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6415A - 화상신호 부호화 방법, 화상신호 복호화 방법, 화상신호 부호화 장치, 화상신호 복호화 장치 및 화상신호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화상신호 부호화 방법, 화상신호 복호화 방법, 화상신호 부호화 장치, 화상신호 복호화 장치 및 화상신호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6415A
KR940006415A KR1019930012583A KR930012583A KR940006415A KR 940006415 A KR940006415 A KR 940006415A KR 1019930012583 A KR1019930012583 A KR 1019930012583A KR 930012583 A KR930012583 A KR 930012583A KR 940006415 A KR940006415 A KR 940006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mage signal
decoding
predetermined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2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 요네미쯔
가쯔미 다하라
데루히꼬 스즈끼
Original Assignee
오오가 노리오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오가 노리오,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오오가 노리오
Publication of KR940006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6415A/ko

Links

Landscapes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목적)
입력 화상에 대하여 종횡 각각 1/2의 해상도의 화상을 통상의 해상도의 부호화 비트 스트림에서 고화질로 재생한다.
(구성)
통상의 해상도의 예측 화상과 종횡 각각 1/2의 해상도의 예측 화상간의 차분 신호(미스매치 오차 신호)를 부호화하여 전송한다. 또, 예측화상을 생성할때에 예측 모드를 고려하여 이동 보상을 한다,

Description

회상신호 부호화 방법, 화상신호 복호화 방법, 화상신호 부호화 장치, 화상신호 복호화 장치 및 화상신호 기록매체.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의 화상 부호화 장치의 기초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화상 복호화 장치의 기초적인 구성을 나타낸블럭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화상 부호화 장치의 제1의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제4도는 본 발명의 화상 복호화 장치의 제1의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제5도는 본 발명의 화상 부호화 장치의 제2의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Claims (33)

  1. 소정의 예측 화상외 차분을 취함으로써 형성된 차분 화상신호를 변환 또는 분할하여 소정의 계수 데이터를 생성하여 부호화 하는 화상 신호 부호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계수 데이터를 역반환 또는 재구성하여 제1의 데이타를 생성하며, 상기 계수 데이타의 소정 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소정 영역의 계수 데이터를 역변환 또는 재구성하여 제2의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1의 데이터에서 상기 소정 영역에 상당하는 데이터를 추룰하여 그 데이터를 역변환 또는 재구성 하여 제3의 데이타를 생성하고, 상기 제2및 제3의 데이타의 차분을 연산하여 그 차분을 부호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신호 부호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은 N×N화소의 블럭에 대한 직교 변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신호 부호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은 웨이브렛(Wevelet)변환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신호 부호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을 서브밴드 분할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신호 부호화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교 변환은 DCT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신호 부호화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영역은 n×n 화소의 블럭(n은 1,2,3,...N-1)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신호 부호화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예측 화상을 필드 예측 모드로 형성한 경우 상기 직교 변환을 필드 블럭화 모드로 실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신호 부호화 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예측 화상을 프레임 예측 모드로 형성한 경우, 상기 직교 변환을 프레임 블럭화 모드로 실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신호 부호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데이타를 생성할때에 계수 데이터를 추출한 영역과 동일 영역의 계수 데이터를 상기 제1의 데이터에서 추출하여 상기 제3데이터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신호 부호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데이터를 생성할때 검출한 이동 벡터를 스케일 변환에 의해 산출하여 이것을 이용하여 상기 제2의 데이터에 대하여 이동(움직임) 보상을 실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신호 부호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데이터를 생성할때 검출한 이동 백터 및 예측 모드에 기인하여 상기 제2의 데이터에 대하여 이동 보상을 실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신호 부호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보상은 상기 제1의 데이터를 형성할깨 참조한 화소의 필드와 동일한 필드이 동일한 위치의 화소를 안쪽 끼우기 또는 느슨히 넣기 의해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신호 부호화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예측 화상을 필드 예측 모드로 형성한 경우 상기 제2및 제3의 데이터를 필드예측 모드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부호화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예측 화상을 프레임 예측 모드로 형성한 경우 상기 제2및 제3의 데이터를 프레임 예측 모드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부호화 방법.
  1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예측 화상을 프레임 예측 모드로 형성한 경우 상기 제3의 데이터중 인터레이스 구조를 나타내는 데이터와 저역 주파수를 나타내는 데이터들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신호 부호화 방법.
  16. 소정의 예측 화상과 차분을 취하여 의해 형성된 차분 화상 신호를 변환하여 소정의 계수 데이터를 생성하고 부호화 하여 제1의 데이터로서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계수 데이터를 역반환 또는 재구성하여 제2의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계수 데이터의 소정 영역을 추출하요 상기 소정 영역의 계수 데이터를 역반환 또는 재구성하여 제3의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2의 데이터에서 사익 소정 영역에 상당하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데이터를 역반환 또는 재구성하여 제4의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제3빛 제4의 데이터의 차분을 연산하여 그 차분을 부호화 하여 제5 데이터로서 전송한 데이터를 복호화한 화상 신호 부호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데이터의 소정 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소정영역의 데이터를 역반환 또는 재구성하여 제6의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제5의 데이터를 상기 제6의 데이터에 더하여, 사익 소정 영역에 대응한 화상을 부호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신호 복호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역반환 N×N화소의 블럭에 대한 역직교 변환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신호 복호화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역반환은 웨이브렛 역반환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신호 복호화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재구성은 서브밴드 재구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신호 복호화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역직교 변환은 IDC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신호 복호화 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영역은 n×n 화소의 블럭(n은 1,2,3,...N-1)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신호 복호화 방법.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 데이터가 프레임 DCT모드로 계수 데이터화된 경우 상기 제1의 데이터에서 인터레이스 구조를 나타내는 데이터와 저주파 성분을 나타내는 데이터들을 추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신호 복호화 방법.
  23. 예측 모드 및 이동 백터에 의하여 형성된 예측 화상과 입력 화상들의 차분화상 신호로 변환 또는 분할을 하여 부호화한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화상 신호 복호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예측 보드에 의거하여 이동(움직임)보상을 실시 하여 복호화시에 이용하는 예측 화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신호 복호화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 모드가 프레임 예측 모드시 복호화시에 이용하는 예측 화상의 화소의 필드가 부호화시의 예측 화상 화소의 필드와 일치하도록 이동 보상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신호 복호화 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보상시 상기 부호화시에 있어서 예측 화상의 화소가 보간에 의해 생성된 경우 상기 복호화시에 있어서 예측 화상의 대응하는 화소도 보간에 의해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신호 복호화 방법.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보상시 상기 부호화시에 있어서 예측 화상에, 상기 부호화시에 있어서 예측화상의 화소에 대응하는 화소가 존재하는 경우 그 화소를 이동 보상에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신호 복호화 방법.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 모드가 필드 예측 모드시, 복호화시에 이용하는 예측 화상의 화소의 위치가 부호화시의 예측 화상의 화소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이동 보상을 실시할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신호 복호화 방법.
  28. 소정의 화상 신호에 프레임 DCT 또는 필드 DCT의 변환을 하여 생성한 계수 데이터에서, 소정 영역의 계수 데이터를 추출하여 복호화 하는 화상 신호 복호화 방법에 있어서, 프레임 DCT 모드시, 복호화시에 추출하는 계수로서, 인터레이스 구조를 나타내는 계수 데이터를 추출하도록 저역 신호의 계수를 선택하며, 필드 DCT 모드시, 복호화시에 추출하는 계수로서 저역 신호의 계수 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신호 복호화 방법.
  29. 상기 청구항 1의 화상 신호 부호화 방법에 의해 부호화된 데이터를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신호 기록매체.
  30. 소정의 예측 화상과의 차분을 취함으로써 형성된 차분화상 신호를 변환하여 소정의 계수 데이터를 생성하여 부호화한 화상 신호 부호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계수 데이터를 역변환 또는 재구성 하는 제1수단과, 상기 제1의 수단의 출력에 이동 보상을 하여 제1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의 수단과, 상기 계수 데이터의 소정 영역을 추출하는 제3의 수단과, 상기 제3의 수단에서의 상기 소정 영역의 계수 데이터를 역변환 또는 재구성하여 제2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4의 수단솨 상기 제1의 데이터에서 상기 소정영역에 상당하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제3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5수단과, 상기 제2및 제3데이터의 자분 신호를 부호화하는 제6의 수단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신호 부호화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데이터에 이동 보상을 하는 제7의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신호 부호화 장치.
  32. 소정의 예측 화상들의 자분을 취함으로써 형성된 자분 화상 신호를 변환 또는 분할하여 소정의 계수 데이터를 생성하며, 부호화하여 제1의 데이터로서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계수 데이터를 역반환 또는 재구성하여 제2의 데이터를 형성하며 상기 계수 데이터의 소정 영역을 추출하여 상기 소정 영역의 계수 데이터를 역변환 또는 재구성하여 제3의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2의 데이터에서 상기 소정 영역에 상당하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그 데이터를 역변환 또는 재구성 하여 제4의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제3및 제4의 데이터의 자분을 연산하여 그 자분을 부호화 하여 제5의 데이터로서 저송한 데이토를 복호화 하는 화상 신호 복호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데이터중 소정영역의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제1의 복호화 수단과, 상기제5의 데이터를 복호화 하는 제2의 복호화 수단과, 상기 제1의 복호화 수단과 상기 제2의 복호화 수단의 출력에 의거하여 상기 소정영역에 대응하는 화상을 재생하는 재생수단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신호 복호화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수단은 이동 보상을 하는 이동 보상 수단을 지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신호 복호화 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30012583A 1992-07-03 1993-07-02 화상신호 부호화 방법, 화상신호 복호화 방법, 화상신호 부호화 장치, 화상신호 복호화 장치 및 화상신호 기록매체 KR9400064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177217 1992-07-03
JP17721792 1992-07-03
JP92-286186 1992-10-23
JP28618692 1992-10-23
JP29465492 1992-11-02
JP92-294654 1992-11-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6415A true KR940006415A (ko) 1994-03-23

Family

ID=67143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2583A KR940006415A (ko) 1992-07-03 1993-07-02 화상신호 부호화 방법, 화상신호 복호화 방법, 화상신호 부호화 장치, 화상신호 복호화 장치 및 화상신호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641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6011B1 (ko) 잔차 예측의 성능 개선 방법, 상기 방법을 이용한 비디오인코더 및 비디오 디코더
KR920020958A (ko) 움직임 보상예측 부호화방법및 장치
US4281344A (en) Video interframe transform coding technique
JP3502392B2 (ja) デジタル画像画素補填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デジタル画像符号化装置、画像復号化装置
KR950701486A (ko) 동 화상 신호를 나타내는 변환 계수의 역 변환시 반올림 오차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rounding erors when transform coefficient representing a motion picture signal are inversely transformed)
KR940001735A (ko) 변위보상보호화/복호화방법 및 장치
JPH04177992A (ja) 階層性を有する画像符号化装置
KR910019454A (ko) 디지탈비디오의 연속적인 블럭들을 적응적으로 압축시키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
KR0166717B1 (ko) 가변화면분할기법을 이용한 부호화/복호화방법 및 장치
KR940027576A (ko) 디지탈 화상 신호의 계층적 엔코딩/디코딩 장치 및 방법
KR970078653A (ko) 화상복호화장치와 그 방법 및 화상재생장치
JPH04114585A (ja) 動き補償フレーム間符号化装置
KR940006415A (ko) 화상신호 부호화 방법, 화상신호 복호화 방법, 화상신호 부호화 장치, 화상신호 복호화 장치 및 화상신호 기록매체
KR960702247A (ko) 화상 신호 부호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encoding image signal)
JPH09502840A (ja) テレビ画像サブバンド両立式符号化用エンコーダ/デコーダ及びツリー構造による階層的運動符号化へのその応用
JPS63116585A (ja) コ−ドテ−ブル作成方式
CN101010962A (zh) 一种运动估计的方法和装置
KR930006522B1 (ko) 영상신호의 대역압축 부호화장치
JPH08242450A (ja) 画像符号化装置及び画像復号化装置
KR970019567A (ko) 적응적인 영상 부호화 시스템
KR0185845B1 (ko) 웨이브렛 변환기를 이용한 계층 부호화기
KR0169656B1 (ko) 동영상 부호화기
JPH03162085A (ja) 画像符号化/復号化装置
KR960039999A (ko) 초저속 전송을 위한 영상처리 시스템
KR100196846B1 (ko) 영상 신호 부호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