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4956A - 원목의 자동 제재 방법 및 제재 공정의 자동화 설비 - Google Patents

원목의 자동 제재 방법 및 제재 공정의 자동화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4956A
KR19990084956A KR1019980017032A KR19980017032A KR19990084956A KR 19990084956 A KR19990084956 A KR 19990084956A KR 1019980017032 A KR1019980017032 A KR 1019980017032A KR 19980017032 A KR19980017032 A KR 19980017032A KR 19990084956 A KR19990084956 A KR 19990084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automatic
automatically
bamboo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7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순주
Original Assignee
홍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순주 filed Critical 홍순주
Priority to KR1019980017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84956A/ko
Publication of KR19990084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4956A/ko

Links

Landscapes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목의 자동 제재방법 및 제재 공정의 자동화 설비에 관한 것으로, 야적장의 원목을 자동 및 수동 제재기로 1본씩 자동적으로 공급하는 원목 자동 이송 단계와, 상기 자동 및 수동 제재기를 통과한 각,판목재를 자동으로 적재시키는 생산품 자동 반출 단계와, 원목의 공급 단계에서 발생된 수피 및, 자동 및 수동 제재기 등을 지나면서 발생된 죽데기, 수피 및 톱밥을 수거하여 배출시키는 죽데기 자동 반출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원목의 제재 공정의 철저한 관리로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하며, 작업의 안전성을 보장하여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원목의 자동 제재방법 및 제재 공정의 자동화 설비
본 발명은 원목의 자동 제재방법 및 제재 공정의 자동화 설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목을 야적장으로부터 제재 공정으로 이송 공급하는 작업과, 제재 공정에서 제재한 제품(각목재 및 판목재)을 규격별로 분류 적재하고 죽데기를 분리하는 작업과, 죽데기의 수집, 이송 및 톱밥 제조 작업을 순차적이고 자동적으로 진행하여 일관성 있는 공정의 관리로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하며, 작업의 안전성을 보장하여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 원목의 자동 제재방법 및 제재 공정의 자동화 설비에 관한 것이다.
현재 알려지고 있는 원목 제재 작업은 원목의 직경 차이에 따라서 직경이 100mm ∼ 300mm인 경우에는 반자동으로 이루어지고, 300mm 이상인 경우에는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바, 그 일련의 공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100mm ∼ 300mm 또는 300mm 이상의 직경을 가지고 6자, 9자 또는 12자 정도의 길이로 절단한 원목을 야적장으로 이동시키는 작업과, 각 원목의 곧바른 정도를 검사하여 분류하는 진직도 분류 작업과, 다시 원목을 직경에 따라 100mm ∼ 300mm 또는 300mm 이상으로 분류하는 경급 분류 작업과, 분류된 각각의 원목을 소정의 폭과 높이가 되도록 적재하는 작업으로 이루어진다.
이 후, 원목의 직경이 100mm ∼ 300mm인 경우에는 야적장에 적재된 원목을 지게차 등의 이송수단을 이용하여 자동 제재기로 공급하는 작업과, 자동 제재기를 이용하여 원목을 목재 규격에 맞도록 절단하는 작업과, 자동 제재기에서 절단된 각재를 이면 갱립 절단톱 기계로 다시 작은 크기의 각재 또는 판목재로 절단하여 생산품을 성형하는 작업과, 생산품을 다시 소정의 폭과 높이가 되도록 적재하는 작업의 순서로 진행한다.
한편, 직경이 300mm 이상인 경우에는 야적장에 적재된 원목을 지게차 등의 이송수단을 이용하여 수동 유압식 제재기로 공급하는 작업과, 수동 유압식 제재기를 이용하여 원목을 소정의 속도로 이동시키면서 목재 규격에 맞도록 절단하는 작업과, 다시 원목을 역이송시켜 다른 면을 절단하는 작업과, 수동 유압식 제재기에서 성형된 각목을 비교적 두꺼운 두께를 갖는 생산품을 성형하는 작업과, 생산품을 다시 소정의 폭과 높이가 되도록 적재하는 작업의 순서로 진행한다.
또한, 원목의 직경 차이에 관계없이 자동 제재기 및 이면 갱립 절단톱 기계, 또는 수동 유압식 제재기 및 양면 절단톱 기계를 이용하여 원목 및 기타 제재목을 절단하는 작업시에는 필연적으로 죽데기, 수피 및 톱밥 등의 배출물이 생기게 되며, 그 죽데기, 수피 및 톱밥을 수거하기 위한 별도의 작업과, 죽데기, 수피 및 톱밥을 지게차 등의 이송수단을 이용하여 톱밥 공정으로 이송시키는 별도의 작업이 필요로 하며, 수동 유압식 제재기를 이용하여 절단한 각목을 이면 갱립 절단톱 기계로 이송시키는 작업이 추가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원목의 제재를 위한 일련의 작업에 의하면, 거의 모든 작업이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진행됨으로써 작업의 관리 및 진행이 일관성이 없었으며, 이에 따라 생산성이 절대적으로 좋지 못한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즉, 많은 공정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생산품의 수율이 낮을 뿐만 아니라, 많은 작업자를 필요로 함으로써 원가의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여, 생산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중량이 무거운 원목을 반복적으로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과정에서 신체의 특정 부위에 무리한 하중을 부여하여 작업자에게 상해를 입히게 되는 등, 안전 사고의 가능성을 배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원목을 제재하는 일련의 공정을 순차적이고 자동적으로 진행하여 일관성 있는 공정의 관리로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한 원목의 자동 제재방법 및 제재 공정의 자동화 설비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재 공정의 자동화로 생산품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원목의 자동 제재방법 및 제재 공정의 자동화 설비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작업 인원을 감소시켜 원가 절감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원목의 자동 제재방법 및 제재 공정의 자동화 설비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재 공정의 자동화로 작업의 안전성을 보장함으로써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원목의 자동 제재방법 및 제재 공정의 자동화 설비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원목 제재 공정의 자동화 설비의 레이 아웃을 보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원목 제재 공정의 자동화 설비를 구성하는 원목 자동 이송 설비의 레이 아웃을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원목 자동 이송 설비를 구성하는 적치 공급장치 및 분리 경사 공급장치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도 3의 부분 확대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원목 자동 이송 설비의 적치 공급장치를 보인 평면도, 측면도 및 정면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원목 자동 이송 설비의 1단 분리 경사 공급장치를 보인 평면도, 측면도 및 정면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원목 자동 이송 설비의 2단 분리 경사 공급장치를 보인 측면도 및 배면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원목 자동 이송 설비의 이송장치를 보인 평면도 및 정면도.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원목 자동 이송 설비의 콘베이어 이송수단을 보인 평면도 및 정면도.
도 17은 도 16의 A - A선 단면도.
도 18은 도 16의 B - B선 단면도.
도 19는 도 16의 C - C선 단면도.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한 원목 자동 이송 설비의 유지 및 보수용 점검대 부위를 보인 평면도 및 측면도.
도 22 및 도 23은 본 발명에 의한 원목 자동 이송 설비의 자동 분리 장치 및 자유 흐름 이송장치를 보인 평면도 및 측면도.
도 24 내지 도 26은 본 발명에 의한 원목 자동 이송 설비의 자동 분리 장치를 보인 평면도, 측면도 및 정면도.
도 27 내지 도 29는 본 발명에 의한 원목 자동 이송 설비의 자동 분리 장치를 구성하는 터릿의 설치 상태를 보인 평면도, 측면도 및 정면도.
도 30 및 도 32는 본 발명에 의한 원목 자동 이송 설비의 자동 분리 장치 및 자유 흐름 이송장치를 보인 평면도 및 측면도.
도 33 내지 도 35는 본 발명에 의한 원목 자동 이송 설비의 경사 공급장치를 보인 평면도, 측면도 및 정면도.
도 36은 본 발명에 의한 원목 제재 공정의 자동화 설비를 구성하는 생산품 자동 반출 설비의 레이 아웃을 보인 평면도.
도 37은 본 발명에 의한 생산품 자동 반출 설비의 각,판목재 이송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38 내지 도 40은 각,판목재 이송장치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
도 41 내지 도 43은 본 발명에 의한 생산품 자동 반출 설비의 각,판목재 자동 분류장치를 보인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
도 44 내지 도 46은 본 발명에 의한 생산품 자동 반출 설비의 판목재 자유 흐름 적치 이송장치를 보인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
도 47 내지 도 49는 본 발명에 의한 생산품 자동 반출 설비의 각목재 자유 흐름 적치 이송장치를 보인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
도 50 내지 도 52는 본 발명에 의한 생산품 자동 반출 설비의 각목재 자동 적하장치를 보인 측면도, 평면도 및 정면도.
도 53 내지 도 55는 본 발명에 의한 생산품 자동 반출 설비의 이면 갱립 투입 각목재 이송장치를 보인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
도 56 내지 도 58은 이면 갱립 투입 각목재 이송장치의 가압수단을 보인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
도 59 내지 도 61은 본 발명에 의한 생산품 자동 반출 설비의 이면 갱립 투입 기준점 조정장치를 보인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
도 62는 도 59의 A - A선 단면도.
도 63 내지 도 64는 본 발명에 의한 생산품 자동 반출 설비의 이면 갱립 배출 각,판목재 이송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인 평면도 및 정면도.
도 65 내지 도 67은 이면 갱립 배출 각,판목재 이송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보인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
도 68 및 도 69는 본 발명에 의한 생산품 자동 반출 설비의 이면 갱립 배출 죽데기 자동 분류장치를 보인 평면도 및 정면도.
도 70은 이면 갱립 배출 죽데기 자동 분류장치를 구성하는 감지수단의 일실시예.
도 71 및 도 72는 본 발명에 의한 생산품 자동 반출 설비의 각,판목재 자동 분류장치를 보인 평면도 및 정면도.
도 73 내지 도 75는 본 발명에 의한 생산품 자동 반출 설비의 각,판목재 자동 분기 상승장치를 보인 평면도, 측면도 및 정면도.
도 76 내지 도 78은 본 발명에 의한 생산품 자동 반출 설비의 제 1 각,판목재 자동 적하장치를 보인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
도 79 내지 도 80은 본 발명에 의한 생산품 자동 반출 설비의 제 2 각,판목재 자동 적하장치를 보인 측면도 및 정면도.
도 81은 제 2 각,판목재 자동 적하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보인 부분 확대도.
도 82 내지 도 84는 본 발명에 의한 생산품 자동 반출 설비의 살대 저장 자동 적하장치를 보인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
도 85 및 도 86은 본 발명에 의한 생산품 자동 반출 설비의 생산품 자동 리프팅 적재장치를 보인 정면도 및 측면도.
도 87은 생산품 자동 리프팅 적재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보인 횡단면도.
도 88 및 도 89는 본 발명에 의한 생산품 자동 반출 설비의 후판목재 자유 흐름 이송장치를 보인 평면도 및 정면도.
도 90은 본 발명에 의한 생산품 자동 반출 설비의 자동 제재기를 지난 원목의 부분 절결 사시도.
도 91은 본 발명에 의한 원목 제재 공정의 자동화 설비를 구성하는 죽데기 자동 반출 설비의 레이 아웃을 보인 평면도.
도 92 내지 도 94는 본 발명에 의한 죽데기 자동 반출 설비의 수피 이송장치를 보인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
도 95 내지 도 97은 수피 이송장치의 제 1 콘베이어 장치를 보인 평면도, 측면도 및 정면도.
도 98 내지 도 100은 수피 이송장치의 제 2 콘베이어 장치를 보인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
도 101 내지 도 102는 수피 이송장치의 제 5 콘베이어 장치를 보인 평면도, 측면도 및 정면도.
도 104 내지 도 106는 본 발명에 의한 죽데기 자동 반출 설비의 자동 제재기 수피 및 톱밥 이송장치의 일부분을 보인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
도 107 내지 도 109는 본 발명에 의한 죽데기 자동 반출 설비의 자동 제재기 수피 및 톱밥 이송장치의 다른 부분을 보인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
도 110 내지 도 112는 본 발명에 의한 죽데기 자동 반출 설비의 자동 제재기 수피 및 톱밥 이송장치와 수피 및 죽데기 이송장치를 보인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13 내지 도 115는 본 발명에 의한 죽데기 자동 반출 설비의 수피 및 죽데기 이송장치를 보인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
도 116 내지 118은 본 발명에 의한 죽데기 자동 반출 설비의 자동 제재기 죽데기 이송장치를 보인 평면도, 측면도 및 정면도.
도 119 및 도 120은 본 발명에 의한 죽데기 자동 반출 설비의 이면 갱립기 죽데기 이송장치를 보인 평면도 및 측면도.
도 121 및 도 122는 본 발명에 의한 죽데기 자동 반출 설비의 죽데기, 수피 및 톱밥 종합 이송장치를 보인 평면도 및 정면도.
도 123 내지 도 125는 본 발명에 의한 죽데기 자동 반출 설비의 톱밥 흡입 이송장치를 보인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
도 126 내지 도 128은 본 발명에 의한 죽데기 자동 반출 설비의 죽데기 및 수피 단위 절단장치를 보인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
도 129 및 도 130은 본 발명에 의한 죽데기 자동 반출 설비의 죽데기 및 수피 배출 이송장치를 보인 평면도 및 측면도.
도 13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목 제재 공정 자동화 설비의 레이 아웃을 보인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I ; 적치 공급장치 II ; 분리 경사 공급장치
III ; 이송장치 IV ; 자동 분리 이송장치
V ; 자유 흐름 이송장치 A ; 각,판목재 이송장치
B ; 자동 제재기 각,판목재 자동 분류장치
C ; 판목재 자유 흐름 적치 이송장치
D ; 각목재 자유 흐름 적치 이송장치
E ; 각목재 자동 적하장치 F ; 이면 갱립 투입 각목재 이송장치
G ; 이면 갱립 투입 기준점 조정장치
H ; 이면 갱립 배출 각,판목재 이송장치
I ; 이면 갱립 배출 죽데기 자동 분류장치
J ; 각,판목재 자동 분류장치 K ; 각,판목재 자동 분기 상승장치
L ; 제 1 각,판목재 자동 적하장치 M ; 제 2 각,판목재 자동 적하장치
N ; 살대 저장 자동 적하장치 O ; 생산품 자동 리프팅 적재장치
P,Q ; 수동 제재기 후판목재 자유 흐름 이송장치
R ; 후판목재 자동 적하장치 S ; 후판목재 자동 리프팅 적재장치
가 ; 수피 이송장치
나 ; 자동 제재기 수피 및 톱밥 이송장치
다 ; 수피 및 죽데기 이송장치 라 ; 자동 제재기 죽데기 이송장치
마 ; 이면 갱립기 죽데기 이송장치
바 ; 죽데기, 수피 및 톱밥 종합 이송장치
사 ; 톱밥 흡입 이송장치 아 ; 톱밥 흡입 이송장치
자 ; 자동 제재기측 죽데기 및 수피 단위 절단장치
차 ; 톱밥 제조기 카 ; 죽데기 및 수피 배출 이송장치
타 ; 수동 제재기 죽데기 이송장치
파 ; 양면 절단톱 기계 죽데기 이송장치
하 ; 죽데기 및 수피 종합 이송장치
거 ; 수동 제재기측 죽데기 및 수피 단위 절단장치
너 ; 죽데기 및 수피 배출 이송장치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원목 자동 제재방법의 일실시예로써, 야적장의 원목을 1본씩 소정의 높이로 상승시키고 소정 거리만큼 직선 이동시키는 단계와, 그 원목을 다시 하강시켜 자동 제재기로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자동 제재기를 통과한 원목의 각,판목재를 적재시키거나 또는 이면 갱립 절단톱 기계로 이송시키는 단계와, 상기 이면 갱립 절단톱 기계를 통과한 각,판목재를 자동으로 적재시키는 단계와, 상기 원목의 공급 단계에서 발생된 수피 및, 자동 제재기 및 갱립 절단톱 기계를 지나면서 발생된 죽데기 및 톱밥을 수거하는 단계와, 상기 죽데기, 수피 및 톱밥을 배출시키는 단계와, 수동 제재기를 통과한 각,판목재를 적재하는 단계와, 상기 수동 제재기를 지나면서 발생된 죽데기 및 수피 및, 양면 절단톱 기계를 지나면서 발생된 죽데기를 수거하는 단계와, 상기 죽데기 및 수피를 배출시키는 일련의 단계를 자동적으로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의 자동 제재방법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재 공정의 자동화 설비의 일실시예로써, 야적장의 원목을 자동 제재기로 1본씩 자동적으로 공급하는 원목 자동 이송설비와, 상기 자동 제재기를 통과한 각,판목재를 자동으로 적재시키거나 또는 이면 갱립 절단톱 기계로 이송시킨 후 자동으로 적재하는 생산품 자동 반출 설비와, 원목의 공급 단계에서 발생된 수피 및, 자동 제재기 및 갱립 절단톱 기계를 지나면서 발생된 죽데기 및 톱밥을 수거하여 배출시키는 죽데기 자동 반출 설비와, 수동 제재기를 통과한 각,판목재를 자동으로 적재하는 생산품 자동 반출 설비와, 상기 수동 제재기를 지나면서 발생된 죽데기 및 수피 및, 양면 절단톱 기계를 지나면서 발생된 죽데기를 수거하고 배출시키는 죽데기 자동 반출 설비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재 공정의 자동화 설비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원목의 자동 제재방법 및 제재 공정의 자동화 설비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원목의 자동 제재방법은 원목의 직경이 100mm ∼ 300mm인 경우, 야적장의 원목을 1본씩 소정의 높이로 상승시키고 소정 거리만큼 직선 이동시키는 단계와, 그 원목을 다시 하강시켜 자동 제재기로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자동 제재기를 통과한 원목의 각,판목재를 적재시키거나 또는 이면 갱립 절단톱 기계로 이송시키는 단계와, 상기 이면 갱립 절단톱 기계를 통과한 각,판목재를 자동으로 적재시키는 단계와, 상기 원목의 공급 단계에서 발생된 수피 및, 자동 제재기 및 갱립 절단톱 기계를 지나면서 발생된 죽데기 및 톱밥을 수거하는 단계와, 상기 죽데기, 수피 및 톱밥을 배출시키는 일련의 단계를 자동적으로 수행하고, 또한, 직경이 300mm 이상인 경우, 수동 제재기를 통과한 각,판목재를 적재하는 단계와, 상기 수동 제재기를 지나면서 발생된 죽데기 및 수피 및, 양면 절단톱 기계를 지나면서 발생된 죽데기를 수거하는 단계와, 상기 죽데기 및 수피를 배출시키는 일련의 단계를 자동적으로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원목 자동 제재 방법에 수동 제재기 및 자동 제재기의 생산품 이동 작업을 무인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원목의 자동 제재방법을 구체화시킨 원목 제재 공정의 자동화 설비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원목 제재 공정의 자동화 설비의 레이-아웃(lay out)을 보인 것으로, 도면중 1은 자동 제재기, 2는 이면 갱립 절단톱 기계, 3은 수동 제재기, 4는 양면 절단톱 기계를 보인 것으로, 상기 자동 제재기(1), 이면 갱립 절단톱 기계(2), 수동 제재기(3) 및 양면 절단톱 기계(4)는 종래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하에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원목 제재 공정의 자동화 설비는, 원목의 직경이 100mm ∼ 300mm인 경우, 야적장의 원목을 자동 제재기(1)로 1본씩 자동적으로 공급하는 원목 자동 이송설비와, 상기 자동 제재기(1)를 통과한 각,판목재를 자동으로 적재시키거나 또는 이면 갱립 절단톱 기계로 이송시킨 후 자동으로 적재하는 생산품 자동 반출 설비와, 원목의 공급 단계에서 발생된 수피 및, 자동 제재기 및 갱립 절단톱 기계를 지나면서 발생된 죽데기 및 톱밥을 수거하여 배출시키는 죽데기 자동 반출 설비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원목의 직경이 300mm 이상인 경우, 수동 제재기(3)를 통과한 각,판목재를 자동으로 적재하는 생산품 자동 반출 설비와, 상기 수동 제재기(3)를 지나면서 발생된 죽데기 및 수피 및, 양면 절단톱 기계(4)를 지나면서 발생된 죽데기를 수거하고 배출시키는 죽데기 자동 반출 설비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원목 자동 이송설비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등급이 분류된 복수개의 원목을 수평 콘베이어를 이용하여 소정의 위치로 수평 이동시키는 적어도 1쌍 이상의 적치 공급장치(I)와, 상기 적치 공급장치(I)로부터 공급되는 원목을 1본씩 2단 경사 콘베이어장치를 이용하여 소정의 높이로 경사 이동시키는 분리 경사 공급장치(II)와, 상기 분리 경사 공급장치에 의해 소정의 높이로 이송된 원목을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송장치(III)와, 상기 이송장치(III)에 의해 이송된 원목을 직각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자동 분리 이송장치(IV)와, 상기 자동 분리 이송장치(IV)로부터 이송된 원목을 1본씩 안정하게 이송시키는 자유 흐름(free flow) 이송장치(V)와, 상기 자유 흐름 이송장치(V)로부터 이송된 원목을 소정의 경사로 하측의 자동 또는 수동 제재기를 향하여 이송시키는 경사 공급장치(VI)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적치 공급장치(I)는 좌우 대칭을 이루며 배치되어 있는 바,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일측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즉, 적치 공급장치(I)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형상을 갖는 프레임(11)과, 상기 프레임(11)의 상면에 설치되는 수평 콘베이어(12)와, 상기 프레임(11)의 소정 부위에 설치되는 전동기(13)와, 상기 수평 콘베이어(12)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회전축(14)과, 상기 전동기(13)의 동력을 회전축(13)으로 전달하기 위한 구동 스프로킷, 체인 및 종동 스프로킷 등으로 구성된 동력전달수단(15)과, 상기 회전축(13)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복수개의 구동 스프로킷(16)과, 상기 구동 스프로킷(16)의 반대측 수평 콘베이어(12)에 그 구동 스프로킷(16)과 동일한 개수로 설치되는 종동 스프로킷(17)과, 상기 구동 스프로킷(16) 및 종동 스프로킷(17)을 각각 연결하는 이송용 체인(18)과, 상기 종동 스프로킷(17)이 설치되는 콘베이어(12)의 소정 부위에 각각 구비되어 이송용 체인(18)의 텐션을 자동적으로 조절하는 가이드장치(19)를 포함하고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0은 지게차의 포크 리프트 풋(fork lift foot)를 보인 것이다.
상기 분리 경사 공급장치(II)는 1단 공급장치와, 2단 공급장치로 구분되는 바, 그 1단 공급장치와, 2단 공급장치도 좌우 대칭을 이루며, 마찬가지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일측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1단 공급장치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형상을 갖는 프레임(31)과, 상기 프레임(31)에 소정의 각도로 설치되고 수개의 가로 연결부재(32)를 포함하는 경사 콘베이어(33)와, 상기 프레임(31)의 소정 부위에 설치되는 전동기(34)와, 상기 경사 콘베이어(33)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각각 지지되는 회전축(35)(35')과, 상기 전동기(34)의 동력을 일측 회전축(35)으로 전달하기 위한 구동 스프로킷, 체인 및 종동 스프로킷 등으로 구성된 동력전달수단(36)과, 상기 회전축(35)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복수개의 구동 스프로킷(37)과, 상기 타측 회전축(35')에 구동 스프로킷(37)과 동일한 개수로 설치되는 종동 스프로킷(38)과, 상기 구동 스프로킷(37) 및 종동 스프로킷(38)을 각각 연결하고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어태치먼트(39')가 구비된 이송용 체인(39)과, 상기 종동 스프로킷(38)이 설치되는 경사 콘베이어(33)의 소정 부위에 각각 구비되어 이송용 체인(39)의 텐션을 자동적으로 조절하는 가이드장치(40)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2단 공급장치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형상을 갖는 프레임(41)과, 상기 프레임(41)에 소정의 각도로 설치되고 수개의 가로 연결부재(42)를 포함하는 경사 콘베이어(43)와, 상기 경사 콘베이어(43)의 소정 부위에 설치되는 전동기(44)와, 상기 경사 콘베이어(43)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각각 지지되는 회전축(45)(45')과, 상기 전동기(44)의 동력을 일측 회전축(45)으로 전달하기 위한 구동 스프로킷, 체인 및 종동 스프로킷 등으로 구성된 동력전달수단(46)과, 상기 회전축(45)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복수개의 구동 스프로킷(47)과, 상기 타측 회전축(45')에 구동 스프로킷(47)과 동일한 개수로 설치되는 종동 스프로킷(48)과, 상기 구동 스프로킷(47) 및 종동 스프로킷(48)을 각각 연결하고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어태치먼트(49')가 구비된 이송용 체인(49)과, 상기 종동 스프로킷(48)이 설치되는 경사 콘베이어(43)의 소정 부위에 각각 구비되어 이송용 체인(49)의 텐션을 자동적으로 조절하는 가이드장치(5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경사 콘베이어(43)의 상단부에는 원목의 이송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43')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장치(III)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상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세워져 고정되는 복수개의 기둥(51)과, 상기 기둥(51)에 수평으로 지지되는 베이스(52)와, 상기 베이스(52)에 설치되는 콘베이어 이송수단과, 상기 베이스(52)에 콘베이어 이송수단을 복개하도록 설치되는 지붕(53)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콘베이어 이송수단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개의 어셈블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꼭 3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전체적인 길이를 고려하여 개수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3개의 어셈블리로 구성된 제 1,2,3 콘베이어 이송수단(54)(55)(56)의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제 1,2,3 콘베이어 이송수단(54)(55)(56)은 동일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고, 그 전체적인 길이만 다소 차이가 있다. 따라서, 제 1 콘베이어 이송수단(54)에 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콘베이어 이송수단(54)은 도 15 내지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52)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세워져 고정되는 프레임(61)와, 상기 프레임(61)의 상면에 수평을 이루며 고정되는 수평 콘베이어(62)와, 상기 수평 콘베이어(62)의 일측 소정 부위에 설치되는 전동기(63)와, 상기 수평 안내 브래키트(62)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각각 지지되는 회전축(64)(64')과, 상기 전동기(63)의 동력을 일측 회전축(64)으로 전달하기 위한 구동 스프로킷, 체인 및 종동 스프로킷 등으로 구성된 동력전달수단(65)과, 상기 회전축(64)의 양측에 고정되는 구동 스프로킷(66)과, 상기 타측 회전축(64')에 구동 스프로킷(66)과 동일한 개수로 설치되는 종동 스프로킷(67)과, 상기 구동 스프로킷(66) 및 종동 스프로킷(67)을 각각 연결하고 양측변부에 각각 소정의 형상을 갖는 어태치먼트(68')가 구비된 이송용 체인(68)과, 상기 종동 스프로킷(67)이 설치되는 수평 안내 브래키트(66)의 소정 부위에 각각 구비되어 이송용 체인(68)의 텐션을 자동적으로 조절하는 가이드장치(69)와, 상기 수평 안내 브래키트(66)의 상,하부 소정 부위에 각각 설치되어 이송용 체인(68) 및 어태치먼트(68')의 이송을 안내하는 상,하부 레일(70)(71)을 포함하고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72는 제재 공장의 지붕을 보인 것으로, 그 지붕(72)을 경계로 하여 제재 공장의 옥내와, 야적장의 옥외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73은 작업자가 작업을 위하여 오르내리는 계단을 보인 것이다.
상기 자동 분리 이송장치(IV)는 도 20 내지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검대(80)의 일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세워져 고정되는 프레임(81)과, 상기 프레임(81)의 상면에 수평을 이루며 설치되는 수평 콘베이어(82)와, 상기 수평 콘베이어(82)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복수개의 이송용 롤러(83)와, 상기 이송용 롤러(83)의 회전 중심에 각각 고정되는 스프로킷(84)과, 상기 점검대(52)의 소정 부위에 설치되는 전동기(85)와, 상기 전동기(85)의 동력을 스프로킷(84)으로 전달하기 위한 구동 스프로킷, 체인 및 종동 스프로킷 등으로 구성된 동력전달수단(86)과, 상기 이송용 롤러(83)의 스프로킷(84)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동력 전달용 체인(87)과, 상기 수평 콘베이어(82)의 양측에 소정의 높이로 세워져 고정되는 사이드 브래키트(88)와, 상기 사이드 브래키트(88)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회전축(89)과, 상기 회전축(89)에 원목(W)의 이송 방향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며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복수개의 터릿(90)과, 상기 터릿(9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구동수단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브래키트(88)의 측면에 고정되는 전동기(99)와, 상기 전동기(99)의 동력을 회전축(89)으로 전달하기 위한 구동 스프로킷, 체인 및 종동 스프로킷 등으로 구성된 동력전달수단(100)으로 구성한다.
상기 자유 흐름 이송장치(V)는 도 30 내지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검대(80)의 중간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세워져 고정되는 프레임(91)과, 상기 프레임(91)의 상면에 고정되는 수평 콘베이어(92)와, 상기 프레임(91)의 일측에 설치되는 전동기(93)와, 상기 수평 콘베이어(92)의 회전 가능하도록 각각 지지되는 회전축(94)(94')과, 상기 전동기(93)의 동력을 일측 회전축(94)으로 전달하기 위한 구동 스프로킷, 체인 및 종동 스프로킷 등으로 구성된 동력전달수단(95)과, 상기 회전축(94)의 양측에 고정되는 구동 스프로킷(96)과, 상기 타측 회전축(94')에 구동 스프로킷(96)과 동일한 개수로 설치되는 종동 스프로킷(97)과, 상기 구동 스프로킷(96) 및 종동 스프로킷(97)을 각각 연결하는 이송용 자유 흐름(free flow) 체인(98)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자유 흐름 이송장치(V)는 자유 흐름 체인(98)의 역할로 원목이 어떠한 위치에서도 자유로운 정지와 이송 및 대기를 동시에 가능하게 하여 1본씩 안정하게 이송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경사 공급장치(VI)는 도 33 내지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검대(80)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각각 고정되는 힌지 브래키트(101)와, 상기 힌지 브래키트(101)에 결합되는 힌지축(102)과, 상기 힌지축(102)에 고정되고 수개의 연결 부재(103)를 포함하는 회동 콘베이어(104)와, 상기 회동 콘베이어(104)의 소정 부위에 고정되는 전동기(105)와, 상기 회동 콘베이어(104)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축(106)(106')과, 상기 전동기(105)의 동력을 일측 회전축(106)으로 전달하기 위한 구동 스프로킷, 체인 및 종동 스프로킷 등으로 구성된 동력전달수단(107)과, 상기 회전축(106)에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복수개의 구동 스프로킷(108)과, 상기 타측 회전축(106')에 구동 스프로킷(108)과 동일한 개수로 설치되는 종동 스프로킷(109)과, 상기 구동 스프로킷(108) 및 종동 스프로킷(109)을 각각 연결함과 아울러 일정 간격을 어태치먼트(110')가 구비된 이송용 체인(110)과, 상기 회동 콘베이어(104)의 소정 부위에 각각 구비되어 이송용 체인(110)의 텐션을 자동적으로 조절하는 가이드장치(111)와, 상기 회동 콘베이어(104)를 소정의 각도로 들어올리기 위한 리프팅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리프팅수단의 일실시예는 점검대(80)에 고정되는 전동기(112)와, 상기 전동기(112)와 회동 콘베이어(104)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와이어(113)로 구성한다.
이때, 상기 회동 콘베이어(104)의 회동 각도를 약 45°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제재 공정의 자동화 설비를 구성하는 원목 자동 이송설비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지게차 등의 이송수단을 이용하여 등급이 분류된 복수개의 원목을 프레임(11)의 상측에 올려놓으면 이송용 체인(18)이 구동되면서 원목을 수평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이송용 체인(18)의 이동으로 복수개의 원목이 분리 경사 공급장치(II)를 구성하는 1단 공급장치의 경사 콘베이어(33)에 낙하되고, 다시 경사 콘베이어(33)에 설치된 이송용 체인(39)의 구동으로 어태치먼트(39')에 의하여 1본씩 상승하게 된다.
이 후, 1단 공급장치의 안내를 받으며 이송되는 원목은 경사 콘베이어(33)의 상단부에서 다시 2단 공급장치의 경사 콘베이어(43)로 낙하되어, 이송용 체인(49)이 구동됨에 따라 어태치먼트(49')가 이동되면서 이송장치(III)의 방향으로 안내된다.
이때, 상기 2단 공급장치의 경사 콘베이어(33)의 상단부에서 낙하되는 시점에서 가이드(43')의 안내를 받으며 이송장치(III)로 보다 안정하게 이송된다.
이와 같이, 이송장치(III)로 이송된 원목은 제 1,2,3 콘베이어 이송수단을 구성하는 이송용 체인(68)의 구동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이송용 체인(68)의 양측변부에 구비된 어태치먼트(68')의 안내를 받게되므로 원목을 직경 차이에 관계없이 보다 안정하게 이송시키게 된다.
이 후, 원목은 수평 콘베이어(82)의 이송용 롤러(83)를 타고 이동하게 되고, 그 이동 동작이 완료되면, 터릿(90)이 소정 각도만큼 회전하여 원목을 수직 방향의 자유 흐름 이송장치(V)로 이동시키며, 자유 흐름 체인(100)의 구동으로 1본씩 보다 안정하게 이송시키게 된다.
상기 자유 흐름 체인(100)으로부터 안내되는 원목은 경사 공급장치(VI)를 이루는 회동 콘베이어(104)에 지지된 이송용 체인(68)의 구동에 의해 어태치먼트(68')가 이동되면서 하강하게 되며, 따라서 자동 제재기(1)로 이송되는 것이다.
상기 회동 콘베이어(104)는 제재 작업의 이상시 또는 작업 작업을 필요로 하는 경우, 전동기(112)의 구동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키게 된다.
이 후, 원목은 기존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 자동 제재기(1)를 지나면서 자동으로 제재된 다음, 생산품 자동 반출 설비로 향하게 되며, 이하에서는 생산품 자동 반출 설비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즉, 생산품 자동 반출 설비는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 제재기(1)에서 성형된 각,판목재를 이송시키는 각,판목재 이송장치(A)와, 상기 각,판목재 이송장치(A)의 안내를 받으며 이송되는 각목재의 이송 속도를 증가시켜 각목재와 판목재를 분류하는 자동 제재기 각,판목재 자동 분류장치(B)와, 상기 각,판목재 이송장치(A)의 안내를 받으며 세워져 이송되는 판목재를 눕히고 길이 방향의 판목재를 폭 방향으로 이송시키며 판목재의 어떠한 위치에서도 자유로운 정지와 이송 및 대기를 동시에 하는 판목재 자유 흐름 적치 이송장치(C)와, 상기 각,판목재 이송장치(A)의 안내를 받으며 이송되는 길이 방향의 각목재를 폭 방향으로 이송시키며 각목재의 어떠한 위치에서도 자유로운 정지와 이송 및 대기를 동시에 하는 각목재 자유 흐름 적치 이송장치(D)와, 상기 각목재 자유 흐름 적치 이송장치(D)에 의해 이송되는 각목재를 자동 수급하여 적재하거나 또는 적하 방식 및 규격에 따라 자동으로 공급 또는 적재하는 각목재 자동 적하장치(E)와, 상기 각목재 자유 흐름 적치 이송장치(D)로부터 각목재를 이면 갱립 절단톱 기계(2)의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면 갱립 투입 각목재 이송장치(F)와, 각목재가 이면 갱립 절단톱 기계(2)에 진입하기 전에 이면 갱립의 최대 수율을 확보하기 위하여 투입 기준점을 자동 조정하는 이면 갱립 투입 기준점 조정장치(G)와, 상기 이면 갱립 절단톱 기계(2)를 통과한 각,판목재를 검사하여 자동 분류하는 이면 갱립 배출 각,판목재 이송장치(H)와, 상기 이면 갱립 배출 각,판목재 이송장치(H)를 지나 배출되는 판목재의 상태를 자동으로 감지 및 인식하여 죽데기를 구분하고 자동 분리하는 이면 갱립 배출 죽데기 자동 분류장치(I)와, 상기 이면 갱립 배출 죽데기 자동 분류장치(I)를 통과한 각,판목재를 자동으로 분류하는 각,판목재 자동 분류장치(J)와, 각목재 또는 판목재의 생산품을 자동으로 분리하여 일정한 위치에서 자동 적하할 수 있도록 대기하는 각,판목재 자동 분기 상승장치(K)와, 상기 각,판목재 자동 분기 상승장치(K)에 의해 자동 분기 및 대기중인 생산품을 자동 수급하여 적재 방식 및 규격에 따라 자동으로 적하 공급하는 제 1 각,판목재 자동 적하장치(L)와, 상기 제 1 각,판목재 자동 적하장치(L)로 공급된 각,판목재를 수급하여 적재 방식 및 규격에 따라 자동으로 적하 공급하는 제 2 각,판목재 자동 적하장치(M)와, 상기 제 1 및 2 각,판목재 자동 적하장치(L)(M)의 각,판목재를 적재함과 동시에 별도로 저장된 복수개의 살대를 자동으로 정렬하고 각,판목재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도록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살대 저장 자동 적하장치(N)와, 완성된 생산품을 규정된 단위 적재 규격에 따라 일정한 위치와 높이로 자동으로 상승 및 하강하고 수급 적재하여 단위 적재물을 공급 및 수급하는 생산품 자동 리프팅 적재장치(O)와, 수동 제재기(3)에 의해 완성된 후판목재의 이송 진행 및 적치 대기 동작이 콘베이어 구동상태에서 이루어지도록 하고 후판목재가 어떠한 위치에서도 자유로운 멈춤, 이송 및 대기를 동시에 수행하는 수동 제재기 후판목재 자유 흐름 이송장치(P)(Q)와, 상기 수동 제재기 후판목재 자유 흐름 적치 이송장치(P)에 의해 이송되는 후판목재를 자동 수급하여 적재하거나 또는 적하 방식 및 규격에 따라 자동으로 공급 또는 적재하는 후판목재 자동 적하장치(R)와, 수동 제재기(3)에 의해 완성된 생산품을 규정된 단위 적재 규격에 따라 일정한 위치와 높이로 자동으로 상승 및 하강하고 수급 적재하여 단위 적재물을 공급 및 수급하는 후판목재 자동 리프팅 적재장치(S)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각,판목재 이송장치(A)는 3개의 어셈블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꼭 3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전체적인 길이를 고려하여 개수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개의 어셈블리로 구성된 제 1,2,3 각,판목재 이송장치(130)(140)(150)의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제 1,2,3 각,판목재 이송장치(130)(140)(150)는 기본적인 구성이 유사하며, 그 전체적인 길이 및 부품의 설치 부위만 다소 상이하다. 따라서, 제 1 각,판목재 이송장치(130)에 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각,판목재 이송장치(130)은 도 38 내지 도 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형상을 갖는 프레임(131)과, 상기 프레임(133)의 상면에 설치되는 수평 콘베이어(134)와, 상기 수평 콘베이어(134)에 일정 간격을 두고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복수개의 이송용 롤러(135)와, 상기 이송용 롤러(135)의 회전 중심에 고정되는 스프로킷(136)과, 상기 스프로킷(136)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체인(137)과, 상기 프레임(133)의 소정 부위에 고정되는 전동기(138)와, 상기 전동기(138)의 동력을 체인(137)에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139)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각,판목재 자동 분류장치(B)는 도 41 내지 도 4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 콘베이어(134)의 상면 소정 부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세워져 고정되는 복수개의 수직 브래키트(141)와, 상기 수직 브래키트(141)에 세워져 각각 고정되는 가이드 브래키트(142)와, 상기 가이드 브래키트(142)의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구동 스프로킷(143) 및 종동 스프로킷(144)과, 상기 구동 스프로킷(143) 및 종동 스프로킷(144)을 연결하는 체인(145)과, 상기 가이드 브래키트(142)의 소정 부위에 고정되는 전동기(146)와, 상기 전동기(138)의 동력을 체인(145)에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147)과, 상기 구동 스프로킷(143) 및 종동 스프로킷(144)에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되는 어태치먼트(148)(149)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판목재 자유 흐름 적치 이송장치(C)는 도 44 내지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형상을 갖는 프레임(151)과, 상기 프레임(151)의 상면 양측연부에 각각 고정되는 수평 콘베이어(152)와, 상기 수평 콘베이어(152)의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축(155)(155')과, 상기 회전축(155)(155')에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구동 스프로킷(156) 및 종동 스프로킷(157)과, 상기 구동 스프로킷(156) 및 종동 스프로킷(157)을 연결하는 이송용 자유 흐름 체인(158)과, 상기 프레임(153)의 소정 부위에 고정되는 전동기(159)와, 상기 전동기(159)의 동력을 이송용 자유 흐름 체인(158)으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160)과, 상기 프레임(153)의 일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되어 판목재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161)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각목재 자유 흐름 적치 이송장치(D)는 상기의 판목재 자유 흐름 적치 이송장치(C)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즉, 도 47 내지 도 4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형상을 갖는 프레임(171)과, 상기 프레임(171)의 상면 양측연부에 각각 고정되는 수평 콘베이어(172)와, 상기 수평 콘베이어(172)의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축(175)(175')과, 상기 회전축(175)(175')에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구동 스프로킷(176) 및 종동 스프로킷(177)과, 상기 구동 스프로킷(176) 및 종동 스프로킷(177)을 연결하는 이송용 자유 흐름 체인(178)과, 상기 프레임(173)의 소정 부위에 고정되는 전동기(179)와, 상기 전동기(179)의 동력을 이송용 자유 흐름 체인(178)으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180)과, 상기 프레임(173)의 일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되어 각목재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181)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각목재 자동 적하장치(E)는 도 50 내지 도 5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각목재 자유 흐름 적치 이송장치(D)에 인접하여 세워져 설치되는 프레임(191)과, 상기 프레임(191)의 상면 양측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192)과, 상기 가이드 레일(192)에 전동기, 랙크, 피니언, 가이드 롤러 등의 수평 이송수단(193)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실린더를 포함하는 승하강 구동수단(194)으로 승하강되면서 각목재의 중간부 양측을 잡아주는 중간 픽업수단(195)과, 상기 중간 픽업수단(195)의 양측부에 로드리스 실린더 등을 포함하는 직선 이동 구동수단(196)으로 직선 왕복 이동되면서 각목재의 양측단면을 잡아주는 사이드 픽업수단(197)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중간 픽업수단(195)은 리니어 가이드(198)의 안내를 받으며 직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중간 픽업수단(195)은 양측에 핑거(195')를 구비하여 실린더의 구동으로 작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 픽업수단(197)도 실린더의 구동으로 작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이면 갱립 투입 각목재 이송장치(F)는 도 53 내지 도 5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형상을 갖는 프레임(201)과, 상기 프레임(201)의 상면에 소정의 길이로 설치되는 수평 콘베이어(202)와, 상기 수평 콘베이어(202)에 일정 간격을 두고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이송용 롤러(203)와, 상기 이송용 롤러(203)의 회전 중심에 각각 고정되는 스프로킷(204)과, 상기 스프로킷(204)을 연결하는 체인(205)와, 상기 프레임(201)의 소정 부위에 설치되는 전동기(206)와, 상기 전동기(206)의 동력을 체인(205)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207)과, 도 56 내지 도 5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 콘베이어(202)의 양측에 세워져 고정되는 프레임(208)과, 상기 프레임(208)의 상면에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209)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9)에 실린더를 포함하는 승하강 구동수단(210)으로 승하강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가압수단(211)과, 상기 가압수단(211)의 하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복수개의 가압 롤러(21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가압수단(211)은 리니어 가이드(213)의 안내를 받으며 직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이면 갱립 투입 기준점 조정장치(G)는 도 59 내지 도 6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평 콘베이어(202)의 하부 양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하되, 상기 수평 콘베이어(202)의 양측에 개구부(221)(222)를 각각 형성하여, 그 개구부(221)(222)에 해당되는 하부에 브래키트(223)(224)를 각각 세워 고정하고, 상기 브래키트(223)(224)의 소정 부위에 전동기(225)(226)를 각각 설치하며, 상기 브래키트(223)(224)에 볼 스크류(227)(228)를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상기 볼 스크류(227)(228)에 가이드 롤러(229)(230)가 구비된 슬라이더(231)(232)를 결합하며, 상기 전동기(225)(226)과 볼 스크류(227)(228)를 동력전달수단(233)으로 연결하여 구성한다.
상기 이면 갱립 배출 각,판목재 이송장치(H)는 도 63 및 도 64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어셈블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꼭 2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전체적인 길이를 고려하여 개수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2개의 어셈블리로 구성된 제 1 및 2 이면 갱립 배출 각,판목재 이송장치의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제 1,2 이면 갱립 배출 각,판목재 이송장치(240)(250)는 기본적인 구성이 유사하며, 그 전체적인 길이 및 부품의 설치 부위만 다소 상이하다. 따라서, 제 1 이면 갱립 배출 각,판목재 이송장치(240)에 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이면 갱립 배출 각,판목재 이송장치(240)는 도 65 내지 도 6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형상을 갖는 프레임(241)과, 상기 프레임(241)의 상면에 설치되는 수평 콘베이어(242)와, 상기 수평 콘베이어(242)에 일정 간격을 두고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복수개의 이송용 롤러(243)와, 상기 이송용 롤러(243)의 회전 중심에 고정되는 스프로킷(244)과, 상기 스프로킷(244)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체인(245)과, 상기 프레임(241)의 소정 부위에 고정되는 전동기(246)와, 상기 전동기(246)의 동력을 체인(247)에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248)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이면 갱립 배출 죽데기 자동 분류장치(I)는 도 68 및 도 6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 콘베이어(242)의 상하측 소정 부위에 판목재의 개수만큼 설치되어 판목재의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수단(251)과, 상기 감지수단(251)의 전방측에 소정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브래키트(252)와, 상기 브래키트(252)에 각각 설치되는 전동기(253)와, 상기 브래키트(252)에 회전 가능하도록 각각 결합되는 볼 스크류(254)와, 상기 전동기(253)의 동력을 볼 스크류(254)로 각각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255)과, 상기 볼 스크류(254)에 각각 결합되어 볼 스크류(254)의 회전으로 왕복이동되면서 죽데기의 이동을 정지 및 낙하시키는 스토퍼(256)(256')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감지수단(251)중, 상측에 설치되는 구조는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고, 하측에 설치되는 구조는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조절이 가능하지 못하고 고정식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지수단(251)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도 7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형상을 갖는 가이드(250)와, 상기 가이드(250)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승하강 로드(257)와, 상기 승하강 로드(257)를 일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258)와, 상기 승하강 로드(257)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각,판목재(w)에 접촉되는 가이드 롤러(259)와, 상기 승하강 로드(257)의 하강 동작을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근접 스위치(260)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61은 감지수단(251)의 상,하 이동을 위한 조절수단을 보인 것이고, 262는 감지수단(251)의 수평 방향 이동을 위한 조절수단을 보인 것이다.
상기 각,판목재 자동 분류장치(J)는 도 71 및 도 7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 콘베이어(242)의 소정 부위에 이면 갱립 배출 죽데기 자동 분류장치(I)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브래키트(271)와, 상기 브래키트(27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전동기(272)와, 상기 브래키트(271)에 회전 가능하도록 각각 결합되는 볼 스크류(273)와, 상기 전동기(272)의 동력을 볼 스크류(273)로 각각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274)과, 상기 볼 스크류(273)에 각각 결합되어 볼 스크류(273)의 회전으로 왕복이동되면서 죽데기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스토퍼(275)(275')와, 상기 스토퍼(275)(275')에 인접한 복수개의 이송용 롤러(243)의 회전 중심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죽데기는 아니지만 품질이 좋지 않은 각,판목재를 하측으로 낙하시키는 낙하수단(276)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낙하수단(276)은 롤러를 사용하거나 아니면 수평 콘베이어(242)를 가로지르는 체인에 어태치먼트를 부착한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낙하수단(276)으로 롤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롤러에 경사면을 형성하거나 또는 나사산을 형성하여, 죽데기의 이송시 자연스럽게 수평 콘베이어(242)의 양측으로 낙하시킬 수 있다.
상기 각,판목재 자동 분기 상승장치(K)는 도 73 내지 도 7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 콘베이어(242)의 단부에 양측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프레임(281)(282)과, 상기 프레임(281)(282)의 하측부에 각각 설치되는 전동기(283)(284)와, 상기 프레임(281)(282)의 하부 및 상부에 각각 지지되는 구동 및 종동 타이밍 풀리(285)(286),(287)(288)와, 상기 구동 및 종동 타이밍 풀리(285)(286),(287)(288)를 연결함과 아울러 전동기(283)(284)의 구동으로 이동하는 는 타이밍 벨트(289)(290)와, 상기 타이밍 벨트(289)(290)의 소정 부위에 각각 고정되어 전동기(283)(284)의 구동으로 승하강되면서 각,판목재의 중간부를 리프팅하는 승하강 슬라이더(291)(29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291)(292)는 리프터(293)(294)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리프터(293)(294)는 전동기, 체인 등으로 구성된 구동수단(295)(296)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97,298은 타이밍 벨트(289)(290)의 텐션을 조절하는 텐션 조절수단을 보인 것이다.
상기 제 1 각,판목재 자동 적하장치(L)는 도 76 내지 도 7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281)(282)의 상부 양측에 수평 콘베이어(242)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301)과, 상기 가이드 레일(301)에 전동기, 랙크, 피니언, 가이드 롤러 등의 수평 이송수단(302)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실린더를 포함하는 승하강 구동수단(303)으로 승하강되면서 각,판목재의 중간부 양측을 잡아주는 중간 픽업수단(304)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중간 픽업수단(304)은 리니어 가이드(305)의 안내를 받으며 직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중간 픽업수단(304)은 양측에 핑거(304')를 구비하여 실린더의 구동으로 작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각,판목재 자동 적하장치(M)는 도 79 내지 도 8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각,판목재 자동 적하장치(L)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프레임(311)과, 상기 프레임(311)에 직선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더(312)와, 상기 슬라이더(312)에 장착되어 직선 왕복 이동을 안내하는 래크 및 피니언으로 이루어진 안내수단(313)과, 상기 안내수단(313)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전동기, 스프로킷 및 체인으로 이루어진 구동수단(314)과, 상기 슬라이더(312)를 관통하는 회전축(315)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316)와, 상기 구동수단(316)의 구동으로 예를 들어, 105°의 각도로 회전되는 핑거(317)와, 상기 핑거(317)를 소정의 각도로 벌리거나 오므리도록 조절하는 실린더 및 복수개의 링크를 포함한 구동수단(318)과, 상기 핑거(317)에 의해 픽업한 각,판목재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 케이스(319)와, 상기 슬라이더(312)의 하측에 설치되어 수납 케이스(319)에 수납된 각,판목재를 1본씩 이송시키는 이송수단(32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이송수단(320)은 전동기(321)와, 복수개의 이송 롤러(322)와, 상기 이송 롤러(322)의 회전으로 이송되는 이송 부재(323)과, 상기 이송 부재(323)에 형성되는 어태치먼트(32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수납 케이스(319)에 적층되는 각,판목재는 자중에 의해 낙하되며, 그 최하측의 각,판목재가 이송 부재(323)의 어태치먼트(324)에 의해 취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살대 저장 자동 적하장치(N)는 도 82 내지 도 8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및 2 각,판목재 자동 적하장치(L)(M)의 설치 부위에 설치되는 바, 그 구성을 살펴보면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설치되는 1쌍의 브래키트(331)(332)와, 상기 일측 브래키트(331)의 소정 부위에 고정되는 전동기(333)와, 상기 브래키트(331)(332)를 연결하는 볼 스크류(334) 및 리니어 가이드(335)와, 상기 전동기(333)의 동력을 볼 스크류(334)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336)과, 상기 볼 스크류(334) 및 리니어 가이드(335)에 결합되어 볼 스크류(334)의 회전으로 리니어 가이드(335)를 따라 직선 왕복 이동되는 슬라이더(336)와, 상기 브래키트(331)(332)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내부에 살대(337)가 예를 들어, 20열 정도로 수납되는 살대 하우징(338)(339)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슬라이더(334)는 살대 하우징(338)(339)에 수납된 일정한 개수의 살대(337)를 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더(334)가 이동되는 도중에 살대(337)를 생산품의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투하하면서 지나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생산품 자동 리프팅 적재장치는(O)는 도 85 내지 도 8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상(E)에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 수납 구덩이(341)의 저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342)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42)로부터 평행하도록 지지되고 상면에 팰릿(P)이 얹혀지는 지지 플레이트(343)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42) 및 지지 플레이트(343)를 X자 형태로 연결하는 제 1 및 2 작동 플레이트 레버(344)(345)와, 상기 제 1 및 2 작동 플레이트 레버(344)(345)를 승하강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제 1 및 2 작동 플레이트 레버(344)(345)의 양측단부는 베이스 플레이트(342) 및 지지 플레이트(343)의 양측단부에 연결핀(356)(357),(358)(359)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구동수단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전동기(360)와, 상기 전동기(360)의 출력측에 설치되고 제 1 및 2 작동 플레이트 레버(344)(345)의 교차 부위에 연결축(361')으로 연결되는 기어 박스(361)와, 상기 기어 박스(361)의 양측에 전동기(360)의 구동으로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볼 스크류(362)(363)와, 상기 볼 스크류(362)(363)에 결합되는 슬라이더(364)와, 상기 슬라이더(364)의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슬라이더(364)의 이동에 따라 제 1 및 2 작동 플레이트 레버(344)(345)를 접거나 펼치도록 하는 작동 롤러(365)(366)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생산품 자동 리프팅 장치(O)는 전동기(360)를 구동원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순간 정지 기능이 우수하고, 승하강 높이의 정밀 제어가 가능하며, 고하중에 매우 유리한 이점을 갖는다.
한편, 도 88 내지 도 89는 후판목재 자유 흐름 이송장치(P)(Q)를 보인 것으로, 그 후판목재 자유 흐름 이송장지(P)(Q)는 앞에서 설명한 판목재 자유 흐름 적치 이송장치(C) 및 각목재 자동 적하장치(D)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중 370은 수동 제재기(3)의 수평 콘베이어, 371,381은 프레임, 372,382는 구동수단, 373,383은 스프로킷, 374,384는 체인을 각각 보인 것이다.
상기 후판목재 자동 적하장치(R)는 앞에서 설명한 각목재 자동 적하장치(E)(도 50 내지 도 52)와 동일한 구조이며, 후판목재 자동 리프팅 적재장치(S)는 앞에서 설명한 생산품 자동 리프팅 적재장치(O)(도 85 내지 도 87)와 동일한 구조이다.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제재 공정의 자동화 설비를 구성하는 생산품 자동 반출 설비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동 제재기(1)를 지나면서 성형된 각,판목재는 이송용 롤러(135)에 의해 수평 콘베이어(134)를 따라 이송된다. 이때, 도 9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목재(a)의 양측에 판목재(b)가 분리되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각목재의 양측에 절단된 판목재가 떨어지지 않고 같이 가이드 브래키트(142)의 사이를 지나게 되는 바, 전동기(146)의 구동으로 구동 스프로킷(143) 및 종동 스프로킷(144)가 회전되면서 어태치먼트(148)(149)가 각,판목재의 이송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이송되며, 이에 따라 가운데의 각목재만을 전방측으로 빠른 속도로 이송시킴으로써 각목재와 판목재를 분류시키게 된다.
이때, 각,판목재 모두 판목재 자유 흐름 적치 이송장치의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판목재만 이동하거나 또는 각,판목재의 어느 것도 판목재 자유 흐름 적치 이송장치으로는 이동시키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판목재 자유 흐름 적치 이송장치(C)는 항상 자유로운 상태이며, 작업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작동시키도록 한다.
만일, 각,판목재를 생산품 자동 리프팅장치(O)로 이송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판목재 자유 흐름 적치 이송장치(C)를 구동하게 되면, 이송용 자유 흐름 체인(158)의 이동에 의해 수작업이 가능한 생산품 자동 리프팅 적재장치로 향하게 된다.
한편, 각,판목재가 함께 수평 콘베이어(134)를 따라 이송되는 과정에서 죽데기(c)는 하측으로 떨어지게 되며, 상기 수평 콘베이어(134)의 안내를 받으며 이송되는 각,판목재는 마지막 부분에서 각목재 자유 제어 적치 이송장치(D)에 의해 직각 방향으로 이송된다.
이와 같이, 각목재 자유 제어 적치 이송장치(D)로 안내된 각,판목재는 각목재 자동 적하장치에 의해 생산품 자동 리프팅장치(O)로 이송되거나 또는 이면 갱립 절단 톱기계(2)의 방향으로 이송된다.
이때, 생산품 자동 리프팅장치(O)의 적하된 각,판목재가 역으로 이송되어 이면 갱립 절단 톱기계(2)의 방향을 향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각목재 자동 적하장치(E)에 의해 이송된 각,판목재를 생산품 자동 리프팅장치(O)로 적하시킬 경우에는 중간 픽업수단(195)이 수평 이송수단(193)의 안내를 받으며 각,판목재의 직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 후, 각,판목재의 길이에 따라서 사이드 픽업수단(197)이 적당한 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승하강 구동수단(194)의 구동에 의해 중간 픽업수단(195)이 소정의 거리만큼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중간 픽업수단(195)이 하강된 상태에서 사이드 픽업수단(197)의 구동으로 각,판목재의 양측단부를 각각 지지한 다음, 중간 픽업수단(195)이 상승하면서 각,판목재의 중간 양측부를 척킹하게 된다.
이때, 상기 사이드 픽업수단(197)은 그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거나 또는 각,판목재의 지지 상태를 해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각,판목재가 중간 픽업수단(195)에 의해 척킹된 상태에서 중간 픽업수단(195)이 수평 이송수단(193)의 안내를 받으며 생산품 자동 리프팅장치(O)로 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중간 픽업수단(195)이 생산품 자동 리프팅장치(O)의 소정 부위로 이동하게 되면, 사이드 픽업수단(197)이 각,판목재의 양측단부를 다시 잡으며, 중간 픽업수단(195)의 척킹 상태를 해제시키고, 중간 픽업수단(195)이 하강하여 각,판목재를 생산품 자동 리프팅장치(O)의 소정 위치로 적하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각,판목재를 이면 갱립 절단톱 기계(2)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에는 각,판목재의 투입 기준점을 조정하게 된다.
즉, 각목재 자유 제어 적치 이송장치(D)로부터 이송되는 각,판목재가 수평 콘베이어(202)의 이송용 롤러(203)의 안내를 받으며 이송되는 바, 이때 각,판목재가 이송 라인에 대하여 정상적으로 곧바로 이송되지 못하고 기울어진 상태로 이송되는 경우에는 수평 콘베이어(202)의 전,후방에 각각 고정된 전동기(225)(226)의 구동으로 회전되는 볼 스크류(227)(228)에 의해 그 볼 스크류(227)(228)에 결합된 슬라이더(231)(232)의 가이드 롤러(229)(230)가 내측으로 각각 이동함으로써 각,판목재의 선단부 및 후단부를 안정하게 잡아주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투입 기준점을 조정한 각,판목재는 수평 콘베이어(202)를 따라 진행하여 이면 갱립 절단톱 기계(2)의 입구측에서 가압수단(211)이 승하강 구동수단(210)에 의해 하강하게 되며, 그 승하강 구동수단(210)의 가압 롤러(212)가 각,판목재의 선단부 상면을 소정의 압력으로 누르게 되며, 따라서 각,판목재가 가압 롤러(212)에 의해 좌우로 틀어짐 없이 보다 안정하게 이면 갱립 절단톱 기계(2)로 진행하게 된다.
상기 이면 갱립 절단톱 기계(2)를 지난 각,판목재는 소정의 크기로 절단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각,판목재의 양측연부에 죽데기가 발생하게 되고, 또한 원목 자체의 휨 또는 옹이로 인하여 완성품으로서의 가치가 없는 각,판목재가 발생하는 경우를 배제할 수 없다.
만일, 각,판목재의 양측연부에 휨 또는 옹이 부분이 발생할 경우에는 각,판목재의 이송 경로상에 설치된 승하강 로드(257)가 휨 또는 옹이로 인한 공간에 위치하게 되므로 탄성부재(258)의 복원력에 의해 승하강 로드(257)가 하강하게 되고, 따라서 근접 스위치(260)에서 신호가 발생하여 해당 전동기(272)를 구동시키게 되며, 상기 전동기(272)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서 해당 볼 스크류(254)가 회전하여 해당 스토퍼(275)(또는, (275'))를 소정 위치로 이송시키게 된다.
한편, 각,판목재 및 죽데기가 수평 콘베이어(242)를 따라 이송되다가 죽데기는 스토퍼(255)(255')에 의해 하측으로 낙하되며, 이 후, 계속하여 진행하다가 휨 또는 옹이로 인하여 완성품으로서의 가치가 없는 각,판목재는 상기한 스토퍼(275)(또는, (275'))에 걸리는 동시에, 이송용 롤러(243)의 양측에 구비된 낙하수단(275)의 안내를 받으며 하측으로 낙하된다.
상기 수평 콘베이어(242)의 최종단에 도달한 각,판목재는 생산품 자동 리프팅장치(O)에 적하시키게 된다. 즉, 수평 콘베이어(242)의 최종단에 각,판목재가 안착되고 승하강 슬라이더(291)(292)가 각각 상승된 상태에서 먼저, 구동수단(295)(296)의 구동으로 리프터(293)(294)를 상하 방향으로 세워 척킹 준비를 한다.
이 후, 전동기(283)(284)에 전원을 인가하여 타이밍 벨트(289)(290)를 하강시킴으로써 승하강 슬라이더(291)(292)를 하강시키게 된다.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291)(292)가 완전하게 하강된 상태에서 구동수단(295)(296)의 구동으로 리프터(293)(294)를 내측을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각각 회전시키면, 그 리프터(291)(292)의 상면에 각,판목재가 얹혀지게 되며, 다시 전동기(283)(284)를 역으로 구동시켜 타이밍 벨트(289)(290)를 상승시킴으로써 각,판목재를 소정의 높이로 상승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중간 픽업수단(304)이 수평 이송수단(302)에 의해 가이드 레일(301)을 따라 각,판목재의 상측으로 이동한 후, 승하강 구동수단(303)의 구동으로 하강하고, 각,판목재를 척킹하여 제 2 각,판목재 자동 적하장치(M)로 이송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각,판목재는 제 2 각,판목재 자동 적하장치(M)의 핑거(317)로 이송되어 다시 수납 케이스(319)의 저부에 순차적으로 적재된다.
이 후, 슬라이더(312)는 안내수단(313)의 안내를 받으며 직선 이동을 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이송수단(320)의 구동으로 이송 부재(323)의 어태치먼트(324)가 이동하면서 1본의 각,판목재를 생산품 자동 리프팅장치(O)로 적하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이송 부재(323)과 수납 케이스(319)의 최하단 사이의 거리는 각,판목재의 두께보다 약간 크게 하여, 어태치먼트(324)의 이동에 의해 최하측의 각,판목재만 이송되고 바로 위의 각,판목재는 수납 케이스(319)의 하단부에 걸려 이동되지 못하게 된다.
한편, 생산품 자동 리프팅장치(O)에 각,판목재를 1층 적재시킨 후, 살대 저장 자동 적하장치(N)의 구동으로 복수개의 살대(337)를 각,판목재의 상면에 가로질러 배열되며, 다시 살대(337)의 상부에 각,판목재를 다시 1층 적재시키는 작업을 반복하여, 상,하층 각,판목재의 사이로 충분한 공기가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건조 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 생산품 자동 리프팅장치(O)의 높이를 조절함에 있어서는, 전동기(360)에 전원이 인가되면, 그 전동기(360)의 동력이 볼 스크류(362)(363)로 전달되어 슬라이더(364)를 왕복 이동시키게 되고, 상기 슬라이더(364)가 볼 스크류(362)(363)를 따라서 이동되는 동시에, 그 양측에 설치된 작동 롤러(365)(366)가 제 1 및 2 작동 플레이트 레버(344)(345)의 교차 부위를 밀거나 밀려서 제 1 및 2 작동 플레이트 레버(344)(345)가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함으로써 그 전체적인 높이의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죽데기 자동 반출 설비는 도 9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검대(80)의 주변에 떨어져 있는 수피를 수거하기 위한 수피 이송장치(가)와, 자동 제재기(1)로부터 발생되는 수피 및 톱밥을 이송시키는 자동 제재기 수피 및 톱밥 이송장치(나)와, 자동 제재기(1)의 주변에서 발생되는 수피 및 죽데기를 이송시키는 수피 및 죽데기 이송장치(다)와, 자동 제재기(1)로부터 발생되는 죽데기를 이송시키는 자동 제재기 죽데기 이송장치(라)와, 이면 갱립 절단톱 기계(2)로부터 발생되는 죽데기를 이송시키는 이면 갱립기 죽데기 이송장치(마)와, 상기 자동 제재기 수피 및 톱밥 이송장치(나), 수피 및 죽데기 이송장치(다) 및 자동 제재기 죽데기 이송장치(라) 및 이면 갱립기 죽데기 이송장치(마)의 죽데기, 수피 및 톱밥을 종합적으로 이송시키는 죽데기, 수피 및 톱밥 종합 이송장치(바)와, 죽데기, 수피 및 톱밥을 분리하는 죽데기, 수피 및 톱밥 분리장치(사)와, 수거 톱밥을 강제 흡입하여 사일로(silo)로 배출시키는 톱밥 흡입 이송장치(아)와, 죽데기 및 수피를 지게차로 수거하기 위하여 단위 절단하는 자동 제재기측 죽데기 및 수피 단위 절단장치(자)와, 수거된 죽데기 및 수피를 절단하여 톱밥으로 만드는 톱밥 제조기(차)와, 상기 톱밥제조기(차)의 이상 발생시 비상 작동으로 죽데기 및 수피를 다른 경로로 배출시키는 죽데기 및 수피 배출 이송장치(카)와, 수동 제재기(3)에서 발생된 죽데기를 이송시키는 수동 제재기 죽데기 이송장치(타)와, 양면 절단톱 기계(4)로부터 발생되는 죽데기를 이송시키는 양면 절단톱 기계 죽데기 이송장치(파)와, 수동 제재기(3) 및 양면 절단톱 기계(4)로부터 발생된 죽데기 및 수피를 종합적으로 이송시키는 죽데기 및 수피 종합 이송장치(하)와, 수동 제재기(3) 및 양면 절단톱 기계(4)로부터 발생된 죽데기 및 수피를 지게차로 수거하기 위하여 단위 절단하는 수동 제재기측 죽데기 및 수피 단위 절단장치(거)와, 단위 절단된 죽데기 및 수피를 배출시키는 죽데기 및 수피 배출 이송장치(너)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수피 이송장치(가)는 도 92 내지 도 9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검대(80)의 하측 소정 부위에 설치되는 상부 슈트(shute)(401)와, 상기 슈트(401)의 일측연부에 설치되는 제 1 콘베이어 장치(402)와, 지상에 제 1 콘베이어 장치(402)의 출구측에서 직각을 이루며 설치되는 복수개의 제 2,3,4 콘베이어 장치(403)(404)(405) 및 복수개의 슈트(406)(407)(408)와, 상기 제 2,3,4 콘베이어 장치(403)(404)(405)의 출구측에 직각을 이루며 설치되는 제 5 콘베이어 장치(409)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 1 콘베이어 장치(402)는 도 95 내지 도 9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형상을 갖는 프레임(410)과, 상기 프레임(4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콘베이어(411)와, 상기 콘베이어(411)에 설치되는 콘베이어 벨트(412)와, 상기 프레임(410)에 고정되는 전동기(413)와, 동력전달수단(414)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 2,3,4 콘베이어 장치(403)(404)(405)는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편의상 제 2 콘베이어 장치(403)에 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제 2 콘베이어 장치는(403)는 도 98 내지 도 10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형상을 갖는 프레임(420)과, 상기 프레임(420)의 상부에 설치되는 콘베이어(421)와, 상기 콘베이어(421)에 설치되는 콘베이어 벨트(422)와, 상기 프레임(420)에 고정되는 전동기(423)와, 동력전달수단(424)을 포함하고 있다.
도 97 및 도 100의 미설명 부호 415 및 425는 수피 등의 운반물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사이드 가이드를 보인 것이다.
상기 제 5 콘베이어 장치(409)는 도 101 내지 도 10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형상을 갖는 프레임(430)과, 상기 프레임(430)의 상부에 소정의 경사각으로 설치되는 콘베이어(431)와, 상기 콘베이어(431)에 설치되는 콘베이어 벨트(432)와, 상기 프레임(430)에 고정되는 전동기(433)와, 동력전달수단(434)을 포함하고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435, 436, 437, 437'은 콘크리이트 블록을 보인 것이다.
상기 자동 제재기 수피 및 톱밥 이송장치(나)는 도 104 내지 도 10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형상을 갖는 프레임(440)과, 상기 프레임(440)의 상부에 소정의 경사각으로 설치되는 콘베이어(441)와, 상기 콘베이어(441)에 설치되는 콘베이어 벨트(442)와, 상기 프레임(440)에 고정되는 전동기(443)와, 동력전달수단(444)과, 슈트(445)(도 109도 참조)와, 도 107 내지 도 10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형상을 갖는 프레임(450)과, 상기 프레임(450)의 상부에 소정의 경사각으로 설치되는 콘베이어(451)와, 상기 콘베이어(451)에 설치되는 콘베이어 벨트(452)와, 상기 프레임(450)에 고정되는 전동기(453)와, 동력전달수단(454)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수피 및 죽데기 이송장치(다)는 도 110 내지 도 1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자동 제재기 수피 및 톱밥 이송장치(나)의 배출구측에 직각을 이루며 배치되어 있고, 소정의 형상을 갖는 프레임(460)과, 상기 프레임(460)의 상부에 소정의 경사각으로 설치되는 콘베이어(461)와, 상기 콘베이어(461)에 설치되는 콘베이어 벨트(462)와, 상기 프레임(460)에 고정되는 전동기(463)와, 동력전달수단(464)과, 슈트(467)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자동 제재기 죽데기 이송장치(라)는 도 116 내지 도 1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형상을 갖는 프레임(470)과, 상기 프레임(470)의 상부에 설치되는 콘베이어(471)와, 상기 콘베이어(471)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어태치먼트(472)가 구비된 복수개의 체인(473)과, 상기 콘베이어(471)의 상면에 고정되어 죽데기의 낙하를 방지하는 복수개의 수판(474)와, 상기 프레임(470)에 고정되는 전동기(475)와, 동력전달수단(476)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이면 갱립기 죽데기 이송장치(마)는 도 119 및 도 1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자동 제재기 죽데기 이송장치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다만 콘베이어(481)(491)가 소정의 경사각으로 배치되는 점만 상이하다. 그 상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482,492는 체인, 483,493은 어태치먼트, 484,494는 수판을 각각 보인 것이다.
상기 죽데기, 수피 및 톱밥 종합 이송장치(바)는 도 121 및 도 1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형상을 갖는 프레임(501)과, 상기 프레임(501)의 상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개의 콘베이어(502)와, 상기 콘베이어(502)에 설치되는 이송용 롤러(503)와, 상기 프레임(501)에 고정되는 전동기(504)와, 동력전달수단(505)과, 상기 프레임(501)에 인접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프레임(511)과, 프레임(501)의 상부에 설치되는 콘베이어(512)와, 상기 콘베이어(512)에 설치되는 콘베이어 벨트(513)와, 상기 프레임(511)에 고정되는 전동기(514)와, 동력전달수단(515)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톱밥 흡입 이송장치(아)는 도 123 내지 도 1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형상을 갖는 프레임(521)과, 상기 프레임(521)의 상부에 설치되는 콘베이어(522)와, 상기 콘베이어(522) 및 그 하부에 설치되는 가이드 수단(523)과, 상기 가이드 수단(523)에 지지되는 망사형 벨트(524)와, 상기 프레임(521)에 고정되는 전동기(525)와, 동력전달수단(526)과, 상기 콘베이어(522)의 하측에 설치되어 망사형 벨트(524)를 통과한 톱밥을 수거하는 호퍼(527)와, 상기 호퍼(527)의 출구측에 연결되는 톱밥 배출관(528)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죽데기 및 수피 단위 절단장치(자)는 도 126 내지 도 1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형상을 갖는 프레임(531)과, 상기 프레임(530)의 상면 양측에 고정되는 브래키트(532)와, 상기 브래키트(532)의 상단부에 힌지수단(533)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1쌍의 회동 레버(534)와, 상기 회동 레버(534)의 단부에 고정되는 전동기(535)와, 상기 전동기(535)의 회전축(536)에 고정됨과 아울러 회동 레버(534)의 사이에 개재되는 원판 커터(537)와, 상기 회동 레버(534)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구동수단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로드(538)가 구비된 실린더(539)와, 상기 실린더(539)의 로드(538)와 힌지수단(533)을 연결하는 연결부재(540)로 구성한다.
상기 실린더(539)의 로드(538)와 연결부재(540)는 서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고, 힌지수단(533)과 연결부재(540)는 일체로 고정한다.
상기 톱밥 제조기(차)는 일반적인 구성을 갖는 것으로, 도 1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톱밥 흡입 배출장치(아)와 서로 통하도록 연결하며, 상기 톱밥 흡입 배출장치(아)에는 톱밥 배출관(528)과 통하도록 연결됨과 아울러 외부의 사이로와 연결되는 톱밥 메인 배출관(541)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죽데기 및 수피 배출 이송장치(카)는 도 129 및 도 1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에서 설명한 이면 갱립기 죽데기 이송장치(마) 및 자동 제재기 죽데기 이송장치(라)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며, 다만 콘베이어(551)(561)가 수평 및 소정의 경사각으로 배치되는 점만 상이하다. 그 상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552,562는 체인, 553,563은 격판, 554,564은 어태치먼트를 각각 보인 것이다.
상기 수동 제재기 죽데기 이송장치(타) 및 상기 양면 절단톱 기계 죽데기 이송장치(파)는 앞에서 설명한 자동 제재기 죽데기 이송장치(라)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죽데기 및 수피 종합 이송장치(하)는 도 121 및 도 122에 도시한 바와 같으며, 그 구성은 앞에서 설명한 죽데기, 수피 및 톱밥 종합 이송장치(바)와 동일하고, 상기 수동 제재기측 죽데기 및 수피 단위 절단장치(거)는 역시 앞에서 설명한 자동 제재기측 죽데기 및 수피 단위 절단장치(자)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죽데기 및 수피 배출 이송장치(너)는 앞에서 설명한 죽데기 및 수피 배출 이송장치(카)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제재 공정의 자동화 설비를 구성하는 죽데기 자동 반출 설비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원목의 이송 작업에 의해 발생되는 수피는 점검대(80)의 하측으로 낙하되어 상부 슈트(401)를 통해 제 1 콘베이어 장치(402)로 안내된 후, 콘베이어 벨트(412)를 타고 하측으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슈트(401)에 바이브레이터 등을 이용하여 진동을 부여하면 수피의 이송 동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 1 콘베이어 장치(402)의 안내를 받으며 낙하된 수피는 제 2 콘베이어 장치(403)의 콘베이어 벨트(422)를 따라 제 5 콘베이어 장치(409)로 이송되는 동시에, 경사 공급장치(VI)를 지나면서 낙하되는 수피는 제 3 및 4 콘베이어 장치(404)(405)의 안내를 받으며 제 5 콘베이어 장치(409)로 이송된다.
이 후, 제 5 콘베이어 장치(409)로 이송된 수피는 콘베이어 벨트(432)의 안내를 받으며 자동 제재기 수피 및 톱밥 이송장치(나)로 이송된다.
상기 자동 제재기 수피 및 톱밥 이송장치(나)로 이송된 수피는 자동 제재기(1)의 구동에 의해 발생된 수피 및 톱밥과 함께 콘베이어 벨트(442)를 타고 수피 및 죽데기 이송장치(다)로 이송된다.
이와 같이, 수피 및 죽데기 이송장치(다)로 이송된 수피 및 톱밥은 자동 제재기(1)의 구동에 의해 발생된 죽데기와 함께 죽데기, 수피 및 톱밥 종합 이송장치(바)로 이송된다.
한편, 자동 제재기(1)와 이면 갱립 절단톱 기계(2)를 지나면서 발생된 죽데기, 수피 및 톱밥은 자동 제재기 죽데기 이송장치(라) 및 이면 갱립기 죽데기 이송장치(마)의 어태치먼트(472)의 이동에 의해 죽데기, 수피 및 톱밥 종합 이송장치(바)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이면 갱립기 죽데기 이송장치(마)로 이송되는 비교적 길이가 긴 죽데기 및 수피는 죽데기 및 수피 절단장치(자)에 의해 단위 절단이 된다.
즉, 회동 레버(534)가 상방향으로 회동한 상태에서 죽데기 및 수피가 그 하측을 지나가면 실린더(539)가 구동하여 로드(538)가 연결부재(540)를 후방으로 밀어 회동 레버(534)를 하방향으로 회동시키며, 상기 회동 레버(534)가 회동되면서 원판 커터(537)에 의해 죽데기 및 수피를 절단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 후, 죽데기, 수피 및 톱밥 종합 이송장치(바)로 수거된 죽데기, 수피 및 톱밥은 콘베이어 벨트(513)의 안내를 받으며 죽데기, 수피 및 톱밥 분리장치(사)를 지나게 되는 바, 톱밥은 망사형 벨트(524)를 통해 낙하되어 호퍼(527)로 수거되고, 톱밥 배출관(528)을 통해 외부의 사이로로 배출된다.
상기 망사형 벨트(524)를 통과하지 못한 죽데기 및 수피는 톱밥 제조기(차)로 이송되어, 그 내부에서 통상적인 작용에 의해 톱밥으로 되어, 톱밥 메인 배출관(528)을 통해 상기한 톱밥 배출관(528)으로 배출되는 톱밥과 함께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죽데기, 수피 및 톱밥 배출 작업에 따른 주요 부품에 과부하가 걸리거나 또는 기계적인 트러블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콘베이어 벨트(513)가 역방향으로 구동하게 되며, 따라서 죽데기, 수피 및 톱밥은 죽데기 및 수피 배출 이송장치(카)의 방향으로 이송되고, 어태치먼트(564) 등의 통상적인 이송수단에 의해 배출된다.
상기 죽데기 및 수피 배출 이송장치(카)의 배출구에 지게차가 대기하고 있다가 배출되는 죽데기, 수피 및 톱밥을 수거하도록 한다.
한편, 수동 제재기(3)로부터 발생되는 죽데기 및 수피는 앞에서 설명한 동일 방법으로 지게차를 이용하여 수거하게 되는 것이다.
도 131은 본 발명에 의한 제재 공정의 자동화 설비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동 제재기측 및 자동 제재기측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오버 헤드 트롤리 시스템(over head trolley system)을 설치하여, 작업의 자동화를 완벽하게 실현하도록 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원목의 자동 제재 방법을 자동화하였으나, 자동 제재기(1) 및 수동 제재기(3)에서 각각 완성시킨 각,판목재를 서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최소의 작업 인원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재 공장의 지붕(72)에 소정의 형상을 갖는 가이드 레일(601)을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601)의 내부에 트롤리 레일 및 체인(602)을 설치하며, 상기 트롤리 레일 및 체인(602)에 이동카(603)를 연결 설치하여, 카타 필라 방식의 트롤리 체인 구동부(604)의 구동으로 이동카(603)가 가이드 레일(601)을 따라 이동하면서 후판목재 자동 적하장치(R) 및 후판목재 자동 리프팅 적재장치(S)에 적재된 생산품을 각목재 자동 적하장치(E) 및 생산품 자동 리프팅 적재장치(O)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이동카(603)에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앞에서 여러번 설명한 방법으로 전동기 및 콘베이어, 이송 롤러 등을 탑재하여 각,판목재의 인출 및 수납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각,판목재 등의 생산품을 배출시킬 경우에는 가이드 레일(601)의 소정 부위에 배치된 배출용 콘베이어 장치(605)를 이용하게 된다.
상기 배출용 콘베이어 장치(605)도 앞에서 설명한 동일 방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배출용 콘베이어 장치(605)의 배출구에서 지게차가 대기하고 있다가 생산품을 적재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원목의 자동 제재방법 및 제재 공정의 자동화 설비에 관한 것으로, 야적장의 원목을 자동 및 수동 제재기로 1본씩 자동적으로 공급하는 원목 자동 이송 단계와, 상기 자동 및 수동 제재기를 통과한 각,판목재를 자동으로 적재시키는 생산품 자동 반출 단계와, 원목의 공급 단계에서 발생된 수피 및, 자동 및 수동 제재기 등을 지나면서 발생된 죽데기, 수피 및 톱밥을 수거하여 배출시키는 죽데기 자동 반출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원목의 제재 공정의 철저한 관리로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하며, 작업의 안전성을 보장하여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Claims (31)

  1. 야적장의 원목을 1본씩 소정의 높이로 상승시키고 소정 거리만큼 직선 이동시키는 단계와, 그 원목을 다시 하강시켜 자동 제재기로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자동 제재기를 통과한 원목의 각,판목재를 적재시키거나 또는 이면 갱립 절단톱 기계로 이송시키는 단계와, 상기 이면 갱립 절단톱 기계를 통과한 각,판목재를 자동으로 적재시키는 단계와, 상기 원목의 공급 단계에서 발생된 수피 및, 자동 제재기 및 갱립 절단톱 기계를 지나면서 발생된 죽데기 및 톱밥을 수거하는 단계와, 상기 죽데기, 수피 및 톱밥을 배출시키는 단계와, 수동 제재기를 통과한 각,판목재를 적재하는 단계와, 상기 수동 제재기를 지나면서 발생된 죽데기 및 수피 및, 양면 절단톱 기계를 지나면서 발생된 죽데기를 수거하는 단계와, 상기 죽데기 및 수피를 배출시키는 일련의 단계를 자동적으로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의 자동 제재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제재기 및 자동 제재기의 생산품 이동 작업을 무인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의 자동 제재방법.
  3. 야적장의 원목을 자동 제재기로 1본씩 자동적으로 공급하는 원목 자동 이송설비와, 상기 자동 제재기를 통과한 각,판목재를 자동으로 적재시키거나 또는 이면 갱립 절단톱 기계로 이송시킨 후 자동으로 적재하는 생산품 자동 반출 설비와, 원목의 공급 단계에서 발생된 수피 및, 자동 제재기 및 갱립 절단톱 기계를 지나면서 발생된 죽데기 및 톱밥을 수거하여 배출시키는 죽데기 자동 반출 설비와, 수동 제재기를 통과한 각,판목재를 자동으로 적재하는 생산품 자동 반출 설비와, 상기 수동 제재기를 지나면서 발생된 죽데기 및 수피 및, 양면 절단톱 기계를 지나면서 발생된 죽데기를 수거하고 배출시키는 죽데기 자동 반출 설비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재 공정의 자동화 설비.
  4. 야적장의 원목을 자동 제재기로 1본씩 자동적으로 공급하는 원목 자동 이송설비와, 상기 자동 제재기를 통과한 각,판목재를 자동으로 적재시키거나 또는 이면 갱립 절단톱 기계로 이송시킨 후 자동으로 적재하는 생산품 자동 반출 설비와, 원목의 공급 단계에서 발생된 수피 및, 자동 제재기 및 갱립 절단톱 기계를 지나면서 발생된 죽데기 및 톱밥을 수거하여 배출시키는 죽데기 자동 반출 설비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재 공정의 자동화 설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원목 자동 이송설비는 등급이 분류된 복수개의 원목을 수평 콘베이어를 이용하여 소정의 위치로 수평 이동시키는 적어도 1쌍 이상의 적치 공급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재 공정의 자동화 설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치 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원목을 1본씩 2단 경사 콘베이어장치를 이용하여 소정의 높이로 경사 이동시키는 분리 경사 공급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재 공정의 자동화 설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경사 공급장치에 의해 소정의 높이로 이송된 원목을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송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재 공정의 자동화 설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된 원목을 직각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자동 분리 이송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재 공정의 자동화 설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분리 이송장치로부터 이송된 원목을 1본씩 안정하게 이송시키는 자유 흐름 이송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재 공정의 자동화 설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 흐름 이송장치로부터 이송된 원목을 소정의 경사로 하측의 자동 또는 수동 제재기를 향하여 이송시키는 경사 공급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재 공정의 자동화 설비.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품 자동 반출 설비는 자동 제재기에서 성형된 각,판목재를 이송시키는 각,판목재 이송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재 공정의 자동화 설비.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각,판목재 이송장치의 안내를 받으며 이송되는 각목재의 이송 속도를 증가시켜 각목재와 판목재를 분류하는 자동 제재기 각,판목재 자동 분류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재 공정의 자동화 설비.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각,판목재 이송장치의 안내를 받으며 세워져 이송되는 판목재를 눕히고 길이 방향의 판목재를 폭 방향으로 이송시키며 판목재의 어떠한 위치에서도 자유로운 정지와 이송 및 대기를 동시에 하는 판목재 자유 흐름 적치 이송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재 공정의 자동화 설비.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각,판목재 이송장치의 안내를 받으며 이송되는 길이 방향의 각목재를 폭 방향으로 이송시키며 각목재의 어떠한 위치에서도 자유로운 정지와 이송 및 대기를 동시에 하는 각목재 자유 흐름 적치 이송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재 공정의 자동화 설비.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각목재 자유 흐름 적치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각목재를 자동 수급하여 적재하거나 또는 적하 방식 및 규격에 따라 자동으로 공급 또는 적재하는 각목재 자동 적하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재 공정의 자동화 설비.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각목재 자유 흐름 적치 이송장치로부터 각목재를 이면 갱립 절단톱 기계의 방향으로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하면서 이송시키는 이면 갱립 투입 각목재 이송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재 공정의 자동화 설비.
  17. 제 16 항에 있어서, 각목재가 이면 갱립 절단톱 기계에 진입하기 전에 이면 갱립의 최대 수율을 확보하기 위하여 투입 기준점을 자동 조정하는 이면 갱립 투입 기준점 조정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재 공정의 자동화 설비.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면 갱립 절단톱 기계를 통과한 각,판목재를 검사하여 자동 분류하는 이면 갱립 배출 각,판목재 이송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재 공정의 자동화 설비.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면 갱립 배출 각,판목재 이송장치를 지나 배출되는 판목재의 상태를 자동으로 감지 및 인식하여 죽데기를 구분하고 자동 분리하는 이면 갱립 배출 죽데기 자동 분류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재 공정의 자동화 설비.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면 갱립 배출 죽데기 자동 분류장치를 통과한 각,판목재를 자동으로 분류하는 각,판목재 자동 분류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재 공정의 자동화 설비.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각목재 또는 판목재의 생산품을 자동으로 분리하여 일정한 위치에서 자동 적하할 수 있도록 대기하는 각,판목재 자동 분기 상승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재 공정의 자동화 설비.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각,판목재 자동 분기 상승장치에 의해 자동 분기 및 대기중인 생산품을 자동 수급하여 적재 방식 및 규격에 따라 자동으로 적하 공급하는 제 1 각,판목재 자동 적하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재 공정의 자동화 설비.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각,판목재 자동 적하장치로 공급된 각,판목재를 수급하여 적재 방식 및 규격에 따라 자동으로 적하 공급하는 제 2 각,판목재 자동 적하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재 공정의 자동화 설비.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2 각,판목재 자동 적하장치의 각,판목재를 적재함과 동시에 별도로 저장된 복수개의 살대를 자동으로 정렬하고 각,판목재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도록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살대 저장 자동 적하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재 공정의 자동화 설비.
  25. 제 23 항에 있어서, 완성된 생산품을 규정된 단위 적재 규격에 따라 일정한 위치와 높이로 자동으로 상승 및 하강하고 수급 적재하여 단위 적재물을 공급 및 수급하는 생산품 자동 리프팅 적재장치를 더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재 공정의 자동화 설비.
  26. 제 4 항에 있어서, 수동 제재기를 통과한 각,판목재를 자동으로 적재하는 생산품 자동 반출 설비와, 상기 수동 제재기를 지나면서 발생된 죽데기 및 수피 및, 양면 절단톱 기계를 지나면서 발생된 죽데기를 수거하고 배출시키는 죽데기 자동 반출 설비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재 공정의 자동화 설비.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품 자동 반출 설비는 수동 제재기에 의해 완성된 후판목재의 이송 진행 및 적치 대기 동작이 콘베이어 구동상태에서 이루어지도록 하고 후판목재가 어떠한 위치에서도 자유로운 멈춤, 이송 및 대기를 동시에 수행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수동 제재기 후판목재 자유 흐름 이송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재 공정의 자동화 설비.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제재기 후판목재 자유 흐름 적치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후판목재를 자동 수급하여 적재하거나 또는 적하 방식 및 규격에 따라 자동으로 공급 또는 적재하는 후판목재 자동 적하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재 공정의 자동화 설비.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제재기에 의해 완성된 생산품을 규정된 단위 적재 규격에 따라 일정한 위치와 높이로 자동으로 상승 및 하강하고 수급 적재하여 단위 적재물을 공급 및 수급하는 후판목재 자동 리프팅 적재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재 공정의 자동화 설비.
  30.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제재기 및 자동 제재기의 생산품 이동 작업을 무인으로 수행하는 오버 헤드 트롤리 시스템을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재 공정의 자동화 설비.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 헤드 트롤리 시스템은 제재 공장의 지붕에 소정의 형상을 갖고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의 내부에 설치되는 트롤리 레일 및 체인과, 상기 트롤리 레일 및 체인에 연결 설치되는 이동카와, 상기 이동카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가이드 레일의 소정 부위에 설치되는 배출용 콘베이어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재 공정의 자동화 설비.
KR1019980017032A 1998-05-12 1998-05-12 원목의 자동 제재 방법 및 제재 공정의 자동화 설비 KR199900849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7032A KR19990084956A (ko) 1998-05-12 1998-05-12 원목의 자동 제재 방법 및 제재 공정의 자동화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7032A KR19990084956A (ko) 1998-05-12 1998-05-12 원목의 자동 제재 방법 및 제재 공정의 자동화 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4956A true KR19990084956A (ko) 1999-12-06

Family

ID=65891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7032A KR19990084956A (ko) 1998-05-12 1998-05-12 원목의 자동 제재 방법 및 제재 공정의 자동화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8495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151B1 (ko) * 2013-04-09 2014-12-26 (주) 해양목재 원목의 자동 제재 분류 장치
KR102359389B1 (ko) 2021-09-27 2022-02-08 반성욱 원웨이 스마트 제재기
KR102540029B1 (ko) 2023-02-16 2023-06-05 주식회사 하림산업 하측 커팅부를 갖는 원목 제재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151B1 (ko) * 2013-04-09 2014-12-26 (주) 해양목재 원목의 자동 제재 분류 장치
KR102359389B1 (ko) 2021-09-27 2022-02-08 반성욱 원웨이 스마트 제재기
KR102540029B1 (ko) 2023-02-16 2023-06-05 주식회사 하림산업 하측 커팅부를 갖는 원목 제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26771A (zh) 圆木加工流水线
US4003462A (en) Log sorting system
US7801637B2 (en) Method for sorting engineered wood products
CN213946736U (zh) 一种数控优选锯
KR19990084956A (ko) 원목의 자동 제재 방법 및 제재 공정의 자동화 설비
CN209953277U (zh) 一种乳化炸药自动分类堆放装置
CN104525493B (zh) 板料分选送料自动装置及其使用方法
KR101476151B1 (ko) 원목의 자동 제재 분류 장치
CN214732793U (zh) 一种木板送料装置
CN106586498B (zh) 可移动式快递盒传送机构及其工作方法
CN114435896A (zh) 一种复判缓存设备及复判缓存方法
CN113399279A (zh) 一种胶合板木皮筛选装置
CN212399845U (zh) 一种增效减员的原木加工处理系统
CN111477559A (zh) 一种硅片破损检测装置及检测方法
CN220765572U (zh) 一种木材堆垛进料规整装置
CN210679001U (zh) 一种自动输送优选锯平台
US3782540A (en) Lumber separator
KR102031520B1 (ko) 자동쫄대공급장치
CN215156161U (zh) 一种注塑机切胶口配合装箱设备
CN214516114U (zh) 单板分离分拣系统
CN218696671U (zh) 变压器硅钢片切割机分层装置
CN112025849A (zh) 一种增效减员的原木加工处理系统
CN218142414U (zh) 多通道组合式数粒机
CN206501208U (zh) 多功能接板机
CN219295848U (zh) 一种辅食营养包检测堆叠输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