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2758A - 액정프로젝터 - Google Patents

액정프로젝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2758A
KR19990082758A KR1019990009531A KR19990009531A KR19990082758A KR 19990082758 A KR19990082758 A KR 19990082758A KR 1019990009531 A KR1019990009531 A KR 1019990009531A KR 19990009531 A KR19990009531 A KR 19990009531A KR 19990082758 A KR19990082758 A KR 19990082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dichroic mirror
color
light
crysta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9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즈끼도시히로
고바야시데쓰야
하마다데쓰야
스가와라마리
하야시게이지
고또다께시
Original Assignee
아끼구사 나오유끼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끼구사 나오유끼,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아끼구사 나오유끼
Publication of KR19990082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275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8Reflectors in projection bea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0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 G02B27/1006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for splitting or combining different wavelengths
    • G02B27/102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for splitting or combining different wavelengths for generating a colour image from monochromatic image signal sources
    • G02B27/1026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for splitting or combining different wavelengths for generating a colour image from monochromatic image signal sources for use with reflective spatial light modula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2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 G02B27/283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used for beam splitting or combi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3/00Colour photography, other than mere exposure or projection of a colour film
    • G03B33/10Simultaneous recording or projection
    • G03B33/12Simultaneous recording or projection using beam-splitting or beam-combining systems, e.g. dichroic mirr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97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light modulating optical valv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액정 프로젝터에 관한 것으로, 색합성막을 2개의 프리즘에 끼워서 된 투명 블록을 구비하며, 액정 패널에서의 미광(迷光)에 의한 TFT의 열화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색분리수단(14)과, 액정 패널(16,18,20)과, 색합성수단(22)과, 투사 렌즈(24)를 구비하여, 색합성수단이 제1 및 제2 다이크로익 미러(22a,22b)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제2 다이크로익 미러(mirror)(22b)가 색합성막을 2개의 프리즘에 끼워서 되는 투명 블록이고, 적어도 1개의 편광자(38) 및 적어도 1개의 λ/4 판(40)이 액정 패널과 투사 렌즈 간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액정 프로젝터{LIQUID CRYSTAL PROJECTOR}
본 발명은 액정 프로젝터, 특히 3판식의 액정 프로젝터에 관한 것이며, 색분리수단과, 3매의 액정 패널과, 색합성수단과, 투사 렌즈를 구비한 액정 프로젝터에 관한 것이다.
컬러 표시의 액정 프로젝터는 예컨대 도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원(112)과, 백색광을 삼원색광으로 분리하는 색분리수단(114)과, 분리된 삼원색광을 각각 화상 변조하는 액정 패널(116,118,120)과, 그 액정 패널로부터 출사하는 화상 변조광을 합성하는 색합성수단(122)과, 합성된 변조광을 투사하는 투사 렌즈(124)를 구비하고 있다. 편광자(136,138)는 각 액정 패널(116,118,120)에 접착되어 있다.
색분리수단(114)은 2개의 다이크로익 미러(114a,114b)로 구성되며, 색합성수단(122)도 2개의 다이크로익 미러(122a,122b)로 구성된다. 다이크로익 미러는 색분리막 또는 색합성막을 투명한 박판에 접착하여 구성한다.
이에 반하여, 색분리막 또는 색 합성막을 투명한 프리즘에 접착하여 구성한 투명 블록이 있다. 예컨대, 특개평9-211750호 공보는 색합성수단을 다이크로익 미러 프리즘으로서 구성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이 경우, 다이크로익 미러 프리즘은 색합성막을 2개의 삼각형 프리즘에 끼워서 된 투명 블록으로 구성된다.
또한, 특개평8-29766호 공보는 색합성막을 1개의 삼각형 프리즘과 2개의 평행사변형 프리즘으로 구성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색합성막이 삼각형 프리즘과 평행사변형 프리즘에 의해서, 그리고 2개의 평행사변형 프리즘에 의해서 끼워져 있다.
색합성막을 2개의 프리즘에 끼워서 되는 투명 블록의 굴절률이 공기보다도 크기 때문에, 투사 렌즈로부터 액정 패널까지의 광학적인 거리를 단축할 수 있rh, 투사 렌즈의 후방 초점을 작게 할 수 있으며, 투사 렌즈를 소형화 할 수 있어, 높은 해상도의 표시를 실현할 수가 있다. 그리고, 투명 블록은 박판과 비교하여 강성이 높고, 또한 그 표면을 원활하고 또한 평탄하게 연마할 수 있기 때문에, 비점 수차가 작은, 높은 해상도의 표시를 실현할 수가 있다. 그러나, 색합성막을 2개의 프리즘에 끼워서 되는 투명 블록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몇개의 문제점이 있었다.
예컨대, 색합성막을 2개의 프리즘에 끼워서 된 투명 블록으로 구성한 경우,액정 패널로부터 투사 렌즈로 향하여 진행하는 광의 일부가, 투명 블록으로 반사되고, 투명 블록으로 반사된 광이 액정 패널에 재입사하여, 액정 패널의 TFT의 특성을 변화시켜서, 표시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투명 블록으로 반사된 광이 액정 패널의 TFT에 입사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요망된다.
또한, 색합성막을 2개의 프리즘에 끼워서 되는 투명 블록을 사용하는 경우, 투명 블록이 커지면, 2조의 미러(다이크로익 미러) 및 액정 패널을 투명 블록의 근방에 배치하기 위한 공간이 작아져서, 액정 패널과 투명 블록의 배치 자유도가 작아진다.
또한, 투사 렌즈의 중심 축선과 각 액정 패널의 중심을 서로 어긋지게 배치하고, 투사광을 경사 상방향으로 조사하여, 실내의 높은 위치에 배치한 화면에 화상을 투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있다. 이러한 경우, 색합성막을 2개의 프리즘에 끼워서 되는 종래의 투명 블록을 사용하면, 비점 수차가 커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색합성막을 2개의 프리즘에 끼워서 되는 투명 블록을 구비하여, 액정 패널에서의 미광에 의한 TFT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액정 프로젝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액정 패널의 배치의 자유도를 높게 할 수 있는 액정 프로젝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점 수차가 작고, 높은 해상도의 액정 프로젝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액정 프로젝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2는 편광자 및 λ/4 판에 의한 미광의 방지를 설명하는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액정 프로젝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액정 프로젝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액정 프로젝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액정 프로젝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의한 액정 프로젝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의 액정 프로젝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9는 도8의 액정 프로젝터의 측면도.
도10은 도9의 액정 프로젝터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11은 도8 및 도9의 액정 프로젝터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12는 도8 및 도9의 액정 프로젝터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13은 종래의 액정 프로젝터를 나타내는 도면.
[부호의 설명]
14 색분리수단
16,18,20 액정 패널
22 색합성수단
22a 제1 다이크로익 미러(diechroic mirror)
22b 제2 다이크로익 미러
24 투사 렌즈
38 편광자
40 λ/4 판
42 TFT
50,51,52,53,54 추가의 블록
60 차광막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의한 액정 프로젝터는 광원과, 백색광을 삼원색광으로 분리하는 색분리수단과, 분리된 삼원색광을 각각 화상 변조하는 액정 패널과, 액정 패널로부터 출사하는 화상 변조광을 합성하는 색합성수단과, 합성된 변조광을 투사하는 투사 렌즈를 구비한다.
이 색합성수단은 삼원색광중 2색광을 합성하는 제1 다이크로익 미러와, 합성된 2색광과 나머지의 1색광을 합성하는 제2 다이크로익 미러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제2 다이크로익 미러가 색합성막을 2개의 프리즘에 끼워서 되는 투명 블록이다. 바람직하게는, 프리즘은 삼각형 프리즘이 좋다.
이 액정 프로젝터의 특징에 있어서는, 적어도 1개의 편광자 및 적어도 1개의 λ/4 판이 액정 패널과 투사 렌즈 간에 배치된다. 이 특징에 의하면, 액정 패널을 투과하여, 투명 블록 등으로 반사하여, 액정 패널에 재입사하는 광에 의해 액정 패널의 TFT가 오동작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특징에 의한 액정 프로젝터는 광원과, 백색광을 삼원색광으로 분리하는 색분리수단과, 분리된 삼원색광을 각각 화상 변조하는 액정 패널과, 액정 패널로부터 출사하는 화상 변조광을 합성하는 색합성수단과, 합성된 변조광을 투사하는 투사 렌즈를 구비한다.
이 색합성수단은 삼원색광중 2색광을 합성하는 제1 다이크로익 미러와, 합성된 2색광과 나머지의 1색광을 합성하는 제2 다이크로익 미러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그 제2 다이크로익 미러가 색합성막을 2개의 프리즘에 끼워서 되는 투명 블록이다. 바람직하게는, 프리즘은 삼각형 프리즘이 좋다.
이 액정 프로젝터의 특징에 있어서는, 제2 다이크로익 미러를 포함하는 투명 블록이 2개의 입사면과, 1개의 출사면과, 복수의 비입출사면(非入出射面)을 가지며, 적어도 1개의 투명한 추가의 블록이 제2 다이크로익 미러를 포함하는 투명 블록의 적어도 1개의 입사면에 또는 그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이 특징에 의해, 액정 패널과 투사 렌즈 간의 광학적인 거리를 조절하여, 제2 다이크로익 미러를 포함하는 투명 블록의 근처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액정 패널의 배치의 자유도를 높게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특징에 의한 액정 프로젝터는 광원과, 백색광을 삼원색광으로 분리하는 색분리수단과, 분리된 삼원색광을 각각 화상 변조하는 액정 패널과, 액정 패널로부터 출사하는 화상 변조광을 합성하는 색합성수단과, 합성된 변조광을 투사하는 투사 렌즈를 구비한다.
이 색합성수단은 삼원색광중 2색광을 합성하는 제1 다이크로익 미러와, 합성된 2색광과 나머지의 1색광을 합성하는 제2 다이크로익 미러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그제2 다이크로익 미러가 색합성막을 2개의 프리즘에 끼워서 되는 투명 블록이다. 바람직하게는, 프리즘은 삼각형 프리즘이 좋다.
이 액정 프로젝터의 특징에 있어서는, 제2 다이크로익 미러를 포함하는 투명 블록이 2개의 입사면과, 1개의 출사면과, 복수의 비입출사면을 가지며, 적어도 1개의 비입출사면은 차광막을 포함한다. 이것에 의해서, 액정 패널을 투과하여, 투명 블록 등으로 반사하여, 액정 패널에 재입사하는 광에 의해 액정 패널의 TFT가 오동작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특징에 의한 액정 프로젝터는 광원과, 백색광을 삼원색광으로 분리하는 색분리수단과, 분리된 삼원색광을 각각 화상 변조하는 액정 패널과, 액정 패널로부터 출사하는 화상 변조광을 합성하는 색합성수단과, 합성된 변조광을 투사하는 투사 렌즈를 구비한다.
이 색합성수단은 삼원색광중 2색광을 합성하는 제1 다이크로익 미러와, 합성된 2색광과 나머지의 1색광을 합성하는 제2 다이크로익 미러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제2 다이크로익 미러는 색합성막을 2개의 프리즘에 끼워서 되는 투명 블록이다. 바람직하게는, 프리즘은 삼각형 프리즘이 좋다.
이 액정 프로젝터의 특징에 있어서는, 투사 렌즈의 중심축선과 각 액정 패널의 중심이 서로 어긋나게 배치하고 있고(투사 렌즈의 중심 축선이 각 액정 패널의 중심을 통과하지 않는다), 제2 다이크로익 미러를 포함하는 투명 블록은 2개의 입사면과, 1개의 출사면과, 복수의 비입출사면를 가지며, 이들의 입사면과 출사면은 광원으로부터 투사 렌즈의 눈동자의 중심으로 향하는 광선(평균적인 광선)에 대하여 거의 수직이다. 이에 의해서, 비점 수차가 작고, 높은 해상도의 액정 프로젝터를 얻을수 있다.
[실시예]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액정 프로젝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액정 프로젝터(10)는 광원(12)과, 백색광을 삼원색광으로 분리하는 색분리수단(14)과, 분리된 삼원색광을 각각 화상 변조하는 액정 패널(16,18,20)과, 액정 패널(16,18,20)로부터 출사하는 화상 변조광을 합성하는 색합성수단(22)과, 합성된 변조광을 투사하는 투사 렌즈(24)를 구비한다. 그리고, 미러(26,28)가 마련된다.
색분리수단(14)은 제1 다이크로익 미러(14a)와, 제2 다이크로익 미러(14b)로 이루어진다. 제1 및 제2 다이크로익 미러(14a,14b)는 특정한 파장의 광을 투과 및 반사시키는 것에 의해 색분리를 하는 색분리막을 포함한다. 색분리막은 투명 박판에 접착되어 있다.
제1 다이크로익 미러(14a)는 삼원색광 중 제1 색광(예컨대 적색)을 투과시키고, 제2 및 제3의 색광을 반사시킨다. 제2 다이크로익 미러(14b)는 제1 다이크로익 미러(14a)에서 반사한 광중 제2 색광(예컨대 녹색)을 반사시키고, 제3의 색광(예컨대 청색)을 투과시킨다. 제1 다이크로익 미러(14a)를 투과한 제1 색광은 미러(24)에서 반사하여 제1 액정 패널(16)로 향한다. 제2 다이크로익 미러(14b)에서 반사한 제2 색광은 제2 액정 패널(18)로 향하고, 제2 다이크로익 미러(14b)를 투과한 제3의 색광은 제3의 액정 패널(20)로 향한다.
색합성수단(22)은 제1 다이크로익 미러(22a)와, 제2 다이크로익 미러(22b)로 이루어진다. 제1 및 제2 다이크로익 미러(22a,22b)는 특정한 파장의 광을 투과 및 반사시키는 것에 의해 색을 합성하는 색합성막을 포함한다. 제1 다이크로익 미러(22a)는 색합성막이 투명 박판에 접착되어 있다. 제2 다이크로익 미러(22b)는 색합성막(30)을 2개의 삼각형 프리즘(32,34)에 끼워서 되는 투명 블록이다.
제1 다이크로익 미러(22a)는 제1 액정 패널(16)을 투과한 제1 색광과, 제2 액정 패널(18)을 투과한 제2 색광을 합성한다. 요컨대, 제1 다이크로익 미러(22a)는 제1 색광을 투과시키고, 또한 제2 색광을 반사시키는 것에 의해, 제1 색광과제2 색광을 합성한다. 제2 다이크로익 미러(22b)는 합성된 제1 및 제2 색광과, 제3의 액정 패널(20)을 투과하고 또한 미러(28)에서 반사한 제3의 색광을 합성한다. 요컨대, 제2 다이크로익 미러(22b)는 제1 및 제2 색광을 반사시키고, 제3의 색광을 투과시키는 것에 의해, 제1 및 제2 색광과 제3의 색광을 합성한다.
이렇게 하여 합성된 제1, 제2 및 제3의 색광은 투사 렌즈(24)에 의해서 화면(도시하지 않음)에 투사되어, 화면상에서 화상을 형성한다. 그리고, 각 액정 패널(16,18,20)은 한 벌의 투명한 기판 간에 액정을 밀봉하여 되는 예컨대 TN형의 액정 패널로 이루어진다. 한 벌의 투명한 기판의 내부에는 각각 투명한 전극 및 배향막(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된다. 양 배향막에는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러빙(rubbing)이 행하여져서, 액정이 90도 트위스트(twist)하게 되어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수평 배향형의 액정 패널 뿐만아니라, 수직 배향형의 액정 패널도 적용가능하다.
편광자(36,38)가 한 벌의 투명한 기판의 외측에 접착되어 있다. 그리고, λ/4 판(40)이 각 액정 패널(16,18,20)의 전면 출사측의 편광자(검광자)(38)에 접착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색합성막(30)을 2개의 삼각형 프리즘(32,34)에 끼워서 된 투명 블록으로 형성된 제2 다이크로익 미러(22b)는, 투사 렌즈(24)의 가까이 위치하고 있다. 이 투명 블록은 예컨대 유리(BK7)로 만들어지고, 55×55×60mm의 크기이다. 투사 렌즈(24)로부터 각 액정 패널(16,18,20)까지의 기하학 거리는 140mm이다. 이에 반하여, 이 투명 블록은 굴절률이 공기보다도 크기 때문에, 투사렌즈(24)로부터 각 액정 패널(16,18,20)까지의 광학적인 거리를 단축할 수가 있다. 따라서, 후방 초점 120mm의 투사 렌즈(24)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 기하학 거리와 비교하여 광학 거리를 20mm 단축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액정 패널로부터 투사 렌즈의 눈동자를 보는 각도를 종래의 총 각도 20.24도로부터 약3도 큰 총 각도 23.24도로 확대할 수 있고, 밝은 표시가 가능해졌다.
투사 렌즈(24)의 후방 초점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작은 투사 렌즈(24)를 사용할 수 있고, 또한 높은 해상도의 표시를 실현할 수가 있다. 이 블록은 높은 강성 및 양호한 연마에 의해 면정밀도를 높게 할 수 있고, 만곡이 보다 작은 출사면으로서 비점 수차에 의한 해상도의 열화를 저감하며, 외력의 영향으로 변형하는 일도 없기 때문에, 액정 패널로부터 출사하는 화상 변조광이 제2 다이크로익 미러(22b)에서 반사할때에 생기는 상 왜곡이라든지 해상도 열화가 없다.
도2는 편광자(38) 및 λ/4 판(40)에 의한 미광의 방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액정 패널(16,18,20)은 액정(16a)을 한 벌의 투명한 유리 기판(16b,16c)에 끼워서 되는 것이다. 예컨대, 광입사측의 유리 기판(16b)에는 블랙 매트릭스, 공통 전극 및 배향막이 형성되고, 전면 출사측의 유리 기판(16c)에는 화소 전극, 액티브 매트릭스회로 및 배향막이 형성된다. 액티브 매트릭스회로는 TFT(42)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TFT(42)에 광이 부딛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화살표 A 방향에서 입사하는 광은 블랙 매트릭스 또는 그 밖의 차광막에 의해 가려지고 TFT(42)에 부딛치지 않게 되어 있다. 그러나, TFT(42)의 횡을 (정상으로) 통과하여, 그 후 어디에선가 반사하여 오는 광(미광)(B)은 그 광로가 정해지지 않고, TFT(42)에 부딛치는일이 있다. 광이 TFT(42)에 부딛치면 TFT(42)의 열화가 빠르게 되기 때문에, 미광이 TFT(42)에 부딛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λ/4 판(40)이 편광자(38)에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그와 같은 미광에 의한 TFT(42)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가 있다. 예컨대, 도2의 화살표 B로 나타낸 바와 같이, 액정 패널(16) 및 편광자(38)를 통과한 광의 일부는 λ/4 판(40)과 그 외측에 존재하는 공기와의 계면에서 반사하여, 편광자(38)를 통과하여 액정 패널(16)에 입사하여, 미광이 된다. 이 미광(B)에 관해서, 최초에 소정의 직선 편광이 편광자(38)를 통과하여 λ/4 판(40)에 입사한다. 이 광은 오른쪽 주위 또는 왼쪽 주위의 원편광으로서 λ/4 판(40)내를 진행하여, λ/4 판(40)과 그 외측에 존재하는 공기와의 계면에서 반사할 때 회전방향이 변하여, 오른쪽 주위 또는 왼쪽 주위의 원편광으로서 λ/4 판(40)내를 진행한다. 이 광이 편광자(38)에 도착한 때에는 편광 방향이 90도 회전한 직선 편광이 되고, 이 직선 편광은 편광자(38)로 차단된다. 따라서, 미광은 TFT(42)에는 도달하지 않으므로, TFT(42)의 열화를 방지할 수가 있다.
제2 다이크로익 미러(22b)가 색합성막(30)을 2개의 프리즘(32,34)에 끼워서 된 투명 블록으로 형성한 경우, 액정 패널(16,28,20)을 투과한 광의 반사의 기회가 많아지고, 미광이 보다 많이 발생하여, TFT(42)는 오동작하기 쉽게 된다. 예컨대, 화살표 C로 나타낸 바와 같이, 액정 패널(16) 및 편광자(38)를 통하고, 그리고 λ/4 판(40)을 통하여 제2 다이크로익 미러(22b)의 입사면과 그 외측에 존재하는 공기와의 계면에서 반사한 광은 편광자(38)를 통하여 액정 패널(16)에 입사하여,미광 이 된다.
또한, 화살표 D로 나타낸 바와 같이, 액정 패널(16) 및 편광자(38)를 통하고, 그리고 λ/4 판(40) 및 제2 다이크로익 미러(22b)의 블록을 통하여, 제2 다이크로익 미러(22b)의 출사면과 그 외측에 존재하는 공기와의 계면에서 반사한 광은 동블록 및 편광자(38)를 통하여 액정 패널(16)에 입사하여, 미광이 된다. 제2 다이크로익 미러(22b)의 블록을 통한 광의 일부가 그 블록의 비입출사면과 그 외측에 존재하는 공기와의 계면에서 반사하여, 동블록 및 편광자(38)를 통하여 액정 패널(16)로 입사하여, 미광이 된다.
이러한 모든 미광은 상기한 것과 같이 하여 λ/4 판(40)에 의해서 위상이 90도 회전하여, 편광자(38)로 차단된다. 따라서, 미광은 TFT(42)에는 도달하지 않고, TFT(42)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가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액정 프로젝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액정 프로젝터(10)는, 광원(12)과, 백색광을 삼원색광으로 분리하는 색분리수단(14)과, 분리된 삼원색광을 각각 화상 변조하는 액정 패널(16,18,20)과, 액정 패널(16,18,20)로부터 출사하는 화상 변조광을 합성하는 색합성수단(22)과, 합성된 변조광을 투사하는 투사 렌즈(24)를 구비한다. 그리고, 미러(26,28)가 마련된다.
색분리수단(14)은 제1 다이크로익 미러(14a)와, 제2 다이크로익 미러(14b)로 이루어진다. 제1 및 제2 다이크로익 미러(14a,14b)는 특정한 파장의 광을 투과 및 반사시키는 것에 의해 색분리를 하는 색분리막을 포함한다. 색분리막은 투명 박판에 접착되어 있다.
색합성수단(22)은 제1 다이크로익 미러(22a)와, 제2 다이크로익 미러(22b)로 이루어진다. 제1 및 제2 다이크로익 미러(22a,22b)는 특정한 파장의 광을 투과 및 반사시키는 것에 의해 색을 합성하는 색합성막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다이크로익 미러(22a,22b)가 함께 색합성막(30)을 2개의 삼각형 프리즘(32,34)에 끼워서 되는 투명 블록이다.
그리고, 제3의 색광을 화상 변조하는 제3의 액정 패널(20)과 제2 다이크로익 미러(22b) 간에 배치된 반사 미러(28)는 삼각형 프리즘에 의해서 형성된다. 이렇게 하여, 액정 패널(16,18,20)로부터 투사 렌즈(24)까지의 광학적 거리를 서로 같게 한다. 색분리 및 색합성은 제1 실시예와 같이 행하여진다.
편광자(36)는 각 액정 패널(16,18,20)의 광입사측에 접착된다. 검광자가 되는 편광자(38)는 제1 다이크로익 미러(22a)의 광출사면에 접착되고, λ/4 판(40)이 이 편광자(38)에 접착된다. 그리고, 또 1개의 편광자(38)가 반사 미러(28)의 블록의 광출사면에 접착되고, λ/4 판(40)이 이 편광자(38)에 접착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2조의 편광자(38) 및 λ/4 판(40)이 필요하다.
제2 실시예의 작용은 제1 실시예의 작용과 거의 같다.
도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액정 프로젝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액정 프로젝터(10)는 광원(12)과, 백색광을 삼원색광으로 분리하는 색분리수단(14)과, 분리된 삼원색광을 각각 화상 변조하는 액정 패널(16,18,20)과, 액정 패널(16,18,20)로부터 출사하는 화상 변조광을 합성하는 색합성수단(22)과, 합성된 변조광을 투사하는 투사 렌즈(24)를 구비한다. 그리고, 미러(26,28)가 마련된다.
색분리수단(14)은 제1 다이크로익 미러(14a)와, 제2 다이크로익 미러(14b)로 이루어진다. 제1 및 제2 다이크로익 미러(14a,14b)는 특정한 파장의 광을 투과 및 반사시키는 것에 의해 색분리를 하는 색분리막을 포함한다. 색분리막은 투명 박판에 접착되어 있다.
색합성수단(22)은 제1 다이크로익 미러(22a)와, 제2 다이크로익 미러(22b)로 이루어진다. 제1 및 제2 다이크로익 미러(22a,22b)는 특정한 파장의 광을 투과 및 반사시키는 것에 의해 색을 합성하는 색합성막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다이크로익 미러(22a,22b)가 함께 색합성막(30)을 2개의 삼각형 프리즘(32,34)에 끼워서 되는 투명 블록이다.
그리고, 제3의 색광을 화상 변조하는 제3의 액정 패널(20)과 제2 다이크로익 미러(22b)와의 사이에 배치된 반사 미러(28)는 삼각형 프리즘에 의해서 형성된다. 이렇게 하여, 액정 패널(16,18,20)로부터 투사 렌즈(24)까지의 광학적 거리를 서로 같게 한다. 색분리 및 색합성은 제1 실시예와 같이 행하여진다.
그리고, 제1 다이크로익 미러(22a,22b)의 블록과, 제2 다이크로익 미러(22a,22b)의 블록과, 반사 미러(28)의 블록은 실질적으로 일체화되어 있다. 이들의 블록은 접착제에 의해 일체화되거나, 혹은 색합성막이 없는 곳에서는 처음부터 일체의 블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액정 패널(16,18,20)은 이 일체화된 블록의 전면 입사면에 접착된다. 편광자(36)는 각 액정 패널(16,18,20)의 광입사측에 접착된다. 검광자가 되는 편광자(38)는 이 일체화된 블록의 광출사면에 접착된다. λ/4 판(40)이 이 편광자(38)에 접착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1조의 편광자(38) 및 λ/4 판(40)이 필요하다.
제3 실시예의 작용은 제1 실시예의 작용과 거의 같다.
제1 실시예로부터 제3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1개의 λ/4 판(40)의 제1 표면이 적어도 1개의 편광자(38)에 광학적으로 공기층을 개재함이 없이 중첩되고, 적어도 1개의 λ/4 판(40)의 제2 표면은 공기와의 계면을 형성한다. 1개의 편광자(36)가 각 액정 패널(16,18,20)에 광학적으로 공기층을 사이에 두지 않고 중첩해서 배치된다.
도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액정 프로젝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액정 프로젝터(10)는 광원(12)과, 백색광을 삼원색광으로 분리하는 색분리수단(14)과, 분리된 삼원색광을 각각 화상 변조하는 액정 패널(16,18,20)과, 액정 패널(16,18,20)로부터 출사하는 화상 변조광을 합성하는 색합성수단(22)과, 합성된 변조광을 투사하는 투사 렌즈(24)를 구비한다. 그리고, 미러(26,28)가 마련된다. 편광자 및 λ/4 판은 앞의 실시예와 같이, 또는 종래와 같이 적절히 배치될 수 있다.
색분리수단(14)은 제1 다이크로익 미러(14a)와, 제2 다이크로익 미러(14b)로 이루어진다. 제1 및 제2 다이크로익 미러(14a,14b)는 특정한 파장의 광을 투과 및 반사시키는 것에 의해 색분리를 하는 색분리막을 포함한다. 색분리막은 투명 박판에 접착되어 있다.
색합성수단(22)은 제1 다이크로익 미러(22a)와, 제2 다이크로익 미러(22b)로 이루어진다. 제1 및 제2 다이크로익 미러(22a,22b)는 특정한 파장의 광을 투과 및반사시키는 것에 의해 색을 합성하는 색합성막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 다이크로익 미러(14a)가 색합성막이 투명 박판에 접착되어 있다. 제2 다이크로익 미러(22b)는 색합성막(30)을 2개의 삼각형 프리즘(32,34)에 끼워서 되는 투명 블록이다. 제2 다이크로익 미러(22b)를 포함하는 투명 블록은 2개의 입사면(46,47)과, 1개의 출사면(48)과, 복수의 비입출사면(49)을 갖는다.
그리고, 투명한 추가의 블록(50,51)이 제2 다이크로익 미러(22b)를 포함하는 투명 블록의 입사면(46,47)에 또는 그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도5에서는, 2개의 블록(50,51)이 서로 같은 형상을 가지며, 입사면(46,47)에 접착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액정 패널(16,18,20)과 투사 렌즈(24) 간의 광학적인 거리를 조절하여, 제2 다이크로익 미러(22b)를 포함하는 투명 블록의 근처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액정 패널(16,18,20)의 배치의 자유도를 높게 할 수가 있다. 즉, 투명한 추가의 블록(50,51)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제2 다이크로익 미러(22b)를 포함하는 투명 블록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단축되는 광학적인 거리를 더 단축하고, 또는 광학적인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한채로, 액정 패널(16,18,20)을 제2 다이크로익 미러(22b)를 포함하는 투명 블록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할 수 있게 된다.
제2 다이크로익 미러(22b)를 포함하는 투명 블록의 코너부의 근처의 위치 X는 액정 패널(18,20)과 색분리 다이크로익 미러(14b)가 밀집하여 배치되는 위치이다. 투명한 추가의 블록(50,51)의 길이가 제2 다이크로익 미러(22b)를 포함하는 투명 블록의 일변의 길이와 거의 같게 되도록 함으로써, 이 위치 X를 비워서 공간을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위치 X를 비움으로써, 액정 패널(16),28,20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풍의 통로를 효율 좋게 형성할 수 있게 되었다.
도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액정 프로젝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액정 프로젝터(10)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5의 액정 프로젝터(10)의 기본적인 구성과 거의 같다. 이 실시예에서는, 투명한 추가의 블록(52)이 반사 미러(28)를 지지하는 삼각형 프리즘으로서 마련된다. 이것에 의해, 액정 패널(16,18,20)과 투사 렌즈(24)와의 간의 광학적인 거리를 일정히 유지한채로, 액정 패널(20)을 제2 다이크로익 미러(22b)를 포함하는 투명 블록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다이크로익 미러(22b)를 포함하는 투명 블록의 코너부의 근처의 위치 X를 비워서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액정 프로젝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액정 프로젝터(10)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5의 액정 프로젝터(10)의 기본적인 구성과 거의 같다. 이 실시예에서는, 필드 렌즈로서 형성된 투명한 추가의 블록(53,54)이 제2 다이크로익 미러(22b)를 포함하는 투명 블록의 입사면(46,47)에 또는 그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2개의 필드 렌즈를 제2 다이크로익 미러(22b)를 포함하는 투명 블록에 대하여 위치 어긋남이 작게 되도록 배치할 수가 있다.
도8 및 도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의 액정 프로젝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은 액정 프로젝터(10)의 평면도, 도9는 액정 프로젝터(10)의 측면도이다. 액정 프로젝터(10)는 광원(도시하지 않음)과, 백색광을 삼원색광으로 분리하는 색분리수단(도시하지 않음)과, 분리된 삼원색광을 각각 화상 변조하는 액정 패널(16,18,20)과, 액정 패널(16,18,20)로부터 출사하는 화상 변조광을 합성하는 색합성수단(22)과, 합성된 변조광을 투사하는 투사 렌즈(24)를 구비한다.
광원 및 색분리수단은 도1로부터 도7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마련할 수 있다. 또한, 미러(26,28)도 앞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마련할 수 있다. 미러(28)는 도8에 나타낸다. 그리고, 집광 렌즈(56,57,58)가 액정 패널(16,18,20)의 전면에 마련된다. 집광 렌즈(56,57,58)는 도1로부터 도7의 실시예에도 마련할 수 있다.
색합성수단(22)은 제1 다이크로익 미러(22a)와, 제2 다이크로익 미러(22b)로 이루어진다. 제1 다이크로익 미러(14a)는 색합성막이 투명 박판에 접착되어 있는 것이다. 제2 다이크로익 미러(22b)는 색합성막(30)을 2개의 삼각형 프리즘(32,34)에 끼워서 되는 투명 블록이다.
투사 렌즈(24)의 눈동자의 중심이 O으로 나타나 있다. 도9에 분명히 나타낸 바와 같이, 투사 렌즈(24)의 중심 축선 L과 각 액정 패널(16,18,20)의 중심 P는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어, 투사광을 경사 상방향으로 조사하여, 실내의 높은 위치에 배치한 화면에 화상을 투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액정 패널(16,18,20) 및 화면은 통상 수직으로 배치된다. 집광 렌즈(56,47,58)는 액정 패널(16,18,20)에 대하여 기울어져도 좋다.
제2 다이크로익 미러(22b)를 포함하는 투명 블록은 2개의 입사면(46,47)과, 1개의 출사면(48)과, 복수의 비입출사면(49)을 갖는다. 제2 다이크로익 미러(22b)를 포함하는 투명 블록은 입사면(46,47) 및 출사면(48)은 광원으로부터 투사 렌즈(24)의 눈동자의 중심 O으로 향하는 광선 PL에 대하여 거의 수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히는, 제2 다이크로익 미러(22b)를 포함하는 투명 블록은 직방체를 직교하는 2방향으로 찌그러뜨린 평행육면체의 형상이다. 요컨대, 도8에 보이고 있는 블록의 상면은 동블록의 저면에 대하여, 액정 패널(16)에 가까이 가는 방향 및 액정 패널(20)에 가까이 가는 방향으로 찌그러뜨려지고, 입사면(46)은 수직에 대하여 액정 패널(16)측으로 경사지고, 입사면(47)은 수직에 대하여 액정 패널(20) 측으로 경사져 있다. 출사면(48)은 입사면(47)과 평행하다.
제2 다이크로익 미러(22b)를 포함하는 투명 블록의 출사면(48)은 투사 렌즈(24)의 눈동자의 중심이 O에 정 반대하여, 세로 방향의 화상 형성 특성 및 가로 방향의 화상 형성 특성은 같아진다. 따라서, 이 액정 프로젝터에서는 상기한 몇개의 이점을 유지하면서, 투사 렌즈(24)의 중심 축선 L과 각 액정 패널(16,18,20)의 중심 P을 서로 어긋나게 놓은 경우에도, 비점 수차가 없는 높은 해상도의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다이크로익 미러(22b)를 포함하는 투명 블록이 수평면내에 배치하여 상하 방향으로 축 어긋남을 행하였지만, 제2 다이크로익 미러(22b)를 포함하는 투명 블록을 연직면내에 배치하여 좌우 방향으로 축 어긋남을 행하더라도 좋다.
도10은 도8 및 도9의 액정 프로젝터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9와 같은 도면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입사면(46,47) 및 출사면(48)이 광원으로부터 투사 렌즈(24)의 눈동자의 중심 O으로 향하는 광선(평균적인 광선) PL에 대하여 거의 수직으로하는 구성을, 입사면(46,47) 및 출사면(48)은 액정 패널(16,18,20)의 중심 P와 투사 렌즈(24)의 눈동자의 중심 O을 잇는 선분 N에 대하여 거의 수직이다, 로 정의하는 것이다.
도11은 도8 및 도9의 액정 프로젝터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편광자(검광자)(38)가 제2 다이크로익 미러(22b)를 포함하는 투명 블록의 입사면(46,47)에 접착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미광 대책과 열대책을 할 수 있다. 즉, 편광자(검광자)(38)에 얕은 각도로 입사한 편광은 편광자(검광자)(38)로 흡수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제2 다이크로익 미러(22b)를 포함하는 투명 블록으로 반사, 및 그에 입사 후 반사하여 미광이 되는 광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상기한 도1로부터 도4의 구성과 같은 미광 방지작용을 한다. 또한, 편광자(검광자)(38)는 액정 패널(16,18,20)로부터 떨어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냉각 효율이 좋다.
도12는 도8 및 도9의 액정 프로젝터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1개의 비입출사면(49)은 차광막(60)을 포함한다. 이 차광막(60)은 제2 다이크로익 미러(22b)를 포함하는 투명 블록에 입사 후 반사하여 미광이 되는 광을 저감할 수 있고, 상기한 도1로부터 도4의 구성과 같은 미광 방지작용을 한다. 또, 차광막(60)은 앞의 실시예에서도 마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2 다이크로익 미러를 높은 연마 정밀도 및 지지 정밀도(기구 취부 정밀도)로 할 수 있기 때문에, 투과하는 화상변조광의 비점 수차를 작게 할 수 있어, 고해상도로 할 수 있다. 또한, 상 왜곡을 작게 할 수 있어, TV 왜곡률을 작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삼원색의 화상 어긋남을 작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액정 패널을 투과하여, 투명 블록 등으로 반사하여, 액정 패널에 재입사하는 광에 의해 액정 패널의 TFT가 오동작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액정 패널과 투사 렌즈 간의 광학적인 거리를 조절하여, 제2 다이크로익 미러를 포함하는 투명 블록의 근처의 공간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액정 패널의 배치의 자유도를 높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액정 패널을 투과하여, 투명 블록 등으로 반사하여, 액정 패널에 재입사하는 광에 의해 액정 패널의 TFT가 열화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비점 수차가 작고, 높은 해상도의 액정 프로젝터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6)

  1. 광원과, 백색광을 삼원색광으로 분리하는 색분리수단과, 분리된 삼원색광을 각각 화상 변조하는 액정 패널과, 상기 액정 패널로부터 출사하는 화상 변조광을 합성하는 색합성수단과, 합성된 변조광을 투사하는 투사 렌즈를 구비하고,
    상기 색합성수단이 삼원색광중 2색광을 합성하는 제1 다이크로익 미러와, 합성된 2색광과 나머지의 1색광을 합성하는 제2 다이크로익 미러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제2 다이크로익 미러가 색합성막을 2개의 프리즘에 끼워서 되는 투명 블록이고,
    적어도 1개의 편광자 및 적어도 1개의 λ/4 판이 액정 패널과 투사 렌즈 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프로젝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λ/4 판의 제1 표면은 상기 적어도 1개의 편광자에 중첩되고, 상기 적어도 1개의 λ/4 판의 제2 표면은 공기와의 계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프로젝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λ/4 판의 제1 표면은 상기 적어도 1개의 편광자에 광학적으로 공기층을 사이에 두지 않고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프로젝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개의 편광자가 각 액정 패널에 중첩해서 배치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프로젝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1개의 편광자가 각 액정 패널에 광학적으로 공기층을 사이에 두지 않고 중첩해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프로젝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이크로익 미러도 색합성막을 2개의 프리즘에 끼워서 되는 투명 블록이고, 반사 미러가 상기 나머지의 1색광을 화상 변조하는 액정 패널과 상기 제2 다이크로익 미러 간에 배치되고, 상기 반사 미러는 프리즘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프로젝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1개의 편광자가 상기 제1 다이크로익 미러에 중첩해서 배치되고, 1개의 편광자가 상기 프리즘에 중첩해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프로젝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1개의 편광자가 상기 제1 다이크로익 미러에 광학적으로 공기층을 사이에 두지 않고 중첩해서 배치되고, 1개의 편광자가 상기 프리즘에 중첩해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프로젝터.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이크로익 미러를 포함하는 투명 블록과, 상기 제2 다이크로익 미러를 포함하는 투명 블록과, 상기 반사 미러를 형성하는 프리즘이 실질적으로 일체인 1개의 투명 블록으로서 형성되고, 1개의 편광자가 상기 투명 블록의 출사면에 중첩해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프로젝터.
  10. 광원과, 백색광을 삼원색광으로 분리하는 색분리수단과, 분리된 삼원색광을 각각 화상 변조하는 액정 패널과, 상기 액정 패널로부터 출사하는 화상 변조광을 합성하는 색합성수단과, 합성된 변조광을 투사하는 투사 렌즈를 구비하고,
    상기 색합성수단이 삼원색광중 2색광을 합성하는 제1 다이크로익 미러와, 합성된 2색광과 나머지의 1색광을 합성하는 제2 다이크로익 미러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상기 제2 다이크로익 미러가 색합성막을 2개의 프리즘에 끼워서 되는 투명 블록이고,
    상기 제2 다이크로익 미러를 포함하는 투명 블록은 2개의 입사면과, 1개의 출사면과, 복수의 비입출사면를 갖고, 적어도 1개의 투명한 추가의 블록이 상기 제2 다이크로익 미러를 포함하는 투명 블록의 적어도 1개의 입사면에 또는 그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프로젝터.
  11. 광원과, 백색광을 삼원색광으로 분리하는 색분리수단과, 분리된 삼원색광을 각각 화상 변조하는 액정 패널과, 상기 액정 패널로부터 출사하는 화상 변조광을 합성하는 색합성수단과, 합성된 변조광을 투사하는 투사 렌즈를 구비하고,
    상기 색합성수단이 삼원색광중 2색광을 합성하는 제1 다이크로익 미러와, 합성된 2색광과 나머지의 1색광을 합성하는 제2 다이크로익 미러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상기 제2 다이크로익 미러가 색합성막을 2개의 프리즘에 끼워서 되는 투명 블록이고,
    상기 제2 다이크로익 미러를 포함하는 투명 블록은 2개의 입사면과, 1개의 출사면과, 복수의 비입출사면를 갖고, 적어도 1개의 비입출사면은 차광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프로젝터.
  12. 광원과, 백색광을 삼원색광으로 분리하는 색분리수단과, 분리된 삼원색광을 각각 화상 변조하는 액정 패널과, 상기 액정 패널로부터 출사하는 화상 변조광을 합성하는 색합성수단과, 합성된 변조광을 투사하는 투사 렌즈를 구비하고,
    상기 색합성수단이 삼원색광중 2색광을 합성하는 제1 다이크로익 미러와, 합성된 2색광과 나머지의 1색광을 합성하는 제2 다이크로익 미러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상기 제2 다이크로익 미러가 색합성막을 2개의 프리즘에 끼워서 되는 투명 블록이고,
    상기 투사 렌즈의 중심축선과 각 액정 패널의 중심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다이크로익 미러를 포함하는 투명 블록은 2개의 입사면과, 1개의 출사면과, 복수의 비입출사면을 갖고, 상기 입사면 및 상기 출사면은 상기 액정 패널로부터 상기 투사 렌즈의 눈동자의 중심으로 향하는 광선에 대하여 거의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프로젝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면 및 상기 출사면은 액정 패널의 중심과 투사렌즈의 눈동자의 중심을 잇는 선분에 대하여 거의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프로젝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다이크로익 미러를 포함하는 투명 블록은 직방체를 직교하는 이방향으로 찌그러뜨린 평행육면체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프로젝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가 상기 제2 다이크로익 미러를 포함하는 투명 블록의 입사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프로젝터.
  16. 제1항 또는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색합성막을 끼우는 2개의 프리즘은 삼각형 프리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프로젝터.
KR1019990009531A 1998-04-30 1999-03-20 액정프로젝터 KR199900827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120568A JPH11311847A (ja) 1998-04-30 1998-04-30 液晶プロジェクタ
JP98-120568 1998-04-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2758A true KR19990082758A (ko) 1999-11-25

Family

ID=14789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9531A KR19990082758A (ko) 1998-04-30 1999-03-20 액정프로젝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11311847A (ko)
KR (1) KR19990082758A (ko)
TW (1) TW371724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7401B1 (ko) * 2001-09-28 2006-01-31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액정 표시패널용 대향 기판, 액정 표시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0632518B1 (ko) * 2003-12-05 2006-10-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투과형 조명 광학계
KR100763396B1 (ko) * 2006-03-22 2007-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명 광학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7401B1 (ko) * 2001-09-28 2006-01-31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액정 표시패널용 대향 기판, 액정 표시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0632518B1 (ko) * 2003-12-05 2006-10-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투과형 조명 광학계
KR100763396B1 (ko) * 2006-03-22 2007-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명 광학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311847A (ja) 1999-11-09
TW371724B (en) 1999-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20641B2 (ja) 光変調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投写型表示装置
US6778228B2 (en) Projection-type display apparatus
JP4157729B2 (ja) 反射型映像投射装置と、それを用いた投写型映像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光源装置
US20080117385A1 (en) Liquid crystal device and projector having the same
EP1724636A1 (en) Liquid crystal projector
JP3613049B2 (ja) 照明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投写型表示装置
JP2003270636A (ja) 液晶パネル、液晶デバイス、および、液晶デバイスを用いたプロジェクタ
KR100381051B1 (ko) 액정 프로젝터의 광학계
JP3139387B2 (ja) 投写型表示装置
JP2001228541A (ja) 照明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投写型表示装置
JP2007232811A (ja) 投射型表示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背面投射型表示装置
US6278500B1 (en) Liquid crystal device and projector display device having a specific relationship for the F-numbers of the illumination optical system
KR19990082758A (ko) 액정프로젝터
JP3674330B2 (ja) 光変調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投写型表示装置
JPH07199188A (ja) 液晶表示素子と液晶表示素子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2000155372A (ja) プロジェクタ装置
JP2000131507A (ja) レンズアレイ板、ライトバルブ装置、投写型表示装置およびビューファインダ装置
JP3284246B2 (ja) 投写型液晶表示装置及び投写型表示装置
US20230251557A1 (en) Projector
JP3738582B2 (ja) 電気光学パネルおよび投射型表示装置
JP2009139875A (ja) 投射型液晶表示装置および光学ユニット
JP3065081B1 (ja) 投写型表示装置
JP3633361B2 (ja) 投写型液晶表示装置
JP2002323670A (ja) 照明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投写型表示装置
KR930004819B1 (ko) 투사용 액정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