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6514A - 에스트로겐 유도체 및 그의 염을 함유하는 모발생장 촉진조성물 - Google Patents

에스트로겐 유도체 및 그의 염을 함유하는 모발생장 촉진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6514A
KR19990086514A KR1019980019524A KR19980019524A KR19990086514A KR 19990086514 A KR19990086514 A KR 19990086514A KR 1019980019524 A KR1019980019524 A KR 1019980019524A KR 19980019524 A KR19980019524 A KR 19980019524A KR 19990086514 A KR19990086514 A KR 19990086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estratriene
added
hair growth
sal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9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4631B1 (ko
Inventor
이희종
김지영
노민수
주영협
Original Assignee
서경배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경배, 주식회사 태평양 filed Critical 서경배
Priority to KR1019980019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4631B1/ko
Publication of KR19990086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6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4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46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JSTEROIDS
    • C07J1/00Normal steroids containing carbon, hydrogen, halogen or oxygen, not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arbon atom, e.g. estrane, androstane
    • C07J1/0051Estrane derivatives
    • C07J1/0081Substituted in position 17 alfa and 17 be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일반식 (Ⅰ)으로 표시되는 에스트로겐 유도체 및 그의 염을 함유하는 모발 생장 촉진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에스트로겐 유도체 및 그의 염이 표적장기(target tissue)에서는 활성을 띄지만, 대사과정에서는 불활성을 띄는 앤티드러그이므로, 생체에 안전하면서 탈모방지와 예방 및 모발 생장 촉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
상기식 중,
X는 수소, 할로겐, CH2COOR4, CH2CONHR4, COOR4, CONHR4이고,
식 중, R4는 수소, 탄소수 6개 이하의 알킬, 페닐, 벤질기이다.
R1은 수소, 탄소수 6개 이하의 알킬, 탄소수 6개 이하의 아실, 벤질옥실, 테트라히드로피라닐(tetrahydropyranyl)기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양모료, 헤어토닉, 헤어 로숀, 헤어크림, 샴푸와 린스 등의 두발용 화장품에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스트로겐 유도체 및 그의 염을 함유하는 모발 생장 촉진 조성물
본 발명은 모발 생장 촉진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표적장기(target tissue)에서는 활성을 띄지만, 대사과정에서는 불활성을 띄는 앤티드러그(antedrug)로 작용하는, 하기 일반식 (Ⅰ)으로 표시되는 에스트로겐 유도체 및 그의 염을 함유하는 모발 생장 촉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I)
상기식 중,
X는 수소, 할로겐, CH2COOR4, CH2CONHR4, COOR4, CONHR4이고,
식 중, R4는 수소, 탄소수 6개 이하의 알킬, 페닐, 벤질기이다.
R1은 수소, 탄소수 6개 이하의 알킬, 탄소수 6개 이하의 아실, 벤질옥실, 테트라히드로피라닐(tetrahydropyranyl)기이다.
의학과 과학의 발달로 말미암아 노령화 사회로 변화하면서 노화에 대한 관심이 커지게 되었고, 노화의 일종인 탈모증자의 수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탈모증에 대한 관심과 고민은 장년층은 물론 청년층과 여성층에까지 확대되고 있으며, 치료를 원하는 탈모증자들에게 있어 효능과 안전성 면에서 더욱 우수한 새로운 육모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탈모 현상을 규명하고 치료하고자 국내외적으로 수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으나, 아직 그 탈모의 원인조차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은 상태이다. 다만, 호르몬 불균형설, 정신적 스트레스설, 대기 오염설, 피지루설, 영양불균형설, 혈액순환억제설 등 여러 가지 설이 있고, 이러한 가설들을 토대로 늘어나는 탈모의 원인을 완화하거나 치유하기 위하여 유효한 물질을 얻는 데에 많은 노력이 기울여지고 있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는 에스트로겐, 미녹시딜, 트리코사카라이드, 펜토데카논산, 글리세라이드, 5-α 리덕테이즈 억제제 등이 있으나, 아직 뚜렷한 치유물질은 없는 상태이다.
더구나, 상기한 물질들중 에스트로겐은 효과는 좋으나, 전신부작용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어 사용에 제한이 있어 왔으므로, 이러한 부작용을 막기 위하여 많은 노력들이 있었다. 특히, 1980년대 이후부터 스테로이드에 있어서 히드록시기를 차폐함으로써 지용성을 증가시키거나, 쉽게 대사되는 관능기(functional group)를 도입시켜 국소적으로만 작용하도록 하여 전신 부작용을 줄이고자 하였다.
이러한 예로서, Liebigs Ann. Chem.(1971, 752, pp68-77), J. Med. Chem.(1985, 28, 6, 752-761), Steroids(1974, 24, 5, 737-8), Steroid(1985, 46, 4-5, 889-902), EP 375,347 등에 소개된 하기 화학식 3의 화합물들이 있다.
그러나, 상기 화합물들은 단지 에스트로겐에 에스테르기를 도입한 유도체일 뿐, 이들 화합들이 표적장기에서 활성을 나타낸 뒤 전신 순환계로 들어가기 전에 불활성대사체로 전환될 수 있는 앤티드러그로서 이용될 수 있는지에 관해서는 논의되어진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표적장기에서 활성을 나타낸 뒤 전신순환계로 들어가기 전에 불활성인 대사체로 전환하는 앤티드러그(antedrug)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아 인체에 안전하면서, 우수한 모발 생장효과를 갖는 물질을 찾고자 연구한 결과, 일반식 (Ⅰ)의 에스트로겐 유도체 및 그의 염이 앤티드러그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 일반식 (Ⅰ)으로 표시되는 에스트로겐 유도체 및 그의 염을 함유하는 모발 생장 촉진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I)
상기식 중,
X는 수소, 할로겐, CH2COOR4, CH2CONHR4, COOR4, CONHR4이고,
식 중, R4는 수소, 탄소수 6개 이하의 알킬, 페닐, 벤질기이다.
R1은 수소, 탄소수 6개 이하의 알킬, 탄소수 6개 이하의 아실, 벤질옥실, 테트라히드로피라닐(tetrahydropyranyl)기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앤티드러그(antedrug)의 개념은 1982년 science에서 Henry J. Lee에 의해 glucocorticoid carboxylated 유도체의 약물학적 프로필에서 소개된 것으로, 프로드러그(Prodrug)가 불활성 화합물이지만 생체내(in vivo)에서 예상되는 대사과정을 통해 활성화되어 표적장기에서 활성이 있는 약물이 되는 것과는 달리 앤티드러그는 표적장기에서는 활성 화합물이지만 예상되는 생체대사반응(biotransformation)을 거쳐 불활성 대사체로 되어 전신순환계로 들어가게 되는 약물을 말하는 것으로, 본 발명자들은 일반식 (Ⅰ)으로 표시되는 에스트로겐 유도체 및 그의 염이 앤티드러그이므로, 전신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모발 생장 촉진을 목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에스트로겐 유도체들은 약물의 대사과정을 통한 불화성화가 기대되도록 설계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다.
예를 들면, 17β-히드록시-3-메톡시-1,3,5(10)-에스트라트리엔-17α-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17β-hydroxy-3-methoxy-1,3,5(10)-estratriene-17α-carboxylic acid methyl ester)는 에스트론(esteron)을 에탄올에 녹인 후, 요오드메탄을 부가하여 에스트론 3-메틸 에테르를 제조한 후, 에스트론의 17번 위치를 에스테르로 전환시키기 위해 시아노히드린으로 전환시킨 다음, 산촉매에서 메타놀리시스시키거나 염기촉매하에 가수분해하여 시안그룹을 에스테르로 전환시켜서 제조한다.
또, 3,17-디히드록시-1,3,5,(10)-에스트리엔-17-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는 에스트론의 페놀성 히드록시기를 메톡시메틸에테르로하고, 17번 위치에 메톡시메틸에테르기와 시안화기를 도입한 후, 수산화칼륨/에탄올 조건하에서 반응시키거나 수산화나트륨/에틸렌글리콜하에서 반응시켜서 제조한다.
또, 에틸 3,17β-디히드록시-1,3,5,(10)-에스트라트리엔-17α-아세테이트는 벤질에테르로 페놀성 히드록시기를 보호한 뒤 레포마스키 반응(Reformasky reaction)을 시행한 후, 팔라듐으로 보호기를 제거하여 제조한다.
한편, 상기한 방법에 의해 제공되는 에스트로겐 유도체는 이를 중화하여 염의 형태로도 사용할 수 있는데, 구체적인 예로는 나트륨, 칼륨 등의 알칼리금속류염; 칼슘, 마그네슘 등의 알칼리토금속류염;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아민 또는 암모니아에 의한 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 생장 촉진 조성물에서, 상기한 에스트로겐 유도체 및 그의 염은 유효성분으로 함유될 수 있는데, 그 양은 조성물 총 중량에 0.01∼10중량%, 바람직하게는 0.1∼5중량%의 양으로 함유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모발 생장 촉진 조성물은 그 작용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종래부터 사용되어오던 양모제 또는 육모제를 함께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기제로서는, 예를들면, 정제수, 에탄올, 프로판올, 글리세린, 팔미틴산, 리놀렌산, 지방산 글리세라미드, 올리브유,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계면활성제, 유화제, 가용화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 생장 촉진 조성물은 통상의 헤어토닉, 헤어크림, 헤어로션, 샴푸 등의 제형으로 제제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제조예, 시험예 및 제형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17β-히드록시-3-메톡시-1,3,5(10)-에스트라트리엔-17α-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공정 1]
1) 에스트론 3-메틸 에테르(2)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에스트론 (1) (10.0g, 10mmol)을 넣은 후, 에탄올(400㎖)을 가하고 40℃에서 수산화칼륨(8.5g, 120mmol)의 에탄올(50㎖)용액을 적가하며 교반시켰다. 이 용액에 요오드메탄(17.0g, 120mmol)을 적가하고, TLC상에서 출발물질이 사라지는 것을 확인한 후 감압 증류기를 이용하여 100㎖까지 농축하고 증류수(500㎖)에 이 용액을 가하여 결정을 석출시켰다. 고체를 감압여과하고, 증류수(100㎖)로 씻은 후 진공건조하여 에스트론 3-메틸 에테르(2) 10.27g을 얻었다(90%).
2) 17α-시아노-3-메톡시-17β-히드록시-1,3,5(10)-에스트라트리엔(3)
상기 1)에서 제조한 에스트론 3-메틸 에테르(2) (1.0g, 3.5mmol)을 메탄올(80㎖)에 녹이고, 시안화칼륨(7.03g, 108mmol)을 가한 후 교반하였다. 이 용액의 온도를 10℃로 유지하며 초산(7.5㎖)을 적가한 후,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서서히 온도를 상온으로 올려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 용액에 증류수(400㎖)를 가하여 고체를 생성시킨 후 감압여과하여 흰색 고체상의 17α-시아노-3-메톡시-17β-히드록시-1,3,5(10)-에스트라트리엔(3) 1g을 얻었다(92%)
3)17α-카르복시아미도-3-메톡시-17β-히드록시-1,3,5(10)-에스트라트리엔 (4)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상기 2)에서 제조한 17α-시아노-3-메톡시-17β-히드록시-1,3,5(10)-에스트라트리엔(3) (200mg, 0.64mmol)과 무수메탄올 150㎖를 넣은 후, 무수 염산가스를 포화가 될 때까지 부가하여 거품을 발생시킨 후 0∼5℃에서 1일간 보관하였다. 얼음물에서 6% 염산용액 100㎖를 가하여 1시간 30분 동안 교반한 후, 용매는 감압농축하여 제거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관크로마토그래피(전개액:에틸아세테이트)를 실시하여 희미한 노란색 오일상의 17α-카르복시아미도-3-메톡시-17β-히드록시-1,3,5(10)-에스트라트리엔(4) 180mg을 얻었다(85%).
4) 17β-히드록시-3-메톡시-1,3,5(10)-에스트라트리엔-17α-카르복실산메틸 에스테르(5)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상기 3)에서 제조한 17α-카르복시아미도-3-메톡시-17β-히드록시-1,3,5(10)-에스트라트리엔(4) (170mg, 0.516mmol), 암버리스트(Amberlyst) IR 120 수지(2g) 및 메탄올(50㎖)를 넣고, 10일 동안 환류하였다. 수지를 제거하고 농축한 후 관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 : 노말핵산 = 1 : 2)를 실시하여 고체상의 표제화합물 36㎎을 얻었다(20%).
1H-NMR (CDCl3, 200MHz) δ 0.95(s, 3H), 0.73∼2.36(m, 13H), 2.83∼2.89 (m, 2H), 3.09(s, 1H), 3.78(s, 3H), 3.82(s, 3H), 6.63∼6.73(m, 2H), 7.15∼7.19 (m, 1H)
[공정 2]
1) 17α-시아노-3-메톡시-17β-메톡시메톡시-1,3,5(10)-에스트라트리엔(6)
상기 공정 1의 2)에서 제조한 17α-시아노-3-메톡시-17β-히드록시-1,3,5(10)-에스트라트리엔(3) (0.81g, 2.6mmol)을 클로로포름(20㎖)에 녹이고 메틸알데히드(13.07g,172mmol)를 가하고 교반하였다. 이 용액에 오산화인(7.7g, 54.2mmol)을 서서히 가하며 격렬히 교반하였다. 10분 후 냉각된 탄산나트륨 포화수용액(100㎖)에 반응용액을 섞어 소광한 후, 메틸렌클로라이드(40㎖×2)로 추출하여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방치하고 감압농축하였다. 이 혼합물을 관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액체상의 17α-시아노-3-메톡시-17β-메톡시메톡시-1,3,5 (10)-에스트라트리엔(6) 0.65g을 얻었다(70%).
2) 17β-메톡시메톡시-3-메톡시-1,3,5(10)-에스트라트리엔-17α-카르복실산(7)
상기 1)에서 제조한 17α-시아노-3-메톡시-17β-메톡시메톡시-1,3,5(10)-에스트라트리엔(6)(1.40g, 3.94mmol)을 에틸렌글리콜(30㎖)에 녹이고, 이 용액에 수산화나트륨(4.87g, 121.8mmol)을 가한 후, 170℃에서 5시간 동안 가온 환류하였다. TLC 상에서 출발물질이 사라진 후, 상온으로 온도를 낮추고 증류수(100㎖)를 가하였다. 이 용액에 진한염산을 가하여 pH를 1.5로 맞춘 후, 메틸렌클로라이드(100㎖×2)로 추출하고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감압농축하여 17β-메톡시메톡시-3-메톡시-1,3,5(10)-에스트라트리엔-17α-카르복실산(7) 1.12g을 얻었다(68%).
3) 17β-메톡시메톡시-3-메톡시-1,3,5(10)-에스트라트리엔-17α-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8)
상기 2에서 제조한 17β-메톡시메톡시-3-메톡시-1,3,5(10)-에스트라트리엔-17α-카르복실산(7) (0.5g,1.34mmol)을 아세토니트릴(2㎖)에 녹이고, 1,8-디아자-비시클로-[5,4,0]-운데-7-센(1,8-diaza-bicyclo-[5,4,0]-undec-7-ene(DBU); 0.2g, 1.34 mmol)를 가하며 교반하였다. 이 용액에 요오드메탄(0.21g, 1.47mmol)을 가하고, 상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한 후, 증류수(2㎖)를 가하여 희석시키고 에테르(4㎖×3)로 추출하여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이 용액을 감압농축한 후 관크로마토그래피(노말핵산:에틸아세테이트 = 5:1)로 분리하여 액체상의 17β-메톡시메톡시-3-메톡시-1,3,5(10)-에스트라트리엔-17α-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8) 0.33g을 얻었다(64%).
4) 17β-히드록시-3-메톡시-1,3,5(10)-에스트라트리엔-17α-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5)
상기 3)에서 제조한 17β-메톡시메톡시-3-메톡시-1,3,5(10)-에스트라트리엔-17α-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8) (0.125g, 0.32mmol)를 테트라히드로퓨란(3㎖)에 녹인 후, 6N 염산(1㎖)을 가하고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메틸렌클로라이드(10㎖)와 증류수(10㎖)로 희석한 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용액(50㎖)으로 씻고, 유기층은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감압농축하여 17β-히드록시-3-메톡시-1,3,5(10)-에스트라트리엔-17α-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5) 0.084g을 얻었다(76%).
1H NMR(CDCl3, 200MHz) δ 0.95(s, 3H), 1.20∼2.50(m, 13H), 2.80∼2.93(m, 2H), 3.10(s, 1H), 3.78(s, 3H), 3.83(s, 3H), 6.63∼7.20(m, 3H)
제조예 2. 3,17-디히드록시-1,3,5(10)-에스트리엔-17-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
1)17α-시아노-3,17β-디(메톡시메톡시)-1,3,5(10)-에스트라트리엔(9)
에탄올(800㎖)에 에스트론(1) (8.88g,32.8mmol)과 시안화칼륨(65.7g, 0.93 mol)을 가한 후, 반응용기의 온도를 10℃로 유지하면서 초산(70㎖)을 적가하였다. 적가가 끝난 후, 10℃에서 1시간, 상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증류수(800㎖)를 가하여 생성되는 결정을 감압여과하고 건조하였다. 이 혼합물을 클로로포름(200㎖)에 녹이고, 메틸알데히드(200㎖)를 가한 후 격렬히 교반하고, 오산화인(34g)을 서서히 첨가하고 10분 동안 반응시켰다. 이 용액을 포화탄산나트륨수용액(200㎖)에 섞은 후, 메틸렌클로라이드(300㎖x2)로 추출하고 유기층은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여 감압농축하였다. 관크로마토그래피(노말핵산 : 메틸렌클로라이드 = 1 : 5)로 분리하여 무색의 액체 17α-시아노-3,17β-디(메톡시메톡시)-1,3,5(10)-에스트라트리엔(9) 7.01g을 얻었다(56%).
2) 3,17β-디(메톡시메톡시)-1,3,5(10)-에스트라트리엔-17-카르복실산(12)
상기 1)에서 제조한 17α-시아노-3,17β-디(메톡시메톡시)-1,3,5(10)-에스트라트리엔(9) (2.1g, 5.45 mmol)과 수산화나트륨(6.72g,168 mmoL)을 에틸렌글리콜(40㎖)에 녹인 후, 170℃에서 5시간 동안 가온 환류하였다. 상온으로 온도를 낮추고 증류수(150㎖)로 희석한 후, 1N의 염산을 가하여 pH를 1.5로 맞추고, 메틸렌클로라이드 (50㎖×2)로 추출하였다. 건조한 후, 감압농축하여 3,17β-디(메톡시메톡시)-1,3,5(10)-에스트라트리엔-17-카르복실산(12) 1.29g을 얻었다(58%).
3) 3,17β-디(메톡시메톡시)-1,3,5(10)-에스트라트리엔-17α-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13)
상기 2)에서 제조한 3,17β-디(메톡시메톡시)-1,3,5(10)-에스트라트리엔-17-카르복실산(12)(0.5g, 1.24mmoL)을 아세토니트릴(3㎖)에 녹이고, DBU(0.19g,1.36mmol)를 가하고 10분간 교반하였다. 이 혼합물에 요오드메탄(0.19g,1.36mmol)을 가하고 상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용액을 증류수(10㎖)로 희석하고, 에테르로 추출하여 농축한 후, 관크로마토그래피(노말핵산 : 에틸아세테이트 = 5 : 1)로 분리하여 무색 액체상의 3,17β-디(메톡시메톡시)-1,3,5(10)-에스트라트리엔-17α-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13) 0.41g을 얻었다 (79%).
4) 3,17β-디히드록시-1,3,5(10)-에스트라트리엔-17α-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11)
상기 3)에서 제조한 3,17β-디(메톡시메톡시)-1,3,5(10)-에스트라트리엔-17α-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13)(0.087g, 0.206 mmoL)를 테트라히드로퓨란(3㎖)에 녹이고, 증류수(1㎖)와 진한염산(1㎖)을 가한 후, 상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 용액에 증류수(3㎖)를 가하고, 메틸렌클로라이드(5㎖)로 추출한 후, 유기층은 포화탄산수소나트륨용액으로 씻어주었다. 유기층을 건조하여 감압농축하여 3,17β-디히드록시-1,3,5(10)-에스트라트리엔-17α-카르복실산 메틸 에스테르(11) 0.047g을 얻었다(68%).
1H NMR(CDCl3, 200MHz) δ 0.95(s, 3H), 1.20∼2.45(m, 13H), 2.78∼2.88(m, 2H), 3.15(s, 1H), 3.83 (s, 3H), 5.57(brs, 1H), 6.55∼7.28(m, 3H)
제조예 3. 에틸 3,17β-디히드록시-1,3,5(10)-에스트라트리엔-17α-아세테이트(16)
1) 에스트론 3-벤질 에테르(14)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에스트로겐(1)(5g, 18.5mmol)과 에탄올(100㎖)을 넣고 교반하면서 에탄올(100㎖)에 녹아있는 수산화칼륨(18.3g)을 가하였다. 여기에 벤질브로마이드(33㎖)를 가한 후, 환류시켰다. 밤새 교반한 후, 감압증류하여 에탄올을 제거하고 물을 가하여 고체를 생성시켰다. 걸러낸 고체를 아세톤을 사용하여 재결정하여 흰 고체상의 에스트론 3-벤질 에테르(14) 5.3g을 얻었다(80%).
2) 에틸 3-벤질옥시-17β-히드록시-1,3,5(10)-에스트라트리엔-17α-아세테이트(15)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상기 1)에서 제조한 에스트론 3-벤질 에테르(14) (1.02g, 2.83 mmol), 아연(1.5g), 톨루엔(5㎖) 및 벤젠 (5㎖)을 넣고, 환류하면서 벤젠(10㎖)에 녹아있는 에틸브로모아세테이트(1.5㎖)를 5㎖ 적가한 후, 2시간 더 환류하였다. 10% 황산 20㎖를 넣고,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탄산 수소나트륨과 물로 세척한 뒤, 소금물,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농축하였다. 관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 : 노말황산 = 1 : 4)로 분리하여 희미한 노란색 오일상의 에틸 3-벤질옥시-17β-히드록시-1,3,5(10)-에스트라트리엔-17α-아세테이트(15) 932mg을 얻었다(73.4%).
4) 에틸 3,17β-디히드록시-1,3,5(10)-에스트라트리엔-17α-아세테이트(16)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상기 3)에서 제조한 에틸 3-벤질옥시-17β-히드록시-1,3,5(10)-에스트라트리엔-17α-아세테이트(15)(600mg, 1.34mmol), 10% Pd/C, 에틸아세테이트(10㎖)를 넣고, Parr reactor를 사용하여 30psi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고체를 걸러내고 농축한 후, 관크로마토그래피(에틸아세테이트 : 노말핵산 = 1 : 4)로 분리하여 흰 고체상의 에틸 3,17β-디히드록시-1,3,5(10)-에스트라트리엔-17α-아세테이트(16) 525mg을 얻었다(quant).
1H-NMR (CDCl3, 200MHz) δ 0.95(s, 3H), 1.32(t, 3H, J=7Hz), 1.14∼2.65 (m, 15H), 2.81∼2.86(m, 2H), 4.12∼4.38(m, 2H), 4.38(s, 1H), 4.64(s, 1H), 6.59∼6.67(m, 2H), 7.14∼7.18(m, 1H)
제조예 4. 3,17β-디히드록시-1,3,5(10)-에스트라트리엔-17α-아세트산(17)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상기 제조예 3의 4)에서 제조한 에틸 3,17β-디히드록시-1,3,5(10)-에스트라트리엔-17α-아세테이트 (16) (117mg, 0.326mmol), 수산화 나트륨(200mg), 에탄올 (10㎖) 및 물 (5㎖)을 넣고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7% 염산용액으로 pH 1이 될 때까지 산성화한 다음, 에테르로 추출하여 10% 탄산수소나트륨으로 세척하고, 소금물,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농축한 다음 관크로마토그래피(벤젠 : 테트라하이드로퓨란 : 포름산 = 100 : 20 : 1)로 분리하여 흰 고체상의 3,17β-디히드록시-1,3,5(10)-에스트라트리엔-17α-아세트산(17) 81mg을 얻었다(76%).
1H-NMR (CDCl3, 200MHZ) δ 1.32(t, 3H, J=7Hz), 1.14∼2.65(m, 15H), 4.12∼4.38(m, 2H), 4.38(s, 1H), 4.64(s, 1H), 6.59∼6.67(m, 2H), 7.14∼7.18(m, 1H)
[시험예 1] 에스트로겐 수용체 결합 실험
에스트로겐 수용체 분획을 제조하기 위하여 랫트의 자궁 조직을 완충액상에서 균질화하고 100,000×g에서 원심 분리하여 세포 상청액을 제조하였다. 이 상청액을 수용체 결합실험에 사용하였다. 일정량의 세포 상청액과 적정 농도의 [3H]-에스트라디올(NEN, USA) 및 시료를 4℃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결합형과 비결합형의 에스트로겐을 분리하기 위하여 Dextran-Coated-Charcoal (DCC) 원심 분리법을 이용하였다. DCC조작 후의 원심분리 상청액에 남아있는 방사성 동위원소의 양을 liquid scintillation counter(Wallac LackBeta, Sweden)로 측정한 후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화합물 IC50(mM)
b-에스트라디올 0.001
화합물 1(제조예 2) 0.047
화합물 2(제조예 3) 0.053
화합물 3(제조예 4) 11.3
화합물 4(제조예 1) 3.85
화합물 5 7.32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b-에스트라디올이 0.001mM이하에서 IC50값을 나타낼 때, 산인 화합물 3인 경우 IC50값이 11.3mM로 수용체 결합력이 거의 없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화합물 4와 화합물 5의 경우, IC50값이 각각 3.85mM, 7.32mM로서 에스트로겐의 3번 위치에 페놀성 히드록시기가 메틸에테르로 보호되어 있을 경우 수용체 결합력이 떨어짐을 알 수 있다. 에스트로겐의 3번 위치가 페놀성 히드록시기이고, 에스테르기를 가지고 있는 화합물 1과 화합물 2인 경우 IC50값이 각각 0.047mM, 0.053mM이다. 즉, 이들은 쉽게 대사되는 관능기로서 에스테르기를 지니고 있는 에스트로겐 앤티드러그로서, 에스테르를 가지고 있을 때에는 효능을 지니고 있고, 이 에스테르가 대사되어 산으로 되는 경우에는 효능이 없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모발 생장 촉진 효과 시험
모발 생장 촉진 효과 시험은 주령이 47∼50일인 검은 마우스(C57BL/6, 숫컷)를 사용하여 등 부위의 털을 제거하고, 1군에 5마리씩에 대하여 다음 날, 등 중앙부위에 시험물질 각 0.1㎖/마리를 국소 도포하였다. 시험물질은 상기 제조예 1~4의 화합물을 아세톤에 1%의 농도로 용해시킨 용액이고, 대조군은 1% 아세톤 수용액이다.
시간 경과에 따른 모발의 길이 및 모발 생장 정도를 모 제거후 복원 정도에 따라 0∼3의 점수(0:전혀 복원 안됨, 3: 완전 복원)를 부가하여, 그 평균값을 비교하였다. 그 시험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경과일수 7일 14일 21일
제조예 1 0 1.40±0.15 2.51±0.26
제조예 2 0 1.95±1.19 2.98±0.29
제조예 3 0.2±0.12 1.82±0.20 2.95±0.31
제조예 4 0.2±0.12 0.95±0.15 2.01±0.28
대조군 0 0.50±0.21 1.95±0.31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에스트로겐 유도체는 우수한 모발 생장 촉진 효과를 나타낸다.
이하, 상기한 시험예의 결과를 근거로 하여, 에스트로겐 유도체를 함유함으로써 모발 생장 촉진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여러 제형의 화장료를 조성하여 제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조성물이 하기의 제형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 헤어토닉
배합성분 중량%
제조예 2 0.14
에탄올 65.0
피마자유 5.0
글리세린 3.0
향료 적량
색소 적량
정제수 to 100
(제형예 2) 헤어크림
배합성분 중량%
제조예 3 0.2
유동파라핀 50.0
폴리에틸렌글리콜 1.0
트윈 20 0.1
정제수 to 100
(제형예 3) 헤어로션
배합성분 중량%
제조예 1 0.5
세토스테아릴알코올 2.0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2.0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 0.5
향료 적량
색소 적량
정제수 to 100
(제형예 4) 샴푸
배합성분 중량%
제조예 1 0.05
라우릴유산나트륨 0.40
스테아린산마그네슘 0.04
폴리비닐알코올 0.01
세틸알코올 0.02
라우린 0.01
라우릴산글리세린 0.02
피록톤올라민 0.05
향료, 색소 0.01
정제수 to 100
[시험예 3] 인체 모발 탈모 방지 및 예방 효과 시험
제형예 1의 헤어토닉 처방으로 구성되는 시험 물질을 25∼50세 까지의 성인 남성 중 탈모증자 및 탈모가 진행 중인자 10명에 대하여 3개월간 1일 2㎖씩 조석으로 2회, 두부에 도포한 결과 현저히 탈락모의 수가 줄어 들었다. 도포 전과 도포 2개월 후의 탈락모의 수를 평균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단위; 개)
시험물질 도포 도포전 도포 2개월 후
제형예 1(헤어토닉) 162±23 101±23
[시험예 4] 피부 자극 시험
제형예 1의 헤어토닉을 증류수에 1%의 농도로 현탁시킨 후, 이 시료에 대한 피부 자극 정도를 알아 보기 위하여 피부 첩포 시험을 피검자 12명에게 실시 하였다. 관찰은 첩포 24시간 또는 48시간 후의 피부 반응을 판정하였다. 시험 결과는 하기 표 4와 같다.
반응율(%)
시험물질 24 시간 48 시간
제형예 1(헤어토닉) 0 0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조성물이 피부 자극성 시험에서 무자극 반응을 나타내는 안전한 조성물임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발 생장 촉진 조성물은 표적장기에서 활성을 나타낸 뒤 전신순환계로 들어가기 전에 불활성 대사체로 전환하는 앤티드러그인 에스트로겐 유도체 및 그의 염을 함유하여 전신 부작용 없이 우수한 모발 생장 촉진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Claims (1)

  1. 하기 일반식 (Ⅰ)으로 표시되는 에스트로겐 유도체 및 그의 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10중량%의 양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생장 촉진제 조성물.
    (I)
    상기식 중,
    X는 수소, 할로겐, CH2COOR4, CH2CONHR4, COOR4, CONHR4이고,
    식 중, R4는 수소, 탄소수 6개 이하의 알킬, 페닐, 벤질기이다.
    R1은 수소, 탄소수 6개 이하의 알킬, 탄소수 6개 이하의 아실, 벤질옥실, 테트라히드로피라닐(tetrahydropyranyl)기이다.
KR1019980019524A 1998-05-28 1998-05-28 에스트로겐유도체및그의염을함유하는모발생장촉진조성물 KR100324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9524A KR100324631B1 (ko) 1998-05-28 1998-05-28 에스트로겐유도체및그의염을함유하는모발생장촉진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9524A KR100324631B1 (ko) 1998-05-28 1998-05-28 에스트로겐유도체및그의염을함유하는모발생장촉진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6514A true KR19990086514A (ko) 1999-12-15
KR100324631B1 KR100324631B1 (ko) 2002-11-09

Family

ID=37478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9524A KR100324631B1 (ko) 1998-05-28 1998-05-28 에스트로겐유도체및그의염을함유하는모발생장촉진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463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24631B1 (ko) 2002-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24460B2 (ja) スキンライトニング組成物
CA1338561C (fr) Esters et thioesters aromatiques,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 utilisation en medecine humaine ou veterinaire et en cosmetique
WO2016209847A1 (en) C-20 steroid compounds,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to treat traumatic brain injury (tbi), including concussions
EP0643701B1 (fr) Composes derives de benzimidazole,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 utilisation dans les domaines therapeutique et cosmetique
MX2007013823A (es) Moduladores de androgenos.
CA2022648A1 (fr) Acides omega-phenylamino alcanoiques substitues sur le noyau aromatique par un radical derive de 19-nor steroides, leurs sels,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s intermediaires dece procede, leur application a titre de medicaments et les compositions les renfermant
CN112771063B (zh) 氟化胆汁酸衍生物
Anderson et al. The structure of vermeerin: A sesquiterpenoid dilactone from Geigeria africana Gries
KR100324631B1 (ko) 에스트로겐유도체및그의염을함유하는모발생장촉진조성물
KR100843862B1 (ko) 모발 성장 촉진제
KR101132526B1 (ko) 페루라 속 식물에서 페루티닌의 제조 방법
CA1262903A (fr) Procede de preparation de derives de l'acide 4-oh quinoleine carboxylique substitues en 2 par un groupement dihydroxyle eventuellement etherifie ou esterifie
JP3071990B2 (ja) 皮膚外用剤
KR20070046577A (ko) 젠티식산 유도체 화합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미백화장료 조성물
JPS6345295A (ja) アンドロスタンの新誘導体
KR100368103B1 (ko) 에스트로겐유도체및그의염,및이를함유하는모발생장촉진조성물
DE3874603T2 (de) Zimtsaeureamid-derivate.
FR2768145A1 (fr) Nouveaux composes derives d'acide alkylene diamine di- ou tri-acetique, leur procede de preparation, leur utilisation dans des compositions cosmetiques et pharmaceutiques, et compositions les comprenant
EP0006784B1 (fr) Nouveaux dérivés de la L-cystéine et leur application comme médicament, ainsi que procédé pour leur préparation
FR2593066A1 (fr) Compositions therapeutiques a base de derives de 3-alkoxyflavones et nouveaux derives de 3-alkoxyflavones.
HU183323B (en) Process for producing 17,18-dihydro-apovincaminol-3-comma down comma aaove-4-comma down comma above-5-comma down comma aaove-trimethoxy-benzoate and acid additional salts thereof
JP2019526565A (ja) 脱色剤またはライトニング剤としての二フッ素化合物
RU2752064C1 (ru) Новый способ синтеза 3-о-сульфамата 16,16-диметил-d-гомоэквиленина
JPH05221847A (ja) 化粧料又は皮膚用組成物
JP5473343B2 (ja) セロトニン化合物、チロシナーゼ阻害剤及び美白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