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6607A - 견직물의 정련처리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견직물의 무늬형성방법 - Google Patents

견직물의 정련처리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견직물의 무늬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6607A
KR19990086607A KR1019980019690A KR19980019690A KR19990086607A KR 19990086607 A KR19990086607 A KR 19990086607A KR 1019980019690 A KR1019980019690 A KR 1019980019690A KR 19980019690 A KR19980019690 A KR 19980019690A KR 19990086607 A KR19990086607 A KR 199900866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k fabric
weight
silk
dyeing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9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59392B1 (ko
Inventor
전유헌
이재덕
Original Assignee
전유헌
정기철
동우섬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유헌, 정기철, 동우섬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유헌
Priority to KR1019980019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9392B1/ko
Publication of KR19990086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6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9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93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LDRY-CLEANING, WASHING OR BLEACHING FIBRES, FILAMENT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MADE-UP FIBROUS GOODS; BLEACHING LEATHER OR FURS
    • D06L1/00Dry-cleaning or washing fibres, filament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made-up fibrous goods
    • D06L1/02Dry-cleaning or washing fibres, filament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made-up fibrous goods using organic solvents
    • D06L1/04Dry-cleaning or washing fibres, filament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made-up fibrous goods using organic solvents combined with specific additiv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CCHEMICAL OR BIOLOGICAL TREATMENT OF NATURAL FILAMENTARY OR FIBROUS MATERIAL TO OBTAIN FILAMENTS OR FIBRES FOR SPINNING; CARBONISING RAGS TO RECOVER ANIMAL FIBRES
    • D01C3/00Treatment of animal material, e.g. chemical scouring of wool
    • D01C3/02De-gumming silk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1/00Treatment of selected parts of textile materials, e.g. partial dyeing
    • D06B11/0056Treatment of selected parts of textile materials, e.g. partial dyeing of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QDECORATING TEXTILES
    • D06Q1/00Decorating textiles
    • D06Q1/06Decorating textiles by local treatment of pile fabrics with chemical mean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11/00Protein-based fibres, e.g. animal fibres
    • D10B2211/01Natural animal fibres, e.g. keratin fibres
    • D10B2211/04Sil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Coloring (AREA)

Abstract

본발명은 견직물의 정련처리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견직물의 무늬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견직물에의 무늬형성을 위한 염색시 견사의 표피부에 형성된 특정 단백질을 선택적으로 분해시키는 작용을 나타내는 정련제를 견직물의 표면에 처리하여 줌으로써 침염시 이종 단백질간의 염색도의 차이에 의하여 원하는 무늬를 형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견직물 양면의 균일한 염색 색상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정련제 20 내지 30중량%와 중탄산나트륨 2 내지 3중량%와 요소 10 내지 20중량%와 호료 10 내지 20중량%와 글리세린 4 내지 6중량%와 계면활성제로써 비누 또는 모노겐의 단독 또는 혼합물 2 내지 4중량%와 물 7 내지 48중량%로 이루어진 정련제 조성물을 30 내지 70℃온도 및 pH 7 내지 9의 조건하에서 견직물에 원하는 무늬로 처리한 다음 건조 및 수세후 염색"시키는 견직물의 무늬형성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견직물의 정련처리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견직물의 무늬형성방법
본발명은 견직물의 정련처리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견직물의 무늬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견사의 표피부에 형성된 특정 단백질을 선택적으로 분해시키는 작용을 나타내는 정련제를 견직물의 표면에 처리하여 줌으로써 침염시 이종 단백질간의 염색도의 차이에 의하여 원하는 무늬를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한 견직물의 정련처리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견직물의 무늬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견직물에 색상을 부여하거나 무늬를 형성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써 종래에는 주로 다양한 염색방법이 적용되었는데, 예를 들어 다색 염색의 경우 날염 또는 실크스크린을 이용한 염색방법을 이용하여 견직물에 다양한 무늬를 부여할 수 있었으며 단색 인쇄의 경우 일반적으로 침염에 의한 염색공정을 수행하여 원하는 색상을 나타내는 견직물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 설명한 종래의 무늬형성방법중 날염에 의한 방법의 경우, 날염호에 함유된 과량의 호료에 의하여 견직물 고유의 부드러운 질감을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날염방법은 견직물의 일면에만 염색이 가능하여 견직물의 염색되지 않은 다른 일면은 조잡한 염색상태를 나타낼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통상적인 실크스크린 다색 염색방법에 의하여 견직물에 다양한 무늬를 형성시키고자 하는 방법은 상기한 날염방법에 비하여 견직물 고유의 질감 저하정도는 다소 미미하지만 이 또한 염색된 견직물의 일면과 염색되지 않은 일면과의 염색도 차이가 심하여 이러한 견직물을 반투명 색조가 요구되는 옷감이나 포장재 또는 장식재로써 적용하고자 하는 경우 한계를 드러내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날염 또는 실크스크린에 의한 염색방법에 의한 무늬형성방법과는 달리 침염에 의한 염색방법은 견직물의 양면에 동일 색상의 염색이 가능한 장점이 있는 반면, 이는 단색 염색에 국한된 것으로 다양한 무늬를 나타낼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발명의 상기한 종래 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견직물에의 무늬형성을 위한 염색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견사의 표피부에 형성된 특정 단백질을 선택적으로 분해시키는 작용을 나타내는 정련제를 견직물의 표면에 처리하여 줌으로써 침염시 이종 단백질간의 염색도의 차이에 의하여 원하는 무늬를 형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견직물 양면의 균일한 염색 색상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한 견직물의 정련처리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견직물의 무늬형성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발명은 정련제 20 내지 30중량%와 중탄산나트륨 2 내지 3중량%와 요소 10 내지 20중량%와 호료 10 내지 20중량%와 글리세린 4 내지 6중량%와 계면활성제로서 비누 또는 모노겐의 단독 또는 혼합물 2 내지 4중량%와 물 7 내지 48중량%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견직물의 정련처리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정련제 20 내지 30중량%와 중탄산나트륨 2 내지 3중량%와 요소 10 내지 20중량%와 호료 10 내지 20중량%와 글리세린 4 내지 6중량%와 계면활성제로써 비누 또는 모노겐의 단독 또는 혼합물 2 내지 4중량%와 물 7 내지 48중량%로 이루어진 정련제 조성물을 30 내지 70℃온도 및 pH 7 내지 9의 조건하에서 견직물에 원하는 무늬로 처리한 다음 건조 및 수세후 염색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견직물의 무늬형성방법을 제공한다.
본발명에서 피염물로써 사용되는 견직물은 견사(絹絲)를 직조하여 제조된 동물성 섬유로써 상기의 견사는 중심부와 표피부로 된 이종 단백질로 구성되는데, 중심부를 형성하는 단백질 성분은 섬유성 경단백질인 피브로인(fibroin)이며, 표피부는 아교질 성분과 유사한 세리신(sericin) 성분으로 된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언급된 본발명의 정련처리제 조성물은 상기한 견사의 표피부에 구성된 세리신을 선택적으로 분해시키는 작용을 나타내며, 본발명의 정련처리제를 견직물에 원하는 무늬로 처리하여 줄 경우 정련처리된 부분에 직조된 견사는 세리신 성분이 분해된 상태로 피브로인 성분만이 남게 된다.
이러한 세리신과 피브로인은 염색성상에 있어서 커다란 차이를 나타내므로 침염시에는 견직물 표면에 정련처리된 무늬부분과 정련처리되지 않은 기타부분과의 염색도 차이에 의하여 원하는 무늬를 형성시킬 수 있는 것이며, 견직물의 양면에 색상차이를 나타내지 않는 피염물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세리신 분해작용은 상기 정련처리제 조성물에 함유된 정련제 성분에 의한 것인데, 본발명에서 사용되는 정련제 성분은 세린형 단백질분해효소(serin-type protease)로서 견사의 표피부에 구성된 세리신 성분을 선택적으로 분해하는 작용을 나타낼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단백질 분해효소는 30 내지 70℃의 온도조건 및 pH 7 내지 9의 알카리성 분위기하에서 우수한 분해성을 나타내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정련제 처리 조성물에는 pH조절제로써 중탄산나트륨을 첨가하게 되며, 그 첨가량이 2중량%미만일 경우에는 바람직한 pH조절 효과를 얻기 어려우며, 3중량%이상으로 첨가될 경우에는 후처리 과정인 침염과정에서 잔존 알카리염성분에 의하여 염색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정련제조성물의 점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상기 조성물을 견직물에 처리하는 경우 번짐현상이 발생하여 원하는 무늬의 원활한 형성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합성호료를 첨가하여 점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줌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 합성호료의 첨가량이 10중량%이상으로 하되 20중량%를 초과시킬 필요는 없다.
이와 함께 상기 정련제조성물에 첨가되는 유기화합물과 무기화합물의 상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본발명에서는 계면활성제로써 비누 또는 모노겐의 단독 또는 혼합물을 상기한 바와 같이 2중량%이상 내지 4 중량%이내로 첨가한다.
이러한 계면활성제의 첨가로 인하여 정련제 조성물의 교반시 거품이 발생하게 되는데 본발명에서는 소포제로써 요소를 10 내지 20중량%로 첨가하여 교반시 액체의 표면장력을 낮추어 줌으로써 거품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비율의 각 첨가물질과 함께 최종적으로 물 7 내지 48중량%를 첨가하여 본발명의 정련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이며, 이때 수분의 발산을 방지함으로써 저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본발명에서는 습윤제로써 글리세린을 첨가하게 되는데 바람직한 습윤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4중량%이상으로 첨가하되 6중량%이상 첨가할 필요는 없다.
이상 설명한 방법으로 제조된 본발명의 정련제 조성물을 견직물에 처리시에는 작업자의 의도에 따라 브러쉬를 이용한 수작업 또는 공지된 바의 실크스크린법 등을 이용하여 견직물에 원하는 무늬의 형상에 따라 처리한 후 수세 및 건조한 다음 발현하고 하는 색상의 염욕에 침지시키게 되면 정련제로 처리된 세리신과 처리되지 않은 피브로인의 염색성상의 차이에 따라 견직물의 표면에 소기한 무늬를 형성시킬 수 있는 것이며, 이렇게 염색된 견직물은 양표면의 염색도 차이가 없이 동일한 색상으로 염색처리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방법에 의하여 견직물의 표면에 정련제 조성물의 처리하고자 하는 경우 본발명의 조성물을 견직물에 직접 처리할 수도 있으나, 견직물 자체의 계면활성도를 향상시키고 알카리 분위기를 미리 조성하여 정련제 처리에 의한 세리신 분해 효과를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정련제 조성물의 처리전에 견직물을 모노겐 0.1 내지 0.2%와 중탄산나트륨 2.5 내지 3.5중량% 및 비누 9 내지 11중량%가 용해된 수용액에 약 5 내지 30분간 침지시킨 후 건조 및 수세하는 방법으로 전처리하여 주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하 본발명을 하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정련제 조성물 제조 실시예1>
노보노디스크(Novor Nordisk)사에서 제조된 디거밍(degumming)용 단백질(세리신)분해효소(상품명:알카라아제) 3kg과 중탄산나트륨 200g과 요소 1kg과 합성호료 1kg과 글리세린 500g과 비누 200g과 모노겐 200g 및 물 4.8리터를 혼합한 후 충분히 교반하여 pH가 약 8인 균질한 상태의 정련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정련제 조성물 제조 실시예2>
노보노디스크(Novor Nordisk)사에서 제조된 디거밍(degumming)용 단백질(세리신)분해효소(상품명:알카라아제) 2kg과 중탄산나트륨 200g과 요소 1kg과 합성호료 1kg과 글리세린 500g과 비누 300g 및 물 4.8리터를 혼합한 후 충분히 교반하여 pH가 약 8.2인 균질한 상태의 정련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정련제 조성물 제조 실시예3>
노보노디스크(Novor Nordisk)사에서 제조된 디거밍(degumming)용 단백질(세리신)분해효소(상품명:알카라아제) 4kg과 중탄산나트륨 250g과 요소 1kg과 합성호료 1kg과 글리세린 600g과 모노겐 300g 및 물 4.8리터를 혼합한 후 충분히 교반하여 pH가 약 8.9인 균질한 상태의 정련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견직물 무늬형성 실시예1>
가로, 세로의 길이가 각각 50cm로 제단된 견직물에 기하학적 무늬로 현상된 실크스크린 프레임을 부착한 상태에서 상기 정련제 제조 실시예1로부터 제조된 정련제 조성물을 약 50±2℃로 승온시킨 상태로 처리한 후 약 30분동안 유지시켰다.
계속하여 상기 처리된 견직물을 건조시킨 후 약 45℃의 물로 수세하고 건조한 다음 녹색의 반응성 염료가 분산된 염색조에서 침염시켰다.
<견직물 무늬형성 실시예2>
상기 견직물의 무늬형성 실시예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정련제 조성물로써 상기 정련제 조성물 제조 실시예2로부터 사용된 조성물을 사용하였다.
<견직물 무늬형성 실시예3>
상기 견직물의 무늬형성 실시예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정련제 조성물로써 상기 정련제 조성물 제조 실시예3으로부터 사용된 조성물을 사용하였다.
<견직물 무늬형성 실시예4>
상기 견직물의 무늬형성 실시예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견직물을 모노겐0.1%와 중탄산나트륨 3% 및 비누10%로된 수용액에 약 30분 동안 침지시킨 후 수세 및 건조시켜 사용하였다.
<견직물 무늬형성 실시예5>
상기 견직물의 무늬형성 실시예2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견직물을 모노겐0.1%와 중탄산나트륨 3% 및 비누10%로 된 수용액에 약 30분 동안 침지시킨 후 수세 및 건조시켜 사용하였다.
<견직물 무늬형성 실시예6>
상기 견직물의 무늬형성 실시예3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견직물을 모노겐0.1%와 중탄산나트륨 3% 및 비누10%로 된 수용액에 약 30분 동안 침지시킨 후 수세 및 건조시켜 사용하였다.
상기 견직물 무늬형성 실시예1 내지 6으로부터 제조된 견직물을 관찰한 결과, 본발명의 정련제로 처리한 무늬부분은 연두색으로 염색되었으며, 처리되지 않은 이외의 부분은 염료의 색과 동일한 짙은 녹색으로 염색되어 미려한 무늬가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무늬의 경계면에 일체의 번짐현상이 발생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종래의 날염 또는 실크스크린 염색방법에서 발견할 수 있는 견직물의 양면의 색상 차이를 전혀 발견할 수 없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발명은 견직물에의 무늬형성을 위한 염색시 견사의 표피부에 형성된 특정 단백질을 선택적으로 분해시키는 작용을 나타내는 정련제를 견직물의 표면에 처리하여 주는 신규한 무늬형성방법으로써, 침염시 이종 단백질간의 염색도의 차이에 의하여 원하는 무늬를 형성시킬 수 있어 견직물 양면의 균일한 염색 색상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한 견직물의 정련처리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견직물의 무늬형성방법을 제공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정련제 20 내지 30중량%와 중탄산나트륨 2 내지 3중량%와 요소 10 내지 20중량%와 호료 10 내지 20중량%와 글리세린 4 내지 6중량%와 계면활성제로서 비누 또는 모노겐의 단독 또는 혼합물 2 내지 4중량%와 물 7 내지 48중량%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견직물의 정련처리제 조성물.
  2. 정련제 20 내지 30중량%와 중탄산나트륨 2 내지 3중량%와 요소 10 내지 20중량%와 호료 10 내지 20중량%와 글리세린 4 내지 6중량%와 계면활성제로써 비누 또는 모노겐의 단독 또는 혼합물 2 내지 4중량%와 물 7 내지 48중량%로 이루어진 정련제 조성물을 30 내지 70℃온도 및 pH 7 내지 9의 조건하에서 견직물에 원하는 무늬로 처리한 다음 건조 및 수세 후 염색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견직물의 무늬형성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견직물을 모노겐 0.1 내지 0.2%와 중탄산나트륨 2.5 내지 3.5중량% 및 비누 9 내지 11중량%가 용해된 수용액에 5 내지 30분 동안 침지시킨 후 건조 수세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견직물의 무늬형성방법.
KR1019980019690A 1998-05-29 1998-05-29 견직물의 정련처리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견직물의 무늬형성방법 KR100259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9690A KR100259392B1 (ko) 1998-05-29 1998-05-29 견직물의 정련처리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견직물의 무늬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9690A KR100259392B1 (ko) 1998-05-29 1998-05-29 견직물의 정련처리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견직물의 무늬형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6607A true KR19990086607A (ko) 1999-12-15
KR100259392B1 KR100259392B1 (ko) 2000-06-15

Family

ID=19537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9690A KR100259392B1 (ko) 1998-05-29 1998-05-29 견직물의 정련처리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견직물의 무늬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93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2903A (ko) * 2002-09-10 2004-03-18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견섬유의 정련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7654B1 (ko) * 2000-07-18 2003-09-13 박건용 실크직물의 새로운 정련과 발염에 의한 정련날염,정련발염 및 정련특수염색 기술
JP5032695B1 (ja) 2011-09-22 2012-09-26 大伍貿易株式会社 水の蒸気圧低下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2903A (ko) * 2002-09-10 2004-03-18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견섬유의 정련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59392B1 (ko) 200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53262B (zh) 一种羊毛织物的酶处理方法和羊毛织物喷墨印花的方法
US20020066145A1 (en) Method for creating a fabric with a colored pattern
KR100259392B1 (ko) 견직물의 정련처리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견직물의 무늬형성방법
KR910004555B1 (ko) 데님(denim)용 면사의 염색용 염료 조성물
KR100306775B1 (ko) 황토염색방법
US4441883A (en) Dyeing method for control of multicolored pattern nylon carpet
KR100469585B1 (ko) 스팽글 원단의 발염방법
US7931699B2 (en) Compositions for spray dyeing cellulosic fabrics
JPH0737713B2 (ja) セルロ−ス系繊維布帛の染色方法
DE1032211B (de) Verfahren zum Faerben von Polyamidfasermaterial
KR100776603B1 (ko) 폴리아마이드 인공피혁의 나염방법
JP2515361B2 (ja) デニム用綿糸の染色用染料、これを用いる染色法、ならびに染色物
JP2575791B2 (ja) デニム用綿糸の染色用染料、これを用いる染色法、ならびに染色物
KR910006135B1 (ko) 데님용 면사의 염색용 염료조성물을 사용하는 염색방법 및 염색물
KR920009265B1 (ko) 날염된 투습방수포지의 제조방법
EP1094148A1 (en) Method for patterning a textile product
KR840006034A (ko) 직물의 날염 방법
RU2103432C1 (ru) Способ промывки целлюлозосодержащих текстильных материалов после крашения или печатания
KR20000002874A (ko) 직물 또는 의류의 무늬 형성 방법
JP2005273108A (ja) セルロ−ス系繊維布帛の捺染法
SU1305221A1 (ru) Способ крашени целлюлозосодержащих текстильных материалов
JP2000265363A (ja) 衣類用脱色剤及び衣類の脱色方法
DE2623252A1 (de) Reaktivfarbstoffe
KR960013585B1 (ko) 폴리아마이드,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염색 방법
CN116463869A (zh) 免上浆和蒸化水洗的纯棉活性数码印花面料及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