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4535A - 가축분뇨의 탈수장치 - Google Patents

가축분뇨의 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4535A
KR19990084535A KR1019980016369A KR19980016369A KR19990084535A KR 19990084535 A KR19990084535 A KR 19990084535A KR 1019980016369 A KR1019980016369 A KR 1019980016369A KR 19980016369 A KR19980016369 A KR 19980016369A KR 19990084535 A KR19990084535 A KR 199900845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stock manure
vibration
net
dehydration
waste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6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장영
Original Assignee
노장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장영 filed Critical 노장영
Priority to KR1019980016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84535A/ko
Publication of KR19990084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4535A/ko

Links

Landscapes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축분뇨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탈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축분뇨를 탈수하기 위하여, 바닥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기체(F)와, 탄동 스프링(17)에 의하여 진동이 흡수되도록 상기 지지기체(F)에 경사지게 장치하고 다수의 망공이 형성된 망체(12)가 15∼25° 로 경사지게 형성된 진동부재(B)와, 상기 진동부재(B)를 진동시키기 위하여 모타(22)의 회동축(22a)에 진동축(23)가 편심되게 고정되고 진동축(23)의 회전방향을 망체(12)의 입구측으로 향하도록 장치되게 작동부재(M)를 구성한 것으로서, 전체길이를 최소화 할 수 있고 탈수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는 유익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가축분뇨의 탈수장치
본 발명은 양돈장이나 양계장등에서 발생되는 가축분뇨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가축분뇨의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돈장이나 양계장에는 대량의 가축분뇨가 발생되며, 이러한 양돈장등의 가축분뇨를 청소하기 위하여 다량의 물을 살수시키는 방법이 통용되어 왔다. 때문에 가축분뇨가 물에 함유된 상태의 폐수가 대량으로 발생되며, 이러한 폐수를 그대로 하천에 방류하면 수질오염의 원인이 되므로 이를 정화처리 하였다.
또한, 상기 가축분뇨는 수분을 제거하면 농작물의 천연비료로 재활용할수있는 것이나, 이를 그대로 폐기처리하면 정화처리에 있어 큰 용량과 많은 시간이 필요한 실정이다.
근래에는, 상기 폐수에 포함된 가축분뇨를 분리하기 위한 탈수장치가 개발되어 있으며, 이러한 종래의 탈수장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바와같이, 다수의 망공이 형성된 콘베어벨트(C)를 양측의 로울러(R)에 의하여 구동되도록 장치하며, 상기 콘베어벨트(C)를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부재(R)가 장치된 것으로서, 가축분뇨와 물이 섞여 있는 폐수가 콘베어벨트(C)에 적재되어 출구측으로 이송되는 동안 다수의 망공을 통하여 폐수는 하방으로 유출되므로 가축분뇨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탈수장치는 콘베어 벨트에 적재된 가축분뇨가 이송되는 동안 진동부재의 진동에 의하여 수분이 하방으로 유출되는 것으로서, 콘베어 벨트의 이송거리가 짧은 경우에는 탈수효과가 미흡하였다.
즉, 상기 콘베어 벨트의 이송거리가 충분한 길이로 확보되어 있어야만 이송되는 동안 가축분뇨에 포함된 수분이 완전히 제거되며, 이러한 콘베어벨트의 이송거리를 확보하기 위하여 탈수장치의 전체길이가 길어지므로 설치시에 많은 공간을 점유하게 되는 문제가 제기 되었다.
또한, 콘베어벨트의 전체길이가 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짧은 길이의 콘베어 벨트를 상하다단으로 장치한 것이 있으나, 이러한 탈수장치는 콘베어벨트를 다단으로 장치하기 위하여 전체 제작비가 상승되고 중량이 무거워 이동과 운반이 어려운 문제가 제기되었다.
더욱이, 상기한 종래의 탈수장치들은 수분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콘베어벨트의 망공을 크게 형성하므로서, 유출되는 폐수에 작은 입자의 가축 분뇨 찌꺼기가 함유되므로 폐수를 정화처리 하는 과정중에 가축분뇨찌꺼기의 처리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개발된 것으로서, 탈수장치의 전체길이를 최소화하여 좁은 공간에 설치할수 있게 하므로서 공간활용을 극대화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탈수과정중에 폐수와 가축분뇨의 완전한 분리가 이루어져 폐수에 함유되는 가축분뇨의 찌꺼기를 최소화하므로서 다음 공정인 폐수를 정화할때에 효과적으로 처리할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일부를 절결한 측면도.
도 3은 종래의 가축분뇨 탈수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F : 지지기체 B : 진동부재
M : 작동부재 12 : 망체
17 : 탄동스프링 22 : 모타
22a : 회동축 23 : 진동축
본 발명은 폐수에 포함된 가축분뇨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바닥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기체와, 탄동스프링에 의하여 상하진동되도록 상기 지지기체의 상부에 경사지게 장치된 진동부재와, 상기 진동부재를 진동시키기 위한 작동부재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진동부재는 상부에 망체를 부착형성하고 망체의 하방에 배수로를 형성하여서 망체의 상부측에 유입된 폐수와 가축분뇨가 적재되면 폐수는 하방으로 유출되고 가축분뇨는 망체에 적재된 상태로 하방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상기 작동부재는 모타와 진동추로 구성되며 모타의 회동축에 편심으로 고정된 진동추에 의하여 상기 진동부재가 진동되도록 하며, 특히 상기 진동부재의 회전방향을 진동부재의 유입측으로 향하도록 하므로서 망체에 적재된 가축분뇨가 출구측으로 유입되는 것이 지연되어 탈수효과가 상승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일부를 절결한 측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바닥면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기체(F)와, 지지기체의 상부에 탄동되도록 장치된 진동부재(B)의, 상기 진동부재(B)를 진동시키기 위한 작동부재(M)로 구성한다.
상기 지지기체(F)는 사각프레임(1)의 하방에 4개의 다리(2)를 각각 고정화며, 너트(3a)에 의하여 고정되는 높이 조절볼트(3)를 다리(2)의 하단부에 장치한다.
상기 진동부재(B)는 평면 형상이 직사각형으로된 외곽프레임(11)의 내측에 다수의 망공이 형성된 망체(12)를 고정설치하고 망체(12)의 하방에 배수로(13)를 형성하며, 유입관(14)이 관접된 유입안내구(14a)를 망체(12)의 입구측에 장치하고 유출판(12a)을 망체(12)의 출구측에 장치한다.
또한, 배수로(13)의 출구측에 유출관(14)을 장치하여 배수관(15)의 상부에 넓은 직경으로 구성된 유입안내관(15a)에 유출관(14)의 하단부가 위치되도록 결합한다.
또한, 상기 진동부재(B)를 지지기체(F)의 상부에 장치함에 있어, 진동부재(B)를 입구측이 높고 출구측이 낮은 경사면이 구성되도록 장치하며, 진동부재(B)의 외곽프레임(11)과 지지기체(F)의 사각프레임(1)에 각각 지지판(16a)(16b)을 각각 고정하여 지지판(16a)(16b)에 탄동스프링(17)을 고정설치한다.
특히, 진동부재(B)의 망체(12)는 그 경사각을 15∼25°가 되도록 장치한다.
상기 작동부재(M)는, 상기 진동부재(B)의 외곽프레임(11)에 고정된 지지프레임(21)을 전동부재(B)의 하방에 설치하고 모타(22)를 지지프레임(21)에 고정설치하며, 모타(22)의 회동축(22a)에 편심으로 진동추(23)을 고정하여 진동추(23)의 회동에 따라 상기 진동부재(B)가 상하로 진동되도록 장치한다.
또한, 상기 진동추(23)의 회동방향을 진동부재(B)의 입구측으로 향하도록 장치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탈수장치를 설치함에 있어 높이 조절 볼트(3)를 조절하여 지지기체(F)의 다리(2)가 지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작동부재(M)의 모타(22)를 작동시키면 회동축(22a)에 고정된 진동추(23)가회동되며, 이때 진동추(23)가 편심으로 회동되므로 진동이 발생되고 이러한 진동은 진동부재(B)전체에 전달되어 망체(12)가 진동되기 시작한다.
진동추(23)에 의하여 발생된 진동은 외곽프레임(11)을 통하여 탄동스프링(17)에 전달되어 감쇠되므로 지지기체(F)에 진동이 전달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탄동스프링(17)의 제품특성인 탄발력에 의하여 진동부재(B)의 진동이 증폭된다.
진동부재(B)의 진동이 시작되면, 양돈장이나 양계장등에서 가축분뇨가 포함된 상태로 유입관(14)을 통하여 유입되는 폐수는 유입안내구(14a)를 통하여 망체(12)에 도달되면 액상의 폐수는 다수의 망공을 통하여 배수로(13)유출되고 고상의 가축분뇨를 망체(12)의 상면에 적재된다.
망체(12)에 적재된 가축분뇨는 자중에 의하여 경사면을 따라 하방으로 향하려는 힘이 작용되고, 진동추(23)는 그 회전방향이 망체(12)의 상부측으로 회동되어 망체(12)가 상부측의 방향으로 진동되므로서, 가축분뇨가 자중에 의하여 하방으로 향하는 것이 억제된다.
즉, 가축분뇨는 망공을 통하여 폐수가 유출되면서, 작은 입자는 망체(12)에 적재된 상태로 지체되고 계속적인 가축분뇨의 유입으로 가축분뇨가 응집된 상태로 일정크기로 되어 자체 중량이 상부측으로 향하는 진동보다 크게 되면 경사면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이러한 가축분뇨는 지체와 이동이 반복되는 동안 망공을 통하여 폐수가 완전히 제거된 상태로 유출판(12a)를 통하여 외부에 수집되는 것이며, 탈수가 완료된 가축분뇨는 농작물의 비료등으로 재활용할수 있는 것이다.
상기 탈수과정에서 망공을 통하여 배수로(13)로 유출된 폐수는 경사면을 따라 출구측으로 흘러내린 후 유출관(14)을 통하여 배수관(15)으로 유입되며, 다음공정인 정화장치에 의하여 처리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가축분뇨가 포함된 폐수를 처리함에 있어, 망체에 적재된 가축분뇨가 상부방향으로 향하는 진동에 의하여 지체와 이동이 계속되면서 하방으로 이동되므로 망체의 전체길이를 작게한 상태에서도 충분한 탈수효과를 얻을 수 있어 전체길이를 최소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망공을 작게 구성하여도 충분한 탈수가 이루어 질뿐 아니라 가축분뇨의 작은 입자가 망공으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폐수처리를 원활하게 할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양돈장 및 양계장에서 발생되는 폐수뿐아니라 산업용 슬러지등 모든 탈수작업에 활용할 수 있는 유익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가축분뇨를 탈수하기 위하여, 바닥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기체(F)와, 탄동스프링(17)에 의하여 진동이 흡수되도록 상기 지지기체(F)에 경사지게 장치하고 다수의 망공이 형성된 망체(12)가 15∼25。로 경사지게 형성된 진동부재(B)와 상기 진동부재(B)를 진동시키기 위하여 모타(22)의 회동축(22a)에 진동축(23)가 편심되게 고정되고 진동축(23)의 회전방향을 망체(12)의 입구측으로 향하도록 장치되게 작동부재(M)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분뇨의 탈수장치.
KR1019980016369A 1998-05-08 1998-05-08 가축분뇨의 탈수장치 KR199900845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6369A KR19990084535A (ko) 1998-05-08 1998-05-08 가축분뇨의 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6369A KR19990084535A (ko) 1998-05-08 1998-05-08 가축분뇨의 탈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4535A true KR19990084535A (ko) 1999-12-06

Family

ID=65892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6369A KR19990084535A (ko) 1998-05-08 1998-05-08 가축분뇨의 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8453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225B1 (ko) * 2006-02-15 2007-11-28 박진채 고액분리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6694A (en) * 1974-02-01 1977-09-06 United Kingdom Atomic Energy Authority Apparatus for separating particulate solids from liquids
JPS555769A (en) * 1978-06-30 1980-01-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Sewage purifying apparatus
JPS5840116A (ja) * 1982-08-09 1983-03-09 Hitoshi Satomi 懸濁液の濃縮装置
JPH09155229A (ja) * 1995-12-08 1997-06-17 Kawase Ind Kk 分離装置における処理泥排出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6694A (en) * 1974-02-01 1977-09-06 United Kingdom Atomic Energy Authority Apparatus for separating particulate solids from liquids
JPS555769A (en) * 1978-06-30 1980-01-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Sewage purifying apparatus
JPS5840116A (ja) * 1982-08-09 1983-03-09 Hitoshi Satomi 懸濁液の濃縮装置
JPH09155229A (ja) * 1995-12-08 1997-06-17 Kawase Ind Kk 分離装置における処理泥排出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225B1 (ko) * 2006-02-15 2007-11-28 박진채 고액분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4507B1 (ko) 오폐수 협잡물 종합처리기의 스크린탈수장치
KR100543419B1 (ko) 축산분뇨용 고액분리장치
US20090001000A1 (en) Apparatus for treating liquid waste material
RU211773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больших количеств воды от мусора
CN112174482B (zh) 污泥处理方法及配套的处理装置
US653105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 material from water used to flush livestock flush lanes
CN111718066B (zh) 一种混合污水综合治理方法
KR19990084535A (ko) 가축분뇨의 탈수장치
KR20020092765A (ko) 로터리식 제진기
KR101976013B1 (ko) 수직 무한궤도 이송형 스크린을 갖춘 협잡물 처리장치
KR100525357B1 (ko)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 골재 세척장치
KR0185281B1 (ko) 축산폐수의 찌꺼기 걸름장치
KR200390469Y1 (ko) 슬러지처리용 스크레이퍼(30)를 갖춘 쓰레기분리수조
CN112607997A (zh) 一种污泥脱水干燥装置及其使用方法
KR200329224Y1 (ko) 벨트 프레스 탈수 여과포 세척장치
KR101749521B1 (ko) 이송펌프를 사용하지 않는 에너지 절감형 협잡물 처리방법
KR101822178B1 (ko) 휠스크린 장치
KR200323529Y1 (ko) 찌꺼기 분리 처리장치
KR102068155B1 (ko) 고액분리기
KR20030022837A (ko) 벨트 프레스 탈수 여과포 세척장치
KR200431612Y1 (ko) 하,폐수 처리의 미세 협잡물 처리 장치
KR0155031B1 (ko) 토사 및 협잡물 종합처리장치
KR100523012B1 (ko) 유동성 폐기물 처리 시스템
KR100493762B1 (ko) 곡물세척기
KR102025926B1 (ko) 수직 무한궤도 이송형 스크린을 이용한 협잡물 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