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0947U -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밀폐용기 - Google Patents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밀폐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0947U
KR20000000947U KR2019980010549U KR19980010549U KR20000000947U KR 20000000947 U KR20000000947 U KR 20000000947U KR 2019980010549 U KR2019980010549 U KR 2019980010549U KR 19980010549 U KR19980010549 U KR 19980010549U KR 20000000947 U KR20000000947 U KR 2000000094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rotary compressor
hermetic
inner container
sea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05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호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800105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0947U/ko
Publication of KR200000009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947U/ko

Links

Landscapes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소음 차단용 밀폐용기(10) 구조에 관한 것으로, 밀폐용기(10) 내에 고정자(21) 및 회전자(22)와, 상기 회전자(22)의 내측에 압입 고정되는 회전축(31)과, 상기 회전축(31)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흡입된 냉매를 고압으로 압축시켜주는 실린더(34) 및 롤링피스톤(35)을 구비한 통상의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밀폐용기(10)는 상기 각 부품을 수용하는 내측용기(10a)와, 내부 소음을 차단할 수 있도록 내측용기(10a)의 외측 둘레에 소정의 진공 공간부(10c)를 형성하며 상기 내측용기(10a)를 이중으로 밀폐시켜주는 외측용기(10b)로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내측용기(10a)와 외측용기(10b)의 이중 구조를 이루고, 그 사이에 소정 두께의 진공 공간부(10c)를 형성하여 소음 전달 매개체를 제거함으로써 현저한 소음 차단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된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밀폐용기
본 고안은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소음 차단용 밀폐용기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동 공기조화기용으로 사용되는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에 있어서 밀폐용기의 구조를 개선하여 가동시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외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될 수 있게 한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구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케이스를 형성하는 밀폐용기(101)와, 이 밀폐용기(101)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는 고정자(21) 및 회전자(22)로 구성된 전동기구부(20)와, 상기 밀폐용기(101)의 내측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자(22)의 내경에 회전축(31)이 압입 고정되고 이 회전축(31)의 하단부에는 보울트로 체결되는 상부베어링(32) 및 하부베어링(33)을 포함하는 실린더(34)가 고정되며 이 실린더(34)의 내부에는 그 내부를 고압 및 저압 상태로 분리시켜주는 베인(미도시)이 설치되어 롤링피스톤(35)을 매개로 상기 실린더(34)의 내주면과 접촉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 압축기구부(30)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밀폐용기(101)의 상부에는 그 내부에서 조성된 고압의 냉매가스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관(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밀폐용기(101)의 하부에는 그 내부에 분사되어 윤활 및 냉각작용을 수행함과 아울러 냉동사이클을 따라 순환하는 오일이 채워져 있으며, 상기 밀폐용기(101)의 일측에는 냉동사이클 동작중, 증발기(미도시)에서 배출된 냉매를 압축기로 유입하기 전에 냉매에 혼합된 오일과 냉매를 집적하여 분리하기 위한 어큐뮬레이터(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의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는 냉매가 상기 어큐뮬레이터(40)를 통해 압축기구부(30)에 유입되어 압축되면서 고온 고압의 냉매가스를 생성한 후, 밀폐용기(101) 상부의 토출관(11)을 통해 압축기의 밀폐용기(101) 밖으로 토출된다. 즉, 상기 어큐뮬레이터(40)는 압축기의 작동과 함께 증발기에서 유입된 오일 및 기체와 액체 혼합상태의 냉매가 유입관(41)과 스크린(미도시)을 거쳐 어큐뮬레이터(40)의 케이스 내부로 유입되면, 상기 스크린을 통해 이물질이 여과된 후, 그 여과된 오일과 액냉매가 하부로 집적되어 오일은 오일회수공(미도시)을 통해 유출되고, 냉매는 흡입관(42)을 통해 실린더(34) 내부로 유입되며, 하부에 모인 액냉매는 기화되어 흡입관(42)을 통해 실린더(34)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다.
한편, 소음은 공기 등의 매개체에 수반되어 사람의 청각기관으로 전달되는데, 종래의 압축기가 가동될 때 압축기구부(30)의 실린더(34) 내부에서 롤링피스톤(35)이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압력 맥동음과 토출가스의 유동음 및 토출밸브(미도시)의 충돌음 등과 같은 각종 소음으로 인하여 상기 밀폐용기(101)가 진동하게 되고, 그 진동에 의해 주위 공기에 압력 변화가 발생하면서 상기의 각종 소음이 외부로 전달된다.
따라서, 종래의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는 밀폐용기(101)와 공기가 직접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므로, 압축기의 가동시의 각종 소음이 상기 밀폐용기(101)를 통한 공기의 압력 변화를 유발하여 외부로 전달됨으로써 상기 압축기를 적용한 제품 전체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냉동 공기조화기용으로 사용되는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에 있어서 밀폐용기의 구조를 개선하여 가동시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외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될 수 있게 한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밀폐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밀폐용기 10a ; 내측용기
10b ; 외측용기 10c ; 진공 공간부
11 ; 토출관 20 ; 전동기구부
21 ; 고정자 22 ; 회전자
30 ; 압축기구부 31 ; 회전축
32 ; 상부베어링 33 ; 하부베어링
34 ; 실린더 35 ; 롤링피스톤
40 ; 어큐뮬레이터 41 ; 유입관
42 ; 흡입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밀폐용기는 내부의 각 부품을 수용하는 내측용기와, 내부 소음을 차단할 수 있도록 내측용기의 외측 둘레에 소정의 진공 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내측용기를 이중으로 밀폐시켜주는 외측용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기 내측용기 및 외측용기의 두께가 2.6mm 정도로 형성되고, 그 간극이 1mm 정도로 유지되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는 그 밀폐용기(10)의 구조를 제외하고는 종래의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즉, 외부 케이스를 형성하는 밀폐용기(10)와, 이 밀폐용기(1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는 고정자(21) 및 회전자(22)로 구성된 전동기구부(20)와, 상기 밀폐용기(10)의 내측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자(22)의 내경에 회전축(31)이 압입 고정되고 이 회전축(31)의 하단부에는 보울트로 체결되는 상부베어링(32) 및 하부베어링(33)을 포함하는 실린더(34)가 고정되며 이 실린더(34)의 내부에는 그 내부를 고압 및 저압 상태로 분리시켜주는 베인(미도시)이 설치되어 롤링피스톤(35)을 매개로 상기 실린더(34)의 내주면과 접촉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 압축기구부(30)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밀폐용기(10)의 상부에는 그 내부에서 조성된 고압의 냉매가스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관(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밀폐용기(10)의 하부에는 그 내부에 분사되어 윤활 및 냉각작용을 수행함과 아울러 냉동사이클을 따라 순환하는 오일이 채워져 있으며, 상기 밀폐용기(10)의 일측에는 냉동사이클 동작중, 증발기(미도시)에서 배출된 냉매를 압축기로 유입하기 전에 냉매에 혼합된 오일과 냉매를 집적하여 분리하기 위한 어큐뮬레이터(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밀폐용기(10)는 상기 각 부품을 수용하는 내측용기(10a)와, 내부 소음을 차단할 수 있도록 내측용기(10a)의 외측 둘레에 소정의 진공 공간부(10c)를 형성하며 상기 내측용기(10a)를 이중으로 밀폐시켜주는 외측용기(10b)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내측용기(10a) 및 외측용기(10b)는 그 두께를 각각 2.6mm 정도로 하고, 그 간극을 1mm 정도로 하여 상기 외측용기(10b) 및 진공 공간부(10c)를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상기 외측용기(10b) 및 진공 공간부(10c)가 크게 설정되면 될수록 압축기의 부피가 증가하고, 따라서 이 압축기를 적용한 제품의 부피도 증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압축기의 부피를 고려할 때 종전의 밀폐용기(101)의 두께에 비해 내측용기(10a)와 외측용기(10b)의 두께를 최대한 줄이고, 상기 진공 공간부(10c)의 두께도 최소한으로 설정한다면 압축기의 전체 부피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는 냉매가 상기 어큐뮬레이터(40)를 통해 압축기구부(30)에 유입되어 압축되면서 고온 고압의 냉매가스를 생성한 후, 밀폐용기(10) 상부의 토출관(11)을 통해 압축기의 밀폐용기(10) 밖으로 토출된다. 즉, 상기 어큐뮬레이터(40)는 압축기의 작동과 함께 증발기에서 유입된 오일 및 기체와 액체 혼합상태의 냉매가 유입관(41)과 스크린(미도시)을 거쳐 어큐뮬레이터(40)의 케이스 내부로 유입되면, 상기 스크린을 통해 이물질이 여과된 후, 그 여과된 오일과 액냉매가 하부로 집적되어 오일은 오일회수공(미도시)을 통해 유출되고, 냉매는 흡입관(42)을 통해 실린더(34) 내부로 유입되며, 하부에 모인 액냉매는 기화되어 흡입관(42)을 통해 실린더(34)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압축기가 가동되면서 내부에서 발생하는 각종 소음은 내측용기(10a)에 전달되나, 그 외부에 소음 전달 매개체인 공기가 제거된 상태이므로 그 소음이 외측용기(10b)로 전달될 수 없게 되어 상기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및 작용에 의해 기대할 수 있는 본 고안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밀폐용기(10)는 내측용기(10a)와 외측용기(10b)의 이중 구조를 이루고, 그 사이에 소정 두께의 진공 공간부(10c)를 형성하여 소음 전달 매개체를 제거함으로써 현저한 소음 차단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밀폐용기 내에 고정자 및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의 내측에 압입 고정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흡입된 냉매를 고압으로 압축시켜주는 실린더 및 롤링피스톤을 구비한 통상의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밀폐용기는 상기 각 부품을 수용하는 내측용기와, 내부 소음을 차단할 수 있도록 내측용기의 외측 둘레에 소정의 진공 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내측용기를 이중으로 밀폐시켜주는 외측용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밀폐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용기 및 외측용기는 그 두께가 2.6mm 정도로 형성되고, 그 간극이 1mm 정도로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밀폐용기.
KR2019980010549U 1998-06-18 1998-06-18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밀폐용기 KR2000000094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0549U KR20000000947U (ko) 1998-06-18 1998-06-18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밀폐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0549U KR20000000947U (ko) 1998-06-18 1998-06-18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밀폐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947U true KR20000000947U (ko) 2000-01-15

Family

ID=69502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0549U KR20000000947U (ko) 1998-06-18 1998-06-18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밀폐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0947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36828B1 (en) Scroll compressor
KR20000000947U (ko)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밀폐용기
JPH11107959A (ja) 密閉型圧縮機の吐出管
KR100288677B1 (ko) 밀폐압축기
KR200239620Y1 (ko) 로터리 압축기
JPH06346884A (ja) 電動圧縮機
KR19990084586A (ko) 회전압축기의 어큐무레이터
JP3168101B2 (ja) ロータリ圧縮機
JPH08193584A (ja) ロータリ式圧縮機
KR100186434B1 (ko)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어큐뮬레이터
KR0128917Y1 (ko) 회전압축기
KR100229643B1 (ko) 회전압축기
JP3007746B2 (ja) 回転式圧縮機
KR100286550B1 (ko) 밀폐형 회전 압축기
KR101130472B1 (ko) 로터리 압축기의 토출밸브 리테이터 장치
KR20000004180A (ko) 어큐뮤레이터부가 일체로 구비된 고압형 스크롤 압축기
KR200203908Y1 (ko)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소음저감구조
KR930008985B1 (ko) 밀폐형 회전압축식 전동기
CN101956703A (zh) 旋转式密闭型压缩机
KR20010064535A (ko)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토출 소음 저감구조
JPH01389A (ja) 横型ロ−タリ−圧縮機
KR20020006315A (ko) 압축기의 어큐뮬레이터 구조
JP2007023983A (ja) 密閉型回転圧縮機
KR20000038266A (ko) 압축기
KR20000056799A (ko) 로터리 압축기의 진동 저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