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6846B1 - 영상 신호 부호화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신호 부호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6846B1
KR100196846B1 KR1019950013844A KR19950013844A KR100196846B1 KR 100196846 B1 KR100196846 B1 KR 100196846B1 KR 1019950013844 A KR1019950013844 A KR 1019950013844A KR 19950013844 A KR19950013844 A KR 19950013844A KR 100196846 B1 KR100196846 B1 KR 100196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ion vector
motion
signal
uni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3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43910A (ko
Inventor
안정모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50013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6846B1/ko
Publication of KR960043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43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6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68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04N19/513Processing of motion v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picture, frame or fie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대 영역 스크린의 움직임 추정을 하도록 하기에 적합한 영상 신호 부호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프레임 저장부(26)의 이전 프레임의 신호는 데이터 량이 많기 때문에 움직임 추정부(28)는 해당 시간내에 거대 영역 스크린 등의 비교적 면적이 큰 영역에서의 움직임 추정을 하기에 어려운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추림부(32)에서 프레임 저장부(26)의 이전 프레임의 신호를 추림하고 제 1움직임 벡터 조사부(34)에서는 추림부(32)의 추림된 이전 프레임의 신호로부터 움직임 벡터를 찾아낸 후, 최종적으로 제 2움직임 벡터 조사부(36)에서 제1움직임 벡터조사부(34)의 움직임벡터를 참조해서 프레이 저장부(26)의 원래 이전 프레임의 신호로부터 움직임 벡터를 미세하게 찾아낸다. 따라서, 거대 영역 스크린의 움직임 추정도 해당 시간내에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빠른 움직임이 있는 영상에는 더욱 효과적이다.

Description

영상 신호 부호화 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영상 신호 부호화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신호 부호화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24 : 가산기 14 : 이산 코사인 변환부
16 : 양자화부 18 : 부호화부
20 : 역 양자화부 22 : 역 이산 코사인 변환부
26 : 프레임 저장부 28 : 움직임 추정부
30 : 움직임 보상부 32 : 추림부
34,36 : 제1, 제2움직임 벡터 조사부
본 발명은 영상 신호 부호화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거대 영역 스크린의 움직임 추정을 하도록 하기에 적합한 영상 신호 부호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일반적인 영상신호부호화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로, 가산기(12), 이산 코사인 변환부(14), 양자화부(16), 부호화부(18), 역 양자화부(20), 역 이산 코사인 변환부(22), 가산기(24), 프레임 저장부(26), 움직임 추정부(28), 그리고 움직임 보상부(30)로 구성된다.
동 도면에 있어서, 가산기(12)는 입력되는 현재 프레임의 신호 및 움직임 보상부(34)로부터 제공되는 이전 프레임이 움직임 보상된 신호를 가산하여, 두 신호의 차 신호를 출력한다. 이산 코사인 변환부(14)는 가산기(12)의 신호를 제공받아 이산코사인 변환해서 출력한다. 양자화부(16)는 이산 코사인 변환부(14)의 이산 코사인 변환된 신호를 제공받아 양자화해서 출력한다. 부호화부(18)는 양자화부(16)의 신호를 제공받아 가변 길이 부호화 등의 부호화 기법으로 부호화해서 외부로 전송하기 위해 출력한다.
역 양자화부(20)는 양자화부(16)의 신호를 제공받아 역 양자화해서 양자화되기 이전의 신호로 만들어 출력한다. 역 이산 코사인 변환부(22)는 역 양자화부(20)의 신호를 제공받아 이산 코사인 변환되기 이전의 신호로 만들어 출력한다. 가산기 (24)는 역 이산 코사인 변환부(22)의 신호 및 움직인 보상부(30)의 이전 프레임의 움직임 보상된 신호를 가산하여 출력한다.
프레임 저장부(26)는 램(RAM(Random Access Memory))등의 프레임 기억소자로 이루어져 가산기(24)의 신호를 수신해서 프레임 단위로 일시 저장했다가 출력한다.
움직임 추정부(28)는 현재 프레임의 신호 및 프레임 저장부(26)의 이전 프레임의 신호를 제공받아 움직임을 추정해서 이를 벡터로 나타내기 위한 움직임 벡터를 출력하낟.
움직임 보상부(30)는 프레임 저장부(26)의 이전 프레임의 신호 및 움직임 추정부(28)의 움직임 벡터를 제공받아 프레임 저장부(26)의 이전 프레임의 신호를 움직임 추정부(28)의 움직임 벡터만큼 이동시켜 가산기(12)에 인가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프레임 저장부(26)의 이전 프레임의 신호는 데이터량이 많기 때문에 움직임 추정부(28)는 해당 시간내에 거대 영역 스크린 등 비교적 면적이 큰 영역에서의 움직임 추저응ㄹ 하기가 어려운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결점을 해겨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이전 프레임의 신호를 추림해서 거대 영역 스크린의 움직임 추정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 신호 부호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레임 단위의 이전 영상 신호를 일시 저장했다가 출력하는 프레임 저장부, 현재 프레임의 영상 신호 및 상기 프레임 저장부의 이전 프레임의 영상신호를 제공받아 움직임을 추정해서 움직임 벡터를 출력하는 움직임 추정부, 상기 프레임 저장부의 이전 프레임의 영상 신호 및 상기 움직임 추정부의 움직임 벡터를 제공받아 상기 프레임 저장부의 이전 프레임의 영상을 상기 움직임 추정부의 움직임 벡터만큼 이동시켜서 이에 따른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움직임 보상부를 포함하는 영상 신호 부호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추정부는, 상기 프레임 저장부의 이전 프레임의 영상신호를 추림하는 추림부와, 상기 추림부의 추림된 이전 프레임의 영상 신호로부터 움직임 벡터를 찾아내는 제1움직임 벡터 조사부, 상기 제1움직임 벡터 조사부의 움직임 벡터를 참조해서 상기 프레임 저장부의 이전 프레임의 영상 신호로부터 움직임 벡터를 미세하게 찾아내어 상기 움직임 보상부에 인가하는 제2움직임 벡터 조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이와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신호 부호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제1도의 움직임 추정부(28)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로, 추림부(32) 및 제1, 제2 움직임 벡터 조사부(34, 36)로 구성된다.
동 도면에 있어서, 움직임 추정부(28)내의 추림부(32)는 프레임 저장부(26)의 이전 프레임의 신호를 추림한다. 제1움직임 벡터 조사부(34)는 추림부(32)의 추림된 이전 프레임의 신호로부터 움직임 벡터를 찾아낸다. 제2움직임 벡터 조사부(36)는 제1움직임 벡터 조사부(34)의 움직임 벡터를 참조해서 프레임 저장부(26)의 이전 프레임의 신호로부터 움직임 벡터를 미세하게 찾아내어 움직임 보상부(30)에 인가한다. 이때, 상기 추림부(3)의 추림은 2 : 1 또는 4: 1추림이 비교적 효과적이다. 즉, 상기 추림부(32)의 2:1, 또는 4:1 추림시 영상의 질이 그렇게 저하되지 않으면서도 빠른 움직임을 갖는 영상에서는 더욱 효과가 좋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추림부(32)에서 프레임 저장부(26)의 이전 프레임의 신호를 추림하고 제1움직임 벡터 조사부(34)에서는 추림부(32)의 추림된 이전 프레임의 신호로부터 움직임 벡터를 찾아낸후, 최종적으로 제2움직임 벡터 조사부(36)에서 제1움직임 벡터 조사부(34)의 움직임 벡터를 참조해서 프레임 저장부(26)의 원래 이전 프레임의 신호로부터 움직임 벡터를 미세하게 찾아낸다. 따라서 거대 영역 스크린의 움직임 추정도 해당 시간내에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빠른 움직임이 있는 영상에서는 더욱 효과적이다. 또한, 이와같은 움직임 추정부(28)는 상용 칩으로 구현하여 그 움직임 추정부(28)의 모든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Claims (1)

  1. 프레임 단위의 이전 영상신호를 일시 저장했다가 출력하는 프레임 저장부(26), 현재 프레임의 영상 신호 및 상기 프레임 저장부(26)의 이전 프레임의 영상 신호를 제공받아 움직임을 추정해서 움직임 벡터를 출력하는 움직임 추정부(28), 상기 프레임 저장부(26)의 이전 프레임의 영상 신호 및 상기 움직임 추정부(28)의 움직임 벡터를 제공받아 상기 프레임 저장부(26)의 이전 프레임의 영상을 상기 움직임 추정부(28)의 움직임 벡터마큼 이동시켜서 이에 따른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움직임 보상부(30)를 포함하는 영상 신호 부호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추정부(28)는 상기 프레임 저장부(26)의 이전 프레임의 신호를 2:1 또는 4:1로 추림하는 추림부(32); 상기 추림부(32)의 추림된 이전 프레임의 신호로부터 움직임 벡터를 찾아내는 제1움직임 벡터 조사부(34); 상기 제1움직임 벡터 조사부(34)의 움직임 벡터를 참조해서 상기 프레임 저장부(26)의 이전 프레임의 신호로부터 움직임 벡터를 미세하게 찾아내어 상기 움직임 보상부(30)에 인하가는 제2움직임 벡터 조사부(36)를 포함하는 영상 신호 부호화 장치.
KR1019950013844A 1995-05-30 1995-05-30 영상 신호 부호화 장치 KR100196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3844A KR100196846B1 (ko) 1995-05-30 1995-05-30 영상 신호 부호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3844A KR100196846B1 (ko) 1995-05-30 1995-05-30 영상 신호 부호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3910A KR960043910A (ko) 1996-12-23
KR100196846B1 true KR100196846B1 (ko) 1999-06-15

Family

ID=19415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3844A KR100196846B1 (ko) 1995-05-30 1995-05-30 영상 신호 부호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684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3910A (ko) 1996-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67086A (en) Apparatus and method of coding/decoding video data
US5001559A (en) Transform coding using coefficient prediction techniques
FI98681C (fi) Muuntokoodauslaite
KR0134343B1 (ko) 양자화레벨을 이용한 부호화방법 및 그 장치
JPH0722962A (ja) ブロッキングアーティファクトを抑制する符号化/復号化方法及びその装置
KR900013790A (ko) 화상의 부호화 전송장치
US6493390B2 (en) Motion compensation image encoding device
US5508745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quantization level to be modified by a motion vector
US5675386A (en) Method for encoding motion image and apparatus therefor
JP2006511164A (ja) 弾性記憶
JPH04114585A (ja) 動き補償フレーム間符号化装置
KR100196846B1 (ko) 영상 신호 부호화 장치
KR0185845B1 (ko) 웨이브렛 변환기를 이용한 계층 부호화기
KR0130167B1 (ko) 동영상 압축 부호화 장치
KR0152017B1 (ko) 적응적처리를 이용한 부호화 및 복호화시스템
KR0124157B1 (ko) 영상 부호화 장치
KR0134489B1 (ko) 적응적 움직임 보상 영상 부호화 장치
KR100286220B1 (ko) 영상 부호화기의 적응 양자화 장치 및 그 방법
KR100191994B1 (ko) 런, 엠프 검색 장치
FI89441C (fi) Foerfarande foer soekning av roerelsevektorer foer en videosignal
KR0169656B1 (ko) 동영상 부호화기
KR940008486A (ko) 적응적 움직임 검출기능을 가진 영상 부호화기
KR0169653B1 (ko) 동영상 부호화기
KR0148131B1 (ko) Dpcm부호화방법 및 그 장치
KR0147952B1 (ko) 동영상 부호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01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