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1150A - 예비코팅형 접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예비코팅형 접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1150A
KR19990081150A KR1019980014938A KR19980014938A KR19990081150A KR 19990081150 A KR19990081150 A KR 19990081150A KR 1019980014938 A KR1019980014938 A KR 1019980014938A KR 19980014938 A KR19980014938 A KR 19980014938A KR 19990081150 A KR19990081150 A KR 199900811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composition
water
suspension
weight
acid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4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7457B1 (ko
Inventor
사또시 마쯔오
Original Assignee
가네꼬 사도루
가부시끼가이샤 쓰리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꼬 사도루, 가부시끼가이샤 쓰리본드 filed Critical 가네꼬 사도루
Priority to KR10-1998-0014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7457B1/ko
Publication of KR19990081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1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7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74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A1) 1종 이상의 중합 촉진제; (A2) 그의 말단 또는 그의 측쇄에 하나 이상의 중합가능한 이중 결합을 갖는 1종 이상의 화합물; (A3) 물에 용해된 후 산성이 되는 1종 이상의 산성 물질 및, (A4) 유화능력을 갖고, 산성 물질 (A3)에 의해 물에 난용화되는 수성 결합제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현탁액 및, (B) 1종 이상의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캡슐로 이루어진, 나사류의 예비코팅용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그 접착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예비코팅형 접착제 조성물
본 발명은 나사, 볼트 및 너트 등의 나사류의 나선형으로 맞물린 표면 상에 접착제층을 형성하여 나삿니 고정 기능 및 접착을 제공하기 위한 예비코팅형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나사, 볼트 및 너트 등의 나사류의 나선형으로 맞물린 표면에 액체 물질 형태로 도포되어 결합 능력을 갖는 명백히 고체층을 형성하는 액체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나사, 볼트 및 너트 등의 나선형으로 맞물리는 부재의 나선형으로 맞물리는 표면 (나삿니)에 도포되는 공지된 예비코팅형 나삿니 고정 접착제로서, 용매인 유기 용매 또는 물; 반응성 접착제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캡슐; 및 결합제 수지로 이루어진 조성물이 일본 특허 공고 (소)52-46339호, 일본 특허 공개 (평)2-308876호 및, 일본 특허 공개 (소)53-11883호에 공지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소)57-192476호에는 나삿니 고정 접착제로서, 중합체성 모노머;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캡슐; 중합 촉진제; 및 에틸렌/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의 수성 결합제로 이루어진 접착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평)7-331187호에는 나삿니 고정 접착제로서 중합가능한 모노머;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내수성 마이크로캡슐; 중합 촉진제; 및 수용성 폴리아세탈 수지의 수성 결합제로 이루어진 접착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이들 인용문헌에 개시되어 있는 예비코팅형 접착제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액체 상태이기 때문에, 볼트류의 나선형으로 맞물린 표면 상에 접착제층을 형성시키기 위해서
(1) 볼트 등의 피착체 표면에 액체 예비코팅형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및
(2) 이와 같이 제조된 도포된 예비코팅형 접착제 조성물을 건조시켜 명백하게 고체층을 형성시키는 단계의 과정이 요구된다.
(1) 단계에서 예비코팅형 접착제 조성물의 도포는 종전까지 예를 들어, 피착체 상에 액체 예비코팅형 접착제 조성물을 분무 코팅시키거나, 접착제 조성물로 파착체를 코팅시키기 위해 액체 예비코팅형 접착제 조성물에 피착체를 침지시키거나, 또는 일본 실용신안 공고 (평)2-43504호 및 일본 실용신안 공고 (소)63-4532호에 기재되어 있는 코팅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성취되었다. 또한 (2) 단계의 경우, 코팅된 피착체를 상온에 방치하여 자연 건조시키거나, 또는 중합가능한 접착제가 반응되지 않을 정도로 가열시켜서 건조가 촉진되도록 하는 것이 통상적인 실시양태이었다.
그러나, 종전까지 알려진 마이크로캡슐형 접착제중에서, 각각 마이크로캡슐화되거나 또는, 어느 하나가 마이크로캡슐화된 반응제 및 반응 개시제 (경화제)를 포함하는 것들은 마이크로캡슐을 다량 사용하게 되면 일본 특허 공개 (평)7-331187호에서 지적된 바와 같이 액체 접착제로서 우수한 저장 안정성을 나타낼지라도 생산 비용이 증가된다는 점에서 불리하다. 또한 마이크로캡슐의 양, 즉 사용된 반응제의 양이 제한되기 때문에 이로 인해 접착이 불충분하다.
수용성 결합제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캡슐형 접착제 중에서, 쉽게 수용성이 되는 수성 결합제를 포함하는 것들은 볼트류에 도포된 후 건조되는데 많은 시간을 요한다는 점에서 불리하다. 이느 생산성을 떨어뜨린다. 이들 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상기 일본 특허 공개 (평)5-140514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적절한 수용해도를 나타내는 수성 결합제를 선택하여 예비코팅형 접착제 조성물을 유화시켜, 유화된 접착제 조성물을 피착체에 도포시킴으로써 건조 특성을 향상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예비코팅형 접착제 조성물은 액체 형태로 고점도를 가지므로, 접착제 조성물에 피착체를 침지시킴으로써 도포가 수행되는 경우 피착체에 부착되는 그의 양을 조절하기가 어렵다는 점에 있어서 불리하다. 따라서 그 점도를 조절하기 위해 희석제가 예비코팅형 접착제 조성물에 첨가된다면, 접착성의 하락과 같은 문제를 일으키는데, 이것은 예비코팅형 접착제 조성물의 본래 의도된 특성 중의 하나이다. 또한 예비코팅형 접착제 조성물의 이 유화된 용액이 신속하게 고체 표면층을 형성할지라도, 그 표면에서 건조가 진행됨에 따라 그의 수분은 내부에 유지되는 경향이 있다. 이것은 막을 건조시키는데 많은 시간을 요한다. 또한 건조와 수반되어 일어나는 형성된 층의 수축은 형성된 층의 내부를 공백으로 만들거나 또는 형성된 층의 외관을 악화시킨다.
또한 상기 일본 특허 공개 (소)57-192476호에는 나삿니 고정 접착제로서, 중합가능한 모노머;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캡슐; 중합 촉진제; 및 에틸렌/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의 수성 결합제로 이루어진 접착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조성물은 또한 상기 조성물과 유사한 에멀젼 상태의 액체 물질을 형성한다. 따라서 그의 수분은 생성된 고체 표면층 내부에 유지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유화된 액체 조성물의 저장 안정성 자체가 저하되거나, 또는 건조된 코팅층에서 반응성 물질이 변성되는 경우 접착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그의 필수적인 특성, 즉 접착 및 봉합 특성을 유지하면서 볼트류에 도포되기 전에 액체 형태로 양호한 저장 안정성을 갖고, 또한 볼트 등의 피착체 상에 도포될 때 양호한 작업성을 갖고, 도포된 후에라도 반응성 물질의 양호한 안정성을 제공하여 외관상 고체인 코팅을 형성하는 예비코팅형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그다지 높지 않은 점도를 갖고, 침지 코팅 방법에 의해 피착체에 용이하게 도포될 수 있어서 양호한 대량 생산성을 제공하는, 가능한 한 증가된 양으로 볼트 등의 피착체에 (고체 물질의 형태로) 도포될 접착제로서 유효 성분을 포함하는 예비코팅형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효과는 다음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A) (A1) 1종 이상의 중합 촉진제;
(A2) 그의 말단 또는 그의 측쇄에 하나 이상의 중합가능한 이중 결합을 갖는 1종 이상의 화합물;
(A3) 물에 용해된 후 산성이 되는 1종 이상의 산성 물질; 및
(A4) 유화 능력을 갖고, 산성 물질 (A3)에 의해 물에 난용화되는 수성 결합제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현탁액; 및,
(B) 1종 이상의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캡슐로 이루어진, 나사류의 예비코팅용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성취된다.
본 발명은 또한
(a) (A1) 1종 이상의 중합 촉진제;
(A2) 그의 말단 또는 그의 측쇄에 하나 이상의 중합가능한 이중 결합을 갖는 1종 이상의 화합물; 및
(A3) 물에 용해된 후 산성이 되는 1종 이상의 산성 물질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b) (a) 단계에서 제조된 혼합물을, 유화를 수행하기 위해 교반시키면서, 유화 능력을 갖고 산성 물질 (A3)에 의해 물에 난용화되는 수성 결합제 (A4)와 혼합하므로써 각각 그 표면에 형성된 수난용화층을 갖는 유화된 입자를 포함하는 현탁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현탁액을 1종 이상의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캡슐과 혼합하여 접착제 조성물을 수득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나사류를 예비코팅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접착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c) 단계에서, 1종 이상의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캡슐은 분산될 현탁액에 첨가된다. 따라서, 균일한 현탁액이 제공된다. 통상적인 에멀젼형 접착제 조성물과 비교해 볼 때, 이러한 현탁된 구조는 접착제 조성물의 점도를 보다 낮은 값으로 유지시키는 반면, 비휘발성 함량이 유지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로 인해 피착체에 도포되는 양이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중합 촉진제 (A1)는 아민 화합물 및 술피미드 화합물 등의 모든 공지되어 있는 중합 촉진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중합 촉진제의 중합 예로는 N,N-디메틸-p-톨루이딘 등의 3차 아민 및, 3-옥소-2,3-디히드로벤즈이소티아졸-1,1-디옥시드 등의 술피미드가 있다. 이들 중에서 특히 바람직한 중합 촉진제는 2-히드록시에틸-p-톨루이딘, N,N-디메틸-p-톨루이딘 및, N,N-디히드록시에틸-p-톨루이딘, N,N-히드록시메틸-p-톨루이딘 및 N-에틸-N-히드록시에틸-p-톨루이딘 등의 그의 유도체이다. 또한 페로센 화합물도 역시 효과적이다.
그의 말단 또는 그의 측쇄에 하나 이상의 중합가능한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화합물 (A2)은 그의 말단(들) 또는 그의 측쇄(들)에 (메트)아크릴로일기를 포함하는 화합물과 같이 종전까지 공지된 화합물일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바람직한 화합물은 10 중량% 이하의 수용해도를 갖는 것들이다. 이들 화합물의 특정 예로는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폭시화 비스페놀 A형 디(메트)아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디이소시아네이트와 글리콜 및 히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와의 반응에 의해 수득된 폴리우레탄 다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가 있다. 이들 중에서 비스페놀 A형 (메트)아크릴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물에 용해된 후 산성이 되는 산성 물질 (A3)의 예로는 아인산 에스테르 및 인산 에스테르 등의 많은 화합물들이 있다. 바람직한 산성 물질의 특정 예로는 Kyoeisha Fat Chemical Co., Ltd.로부터 입수 가능한, 그의 말단 또는 그의 측쇄에 반응성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산 인산염 (예를 들어, 라이트 에스테르 PA (메트)아크릴레이트); Nippon Kayaku Co., Ltd.로부터 입수 가능한 Kayamer PM-1, Kayamer PM-2 및 Kayamer PM-3; 및 Johoku Chemical Co., Ltd.로부터 입수 가능한 JPA-514; Kyoeisha Fat Chemical Co., Ltd.로부터 입수 가능한, 그의 말단에 카르복실기를 포함하고, 그의 분자에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카르복실산, 그의 무수물 및 카르복실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HOA-MS (2-아크릴로일옥시에틸숙신산), HOA-MPL (2-아크릴로일옥시 에틸프탈산), HOA-MPE (2-아크릴로일옥시에틸-2-히드록시에틸프탈산), HO-MS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숙신산) 및 HO-MPL (2-메타크릴옥시에틸프탈산); Toa Gosei Chemical Industry Co., Ltd.로부터 입수 가능한 Aronix M5400 및 Aronix M5500; Shin-nakamura Chemical Co., Ltd.로부터 입수 가능한 NK 에스테르 A-SA (β-아크릴로일옥시에틸히드로겐 숙시네이트) 및 SA (β-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히드로겐 숙시네이트); 말레산 무수물 및 말레산이 있다.
그 분자에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물질이 산성 물질 (A3)로 사용된다면, 이것은 중합가능한 모노머 (A3)의 전부 또는 적절한 부분으로 치환될 수 있다. 그러나, 산성 물질이 그 분자에 이중 결합을 포함하지 않는다면, 본 발명의 주요 의도된 목적인 나사 및 볼트 등의 나사류의 결합이 단단해지는 것이 이러한 산성 물질로는 성취될 수 없기 때문에, 수성 결합제 (A4)가 물에 난용화되어 현탁액을 형성시킬 정도의 양으로 첨가될 필요가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물에 용해된 후 산성이 되는 산성 물질 (A3)의 첨가량은 산성 물질 (A3)을 사용하는 의도된 목적이 성취될 수 있는 한, 적합하게 선택될 수 있다. 즉, 그 양은 수성 결합제 (A4)가 물에 난용화되어 수난용화층을 형성하기에 충분하므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나, 산성물질 (A3)은 일반적으로 현탁액 (A) 및 마이크로캡슐 (B)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사용된다. 산성물질의 첨가량을 조절함으로써 현탁액 형성의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것은 생성된 현탁액의 점도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예비코팅형 접착제 조성물이 침지 방법에 의해 볼트 등의 피착체에 도포되도록 사용된다면, 접착제 조성물의 점도는 피착체에 부착된 조성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서 희석제등으로 조절될 수 있다. 그러나, 접착제 조성물이 지나치게 희석된다면, 본 발명의 본래 목적 중의 하나인 접착성 하락과 같은 문제를 일으킨다. 따라서, 접착제 조성물의 비휘발성분 함량은 높게 유지되어야 한다. 표준으로 만들기 위해, 현탁액은 50 내지 500 cps의 점도를 갖고, 40 내지 60 중량%의 비휘발성분 함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난용화층을 생성하는 상기 산성 물질과 접촉하게 되는 수성 결합제 (A4)의 예로는 알긴산의 알칼리 금속염, 알긴산의 암모늄염, 펙트산의 알칼리 금속염, 펙트산의 암모늄염, 폴리아크릴산의 알칼리 금속염, 폴리아크릴산의 암모늄염, 폴리아크릴산 에스테르의 알칼리 금속염, 폴리아크릴산 에스테르의 암모늄염, 카르복시메틸 (또는 카르복시에틸) 셀룰로오스의 알칼리 금속염, 카르복시메틸 (또는 카르복시에틸) 셀룰로오스의 암모늄염 및 규산의 알칼리 금속염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 물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들 다양한 수성 결합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특히 바람직한 수성 결합제는 피착체에 고도의 접착성을 부여하고, 현탁액을 용이하게 형성시키는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수지 및 알긴산 나트륨 수지이다.
수성 결합제는 또한 칼슘, 마그네슘, 철 및 구리 등의 금속 이온의 작용에 의해 수난용화층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성분 (A3) 중에 용해될 수 있는 모든 금속염은 금속 이온의 공급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의 예로는 락트산칼슘,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탄산칼륨, 인산칼륨, 염화알루미늄, 염화철 및 염화구리가 있다.
수난용화가 현저히 일어나게 되면, 현탁액이 생성되는 동안 응집이 일어나기 쉽다. 수난용화를 완화시키고, 특정 금속에 대한 접착을 일으키기 위해, 성분 (A4)과 상이한 적합한 수성 결합제가 배합중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수성 결합제의 특정 예로는 폴리비닐 알코올 및 수용성 폴리아세탈 수지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해 마이크로캡슐에 캡슐화될 중합 개시제는 퍼록시드 화합물, 히드로퍼록시드 화합물, 퍼에스테르 화합물, 퍼아미드 화합물 등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중합 개시제는 퍼록시드 화합물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디아실 퍼록시드 화합물이다. 마이크로캡슐의 벽막을 형성하는 벽 물질은 알데히드 수지 또는 우레아 수지일 수 있다. 알데히드 수지의 예로는 우레아-포름알데히드 수지 및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가 있다. 우레아 수지의 예로는 폴리우레아 수지 및 폴리우레탄 수지가 있다. 이들 중에서, 특히 바람직한 우레아 수지는 멜라민 수지이다. 마이크로캡슐의 입경은 접착제 조성물이 도포되는 피착체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된다. 예를 들어, 접착제 조성물이 볼트 또는 너트에 도포되는 경우, 마이크로캡슐의 입경은 볼트류의 나삿니의 크기에 따라, 수 마이크로미터 내지 약 300 μm의 범위 내로 다양할 수 있다. 보통 벤조일 퍼록시드 (BPO) 등의 고체 입자 형태로 있는 퍼록시드가 중합 개시제로 사용되는 경우, 구형의 마이크로캡슐이 수득될수 없을지라도 분말 표면을 따라 형성된 층을 갖는 마이크로캡슐이 수득될 수 있다. 벤조일 퍼록시드 분말 자체는 물에 난용성이므로, 이들을 사용함으로써 접착제 조성물의 보존력이 극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예비코팅형 접착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 하기에 기재된다. 좀 더 상세하게, 성분 (A1), (A2) 및 (A3)를 미리 혼합한다. 이어서, 수득된 혼합물을 수성 결합제 (A4)와 혼합한다. 이 방법에서, 성분 (A1), (A2) 및 (A3)는 수성 결합제 (A4)와 일시적으로 유화된다. 이어서, 에멀젼 입자 내부의 수용성 산성물질 (A3)을 점차로 입자 경계면으로부터 용출시켜 입자 경계면에서 갑작스러운 pH 변화 및 이온 교환을 일으킨다. 이로 인해 수성 결합제 (A4)가 물에 난용화되어 에멀젼 입자의 표면 상에 층을 형성시킬 수 있다. 에멀젼 입자 표면 상에서의 층 형성으로 인해 에멀젼 입자는 명백하게 고체로 될 수 있다. 따라서, 현탁액이 생성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에멀젼"이라는 용어는 액체 매질이 액체 매질 중에 분산되고, 유화되는 액체-액체 분산액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현탁액"이라는 용어는 고체가 액체 매질 중에 분산된 액체-고체 분산액을 의미한다.
중합가능한 이중결합을 포함하는 화합물 (A2)의 첨가량을 기준으로한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캡슐 (B)량 및 중합 촉진제 (A1)량은 그 양이 중합가능한 이중결합을 포함하는 화합물 (A2)을 중합시키고, 경화시키는데 충분한 한,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캡슐 (B) 및 중합 촉진제 (A1)은 중합가능한 이중결합을 포함하는 화합물 (A2)의 안정성이 손상될 수 없을 정도로 다소 과량으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성분의 바람직한 혼합비율의 예는 중합가능한 이중결합을 포함하는 화합물 (A2) 30 내지 50 중량부, 수성 결합제 (A4) 10 내지 30 중량부,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캡슐 (B) 1 내지 5 중량부, 및 중합 촉진제 (A1) 0.5 내지 5 중량부를 물 50 중량부와 혼합하여 현탁액을 제조하는 것이다. 마이크로캡슐 (B)에 포함된 중합 개시제의 유효량은 마이크로캡슐 벽을 구성하는 물질의 종류, 또는 캡슐화되는 중합 개시제의 종류에 따라 다양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마이크로캡슐 (B)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30 내지 90 중량%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다양한 첨가제가 필요에 따라 추가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제가 접착제 조성물에 첨가되어 사용될 경우, 첨가량은 접착제 조성물의 결합 특성, 예를 들어 조성물이 볼트에 도포될 경우 볼트를 결합하는 능력이 증진되고, 볼트를 조일 때 마이크로캡슐 (B)이 용이하게 파열되도록 적절히 선택된다. 충전제의 첨가량은 성분 (A1), (A2), (A3), (A4) 및 (B)의 총량 100부 당 1 내지 1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충전제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상기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서 충전제는 비늘 또는 침상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제의 입경은 상기 조성물이 어떠한 문제도 일으키지 않으면서 볼트류에 도포될 수 있도록 100 μm 이하로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비코팅형 접착제 조성물은 잘 알려져 있는 중합 억제제 또는, 중합가능한 이중결합을 포함하는 화합물 (A2)을 안정화시키는 킬레이트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합 억제제의 특정 예로는 히드로퀴논, 벤조퀴논, 나프토퀴논 및 안트라퀴논이 있다. 킬레이트화제의 특정 예로는 β-디케톤,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및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의 나트륨염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예비코팅형 접착제 조성물에 가소제, 안료, 염료, 희석제, 소포제, 방미 가공제, 녹 방지제, pH 조절제 및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다른 첨가제가 본 발명의 목적이 손상될 수 없을 정도로 적합한 수단에 의해 첨가될 수 있다. 그러나, pH 조절제는 현탁액 형성 및 현탁액의 안정성에 영향을 주기 쉽기 때문에, pH 조절제의 첨가량은 조절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와 같이 생성된 현탁액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콜로이드상 실리카가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이것은 현탁액이 생성된 후 콜로이드상 실리카 용액 (A5)이 첨가되면 현탁액 입자의 표면상에 콜로이드상 실리카의 침착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콜로이드상 실리카 용액 (A5)에 사용하기 위한 용매의 예로는 물이 있다. 일단 침착된 콜로이드상 실리카 용액 (A5)은 더 이상 다시 분산될 수 없으므로, 현탁 입자의 안정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예비코팅형 접착제 조성물의 볼트류에 대한 도포 방법이 하기에 기재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현탁액은 자동 코팅기 또는 브러쉬 코팅기로, 또는 현탁액으로 충전된 용기에 피착체를 침지시켜 볼트류의 나선형으로 맞물린 표면에 도포될 수 있다. 현탁액으로 코팅된 피착체는 상온에 방치되거나, 또는 가열 용광로에서 처리되어 현탁액 중의 수분의 증발제거를 일으켜 볼트의 나선형으로 맞물린 부분 상에 외관상 건조된 코팅을 형성시킨다.
그 후, 나선형으로 맞물린 부분 상에 외관상 건조된 코팅을 갖는 볼트를 너트류에 조임으로써 파열된 마이크로캡슐 (B)로부터 유출된 중합 개시제 및, 수성 결합제 (A4)로부터 스며나온 중합가능한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화합물 (A2)은 중합 촉진제 (A1)에 의해 급속도로 중합이 진행되고, 경화되므로 너트에 볼트가 고정된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기재될 것이나, 그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비교예 1 내지 3이 기재될 것이다.
<비교예 1>
예비코팅형 접착제 조성물을 하기 성분 및 그의 비율로 제조하였다.
성분 (A1):
디메틸-p-톨루이딘 0.2 중량부
성분 (A2):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50 중량부
(BPE-4, Shin-nakamura Chemical Co., Ltd.로부터 입수 가능)
성분 (A4):
수용성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결합제 10 중량부
(Cogum HW-7, Showa Highpolymer Co., Ltd.로부터 입수 가능)
성분 (B):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캡슐: 3 중량부
(마이크로캡슐: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로 만들어진 벽을 갖고; BPO 70 중량%를 포함)
(i) 상기 성분 (A1) 및 (A2)의 혼합 용액 X를 제조하였다.
(ⅱ) 이어서, 상기 성분 (A4) 및 수용성 폴리아세탈 (KW-10, Sekisui Chemical Co., Ltd.로부터 입수 가능) 10 중량부를, 물 30 중량부와 혼합하여 그에 용해시켜 수용액 Y를 제조하였다.
(ⅲ) 상기 성분 (B)를, 물 25 중량부 중에 첨가하고 분산시켜 수용액 Z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 X를 교반시키면서 수용액 Y에 첨가하여 에멀젼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이 에멀젼 용액에 상기 제조된 수용액 Z를 교반시키면서 첨가하여 예비코팅형 접착제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비교 샘플 1).
<비교예 2>
예비코팅형 접착제 조성물을 하기 성분 및 그의 비율로 제조하였다.
성분 (A1):
2-히드록시에틸-p-톨루이딘 0.2 중량부
성분 (A2):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50 중량부
(BPE-200, Shinnakamura Chemical Co., Ltd.로부터 입수 가능)
성분 (A4):
수용성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결합제 10 중량부
(HW-7, Showa Highpolymer Co., Ltd.로부터 입수 가능)
성분 (B):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캡슐: 3 중량부
(마이크로캡슐: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로 만들어진 벽을 갖고; BPO 70 중량%를 포함)
(i) 상기 성분 (A1) 및 (A2)의 혼합 용액 X를 제조하였다.
(ⅱ) 상기 성분 (A4)을, 물 30 중량부와 혼합하여 그에 용해시켜 수용액 Y를 제조하였다.
(ⅲ) 상기 성분 (B)를, 물 25 중량부 중에 첨가하고 분산시켜 수용액 Z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 X를 교반시키면서 수용액 Y에 첨가하여 에멀젼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이 에멀젼 용액에 상기 제조된 수용액 Z를 교반시키면서 첨가하여 예비코팅형 접착제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비교 샘플 2).
<비교예 3>
예비코팅형 접착제 조성물을 하기 성분 및 그의 비율로 제조하였다.
성분 (A1):
2-히드록시에틸-p-톨루이딘 0.2 중량부
성분 (A2):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50 중량부
(BPE-200, Shinnakamura Chemical Co., Ltd.로부터 입수 가능)
성분 (A4):
수용성 알긴산나트륨 결합제 10 중량부
(20% 수용액)
성분 (B):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캡슐: 3 중량부
(마이크로캡슐: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로 만들어진 벽을 갖고; BPO 70 중량%를 포함)
기타:
접착성 공여 수성 결합제 10 중량부
(Gosenol GM-14, Nippon Synthetic Chemical Industry Co., Ltd.로부터 입수 가능; 4% 수용액)
(i) 상기 성분 (A1) 및 (A2)의 혼합 용액 X를 제조하였다.
(ⅱ) 상기 성분 (A4) 및 상기 접착성 공여 수성 결합제를, 물 30 중량부와 혼합하여 그에 용해시켜 수용액 Y를 제조하였다.
(ⅲ) 상기 성분 (B)를, 물 25 중량부 중에 첨가하고 분산시켜 수용액 Z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 X를 교반시키면서 수용액 Y에 첨가하여 에멀젼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이 에멀젼 용액에 상기 제조된 수용액 Z를 교반시키면서 첨가하여 예비코팅형 접착제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비교 샘플 3).
이어서,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조성물 (비교 샘플 1 내지 3) 각각을 크롬산아연 도금된 강철 볼트 (10 mm의 M (직경), 1.5 mm의 P (피치), 25 mm의 L (유효 나선 길이))의 나삿니 부분에 나삿니의 위로부터 22 내지 24 mm의 코팅 너비로 도포시킨 후, 이어서 80 ℃의 온도에서 20 분 동안 건조시켜 예비코팅된 볼트 (비교 샘플 1 내지 3)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1>
예비코팅형 접착제 조성물을 하기 성분 및 그의 비율로 제조하였다.
성분 (A1):
디메틸-p-톨루이딘 0.2 중량부
성분 (A2):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50 중량부
(BPE-4, Shinnakamura Chemical Co., Ltd.로부터 입수 가능)
성분 (A3):
메타크릴레이트 산 인산염 3 중량부
(JPA-514, Johoku Chemical Co., Ltd.로부터 입수 가능)
성분 (A4):
수용성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결합제 10 중량부
(Cogum HW-7, Showa Highpolymer Co., Ltd.로부터 입수 가능)
성분 (B):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캡슐: 3 중량부
(마이크로캡슐: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로 만들어진 벽을 갖고; BPO 70 중량%를 포함)
(i) 상기 성분 (A1), (A2) 및 (A3)의 혼합 용액 X'를 제조하였다.
(ⅱ) 상기 성분 (A4) 및, 수용성 폴리아세탈 (KW-10, Sekisui Chemical Co., Ltd.로부터 입수 가능) 10 중량부를, 물 30 중량부와 혼합하여 그에 용해시켜 수용액 Y를 제조하였다.
(ⅲ) 상기 성분 (B)를, 물 25 중량부 중에 첨가하고 분산시켜 수용액 Z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 X'를 교반시키면서 수용액 Y에 서서히 첨가하여 에멀젼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이 에멀젼 용액에 상기 제조된 수용액 Z를 교반시키면서 첨가하여 예비코팅형 접착제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샘플 1).
<실시예 2>
예비코팅형 접착제 조성물을 하기 성분 및 그의 비율로 제조하였다.
성분 (A1):
2-히드록시에틸-p-톨루이딘 0.2 중량부
성분 (A2):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50 중량부
(BPE-200, Shinnakamura Chemical Co., Ltd.로부터 입수 가능)
성분 (A3):
말레산 무수물 1 중량부
성분 (A4):
수용성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결합제 10 중량부
(HW-7, Showa Highpolymer Co., Ltd.로부터 입수 가능)
성분 (B):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캡슐: 3 중량부
(마이크로캡슐: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로 만들어진 벽을 갖고; BPO 70 중량%를 포함)
콜로이드상 실리카:
(Adelite AT-300, Asahi Denka Kogyo K.K.로부터 입수 가능) 10 중량부
(i) 상기 성분 (A1), (A2) 및 (A3)의 혼합 용액 X'를 제조하였다.
(ⅱ) 상기 성분 (A4)를, 물 30 중량부와 혼합하여 그에 용해시켜 수용액 Y를 제조하였다.
(ⅲ) 상기 성분 (B)를, 물 25 중량부 중에 첨가하고 분산시켜 수용액 Z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 X'를 교반시키면서 수용액 Y에 서서히 첨가하여 에멀젼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이 에멀젼 용액에 상기 제시된 콜로이드상 실리카 10 중량부를 교반시키면서 첨가하였다. 이어서 생성된 혼합물에 상기 제조된 수 용액 Z를 교반시키면서 첨가하여 예비코팅형 접착제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샘플 2).
<실시예 3>
예비코팅형 접착제 조성물을 하기 성분 및 그의 비율로 제조하였다.
성분 (A1):
2-히드록시에틸-p-톨루이딘 0.2 중량부
성분 (A2):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50 중량부
(BPE-200, Shinnakamura Chemical Co., Ltd.로부터 입수 가능)
성분 (A3):
메타크릴레이트 인산염 산 1 중량부
(Kayamer PM-1, Nippon Kayaku Co., Ltd.로부터 입수 가능)
성분 (A4):
수용성 알긴산나트륨 결합제 10 중량부
(20% 수용액)
성분 (B):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캡슐: 3 중량부
(마이크로캡슐: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로 만들어진 벽을 갖고; BPO 70 중량%를 포함)
콜로이드상 실리카:
(Adelite AT-300, Asahi Denka Kogyo K.K.로부터 입수 가능) 10 중량부
(i) 상기 성분 (A1), (A2) 및 (A3)의 혼합 용액 X'를 제조하였다.
(ⅱ) 상기 성분 (A4)를, 물 30 중량부와 혼합하여 그에 용해시켜 수용액 Y를 제조하였다.
(ⅲ) 상기 성분 (B)를, 물 25 중량부 중에 첨가하고 분산시켜 수용액 Z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 X'를 교반시키면서 수용액 Y에 서서히 첨가하여 현탁액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이 현탁액에 상기 제시된 콜로이드상 실리카 10 중량부를 교반시키면서 첨가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에 상기 제조된 수용액 Z을 교반시키면서 첨가하여 예비코팅형 접착제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샘플 3).
이어서,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조성물 (실시예 1 내지 3) 각각을 크롬산아연 도금된 강철 볼트 (10 mm의 M (직경), 1.5 mm의 P (피치), 25 mm의 L (유효 나선 길이))의 나삿니 부분에 나삿니의 위로부터 22 내지 24 mm의 코팅 너비로 도포시킨 후, 이어서 80 ℃의 온도에서 20 분 동안 건조시켜 예비코팅된 볼트(비교 샘플 1 내지 3)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
비교예 1 내지 3 및, 실시예 1 내지 3에서 수득한 조성물 및 예비코팅된 볼트를 하기 특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휘발성분 함량(110℃, 2 시간) 45% -1) - 45% - -
점도 1(BL, 60rpm) 6,250 3,500 2,500 358 220 190
점도 2(BL, 6rpm) 7,600 4,800 3,000 420 240 210
틱소트로프 비율 (점도 1/ 점도 2의 비율) 1.22 1.37 1.20 1.17 1.09 1.10
파괴 토크2)(300kgf·cm로 조임, 24 시간 동안 경화) 375 390 350 370 380 360
주: 기호 "-"는 미측정되었음을 나타낸다. 2) 5회에 걸친 평균값
<비휘발성분 함량 및 점도 측정>
비교 샘플 1 내지 3 및, 샘플 1 내지 3을 비휘발성분 함량에 대해 평가하였고 (110 ℃, 2 시간), 그들의 구조적 점도율을 결정하기 위해 BL 점도계 (60 rpm 및 6 rpm)로 점도 (cps)를 측정하였다.
<토크 시험>
수득한 예비코팅된 볼트 각각을 너트에 맞추고, 300 kgf·cm으로 조여서 24 시간 동안 방치시키고, 풀어줄 때 파괴 토크를 측정하였다.
비교 샘플 1 및 샘플 1의 경우, 성분 (B)와 혼합하기 전에 각각의 조성물을 주사 전자 현미경사진으로 현탁액의 형성에 대해서, 유동계로 유동성 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주사 전자 현미경사진에 의한 현탁액 형성의 조사는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비교 샘플 1 및 샘플 1 각각을 정제수로 50배 희석하여 용액을 수득한 후, 이어서 즉시 냉동시켰다. 냉동된 용액을 금으로 금속화하고, 용액 상태에서 냉동된, 이와 같이 제조된 시험체의 SEM 사진을 촬영하여 현탁액의 상태를 관찰하였다.
<현탁액 형성>
비교 샘플 1이 수성 결합제의 표면 활성에 의해 오일 소적 주변에 거미집과 같이 분포된 냉동 수지 및, 오일 소적으로 분산된 모노머를 갖는다는 것을 관찰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샘플이 액체 에멀젼의 형태로 오일 소적 주변에 분포된 수지를 가진다는 것을 밝혀 내었다. 그 반면, 샘플 1은 오일 소적의 표면 상에 수난용화막으로 형성된 수성 결합제를 가졌다. 따라서, 고체로 작용하는 코아-쉘형 오일 소적이 형성되었다. 또한 오일 소적 주위에는 단지 물만 존재하였는데, 이것은 오일 소적은 현탁된 채로 충분히 유지된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이다. 이것은 건조 중에 물이 용이하게 증발 제거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유동계로 측정한 결과>
본 발명자들은 BL 점도계에 의해 측정 범위 이하로 낮아진 전단속도로 측정될 경우, 샘플 1은 그 자체가 점적되기에는 어려운 증가된 점도를 나타낸다를 것을 확인하였다. 코팅시키기에 최적인 1/10 내지 100초-1의 전단속도로 측정할 경우, 샘플 1은 피착체에 용이하게 도포될 수 있도록 저점도를 나타낸다. 피착체 상에 침지 코팅된 샘플은 그 자체가 점적되는 것이 방지될 정도로 고도의 고정 점도를 나타낸다. 그 반면, 비교 샘플 1을 샘플 1과 거의 동일한 점도로 조절하기 위해 물로 희석한 후, 이어서 유동계로 측정하였다. 그러나, 그 샘플은 감소된 전단속도에서도 상당한 고정 점도의 증가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이 샘플은 용이하게 점적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2에서 수득한 볼트를 방사기에 의해 형성된 코팅의 외관에 대해서 관찰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의 볼트는 충분한 두께로 그 표면 상에 형성된 균일한 평활한 코팅층을 가지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와 대조적으로, 비교예 1의 볼트는 고체 함량의 부족으로 인해 감소된 막 두께를 가지므로 코팅층 표면 상에 주름 발생을 일으킨다.
본 발명에 따라서, 액체 매질 중에 분산된 고체 물질을 가지는 현탁액계를 사용하면 침지 코팅에 적합한 고도의 비휘발성분 함량 및 감소된 점도를 가지는 예비코팅형 접착제를 수득할 수 있다. 이러한 현탁액계의 사용은 피착체에 도포된 후 건조 중에 증진된 내부 건조 능력을 나타내는 예비코팅형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건조된 후에, 이와 같이 수득된 예비코팅된 나삿니 고정 나사류는 장기간에 걸쳐 보관될 수 있다.
또한 현탁액계를 사용하면, 에멀젼계와 비교해 볼 때, 보다 높은 비휘발성분 함량의 접착제 조성물이 제공되는 반면, 그의 점도는 보다 낮은 값으로 억제될 수 있다. 그의 유동성 때문에, 현탁액은 저점도를 가지므로, 침지 방법에 의해 피착체에 용이하게 도포될 수 있다. 피착체가 현탁액으로부터 제거되는 경우, 현탁액은 점적시키기에 어려울 수 있다. 또한 현탁액계를 사용하면, 표면 건조를 억제시키고, 내부 건조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코팅층은 외형의 손상없이 나사의 골 모양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사용 전에, 일반적으로 성분 (A)를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캡슐 (B) 약 1 내지 5%와 혼합한다. 그에 따라서 제조된 접착제 조성물을 볼트에 도포시킨 후, 이어서, 건조시킨다. 그의 현탁액 형태 때문에, 접착제 조성물은 거의 점적될 수 없으므로 건조된 후에 향상된 외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에멀젼 입자는 명백하게 고체이며, 본래 용액 중에 용해된 수성 결합제는 에멀젼 입자의 표면 상에 층을 형성하기 때문에, 에멀젼 입자가 제거된 용액은 그 안에 수성 결합제를 함유하지 않는다. 따라서 물은 접착제 조성물의 내부로부터 용이하게 증발 제거될 수 있고, 접착제 조성물은 그의 표면에서 보다 덜 건조해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대량 생산에 적합한 우수한 건조 특성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접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코팅층은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가 건조된 후일지라도 다소 단리된 상태이다. 따라서, 볼트류에 도포된 조성물은 매우 높은 안정성을 가지므로, 장기간에 걸친 예비코팅된 볼트의 보관을 가능케 한다.
상기와 같이, 액체 상태의 현탁액으로의 전환은 증가된 농도 및 감소된 점도를 갖는 접착제 조성물의 제공을 가능케 한다. 이것은 접착제 조성물의 침지 코팅 특성을 향상시키고, 향상된 외형을 갖는 건조층을 제공한다. 따라서, 제조된 접착제 조성물은 향상된 건조 능력 및 생산성을 나타낸다. 또한 수난용화층을 형성시킴으로써, 유화 입자는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현탁액계에서도 장기간에 걸쳐 보관될 수 있는 액체 상태로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그의 특정 실시예를 인용하여 상세히 기재된 반면, 그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들에게 분명해질 것이다.

Claims (16)

  1. (A) (A1) 1종 이상의 중합 촉진제;
    (A2) 그의 말단 또는 그의 측쇄에 하나 이상의 중합가능한 이중 결합을 갖는 1종 이상의 화합물;
    (A3) 물에 용해된 후 산성이 되는 1종 이상의 산성 물질; 및
    (A4) 유화 능력을 갖고, 상기 산성 물질 (A3)에 의해 물에 난용화되는 수성 결합제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현탁액; 및,
    (B) 1종 이상의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캡슐로 이루어진, 나사류의 예비코팅용 접착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 (A2)이 10 중량% 이하의 수용해도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접착제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10 중량% 이하의 수용해도를 갖는 상기 화합물이 비스페놀 A형 (메트)아크릴레이트인 접착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성 물질 (A3)이 (메트)아크릴레이트 산 인산염을 포함하는 것인 접착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성 물질 (A3)이
    (a) 그 분자에서 말단이 카르복실기이고, 중합가능한 이중 결합을 갖는 지방족 카르복실산;
    (b) 그 분자에서 말단이 카르복실기이고, 중합가능한 이중 결합을 갖는 방향족 카르복실산; 및,
    (c) 카르복실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접착제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 결합제 (A4)가 알칼리 염 침지에 의해 물에 가용화되는 결합제를 포함하는 것인 접착제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 결합제 (A4)가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수지 또는 알긴산 나트륨 수지인 접착제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 촉진제 (A1)이 3차 아민을 포함하는 것인 접착제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 촉진제 (A1)이 변성된 디메틸-p-톨루이딘을 포함하는 것인 접착제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캡슐 (B)의 벽이 내수성 멜라민 수지를 포함하는 것인 접착제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캡슐 (B)에 포함된 중합 개시제가 고체 디아실 퍼록시드를 포함하는 것인 접착제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탁액 (A)이 50 내지 500 cps의 점도 및, 40 내지 60 중량%의 비휘발성분 함량을 가지는 접착제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탁액 (A)을 구성하는 혼합물이 콜로이드상 실리카 용액 (A5)을 더 포함하는 것인 접착제 조성물.
  14. (a) (A1) 1종 이상의 중합 촉진제;
    (A2) 그의 말단 또는 그의 측쇄에 하나 이상의 중합가능한 이중 결합을 갖는 1종 이상의 화합물; 및
    (A3) 물에 용해된 후 산성이 되는 1종 이상의 산성 물질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b) (a) 단계에서 제조된 상기 혼합물을, 유화를 수행하기 위해 교반시키면서, 유화 능력을 갖고 산성 물질 (A3)에 의해 물에 난용화되는 수성 결합제 (A4)와 혼합하므로써 각각 그 표면에 형성된 수난용화층을 갖는 유화된 입자를 포함하는 현탁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현탁액을 1종 이상의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캡슐과 혼합하여 접착제 조성물을 수득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나사류를 예비코팅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접착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콜로이드상 실리카 용액 (A5)을 (b) 단계에서 제조된 상기 현탁액에 첨가하여 그것과 함께 상기 수난용화층 표면을 코팅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조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 결합제 (A3)의 수난용화가 상기 산성 물질 (A3)과의 이온 교환에 의해 일어나는 제조 방법.
KR10-1998-0014938A 1998-04-27 1998-04-27 예비코팅형접착제조성물 KR100497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4938A KR100497457B1 (ko) 1998-04-27 1998-04-27 예비코팅형접착제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4938A KR100497457B1 (ko) 1998-04-27 1998-04-27 예비코팅형접착제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1150A true KR19990081150A (ko) 1999-11-15
KR100497457B1 KR100497457B1 (ko) 2005-12-21

Family

ID=43670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4938A KR100497457B1 (ko) 1998-04-27 1998-04-27 예비코팅형접착제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745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7457B1 (ko) 2005-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52198B1 (en) Precoating type adhesive composition
US4293458A (en) 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ion materials for pretreating paper
CA1180843A (en) Preapplied plastic film adhesive composition including a polymerizable monomer and an anhydride containing polymeric binder
EP3050903B1 (en) Microcapsule type curable resin composition
US3896077A (en) Underwater adhesive
IE43277B1 (en) Process for treating absorbent substrates
EP1268698B1 (de) Montageklebstoff auf der basis einer wässrigen polymer-dispersion
US7456233B2 (en) Adhesive composition
US5258479A (en) Self-adhesive acrylate copolymers, a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self-adhesive webs, which contain them
US4285755A (en) Adhesive composition and method
KR100497457B1 (ko) 예비코팅형접착제조성물
CN113840852A (zh) 可厌氧固化的组合物
DE2307252B2 (de) Verfahren zum Überziehen von zylindrischen Gegenständen mit einer Überzugsmasse und einem Verfestigungsmittel
JPH07331187A (ja) ねじ部材の緩み止め用接着剤組成物
CN1054391C (zh) 一种可预涂厌氧胶的组成
DE69820592T2 (de) Klebstoff Zusammensetzung zur Grundierung
JPH011780A (ja) 接着剤の製造法
JPH01108284A (ja) 重合性封着組成物
JPH05321920A (ja) セルフロッキング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119713B2 (ko)
WO2000001767A1 (en) Pre-applied threadlocker/threadsealant with improved shelf-life
JPS59159868A (ja) 再剥離性粘着剤組成物
JPH011779A (ja) 接着剤組成物
DE2436152A1 (de) Verfahren zur erzeugung einer reibung zwischen werkstuecken mit glatter oberflaeche
JPH0812919A (ja) 電磁鋼板用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