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6550B1 - 밀폐형 회전 압축기 - Google Patents

밀폐형 회전 압축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6550B1
KR100286550B1 KR1019980004217A KR19980004217A KR100286550B1 KR 100286550 B1 KR100286550 B1 KR 100286550B1 KR 1019980004217 A KR1019980004217 A KR 1019980004217A KR 19980004217 A KR19980004217 A KR 19980004217A KR 100286550 B1 KR100286550 B1 KR 100286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space
accumulator
lower space
upp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4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9768A (ko
Inventor
노경한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04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6550B1/ko
Publication of KR19990069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9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6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65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6Filtration; Moisture sepa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12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 F04C29/124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with inlet and outlet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rotary or oscillating piston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형 회전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아웃케이스의 내측에는 냉매압축부로 액체상태의 냉매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어큐뮬레이터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어큐뮬레이터를 압축기의 내측에 일체형으로 구성함에 따라 액체상태의 냉매 및 기체상태의 냉매를 완전히 분리시켜 냉매압축부로 유입되도록 함에 따라 액압축을 방지하게 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고, 또한 압축기의 장착면적을 줄이게 되어 제품의 콤팩트화를 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밀폐형 회전 압축기{AIRTIGHT YYPE ROTARY COMPRESSOR}
본 발명은 밀폐형 회전 압축기의 아웃케이스 내측에 어큐뮬레이터를 구성함과 동시에 그 구조를 개선하여 제품의 콤팩트화를 꾀함과 동시에 압축성을 향상시키는 밀폐형 회전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등에 장착되는 종래의 밀폐형 회전 압축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기의 외관을 형성함과 동시에 내측을 밀폐시키는 아웃케이스(10) 및 상,하부쉘(20,30)이 있고, 상기 아웃케이스(10)의 내측에는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자장을 형성시키는 고정자(40)가 배설되어 있고, 상기 고정자(40)의 내측으로는 상기 고정자(40)에 형성된 자장의 영향으로 회전되는 회전자(50)가 배설되어 있고, 상기 회전자(50)의 내측에는 상기 회전자(50)와 연동하여 회전되며 일측에 편심축(61)이 형성된 회전축(60)이 강제 압입되어 있고, 상기 편심축(61)의 외측에는 상기 편심축(61)이 회전함에 따라 미끄럼운동을 하는 롤러(70)가 배설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60)의 하단측에는 흡입실 및 토출실이 형성되어 냉매를 압축시키는 공간부를 형성하는 실린더부재(80)가 배설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부재(80)에는 상기 실린더부재(80)를 고정하도록 상·하부플랜지(90,100)가 각각 배설되어 있고, 상기 아웃케이스(10)의 내측 상부에는 상기 실린더부재(80)에서 압축된 냉매를 토출시키는 토출관(110)이 배설되어 있고, 상기 아웃케이스(10)의 외측에는 증발기(미도시)에서 증발된 냉매중 기체상태의 냉매만 압축기로 공급되도록 액체상태의 냉매와 기체상태의 냉매를 분리시키는 어큐뮬레이터(120)가 배설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압축기는 전원이 인가되면 고정자(40)에 자장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자(40)에 형성된 자장에 의해서 회전자(5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회전자(50)와 일체로 결착된 회전축(60)이 고속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상기 회전축(60)의 편심축(61)에 외삽되어 있는 롤러(70)가 실린더부재(80)내에서 왕복운동을 하고, 상기 실린더부재(80)의 일측에 삽설되어 있는 베인(미도시)이 직선 왕복 운동한다.
따라서, 실린더부재(80)로 흡입된 냉매가 고온고압으로 압축되고, 상기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냉매는 실린더부재(80)의 일측에 형성된 토출구(미도시)를 통하여 상부플랜지(90)의 외측으로 토출되고, 상부플랜지(90)의 외측으로 토출된 냉매는 도시하지 않은 가이드통로를 따라 상부로 이동되어 아웃케이스(10)의 상측에 배설된 토출관(110)을 통해 압축기 외부로 토출되고 공지의 냉매사이클에 의해 순환된 후, 액체상태의 냉매를 포함하는 기체상태의 냉매는 상기 어큐뮬레이터(120)의 내측으로 유입되고, 유입된 액체상태의 냉매 및 기체상태의 냉매는 상기 어큐뮬레이터(120)의 저면부로 유입되고 상기와 같이 유입된 액체상태의 냉매와 기체상태의 냉매중 분리된 기체상태의 냉매는 실린더부재(80)의 내측으로 유입됨으로써 재차 압축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밀폐형 회전 압축기는 어큐뮬레이터(120)가 아웃케이스(10)의 외측에 구비됨에 따라 공기조화기등에 장착시에 그 장착면적이 커지게 되어 제품의 콤팩트화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축기의 내부에 어큐뮬레이터 구조를 형성시킴에 따라 제품의 콤팩트화를 꾀하도록 하는 밀폐형 회전 압축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밀폐형 회전 압축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체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폐형 회전 압축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체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아웃케이스 200 : 모터부
300 : 냉매압축부 400 : 어큐뮬레이터부
410,420 : 상부 및 하부공간 430 : 연결배관
440 : 오일회수관 450 : 냉매통과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회전 압축기는 내측에 모터부 및 냉매압축부를 이루도록 다수의 부품을 내장시킨 아웃케이스를 구비한 밀폐형 회전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아웃케이스의 내측에는 상기 냉매압축부로 액체상태의 냉매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어큐뮬레이터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2에 따라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장물을 보호함과 동시에 밀폐시키는 아웃케이스(10)가 있고, 상기 아웃케이스(10)의 내측에는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자장에 의해 회전되는 모터부(200) 및 상기 모터부(20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60)의 회전력에 의해 도시되지 않은 증발기로 유입되는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시키도록 냉매압축부(30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아웃케이스(10)의 상단측에는 증발기(미도시)로부터 유입된 냉매중 기체상태의 냉매만을 분리시켜 상기 냉매압축부(300)로 액체상태의 냉매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어큐뮬레이터부(40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어큐뮬레이터부(400)는 상·하단(410,420)측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유입된 냉매가 상기 하부공간(420)측으로 유입되어 고이게 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하부공간(420)측에 고이게 된 액입자가 증발되어 상승된 냉매를 받아 재차 액체상태의 냉매 및 기체상태의 냉매로 분리시켜 완전히 기체화된 기체상태의 냉매만을 상기 냉매압축부(300)로 통과시키도록 되어 있고, 상기 어큐뮬레이터부(400)의 상부공간(410)측 및 상기 냉매압축부(300)의 일측에는 상기 어큐뮬레이터부(400)를 통해 완전히 기체화된 기체상태의 냉매를 상기 냉매압축부(300)로 통과시키도록 연결배관(430)이 배설되어 있고, 상기 어큐뮬레이터부(400)의 하단측(410) 및 상기 연결배관(430)의 일측에는 유입된 냉매중에 포함된 오일을 냉매압축부(300)측으로 회수시키도록 오일회수관(440)이 배설되어 있다.
상기 어큐뮬레이터부(400)의 하단측(410)은 오일이 흐름을 가이드하도록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미설명부호(310)는 상기 냉매압축부(300)를 통해 압축된 고온고압의 냉매가 상승하여 토출되는 토출관을 나타내과 부호(450)는 상기 어큐뮬레이터부(400)의 하단(410)에 고이게 된 냉매가 증발하여 상단(420)측으로 통과되는 냉매통과홀을 나타낸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폐형 회전 압축기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구동된 모터부(200)의 회전축(60)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회전축(60)의 회전력에 의해 냉매압축부(300)의 냉매가 고온고압으로 압축되어 토출관(310)을 통해 압축기 외측으로 토출되고, 상기 토출관(310)을 통해 압축기 외부로 토출되고 공지의 냉매사이클에 의해 순환된 후, 액체상태의 냉매를 포함하는 기체상태의 냉매는 상기 어큐뮬레이터부(400)의 하단측(420) 유입되어 고이게 되고, 상기 하단측(420)에 유입된 후 증발된 기체상태의 냉매는 냉매통과홀(450)을 통하여 상단측(410)으로 이동하고, 상기 상단측(410)에 유입된 1차기체상태의 냉매는 재차 액체상태의 냉매와 기체상태의 냉매로 분리된 후 완전히 기화된 기체상태의 냉매만 연결배관(430)을 통해 냉매압축부(300)측으로 유입됨으로써 재차 압축된다.
이때, 상기 어큐뮬레이터부(400)의 하단측(420)으로 유입되는 냉매와 함께 유입된 냉동오일은 상기 하단측(420)의 바닥판이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가이드되어 오일회수관(440)을 통해 연결배관(430)을 경유한 후 냉매압축부(300)의 실린더(미도시)측으로 회수된다.
상기와 같이 어큐믈레이부(400)가 아웃케이스(10)의 내측에 구비됨에 따라 압축기의 장착면적을 줄이게 되어 제품의 콤팩트화를 꾀함과 동시에 또한, 액체상태의 냉매 및 기체상태의 냉매의 분리효과를 향상시킴에 따라 제품의 신뢰성을 증대시키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밀폐형 회전 압축기에 의하면, 어큐뮬레이터를 압축기의 내측에 일체형으로 구성함에 따라 액체상태의 냉매 및 기체상태의 냉매를 완전히 분리시켜 냉매압축부로 유입되도록 함에 따라 액압축을 방지하게 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고, 또한 압축기의 장착면적을 줄이게 되어 제품의 콤팩트화를 꾀할 수 있다.

Claims (1)

  1. 내측에 모터부(200) 및 냉매압축부(300)를 이루도록 다수의 부품을 내장시킨 아웃케이스(10)와, 상기 아웃케이스(10)의 일측에 설치된 어큐뮬레이터부(400)를 구비된 밀폐형 회전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어큐뮬레이터부(10)는 상기 아웃케이스(10)의 상하단에 설치된 상부공간(410) 및 하부공간(420)과, 상기 상부공간(410)에서 기체상태의 냉매와 분리된 액체상태의 냉매가 상기 하부공간(420)으로 유입되어 고이게 하거나 또는 하부공간(420)에 고인 액냉매가 증발하면서 형성된 기체상태의 냉매가 상부공간(410)으로 유입되도록 상부공간(410)과 하부공간(420)의 일측에 형성된 냉매통과홀(450)과, 상기 상부공간(410)의 기체상태의 냉매가 상기 냉매압축부(300)로 유입되도록 상부공간(410)과 냉매압축부(300)를 연결하는 연결배관(430)과, 상기 하부공간(420)에서 냉매중에 포함된 오일이 상기 연결배관(430)을 따라 냉매압축부(300)로 회수되도록 하부공간(420)과 연결배관(430)을 연결하는 오일회수관(440)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회전 압축기.
KR1019980004217A 1998-02-12 1998-02-12 밀폐형 회전 압축기 KR100286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4217A KR100286550B1 (ko) 1998-02-12 1998-02-12 밀폐형 회전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4217A KR100286550B1 (ko) 1998-02-12 1998-02-12 밀폐형 회전 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9768A KR19990069768A (ko) 1999-09-06
KR100286550B1 true KR100286550B1 (ko) 2001-05-02

Family

ID=37514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4217A KR100286550B1 (ko) 1998-02-12 1998-02-12 밀폐형 회전 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655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9768A (ko) 1999-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07276C (zh) 压缩机
US20060045762A1 (en) Suction muffler for compressor
JPH10238908A (ja) 密閉形圧縮機の冷凍機油分離装置
KR100758403B1 (ko)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
JP5112090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WO2003044373A1 (en) Hermetic compressor
KR100286550B1 (ko) 밀폐형 회전 압축기
KR20080085602A (ko) 압축기 오일 회수장치
JP2005344658A (ja) 電動気体圧縮機
JP2005171819A (ja) 冷媒圧縮機
KR19980046483A (ko) 로터리 압축기
KR100270871B1 (ko) 회전압축기
KR0159553B1 (ko) 밀폐형 회전압축기
KR20010076889A (ko) 저압식 로터리 압축기
KR100455423B1 (ko) 회전식 압축기의 흡입구조
KR100195446B1 (ko) 왕복동형 압축기
KR20020006315A (ko) 압축기의 어큐뮬레이터 구조
KR200150835Y1 (ko) 회전압축기
KR0139298Y1 (ko) 압축기의 어큐믈레이터
KR100780721B1 (ko) 로터리 압축기의 유토출 저감 장치
KR200159710Y1 (ko) 밀폐형 왕복동 압축기의 토출장치
JP3370041B2 (ja) 回転圧縮機
KR19980026932U (ko) 왕복동형 압축기
KR19980015236U (ko) 회전압축기
KR19990036034U (ko) 밀폐형 압축기의 회전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