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2112A - 디지털화상화소보전(補塡)방법, 및 그것을 사용한 디지털화상부호화장치, 화상복호화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화상화소보전(補塡)방법, 및 그것을 사용한 디지털화상부호화장치, 화상복호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2112A
KR19990082112A KR1019980705834A KR19980705834A KR19990082112A KR 19990082112 A KR19990082112 A KR 19990082112A KR 1019980705834 A KR1019980705834 A KR 1019980705834A KR 19980705834 A KR19980705834 A KR 19980705834A KR 19990082112 A KR19990082112 A KR 19990082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value
preservation
sampl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5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6190B1 (ko
Inventor
마키 오쿠노
츙센 분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찌
Publication of KR19990082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2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6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61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4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the transform being applied to non rectangular image seg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2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video object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04N19/527Global motion vector esti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04N19/563Motion estimation with padding, i.e. with filling of non-object values in an arbitrarily shaped picture block or region for estimation purpo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 H04N19/8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involving reduction of coding artifacts, e.g. of blockin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1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in combination with predictiv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using sub-band based transform, e.g. wavel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using sub-band based transform, e.g. wavelets
    • H04N19/6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using sub-band based transform, e.g. wavelets characterised by ordering of coefficients or of bits for transmission
    • H04N19/64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using sub-band based transform, e.g. wavelets characterised by ordering of coefficients or of bits for transmission using significance based coding, e.g. Embedded Zerotrees of Wavelets [EZW] or Set Partitioning in Hierarchical Trees [SPI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연시간과 연산량이 적은 처리에 의해, 움직임이 큰 화상에 대해, 오차가 작은 예측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화상의 보전방법 및 그것을 사용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물체를 나타내는 화상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화상데이터에 있어서, 화상을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물체형상의 경계를 포함하는 영역의 유의(有意)하지 않는 샘플치를, 유의하지 않는 화소치의 근처의 유의한 화소치를 함수로 변환해서 보전(補塡)하는 디지털화상보전방법 및 그것을 사용한 화상부호화, 복호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디지털화상화소보전(補塡)방법, 및 그것을 사용한 디지털화상부호화장치, 화상복호화장치
디지털화상을 효율좋게 축적 혹은 전송하려면, 압축부호화할 필요가 있다. 디지털화상을 압축부호화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JPEG나 MPEG에 대표되는 이산코사인변환(DCT)외에, 서브밴드와 워어브레트, 플랙탈 등의 파형부호화방법이 있다. 또, 화상간의 용장인 신호를 제거하려면 움직임보상을 사용한 화상간 예측을 행하고, 차분신호를 파형부호화한다.
최근, 압축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화상을 구성하는 물체단위의 재생을 할 수 있도록, 화상을 구성하는 물체를 따로따로 압축부호화하여 전송한다. 재생쪽에서는, 각각의 물체를 복호화하고, 재생한 물체를 합성하여 화상을 표시한다. 이것은 물체단위로 부호화함으로써, 물체를 자유롭게 조합해서 합성함으로써 동화상을 간단히 재편집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 통신로의 혼잡상태나 재생장치의 성능, 시청자의 취향에 따라서, 비교적으로 중요치않는 물체를 재생하지 않아도, 동화상을 볼 수 있다.
임의의 형상을 가지는 화상(물체)을 부호화하기 위하여, 그 형상에 적합한 변환방법, 예를 들면 형상적응이산코사인변환을 사용하거나, 화상의 무효영역(물체표시영역외의 영역이며, 물체를 표시하기 위한 화소데이터를 가지지 않는, 소위 유의(有意)하지않는 샘플치만으로 이루어진 영역을 말한다)을 소정의 방법으로 보전하고, 종래의 8×8의 코사인변환을 행하는 방법이 있다. 한편, 화상간의 용장한 신호를 제거하기 위하여 과거에 있어서 재생된 참조화상을 움직임보상해서 얻게된 예측영역(예를 들면 16×16화소로 이루어진 블록)에도, 물체의 경계에 있어서 유의하지 않는 샘플치가 포함된다. 이와 같은 예측영역을 일단 보전한다음에, 대상영역과 차분을 취하고, 예측오차신호를 생성하여, 변환부호화한다. 예측영역을 보전하는 것은 차분신호를 억압하기 위해서이다.
이와 같이, 디지털화상의 부호화복호화처리효율의 점에서, 유의하지 않는 화소의 보전처리는 중요한 동시에, 그 보전의 방법에 따라 복호화질, 전송데이터량 등에도 영향을 준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화상전체를 참조하고 보전함으로써, 예측여역에 유의하지 않는 샘플치가 포함하지 않도록 한 다음에, 움직임보상 등의 방법으로 예측영역을 취득한다. 또 보전방법은, 물체의 경계에 있는 유의한 샘플치를 반복하고, 유의하지 않는 샘플치를 바꿔놓는 등의 처리가 행하여진다. 또, 어떤샘플점에 있어서, 수평 및 수직양방향으로부터의 반복된 보전치가 있는 경우는, 그 양쪽의 보전치를 평균한다. 이 종래의 방법은 화상전체를 보전하기 위하여, 특히 움직임이 큰 화상에 대해 오차가 적은 예측영역이 얻어진다.
그러나, 반면 재생참조화상의 전체를 참조하고 보전하기 위해서는, 참조화상전체가 복호화되어 있지 않으면, 보전작업을 개시할 수 없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또, 반복하여 보전하는 경우, 화상의 사이즈에 비례하여 연산량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즉, 이와 같은 보전을 행하면, 화상을 재생하는 데에 처리량이 크며, 긴 지연이 발생하거나, 경우에 따라서 연산량이 대단히 많아진다.
그래서, 화상사이즈에 비례하지 않는 연산을 행하려면, 재생한 경계영역을 영역단위로 보전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으로 지연과 연산량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한편, 경계영역만으로의 보전이 되기 위하여, 유효영역은 보전된 경계영역이내의 영역으로 제한되어 보전의 효과가 적다. 그 때문에, 움직임이 큰 동화상에 대해서 오차가 작은 예측신호를 생성할 수 없는 과제를 남겨두고 있다.
한편, 화상전체를 보전하는 방법에서는 단순히 데이터량이 증가함으로, 이점이 적은 것으로 된다. 즉 유의하지 않는 화소는 부호화해야할 화소치가 없고, 유의한 화소와 동시에 통합해서 부호화하면, 부호화효율이 열화한다. 예를 들면, 유의화소가 전부 흑의 경우, 유의하지 않는 화소가 백이면 부호화효율이 열화하지만, 유의하지 않는 화소가 흑이면 부호화효율은 높아진다. 이와 같이 유의하지 않는 화소의 값은 재생화상의 화질에는 영향을 주지않으나 부호화효율에 영향을 주므로, 유의하지 않는 화소치에 대해서 고려하는 일이 중요하나, 종래는 전혀검토되고 있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제 1의 목적은, 지연시간과 연산량이 적은 처리로, 움직임이 큰 화상에 대해, 오차가 작은 예측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화상의 보전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물체를 나타내는 화상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화상데이터에 있어서, 상기 화상을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물체형상의 경계를 포함하는 영역의 유의하지 않는 샘플치를, 상기 유의하지 않는 화소치의 근처의 유의한 화소치를 함수에 의해 변환해서 보전하는 디지털화상보전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특히 함수변환해서 보전하는 유의한 화소치로서, 함수로서 가장 간단한 유의하지 않는 화소치에 인접하는 유의한 화소치를 그대로 반복해서 바꿔놓는 방법과 상기 방법을 조합해서 처리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보전을 하는 일도 가능하다.
또한, 보전영역을 적량확대하는 방법으로서, 물체형상의 경계를 포함하는 영역의 근처의 영역으로서, 유의하지 않는 샘플치만으로 이루어진 무효영역까지 확대해서 보전하는 동시에, 상기 물체형상의 경계를 포함하는 영역의 유의한 화소치를 함수변환해서 보전한다. 이에 의해, 더큰 움직임보상 등의 처리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의 목적은, 상기 디지털화상보전방법을 디지털화상부호화, 복호화방법 및 그 장치를 도입함으로써, 처리데이터량이 적고 화질이 양호한 압축화상처리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화소치를 나타내는 신호와 화소마다 화소치가 유의한지 여부를 표시한 유의신호로 구성되는 화상신호를 입력신호로 하고, 그 입력신호의 물체를 나타내는 화상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화상데이터에 있어서, 이미 복호된 화상신호로부터 상기 입력신호에 대한 예측화상신호를 생성하는 예측화상생성수단과, 상기 화상을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물체형상의 경계를 포함하는 영역의 유의하지 않는 샘플치를, 상기 유의하지 않는 화소치의 근처의 유의한 화소치를 함수변환해서 보전하여 출력하는 화소치생성수단과, 상기 화소치샌성수단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예측화상생성수단의 출력을 감산하는 감산수단과, 상기 감산수단의 출력을 부호화하는 부호화수단과 상기 부호화수단으로부터의 출력을 복호화하는 복호화수단과, 상기 복호화수단으로부터의 출력과 상기 예측화상생성수단으로부터의 출력을 가산하는 가산수단과 상기 가산수단의 출력을 상기 예측화상생성수단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부호화기출력을 화상부호화장치의 출력으로 하는 화상부호화장치를 구성하는 것이다.
또, 복호화장치로서, 입력신호를 복호화하는 복호화수단과, 이미 복호화된 화상신호로부터 상기 입력신호에 대한 예측화상신호를 생성하는 예측화상생성수단과, 상기 예측화상신호에서 유의한 화소치로부터 소정의 함수를 사용해서 화소치를 생성하고, 상기 예측화상신호의 유의하지 않는 화소의 화소치를 상기 함수를 사용해서 생성한 화소치로 바꿔놓고 출력하는 화소치생성수단과, 상기 복호화수단으로부터의 출력과 상기 화소치생성수단으로부터의 출력을 가산하는 가산수단과, 상기 가산수단의 출력을 상기 예측화상생성수단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가지고, 상기 가산수단의 출력을 화상복호화출력으로 하는 디지털화상복호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특히, 물체형상의 경계에 인접하는 유의하지 않는 샘플치만으로 이루어진 무효영역을 보전함으로써, 처리영역이 적당한 정도로 확대되어, 크게 데이터량이 증대하는 일없이 유효하게 움직임보상 등의 처리정밀도가 향상한다.
더욱 구체적인 본 발명의 디지털화상보전방법은, 제 1보전처리와 제 2보전처리를 구비하고,
제 1보전처리에 의해, 유의와 유의하지 않는 샘플치로 구성하는 임의형상의 화상의 샘플을 제 1방향을 따라서 주사하고, 제 1방향에 있어서, 소정의 방법에 의해 선택한 유의한 샘플치를 유의하지 않는 샘플의 값으로 하여 제 1보전화상을 생성하고, 제 2보전처리에 의해, 유의와 유의하지 않는 샘플치로 구성하는 제 1보전화상의 각 샘플을 제 2방향을 따라서 주사하고, 제 2방향에 있어서, 소정의 방법에 의해 선택한 유의한 샘플치 또는 제 1보전처리에 의해 보전한 샘플치를 사용해서, 제 1보전화상의 유의하지 않는 샘플의 값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의 더욱 구체적인 디지털화상보전방법은, 임의 형상의 디지털화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소정의 순번으로 처리하고, 형상의 경계에 위치하는 경계영역에 인접하는 유의하지 않는 샘플치만으로 이루어진 무효영역을, 소정의 방법으로 구하게된 보전치에 의해 보전한다.
특히, 대상영역이 무효영역아닌 경우, 소정의 순번에 있어서 대상영역에 인접하는 과거의 영역이 무효영역이면, 과거의 영역을 소정의 방법으로 구하게된 보전치에 의해 보전하고,
대상영역이 무효영역인 경우, 소정의 순번에 있어서 대상영역에 인접하는 과거이 영역이 무효영역이 아니면, 대상영역을 소정의 방법으로 구하게된 보전치에 의해 보전한다.
또, 본 발명의 디지털화상보전방법을 사용한 화상부호화장치는,
임의형상의 디지털화상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수단과, 이 디지털화상을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소정의 순번으로 처리하는 수단과, 대상영역데이터와, 예측영역데이터를 입력해서 차분영역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1가산기와, 이 차분영역데이터를 입력하고, 소정의 방법으로 압축차분영역데이터로 압축하는 부호화기와, 이 압축차분영역데이터를 입력하고, 소정의 방법으로 신장차분영역데이터로 복원하는 복호화기와, 이 신장차분영역데이터를 입력하고, 예측영역을 가산해서 재생영역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2가산기와, 이 재생영역데이터를 입력하고, 상기한 보전방법에 의해 재생영역에 포함되는 유의하지 않는 샘플치를 보전하는 제 1보전기와, 유의하지 않는 샘플치를 보전한 재생영역데이터를 예측영역데이터로해서 기억하는 프레임메모리를 가진다.
또, 제 1보전기의 대신에, 또는 제 1보전기에 부가해서 제 2보전기를 추가하고, 예측영역에 포함되는 유의하지 않는 샘플치를 보전한다.
또, 본 발명의 디지털화상보전방법을 사용한 화상복호화장치는,
압축부호화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수단과, 이 압축부호화데이터를 분석하고, 압축차분신호를 출력하는 데이터해석기와, 이 압축차분신호를 신장차분신호로 복원하는 복호화기와, 신장차분신호와 예측신호를 가산해서, 재생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가산기와, 상기한 방법으로 재생신호에 포함되는 유의하지 않는 샘플치를 보전하는 제 1보전기와, 제 1의 보전기에 의해 보전된 화상데이터를 예측신호로서 기억하는 프레임메모리를 가진다.
또, 제 1보전기의 대신에, 또는 제 1보전기에 부가해서 제 2보전기를 추가하고, 예측영역에 포함되는 유의하지 않는 샘플치를 보전한다.
본 발명은, 임의형상을 가지는 디지털화상을 보전하는 방법 및 그 보전방법을 사용한 디지털화상의 부호화·복호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디지털화상보전방법을 표시한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디지털화상보전방법의 제 1변형을 표시한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디지털화상보전방법의 제 2변형을 표시한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디지털화상보전방법의 제 3변형을 표시한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디지털화상보전방법을 표시한 모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디지털화상보전방법을 표시한 모식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디지털화상보전방법의 일변형을 표시한 모식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의한 디지털화상보전방법을 표시한 모식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의한 디지털화상부호화장치를 표시한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의한 디지털화상부호화장치를 표시한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의한 디지털화상복호화장치를 표시한 블록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의한 디지털화상부호화장치를 표시한 블록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의한 디지털화상부호화장치를 표시한 블록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의한 디지털화상복호화장치의 일변형을 표시한 블록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9에 의한 디지털화상복호화장치를 표시한 블록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9에 의한 디지털화상복호화장치의 일변형을 표시한 블록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0에 의한 디지털화상부호화장치에 사용하는 보전방법을 표시한 모식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0에 의한 디지털화상부호화장치에 사용하는 보전방법의 일변형을 표시한 모식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의한 디지털화상의 보전방법을 표시한 흐름도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의한 디지털화상의 보전방법에서 사용되는 영역의 보전방법의 일실시예를 표시한 모식도이며,
(A) 보전치가 수평방향에 있는 유의한 화소치의 평균치인예,
(B) 보전치가 수평방향에 있는 유의한 화소치의 반복보전의 일예,
(C) 보전치가 수평방향에 있는 유의한 화소치의 재반복보전의 다른예.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2에 의한 디지털화상의 보전방법에서 사용되는 영역의 보전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모식도이며,
(A) 보전치가 수직방향에 있는 유의한 화소치의 평균치인 예,
(B) 보전치가 수직방향에 있는 유의한 화소치의 반복보전의 일예,
(C) 보전치가 수직방향에 있는 유의한 화소치의 재차반복보전의 다른예.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3에 의한 디지털화상의 보전방법의 제 1변형을 표시한 흐름도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4에 의한 디지털화상의 보전방법의 제 2변형을 표시한 흐름도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4에 의한 디지털화상의 보전방법에 의해 보전한 화상의 제 1의 예를 표시한 모식도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4에 의한 디지털화상의 보전방법에 의해 보전한 화상의 제 2의 예를 표시한 모식도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4에 의한 디지털화상의 보전방법에 의해 보전한 화상의 제 3의 예를 표시한 모식도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5에 의한 디지털화상부호화장치를 표시한 블록도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5에 의한 디지털화상부호화장치의 변형을 표시한 블록도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6에 의한 디지털화상복호화장치를 표시한 블록도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7에 의한 디지털화상부호화장치를 표시한 블록도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7에 의한 디지털화상부호화장치의 변형을 표시한 블록도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8에 의한 디지털화상복호화장치를 표시한 블록도
<도면의 참조부호의 일란표>
201: 입력단자 202: 제 1가산기
203: 부호화기 204: 이산코사인변환기
205: 양자화기 206: 출력단자
207: 복호화기 208: 역양자화기
209: 역이산코사인변환기 210: 제 2가산기
211: 가변장(長)부호화기 212: 보전기(補塡器)
213: 프레임메모리 214: 움직임검출기
215: 움직임보상기(補償器) 229: 기록기
230: 초기화기 240: 제 1보전기
241: 제 2보전기 244: 보전기
246: 보전기 301: 입력단자
302: 데이터해석기 303: 복호화기
304: 역양자화기 305: IDCT
306: 가산기 307: 출력단자
308: 보전기 309: 프레임메모리
310: 움직임보상기 330: 보전기
(발명을 실시하는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디지털화상보전방법의 모식도를 표시한다. 화상(501)은 보전할 대상이 되는 화상이다. 화상(501)의 각 간막이눈은 화소를 표시하고, 화상으로부터의 샘플을 표시한다. 화소(502)에서부터 (507)은 유의한 샘플을 표시하고, 그외의 샘플은 유의하지 않는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어느 샘플치가 유의하는지 어떤지에 대해서, 화상의 형상신호를 참조한다. 형상신호가 0이면 유의하지 않고, 1이면 유의하다.
화상(501)에서부터 개시하여, 화살표시로 표시한 화상(508)을 샐성하려면 이하와 같이 각 유의하지 않는 샘플을 보전한다. 먼저 화상(501)의 각행(各行)을 주사한다. 이 주사처리에 있어서, 유의한 샘플이 검출되면, 그 값을 유의하지 않는 샘플의 값으로 한다. 예를 들면, 제 1행을 주사할때에, 유의한 샘플이 없기 때문에, 보전처리를 행할 수 없다. 제 2행을 주사할때에, 샘플(509),(510),(511)의 유의하지 않으나, 샘플(502)가 유의하기 때문에, 샘플(502)의 값a를 인접하는 유의하지 않는 샘플(511)의 행의 샘플(509),(510),(511)의 값으로서 보전한다. 즉 샘플(502)의 값을 인접하는 유의하지 않는 샘플(511)에서부터 샘플(510),(509)와 순차 반복하여 보전한다. 마찬가지로, 샘플(503)의 값b를 반복하여 샘플(512),(513),(514)를 보전한다.
제 3행도 동일하게 보전하고, 제 4행에는 유의한 샘플이 없음으로, 아무것도 보전을 행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보전한 화상(508)에 있어서, 제 2와 제 3행째가 유의한 값을 가지는 것으로 된다.
다음에 화상(508)을 기초로, 나머지의 유의하지 않는 샘플을 보전한다. 다음의 스텝을 표시한 화살표시방향의 화상(519)에 표시한 바와 같이, 이 다음에는 열(列)방향으로 주사하고, 유의하지 않는 샘플(520)과 (528)을, 화상(508)의 스텝에서 이미 보전되어 있는 각각 샘플(509)와 (515)에 의해 보전한다. 이와 같이 해서 샘플(521)에서부터 (527)과, 샘플(529)에서부터 (535)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수법으로 보전한다.
이상과 같은 수순으로 보전을 행함으로써, 연속성을 유지하면서 간이한 수법에 의해 유의하지 않는 샘플을 보전할 수 있음으로, 화질을 유지하면서 화상데이터의 압축처리 등의 연산처리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평과 수직의 서로 직교하는 2개의 방향을 주사하여 보전을 행하였으나, 경사진 방향으로 주사해도 된다. 또한, 먼저 수직방향을 주사하여 보전한 다음에 다음으로 수평방향을 주사하여 보전하여도 된다. 또, 주사방향에 있어서 유의하지 않는 값에서부터 가장 가까운 유의한 샘플의 값에 의해 보전하였으나, 마찬가지로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으면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디지털화상보정방법의 제 1변형의 모식도를 표시한다. 화상(508)에 있어서, 수평방향으로 주사할때에 유지하지 않는 샘플과 유의한 샘플의 경계를 중심으로 미러링을 행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샘플(511)과 (502)가 거울을 경계로하여 샘플(502)의 값을 샘플(511)의 값으로하고, 샘플(503)의 값을 샘플(510)의 값으로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해서 화상(501)을 화살표시의 스텝에서, 화상(508),(519)와 같이 순차보전을 행하고, 모든 유의하지 않는 샘플을 보전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디지털화상보전방법의 제 2변형의 모식도를 표시한다. 이것은 유의하지 않는 샘플이 유의한 샘플의 사이에 있을 경우의 보전방법이다. 수평방향으로 주사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나, 그외의 방법을 주사하는 경우에도 동일하다. 샘플(612)와 (613)은 샘플(602)의 값에 의해 보전한다. 다른 방법으로서 샘플(611)과 (614)와 같이, 샘플(607)의 값에 의해 보전해도 된다. 최초의 방법은 샘플을 좌에서 우로 주사하여 유의한 샘플을 그대로 신장시키고 보전한다. 2번째의 방법은, 우에서 죄로 주사하여 유의한 샘플을 그대로 신장시켜 보전하는 경우이다. 3번째의 방법으로서, 주사방향에 있어서 유의하지 않는 샘플에서부터 가장 가까운 유의한 샘플에 의해 보전한다. 샘플(615)와 (618)은 이와 같이 해서 보전한 샘플이다. 마지막으로, 유의하지 않는 샘플의 양쪽에 있는 유의한 샘플의 평균에 의해 보전한다. 샘플(616)과 (617)은 이와 같이 보전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디지털화상보전방법의 제 3변형의 모식도를 표시한다. 화상이 타원형을 한 물체를 표시하는, 즉 타원형에 유의한 샘플이 집합하고 있는 것이고, 이 화상을 기본적으로 도 1의 방법을 사용해서 보전하고 있다.
화상(701)은 유의한 샘플의 집합(702)으로 구성된다. 먼저 화상(703)과 같이 수평방향으로 주사하여 보전한다. 다음에 화상(704)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주사하고, 유의한 샘플 또는 화상(703)에서 보전한 샘플을 사용해서 유의하지 않는 샘플을 보전한다. 한편, 화상(705)과 같이 먼저 수직을 주사하여 보전한 다음에 수평방향을 주사하여 보전한다. 이와 같이 해서 얻게된 2개의 보전화상(704)와 (706)을 평균화하여 화상(707)을 생성한다. 이와 같은 보전방법에 의해, 더욱 복잡한 물체표시화상에 대해서도 유의한 샘플과 보전된 샘플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화질을 유지하면서 연산처리를 효율적으로 행하는 일이 가능한 것이다.
(실시예 2)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디지털화상보전방법의 모식도를 표시한다.
화상(801)은 유의한 샘플의 집합(802)으로 구성된다. 먼저 화상(801)을 수평방향으로 주사하여 가장 가까운 유의한 샘플치를 유의하지 않는 샘플의 값으로 하고 화상(803)을 생성한다. 동시에, 화상(801)을 수직방향으로 주사하여 가장 가까운 유의한 샘플치를 유의하지 않는 샘플의 값으로 하고 화상(804)을 생성한다.
화상(803)과 화상(804)을 평균화하여 화상(806)을 생성한다. 유의한 샘플의 집합(802)을 평균화해도 동일한 값으로 되기 때문에, 평균화하지 않아도 된다.
화상(803)과 화상(804)의 양쪽의 보전처리에서 중복해서 보전한 샘플에 대해서 양쪽의 보전치를 평균화한다. 한쪽편에만 보전치가 없는 경우, 그것을 화상(806)의 보전치로 한다. 화상(803)과 화상(804)의 양쪽의 보전처리에도 보전치가 없는 샘플은 유의하지 않는 샘플 그대로가 된다. 이와 같은 유의하지 않는 샘플은, 다음에 그 샘플에서부터 가장 가까운 유의한 샘플 또는 보전한 샘플치에 의해 보전한다. 보전치의 후보가 2개이상있는 경우, 그들의 평균에 의해 보전한다. 또는 그들 중의 하나를 사용해서 보전해도 된다. 최종적으로는 화상(811)과 같이 모든 샘플이 보전하는 것으로 된다.
이 실시예에 의한 보전방법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복잡한 형상의 유의하지 않는 샘플의 집합과 보전되는 유의하지 않는 샘플과의 연속성을 유지하는 다른 발명의 보전방법이다.
(실시예 3)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디지털화상보전방법의 모식도를 표시한다.
화상(901)은 유의한 샘플의 집합(902)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의한 샘플의 집합(902)을 둘러싸는 영역(904)을 결정하고, 그 영역(904)중에서, 유의하지 않는 값을 보전한다. 보전방법에 대해서 상기한 것을 사용한다. 나머지의 영역(905)는, 보전한 영역(904)을 참조해서 단순한 보전방법에 의해 보전하고, 모든 유의하지 않는 샘플치를 보전한다(화상906).
영역(904)은 직4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나 그 이외의 형상이라도 된다. 영역(904)은 유의한 샘플의 집합(902)를 포함하는 가장 작은 직4각형 또는, 최소직4각형으로부터 K샘플확대한 직4각형이라도 된다. K의 값은 직4각형의 사이즈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결정한다. 예를 들면 16의 배수가 되도록 K의 값을 결정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디지털화상보전방법의 일변형을 표시한 모식도이며, 화상(910)은 복수의 유의한 샘플의 집합(911),(912),(913)으로 구성된다. 이들 집합을 각각 포함하는 영역(915),(916),(917)으로 분할한 다음에, 각각의 영역의 중에서 상기한 방법으로 보전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보전방법에 의하면, 미리 처리범위를 규정함으로써, 연산처리가 효율적으로 행하여지는 것이다.
(실시예 4)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의한 디지털화상보전방법의 모식도를 표시한다.
화상(920)은 M×N의 샘플로 이루어진 영역(블록)으로 분할한 후에 보전을 행한다. 바람직하게는 M=N=8 또는 16이나, 임의의 값이라도 되고, 3각 등의 형상으로 분할해도 된다. 블록(921)에서부터 (929)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샘플을 포함하고 있다. 그들의 값을 참조해서, 상기한 방법으로 유의하지 않는 샘플을 보전한다.
유의한 샘플을 포함하지 않는 블록(930)이나 (931)을 보전할때에, 소정의 값으로 보전하거나(바람직하게는 128), 또는 가장 가까운 유의한 샘플치를 참조해서 보전한다. 블록(930)을 고려한다. 블록(930)은 유의한 샘플을 가지는 블록의 중에서 블록(929)에서부터 가장 가깝다. 이것은 블록의 좌상의 샘플의 좌표점간의 거리를 구함으로써 알 수 있다. 블록(929)의 유의한 샘플치의 평균치를 구해서 보전한다.
또 블록(931)과 같이 유의한 샘플을 가지는 가장 가까운 블록은 블록(922)이며, 그 유의한 샘플치의 평균에 의해 보전해도 되나, 경계에 있는 샘플(934),(935),(936),(937)을 그대로 반복해서 보전해도 된다.
이와 같이, 소정의 블록단위로 보전을 행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연산처리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디지털화상보전방법을 화상부호화, 복호화장치에 적응하였을 경우의 실시예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실시예 5)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의한 디지털화상부호화장치의 블록도를 표시한다. 도 9에 있어서 (201)은 입력단자, (202)는 제 1가산기, (203)는 부호화기, (204)는 이산코사인변환기(DCT), (205)는 양자화기, (206)은 출력단자, (207)은 복호화기, (208)은 역양자화기, (209)는 역이산코사인변환기(IDCT), (210)은 제 2가산기, (211)은 가변장부호화기(VLC), (213)은 프레임메모리, (214)는 움직임검출기, (215)는 움직임보상기, (240)은 제 1보전기, (241)은 제 2보전기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디지털화상부호화장치에 대해서, 이하, 그 동작을 설명한다. 임의형상을 가지는 화상을 입력단자(201)에 입력한다. 입력한 화상을 복수의 인접하는 영역으로 분할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8×8 또는 16×16의 샘플로 이루어진 블록으로 분할하나, 임의의 형성이라도 된다. 부호화의 대상이 되는 블록을 라인(225)을 경우해서 움지임검출기(214)에 입력하다. 동시에 프레임메모리(213)에 격납하고 있는 과거의 재생화상(이하, 참조화상이라 호칭함)을 움직임검출기(214)에 입력하고, 블록매칭 등의 방법으로 대상블록에 대해 오차가 가장 작은 예측신호를 부여하는 움직임변위정보(이하, 움직임백터라 호칭함)를 구해서 출력한다.
이 움직임백터를 움직임보상기(215)로 보내고, 그래서, 참조화상으로부터 예측블록을 생성한다. 움직임백터는 또 라인(228)을 경유하여 VLC(211)로 보내고 가변장부호로 변환한다.
대상블록은 제 1보전기(240)로 보내서 상기한 실시예에 표시한 방법에 의해 보전하고, 보전대상블록을 생성한다. 예측블록은 제 2보전기(241)로 보내고 상기한 방법에 의해 보전하고, 보전예측블록을 생성한다.
보전대상블록과 보전예측블록을 제 1가산기(202)로 보내어 차분을 취하고 잔여차의 블록을 생성한다. 잔여차의 블록을 부호화기(203)에 의해, 압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DCT(204) 및 양자화기(205)에 의해서 압축된다. 양자화된 데이터를 VLC(211)로 보내어 가변장부호화로 변환하고, 움직임백터를 포함하는 기타의 사이드정보와 함께 출력단자(206)에 출력한다.
한편, 압축된 데이터를 복호화기(207)로 보내고, 신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역양자화기(208)에 이해 역양자화하고, IDCT(209)에 의해 공간영역의 데이터로 신장한다. 신장한 잔여차블록데이터에, 라인(227)을 경유하여 보내게되는 보전예측블록데이터를 가산하고, 재생블록을 생성한다. 재생블록데이터를 프레임메모리(213)에 격납한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샘플치가 유의하는지 여부를 표시하려면 형상신호를 미리 부호화·복호화한 것을 참조한다.
이와 같이, 대상블록과 예측블록을 보전함으로써, 움직임보상에 의한 에지부의 어긋남 때문에 생기는 큰 예측오차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시생략하고 있으나 보전기(246)를 움직임보상기(215)의 앞에 배치해도 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이산코사인변환을 사용하였으나, 형상적응이산코사인변환이나 서브밴드나 워어브레트를 사용하였을 경우에서도 동일하다.
(실시예 6)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의한 디지털화상부호화장치의 블록도를 표시한다. 기본적인 동작은 실시예 6과 동일하다. 다른점은 제 1보전기(240)에 있어서, 대상블록을 보전하려면, 예측블록을 보전하기 위한 값을 사용한다. 이 값은 라인(243)을 경유해서 제 2보전기(241)에서부터 제 1보전기(240)로 전송된다. 이와 같이 보전치를 공유함으로써 대부분의 차분치가 0으로되기 때문에 예측오차를 더욱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7)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의한 디지털화상복호화장치의 블록도를 표시한다. 도 11에 있어서 (301)은 입력단자, (302)는 데이터해석기, (303)은 복호화기, (304)는 역양자화기, (305)는 IDCT, (306)은 가산기, (307)은 출력단자, (309)는 프레임메모리, (310)은 움직임보상기, (330)은 보전기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디지털화상복호화장치에 대해서, 이하, 그 동작을 설명한다. 압축부호화된 데이터를 입력단자(301)에 입력하고, 데이터해석기(302)에 의해 데이터를 해석한다. 압축된 잔여차블록의 데이터를 라인(312)을 경유해서 복호화기(303)에 출력하고, 움직임백터를 라인(318)을 경유하여 움직임보상기(310)에 출력한다. 복호화기(303)에서는, 압축잔여차블록을 신장하고, 신장잔여차블록으로 복원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역양자화기(304)에 의해 역양자화하고, 역이산코사인변환 IDCT(305)에 의해 주파수영역신호를 공간영역신호로 변환한다. 움직임백터를 라인(318)을 경유하여 움직임보상기(310)에 입력한다. 움직임보상기(310)에서는, 움직임백터를 기초로, 프레임메모리(309)를 액세스하기 위한 어드레스를 생성하고, 프레임메모리(309)에 격납되는 화상으로부터 예측블록을 생성한다. 생성된 예측블록을 보전기(330)로 전송하고, 그래서 상기한 방법으로 유의하지 않는 샘플을 보전하고, 보전예측블록을 생성한다. 보전예측블록과 신장한 잔여차블록을 가산기(306)에 입력하고, 가산함으로써 재생블록을 생성한다. 재생블록을 출력단자(307)에 출력하는 동시에 프레임메모리(309)에 격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움직임보상한 예측블록을 보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움직임보상하면서 보전을 행하여도 된다. 여기서 말하는 움직임보상은 오버랩움직임보상을 포함한다. 또한 도시생략의 샘플치가 유의한지여부를 표시하려면, 형상신호를 미리 복호화한 것을 참조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의한 디지털화상복호화장치의 일변형의 블록도를 표시한다. 기본적인 동작은 도 11과 동일하다. 이 경우 보전기(332)는 움직임보상기(310)의 앞에 설치하고 있다.
(실시예 8)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의한 디지털화상부호화장치의 블록도를 표시한다. 기본적인 동작은 도 9와 동일하다. 이 경우 보전기(212)는 프레임메모리의 앞에 설치되어 있다. 가산기(210)로부터의 재생블록은, 즉시 보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DCT(204)의 앞에 보전기(244)가 설치되어 있다. 이 보전기(244)에 의해서, DCT계수가 작아지도록 보전을 행한다. 그중에서도, 차분블록에 대해서 대상블록의 유의하지 않은 영역을 0에 의해 보전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의한 디지털화상부호화장치의 일변형의 블록도를 표시한다. 도 12에 부가해서 움직임보상기(215)의 뒤에 보전기(246)가 설치되어 있다. 움직임보상을 한다음에 예측신호를 다시 보전하고, 예측오차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시생략의 보전기(246)를 움직임보상기(215)의 앞에 배치해도 된다.
(실시예 9)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9에 의한 디지털화상복호화장치의 블록도를 표시한다. 이것은 도 12의 부호화장치에 대한 복호화장치이다. 기본적인 동작은, 도 14와 동일하다. 이 경우, 프레임메모리(309)의 앞에 보전기(308)를 설치하고 있다. 재생한 블록을 곧 보전하여 프레임메모리에 격납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9에 의한 디지털화상복호화장치의 일변형을 표시한 블록도이다. 이것은 도 13의 부호화장치에 대한 복호화장치이다. 기본적으로는 도 15와 동일하다. 상이한 것은 움직임보상기(310)의 뒤에 보전기(330)를 설치하여 예측블록을 보전한다.
이에 의해,
(실시예 10)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0에 의한 디지털화상부호화장치·복호화장치에 사용하는 보전방법의 모식도를 표시한다. 여기서는 도 11을 예로해서 보전기(33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7에서는 대상화상(블록)(940)은 유의한 샘플의 집합(943)과 유의하지 않는 샘플의 집합(944)으로 이루어진다. 사선부분은 유의한 영역이다. 예측화상(941)은 움직임보상해서 얻게된 화상이고, 유의한 샘플의 집합(945)과 유의하지 않는 샘플의 집합(946)으로 이루어진다.
도 11의 복호화장치에 있어서, 에측화상(941)을 보전한 다음에 가산기(306)로 보낸다. 보전기(330)에서는 유의하지 않는 영역(946)을 전부 보전해도 되나, 대상화상의 유의한 영역만을 보전한쪽이 연산량이 적다. 대상화상(940)의 형상을 참조해서, 예측화상의 유의하지 않는 영역 또한 대상화상의 유의한 영역을 결정하고(화상(942)의 영역(947)), 그 영역만을 보전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0에 의한 디지털화상부호화장치·복호화장치에 사용하는 보전방법의 일변형을 표시한 모식도이다. 보전의 대상이 되는 블록에 유의한 샘플이 하나도 없는 경우를 고려한다. 도 15의 보전기(308)를 예로 설명한다. 도 18의 블록(962)이 보전의 대상이 되는 블록으로 한다. 이 블록에는 유의한 샘플치가 없음으로 블록내에서 보전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인접하는 블록중에서 적어도 1개의 유의한 샘플로 이루어진 블록을 찾고, 그것을 참조해서 보전한다. 그러나, 도 15의 보전기(308)에서는, 블록(962)은 블록(964)보다 앞에 재생되기 때문에, 블록(964)을 참조해서 보전할 수 없다. 그래서, 이미 재생된 블록(966),(965),(961),(963)의 차례로, 유의한 샘플을 포함하는 블록을 찾아내고 그것을 참조해서 보전한다.
또한, 움직임보상한 예측블록에 유의한 샘플이 포함되지 않는 경우도 동일하게, 복호화의 대상이 되는 블록에 인접하는 재생블록중에서 유의한 샘플을 포함하는 블록을 참조해서 보전한다. 보전치의 계산방법으로서 평균치나 반복보전을 사용해도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상부호화장치 및 화상복호화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재생화상의 화질에는 영향을 주지않는 유의하지 않는 화소의 화소치를 부호화효율이 향상하는 값으로해서 부호화할 수 있음으로, 부호화효율을 향상할 수 있어 그 실용적가치는 높다.
(실시예 11)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의한 디지털화상의 보전방법의 흐름도를 표시한다. 임의 형상을 가지는 화상을 입력하고,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해서, 각 영역에 대해서 소정의 순번으로 주사하고, 1개씩 도 19의 흐름도의 방법에 따라서 처리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의 좌상에 있는 영역에서부터 스타트하고, 러스터·스캔과 동일 순번으로 영역을 주사할 수 있다. 영역의 형상은 3각형이라도 되고, 직4각형이나 정4각형이라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N×N개의 샘플로 이루어진 정4각형으로 분할해서 처리한다. N은 8 또는 16이다. 이하에서는, N×N개의 정4각형을 블록이라 호칭한다.
먼저 스텝12에서는, 현재처리의 대상이 되는 블록(현블록)이 완전히 임의형상의 화상, 즉, 물체의 바깥에 있는지 여부를 조사한다. 완전히 물체의 바깥에 있는 경우, 해당하는 블록의 샘플치는 모두 유의하지 않다. 본 실시예에서는, 어느 샘플치가 유의하는지 여부에 대해서, 해당되는 화상의 형상신호를 참조한다. 형상신호가 0이면 유의하지 않고, 1이면 유의하다.
현블록이 완전히 물체의 바깥에 없으면, 스텝14로 진행한다. 여기서, 현블록에 인접하는 과거의 블록은 완전히 물체의 바깥에 있는지 여부를 조사한다. 여기에 과거의 블록이란, 영역의 주사의 순번에 있어서, 앞에 처리된 블록이란 말이다. 인접하는 과거의 블록이 완전히 물체의 바깥에 있으면, 스텝16에 있어서 소정의 방법으로 보전치를 계산하고, 스텝 18에서 인접하는 과거의 블록의 샘플치를 바꿔놓고, 보전한다.
스텝12에 있어서, 현블록이 완전히 물체의 바깥에 있으면, 스텝 20으로 진행한다. 여기서, 인접하는 과거의 블록이 완전히 물체의 바깥에 있는지 여부를 조사한다. 그렇지않으면, 스텝22에 있어서 소정의 방법으로 보전치를 계산하고, 스텝 24에서 현블록의 샘플치를 바꿔놓고, 보전한다. 또한, 인접하는 과거의 블록이 스텝(18)에서 보전되었을 경우, 스텝 20에 있어서 완전히 물체의 바깥에 없는 것으로 판단해도 된다.
이 처리를 마지막의 블록까지 반복한다(스텝 26, 28).
(실시예 12)
도 20과 도 21은 보전치의 계산방법에 대해서의 모식도를 표시하고 있다. 도 20은 현블록과 과거의 블록이 수평방향으로 인접하는 경우이다. 도 20(A)에서는, 블록(132)이 현블록이고, 과거의 블록(130)이 과거의 블록이다. 각 간막이눈은 화상의 샘플(화소)를 표시한다. 블록(130)이 완전히 물체의 바깥에 있는 것으로하고, 현블록(132)에 포함되는 유의한 샘플치(134),(136),(138),(140),(142), (144)의 평균치를 구해서, 과거의 블록(130)의 각 간막이눈에 대입함으로써 보전한다. 도 20(B)에서는, 현블록(148)의 유의한 샘플치(150),(152),(154),(156)를 반복함으로써 과거의 블록(146)(완전히 물체의 바깥에 있는 것으로 하고)의 각 간막이눈을 보전한다. 즉 과거의 블록(146)의 제 1, 2, 3, 4행의 각막이눈을 각각 샘플치(150),(152),(154),(156)에 의해 대입한다. 또 도 20(c)에서는 현블록(160)이 완전히 물체의 바깥에 있으며, 과거이 블록(158)은 물체의 바깥에 없는 경우에 대해서, 과거의 블록(158)의 유의한 샘플치(162),(164),(166),(168)를 반복하여 현블록(160)의 각간막이 눈을 보전한다.
도 21은 현블록과 과거의 블록이 수직방향으로 인접할 경우를 표시한다. 도 21(A)에서는, 블록(172)이 현블록이고, 블록(170)이 과거의 블록이다. 각간막이눈은 화상의 샘플(화소)를 표시한다. 과거의 블록(170)이 완전히 물체의 바깥에 있는 것으로 하고, 현블록(172)에 포함되는 유의한 샘플치(174),(176),(178),( 180)(182),(184)의 평균치를 구해서, 과거의 블록(170)의 각간막이눈에 대입함으로써 보전한다.
도 21(B)에서는, 현블록(188)의 유의한 샘플치(190),(192),(194),(196)을 반복함으로써 과거의 블록(186)(완전히 물체의 바깥에 있는 것으로 하고)의 각간막이눈을 보전한다. 즉 과거의 블록(186)의 제 1, 2, 3, 4열의 간막이눈을 각각 유의한 샘플치(196),(194),(192),(190)에 의해 대입한다.
또 도 21(c)에서는 현블록(198)이 완전히 물체의 바깥에 있고, 과거의 블록(199)은 물체의 바깥에 없는 경우에 대해서, 과거의 블록(199)의 유의한 샘플치(1100),(1102),(1104),(1106)을 반복하여 현블록(198)의 각간막이눈을 보전한다. 또한, 간단화하기 위하여 4×4의 블록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N×N(N=임의의 정수)의 블록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실시예 13)
도 22는 도 19의 흐름도에 스텝 13을 부가한 것이다. 즉, 현블록이 완전히 물체의 바깥에 없는 경우, 현블록에 포함되는 물체외부의 영역을 보전한다. 도 20(A)의 현블록(132)에는 물체외부의 영역이 포함되는 예이다. 샘플(134),(136), (138),(140),(142),(144)는 물체내에 있는 유의한 샘플이고, 그 이외의 샘플(빈틈이 있는 간막이눈)은 물체외부에 있는 유의하지 않는 샘플이다.
이들 유의하지 않는 샘플을 보전하려면, 유의한 샘플의 평균치에 의해 대입하는 방법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경계에 있는 샘플(134),(136),(144)를 수평·수직방향으로 반복하여 보전한다. 보전치가 두 개 있는 경우, 양보전치를 평균한다. 스텝 13에 있어서의 현블록의 보전에 의해 현블록의 모든 샘플이 단지하나의 값이 대입되기 때문에, 스텝 18에 있어서의 과거의 블록의 보전은, 도 20(B) 혹은 도 21(B)에 표시한 바와 같이 현블록과 과거의 블록의 경계에 있는 현블록의 유의한 샘플치를 반복해서 보전할 수 있다. 또한, 반복의 대신에, 평균치를 구해서 대입해도 된다.
(실시예 14)
도 23은 도 22에 있어서, 스텝15, 19, 21에 수평방향으로 인접하는 과거의 블록을 사용한 처리로 한정했을 경우의 흐름도를 표시한다. 도 23의 처리에 따라서 보전한 화상(108)의 예를 도 24에 표시한다. 별의 형상(110)이 유의한 물체이고, 그 이외의 부분은 유의하지 않는 샘플로 구성된다. 화상(108)은 7×7의 블록으로 분할되어 있다. 블록(1112)과 동일한 모양으로 빈틈없이 매우진 블록은 도 23의 스텝 13에 의해서 보전된 것이다. 블록(1114)과 동일한 모양으로 빈틈없이 매우진 블록은 도 23의 스텝 19 혹은 스텝 24에 의해서 보전된 것이다.
도 23과 도 24를 사용해서 이 실시예의 보전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블록(1112)에 대해서 생각한다. 스텝 12에 있어서 현블록(1112)은 완전히 물체의 바깥에 없기 때문에, 스텝 13에서 보전된다. 스텝 15에 있어서 수평으로 인접하는 과거의 블록이 완전히 물체의 바깥에 없기 때문에,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
다음에 블록(1114)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텝 12에 있어서 현블록(1114)은 완전히 물체의 바깥에 있기 때문에, 스텝 21로 진행한다. 여기서 수평으로 인접하는 과거의 블록이 완전히 물체의 바깥에 없음으로, 그것을 참조해서 스텝 24에 있어서 현블록(1114)을 보전한다.
마지막으로 블록(1116)에 대해서 생각한다. 스텝 12에 있어서 현블록(1116)은 완전히 물체의 바깥에 있기 때문에, 스텝 21로 진행한다. 여기서 수평으로 인접하는 과거의 블록(1115)이 완전히 물체의 바깥에 없음으로, 그것을 참조해서 스텝 24에 있어서 현블록(1116)을 보전한다.
다음에 블록(1117)으로 될 때, 스텝 12에 있어서 현블록(1117)은 완전히 물체의 바깥에 없기 때문에, 스텝 13에서 보전되고, 스텝 15에 있어서 수평으로 인접하는 과거의 블록(1116)은 완전히 물체의 바깥에 있기 때문에 스텝 19에서 보전된다. 즉, 블록(1116)은 2회보전되게 된다. 복수의 보전치가 있는 경우, 이들 보전치를 평균화한다. 또한, 복수의 보전치가 있는 경우, 그중의 하나를 선택해서 보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해서, 화상(108)의 물체를 수평방향으로 확장해서 보전할 수 있었다.
또, 도 23의 스텝 15, 19와 21의 처리를 수평으로부터 수직으로 변경하면 도 25에 표시되는 수직방향으로 확장보전한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또, 수평과 수직을 조합해서 처리하면, 도 26과 같이 수평·수직방향으로 확장보전한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2회이상보전되는 경우, 복수의 보전치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평균화한다. 또한, 복수의 보전후보가 있을 경우, 처리의 순번에 있어서 최근의 후보에 의해 보전해도 된다.
본 발명의 디지털화상보전방법을 화상부호화·복호화장치에 적응하였을 경우의 실시예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실시예 15)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5에 의한 디지털화상부호화장치를 표시하고, 도 27에 있어서 (201)은 입력단자, (202)는 제 1가산기, (203)은 부호화기, (204)는 이산코사인변환기(DCT), (205)는 양자화기, (206)은 출력단자, (207)은 복호화기, (208)은 역양자화기, (209)는 역이산코사인변환기(IDCT),(210)은 제 2가산기, (211)은 가변장부호화기(VLC), (212)는 보전기, (213)은 프레임메모리, (214)는 움직임검출기, (215)는 움직임보상기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디지털화상부호화장치에 대해서, 이하 그 동작을 설명한다. 임의형상을 가지는 화상을 입력단자(201)에 입력한다. 입력한 화상을 복수의 인접하는 영역으로 분할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8×8 또는 16×16의 샘플로 이루어진 블록으로 분할하나, 임의의 형상이라도 된다.
예로서 도 24를 참조하기 바란다. 부호화의 대상이 되는 블록을 라인(225)을 경유하여 움직임검출기(214)에 입력한다. 동시에 프레임메모리(213)에 격납하고 있는 과거의 재생화상(이하, 참조화상이라 호칭함)을 움직임검출기(214)에 입력하고, 블록매칭 등의 방법으로 대상블록에 대해 오차가 가장 작은 예측신호를 부여하는 움직임변위정보(이하, 움직임백터라 호칭함)를 구해서 출력한다.
이 움직임백터를 움직임보상기(215)로 보내고, 그래서, 참조화상으로부터 예측블록을 생성한다. 움직임백터는 또 라인(228)을 경유하여 VLC(211)로 전송하여 가변장부호로 변환한다. 대상블록과 예측블록을 제 1가산기(202)로 전송하여 차분을 취하고 잔여차블록을 생성한다. 잔여차블록을 부호화기(203)에 의해, 압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DCT(204) 및 양자화기(205)에 의해서 압축된다.
양자화된 데이터를 VLC(211)로 전송하여 가변장부호화로 변환하고, 움직임백터를 포함하는 그외의 사이드정보와 함께 출력단자(206)에 출력한다.
한편, 압축된 데이터를 복호화기(207)로 전송하고, 신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역양자화기(208)에 의해 역양자화하고, IDCT(209)에 의해 공간영역의 데이터로 신장한다. 신장된 잔여차블록에, 라인(227)을 경유하여 전송되는 예측블록을 가산하고, 재생블록을 생성한다. 이 재생블록을 보전기(212)에 입력하고, 실시예 11에서 설명한 보전방법으로, 재생블록의 유의하지 않는 샘플치를 바꿔놓고 보전한다. 보전한 재생블록을 프레임메모리(213)에 격납한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샘플치가 유의한지 여부를 표시하려면, 형상신호를 미리 부호화·복호화한 것을 참조한다.
프레임메모리(213)에 격납되는 보전된 화상은 예를 들면 도 24, 25, 26과 같이 된다. 보전된 화상을 라인(224)을 경유하여 움직임검출기(214)와 움직임보상기(215)로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움직임검출과 움직임보상의 범위를 보전된 영역내(도 24, 25, 26에서는 빈틈없이 매우 진영역)로 제한한다. 즉 보전된 영역이외의 샘플을 액세스하지 않는다.
도 28은 도 27의 화상부호화장치에 기록기(229)를 접속한 화상부호화장치이다. VLC(211)에 의해서 가변장부호화된 데이터를 기록기(229)를 경유하여 자기미디어(테이프나 디스크), 광디스크 등의 기록매체에 기록한다.
이와 같이, 물체의 경계영역에 인접하는 영역을 보전함으로써, 움직임검출·움직임보상의 범위가 넓어지고, 움직임이 큰 화상에 대해서도 잔여차가 적은 예측블록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보전방법은 영역(블록)마다 행함으로, 지연시간이나 연산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산코사인변환을 사용하였으나, 형상적응이산코사인변환이나 서브밴드나 워어브레트를 사용한 경유라도 동일하다.
(실시예 16)
도 29 본 발명의 실시예 16에 의한 디지털화상복호화장치를 표시하고, 도 29에 있어서 (301)은 입력단자, (302)는 데이터해석기, (303)은 복호화기, (304)는 역양자화기, (305)는 IDCT, (306)은 가산기, (307)은 출력단자, (308)은 보전기, (309)는 프레임메모리, (310)은 움직임보상기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디지털화상복호화장치에 대해서, 이하, 그 동작을 설명한다. 압축부호화된 데이터를 입력단자(301)에 입력하고, 데이터해석기(302)에 의해 데이터를 해석한다. 압축된 잔여차블록의 데이터를 라인(312)을 경유하여 복호화기(303)에 출력하고, 움직임백터를 라인(318)을 경유하여 움직임보상기(310)에 출력한다. 복호화기(303)에서는, 압축잔여차블록을 신장하고, 신장잔여차블록으로 복원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역양자화기(304)에 의해 역양자화하고, 역이산코사인변환 IDCT(305)에 의해 주파수영역신호를 공간영역신호로 변환한다. 움직임백터를 라인(318)을 경유하여 움직임보상기(310)에 입력한다.
움직임보상기(310)에서는, 움직임백터를 기초로, 프레임메모리(309)를 액세스하기 위한 어드레스를 생성하고, 프레임메모리(309)에 격납되는 화상으로부터 예측블록을 생성한다. 생성된 예측블록과 신장된 잔여차블록을 가산기(306)에 입력하고, 가산함으로써 재생블록을 생성한다. 재생블록을 출력단자(307)에 출력하는 동시에 보상기(308)에 입력하고, 실시예 11에 설명한 보전방법에 의해 재생된 화상을 보전하고, 프레임메모리(309)에 격납한다.
(실시예 17)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7에 의한 디지털화상부호화장치를 표시한다. 기본구성은 도 27과 동일하다. 보전기(212)의 대신에 초기화기(230)를 사용한다. 화상을 프레임메모리(213)에 기록하기 전에, 초기화기(230)에 의해서 프레임메모리(213)에 소정의 초기화값에 의해 초기화한다. 초기화된 프레임메모리(213)에 제 2가산기(210)로부터 출력된 재생블록을 기록한다. 초기화값으로서 고정된 값을 사용해도 된다. 또는, 과거에 재생된 화상의 유의한 샘플치의 평균치를 사용해도 된다.
도 31은 도 30의 화상부호화장치에 기록기(229)를 접속한 것이다. VLC (211)에 의해서 가변장부호화된 데이터를 기록기(229)를 경유하여 자기미디어(테이프나 디스크), 광디스크 등의 기록매체에 기록한다.
(실시예 18)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8에 의한 디지털화상복호화장치를 표시한다. 기본구성은 도 29와 동일하다. 보전기(308)의 대신에 초기화기(320)를 사용한다. 화상을 프레임메모리(309)에 기록하기전에, 초기화기(320)에 의해서 프레임메모리(309)에 소정의 초기화값에 의해 초기화한다. 초기화된 프레임메모리(309)에 가산기(306)로부터 출력된 재생블록을 기록한다. 초기화값으로서 고정된 값을 사용해도 된다. 또는, 과거에 재생된 화상의 유의한 샘플치의 평균치를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은, 간단한 보전방법으로, 움직임보상된 소영역 또는 재생된 소영역의 단위로 보전함으로써, 연산량을 대폭으로 삭감할 수 있다. 보전의 범위는 소영역으로 끝내고 있음으로, 전체화면을 걸쳐서 보전하는 것보다도 지연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 경계영역뿐만 아니라, 경계영역에 인접하는 유의하지 않는 샘플치만으로 이루어진 영역을 보전하고, 그것을 사용해서 움직임검출·움직임보상하기 위하여, 움직임의 큰 화상에 대해서, 차분이 작은 예측신호를 얻을 수 있다. 이들 요인에 의해, 임의형상의 화상의 예측부호화·복호화는 효율좋게 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Claims (45)

  1. 화소마다 화소치가 유의(有意)한지 여부를 표시한 유의신호를 가진 화소신호를 입력신호로하고, 상기 화상을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물체형상의 경계를 포함하는 영역의 유의한 샘플치에 인접하는 유지하지 않는 샘플치를, 상기 유의하지 않는 화소치의 근처의 유의한 화소치를 함수변환해서 보전(補塡)하는 디지털화상보전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물체형상의 경계를 포함하는 영역에 인접하는 영역으로서 유의하지 않는 샘플치만으로 이루어진 무효영역을, 상기 물체형상의 경계를 포함하는 영역의 유의한 화소치를 함수변환해서 보전하는 디지털화상보전방법.
  3. 화소마다 화소치가 유의한지 여부를 표시한 유의신호를 가진 화상신호를 입력신호로하고, 이미 복호된 화상신호로부터 상기 입력신호에 대한 예측화상신호를 생성하는 예측화상생성수단과, 상기 입력신호로서 입력된 화상신호에서 유의하지 않는 화소를, 그 근처의 유의한 화소치로부터 소정의 함수를 사용해서 생성한 화소치로 보전해서 출력하는 화소치생성수단과, 상기 화소치생성수단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예측화상생성수단의 출력을 감산하는 감산수단과, 상기 감산수단의 출력을 부호화하는 부호화수단과, 상기 부호화수단으로부터의 출력을 복호화하는 복호화수단과, 상기 복호화수단으로부터의 출력과 상기 예측화상생성수단으로부터의 출력을 가산하는 가산수단과, 상기 가산수단의 출력을 상기 예측화상생성수단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가지고, 상기 부호화기출력을 화상부호화장치의 출력으로 하는 화상부호화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화소치생성수단이, 물체형상의 경계에 인접하는 유의하지 않는 샘플치만으로 이루어진 무효영역을 보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부호화장치.
  5. 입력신호를 복호화하는 복호화수단과, 이미 복호화된 화상신호로부터 상기 입력신호에 대한 예측화상신호를 생성하는 예측화상생성수단과, 상기 예측화상신호에서 유의한 화소치로부터 소정의 함수를 사용해서 화소치를 생성하고, 상기 예측화상신호의 유의하지않는 화소의 화소치를 상기 화소치로 바꿔놓고 출력하는 화소치생성수단과, 상기 복호화수단으로부터의 출력과 상기 화소치생성수단으로부터의 출력을 가산하는 가산수단과, 상기 가산수단의 출력을 상기 예측화상생성수단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가지고, 상기 가산수단의 출력을 화상복호화수단으로 하는 디지털화상복호화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화소치생성수단이 물체형상의 경계에 인접하는 유의하지 않는 샘플치만으로 이루어진 무효영역을 보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화상복호화장치.
  7. 제 1보전처리와 제 2보전처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보전처리에 의해, 유의와 유의하지 않는 샘플치로 구성하는 임의형상의 화상의 샘플을 제 1방향을 따라서 주사하고, 상기 제 1방향에 있어서, 소정의 방법으로 선택한 유의한 샘플치를 유의하지 않는 샘플의 값으로 하여 제 1보전화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 2보전처리에 의해, 유의와 유의하지 않는 샘플치로 구성하는 상기 제 1보전화상의 각샘플을 제 2방향을 따라서 주사하고, 상기 제 2방향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방법으로 선택한 유의한 샘플치 또는 상기 제 1보전처리에 의해 보전한 샘플치를 사용해서, 상기 제 1보전화상의 유의하지 않는 샘플의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보전방법.
  8. 제 1보전처리와 제 2보전처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보전처리에 의해, 유의와 유의하지 않는 샘플치로 구성하는 임의 형상의 화상의 샘플을 제 1방향을 따라서 주사하고, 상기 제 1방향에 있어서,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유의한 샘플치를 유의하지 않는 샘플의 값으로하여 제 1보전화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 2보전처리에 의해, 유의와 유의하지 않는 샘플치로 구성하는 상기 제 1보전화상의 각 샘플을 제 2방향을 따라서 주사하고, 상기 제 2방향에 있어서,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유의한 샘플치 또는 상기 제 1보전처리에 의해 보전한 샘플치를 사용해서, 상기 제 1보전화상의 유의하지 않는 샘플의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보전방법.
  9. 제 1항과 제 2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방향이 제 1방향과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보전방법.
  10. 제 1보전처리와 제 2보전처리와 제 3보전처리와 제 4보전처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보전처리에 의해, 유의와 유의하지않는 샘플치로 구성하는 임의형상의 화상의 샘플을 제 1방향을 따라서 주사하고, 상기 제 1방향에 있어서, 소정의 방법으로 선택한 유의한 샘플치를 유의하지 않는 샘플의 값으로하여 제 1보전화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 2보전처리에 의해, 유의와 유의하지 않는 샘플치로 구성하는 상기 제 1보전화상의 각 샘플을 제 2방향을 따라서 주사하고, 상기 제 2방향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방법으로 선택한 유의한 샘플치 또는 상기 제 1보전처리에 의해 보전한 샘플치를 사용해서, 상기 제 1보전화상의 유의하지 않는 샘플의 값으로하여 제 2보전화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 3보전처리에 의해, 상기 임의형상의 화상의 샘플을 제 3방향을 따라서 주사하고, 상기 제 3방향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방법으로 선택한 유의한 샘플치를 유의하지않는 샘플의 값으로하여 제 3보전화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 4보전처리에 의해, 상기 제 3보전화상의 각샘플을 제 4방향을 따라서 주사하고, 상기 제 4방향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방법으로 선택한 유의한 샘플치 또는 상기 제 3보전처리에 의해 보전한 샘플값을 사용해서, 상기 제 3보전화상의 유의하지 않는 샘플의 값으로 하여 제 4보전화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 2보전화상과 상기 제 4보전화상을 편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보전방법.
  11. 제 1보전처리와 제 2보전처리와 제 3보전처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보전처리에 의해, 유의와 유의하지 않는 샘플치로 구성하는 임의형상의 화상의 샘플을 제 1방향을 따라서 주사하고, 상기 제 1방향에 있어서, 소정의 방법으로 선택한 유의한 샘플치를 유의하지 않는 샘플의 값으로하여 제 1보전화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 2보전처리에 의해, 상기 임의형상의 화상의 각 샘플을 제 2방향을 따라서 주사하고, 상기 제 2방향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방법으로 선택한 유의한 샘플치를 유의하지 않는 샘플의 값으로하여 제 2보전화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 1보전화상과 상기 제 2보전화상을 평균화하여 제 3보전화상을 생성하고, 그때 상기 제 1보전화상과 상기 제 2보전화상의 양쪽에 보전치 또는 유의한 값이 있을 경우, 양쪽의 값을 평균화하여 상기 제 3보전화상의 샘플치로하고, 상기 제 1보전화상과 상기 제 2보전화상의 어느한쪽만 유의한 보전치가 없는 경우, 상기 유의한 보전치를 상기 제 3보전화상의 샘플치로하고, 상기 제 1보전화상과 상기 제 2보전화상의 어디에도 유의한 보전치가 없는 경우, 상기 제 3보전화상의 샘플을 유의하지 않는 샘플로하고, 상기 제 3보전처리에 의해, 상기 제 3보전화상의 유의하지 않는 샘플에 대해서, 상기 유의하지 않는 샘플에 주변에 있는 유의한 샘플치를 평균화하고, 상기 유의하지 않는 샘플의 값으로 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화상보전방법.
  12. 서로 격리되어 있는 유의한 샘플의 집합을 N개(N=1,2,3,4…)가지는 임의형상의 화상에 대해, 상기 N개의 집합을 둘러싸는 N개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제 m개(m=1,2,…,N)의 영역에 대해서, 둘러싸이는 상기 유의한 샘플의 집합의 값을 사용해서 소정의 방법으로 생성한 보전치를, 유의하지 않는 샘플의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보전방법.
  13. 화소마다 화소치가 유의한지 여부를 표시한 유의신호를 가진 화상신호를 입력신호로 하고, 상기 화상신호의 임의형상의 화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적어도 1개의 유의하지 않는 샘플을 포함하는 대상영역에 대해, 상기 대상영역의 유의한 샘플로부터 소정의 방법으로 보전치를 생성하고, 상기 대상영역의 유의하지 않는 샘플의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보전방법.
  14. 화소마다 화소치가 유의한지 여부를 표시한 유의신호를 가진 화상신호를 입력신호로하고, 상기 화상의 임의형상의 화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유의한 샘플을 1개도 포함하지 않는 대상영역에 대해, 소정의 보정치에 의해 상기 대상영역을 보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보전방법.
  15. 입력수단과, 제 1보전기와, 예측화상생성기와, 제 보전기와, 제 1가산기와, 부호화기와, 복호화기와, 제 2가산기와, 프레임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수단에 임의형상화상을 입력하고, 상기 제 1보전기에 의해 제 1방법으로 구하게된 보전치로, 상기 임의형상화상에 포함되는 유의하지 않는 샘플을 보전하여, 보전입력화상을 생성하고, 상기 예측생성기에 의해, 상기 프레임메모리로부터 예측화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 2보전기에 의해 제 2방법으로 구하게된 보전치로, 상기 예측화상에 포함되는 유의하지 않는 샘플을 보전하여, 보전예측화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 1가산기에 상기 대상보전화상과, 상기 보전예측화상을 입력, 차분화상을 생성하여, 상기 부호화기에 상기 차분화상을 입력하고, 소정의 방법으로 압축차분화상으로 압축하여, 상기 복호화기에 상기 압축차분화상을 입력하고, 소정의 방법으로 신장차분화상으로 복원하여, 상기 제 2의 가산기에 상기 신장차분화상을 입력하고, 상기 보전예측화상을 가산하여, 재생영역을 생성하고, 상기 프레임메모리에 격납하는 디지털화상부호화장치.
  16. 입력수단과, 제 1보전기와, 예측화상생성기와, 제 2보전기와, 제 1가산기와, 부호화기와, 복호화기와, 제 2가산기와, 프레임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수단에 임의형상화상을 입력하고, 상기 예측생성기에 의해, 상기 프레임메모리로부터 예측화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 1보전기에 의해 소정의 방법으로 구하게된 보전치로, 상기 예측화상에 포함되는 유의하지 않는 샘플을 보전하여, 보전예측화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 2보전기에 의해 상기 소정의 방법으로 구하게된 보전치로, 상기 임의형상화상에 포함되는 유의하지 않는 샘플을 보전하여, 보전입력화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 1가산기에 상기 대상보전화상과, 상기 보전예측화상을 입력, 차분화상을 생성하여, 상기 부호화기에 상기 차분화상을 입력하고, 소정의 방법으로 압축차분화상으로 압축하여, 상기 복호화기에 상기 압축차분화상을 입력하고, 소정의 방법으로 신장차분화상으로 복원하여, 상기 제 2의 가산기에 상기 신장차분화상을 입력하고, 상기 보전예측화상을 가산하여, 재생영역을 생성하고, 상기 프레임메모리에 격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화상부호화장치.
  17. 입력수단과, 데이터해석기와, 복호화기와, 가산기와, 예측화상생성기와, 보전기와, 프레임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수단에 압축부호화데이터를 입력하고, 상기 데이터해석기에 의해, 상기 압축부호화데이터를 분석하여, 압축차분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복호화기에 의해, 상기 압축차분신호를 신장차분신호로 복원하고, 상기 예측화상생성기에 의해, 상기 프레임메모리로부터 예측신호를 취득하고, 상기 보전기에 의해, 소정의 방법으로 상기 예측신호에 포함되는 유의하지 않는 샘플치를 보전하여, 보전예측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가산기에 의해, 상기 신장차분신호와 상기 보전예측신호를 가산하여, 재생신호를 생성하고 출력하는 동시에, 상기 프레임메모리에 격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화상복호화장치.
  18. 입력수단과, 제 1가산기와, 부호화기와, 복호화기와, 제 2가산기와, 보전기와, 프레임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수단에 임의형상화상을 입력하고, 상기 제 1가산기에 상기 임의형상화상과, 상기 프레임메모리로부터의 예측화상을 입력, 차분화상을 생성하여, 상기 부호화기에 상기 차분화상을 입력하고, 소정의 방법으로 압축차분화상으로 압축하여, 상기 복호화기에 상기 압축차분화상을 입력하고, 소정의 방법으로 신장차분화상으로 복원하여, 상기 제 2의 가산기에 상기 신장차분화상을 입력하고, 상기 예측화상을 가산하고, 재생화상을 생성하여, 상기 보전기에 상기 재생화상을 입력하고, 소정의 방법으로 상기 재생화상에 포함되는 유의하지 않는 샘플치를 보전하고, 상기 프레임메모리에 격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화상부호화장치.
  19. 입력수단과, 데이터해석기와, 복호화기와, 가산기와, 보전기와, 프레임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수단에 압축부호화데이터를 입력하고, 상기 데이터해석기에 의해, 상기 압축부호화데이터를 분석하여, 압축차분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복호화기에 의해, 상기 압축차분신호를 신장차분신호로 복원하고, 상기 가산기에 의해, 상기 신장차분신호와, 상기 프레임메모리로부터 취득한 예측신호를 가산하여, 재생신호를 생성하고 출력하는 동시에, 상기 보전기에 의해, 소정의 방법으로 상기 재생신호에 포함되는 유의하지 않는 샘플치를 보전하고, 상기 프레임메모리에 격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화상복호화장치.
  20. 입력수단과, 데이터해석기와, 복호화기와, 가산기와, 예측화상생성기와, 제 1보전기와, 제 2보전기와, 프레임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수단에 압축부호화데이터를 입력하고, 상기 데이터해석기에 의해, 상기 압축부호화데이터를 분석하여, 압축차분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복호화기에 의해, 상기 압축차분신호를 신장차분신호로 복원하고, 상기 예측화상생성기에 의해, 상기 프레임메모리로부터 예측신호를 취득하고, 상기 제 1보전기에 의해, 제 1의 방법으로 상기 예측신호에 포함되는 유의하지 않는 샘플치와 보전하여, 보전예측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가산기에 의해, 상기 신장차분신호와 상기 보전예측신호를 가산하여, 재생신호를 생성하고 출력하는 동시에, 상기 제 2보전기에 의해, 제 2의 방법으로 상기 재생신호에 포함되는 유의하지 않는 샘플치를 보전하고, 상기 프레임메모리에 격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화상복호화장치.
  21. 디지털화상복호화에 있어서, 제 1의 화상내용을 가진 대상화상을 입력하고, 제 2의 화상내용을 가진 예측화상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예측화상을 보전할때에, 상기 제 1의 화상의 내용에 따라서, 상기 예측화상의 유의하지 않는 영역의 보전범위를 변경하는 디지털화상보전방법.
  22. 제 21항에 있어서, 예측화상의 유의하지 않는 영역의 보전범위가, 제 2의 화상의 유의하지 않는 영역과 제 1의 화상의 유의한 영역이 겹치는 영역인 디지털화상보전방법.
  23. 입력수단과, 데이터해석기와, 복호화기와, 가산기와, 예측화상생성기와, 보전기와, 프레임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수단에 압축부호화데이터를 입력하고, 상기 데이터해석기에 의해, 상기 압축부호화데이터를 분석하여, 압축차분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복호화기에 의해, 상기 압축차분신호를 신장차분신호로 복원하고, 상기 예측화상생성기에 의해, 상기 프레임메모리로부터 예측신호를 취득하고, 상기 보전기에 의해, 소정의 방법으로 상기 예측신호에 포함되는 유의하지 않는 샘플치를 보전하여, 보전예측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가산기에 의해, 상기 신장차분신호와 상기 보전예측신호를 가산하여, 재생신호를 생성하고 출력하는 동시에, 상기 프레임메모리에 격납하는 디지털화상복호화장치로서, 상기 보전기에서는, 상기 예측신호의 보전범위를 상기 재생신호의 유의한 샘플의 영역에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화상복호화장치.
  24. 입력수단과, 데이터해석기와, 복호화기와, 가산기와, 예측화상생성기와, 보전기와, 프레임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수단에 압축부호화데이터를 입력하고, 상기 데이터해석기에 의해, 상기 압축부호화데이터를 분석하여, 압축차분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복호화기에 의해, 상기 압축차분신호를 신장차분신호로 복원하고, 상기 예측화상생성기에 의해, 상기 프레임메모리로부터 예측신호를 취득하고, 상기 보전기에 의해, 소정의 방법으로 상기 예측신호에 포함되는 유의하지 않는 샘플치를 보전하여, 보전예측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가산기에 의해, 상기 신장차분신호와 상기 보전예측신호를 가산하여, 재생신호를 생성하고 출력하는 동시에, 상기 프레임메모리에 격납하는 디지털화상복호화장치로서, 상기 예측신호에 포함되는 샘플이 모두 유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예측신호에 인접하는 유의한 샘플치를 사용해서 소정의 방법으로 구하게된 보전치에 의해 보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화상복호화장치.
  25. 입력수단과, 데이터해석기와, 복호화기와, 가산기와, 보전기와, 프레임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수단에 압축부호화데이터를 입력하고, 상기 데이터해석기에 의해, 상기 압축부호화데이터를 분석하여, 압축차분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복호화기에 의해, 상기 압축차분신호를 신장차분신호로 복원하고, 상기 가산기에 의해, 상기 신장차분신호와, 상기 프레임메모리로부터 취득한 예측신호를 가산하여, 재생신호를 생성하고 출력하는 동시에, 상기 보전기에 의해, 소정의 방법으로 상기 재생신호에 포함되는 유의하지 않는 샘플치를 보전하고, 상기 프레임메모리에 격납하는 디지털화상복호화장치로서, 상기 재생신호에 포함되는 샘플이 모두 유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재생신호에 인접하는 유의한 샘플치를 사용해서 소정의 방법으로 구하게된 보전치에 의해 보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화상복호화장치.
  26. 임의형상의 디지털화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복수의 영역을 소정의 순번으로 처리하고, 형상의 경계에 위치하는 경계영역에 인접하는 유의하지 않는 샘플치만으로 이루어진 무효영역을, 소정의 방법으로 구하게된 보정치에 의해 보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화상의 보전방법.
  27. 임의형상의 디지털화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복수의 영역을 소정의 순번으로 처리하고, 형상의 경계에 위치하는 경계영역에 인접하는 유의하지 않는 샘플치만으로 이루어진 무효영역을, 상기 경계영역의 유의한 샘플치를 사용해서 소정의 함수로 구하게된 보전치에 의해 보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화상의 보전방법.
  28. 임의형상의 디지털화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복수의 영역을 소정의 순번으로 처리하고, 형상의 경계에 위치하는 경계영역의 유의하지 않는 샘플치를 제 1함수로 구하게된 제 1보전치에 의해 보전하고, 상기 경계영역에 인접하는 유의하지 않는 샘플치만으로 이루어진 무효영역을, 상기 보전한 경계영역의 샘플치를 사용해서 제 2함수로 구하게된 제 2보전치에 의해 보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화상의 보전방법.
  29. 제 26항∼제 2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계영역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인접하는 유의하지 않는 샘플치만으로 이루어진 무효영역을 보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화상의 보전방법.
  30. 제 26항∼제 2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계영역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인접하는 유의하지 않는 샘플치만으로 이루어진 무효영역을 보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화상의 보전방법.
  31. 제 26항∼제 2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전치가 복수인 경우, 상기 복수이 보전치를 평균화해서 보전치로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화상보전방법.
  32. 임의형상의 디지털화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복수의 영역을 소정의 순번으로 처리하고, 형상의 경계에 위치하는 경계영역에 인접하는 유의하지 않는 샘플치만으로 이루어진 무효영역을, 소정의 방법으로 구하게된 보전치에 의해 보전하는 디지털화상의 보전방법으로서, 대상영역이 무효영역아닌 경우, 상기 소정의 순번에 있어서 상기 대상영역에 인접하는 과거의 영역이 무효영역이면, 상기 과거의 영역을, 소정의 방법으로 구하게된 보전치에 의해 보전하고, 대상영역이 무효영역인 경우, 상기 소정의 순번에 있어서 상기 대상영역에 인접하는 과거의 영역이 무효영역이 아니면, 상기 대상영역을, 소정의 방법으로 구하게된 보전치에 의해 보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화상의 보전방법.
  33. 임의형상의 디지털화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복수의 영역을 소정의 순번으로 처리하고, 형상의 경계에 위치하는 경계영역에 인접하는 유의하지 않는 샘플치만으로 이루어진 무효영역을, 소정의 방법으로 구하게된 보전치에 의해 보전하는 디지털화상의 보전방법으로서, 대상영역이 무효영역아닌 경우, 상기 소정의 순번에 있어서 상기 대상영역에 인접하는 과거의 영역이 무효영역이면, 상기 과거의 영역을, 상기 대상영역의 유의한 샘플치를 사용해서 소정의 함수로 구하게된 보전치에 의해 보전하고, 대상영역이 무효영역인 경우, 상기 소정의 순번에 있어서 상기 대상영역에 인접하는 과거의 영역이 무효영역이 아니면, 상기 대상영역을, 상기 과거의 영역의 유의한 샘플치를 사용해서 소정의 함수로 구하게된 보전치에 의해 보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화상의 보전방법.
  34. 임의형상의 디지털화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복수의 영역을 소정의 순번으로 처리하고, 형상의 경계에 위치하는 경계영역에 인접하는 유의하지 않는 샘플치만으로 이루어진 뮤효영역을, 소정의 방법으로 구하게된 보전치에 의해 보전하는 디지털화상의 보전방법으로서, 대상영역이 무효영역아닌 경우, 상기 대상영역에 포함되는 유의하지 않는 샘플치를, 제 1의 함수로 구하게된 보전치에 의해 대입하고, 상기 소정의 순번에 있어서 상기 대상영역에 인접하는 과거의 영역이 무효영역이면, 상기 과거의 영역을, 상기 보전한 대상영역의 샘플치를 사용해서 제 2의 함수로 구하게된 보전치에 의해 보전하고, 대상영역이 무효영역인 경우, 상기 소정의 순번에 있어서, 상기 대상영역에 인접하는 과거의 영역이 무효영역이 아니면, 상기 대상영역을, 상기 과거의 영역의 샘플치를 사용해서 상기 제 2의 함수로 구하게된 보전치에 의해 보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화상의 보전방법.
  35. 제 32항∼제 3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계영역에 대해 수평방향에 인접하는 유의하지 않는 샘플치만으로 이루어진 무효영역을 보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화상의 보전방법.
  36. 제 32항∼제 3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계영역에 대해 수직방향에 인접하는 유의하지 않는 샘플치만으로 이루어진 무효영역을 보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화상의 보전방법.
  37. 제 32항∼제 3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전치가 복수있는 경우, 상기 복수의 보전치를 평균화해서 보전치로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화상보전방법.
  38. 입력수단과, 제 1가산기와, 부호화기와, 복호화기와, 제 2가산기와, 보전기와, 프레임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수단에 임의형상의 디지털화상을 입력하고, 상기 디지털화상을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복수의 영역을 대상영역으로하여 소정의 순번으로 처리하고, 상기 제 1가산기에 상기 대상영역과, 상기 프레임메모리로부터의 예측영역을 입력, 차분영역을 생성하여, 상기 부호화기에 상기 차분영역을 입력하고, 소정의 방법으로 압축차분영역으로 압축하여, 상기 복호화기에 상기 압축차분영역을 입력하고, 소정의 방법으로 신장차분영역으로 복원하여, 상기 제 2의 가산기에 상기 신장차분영역을 입력하고, 상기 예측영역을 가산하여, 재생영역을 생성하고, 상기 보전기에 상기 재생영역을 입력하여, 소정의 방법으로 상기 재생영역에 포함되는 유의하지 않는 샘플치를 보전하고, 상기 프레임메모리에 격납하는 디지털화상부호화장치로서, 상기 보전기는 청구항 26∼28 및 32∼34의 어느 한 항에 기재의 보전방법에 의해 보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화상부호화장치.
  39. 입력수단과, 데이터해석기와, 복호화기와, 가산기와, 보전기와, 프레임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수단에 압축부호화데이터를 입력하고, 상기 데이터해석기에 의해, 상기 압축부호화데이터를 분석하여, 압축차분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복호화기에 의해, 상기 압축차분신호를 신장차분신호로 복원하고, 상기 가산기에 의해, 상기 신장차분신호와, 상기 프레임메모리로부터 취득한 예측신호를 가산하여, 재생신호를 생성하고 출력하는 동시에, 상기 보전기에 의해, 소정의 방법으로 상기 재생신호에 포함되는 유의하지 않는 샘플치를 보전하고, 상기 프레임메모리에 격납하는 디지털화상복호화장치로서, 상기 보전기는 청구항 26∼28 및 32∼34의 어느 한 항에 기재의 보전방법에 의해 보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화상복호화장치.
  40. 입력수단과, 제 1가산기와, 부호화기와, 복호화기와, 제 2가산기와, 프레임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수단에 임의형상의 디지털화상을 입력하고, 상기 디지털화상을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복수의 영역을 대상영역으로하여 소정의 순번으로 처리하고, 상기 제 1가산기에 상기 대상영역과, 상기 프레임메모리로부터의 예측영역을 입력, 차분영역을 생성하여, 상기 부호화기에 상기 차분영역을 입력하고, 소정의 방법으로 압축차분영역으로 압축하여, 상기 복호화기에 상기 압축차분영역을 입력하고, 소정의 방법으로 신장차분영역으로 복원하여, 상기 제 2의 가산기에 상기 신장차분영역을 입력하고, 상기 예측영역을 가산하여, 재생영역을 생성하고, 상기 프레임메모리를 소정의 초기화치에 의해 초기화하고, 상기 재생영역을 상기 초기화된 프레임메모리를 치환문자화해서 격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화상부호화장치.
  41. 제 40항에 있어서, 소정의 초기화치가 부호화순번에 있어서 과거의 화상의 유의한 샘플치의 평균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화상부호화장치.
  42. 입력수단과, 데이터해석기와, 복호화기와, 가산기와, 프레임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수단에 압축부호화데이터를 입력하고, 상기 데이터해석기에 의해, 상기 압축부호화데이터를 분석하여, 압축차분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복호화기에 의해, 상기 압축차분신호를 신장차분신호로 복원하고, 상기 가산기에 의해, 상기 신장차분신호와, 상기 프레임메모리로부터 취득한 예측신호를 가산하여, 재생신호를 생성하고 출력하는 동시에, 상기 프레임메모리를 소정의 초기화치에 의해 초기화하고, 상기 재생신호를 상기 초기화된 프레임메모리를 치환문자화하여 격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화상복호화장치.
  43. 제 42항에 있어서, 소정의 초기화치가 복호화순번에 있어서 과거의 화상에 포함되는 유의한 샘플치의 평균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화상복호화장치.
  44. 입력수단과, 제 1보전기와, 예측화상생성기와, 제 2보전기와, 제 1가산기와, 부호화기와, 복호화기와, 제 2가산기와, 프레임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수단에 임의형상화상을 입력하고, 상기 제 1보전기에 의해 제 1방법으로 구하게된 보전치로, 상기 임의형상화상에 포함되는 유의하지 않는 샘플을 보전하여, 보전입력화상을 생성하고, 상기 에측생성기에 의해, 상기 프레임메모리로부터 예측화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 1가산기에 상기 대상보전화상과, 상기 보전예측화상을 입력, 차분화상을 생성하여, 상기 부호화기에 상기 차분화상을 입력하고, 소정의 방법으로 압축차분화상으로 압축하여, 상기 복호화기에 상기 압축차분화상을 입력하고, 소정의 방법으로 신장차분화상으로 복원하여, 상기 제 2의 가산기에 상기 신장차분화상을 입력하고, 상기 보전예측화상을 가산하여, 재생화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 2보전기에 의해 제 2방법으로 구하게된 보전치로, 상기 재생화상에 포함되는 유의하지 않는 샘플을 보전하고, 상기 프레임메모리에 격납하는 디지털화상부호화장치.
  45. 입력수단과, 제 1보전기와, 예측화상생성기와, 제 2보전기와, 제 1가산기와, 부호화기와, 복호화기와, 제 2가산기와, 프레임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수단에 임의형상화상을 입력하고, 상기 예측생성기에 의해, 상기 프레임메모리로부터 에측화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 1보전기에 의해 제 1의 방법으로 구하게된 보전치로, 상기 예측화상에 포함되는 유의하지 않는 샘플을 보전하여, 보전예측화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 1가산기에 상기 대상보전화상과, 상기 보전예측화상을 입력, 차분화상을 생성하여, 상기 부호화기에 상기 차분화상을 입력하고, 소정의 방법으로 압축차분화상으로 압축하여, 상기 복호화기에 상기 압축차분화상을 입력하고, 소정의 방법으로 신장차분화상으로 복원하여, 상기 제 2의 가산기에 상기 신장차분화상을 입력하고, 상기 보전예측화상을 가산하여, 재생화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 2보전기에 의해 제 2방법으로 구하게된 보전치로, 상기 임의형상화상에 포함되는 유의하지 않는 샘플을 보전하여, 보전재생화상을 생성하고, 상기 프레임메모리에 격납하는 디지털화상부호화장치.
KR10-1998-0705834A 1996-01-29 1997-01-21 화소치보전(補塡)방법,화상부호화장치및화상복호화장치 KR1003861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54596 1996-01-29
JP96-12545 1996-01-29
JP96-159352 1996-06-20
JP1996-159352 1996-06-20
JP15935296 1996-06-20
JP19872196 1996-07-29
JP1996-198721 1996-07-29
JP96-198721 1996-07-29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0148A Division KR100417507B1 (ko) 1996-01-29 1997-01-21 화소치 보전(補塡) 방법, 화상 부호화 장치 및 화상복호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2112A true KR19990082112A (ko) 1999-11-15
KR100386190B1 KR100386190B1 (ko) 2003-08-19

Family

ID=2727987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0148A KR100417507B1 (ko) 1996-01-29 1997-01-21 화소치 보전(補塡) 방법, 화상 부호화 장치 및 화상복호화 장치
KR10-1998-0705834A KR100386190B1 (ko) 1996-01-29 1997-01-21 화소치보전(補塡)방법,화상부호화장치및화상복호화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0148A KR100417507B1 (ko) 1996-01-29 1997-01-21 화소치 보전(補塡) 방법, 화상 부호화 장치 및 화상복호화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3) US6577771B1 (ko)
EP (3) EP1150515B1 (ko)
JP (1) JP3502392B2 (ko)
KR (2) KR100417507B1 (ko)
CN (1) CN1158875C (ko)
AU (1) AU721588B2 (ko)
CA (1) CA2244898C (ko)
DE (3) DE69728649T2 (ko)
ES (2) ES2218653T3 (ko)
MX (1) MX9806062A (ko)
WO (1) WO1997028650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3117A (ko) * 2014-11-14 2017-07-17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디지털 이미지의 블록의 마스크 기반 처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71957A (ko) * 2016-12-20 2018-06-28 엑시스 에이비 프라이버시 마스킹된 이미지의 인코딩
KR20180071945A (ko) * 2016-12-20 2018-06-28 엑시스 에이비 프라이버시 마스크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인코딩하는 방법
KR20190098276A (ko) * 2014-11-14 2019-08-21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디지털 이미지의 블록을 처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10523951B2 (en) 2014-11-14 2019-12-31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a digital imag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66648B (en) * 1996-10-24 1999-08-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ethod of supplementing pixel signal coding device, and pixel signal decoding device
JPH11341496A (ja) 1998-05-28 1999-12-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装置,及びデータ記憶媒体
JP3644320B2 (ja) * 1999-09-17 2005-04-27 日本電気株式会社 制御コード読み込みシステム
US6952501B2 (en) * 2000-02-24 2005-10-0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encoding apparatus, and image decoding apparatus
US6774913B1 (en) * 2000-05-15 2004-08-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selectively merging partial objects
US7023922B1 (en) 2000-06-21 2006-04-04 Microsoft Corporation Video coding system and method using 3-D discrete wavelet transform and entropy coding with motion information
US6718066B1 (en) * 2000-08-14 2004-04-06 The Hong K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Method and apparatus for coding an image object of arbitrary shape
EP1315124A3 (en) * 2001-11-13 2004-08-18 Trusight Ltd. Image compression with dynamic programming
JP4724351B2 (ja) * 2002-07-15 2011-07-13 三菱電機株式会社 画像符号化装置、画像符号化方法、画像復号装置、画像復号方法、および通信装置
JP4213646B2 (ja) 2003-12-26 2009-01-2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画像符号化装置、画像符号化方法、画像符号化プログラム、画像復号装置、画像復号方法、及び画像復号プログラム。
KR100688383B1 (ko) * 2004-08-13 2007-03-0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파노라마 영상의 움직임 추정 및 보상
US7623682B2 (en) * 2004-08-13 2009-1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motion estimation and compensation for panorama image
WO2006124885A2 (en) * 2005-05-12 2006-11-23 Kylintv, Inc. Codec for iptv
KR101370286B1 (ko) * 2007-04-06 2014-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레지듀얼 블록의 변형을 이용한 영상 부호화, 복호화 방법및 장치
JP4895041B2 (ja) * 2007-07-20 2012-03-1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7945101B (zh) 2016-10-13 2021-01-29 华为技术有限公司 图像处理方法和装置
CN108063947B (zh) * 2017-12-14 2021-07-13 西北工业大学 一种基于像素纹理的无损参考帧压缩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75960A (en) * 1985-06-03 1990-12-04 Petajan Eric D Electronic facial tracking and detection syste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ed speech recognition
JPH01198884A (ja) 1987-10-14 1989-08-10 Toshiba Corp 画像伝送装置
EP0330455A3 (en) 1988-02-22 1990-07-04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encoding apparatus
US5131053A (en) * 1988-08-10 1992-07-14 Caere Corporation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method and apparatus
JP2901656B2 (ja) * 1989-09-01 1999-06-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画像符号化装置
JP2743208B2 (ja) 1990-03-19 1998-04-22 富士通株式会社 画像補完符号化装置
US5237425A (en) * 1991-09-06 1993-08-17 Xerox Corporation Ink compiler for a two color printer
GB2266023B (en) * 1992-03-31 1995-09-06 Sony Broadcast & Communication Motion dependent video signal processing
US5546477A (en) * 1993-03-30 1996-08-13 Klics, Inc. Data compression and decompression
JPH06351001A (ja) * 1993-06-08 1994-12-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動きベクトル検出方法および動き補償予測方法並びにその装置
US5767911A (en) 1994-12-20 1998-06-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bject-based digital image predictive coding transfer method and apparatus, and decoding apparatus
JPH08307871A (ja) * 1995-05-11 1996-11-2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フレーム間予測方法
US5717951A (en) 1995-08-07 1998-02-10 Yabumoto; Kan W. Method for storing and retrieving information on a magnetic storage medium via data blocks of variable sizes
US5692063A (en) 1996-01-19 1997-11-25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unrestricted motion estimation for vide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3117A (ko) * 2014-11-14 2017-07-17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디지털 이미지의 블록의 마스크 기반 처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98276A (ko) * 2014-11-14 2019-08-21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디지털 이미지의 블록을 처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10523951B2 (en) 2014-11-14 2019-12-31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a digital image
US10742976B2 (en) 2014-11-14 2020-08-11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a block of a digital image
US11153564B2 (en) 2014-11-14 2021-10-19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a block of a digital image
KR20180071957A (ko) * 2016-12-20 2018-06-28 엑시스 에이비 프라이버시 마스킹된 이미지의 인코딩
KR20180071945A (ko) * 2016-12-20 2018-06-28 엑시스 에이비 프라이버시 마스크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인코딩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17507B1 (ko) 2004-02-05
DE69726321T2 (de) 2004-09-16
MX9806062A (es) 1998-11-30
EP1150516B1 (en) 2003-11-19
EP0878966A4 (en) 2001-03-07
CN1209934A (zh) 1999-03-03
EP1150516A3 (en) 2002-03-20
ES2218653T3 (es) 2004-11-16
EP1150515A2 (en) 2001-10-31
DE69726321D1 (de) 2003-12-24
CA2244898C (en) 2005-06-14
EP0878966A1 (en) 1998-11-18
US6591018B2 (en) 2003-07-08
EP1150515A3 (en) 2002-03-20
DE69728649T2 (de) 2005-05-12
CN1158875C (zh) 2004-07-21
ES2211685T3 (es) 2004-07-16
EP0878966B1 (en) 2004-04-14
DE69728649D1 (de) 2004-05-19
DE69732865D1 (de) 2005-04-28
US20010033695A1 (en) 2001-10-25
EP1150516A2 (en) 2001-10-31
DE69732865T2 (de) 2006-04-13
JP3502392B2 (ja) 2004-03-02
CA2244898A1 (en) 1997-08-07
US6577771B1 (en) 2003-06-10
AU721588B2 (en) 2000-07-06
EP1150515B1 (en) 2005-03-23
AU1400097A (en) 1997-08-22
KR100386190B1 (ko) 2003-08-19
WO1997028650A1 (en) 1997-08-07
US6873736B2 (en) 2005-03-29
US20030072367A1 (en) 2003-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82112A (ko) 디지털화상화소보전(補塡)방법, 및 그것을 사용한 디지털화상부호화장치, 화상복호화장치
JP3575508B2 (ja) 符号化動画像再生装置
KR100451326B1 (ko) 화상 예측 복호화 방법 및 화상 예측 부호화 방법
US8208543B2 (en) Quantization and differential coding of alpha image data
JP3776920B2 (ja) 画像符号化方法
KR100257614B1 (ko) 화상 신호의 보전 방법, 화상 신호 부호화 장치, 및 화상 신호복호화 장치
KR102218696B1 (ko) 영상 변환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JPH09507347A (ja) 4分木構造walsh変換ビデオ/イメージ符号化
CN102726048B (zh) 用于视频编码和解码的方法
US20200195933A1 (en) Method for encoding and decoding images, device for encoding and decoding images and corresponding computer programs
KR101375667B1 (ko) 영상의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US200601591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pictures without loss of DC components
US20070025438A1 (en) Elastic storage
KR0160621B1 (ko) 영상 압축 및 신장방법과 그 장치
JPH08242450A (ja) 画像符号化装置及び画像復号化装置
JP3132171B2 (ja) 縮小画像の復号装置
US20070140664A1 (en)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for reproducing a moving picture
KR20230169868A (ko) 복소 영상 신호의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940006415A (ko) 화상신호 부호화 방법, 화상신호 복호화 방법, 화상신호 부호화 장치, 화상신호 복호화 장치 및 화상신호 기록매체
JP2004254344A (ja) 符号化動画像再生装置
JPH10191339A (ja) 画像信号の補填方法及び画像信号復号化装置
JPH04255169A (ja) 階層復元方式
KR950016369A (ko) 이중 양자화 및 이중 역양자화 기능을 갖는 부호화 및 복호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