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0665U - 차량의 드럼브레이크용 브레이크 슈우 - Google Patents

차량의 드럼브레이크용 브레이크 슈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0665U
KR20000000665U KR2019980010186U KR19980010186U KR20000000665U KR 20000000665 U KR20000000665 U KR 20000000665U KR 2019980010186 U KR2019980010186 U KR 2019980010186U KR 19980010186 U KR19980010186 U KR 19980010186U KR 20000000665 U KR20000000665 U KR 2000000066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brake
lining
vehicle
brake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01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광수
Original Assignee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종만
Priority to KR20199800101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0665U/ko
Publication of KR200000006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665U/ko

Links

Landscapes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라이닝의 일부분이 완전히 마모됨에 따라 드럼이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차량의 제동이 불능인 상태까지 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드럼의 내주면에 미끄럼 접촉되어 제동력을 가하는 라이닝을 부착하기 위해 반원 형상의 테이블과, 이 테이블의 내측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테이블을 백플레이트의 전면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웨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의 드럼브레이크용 브레이크 슈우에 있어서,
테이블의 외측면 소정 위치에 라이닝의 두께보다 소정치 얇은 두께의 금속편을 부착함으로써, 라이닝이 소정치 이하로 마모된 경우, 드럼과 금속편의 접촉에 의한 금속음에 의해 라이닝의 마모 상태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드럼브레이크용 브레이크 슈우
본 고안은 차량의 드럼브레이크용 브레이크 슈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라이닝의 일부분이 완전히 마모됨에 따라 드럼이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차량의 제동이 불능인 상태까지 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드럼브레이크용 브레이크 슈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차량의 앞차축에는 디스크 브레이크, 후차축에는 드럼 브레이크 또는 디스크 브레이크를 사용한다.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는 회전하는 원판형의 디스크에 패드를 밀착시켜,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방법을 이용한 것이다.
한편, 드럼 브레이크는 원통 형상의 드럼의 내주면에 라이닝을 밀착시켜,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방법을 이용한 것이다.
도 1은 상기에서 후자에 기술된 드럼브레이크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차체(미도시)에 고정되는 백플레이트(1)의 전면에는 좌, 우 한 쌍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호 대칭되게 리이딩 및 트레일링 슈우로 이루어진 브레이크 슈우(2,2')가가 각각 배치되어 슈우호울드 핀(3,3') 및 슈우호울드 스프링(4,4')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브레이크 슈우(2,2')는 차륜(미도시)과 동시에 회전하는 드럼(10)의 내주면에 미끄럼 접촉되어 제동력을 가하는 라이닝(5,5')을 부착시키기 위해 반원 형상의 테이블(2b,2'b)과, 이 테이블(2b,2'b)의 내주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테이블을 백플레이트(1)의 전면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웨브(2a,2'a)로 이루어져 있다.
백플레이트(1)의 전면 상부에는 브레이크 슈우(2,2')를 유압 작동하기 위해 작동 피스톤(피스톤)을 포함하여 구비한 휠 실린더(6)가 설치되되, 상기 작동 피스톤은 브레이크 슈우(2,2')의 웨브(2a,2'a) 상단에 맞닿게 되어 휠 실린더(6)에 의해 브레이크 슈우(2,2')는 드럼(10)의 내주면으로 확장 또는 수축을 하게 된다.
한편, 백플레이트(1)의 전면 하부에는 앵커블럭(7)이 고정 설치되되, 브레이크 슈우(2,2')의 웨브(2a,2'a) 하단을 지지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이 앵커블럭(7)은 브레이크 슈우(2,2')의 확장 또는 수축시의 지지점이 된다.
브레이크 슈우(2,2')의 상부측에는 웨브(2a,2'a)를 상호 연결하되, 드럼(10)의 내주면에 라이닝(5,5')이 접촉된 상태에서 미접촉 상태로 원상 복귀시키기 위한 리턴 스프링(9)이 설치되어 있으며, 웨브(2a,2'a)의 하단의 양끝단에는 각각 앵커 스프링(1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차량의 드럼브레이크에 따르면, 차륜(미도시)과 동시에 회전하는 드럼(10)을 제동시키기 위해 브레이크(미도시)를 작동시키면, 휠 실린더(6)의 작동 피스톤이 브레이크 슈우(2)의 상단을 밀게 되며, 이에따라 이 브레이크 슈우는 확장되어 테이블(2b,2'b)에 고정 부착된 라이닝(5,5')이 드럼(10)의 내주면에 미끄럼 마찰되어 차륜의 제동력을 가하게 된다.
이때, 라이닝에는 마찰력에 의해 드럼과 함께 회전하려는 회전 토크가 추가로 발생되어 브레이크 슈우의 확장력을 증대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더욱더 라이닝과 드럼과의 마찰력이 증대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한편, 브레이크 슈우(2')는, 마찰력에 의해 드럼(10)으로부터 안쪽으로 향하는 선회력이 작용함으로 제동력이 작아진다.
상기와 같이 장기간 동안 라이닝과 드럼이 상호 마찰됨에 따라 라이닝은 점차 마모되게 되는 바, 라이닝의 일부분이 완전히 마모되었다는 것을 운전자가 인식하지 못한채 계속 사용하는 경우 더 이상 차량의 제동을 이행할 없을 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 노출된 브레이크 슈우에 의해 드럼의 내주면까지 파손될 수 도 있다.
특히, 휠 실린더의 작동 피스톤(미도시)이 브레이크 슈우(2)의 상단을 밀게 됨에 따라 드럼(10)의 내주면과 가장 많이 미끄럼 접촉되는 부분이 브레이크 슈우(2)의 상단 외주면이기 때문에 드럼(10)의 상단 외주면에 해당되는 라이닝이 마모되는 정도가 심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라이닝의 일부분이 완전히 마모됨에 따라 드럼이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차량의 제동이 불능인 상태까지 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드럼브레이크용 브레이크 슈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드럼브레이크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차량의 드럼브레이크용 브레이크 슈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브레이크 슈우가 설치된 상태의 드럼브레이크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 : 브레이크 슈우
2a,2'a : 웨브
2b,2'b : 테이블
5,5' : 라이닝
10 : 드럼
20 : 인디케이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드럼의 내주면에 미끄럼 접촉되어 제동력을 가하는 라이닝을 부착하기 위해 반원 형상의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의 내측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테이블을 백플레이트의 전면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웨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의 드럼브레이크장치 브레이크 슈우에 있어서, 테이블의 외측면 소정 위치에 라이닝의 두께보다 소정치 얇은 두께의 금속편을 부착함으로써, 라이닝이 소정치 이하로 마모된 경우, 드럼과 금속편의 접촉에 의한 금속음에 의해 라이닝의 마모 상태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차량의 드럼브레이크용 브레이크 슈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요지를 보다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 종래 기술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 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차량의 드럼브레이크용 브레이크 슈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브레이크 슈우가 설치된 상태의 드럼브레이크의 정면도이다.
차체(미도시)에 고정되는 백플레이트(1)의 전면에는 좌,우 한 쌍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호 대칭되게 브레이크 슈우(2,2')가 각각 배치되어 슈우호울드 핀(3,3') 및 슈우호울드 스프링(4,4')에 의해 설치된다.
브레이크 슈우(2,2')는 차륜(미도시)과 동시에 회전하는 드럼(10)의 내주면에 미끄럼 접촉되어 제동력을 가하는 라이닝(5,5')을 부착시키기 위한 반원 형상의 테이블(2b,2'b)과, 이 테이블의 내주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테이블을 백플레이트(1)의 전면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웨브(2a,2'a)로 이루어진다.
테이블(2b,2'b)의 외주면 소정 위치에 라이닝(5,5')이 소정치 이하로 마모된 것을 차량 제동시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금속편(20)이 부착된다.
이 금속편(20)은 강성을 갖는 스프링강 분말을 소결하여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라이닝(5,5')의 두께(t')보다 소정치 얇은 두께(t)를 갖는다.
즉, 라이닝이 일정치 이하로 마모되었을 때, 이때부터 금속편(20)이 드럼(10)의 내주면에 접촉되기 시작하는 것이다.
이 라이닝(5,5')이 일정치 이하로 마모되면, 금속편(20)과 드럼(10)이 상호 마찰되면서 발생하는 금속음을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게되어 라이닝(5,5')과 드럼(10)이 상호 마찰됨에 따라 라이닝(5,5')이 완전히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차륜(미도시)과 동시에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드럼(10)을 제동시키기 위해 운전자가 브레이크(미도시)를 작동시키면 휠 실린더(6)의 작동 피스톤(미도시)이 브레이크 슈우(2)의 상단을 밀게 됨에 따라 드럼(10)의 내주면과 가장 많이 미끄럼 접촉되는 부분이 브레이크 슈우(2)의 상단 외주면이므로, 이 금속편(20)은 브레이크 슈우(2)의 상단 외주면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드럼브레이크용 브레이크 슈우의 소정 위치에 드럼과의 마찰시 금속음이 발생되도록 금속편을 설치함으로써, 운전자가 이 금속음을 듣고 라이닝이 일정치 이하로 마모되었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며, 이후 운전자는 브레이크 슈우 어셈블리를 새것으로 교환하게 됨으로 브레이크 슈우가 드럼의 내주면에 마찰되어 드럼이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드럼의 내주면에 미끄럼 접촉되어 제동력을 가하는 라이닝을 부착하기 위해 반원 형상의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의 내측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테이블을 백플레이트의 전면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웨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의 드럼브레이크용 브레이크 슈우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의 외측면 소정 위치에 상기 라이닝의 두께보다 소정치 얇은 두께의 금속편을 부착함으로써, 상기 라이닝이 소정치 이하로 마모된 경우, 상기 드럼과 금속편의 접촉에 의한 금속음에 의해 상기 라이닝의 마모 상태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드럼브레이크용 브레이크 슈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브레이크 슈우의 상단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드럼브레이크용 브레이크 슈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의 재질은 스프링강 분말을 소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드럼브레이크용 브레이크 슈우.
KR2019980010186U 1998-06-15 1998-06-15 차량의 드럼브레이크용 브레이크 슈우 KR2000000066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0186U KR20000000665U (ko) 1998-06-15 1998-06-15 차량의 드럼브레이크용 브레이크 슈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0186U KR20000000665U (ko) 1998-06-15 1998-06-15 차량의 드럼브레이크용 브레이크 슈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665U true KR20000000665U (ko) 2000-01-15

Family

ID=69515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0186U KR20000000665U (ko) 1998-06-15 1998-06-15 차량의 드럼브레이크용 브레이크 슈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066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6506B2 (en) Pad retraction spring for a brake shoe assembly and a disc brake assembly
US7040464B1 (en) Brake shoe assembly and disc brake assembly including such a brake shoe assembly
US4854423A (en) Hydraulic disc brake drum-in-hat parking brake assembly
JP4547090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システム
JPH11108089A (ja) ディスクブレーキ
US20070068747A1 (en) Self-energizing sliding caliper
US5954163A (en) Spring for disc brake
US4360081A (en) Disc brake
KR20000000665U (ko) 차량의 드럼브레이크용 브레이크 슈우
US6691835B1 (en) Disc brake
GB2033987A (en) Disc brake
EP1346165B1 (en) Support and guiding structure for friction element in disc brakes
KR200267458Y1 (ko) 차량용 브레이크장치의 드럼브레이크
JP2003148525A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S63275822A (ja) スポット型式ディスクブレーキ及びその製造方法
KR0130583Y1 (ko) 드럼 브레이크
KR200281982Y1 (ko) 드럼 브레이크의 어져스터
KR100211335B1 (ko) 디스크브레이크의 롤백장치
KR930004983Y1 (ko) 원판 브레이크
KR200278156Y1 (ko) 드럼 브레이크슈우
KR100435195B1 (ko) 드럼브레이크
KR20030031606A (ko) 브레이크슈를 갖춘 드럼 브레이크
KR20000034027A (ko) 자동차 제동장치의 브레이크 라이닝 유격 조절구조
KR20020054433A (ko) 차량용 드럼 브레이크
JP2006177413A (ja) ディスクブレー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