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1996A - 전기음향 변환기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음향 변환기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1996A
KR19990081996A KR1019980705714A KR19980705714A KR19990081996A KR 19990081996 A KR19990081996 A KR 19990081996A KR 1019980705714 A KR1019980705714 A KR 1019980705714A KR 19980705714 A KR19980705714 A KR 19980705714A KR 19990081996 A KR19990081996 A KR 19990081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connector
printed circuit
electroacoustic transducer
ele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5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5488B1 (ko
Inventor
말테 벤지트 거스타브 브로딘
Original Assignee
렌나트 데트레프센, 크리스터 다흐너
텔레폰아크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퍼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렌나트 데트레프센, 크리스터 다흐너, 텔레폰아크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퍼블) filed Critical 렌나트 데트레프센, 크리스터 다흐너
Publication of KR19990081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1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5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54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4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with a single cantilevered b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Piezo-Electric Transducers For Audible Bands (AREA)
  • Transducers F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음향 재생 및/또는 음향 기록장치의 인쇄회로기판(12) 상의 전기회로에 전기음향 변환기(1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커넥터는 고온내성을 가지는 전기적 절연재료로 만들어진 커넥터몸체(21;31)를 가진다. 커넥터몸체의 하부측에는 인쇄회로기판(12)상의 상기 전기회로들에 연결되게 되는 접촉점(33a', 33a'', 33b', 33b'')들을 가지는 제1 및 제2하부 세장된 접촉소자(23a, 23b; 33a, 33b)들이 제공된다. 제1 및 제2탄성, 세장된 상부 연결소자(22a, 22b; 32a, 32b)들이 그의 제1말단에서 상기 하부측에 평행한 커넥터몸체(21;31)의 상부측에 연결된다. 탄성 연결소자들은 전기음향 변환기(10)의 제1 및 제2연결핀(11a, 11b)에 탄성적으로 연결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그리고 그의 제2말단에서 제1 및 제2접촉소자(23a, 23b; 33a, 33b)들에 각각 연결된다. 제1 및 제2하부 접촉소자(23a, 23b; 33a, 33b)들은 서로간에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그리고 제1 및 제2상부 연결소자(22a, 22b; 32a, 32b)들도 마찬가지로 서로간에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Description

전기음향 변환기용 커넥터
상기 음향재생 및/또는 음향기록장치의 잘 공지된 예는 무선전화이다. 무선전화, 예컨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Service)과 같은 셀룰러 전기통신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셀룰러전화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폰과 적어도 하나의 라우드스피커를 포함하는데, 이들 둘다는 전기신호를 음향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또는 음향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전기음향 변환기로서 설명될 수 있다.
그러한 전기음향 변환기들 외에도, 오늘날의 무선전화들은 다양한 전기 또는 전자회로들 또는 무선전화의 기능을 구현 또는 실현하기 위한 부품들을 가진다. 예컨대, 그러한 회로들 또는 부품들은 모듈형태의, 국부발진기, 클럭신호 발생기, 믹서, 증폭기, 다양한 필터회로들, 메모리를 가지는 프로세서(CPU) 등이다. 이들 회로들은 일반적으로 인쇄회로기판(PCB)상에 배열된다. 인쇄회로기판은 종종 동을 기초로 한 전도체가 제공된 유리섬유 에폭시로 만들어지고, 그리고 다음 프로세스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
1. 회로기판상에 땜납 페이스트의 스텐실 프린팅.
2. 땜납 페이스트상에 전기 및 전자부품들의 착설.
3. 약 210℃∼270℃의 온도에서 뜨거운 공기로에서 처리. 부품들은 의도된 위치에서 회로기판에 납땜된다.
음향부품(라우드스피커 및 마이크로폰)들이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상의 무선전화회로에 연결할 때, 몇몇 고려 사항들이 있게 된다. 라우드스피커와 마이크로폰 둘다는 고온에 민감하여, 상기에서 설명된 납땜 프로세스 동안 인쇄회로기판상에 있어서는 않된다. 아주 단순히, 음향부품들은 땜납 페이스트를 용융시키기 위해 필요한 고온에서 파괴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라우드스피커와 마이크로폰은 최대로 약 100℃의 온도를 견딜 수만 있어서, 이들 부품들은 상기에 따른 일반 제조프로세스와는 독립적으로 설치되어야 한다.
게다가, 전기음향부품이 주파수특성을 필요로 하게 되면, 전문가에 의한 정확한 조정이 전기음향부품에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전기음향부품들에 고품질 음성 인식능력과 같은 시장의 요구사항이 있다. 음향부품과 무선전화섀시 사이에 공간이 있어, 주변환경에 대해 음향임피턴스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이 임피던스는 상기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엄밀히 제어되어야만 한다. 이 이유 때문에, 라우드스피커/마이크로폰은 섀시에 대해 항상 동일한 위치에 설치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오늘날의 무선전화에서, 음향부품들은 섀시의 전면부의 내측에 단단히 설치되는 한편, 전기 또는 전자회로들이 제공된 인쇄회로기판은 섀시 후면부 내측에 설치된다. 음향부품들은 일반적으로 각 음향부품과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두 개의 금속선을 납땜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된다. 그러나, 그러한 납땜은 자동화하기 힘들다는 단점을 가지는데, 이 경우에서는 납땜은 수작업으로 이루어져야만 한다. 따라서, 비용 효율성 뿐만 아니라 생산속도가 감소된다. 납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금속선들은 특정한 길이를 가져야만 하고, 그리고 전면부와 후면부들이 최종적으로 조립될 때, 선(와이어) 또는 납땜의 파괴를 무릅쓰고라도, 금속선들 중 어떠한 것은 기계적부분들 사이에 밀어넣어질 수 있다.
무선전화가 수선 또는 서비스를 받을 때 전면부는 후면부로부터 분리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전면부에 배열된 음향부품들과 후면부에 배열된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그러한 고정된 상호연결은 고정된 상호연결이 파괴된다는 단점을 가진다.
유럽특허공보 EP-A-0 567 850호에는, 인쇄회로기판에 납땜된 접촉스프링에 의한, 전자장치내 라우드스피커와 인쇄회로기판 간의 전기적 연결이 기재되어 있다. 각 접촉스프링은 각 라우드스피커 연결핀을 수용하여 맞물리도록 설계되어 있다. 비슷한 구성이 유럽특허공보 EP-A-0 490 214호에 기재되어 있는데, 소망된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기 위하여, 접촉스프링들이 각 라우드스피커 연결핀에 설치되어, 스프링력으로 회로기판에 대해 밀쳐지도록 배열된다. 이러한 종류의 접촉 구성은 라우드스피커와 회로기판 사이에 직접적인 납땜 상호연결의 필요성을 제거한다. 그러나, 그러한 접촉장치의 진보된 설계로 인해, 접촉장치들은 상당히 자동화된 조립프로세스에 사용하기가 매우 어려울 수 있다. 부가적으로, 각 라우드스피커 연결핀에 대해 하나의 접촉장치가 필요하기 때문에, 이는 가장 비용-효율적인 해결책이 아니다.
본 발명은 음향재생 및/또는 음향기록장치의 인쇄회로기판상의 전자회로에 전기음향 변환기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예시적인 무선전화의 인쇄회로기판에 라우드스피커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부품들의 상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개략적이고 또한 확대된 측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커넥터의 말단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커넥터의 상면도.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음향 변환기가 음향재생 및/또는 음향기록장치, 예컨대 무선전화의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될 때,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문제점들을 극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강한 온도 내성을 가져 제조시에 미리 인쇄회로기판에 납땜될 수 있고, 음향재생 및/또는 음향기록장치의 전기음향 변환기에 연결을 위한 탄성수단이 구비되고, 그리고 첨부된 청구범위에 따른 설계 덕택으로 모든 중요 방향으로 훌륭한 연결 마진(margin)을 보이는 커넥터에 의해 이루어진다. 게다가, 본 발명은 상기 커넥터를 사용하는 무선전화를 조립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루어진 다음의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기술된다.
도 1과 2는 무선전화의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음향 변환기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사용될 때의,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20)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전기음향 변환기의 예로서, GSM과 같은 셀룰러 전기통신시스템용 휴대전화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라우드스피커(10)가 선택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전기음향 변환기에 연결되게 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모든 음향재생 및/또는 음향기록장치들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그러한 장치들의 예는 포켓크기의 테이프레코더, 구술녹음기, 작은 무선장치 등이다.
라우드스피커(10)는 무선전화섀시의 전면부(13)의 내측에 단단히 설치된다. 글루잉(gluing)과 같은 잘 공지된 고정 또는 설치방법에 따라, 개별적인 프로세스 동안 전면부(13)에 라우드스피커(10)의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면부는 라우드스피커(10)를 수용하도록 통상적인 방식으로 설계되고 또한 라우드스피커로부터 방출된 음파가 통과해 주변으로 방사되게 되는, 구멍 또는 슬롯들이 제공된다. 전면부에 라우드스피커(10)의 고정뿐만 아니라 전면부(13)의 설계는 독립된 프로세스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충분히 높은 정밀도로 이루어질 수 있어서, 상기 언급된, 전면부(13)와 라우드스피커(10) 사이 공간의 음향임피던스가 소망된 한계내에 유지될 수 있다. 전면부(13)는 섀시 후부(14)에 설치되고, 이의 분리선은 도 1에서 참조번호 15로 표시되어 있다.
라우드스피커의 하부에서, 라우드스피커(10)에 두 개의 연결핀(11a, 11b)들이 제공되고, 이들은 이들의 각 제1단에서 라우드스피커 몸체부의 각 입력에 연결된다. 그러한 라우드스피커는 덴마크의 KIRK A/S i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전기역학적 형태의 표준 부품이어서, 여기서는 자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연결핀은, 비교적 두꺼운 니켈층으로 커버되고 그리고 다시 얇은 금층(거의 1㎛의 두께)으로 커버되는 동으로 만들었고, 그리고 핀들은 약 2mm폭, 거의 0.5mm 두께이고 그리고 원형의 라우드스피커 외부로 거의 10mm 연장한다.
커넥터(20)는 라우드스피커(10)의 연결핀(11a, 11b)과 후면부(14)에 설치된 인쇄회로기판(12) 사이에 설치된다. 다양한 전기 또는 전자회로들이 인쇄회로기판(12)상에 제공되고, 상기 회로들은 무선전화의 다양한 기능들을 구현한다. 예컨대, 인쇄회로기판은 도면에 명확히 도시되지 않고, 또한 무선전화의 전체 기능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또는 CPU유닛을 포함한다. 게다가, 인쇄회로기판(12)에는 전자기 무선-주파수 신호들을 송신하고 또한 수신하기 위한 통상적인 디자인의 송신기/수신기유닛이 제공된다. 그러한 회로는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공지된 것으로 간주되어, 따라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이 여기서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무선전화의 동작이 입력 무선신호의 수신과 관련해 아래에서 간략히 설명된다. 인쇄회로기판의 회로와 부품을 착설하여 납땜하는 것 뿐만 아니라 인쇄회로기판의 제조는 배경기술부에서 발견되는 해당정보에 따라 수행된다.
예컨대, 셀룰러 전기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입력 무선-주파수 전자기신호는 무선전화에 도달하여 무선전화에 착설된 안테나에 의해 수신되게 된다. 전자기신호는 안테나에 의해 고주파수 전기신호로 변환되고, 이는 한 차례 필터 및 증폭되어 믹서장치에 의해 중간주파수 신호로 믹스된다. 그런 다음, 다른 필터링과 증폭단계가 수행되고, 이후에 국부발진기에 의해 공급된 중간주파수신호에 의해 복조유닛에서 신호의 복조가 이루어진다. 이에 의해, 소위 기저대역 신호가 획득되는데, 이는 해당 셀룰러 전기통신시스템의 방법과 프로토콜에 따라 디코드되거나 또는 신호처리될 수 있다. 이렇게 획득된 저주파수 전기신호가 회로기판(12)상의 증폭기장치를 통해 라우드스피커(10)에 공급되고, 이에 따라 전기신호는 라우드스피커(10)에서부터 방사되는 음향 음파로 변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20)가 먼저 도 1과 2에 따른 기본구조로 설명된다. 그런 다음에, 보다 구체적인 설계가 도 3 내지 5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커넥터(20)는 고온내성을 가지는 전기적 절연재료로 만들어진 커넥터몸체(21)를 포함한다. 커넥터몸체(21)의 적어도 상측과 하측은 서로에 대해 평행하다. 두 개의 연결소자(22a, 22b)들이 도 1과 2에 따라 커넥터몸체의 상측에서 커넥터몸체(21) 위에 그들의 제1말단에서 배열된다. 도 1과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한 도 3 내지 5에 따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각 탄성 연결소자(22a, 22b)들은 커넥터몸체(21)의 상부표면을가로질러 연장하여, 역 V자를 형성하고, 이는 본 발명에 근간이 되는 탄성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탄성 연결소자(22a, 22b)의 다른, 보다 둔각의 설계가 가능하다.
커넥터몸체(21)의 상부표면에 있는 두 개의 연결소자(22a, 22b) 사이의 면적은 아래에서 기술되는 자동 조립프로세스 동안 커넥터가 픽업되도록 하기 위해 충분히 클 뿐만 아니라(적어도 약 3mm×3mm) 충분한 평면이다. 탄성 연결소자의 제2말단에서, 탄성 연결소자(22a, 22b)들은 인쇄회로기판(12)상의 상기 언급된 증폭기장치들에 연결되게 되는 커넥터몸체(21)의 하측에 배열되는 하부 접촉소자(23a, 23b)에 각각 연결된다. 상부 탄성 연결소자(22a, 22b)들은 디자인과 관련해 서로 동일하고 그리고 판 스프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판 스프링은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라우드스피커(10)의 연결핀(11a, 11b)들에 대한 탄성효과를 이루기 위해 충분히 작은 스프링력을 가지는 전기적 전도재료로 만들어진다. 두 개의 상부 연결소자들은 서로간에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그리고 두 개의 하부 접촉소자들도 마찬가지이다. 바람직하게, 상부 연결소자들은 상기에서 설명된 라우드스피커 연결핀(11a, 11b)과 같이 동으로 만들어지고, 보호 니켈층 뿐만 아니라 얇은 외부 금층으로 커버된다. 그러나, 상기에서 설명된 모든 접촉수단들은 다른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고, 또한 여기서 설명된 것 외의 다른 치수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도 1에 따라, 탄성 연결소자(22b)는 대응하는 하부 접속소자(23b)에 연결되고, 상기 탄성 연결소자는 다른 동질의 커넥터몸체에 형성된 홈 또는 채널을 따라 커넥터몸체(21)를 통해 아래로 연장하도록 적절한 방식으로 배열된다. 택일적으로, 상부 연결소자는 커넥터몸체의 수직측 표면의 외측을 따라 대응하는 하부 접속소자로 연장할 수 있다. 상부 연결소자(22b)와 하부 접속소자(23b) 간의 실제 연결은 납땜 또는 형상에 따른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상부 연결소자(22a)는 커넥터몸체(21)내 대응하는 홈 또는 채널을 통해 반대 방향으로, 하부 접속소자(23a)를 향해 연장하고, 그리고 이들의 상호연결은 상기에서 설명된 것과 비슷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도 1과 2의 기본 설명에서, 커넥터(20)는 억압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즉, 전면부(13)가 후면부(14)에 설치되면, 전면부의 내측에 설치된 라우드스피커(10)의 연결핀(11a, 11b)들이 커넥터(20)의 상부 탄성 연결소자(22a, 22b)와 탄성적으로 맞물린다. 이러한 방식으로, 라우드스피커(10)의 연결핀(11a, 11b)들과 커넥터의 상부 탄성 연결소자(22a, 22b) 사이에 만족스러운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소자는 하부 접촉소자(23a 및 23b)를 통해 인쇄회로기판(12)과 전기적 접촉을 가진다.
도 3 내지 5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30)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커넥터몸체(31)는 앞서 설명된 인쇄회로기판의 제조 동안 도달되는 온도를 견딜 수 있는 전기적 절연재료로 이루어진다. 커넥터몸체(31)를 위한 적절한 재료는 플래스틱재료 PPA이지만, 그러나 다른 재료들이 사용될 수 있다. 커넥터몸체(31)는 동질이고 그리고 직사각형의 평행 6면체로서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부 판-스프링형 연결소자(32a)는 하부 접촉소자(33a)와 함께 집적화된 부재로서 형성된다. 상부 연결소자(33a)의 자유단은 언로드될 때 커넥터몸체(31)의 상부표면의 길이방향 측과 접촉하도록 배열되는 한편, 상기 자유단은 로드될 때(즉, 상기에 따라 라우드스피커 연결핀(11a)이 연결부재(32a)에 대해 압박될 때), 커넥터몸체(31)의 측 표면을 따라 또는 수직으로 형성된 홈 또는 요입부와 접촉한다. 도 3 내지 5에서 커넥터(30)는 로드되어 있는 상태로 도시되어 있고 그리고 도 4로부터, 이러한 방식으로 압박된 상부 연결소자(32b)가 커넥터몸체(31)의 측표면에 연결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자유단으로부터 시작하여, 각 상부 연결소자(32a, 32b)들은 커넥터몸체(31)의 상부측을 가로질러 둔각형태로 연장하고, 그런 다음 커넥터몸체(31)의 반대측 표면 아래로 수직으로 연장하여, 각 하부 접속소자(33a, 33b)에 연결된다.
각 상부 연결소자(32a, 32b)의 최상부 지점, 즉 각형의 최점단은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전면부(13)가 후면부(14)에 설치되어 탄성 연결소자(32a, 32b)가 압박되면, 각 라우드스피커 연결핀(11a, 11b)에 접촉하도록 배열된다. 두 개의 상부 연결소자(32a, 32b)들은 서로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커넥터몸체(31)의 상부측을 가로질러 배열되고, 한 연결소자(32a)의 자유단은 다른 연결소자(32b)에 대해 커넥터몸체(31)의 반대측에 위치된다. 탄성 연결소자(32a, 32b)의 스프링 강성은 각 연결소자(32a, 32b) 상의 각 라우드스피커 연결핀(11a, 11b)에 의해 부여되는 힘에 맞추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시제품에 따르면, 약 60±15 g의 스프링력이 적절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두 개의 하부 접촉소자(33a, 33b)들은 커넥터몸체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커넥터몸체(31)의 하부측에 단단히 배열된다. 하부 접촉소자들은 커넥터몸체의 각 측면에서부터 돌출하고, 그리고 도 4에 따라, 이들 돌출단들은 거의 45°의 각도로 두 번 꺽여 접촉표면(33a', 33a'', 33b', 33b'')을 형성한다. 이들 접촉표면들은 라우드스피커(10)와 회로기판(12)상의 전기회로들 사이의,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를 통한 상호연결을 위해 인쇄회로기판(12)상에 납땜이 이루어지도록 배열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20, 30)에 의해,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무선전화의 전기적 회로기판에 전기음향 변환기를 연결시킬 수 있다. 배경기술부분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납땜 프로세스 동안 인쇄회로기판(12)이 제조될 때, 커넥터(20)는 인쇄회로기판(12)의 적절한 위치에서 표면-장착된다. 커넥터몸체(20)의 평평한 상부측으로 인해, 커넥터는 자동조립 프로세스(소위, "픽업 및 놓기" 프로세스)에서 회로기판(12)에 픽업되어 놓여질 수 있다. 하부 접촉소자(33a, 33b)의 접촉표면(33a', 33a'', 33b', 33b'')의 대칭구성때문에, 자동조립 프로세스 동안 커넥터(20)가 180°회전한다 하더라도 아무런 차이가 없어, 이 조립프로세스는 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런 다음, 회로기판은, 상기에 따라 그 위에 제공된 커넥터(20, 30) 뿐만 아니라 기판위에 설치된 전기 및 전자회로 및 부품들과 함께 납땜 프로세스를 이루기 위해 필요한 고온에서 뜨거운-공기로에서 열처리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라우드스피커(10)는 전면부(13)의 내측상의 의도된 위치에서 그의 연결핀(11a, 11b)과 함께 배열된다. 최종적으로, 전면부와 후면부(14)는 합쳐져, 인쇄회로기판(12)과 라우드스피커(10) 간의 전기적 연결이 탄성 상부 연결소자(22a, 22b; 32a, 32b)에 대해 억압되는 연결핀(11a, 11b)들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설명된 구성에 의해, 커넥터(20;30)의 설치 동안, 전면부(13)에 라우드스피커(10)의 설치 동안 뿐만 아니라 전면부(13)와 후면부(14)의 조립 동안 충분한 마진들이 모든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이외에도, 라우드스피커와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전기적 커넥터와이어를 납땜하기 위하여 더 이상의 수작업이 불필요하다. 그러한 와이어 연결의 불필요성은 (무선전화의 서비스 또는 수선과 같은) 일들이 필요할 때 고정된 연결부를 단절하는 일 없이 후면부(14)로부터 전면부(13)가 완전히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는 부가적인 장점을 가진다. 실험과 계산으로, 스프링장치가, 무선전화의 동작수명을 완전히 커버하는, 적어도 50회의 압축을 견딘다고 판명되었다. 상기 50회는 상당히 많은 것으로 여겨지는데, 무선전화는 전화의 수명 동안 서비스 또는 수선과 같은 이유로 약간 개방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상기 설명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적으로 이루어졌지, 제한의 목적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내에서 상기에서 설명된 것 외의 다른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다. 특히, 전기음향 변환기가 상기에서 전기력 라우드스피커로 설명되었다 하더라도, 본 발명은 공지된 다양한 디자인의 마이크로폰들 뿐만 아니라 다른 종류의 라우드스피커와 함께 응용될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Claims (5)

  1. 음향 재생 및/또는 기록장치의 인쇄회로기판(12) 상의 전자회로에 전기음향 변환기(1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커넥터에 있어서,
    고온내성을 가지는 전기적 절연재료로 만들어진 커넥터몸체(21;31)와
    커넥터몸체(21; 31)의 하부측에 배열되고 또한 인쇄회로기판(12)상의 상기 전기회로들에 대한 연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접촉점(33a', 33a'', 33b', 33b'')들이 구비된, 제1 및 제2세장된 접촉소자(23a, 23b; 33a, 33b)와, 그리고
    그의 제1말단에서 상기 하부측에 평행한 커넥터몸체(21;31)의 상부측에 연결되고 또한 전기음향 변환기(10)의 제1 및 제2연결핀(11a, 11b)에 대한 탄성 연결을 이루기 위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그리고 그의 제2말단에서 제1 및 제2하부 접촉소자(23a, 23b; 33a, 33b)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탄성, 세장된 상부 연결소자(22a, 22b; 32a, 32b)들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하부 접촉소자(23a, 23b; 33a, 33b)들은 서로간에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그리고
    제1 및 제2상부 연결소자(22a, 22b; 32a, 32b)들은 서로간에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것이 특징인 전기음향 변환기용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부 연결소자(22a, 22b; 32a, 32b) 각각은 커넥터몸체(21; 31)의 상부측에서부터 돌출하는 각형 또는 굴곡형을 형성하는 것이 특징인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부 연결소자(22a, 22b; 32a, 32b)들은 판 스프링으로서 형성되는 것이 특징인 커넥터.
  4. 상기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상부 연결소자(22a;32)는 제2상부 연결소자(22b;32b)에 대해 평행하게 또한 반대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이 특징인 커넥터.
  5. 상기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커넥터를 사용하는, 전기음향 변환기(10)가 설치되는 전면부(13)와 인쇄회로기판(12)이 배열되는 후면부(14)를 포함하는 무선전화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온도(t1)에서 뜨거운-공기로에서 수행되는, 공지된 열처리 프로세스에서 커넥터를 그의 접촉점(33a', 33a'', 33b', 33b'')에서 인쇄회로기판(12)에 납땜하면서, 동시에 인쇄회로기판에 전기회로를 납땜하고, 그런 다음 후면부(14)에 인쇄회로기판을 설치하는 단계와,
    b) 단계 a)에 따른 온도(t1) 보다 낮고 또한 전기음향 변환기에 손상을 주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낮은 온도(t2)에서 통상적인 설치방법에 따라 전기음향 변환기(10)를 전면부(13)에 설치하는 단계와,
    c) 전기음향 변환기의 제1 및 제2연결핀(11a, 11b)들이 각각 제2상부 연결소자(22a, 22b; 32a, 32b)들과 맞물려, 전기적 상호연결이 상부 연결소자들과 연결핀들의 탄성결합에 의해 유지되도록 전면부를 후면부에 설치하는 단계가 특징인 방법.
KR1019980705714A 1996-02-07 1997-01-23 전기음향변환기용커넥터 KR1003154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600445-2 1996-02-07
SE9600445A SE509940C2 (sv) 1996-02-07 1996-02-07 Kontaktanordning för elektrisk anslutning av ett elektroakustiskt omvandlingsorgan på ett mönsterkort och sätt vid montering av kontaktanordningen i en radiotelefon
PCT/SE1997/000105 WO1997029528A1 (en) 1996-02-07 1997-01-23 Connector for an electroacoustic transduc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1996A true KR19990081996A (ko) 1999-11-15
KR100315488B1 KR100315488B1 (ko) 2002-01-17

Family

ID=20401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5714A KR100315488B1 (ko) 1996-02-07 1997-01-23 전기음향변환기용커넥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0879490B1 (ko)
JP (1) JP2000504871A (ko)
KR (1) KR100315488B1 (ko)
CN (1) CN1104071C (ko)
AU (1) AU710410B2 (ko)
BR (1) BR9707359A (ko)
EE (1) EE03497B1 (ko)
ES (1) ES2167711T3 (ko)
SE (1) SE509940C2 (ko)
WO (1) WO19970295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06822B (fi) 1999-09-29 2001-04-12 Nokia Mobile Phones Ltd Järjestely ja menetelmä sähköisen kontaktin muodostamiseksi elektroniikkalaitteessa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91526A (en) * 1986-09-04 1988-12-13 Siemens Aktiengesellschaft Mount of a printed circuit board arranged in a bipartite housing
DE3727328C1 (de) * 1987-08-17 1988-09-15 Telefonbau & Normalzeit Gmbh Handapparat
US4983126A (en) * 1989-06-15 1991-01-08 Siemens Aktiengesellschaft Apparatus for electrical connection of insertable electrical assemblies
DE9016811U1 (ko) * 1990-12-12 1991-02-28 Siemens Ag, 8000 Muenchen, De
DE9205698U1 (ko) * 1992-04-28 1992-06-25 Siemens Ag, 8000 Muenchen, 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4071C (zh) 2003-03-26
ES2167711T3 (es) 2002-05-16
SE509940C2 (sv) 1999-03-29
SE9600445L (sv) 1997-08-08
WO1997029528A1 (en) 1997-08-14
SE9600445D0 (sv) 1996-02-07
CN1216167A (zh) 1999-05-05
EP0879490B1 (en) 2001-11-07
EE9800235A (et) 1998-12-15
JP2000504871A (ja) 2000-04-18
KR100315488B1 (ko) 2002-01-17
EE03497B1 (et) 2001-08-15
EP0879490A1 (en) 1998-11-25
AU1739797A (en) 1997-08-28
BR9707359A (pt) 1999-07-20
AU710410B2 (en) 1999-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76918B1 (en) Built-in antenna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O2000033425A2 (en) Connector with switching device
KR100674849B1 (ko) 무선통신 단말기의 엑츄에이터 모듈
KR100664357B1 (ko) 배면단자를 가진 전기음향변환장치
US20100188292A1 (en) Antenna
KR100574120B1 (ko) 압접형 어댑터
EP0235838B1 (en) Electrodynamic transducer
KR100315488B1 (ko) 전기음향변환기용커넥터
KR102422078B1 (ko) 소형 기기용 안테나 모듈
KR20170084794A (ko) 안테나 모듈
KR200396866Y1 (ko) 압접형 커넥터
US6052463A (en) Loudspeaker and telephone device comprising such a loudspeaker
JPH08321714A (ja) ガラスアンテナのフィーダー線コネクタ装置
TWI225336B (en) Module for transmitting and/or receiving radio data
JPH0460400B2 (ko)
JP2003347818A (ja) 無線通信機用内蔵アンテナ
KR100518116B1 (ko) 마이크로폰 홀더의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112562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알에프 신호 접속구
KR10069199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에쓰엠디형 스피커 실장 구조 및 그 방법
JPH08168096A (ja) 電気音響変換ユニット
JPH0220847Y2 (ko)
KR20150024244A (ko) 유연성을 갖는 인테나
JP2602347B2 (ja) 無線選択呼出受信機
JPH11331016A (ja) 送受信ユニット
JP2002271121A (ja) アンテナ装置の実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