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1097A - 내마모성 및 회전저항이 개선된 트럭/버스용 타이어트레드 고무조성물 - Google Patents

내마모성 및 회전저항이 개선된 트럭/버스용 타이어트레드 고무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1097A
KR19990081097A KR1019980014825A KR19980014825A KR19990081097A KR 19990081097 A KR19990081097 A KR 19990081097A KR 1019980014825 A KR1019980014825 A KR 1019980014825A KR 19980014825 A KR19980014825 A KR 19980014825A KR 19990081097 A KR19990081097 A KR 199900810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black
rubber composition
resistance
improved
tire t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4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
Original Assignee
신형인
금호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형인, 금호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형인
Priority to KR1019980014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81097A/ko
Publication of KR19990081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1097A/ko

Links

Landscapes

  • Tires In General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마모성 및 회전저항이 개선된 트럭/버스용 타이어트레드 고무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카본블랙에 비해 표면화학특성(Surface Functional Group)이 우수하고 입자경과 응집체의 크기가 크고 응집체의 분포가 넓은 카본블랙을 사용하여 고무보강성을 향상시켜 내마모성 증가와 회전저항 및 컷앤칩 성능까지 개선할 수 있는 트럭/버스용 타이어트레드 고무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된 카본블랙의 특성은 요오드흡착가가 60∼80mg/g, 질소흡착 비표면적 60∼80m2/g, 디부틸프탈레이트 흡수가 120∼140cc/100g, 착색도 90∼110% 이며, 응집체특성으로는 원심침강 분리법에 의한 최대빈도경(Dst)이 0.9∼0.15㎛, 최대빈도경의 반치폭의 값(ΔD50)이 0.060∼0.068㎛ 이며, 응집체의 분포가 0.03∼0.45㎛ 특성을 갖는 카본블랙이다. 기존에 비해 분산특성 및 가황특성은 유사하나 고무보강성 향상으로 300% 모듈러스가 향상되어 내마모특성이 대폭적으로 개선되고 고무와의 상호작용 증진으로 반발 및 발열특성이 현저히 개선되었다. 또한 회전저항특성 지표인 60℃ Tanδ 값이 30% 개선되며, 컷앤칩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내마모성 및 회전저항이 개선된 트럭/버스용 타이어트레드 고무조성물
본 발명은 내마모성 및 회전저항이 개선된 트럭/버스용 타이어트레드 고무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카본블랙에 비해 표면화학특성(Surface Functional Group)이 우수하고 입자경과 응집체의 크기가 크고 응집체의 분포가 넓은 카본블랙을 사용하여 고무보강성을 향상시켜 내마모성 증가와 회전저항 및 컷앤칩 성능까지 개선할 수 있는 트럭/버스용 타이어트레드 고무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타이어의 회전저항을 개선하기 위해 입자경이 작은 카본블랙을 소량 사용할 경우 내마모성이 하락하며, 다량 사용할 경우 내마모성 향상은 가능하나 회전저항 특성이 하락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카본블랙의 분산특성 및 공정성에 문제점도 유발한다.
본 발명에서는 타이어의 내마모성 및 회전저항을 개선하기 위해 기존 카본블랙 대비 표면화학특성(Surface Functional Croup)이 우수하고 입자경이 클 뿐만 아니라 응집체 크기 및 분포(Aggregate Size Distribution)가 크고 넓은 카본블랙을 사용하여 기존보다 내마모성 및 컷앤칩 특성 개선은 물론 반발탄성, 발열특성 및 60℃ Tanδ값이 현저히 개선되는 트럭 및 버스용 타이어트레드 고무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카본블랙의 특성은 요오드흡착가가 60∼80mg/g, 질소흡착 비표면적이 60∼80m2/g, 디부틸프탈레이트(Dibutylphthalate) 흡수가 120∼140cc/100g, 흑색도 90∼110% 이며, 응집체특성으로는 원심침강 분리법에 의한 최대빈도경(Dst)이 0.9∼0.15㎛, 최대빈도경의 반치폭의 값(ΔD50)이 0.060∼0.068㎛ 이며, 응집체의 분포가 0.03∼0.45㎛를 특성으로 갖는 카본블랙이다.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 비교예 >
고무조성물은 천연고무 100 중량부, 착해제 0.1 중량부, 활성제 8.0 중량부, 노방제 3.5 중량부, 카본블랙 53.0 중량부, 공정오일 5.0 중량부, 지연제 0.1 중량부, 가류제 1.7 중량부, 촉진제 0.65 중량부를 배합하여 고무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에 1 >
비교예의 조성물에서 카본블랙을 56.0 중량부로 바꾼 고무조성물을 얻었다.
< 실시예 2 >
비교예의 조성물에서 카본블랙을 59.0 중량부로 바꾼 고무조성물을 얻었다.
< 실시예 3 >
비교예의 조성물에서 카본블랙을 62.0 중량부로 바꾼 고무조성물을 얻었다.
구체적인 고무조성물의 배합비는 표 1과 같다.
표 1. 고무조성물 성분
( 단위: 중량부 )
항 목 비교예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천연고무 100 100 100 100
착 해 제 0.1 0.1 0.1 0.1
활 성 제 8.0 8.0 8.0 8.0
노 방 제 3.5 3.5 3.5 3.5
카본블랙 53.0 56.0 59.0 62.0
공정오일 5.0 5.0 5.0 5.0
지 연 제 0.1 0.1 0.1 0.1
가 류 제 1.7 1.7 1.7 1.7
촉 진 제 0.65 0.65 0.65 0.65
<시험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얻은 고무조성물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험한 결과를 표2에 나타냈다.
표 2. 가류고무특성
가류조건: 145℃, 30분
본 발명은 분산특성 및 가황특성이 기존 카본블랙과 유사한 수준을 나타내며 고무보강성 향상으로 300% 모듈러스가 향상되어 내마모특성이 대폭적으로 개선되고 고무와의 상호작용 증진으로 동적특성중 반발특성 및 발열특성이 현저히 개선되었다. 고무조성물의 회전저항특성 지표인 60℃ Tanδ 값이 기존보다 30% 개선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트럭 및 버스용 타이어드레드의 컷앤칩 특성을 기존대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고무조성물이다.

Claims (3)

  1. 천연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요오드흡착가가 60∼80(mg/g), 질소흡착 비표면적이 60∼80(m2/g), 디부칠프탈레이트 (Dibutylphthalate) 흡수량이 120∼140 (cc/100g), 착색도 90∼110%인 카본블랙을 50∼65 중량부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버스용 타이어트레드 고무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카본블랙은 요오드흡착가/질소흡착 비표면적의 비가 1.0∼1.2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버스용 타이어트레드 고무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카본블랙의 응집체 특성은 원심침강 분리법에 의한 최대빈도경(Dst)이 0.09∼0.15㎛, 최대빈도경의 반치폭의 값(ΔD50)이 0.060∼0.068㎛이며, 응집체의 분포가 0.03∼0.45㎛인 카본블랙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버스용 타이어트레드 고무조성물.
KR1019980014825A 1998-04-25 1998-04-25 내마모성 및 회전저항이 개선된 트럭/버스용 타이어트레드 고무조성물 KR199900810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4825A KR19990081097A (ko) 1998-04-25 1998-04-25 내마모성 및 회전저항이 개선된 트럭/버스용 타이어트레드 고무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4825A KR19990081097A (ko) 1998-04-25 1998-04-25 내마모성 및 회전저항이 개선된 트럭/버스용 타이어트레드 고무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1097A true KR19990081097A (ko) 1999-11-15

Family

ID=65890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4825A KR19990081097A (ko) 1998-04-25 1998-04-25 내마모성 및 회전저항이 개선된 트럭/버스용 타이어트레드 고무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8109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7295B1 (ko) * 2000-11-15 2003-06-12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저연비성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7295B1 (ko) * 2000-11-15 2003-06-12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저연비성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832804B2 (ja) ゴム組成物
JP4278212B2 (ja) 重荷重用タイヤ又はその更生タイヤ用のトレッドゴム組成物
JP3183934B2 (ja) タイヤ用ゴム組成物
JP3992814B2 (ja) 重荷重用空気入りタイヤ
JP3038501B2 (ja) ラジアルタイヤ
KR19990081097A (ko) 내마모성 및 회전저항이 개선된 트럭/버스용 타이어트레드 고무조성물
JPH1160816A (ja) タイヤトレッド用ゴム組成物
JP4472793B2 (ja) タイヤトレッド用ゴム組成物
KR19990084685A (ko) 회전저항이 개선된 트럭/버스용 타이어 트레드 고무조성물
KR101111576B1 (ko) 개질전분을 포함하는 타이어 트레드 고무조성물
KR100234478B1 (ko) 내마모성이 개선된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조성물
KR100553994B1 (ko) 트럭 버스용 타이어 트레드 고무 조성물
KR100303889B1 (ko)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KR100512132B1 (ko) 실리카로 보강된 타이어용 트레드 고무 조성물
KR100198251B1 (ko) 트럭 및 버스용 타이어 트래드용 고무조성물
KR100776769B1 (ko) 승용차용 타이어 트레드 고무 조성물
JP2662281B2 (ja) 大型タイヤトレッド用ゴム組成物
JPH0723435B2 (ja) 重荷重タイヤ用トレッドゴム組成物
KR100510704B1 (ko)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조성물
JP2000230079A (ja) トレッドゴム組成物
KR19990079685A (ko) 내마모성이 개선된 트럭.버스용 타이어트래드 고무조성물
EP1466942B1 (en) Rubber composition for tire tread
JP2875003B2 (ja) ゴム組成物
KR20050075984A (ko) 공정성이 개선된 타이어 트레드용 실리카 고무 조성물
KR100533266B1 (ko)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