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0295A - 디젤 자동차용 매연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디젤 자동차용 매연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0295A
KR20000000295A KR1019990043883A KR19990043883A KR20000000295A KR 20000000295 A KR20000000295 A KR 20000000295A KR 1019990043883 A KR1019990043883 A KR 1019990043883A KR 19990043883 A KR19990043883 A KR 19990043883A KR 20000000295 A KR20000000295 A KR 20000000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hamber
exhaust gas
soo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3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범
정용우
연기능
김기형
Original Assignee
박기범
정용우
연기능
김기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범, 정용우, 연기능, 김기형 filed Critical 박기범
Priority to KR1019990043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0295A/ko
Publication of KR20000000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295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using 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21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 F01N3/0215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the filtering elements having the form of disks or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08Mounting or arrangement of exhaust sensors in or on exhaust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37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inertial or centrifugal separators, e.g. of cyclone type, optionally combined or associated with agglomerators

Abstract

본 발명은 디젤 자동차용 매연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디젤 자동차의 배기가스 배출관 내에 스케일 형태로 축적된 매연을 운행 전 미리 제거하도록 하여 상기 운행 중인 디젤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 내에 포함된 매연의 양을 줄여 대기오염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디젤 자동차의 배기가스 배출관을 통해 배기가스가 원활하게 배출되므로 상기 디젤 자동차의 성능이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1)와; 상기 본체(101) 내에는 디젤 자동차의 배기가스 배출관(119)과 연결된 연결관(116)을 통해 배기가스와 매연이 유입되고, 유입되는 배기가스와 매연이 물의 표면과 부딪히면서 와류를 발생시킴과 함께 상기 물에 매연이 흡수되도록 하는 유입압 조정실(102)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101) 내에는 유입압 조정실(102)에서 매연이 흡착된 상태로 분산되면서 유입되는 물분자를 물의 표면으로 안내하는 안내부재(108)와, 상기 안내부재(108)의 안내를 받아 물의 표면과 부딪히면서 발생되는 와류현상에 의해 분산되는 물분자 내의 매연을 걸러내는 세정용 접촉재(112)가 구비된 세정식 집진실(103)을 형성하며; 상기 본체(101) 내에는 세정식 집진실(103)에서 유입된 물분자는 걸러내고 공기만 통과시키는 세정수 유출방지용 여과재(113)가 소정위치에 설치된 유출수 회수실(104)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101) 내에는 유출수 회수실(104)로 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본체(101)의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본체(101)를 관통하여 공기 배출관(117)이 설치된 유출압 조정실(105)을 형성하며; 상기 본체(101) 내에는 유입압 조정실(102) 내와 세정식 집진실(103) 내의 압력차에 의해 상기 유입압 조정실(102)에서 세정식 집진실(103)로 유동하는 물에 녹아 있는 매연을 걸러내어 포집하는 매연회수용 여과기(114)와, 상기 각 실 내의 물 수위를 일정하게 조절하도록 각 실 내의 물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계(115)가 구비된 여과기실(106)을 형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디젤 자동차용 매연제거장치{smoke removal apparatus for diesel vehicle}
본 발명은 디젤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써, 좀 더 구체적으로는 운행 전 디젤 자동차의 배기가스 배출관 내에 축적된 매연을 미리 제거하여 상기 디젤 자동차 운행 시 배출되는 배기가스 내의 매연의 양을 줄여 대기오염을 방지함과 함께 자동차의 성능이 향상되도록 하는 디젤 자동차용 매연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젤 자동차는 디젤기관을 원동기로 하는 자동차로서, 연료값이 적게 들어 경제적이고 안정성도 높기 때문에 출력이 큰 버스나 트럭 등에 널리 사용된다.
종래 디젤 자동차의 원료로 디젤(diesel)을 사용하는데, 상기 디젤은 특성상 완전연소가 되지 않고 불연소됨에 따라 상기 디젤 자동차의 배기가스 배출관에는 불연소된 매연 즉, 탄소와 탄화수소 등 유기물의 혼합체가 축적된다.
즉, 불연소된 매연은 끈적끈적한 상태로 배기가스 배출관 내에 축적되어 쌓임에 따라 상기 배기가스 배출관을 통해 디젤 자동차 운행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이로 인해, 디젤 자동차의 성능이 저하된다.
또한, 배기가스 배출관 내에 축적된 매연이 자동차 운행 시 배기가스 배출관을 통해 대기 중으로 배출되므로 대기오염이 발생됨과 함께 상기 대기오염으로 인체 내로 흡입되는 매연 등으로 의해 상기 인체의 이상 등이 발생된다.
그래서, 배기가스 배출관 내에 축적된 매연을 제거하기 위해 디젤 자동차 운행 전에 상기 매연이 축적된 배기가스 배출관을 막대기 등과 같은 도구로 두드려서 털어내거나 상기 배기가스 배출관 내로 물을 강하게 쏘아서 배기가스 배출관 내에 축적된 매연을 물과 함께 떨어뜨려서 상기 배기가스 배출관 내의 매연을 제거한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으로 배기가스 배출관 내에서 막대기를 이용하여 매연을 털어낼 때 상기 매연이 대기 중으로 날려 대기를 오염시키거나 상기 매연을 털어내기 위해 막대기 등을 사용하는 사람의 호흡기를 통해 인체 내로 흡입됨에 따라 인체에 해가 된다.
또한, 물을 사용할 경우에는 물과 함께 배기가스 배출관 내에서 떨어지는 매연이 하수구를 통해 하천이나 바다 등으로 흘러 들어가거나 토양으로 스며듬에 따라 환경오염이 발생된다.
여기서, 디젤 자동차의 배기계통인 배기가스 배출관에 배기가스를 완전연소시키기 위한 연소장치를 부착할 수도 있으나 이는, 연소장치의 가격이 비쌀 뿐만 아니라 디젤 자동차의 무게가 무거워지므로 상기 디젤 자동차의 연비가 저하되고, 또한 상기 배기가스 배출관의 소정위치에 부착된 연소장치에 의해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연소장치의 전, 후방 압력차에 의하여 역압이 발생되므로 상기 디젤 자동차의 성능이 저하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디젤 자동차의 배기가스 배출관 내에 스케일 형태로 축적된 매연을 운행 전 미리 제거하도록 하여 상기 운행 중인 디젤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 내에 포함된 매연의 양을 줄여 대기오염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디젤 자동차의 배기가스 배출관을 통해 배기가스가 원활하게 배출되므로 상기 디젤 자동차의 성능이 향상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는 디젤 자동차의 배기가스 배출관과 연결된 연결관을 통해 배기가스와 매연이 유입되고, 유입되는 배기가스와 매연이 물의 표면과 부딪히면서 와류를 발생시킴과 함께 상기 물에 매연이 흡수되도록 하는 유입압 조정실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 내에는 유입압 조정실에서 매연이 흡착된 상태로 분산되면서 유입되는 물분자를 물의 표면으로 안내하는 안내부재와, 상기 안내부재의 안내를 받아 물의 표면과 부딪히면서 발생되는 와류현상에 의해 분산되는 물분자 내의 매연을 걸러내는 세정용 접촉재가 구비된 세정식 집진실을 형성하며, 상기 본체 내에는 세정식 집진실에서 유입된 물분자는 걸러내고 공기만 통과시키는 세정수 유출방지용 여과재가 소정위치에 설치된 유출수 회수실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 내에는 유출수 회수실로 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본체를 관통하여 공기 배출관이 설치된 유출압 조정실을 형성하며, 상기 본체 내에는 유입압 조정실 내와 세정식 집진실 내의 압력차에 의해 상기 유입압 조정실에서 세정식 집진실로 유동하는 물에 녹아 있는 매연을 걸러내어 포집하는 매연회수용 여과기와, 상기 각 실 내의 물 수위를 일정하게 조절하도록 각 실 내의 물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계가 구비된 여과기실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 자동차용 매연제거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 디젤 자동차용 매연제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디젤 자동차용 매연제거장치를 평면에서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Ⅰ-Ⅰ선단면도.
도 4는 도 2의 Ⅱ-Ⅱ선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매연제거장치 101: 본체
102: 유입압 조정실 103: 세정식 집진실
104: 유출수 회수실 105: 유출압 조정실
106: 여과기실 107: 제1정류판
108: 안내부재 109: 제2정류판
110: 제3정류판 111: 제4정류판
112: 세정용 접촉재 113: 세정수 유출방지용 여과재
114: 매연회수용 여과기 114a: 유입관
114b: 유출관 115: 수위감지계
116: 연결관 117: 공기 배출관
118: 유로구 119: 배기가스 배출관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디젤 자동차용 매연제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디젤 자동차용 매연제거장치를 평면에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Ⅰ-Ⅰ선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Ⅱ-Ⅱ선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디젤 자동차의 배기가스 배출관(119)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배기가스 배출관(119) 내에 스케일 형태로 축적된 매연을 상기 디젤 자동차 운행 전에 미리 제거하도록 하는 매연제거장치(10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매연제거장치(100)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본체(101) 내에는 복수개의 정류판에 의해 분리되는 복수개의 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01) 내의 각 실 중 어느 하나의 실을 제외한 나머지 각 실에는 일정높이 이상의 물이 담겨져 있고, 상기 물이 각 실 사이를 자유롭게 흐를 수 있도록 각 정류판에는 복수개의 유로구(118)가 물의 표면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01)에는 디젤 자동차의 배기가스 배출관(119) 내에 축적되어 있는 매연이 본체(101)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배기가스 배출관(119)과 일단이 연결됨과 함께 타단이 본체(101) 내에 위치하는 연결관(116)이 본체(101)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본체(101) 내에는 제1정류판(107)에 의해 분리되어 연결관(116)의 타단을 통해 배기가스 배출관(119)을 통해 본체(101) 내로 유입되는 매연이 포함된 배기가스가 물의 표면과 부딪히면서 와류현상이 발생됨과 함께 상기 발생되는 와류현상에 의해 매연은 물에 흡수되고, 상기 매연의 일부는 물에 흡착된 상태로 상방으로 분산되도록 하는 유입압 조정실(10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정류판(107)에는 유입압 조정실(102)의 외부로 토출되는 매연이 흡착된 물이 층류되도록 서로 다른 크기의 제1정류공(107a)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01) 내에는 제1정류판(107)과 제2정류판(109)에 의해 분리되어 상기 각 제1정류공(107a)을 통해 유입압 조정실(102)에서 공기와 함께 물분자(물에 매연이 흡착된 상태)가 유입되고, 상기 유입된 물분자가 물의 표면과 한 번 더 부딪히면서 와류현상이 발생됨과 함께 상기 물에 흡착된 매연은 물에 흡수되고 상기 물분자의 일부 즉, 매연이 흡착된 물분자는 상방으로 분산되도록 하는 세정식 집진실(10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입압 조정실(102)에서 각 제1정류공(107a)을 통해 세정식 집진실(103) 내로 유입되는 물분자는 상기 제1정류판(107)에 형성된 각 제1정류공(107a)의 크기에 의해 각 제1정류공(107a)을 통과하면서 층류 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세정식 집진실(103) 내에는 유입압 조정실(102)에서 유입되는 물분자를 세정식 집진실(103) 내에 담겨져 있는 물의 표면으로 안내부재(108)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세정식 집진실(103) 내의 소정위치에는 안내부재(108)의 안내를 받아 물의 표면과 부딪히면서 공기와 함께 세정식 집진실(103) 내의 상방으로 분산되는 물분자 내의 매연을 걸러내는 세정용 접촉재(11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본체(101) 내에는 제2정류판(109)과 제3정류판(110)에 의해 분리되어 상기 세정용 접촉재(112)에서 매연이 걸러진 상태의 물분자가 유입되고, 상기 매연이 걸러진 상태로 유입되는 물분자를 흡착 및 걸러내는 유출수 회수실(10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출수 회수실(104) 내의 소정위치에는 세정식 집진실(103)에서 유출수 회수실(104) 내로 매연이 걸러진 상태로 유입되는 물분자를 걸러내고 공기만 통과시키는 세정수 유출방지용 여과재(11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유출수 회수실(104)의 제2정류판(109)에는 세정식 집진실(103)에서 유출수 회수실(104) 내로 매연이 걸러진 상태의 물분자가 유입되도록 세정수 유출방지용 여과재(113)의 상방측에 복수개의 제2정류공(109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출수 회수실(104)의 제3정류판(110)에는 세정수 유출방지용 여과재(113)를 통과한 깨끗한 상태의 공기를 유출수 회수실(104)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세정수 유출방지용 여과재(113)의 하방측에 복수개의 제3정류공(110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01) 내에는 제3정류판(110)과 제4정류판(111)에 의해 분리되어 상기 유출수 회수실(104)에서 각 제3정류공(110a)을 통해 배출되는 깨끗한 상태의 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유입된 공기를 본체(101)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유출압 조정실(10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출압 조정실(105)에는 유출압 조정실(105) 내로 유입된 공기를 본체(101)의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일단이 본체(101)의 외측에 위치하고 타단이 유출압 조정실(105) 내에 위치하는 공기 배출관(117)이 본체(101)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본체(101) 내에는 제1정류판(107)과 제4정류판(111)에 의해 분리되어 상기 유입압 조정실(102) 내에서 세정식 집진실(103) 내로 압력차에 의해 유동하는 물에 녹아 있는 매연을 포집하도록 하는 여과기실(10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여과기실(106) 내에는 유입압 조정실(102)과 세정식 집진실(103) 내의 압력차에 의해 유입압 조정실(102) 내에서 세정식 집진실(103) 내로 흐르는 물에 녹아 있는 매연을 걸러내어 포집하는 매연회수용 여과기(114)가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여과기실(106) 내에는 본체(101) 내의 각 실에 담겨져 있는 물의 수위를 일정하게 조절하기 위해 상기 각 실 내의 물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계(11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유입압 조정실(102) 내의 물 속에 일단이 위치하고 타단이 매연회수용 여과기(114)에 결합되어 유입압 조정실(102) 내의 물이 매연회수용 여과기(114)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유입관(114a)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세정식 집진실(103) 내에 일단이 위치하고 타단이 매연회수용 여과기(114)에 결합되어 매연회수용 여과기(114)를 통과하면서 매연이 걸러진 물을 세정식 집진실(103)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유출관(114b)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여과기실(106)의 바닥면에는 매연회수용 여과기(114)를 교체 및 수리하기 위해 상기 매연회수용 여과기(114)를 착탈시키도록 개폐되는 막음부재(120)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디젤 자동차를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상기 디젤 자동차의 배기가스 배출관(119) 내에 스케일 형태로 매연이 축적되는데, 상기 축적된 매연은 매연제거장치(100)를 사용하여 디젤 자동차 운행 전에 미리 제거하므로 상기 디젤 자동차 운행 시 배출되는 배기가스 내에는 매연의 양이 저감된다.
여기서, 상기 매연제거장치(100)의 작동되는 상태를 설명하면, 상기 디젤 자동차 운행 전 디젤 자동차의 배기가스 배출관(119)에 상기 매연제거장치(100)의 본체(101)를 관통하여 설치된 연결관(116)의 일단을 연결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디젤 자동차 시동을 걸게 되면 배기가스 배출관(119)을 통해 매연과 함께 배기가스가 배출되면서 상기 연결관(116)을 통해 매연제거장치(100)의 본체(101)로 내로 유입된다.
이 때, 상기 배기가스 배출관(119) 내의 매연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 상기 배기가스 배출관(119)을 통해 배기가스가 배출될 때 막대기 등과 같은 도구로 배기가스 배출관(119)을 두드려서 매연에 털어내므로 상기 매연제거장치(100) 내로 더 많은 매연이 유입된다.
또는, 엔진블록을 이용하여 배기가스 배출관(119) 내에 축적된 매연을 매연제거장치(100)의 연결관(116)을 통해 상기 매연제거장치(100)의 본체(101) 내로 유입시키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체(101) 내로 유입된 배기가스는 연결관(116)의 타측이 위치한 본체(101) 내의 유입압 조정실(102) 내로 유입되고, 상기 유입압 조정실(102) 내로 유입된 배기가스는 디젤 자동차의 배출압력에 의해 연결관(116)을 통과하여 유입압 조정실(102) 내에 담겨져 있는 물의 표면에 부딪히면서 와류현상이 발생된다.
이 때, 배기가스 내에 포함된 매연의 대부분은 물에 녹아 내리고, 일부 매연은 와류현상에 의해 물에 흡착된 상태 즉, 물분자 상태로 유입압 조정실(102) 내의 상부로 분산된다.
그리고, 상부로 분산되는 물분자는 유입압 조정실(102)을 형성하는 제1정류판(107)에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된 복수개의 제1정류공(107a)을 통해 본체(101) 내의 세정식 집진실(103) 내로 유입되고, 상기 세정식 집진실(103) 내로 유입된 물분자는 세정식 집진실(103) 내에 설치된 안내부재(108)의 안내를 받는다.
한편, 상기 각 제1정류공(107a)을 통과하여 세정식 집진실(103) 내로 유입되는 물분자는 각 제1정류공(107a)의 크기가 서로 다름에 따라 층류현상이 발생되고, 상기 층류상태의 물분자는 안내부재(108)에 부딪히면서 상기 안내부재(108)의 안내에 따라 세정식 집진실(103) 내의 바닥면으로 유동된다.
상기 안내부재(108)의 안내를 받으면서 세정식 집진실(103) 내의 바닥면으로 유동하는 물분자는 세정식 집진실(103) 내에 담겨져 있는 물의 표면에 부딪히면서 와류현상이 발생되며, 이 때 물분자 내에 흡착된 매연은 세정식 집진실(103) 내의 물에 녹아 내리고 일부 매연은 와류현상에 의해 물과 함께 물분자 상태로 세정식 집진실(103) 내의 상부로 분산된다.
한편, 상부로 분산되는 물분자에 흡착된 매연은 세정식 집진실(103) 내의 소정위치에 설치된 세정용 접촉재(112)를 통과하면서 상기 세정용 접촉재(112)에 의해 완전히 제거되고, 상기 매연이 제거된 물분자는 제2정류판(109)의 상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2정류공(109a)을 통과하여 유출수 회수실(104) 내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유출수 회수실(104) 내로 유입된 물분자는 상기 유출수 회수실(104) 내의 소정위치에 설치된 세정수 유출방지용 여과재(113)를 통과할 때 완전히 걸러지고, 매연 및 물이 제거된 깨끗한 상태의 배기가스만이 제3정류판(110)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3정류공(110a)을 통해 유출수 회수실(104)에서 유출압 조정실(105) 내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유출압 조정실(105) 내로 유입된 깨끗한 상태의 공기는 본체(101)를 관통하여 유출압 조정실(105)에 설치된 공기 배출관(117)을 통해 본체(101)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된다.
한편, 본체(101) 내에는 형성된 여과기실(106) 내에는 매연회수용 여과기(114)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유입압 조정실(102) 내와 세정식 집진실(103) 내의 압력차에 의해 유입압 조정실(102) 내의 물이 매연회수용 여과기(114)를 거처 세정식 집진실(103) 내로 유입된다.
즉, 일단이 유입압 조정실(102) 내의 물 표면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됨과 함께 타단이 매연회수용 여과기(114)에 결합되는 유입관(114a)이 설치되고, 상기 매연회수용 여과기(114)에 타단이 결합되고 일단이 세정식 집진실(103) 내에 위치되는 유출관(114b)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유입압 조정실(102) 내의 압력과 세정식 집진실(103) 내의 압력차이 즉, 유입압 조정실(102) 내의 압력이 높으므로 상기 유입관(114a)을 통해 유입압 조정실(102) 내의 물이 매연회수용 여과기(114) 내로 유입되어 상기 매연회수용 여과기(114)에서 물 속에 녹아 있는 매연이 걸러져 포집되고, 상기 매연이 걸러진 깨끗한 상태의 물은 매연회수용 여과기(114)를 통과하여 유출관(114b)을 통해 세정식 집진실(103) 내로 유입된다.
이 때, 여과기실(106) 내에는 수위감지계(115)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수위감지계(115)는 본체(101) 내의 유입압 조정실(102), 세정식 집진실(103), 유출수 회수실(104), 유출압 조정실(105) 내의 물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물의 수위에 따라 물을 보충한다.
그리고, 사용이 다 된 매연회수용 여과기(114)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상기 여과기실(106)의 바닥면에 설치된 막음부재(120)를 개방하고 나서 상기 매연회수용 여과기(114)를 빼낸 다음 상기 매연회수용 여과기(114)를 새것으로 교체한 후 다시 매연회수용 여과기(114)를 여과기실(106) 내로 넣은 후 막음부재(120)를 닫는다.
여기서, 상기의 매연제거장치(100)는 디젤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 중에 포함된 매연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디젤 또는 벙커C유 등을 사용하는 박용엔진 및 산업용엔진 등 매연이 배출되는 모든 장치에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디젤 자동차 운행 전 상기 디젤 자동차의 배기가스 배출관 내에 스케일 형태로 축적된 매연을 제거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디젤 자동차 운행 중 매연의 양을 줄이므로 도로 및 도심의 공기를 맑게 하는 등 대기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매연에 의한 토양 및 하천의 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디젤 자동차의 배기가스 배출관 내 축적된 매연을 미리 제거한 상태에서 자동차를 운행시키므로 인하여 상기 디젤 자동차의 배기가스 배출관을 통해 배기가스가 원활하게 배출되어 상기 디젤 자동차의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3)

  1.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는 디젤 자동차의 배기가스 배출관과 연결된 연결관을 통해 배기가스와 매연이 유입되고, 유입되는 배기가스와 매연이 물의 표면과 부딪히면서 와류를 발생시킴과 함께 상기 물에 매연이 흡수되도록 하는 유입압 조정실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 내에는 유입압 조정실에서 매연이 흡착된 상태로 분산되면서 유입되는 물분자를 물의 표면으로 안내하는 안내부재와, 상기 안내부재의 안내를 받아 물의 표면과 부딪히면서 발생되는 와류현상에 의해 분산되는 물분자 내의 매연을 걸러내는 세정용 접촉재가 구비된 세정식 집진실을 형성하며,
    상기 본체 내에는 세정식 집진실에서 유입된 물분자는 걸러내고 공기만 통과시키는 세정수 유출방지용 여과재가 소정위치에 설치된 유출수 회수실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 내에는 유출수 회수실로 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본체를 관통하여 공기 배출관이 설치된 유출압 조정실을 형성하며,
    상기 본체 내에는 유입압 조정실 내와 세정식 집진실 내의 압력차에 의해 상기 유입압 조정실에서 세정식 집진실로 유동하는 물에 녹아 있는 매연을 걸러내어 포집하는 매연회수용 여과기와, 상기 각 실 내의 물 수위를 일정하게 조절하도록 각 실 내의 물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계가 구비된 여과기실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 자동차용 매연제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본체 내의 유입압 조정실, 세정식 집진실, 유출수 회수실, 유출압 조정실, 여과기실은 복수개의 판에 의해 각각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 자동차용 매연제거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본체 내의 유입압 조정실, 세정식 집진실, 유출수 회수실, 유출압 조정실 내에는 일정높이 이상의 물이 담겨져 있고, 상기 각 실로 분리하는 각 판에는 물의 흐름이 자유롭도록 물의 표면보다 낮은 위치에 복수개의 유로구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 자동차용 매연제거장치.
KR1019990043883A 1999-10-11 1999-10-11 디젤 자동차용 매연제거장치 KR200000002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3883A KR20000000295A (ko) 1999-10-11 1999-10-11 디젤 자동차용 매연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3883A KR20000000295A (ko) 1999-10-11 1999-10-11 디젤 자동차용 매연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295A true KR20000000295A (ko) 2000-01-15

Family

ID=19614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3883A KR20000000295A (ko) 1999-10-11 1999-10-11 디젤 자동차용 매연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0295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2912U (ko) * 1976-08-04 1978-02-25
JPS5654211U (ko) * 1979-10-02 1981-05-12
JPS5671911U (ko) * 1979-11-06 1981-06-13
JPH06323132A (ja) * 1993-05-10 1994-11-22 Tatsuno Co Ltd 自動車の排気ガス浄化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2912U (ko) * 1976-08-04 1978-02-25
JPS5654211U (ko) * 1979-10-02 1981-05-12
JPS5671911U (ko) * 1979-11-06 1981-06-13
JPH06323132A (ja) * 1993-05-10 1994-11-22 Tatsuno Co Ltd 自動車の排気ガス浄化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44360B2 (ja) 燃料フィルタ
CN201157746Y (zh) 一种节能型油烟净化装置
KR101569721B1 (ko) 소각로용 미세먼지 저감장치
JP2003508678A (ja) 自動車の内燃機関のための吸込み空気を濾過するためのエアフィルタ
CN208372652U (zh) 一体式油烟净化器
KR20000000295A (ko) 디젤 자동차용 매연제거장치
KR200178332Y1 (ko) 디젤 자동차용 매연제거장치
JPH05245327A (ja) 排気ガス脱硫除塵装置
JP2019183830A (ja) 車両の後尾用空気浄化装置
JP2958317B2 (ja) 濾過装置
KR20010047055A (ko) 디젤 자동차용 매연제거장치
CN211370525U (zh) 尾气净化装置和具有其的机动车
KR102138552B1 (ko) 다목적 공기 오염 방지 및 열 저감 장치
CN2903404Y (zh) 尾气净化装置
KR20190137372A (ko) 배기가스 후처리장치의 세척방법 및 세척장치
CN219848708U (zh) 一种能减少烟气污染的排放管道
KR200492782Y1 (ko) 자동차용 미세먼지 제거장치
KR100458865B1 (ko) 휘발성유기화합물 및 분진제거용 집진장치
CN218795043U (zh) 一种废气回收器
KR200436083Y1 (ko) 디젤자동차용 매연여과장치의 분진 포집장치
CN109763924A (zh) 带有排气装置的过滤器
CN215761756U (zh) 一种用于改善隧道路面抗滑性能的空气净化装置
CN111042902A (zh) 尾气净化装置和具有其的机动车
JP2004218482A (ja) エアクリーナ
CN205400857U (zh) 柴油车缓冲回流式尾气净化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