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0654U - 광주사용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 - Google Patents

광주사용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0654U
KR20000000654U KR2019980010175U KR19980010175U KR20000000654U KR 20000000654 U KR20000000654 U KR 20000000654U KR 2019980010175 U KR2019980010175 U KR 2019980010175U KR 19980010175 U KR19980010175 U KR 19980010175U KR 20000000654 U KR20000000654 U KR 2000000065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diode
collimating lens
module
optical axis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01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상은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riority to KR20199800101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0654U/ko
Publication of KR200000006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654U/ko

Links

Landscapes

  • Mechanical Optical Scanning Systems (AREA)
  • Laser Beam Printer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부가 개방된 사출물의 형태로 모듈을 제작한 다음 상부로 노출된 콜리메이팅렌즈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시켜 광축거리가 조정되도록 함으로써, 광축거리 조정이 편리하고 또한 모듈의 제작성이 향상되는 광주사용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빔을 주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와 주사된 빔을 평행광으로 만드는 콜리메이팅렌즈 및 상기 콜리메이팅렌즈를 거친 빔의 일부만 통과시키는 슬릿 등이 결합된 모듈본체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콜리메이팅렌즈가 후방에 결합되고 전방에 상기 슬릿이 결합되며 중앙에 광축방향으로 길게 조절구멍이 형성된 슬라이더가 구비되고, 상부로 개방된 가이드레일이 광축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 상기 슬라이더가 놓인 상태에서 조절구멍을 통하여 조절나사가 체결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의 후방에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가 결합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광주사용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
본 고안은 광주사용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레이저 다이오드와 콜리메이팅렌즈가 설치되는 모듈을 상부가 개방된 사출물로 구성함으로써, 레이저 다이오드와 콜리메이팅렌즈의 광축거리 조정이 편리하고 모듈의 생산성이 향상되는 광주사용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주사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하우징(1)이 구비되고 하우징(1) 내부 일측에 광원으로 구성된 레이저 다이오우드(2)가 구비된다. 레이저 다이오드(2)는 콜리메이팅렌즈(3) 쪽으로 빔을 출사시키며 콜리메이팅렌즈(3)를 거치면서 수평의 주주사(main scanning direction)와 수직의 부주사(sug-scanning direction)방향으로 평행한 평행빔으로 만들어진다. 평행빔은 주주사방향으로 장방형의 구멍을 갖는 슬릿부재(3a)를 거치면서 빔의 중앙부분만 통과되고 이후 실린드리컬렌즈(3b)에서 부주사방향으로 수렴된다.
부주사방향으로 수렴된 빔은 고속으로 회전되는 폴리건미러(4)에서 일정의 화각을 갖는 상태로 반사되어 f-θ렌즈인 주사렌즈(5)로 출사된다. 주사렌즈(5)는 토릭렌즈와 포커싱렌즈로 구성되며 입사되는 빔을 주주사방향으로 수렴시켜 감광드럼(6)으로 출사시킨다. 출사되는 빔은 부주사방향으로 수렴된 상태에서 주주사방향으로 수렴됨으로 감광드럼(6)에 입사되면 초점을 형성한다.
이처럼 구성된 광주사장치는 레이저 다이오드(2)에서 출사된 빔이 콜리메이팅렌즈(3)를 거치면서 주주사와 부주사가 평행한 빔으로 변한 다음 슬릿(3a)과 실린드리컬렌즈(3b)를 거치면서 부주사방향의 빔이 수렴된다. 부주사방향으로 수렴된 빔은 폴리건미러(4)에서 일정의 화각을 갖는 상태로 감광드럼으로 주사된다. 그리고 빔은 감광드럼으로 주사되기 전에 주사렌즈(5)에 의해 주주사방향이 수렴되며 감광드럼에 입사되면 초점을 형성하게 되고 원하는 화상이 얻어진다.
도 3 및 도 4는 레이저 다이오드와 콜리메이팅렌즈가 내장된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레이저 다이오드(2)가 부착된 기판(14)의 전방에 나사부(11)를 갖는 케이스(10)가 결합되고 케이스(10)의 내부에는 나사체결되는 홀더(12)가 구비된다. 홀더(12)는 내부에 콜리메이팅렌즈(3)가 내장되며 홀더(12)를 풀고 조임에 따라 콜리메이팅렌즈(3)의 광축거리가 조정된다. 그리고 홀더(12)와 케이스(10) 사이에 탄성부(13)가 마련되며 탄성부에 의해 홀더(12)가 축방향으로 가압되어 임의로 유동되지 않는다. 또한 콜리메이팅렌즈(3) 전방의 케이스(10)에 슬릿(3a)이 결합된다.
이처럼 구성된 종래의 모듈은 기판(14)에 나사못(15)으로 결합된 레이저 다이오드(2)가 나사못(15)의 풀고 조임에 따라 광축에 직교하는 방향의 상,하/좌,우측 방향으로 조정된다. 그리고 케이스(10)의 내부에 나사부(11)를 통하여 체결되는 홀더(12)에 의해 콜리메이팅렌즈(3)가 광축방향으로 조정되어 레이저 다이오드(2)와의 상대적인 거리조정이 가능해 진다.
그러나 콜리메이팅렌즈(3)를 잡아주는 홀더(12) 및 케이스(10)가 금속재질로 구성되고 또한 케이스(10)의 내부에 나사부(11)를 가공해야 됨으로 생산성이 저하된다. 또한 홀더(12)가 케이스(10)내부에 체결된 상태에서 홀더(12)를 풀고 조이기 위해 별도의 도구를 사용해야 됨으로 조립작업이 번거로운 등의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부가 개방된 사출물의 형태로 모듈을 제작한 다음 상부로 노출된 콜리메이팅렌즈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시켜 광축거리가 조정되도록 함으로써, 광축거리 조정이 편리하고 또한 모듈의 제작성이 향상되는 광주사용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광주사장치의 평단면도,
도 2는 일반적인 광주사장치의 정단면도,
도 3a,b,c는 종래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의 좌측면,정면 및 우측면도,
도 4는 도 3b의 A- A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의 사시도,
도 6a,b,c는 본 고안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의 좌측면,정면 및 우측면도,
도 7은 도 6b의 B - B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레이저 다이오드 3 : 콜리메이팅렌즈
3a : 슬릿 100 : 모듈본체
110 : 가이드레일 120 : 슬라이더
130 : 조절구멍 140 : 조절나사
150 : 기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빔을 주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와 주사된 빔을 평행광으로 만드는 콜리메이팅렌즈 및 상기 콜리메이팅렌즈를 거친 빔의 일부만 통과시키는 슬릿 등이 결합된 모듈본체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콜리메이팅렌즈가 후방에 결합되고 전방에 상기 슬릿이 결합되며 중앙에 광축방향으로 길게 조절구멍이 형성된 슬라이더가 구비되고, 상부로 개방된 가이드레일이 광축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 상기 슬라이더가 놓인 상태에서 조절구멍을 통하여 조절나사가 체결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의 후방에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가 결합된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고안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의 사시도 이고, 도 6a,b,c는 본 고안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의 좌측면,정면 및 우측면도 로서, 도 1과 동일 구성요소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본 고안을 설명한다.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을 구성하는 모듈본체(100)는 사출물로 구성되며 상부 중앙에 광축방향으로 길게 가이드레일(110)이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레일(110)의 상부에는 이를 따라 광축방향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더(120)가 마련되고 슬라이더(120)의 후방에 콜리메이팅렌즈(3)가 앉착된다. 그리고 슬라이더(120)의 전방에 슬릿(3b)이 형성되며 슬라이더(120)의 중앙에는 광축방향으로 조절구멍(130)이 형성된다. 또한 조절구멍(130)을 통하여 조절나사(140)가 모듈본체(100)에 체결되어 슬라이더(120)가 고정된다.
기판(150)에 나사못(170)으로 체결된 레이저 다이오드(2)가 구비되며 레이저 다이오드(2)는 모듈본체(100)의 후방에 조절나사(160)를 통하여 체결 고정된다.
이처럼 구성된 본 고안은 모듈본체(100)의 후방에 조절나사(160)를 통하여 체결된 레이저 다이오드(2)가 조절나사(160)의 풀고 조임에 따라 광축방향에 대하여 상,하/좌,우측 방향으로 미세하게 조절된다. 또한 모듈본체(100)의 상부에 놓인 슬라이더(120)는 조절나사(140)를 풀고 조이면 헐겁게 되며 이때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광축방향으로 미세하게 조절된다. 따라서 슬라이더(120)의 후방에 결합된 콜리메이팅렌즈(3)가 레이저 다이오드(2)에 대하여 광축방향으로 조정된다.
따라서 레이저 다이오드(2)에서 출사된 빔이 콜리메이팅렌즈(3)를 거치면서 주주사와 부주사가 평행한 빔으로 변한 다음 슬릿(3a)과 실린드리컬렌즈(3b)를 거치면서 부주사방향의 빔이 수렴된다. 부주사방향으로 수렴된 빔은 폴리건미러(4)에서 일정의 화각을 갖는 상태로 감광드럼(6)으로 주사된다. 그리고 빔은 감광드럼으로 주사되기 전에 주사렌즈(5)에 의해 주주사방향이 수렴됨으로 감광드럼에 입사되면 초점을 형성하게 되고 원하는 화상이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레이저 다이오드와 콜리메이팅렌즈를 고정시키는 모듈을 사출물로 제작함으로 제작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모듈의 상부를 개방시킨 다음 개방된 상부에 콜리메이팅렌즈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시켜 광축방향의 거리가 조정되도록 함으로 광축거리 조정이 편리한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빔을 주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와 주사된 빔을 평행광으로 만드는 콜리메이팅렌즈 및 상기 콜리메이팅렌즈를 거친 빔의 일부만 통과시키는 슬릿 등이 결합된 모듈본체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콜리메이팅렌즈가 후방에 결합되고 전방에 상기 슬릿이 결합되며 중앙에 광축방향으로 길게 조절구멍이 형성된 슬라이더가 구비되고,
    상부로 개방된 가이드레일이 광축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 상기 슬라이더가 놓인 상태에서 조절구멍을 통하여 조절나사가 체결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의 후방에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용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본체는 사출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주사용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
KR2019980010175U 1998-06-15 1998-06-15 광주사용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 KR2000000065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0175U KR20000000654U (ko) 1998-06-15 1998-06-15 광주사용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0175U KR20000000654U (ko) 1998-06-15 1998-06-15 광주사용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654U true KR20000000654U (ko) 2000-01-15

Family

ID=69517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0175U KR20000000654U (ko) 1998-06-15 1998-06-15 광주사용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065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2254B1 (ko) * 2002-07-15 2004-12-29 주식회사 기화정밀 콜리메이터렌즈의 위치조정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2254B1 (ko) * 2002-07-15 2004-12-29 주식회사 기화정밀 콜리메이터렌즈의 위치조정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40999B2 (ja) 光走査装置のレ―ザダイオ―ドモジュ―ル
US6081364A (en) Laser light source for emitting a plurality of laser beams, method adjusting focusing of the laser light source, and scanning optical system
KR20000000654U (ko) 광주사용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
US5969843A (en) Light source device and light beam scanning optical apparatus
KR100252698B1 (ko) 광주사장치 및 그 동기신호 검출방법
KR100327321B1 (ko) 광 주사장치의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
KR100313361B1 (ko) 광 주사장치의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
US5952650A (en) Scanning optical device having a movable compound optical system
KR20000003739U (ko) 광주사용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
JPH04216514A (ja) レーザー光発生装置
KR100323042B1 (ko) 광 주사장치의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
KR100340759B1 (ko) 광 주사장치의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
JPH11202232A (ja) マルチビーム走査装置
JPH0353215A (ja) 射出光学装置
KR200269878Y1 (ko) 광주사장치
KR20000003740U (ko) 광주사용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
KR100214866B1 (ko)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의 콜리메이트 렌즈 조절 및 고정 장치
JPH06175058A (ja) 光走査装置
KR200245193Y1 (ko) 광주사장치
JP3199865B2 (ja) 光学系のハウジング構造
KR100323039B1 (ko) 광주사장치의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 조립장치
JP2001166238A (ja) 走査光学装置
KR19990040797U (ko) 광주사장치
KR20000001579U (ko) 광주사장치
JPH11295634A (ja) 走査光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