한다. 따라서 걸림부재(17)의 노브(17b)를 이동시킬 때와 마찬가지로 촬영자는 용이하게 뷰파인더(5)를 통하여 피사체를 관찰하고 액정 디스플레이(7)를 통하여 카메라의 정보를 알 수 있어 촬영자의 의도대로 촬영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팝업 구동레버가 오픈 상태에서 클로우즈 상태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배럴 연동부(17c)의 뒷면을 팝업 구동레버의 선단부가 가압하게 된다. 이때에는팝업 구동레버(32)는 팝업 구동레버(32)와 팝업 구동레버 지지부재(19) 사이에 탄지되어 있는 탄성부재(32a)에 탄성력이 작용하면서 도면(도 3b)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배럴 연동부(17c)의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정상상태로 복귀한다.
한편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팝업 스트로보(35)의 상단에 액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가 고정되어 스트로보(35)의 팝업과 동시에 액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의 팝업이 이루어지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본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에서 구성된 액정 디스플레이 각도 조절장치가 그대로 적용되는 구조를 설명하고 있으며, 다만 액정 디스플레이(7)의 저면에 팝업 스트로보(35)가 결합되어 스트로보(35)와 동시에 액정 디스플레이(7)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제2실시예는 이러한 구조에 한정하여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인 팝업 스트로보 구조에서 스트로보(35)의 윗면에 액정 디스플레이(7)가 별도의 체결부재(36) 등으로 고정되어 일정한 각도의 조절이 이루어지는 구조도 가능하다. 이러한 스트로보(35)와 동시에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는 구조는, 도7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가이드 배럴(도시생략)에 연동하여 광축방향으로 이동하는 레버(51)와, 이 레버(51)와 연동하는 스트로보 팝업부재(53), 이 스트로보 팝업부재(53)와 카메라 바디(1)의 일측에 고정되어 스트로보 팝업부재(53)에 의하여 스트로보를 항상 오픈시키려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는 스트로보 팝업 탄성부재(55)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스트로보 팝업부재(53)에는 레버(51)의 해제에 의하여 스트로보 팝업 탄성부재(55)의 인장력이 작용하는 방향(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팝업 레버 보스(53a)가 형성되고 있으며, 카메라 바디(1)와 힌지 결합부(53b)에 의하여 결합되어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스트로보 팝업부재(53)는 스트로보(57)의 일측에 배치되는 걸림부(57a)와 밀착되도록 제2 팝업 레버 보스(53c)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스트로보 팝업 탄성부재(55)는 토오션 스프링(55)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한쪽 끝은 카메라 바디(1)에 고정되고 다른 한쪽 끝은 스트로보 팝업 부재(53)의 힌지 결합부(53b)와 제2 팝업 레버 보스(53c) 사이에 결합되어 있다. 스트로보 팝업 탄성부재(55)와 스트로보 팝업부재(53)의 결합은 스트로보 팝업부재(53)에 또 다른 보스(53d)가 형성되어 이 보스(53d)에 끼움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물론 이러한 결합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멍을 뚫어 이 구멍에 스트로보 팝업 탄성부재(55)의 한쪽 끝을 거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스트로보(57)는 카메라 바디(1)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힌지 결합부(57b)를 가지고 있으며, 이 힌지 결합부(57b)의 외주에 토오션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탄성부재(60)를 개재하되 스트로보(57)가 카메라 바디(1)내로 수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개재되어 있다.
이러한 액정 디스플레이(7)의 각도 조절은, 스트로보(57)가 카메라 바디(1)내에 수납된 상태에서 가이드 배럴이 광축방향으로 이동하면 스트로보 팝업부재(53)의 제1 팝업 레버 보스(53a)의 가압 상태를 해제하게 되고 이때 힌지 결합부(53b)를 중심으로 스트로보 팝업 탄성부재(55)에 의하여 당겨지는 방향 즉, 도면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그러면 스트로보 팝업부재(53)의 일단에 배치되는 제2 팝업 레버 보스(53c)가 스트로보(57)에 형성되는 걸림부(57a)를 가압하게 된다. 그러면 스트로보(57)는 탄성부재(60)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힌지 결합부(57b)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일정한 각도로 오픈이 이루어지고, 따라서 스트로보(57)의 상단에 고정되는 액정 디스플레이(7)도 일정한 각도로 회동하게 된다.
상술한 액정 디스플레이(7)가 팝업되는 구조는 어느 것이나 가능하며, 단지 촬영할 때에 액정 디스플레이(7)가 일정한 각도로 세워짐으로서 카메라의 정보를 알기 쉽게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본 고안의 실시예로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뷰파인더 내측에 장착되는 액정 디스플레이(도시생략)는 카메라의 상면에 배치되는 액정 디스플레이와 중복되므로 생략할 수 있게 된다.
도8은 본 고안에 다른 제3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랙(41)과 피니언(43)에 의하여 액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제1실시예는 팝업에 의하여 액정 디스플레이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는 것을 설명하였으며, 제2실시예에서는 스트로보와 연동하여 액정 디스플레이의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제3실시예는 주밍에 관계하는 가이드 배럴(27)과 연동하는 레버(19)에 랙(41)이 광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고정되고 이 랙(41)은 피니언(43)과 치합되어 랙(41)의 이동에 따라 피니언(43)이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액정 디스플레이의 각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제3실시예는 가이드 배럴(27)의 이동에 따라 액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3)가 부드럽게 각도가 조절되는 장점을 갖게 된다. 본 고안의 액정 디스플레이 각도 조절장치는 제1,2,3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액정 디스플레이의 각도가 조절되어 뒷면에서 액정 디스플레이의 시야각 범위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것이나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른 카메라의 액정 디스플레이 각도 조절장치는, 액정 디스플레이가 일정한 각도로 세워지므로 촬영자가 촬영순간의 정보를 정확하게 볼 수 있게 되어 촬영자의 의도대로 촬영하는 것이 용이하고, 뷰 파인더에 설치되는 액정 디스플레이는 카메라 바디의 상단에 설치되는 액정 디스플레이와 중복되므로 생략할 수 있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Claims (7)

  1. 카메라 바디와;
    상기한 카메라 바디의 상단에 배치되며 상면과 일정한 각을 이루도록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액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와;
    상기한 액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선택적으로 경사지도록 카메라 바디의 일측에 배치되는 액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각도 조절수단;
    을 포함하는 카메라의 액정 디스플레이 각도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액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각도 조절수단은
    일단이 액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에 탄지되고, 타단이 카메라 바디에 탄지되어 액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오픈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는 팝업 탄성부재와;
    상기한 액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일단이 카메라 바디에 힌지결합되며 타단이 액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일측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걸림부재와;
    상기한 걸림부재가 액정 디스플레이 측으로 이동하도록 일단이 걸림부재에 탄지되고 타단이 카메라 바디의 일측에 탄지되는 걸림부재 탄지용 탄성부재;
    로 이루어지는 카메라의 액정 디스플레이 각도 조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걸림부재는
    일단이 카메라 바디의 내면에 힌지결합되는 힌지결합부와,
    상기한 힌지결합부의 타단에 배치되며 선택적으로 액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팝업시키기 위하여 손으로 이동하기 위한 노브와,
    상기한 힌지 결합부의 타단에 배치되며 액정 디스플레이와 접촉하여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부,
    를 포함하는 카메라의 액정 디스플레이 각도 조절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걸림부재는 배럴과 연동하여 작동되도록 일측이 돌출되는 배럴연동부를 포함하는 카메라의 액정 디스플레이 각도 조절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탄성부재는 토오션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카메라의 액정 디스플레이 각도 조절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액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팝 업 스트로보와 동시에 경사면이 되도록 스트로보 상단에 고정되는 카메라의 액정 디스플레이 각도 조절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액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각도 조절수단은
    배럴에 연동하여 광축방향으로 선형이동하는 랙과,
    상기한 랙과 치합되며 액정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회전부와 동일축상에 고정되어 랙의 이동에 따라 회전이 이루어지는 피니언,
    으로 이루어지는 카메라의 액정 디스플레이 각도 조절장치.
KR2019980010828U 1998-06-22 1998-06-22 카메라의 액정 디스플레이 각도 조절장치 KR2000000118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0828U KR20000001184U (ko) 1998-06-22 1998-06-22 카메라의 액정 디스플레이 각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0828U KR20000001184U (ko) 1998-06-22 1998-06-22 카메라의 액정 디스플레이 각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1184U true KR20000001184U (ko) 2000-01-25

Family

ID=69515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0828U KR20000001184U (ko) 1998-06-22 1998-06-22 카메라의 액정 디스플레이 각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118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01245A (zh) * 2020-07-20 2020-11-27 苏州第四度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人脸识别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01245A (zh) * 2020-07-20 2020-11-27 苏州第四度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人脸识别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9575B1 (ko) 렌즈셔터식 줌렌즈 카메라
JPH10232427A (ja) 可動レンズカバー付きカメラ
JP3504400B2 (ja) カメラ
US5678093A (en) Camera
KR20000001184U (ko) 카메라의 액정 디스플레이 각도 조절장치
JP2002116488A (ja) カメラ
JP3078034B2 (ja) レンズ鏡筒
JPH08122612A (ja) レンズ移動機構のカムの構造
KR100424570B1 (ko) 컴퓨터카메라 겸용 디지털카메라
JP5252786B2 (ja) 撮像装置
US4109259A (en) Exposure preventing shade
JPH01108873A (ja) 画像入力装置
JP3372305B2 (ja) カメラ
KR0131680B1 (ko) 카메라의 파인더 광학 시스템
JP3372304B2 (ja) カメラのファインダ機構
JP3270584B2 (ja) カメラのファインダー装置
JPH06102562A (ja) ビューファインダー装置
KR200266313Y1 (ko)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의 미러 구동 기구
JPH0725790Y2 (ja) パノラマ撮影装置付きカメラ
JPH0725791Y2 (ja) パノラマ撮影装置付きカメラ
KR0156267B1 (ko) 카메라의 차광장치
KR100252161B1 (ko) 비디오 카메라
KR100232479B1 (ko) 렌즈경통수납구조
JPH0961888A (ja) カメラのバリア開閉装置
JPH0763971A (ja) ズームレン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