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4790A - 고압기기용 모선접속장치 - Google Patents

고압기기용 모선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4790A
KR19990084790A KR1019980016792A KR19980016792A KR19990084790A KR 19990084790 A KR19990084790 A KR 19990084790A KR 1019980016792 A KR1019980016792 A KR 1019980016792A KR 19980016792 A KR19980016792 A KR 19980016792A KR 19990084790 A KR19990084790 A KR 19990084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bushing
high voltage
adapter
b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6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5902B1 (ko
Inventor
탁성준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1019980016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5902B1/ko
Publication of KR19990084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4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5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59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358Connections to in or out conduc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05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switchgear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02B1/202Cable lay-o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절연부하개폐기 등의 고압기기용 모선접속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장치는 도전부를 일절 기중노출시키지 아니하여 절연성능을 강화하고 작업성을 좋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함체(30,30')의 주회로 모선(31,31')과 대응한 위치에 설치되는 부싱(40,40')을 포함하며, 모선연결용으로서 부싱(40,40')을 통해 주회로 모선(31,31')과 전기접속되는 절연케이블(50,50')을 사용하고 부싱(40,40')과 절연케이블(50,50')의 접속부위를 각각 절연하는 엔드어댑터(60)와 크로스어댑터(60')를 구비한다. 절연케이블과 어댑터에 의하여 도전부위가 일절 기중노출되지 않으므로 절연성능이 강화된 것이다. 따라서 대지간 및 상간절연거리를 좁힐 수 있어서 설비를 소형화할 수 있고 작업자에 대한 안정성을 높이며, 작업성 또한 향상된다.

Description

고압기기용 모선접속장치
본 발명은 함체 내에 고압이 통전되는 주회로 모선을 가지는 각종 고압기기를 기기 상호간 또는 외부회로와 접속하기 위한 고압기기용 모선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배전선로의 분기와 구분개폐 및 보호를 위한 배전시스템을 구축하도록 분기접속되는 여러대의 부하개폐기를 상호 결선하는데 적합한 고압기기용 모선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전선로에 있어서는, 선로의 개보수공사를 위해서 또는 사고나 고장발생으로 정전작업을 하는 경우에, 선로 전체를 정전시키지 않고 최소한의 구간만 끊어서 전력공급의 신뢰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따라 수용가 중심지에는 각 수용가의 변압기 급전선을 분기하여 각각 개폐할 수 있는 여러 대의 구분용 부하개폐기를 하나의 큐비클에 내장한 배전시스템이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배전시스템의 큐비클은 설치장소를 고려하여 가능한 소형으로 제작될 필요가 있으며, 또한 작업자의 접근을 위해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어야 한다.
도 1은 배전선로의 분기와 구분개폐 및 보호를 위한 배전시스템의 하나로서 지중배전선로의 옥내 또는 옥외에 설치되며 특히 수용지의 전력수용 요구에 따라 기기를 증설할 수 있게 된 확장가능 링메인유니트(extensible ring main unit)의 배전시스템 회로를 보여준다. 도시된 링메인유니트는 변전소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서 배전시스템 전체를 개폐하는 주개폐용 부하차단개폐기(LBS; load break switch)를 내장한 수전용 패널(1), 계기용 변압기(PT; potential transformer)와 함께 각종 배전정보의 계측을 위한 계기를 설치한 계기용 패널(2), 고장시의 이상전류를 차단하는 진공차단기(VCB; vacuum circuit breaker) 등을 내장한 주보호용 패널(3), 그리고 퓨즈(FUSE)와 함께 수용가측 변압기(TR; transformer) 등의 부하는 개폐 및 보호하는 부하차단개폐기(LBS)를 각각 내장한 여러 대의 급전용 패널(4,5,6)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수전용 및 급전용 패널들에 있는 부하차단개폐기(LBS)들은 소호매체로서 주로 육플루오르화황(SF6) 가스를 사용하는 가스절연 기기이다. 이러한 가스절연 기기는 가스가 충진된 함체에 그 개폐기 회로를 내장하여 된다. 이러한 개폐기들을 포함하여 각 패널에 있는 고압기기들의 주회로 모선이 상호 결선되어 그 전체가 도시된 바와 같은 하나의 배전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러한 배전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고압기기들의 주회로 모선을 결선하는 방식에 있어서, 종래에 기중접속방식과 플러그접속방식이 있다.
종래의 기중접속방식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각 기기의 주회로 모선(11,11')을 내장한 함체(12,12')에 공기부싱(13,13')을 각각 관통시켜 고정하고, 공기부싱(13,13')이 각각 심(心)으로 가지는 도전봉(14,14') 양단에 그 함체(12,12') 내에 있는 주회로 모선(11,11') 그리고 외부의 연결모선(15)을 볼트(16,16',17,17')로 각각 체결하는 것이다. 즉, 일측 기기의 주회로 모선(11)은 일측 공기부싱(13)에 있는 도전봉(14)을 통해 연결모선(15)과 접속되고 이어 그 연결모선(15)과 접속된 타측 공기부싱(13')에 있는 도전봉(14')을 통하여 타측 기기의 주회로 모선(11')과 전기접속된다. 물론, 긴 연결모선(15)을 통해 또다른 기기와도 똑같이 접속된다. 여기서 연결모선(15)은 나도체인 동바(cooper bar)로서 기중절연되어 있으며, 따라서 공기부싱(13,13')의 도전봉(14,14')과 기중노출 상태로 접속되어 있다.
도 2에 있어서, 부호 18은 상기한 기기 들의 함체(12,12')를 수용하는 배전반 큐비클(cubicle)이다. 여기서 간격 D1은 접지된 큐비클(18) 내에 배선된 연결모선(15)의 기중절연에 대응한 대지간 절연거리를 나타낸다. 한편, 도 3은 3상회로의 경우에 연결모선(15)의 기중절연에 대응한 상간절연거리 D2 확보를 위한 공기부싱(13a,13b,13c)들의 자세를 보여준다. 참고로 12kV이상의 고전압 선로의 기중절연시 요구되는 대지간 절연거리는 190mm 이상, 상간 절연거리는 220mm 이상 요구된다. 이와같이 기중절연시의 대지간 및 상간절연거리가 크게 확보되어야 하기 때문에 종래의 기중접속방식을 수용하려면 큐비클(18) 규모를 크게 할 수밖에 없다. 즉, 종래의 기중접속방식은 소규모의 옥내설치용 배전반 내에서의 모선접속에는 적합하지 않은 것이다. 또한 상간절연거리 D2가 전술한 가스절연기기의 함체 내에서의 절연거리보다 크게 확보되어야 하므로 도 3과 같이 가운데 공기부싱(13b)에 대해 양옆에 있는 공기부싱(13a,13c)을 기울여야 한다. 그런데 공기부싱(13a,13b,13c)은 그것이 설치되는 함체(12)에 대한 충분한 소호거리 확보를 위해 그 연면거리가 커지도록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다련애자의 형상으로 제작될 필요가 있으며, 이 경우에 그 부피가 커지고 무게도 상당해진다. 때문에 도 3과 같이 양측 공기부싱(13a,13c)을 기울여서 고정시키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것이다.
한편, 연결모선(15)의 기중절연은 활선상태에서 패널 도어를 개방하고 작업자가 접근할 때 매우 위험하기 때문에 작업에 제약이 따르는 한편, 온습도 등 주변환경의 영향으로 그 절연성능이 일정치 않기 때문에 안전성을 보장할 수 없는 문제가 따른다. 따라서 일반 운영자에 대한 보다 확실한 안전성 보장을 위하여는 패널 도어의 인터록(interlock) 등 별도의 안전장치를 부가하여야 하는 것이다.
다음, 종래의 플러그접속방식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12,12')들이 서로 마주하게 되는 벽면에 구멍을 뚫고, 그 벽면 내측에는 암부싱(21,21')을 각각 설치하고, 그 사이에 수부싱(23)을 끼워서, 양측 주회로 모선(11,11')을 암수부싱(21,21',23)에 있는 도전봉(22,22',24)을 통해 접속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플러그접속방식에 의하면, 전술한 기중접속방식에 비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함체(12,12')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하므로 큐비클 규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도전부가 기중노출되지 않아서 양호한 절연성능을 보유함으로써 작업자나 일반 운영자에 대한 안전성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플러그접속방식은 모선연결이 기기의 함체 측면에서만 이뤄지므로 새로운 기기를 증설할 때 기존에 접속되어 있는 두 기기 사이를 띄워 놓고 그 사이에 증설하여야 하기 때문에 기기증설에 용이하지 않은 구조적 단점을 가진다. 또한 모선 연결시 양측 기기의 위치를 정확히 맞춰야하므로 작업이 쉽지 않고, 부싱이 관통하는 기기 사이의 여유공간이 없기 때문에 변류기(CT; current transformer)를 설치할 수 없게 되며, 따라서 부하전류등의 계측이 불가한 단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두가지 접속방식중 기기증설에 유리한 기중접속방식과 유사한 외부접속의 형태를 취하면서 플러그접속방식에서처럼 도전부를 일절 기중노출시키지 아니하는 개선된 절연구조로써 절연성능이 강화된 고압기기용 모선접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절연성능의 강화와 함께 모선연결시의 작업성이 좋은 고압기기용 모선접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용대상에 있는 고압기기로서의 배전선로용 확장가능 링메인유니트를 보인 배전시스템 회로도.
도 2는 종래의 기중접속방식에 의한 고압기기용 모선접속장치를 보인 측면도.
도 3은 종래의 기중접속방식에 의한 고압기기용 모선접속장치에 의한 3상회로의 상간절연상태를 보인 다른 방향의 측면도.
도 4는 종래의 플러그접속방식에 의한 고압기기용 모선접속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압기기용 모선접속장치의 측면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고압기기용 모선접속장치의 말단접속부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고압기기용 모선접속장치의 중간접속부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압기기용 모선접속장치에 사용되는 모선연결용 절연케이블의 단면도.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고압기기의 모선접속장치의 말단접속부에 대한 단면도.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고압기기의 모선접속장치의 중간접속부에 대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고압기기의 모선접속장치에 의한 3상회로의 상간절연상태를 보인 다른 방향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30' : 함체 31,31' : 주회로 모선
40,40' : 부싱 41,41' : 도전봉
45,45' : 클램핑볼트 50,50' : 모선연결용 절연케이블
51,51' : 도전선 52,52' : 절연피복
53,53' : 접속슬리이브 55,55' : 터미널
57,57' : 절연슬리이브 58,58' : 스페이서
60 : 엔드어댑터 60' : 크로스어댑터
61,61' : 부싱연결부 62,62',63' : 케이블연결부
65,65' : 어댑터캡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고압기기용 모선접속장치는,
주회로 모선을 가지는 기기의 함체를 관통하여 고정설치되고 그 함체 내의 주회로 모선과 연결되는 도전봉을 심으로 가지는 부싱과, 도전선 및 이 도전선 주위에 피복된 절연피복으로 이루어진 모선연결용 절연케이블과, 상기한 부싱의 도전봉과 절연케이블의 도전선을 상호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수단, 그리고 부싱과 절연케이블의 접속부위를 도전부위가 기중노출되지 않게 절연하는 어댑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모선연결용 절연케이블의 도전선을 다수의 소선(component wire)을 꼬아서 되는 연선(stranded wire)으로 구성하여 작업성이 좋은 가요성을 부여하고, 절연피복으로서는 절연내력이 뛰어나고 유전율이 높은 특성을 가지는 실리콘(silicone)으로 형성하여 대지간 및 상간절연거리를 좁힐 수 있게 그 절연성능을 강화하는 것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어댑터를 역시 절연내력이 뛰어나고 유전율이 높은 특성을 가지는 실리콘으로 성형하여 절연성능을 강화하는 한편, 기기의 증설에 따른 접속개소의 증설 및 마감이 용이하도록 기기의 위치에 따라 말단위치에서 어댑터본체 일측에만 절연케이블 하나를 연결할 수 있는 엔드어댑터(end adapter)와 중간위치에서 어댑터본체의 양측으로 절연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는 크로스어댑터(cross adapter)의 두가지 형태 또는 그 이상 구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모선접속장치는 부싱을 통해 모선을 기기의 몸체 외부에서 접속하므로 형태상으로는 종래의 기중접속방식과 유사하지만, 종래와는 달리, 절연피복을 가지는 모선연결용 절연케이블과 어댑터를 사용하여 그 절연케이블의 접속부를 기중에 노출시키지 않는 구조로써 훨씬 강화된 절연성능을 보유하게 된다. 즉, 기기의 주회로 모선을 외부회로와의 접속을 위해 또는 기기 상호간의 결선을 위해 그 몸체 외부로 도출되는 배선의 절연성능을 바람직하게는 기기 내부의 절연상태와 동등 또는 그 이상의 수준으로 강화함으로써 기기 몸체 외부에서의 대지간절연거리 및 상간절연거리를 현저히 좁힐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모선접속장치는 접속부위의 기중노출을 방지하는 어댑터를 다양한 형태로 구비하고 가요성 절연케이블을 사용하여 기기의 형태나 위치 및 증설에 대응한 그 접속작업을 보다 쉽게할 수 있는 잇점을 가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여러대의 기기에 있는 주회로 모선 상호간을 접속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부호 30 및 30'는 고압기기로서 예를 들면 전술한 가스절연부하개폐기 등의 함체이다. 부호 31 및 31'는 함체(30,30') 각각에 내장되는 주회로 모선이다. 함체(30,30')에는 주회로 모선(31,31')에 대응한 위치에 구멍(32,32')이 각각 뚫리고, 거기에 부싱(40,40')이 각각 고정설치된다. 본 발명은 고압기기 함체(30,30')의 구멍(32,32')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부싱(40,40')을 포함하며, 모선연결용으로서 부싱(40,40')을 통해 주회로 모선(31,31')과 전기접속되는 절연케이블(50,50'), 그리고 부싱(40,40')과 절연케이블(50,50')의 접속부위를 기중노출되지 않게 절연하는 어댑터(60,60')로 구성된다. 여기서 어댑터(60,60')는 이하부터 엔드어댑터(endadapter; 60)와 크로스어댑터(cross adapter; 60')로 구분하여 설명하는데, 도면에 보여진 바와 같이, 엔드어댑터(60)는 부싱(40)에 한가닥의 절연케이블(50)을 연결하는 말단접속위치에서 사용되고, 크로스어댑터(60')는 부싱(40')에 두가닥의 절연케이블(50')을 양측으로, 즉 크로스 형태로 두가닥의 절연케이블(50,50')을 동시에 접속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모선접속장치는 크게 엔드어댑터(60)를 사용하는 말단접속부와 크로스어댑터를 사용하는 중간접속부의 두가지 형태, 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접속개소에 대응한 다양한 형태의 접속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분해도가 도시된 도 6a, 6b를 참조하면, 부싱(40,40')은 전술한 실리콘으로 성형된 절연체이며, 각각 도전성 금속인 도전봉(41,41')을 심으로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모선접속장치에 사용되는 부싱(40,40')은 동일한 전압조건에서 사용되는 종래의 공기부싱에 비하여 훨씬 작고 그만큼 가볍게 제작된다. 도전봉(41,41')의 양단에 주회로 모선(31,31')과 모선연결용 절연케이블(50,50') 접속을 위한 볼트체결용 나사홈(42,42',43,4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전봉(41,41') 하단에 형성된 나사홈(42,42')은 주회로 모선(31,31') 접속을 위한 볼트(44,44')를 체결하기 위한 것이고, 그 상단에 형성된 나사홈(43,43')은 절연케이블(50,50') 접속을 위한 클램핑볼트(45,45')를 체결하기 위한 것이다.
모선연결용 절연케이블(50,50')은 함체(30,30')에 설치되는 부싱(40,40') 간격에 알맞는 길이로 절단된 것으로서, 각각 도전선(51,51')과 이 도전선(51,51') 주위에 피복된 절연피복(52,52')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도전선(51,51')은 도면에서 확대발췌된 원형내 단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의 소선을 꼬아서 되는 연선을 구비함으로써 작업시 취급이 용이한 가요성을 가진다. 물론 가요성을 가지지 않더라도 기존 연결모선과 같은 동바에 절연피복을 입혀서 사용하는 것도 무방하다. 또한 절연피복(52,52')은 절연내력이 뛰어나고 유전율이 높은 특성을 가지는 실리콘(silicone)으로 형성되어 우수한 절연성능을 보유한다.
절연케이블(50,50')의 도전선(51,51') 양단에는 상기한 클램핑볼트(45,45')와 함께 부싱(40,40')에 있는 도전봉(41,41')과의 접속을 위한 접속수단으로서 구비되는 접속슬리이브(53,53')가 결합된다. 접속슬리이브(53,53')는 도전성 금속을 가공한 것으로, 각각 절연케이블(50,50')의 도전선(51) 끝을 끼울 수 있게 형성된 접속홈(54,54')을 가지며, 또한 상기한 클램핑볼트(45,45')가 관통하는 구멍(56,56')이 뚫린 터미널(55,55')을 각각 일체로 가지고 있다. 터미널(55,55')은 서로 반턱이음 형식으로 형합될 수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반턱이음시 상호간의 형합을 안내하도록 하는 그 이음부상의 요부(56) 또는 이와 대응한 돌부(56')중 하나를 가진다. 즉, 부싱 하나에 절연케이블 두가닥을 크로스(cross) 형태로 동시에 접속할 수 있게 배려한 것이다. 절연슬리이브(57,57')는 신축성 절연체로서 절연케이블(50,50')의 도전선(51,51')과 접속슬이리브(53,53')의 결합부위 주위를 절연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스페이서(58)는 상기한 접속슬리이브(53,53')중 하나가 단독으로 부싱의 도전봉에 접속되는 경우에 그 터미널(55,55')의 반턱이음 형상을 채우도록 함께 체결되는 것이며, 이 역시 터미널(55,55')의 요부(56) 또는 돌부(56')에 대응한 형상을 가진다.
어댑터(60,60')중에서, 엔드어댑터(60)는 부싱연결부(61)와 이 부싱연결부(61) 일측에 분기된 하나의 케이블연결부(62)로 이루어지고, 크로스어댑터(60')는 하나의 부싱연결부(61')에 양측으로 분기된 두 개의 케이블연결부(62',63')를 가진다. 어댑터(60,60') 각각의 부싱연결부(61,61') 및 케이블연결부(62,62',63')는 관형으로서 내부가 비어있으며, 각부의 단이 개구되어 있다. 즉, 부싱연결부(61,61')의 하단부는 부싱(40,40')을 씌워 연결하는 부분이며, 케이블연결부(62,62',63')는 모선연결용 절연케이블(50,50')을 각각의 접속수단과 함께 수용하여 연결하는 부분이다. 부싱연결부(61,61')의 상단 역시 상기한 클램핑볼트(45,45')를 외부에서 체결할 수 있도록 개구부(64,64')로 되어 있는데, 어댑터캡(65,65')은 그 개구부(64,64')를 틀어막기 위한 것이다. 어댑터캡(65,65') 상면의 부호 66,66'는 도시하지 않은 6각 렌치 등의 공구를 끼워서 돌릴수 있게 된 렌치홈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모선접속장치로 고압기기의 주회로 모선 상호간을 접속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준비단계로서, 상기한 절연케이블(50,50')의 도전선(51,51') 끝에 접속슬리이브(53,53')를 연결하고, 그 주위를 절연슬리이브(57,57')로 절연하여 도 7과 같이 만든다. 여기서 절연케이블(50)의 도전선(51) 끝은 접속슬리이브(53,53')의 홈(54,54')에 삽입된 후 그 주위를 압착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되는 압착부(59,59')에 의하여 접속슬리이브(53,53')로부터 빠지지 않게 단단히 접속 및 결속된다.
다음, 함체(30,30')에 고정설치된 부싱(40,40') 상단부에 엔드어댑터(60)와 크로스어댑터(60')의 부싱연결부(61,61')를 씌워 놓고, 엔드어댑터(60)의 케이블연결부(62)에는 절연케이블(50) 일단부와 함께 접속슬리이브(53)를 삽입하고, 부싱연결부(61)의 상단 개구부(64)를 통해서 접속슬리이브(53)의 터미널(55)을 스페이서(58)와 함께 부싱(40)의 도전봉(41)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홈(43)에 클램핑볼트(45)를 체결한다. 그리고 크로스어댑터(60')의 케이블연결부(62',63')에는 양측 절연케이블(50,50')의 접속슬리이브(53,53')를 끼워서 그 접속슬리이브(53,53')의 터미널(55,55')을 반턱이음한 형태로 하여, 부싱연결부(61')의 상단 개구부(64')를 통해서 부싱(40')의 도전봉(41') 상단의 나사홈(43')에 클램핑볼트(45')를 체결하면 된다. 절연케이블(50,50')의 접속이 끝나면 엔드어댑터(60)와 크로스어댑터(60')의 부싱연결부(61,61') 상단 개구부(64,64')에 어댑터캡(65,65')을 끼워서 모든 접속작업을 완료한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라 모선접속완료된 각 접속부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함체(30,30') 외부에 있는 절연케이블(50,50')의 도전선(51,51')은 절연피복(52,52')에 의하여 절연되어 있고, 또한 부싱(40,40')의 도전봉(51,51')과의 접속부도 어댑터(60,60')에 의하여 기중에 일절 노출되는 일이 없이 완전하게 절연된다. 따라 절연성능이 강화되어 대지간 절연거리를 훨씬 좁힐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절연케이블(50,50')의 절연피복(52,52')과 어댑터(60,60')를 절연성능이 우수한 실리콘으로 형성하여 그 절연성능을 바람직하게는 함체(30,30') 내에 소호매체로서 충진되는 절연가스 등과 동등 또는 그 이상으로 강화하는 것이다. 그러면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3상회로에 있어서의 절연케이블(50a,50b,50c)의 상간절연거리를 함체(30) 내의 절연가스 등에 의해 절연된 주회로 모선(31a,31b,31c)의 상간절연거리와 나란하도록 상간절연거리를 좁힐 수 있게 된다. 이같이 하면, 부싱(40a,40b,40c)을 종래와 같이 기울이지 않아도 되므로 그 설치작업이 한결 쉬어진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절연성능의 강화로 부싱을 종래에 비하여 훨씬 작고 가벼운 것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그 작업은 더욱 쉬워지는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모든 접속작업을 완료한 다음에, 절연케이블(50,50') 및 어댑터(60,60')의 표면을 반도전재료로 페인팅 또는 분무하는 방식으로 전면방호처리(dead front)함으로써, 도 8a, 8b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반도전막(70,70')을 형성한다. 물론 반도전막(70,70')은 함체(30,30') 및 전술한 큐비클과 함께 접지한다. 그러면, 활선상태에서 부분적인 절연파괴나 기상조건이 나빠져서 누전되는 상태에서 인체가 접촉하는 경우에도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형태상으로는 종래의 기중접속방식과 유사한 외부접속의 형태를 취하면서 도전부를 기중에 전혀 노출시키지 않는 강화된 절연성능을 보유하는 모선접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여러대의 고압기기를 수용하는 배전반 큐비클을 소형화할 수 있고, 작업자나 일반 운영자의 접근에 대한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이와 아울러 본 발명은 가요성 절연케이블을 사용하므로 기기 몸체의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그 상부면이나 측면 또는 후면 등 다양한 패널의 형상이나 그 위치 및 증설에 대응한 모선연결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어댑터를 사용하여 도전부를 기중노출시키지 않으므로 부싱을 작고 가볍게, 즉 취급이 용이한 형태로 제작사용가능하여 그 설치작업도 용이해진다. 그리고 절연케이블에 변류기(CT; current transformer)를 설치할 수 있게 되어 계기설치가 가능하게 되는 잇점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욱 다양한 변형 또는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Claims (12)

  1. 기기의 함체 내에 있는 주회로 모선을 외부 회로와 접속하기 위한 고압기기용 모선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기기의 함체를 관통하여 고정되고 상기한 주회로 모선과 연결되는 도전봉을 심으로 가지는 부싱과, 도전선 및 이 도전선 주위에 피복된 절연피복으로 이루어진 모선연결용 절연케이블과, 상기한 부싱이 가지는 도전봉에 절연케이블의 도전선을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수단, 그리고 부싱과 절연케이블의 접속부위를 그 도전봉과 도전선이 기중노출되지 않게 절연하는 어댑터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기기용 모선접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접속수단이, 상기한 절연케이블의 도전선 끝부분에 압착접속되는 터미널을 갖는 도전성 접속슬리이브와, 이 접속슬리이브의 터미널을 체결하기 위한 클램핑볼트를 구비하고, 상기한 부싱의 도전봉 상단에 클램핑볼트를 체결할 수 있는 나사홈을 형성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기기용 모선접속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접속슬리이브의 터미널이 상호 반턱이음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한 접속수단이 그 반턱이음형상을 채울 수 있는 스페이서를 더 구비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기기용 모선접속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접속슬리이브의 터미널이 그 상호간 반턱이음될 때 형합 안내되게 형성된 요부와 돌부중 하나를 가지며, 상기한 스페이서가 그 요부와 돌부중 하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기기용 모선접속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절연케이블의 도전선과 상기한 접속슬리이브의 압착접속부 주위를 절연하는 절연슬리이브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기기용 모선접속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어댑터가, 상기한 부싱을 씌워서 연결하는 부싱연결부와 상기한 절연케이블을 상기한 접속수단과 함께 수용하여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연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접속수단에 대한 외부작업을 위한 개구부를 가지며, 그 개구부를 틀어막을 수 있게 탈착가능한 어댑터갭을 포함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기기용 모선접속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절연케이블의 절연피복과 상기한 어댑터가 동일한 절연재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기기용 모선접속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한 절연재가 실리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기기용 모선접속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절연케이블의 도전선이 다수의 소선을 꼬아서 되는 연선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기기용 모선접속장치.
  10.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한 절연케이블이 절연피복에 표면처리된 반도전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기기용 모선접속장치.
  11.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한 어댑터가 표면처리된 반도전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기기용 모선접장치.
  12. 기기의 함체 내에 있는 주회로 모선을 외부 회로와 접속하기 위한 고압기기용 모선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기기의 함체를 관통하여 고정되고 상기한 주회로 모선과 연결되는 도전봉을 심으로 가지는 부싱과, 도전선 및 이 도전선 주위에 피복된 절연피복으로 이루어진 모선연결용 절연케이블과, 상기한 부싱이 가지는 도전봉에 절연케이블의 도전선을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수단과, 상기한 부싱에 상기한 절연케이블 하나를 접속하는 말단접속위치에서 그 도전봉과 도전선을 기중노출되지 않게 절연하는 엔드어댑터와, 상기한 부싱에 상기한 절연케이블 두 개를 양측으로 동시에 접속하는 중간접속위치에서 그 도전봉과 양측 도전선을 기중노출되지 않게 절연하는 크로스어댑터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기기용 모선접속장치.
KR1019980016792A 1998-05-11 1998-05-11 고압기기용모선접속장치 KR1002959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6792A KR100295902B1 (ko) 1998-05-11 1998-05-11 고압기기용모선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6792A KR100295902B1 (ko) 1998-05-11 1998-05-11 고압기기용모선접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4790A true KR19990084790A (ko) 1999-12-06
KR100295902B1 KR100295902B1 (ko) 2001-08-07

Family

ID=37527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6792A KR100295902B1 (ko) 1998-05-11 1998-05-11 고압기기용모선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590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891B1 (ko) * 2000-01-20 2003-11-21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절연가스 봉입 폐쇄 배전반간의 모선접속장치
KR100920721B1 (ko) * 2007-05-02 2009-10-07 (주)대성기술단 가스절연 수변전 설비용 고압 케이블 인출장치
CN107706801A (zh) * 2016-08-08 2018-02-16 江苏大全长江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气体绝缘开关设备母线联接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482B1 (ko) 2007-07-24 2008-02-14 주식회사 이앤엠테크 개폐장치의 모선 접속구조
KR100857253B1 (ko) * 2007-11-29 2008-09-05 이엔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지중용 고체절연 개폐기 및 차단기용 분리형 상연결접속장치
KR100960075B1 (ko) 2008-01-22 2010-05-31 이철호 지중 배전 선로용 폴리머 절연 다회로 개폐기
KR20230001644U (ko) 2022-02-04 2023-08-11 이동건 기능성 접착 테이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891B1 (ko) * 2000-01-20 2003-11-21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절연가스 봉입 폐쇄 배전반간의 모선접속장치
KR100920721B1 (ko) * 2007-05-02 2009-10-07 (주)대성기술단 가스절연 수변전 설비용 고압 케이블 인출장치
CN107706801A (zh) * 2016-08-08 2018-02-16 江苏大全长江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气体绝缘开关设备母线联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95902B1 (ko) 2001-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08796C2 (ru)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вставной модульной системы шин, без токоведущих частей на лицевой стороне
KR0126219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
EP2104127B1 (en) Switchgear
US9997897B2 (en) Quick connect and disconnect cable junction box
US20070291442A1 (en) Method of Making and Repairing a Modular Push-On Busbar System
KR100295902B1 (ko) 고압기기용모선접속장치
CN115280617A (zh) 气体绝缘开闭装置
EP0010564A1 (en) Gas insulated switch-gear apparatus
JPS62193024A (ja) 高電圧メタルクラツド電気設備
US4866568A (en) Integrated transformer sectionalizing switch assembly
KR102295956B1 (ko) 내아크 성능이 향상된 금속 폐쇄 배전반
WO2008130353A1 (en) Method of making and repairing a modular push-on busbar system
KR102432165B1 (ko) 스위치기어 조립체를 고전압 케이블에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 종단부
EP4318835A1 (en) Solid insulated bus and gas-insulated switchgear provided therewith
JPH01303002A (ja) 受電用ガス絶縁開閉装置
JPH01138908A (ja) ガス絶縁開閉制御装置
KR101062054B1 (ko) 변전소 내의 금속피복된 모선 세트를 위한 차단 설비
KR20230010514A (ko) 지중송전선로의 고장점 탐지시험을 위한 안전 접속재
JPH09184868A (ja) 三相一括耐電圧試験用接続装置
JPH03143205A (ja) 集合形変電設備
JPH02254907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H06327133A (ja) 分岐接続部
JPH10285728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2001512657A (ja) 高圧スイッチ装置ステーション
JPS624134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