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9546A - 진공 저장고 - Google Patents

진공 저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9546A
KR19990079546A KR1019980012188A KR19980012188A KR19990079546A KR 19990079546 A KR19990079546 A KR 19990079546A KR 1019980012188 A KR1019980012188 A KR 1019980012188A KR 19980012188 A KR19980012188 A KR 19980012188A KR 19990079546 A KR19990079546 A KR 199900795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air
vacuum chamber
motor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2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기
Original Assignee
김홍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기 filed Critical 김홍기
Priority to KR1019980012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79546A/ko
Publication of KR19990079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9546A/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과일이나 야채와 같은 농산물을 저온으로 보관하기 위한 저온창고나 저장고 등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어 농산물의 장기간에 걸쳐서 신선도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진공 저장고에 관한 것으로, 이 진공 저장고는 진공모터(30)의 작동에 따라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어 진공상태로 유지되는 진공실(11)과, 제 2라인(L2)을 통해서 외부의 공기를 진공실(11)로 공급하는 에어밸브(34)와, 이 에어밸브(34)의 작동에 따라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진공모터(30)쪽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32)와, 진공 스위치(22)에서 전달되는 동작신호 및 압력 게이지(20)로부터 전달되는 진공실(11)내부의 압력에 따라 진공모터(30)에 전기적인 신호를 보내 진공실(11)의 압력을 적절하게 제어하는 컨트롤러(36)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진공 저장고
본 발명은 진공 저장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과일이나 야채와 같은 농산물을 저온으로 보관하기 위한 저온창고 저장고 등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어 농산물의 장기간에 걸쳐서 신선도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진공 저장고에 관한 것이다.
과일이나 야채와 같은 농산물 및 육류와 같은 축산물은 상온에서 쉽게 산패되기 때문에 일정온도 이하로 보관하여야만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농산물 생산단지나 내형 농산물 직판장 등에는 냉장 저장고가 설치되어 있다. 특히, 선박을 이용하여 농산물을 해외로 수출하는 경우에는 컨테이너를 이용하게 되는데, 이 컨테이너의 내부를 저온으로 유지하여야만 농산물이 오랜 시간동안 신선하게 유지되어 제값을 받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저장고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형 냉장 저장고(1)에는 내부를 출입할 수 있는 도어(2, 4)가 힌지(6)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 도어(2, 4)에는 손잡이(8) 및 잠금장치 등이 부착되어 있다. 통상, 저장고(1)는 지하에 매설하여 차가운 땅속의 냉기를 이용하여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농산물이 신선하게 보존된다.
이러한 구성을 지닌 종래의 저장고는 어느 정도 농산물을 저온 보관할 수는 있으나 더운 여름철이나 오랜 기간동안 보관해야 하는 경우에는 저장고 내부의 농산물이 산패되어 맛이 변질되거나 제품의 경쟁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농산물의 보존기간을 연장하기 위해 냉방장치를 사용하여 저장고 내부에 냉기를 공급하는 경우도 있으나, 전기 에너지의 소모가 증대되며 보관비용의 상승을 초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본 발명은 저장고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어 농산물을 저온 보관함으로써, 오랜 시간이 지나도 신선도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제품의 유효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진공 저장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저장고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저장고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저장고의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진공실 12:도어
20:압력 게이지 22, 24:스위치
26:밀봉재 30:진공모터
32:체크밸브 34:에어밸브
36:컨트롤러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진공모터의 작동에 따라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어 진공상태로 유지되는 진공실과, 제 2라인을 통해서 외부의 공기를 진공실로 공급하는 에어밸브와, 이 에어밸브의 작동에 따라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진공모터 쪽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와, 진공 스위치에서 전달되는 동작신호 및 압력 게이지로부터 전달되는 진공실 내부의 압력에 따라 진공모터에 전기적인 신호를 보내 진공실의 압력을 적절하게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저장고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 저장고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저장고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저장고의 회로도이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 저장고(10)의 내부는 도 1에서 설명한 종래의 저장고와 마찬가지로 과일이나 야채와 같은 농산물 등을 냉장 보관하기 위한 진공실(11)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진공실(11)에는 출입을 위한 도어(12, 14)가 구비되어 있으며, 도어(12, 14)에는 손잡이(18) 및 잠금장치 등이 부착되어 있다. 진공 저장고의 일측에는 내부의 압력을 표시하는 압력 게이지(20)와, 수동으로 조작하는 2개의 스위치(22, 24)가 부착되어 있다.
이중에서 진공 스위치(22)는 진공실(11)내에 식품을 저장한 다음에 작동시키는 것으로서, 이 진공 스위치(22)를 누르게 되면 진공모터(도 3의 30)가 작동되면서 진공실(11)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게 된다. 또한, 에어 스위치(24)는 진공실(11)의 도어(12, 14)를 개방하기 위해 공기를 공급할 때에 사용하는 것으로, 에어 스위치(24)를 누르게 되면 에어 밸브(도 3의 34)가 개방되면서 외부의 공기가 진공실 내부로 공급됨으로써 손으로 도어(12, 14)를 열 수 있게 된다. 도어(12, 14)에는 이들 스위치(26, 28)이외에도 진공실(11)내부의 압력을 감지하여 지시하는 압력 게이지(20)가 설치되어 있다. 압력 게이지(20)에 의해 감지되는 진공실(11)내부의 압력신호는 도 3에 도시한 컨트롤러(36)로 전달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실(11)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본 발명에서는 진공모터(30)를 이용하는 구성을 채용하였다. 진공실(11)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기 위한 진공수단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면, 진공 스위치(22)의 조작에 따라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작동되어 진공실(11)내부를 진공으로 만드는 진공모터(30)와, 제 2라인(L2)을 통해서 외부의 공기를 진공실(11)로 공급하는 에어밸브(34)와, 진공 스위치(22)에서 전달되는 동작신호 및 압력 게이지(20)로부터 전달되는 진공실(11)내부의 압력에 따라 진공모터(30)에 전기적인 신호를 보내 진공실(11)의 압력을 적절하게 제어하는 컨트롤러(36)로 이루어져 있다.
진공모터(30)의 전방에는 냄새를 제거할 수 있는 탈취제를 설치함으로써, 진공실(11)내부의 청소시에 배출되는 악취를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에어밸브(34)로 유입되는 공기의 소음을 줄이기 위하여 제 2라인(L2)에 공명기(40)를 설치하였으며, 제 1라인(L1)상에는 에어밸브(34)의 작동에 따라 유입되는 공기가 진공모터(30)쪽으로 역류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체크밸브(32)를 설치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을 지닌 진공 저장고(11)를 이용하여 농산물을 장기간 보관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과일이나 야채와 같은 농산물을 장기간 보존하는 경우에는 먼저, 도어(12, 14)를 열고 진공실(11)내부에 이들 농산물 넣어둔다. 다음에 진공 스위치(22)를 누르게 되면, 컨트롤러(36)는 진공모터(30)와 에어밸브(34)에 출력신호를 보내 진공모터(30)를 동작시키는 한편, 에어밸브(34)를 닫아 외부 공기의 유입을 차단한다. 진공모터(30)의 작동에 따라 제 1라인( L1)을 통해 진공실(11)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부압이 형성되어 진공상태가 유지된다.
이 때, 진공실(11)내부의 부압은 압력 게이지(20)에 의해서 감지되며, 컨트롤러(36)는 이 압력 게이지(20)에서 전달되는 압력를 바탕으로 진공실(11)내의 압력이 소정값 이하가 되면 진공모터(30)로 전달되던 출력신호를 차단하여 모터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다음에, 진공실(11)내부에 보관되어 있는 식품을 꺼내기 위해 에어 스위치(24)를 누르게 되면, 컨트롤러(36)는 이 에어 스위치(24)로부터 전달되는 입력신호를 바탕으로 에어밸브(34)에 출력신호를 보낸다. 그에 따라 에어밸브(34)가 개방되면서 공명기(40)를 통과한 공기는 제 2라인(L2)을 경유하여 진공실(11)내부로 유입됨으로써, 진공실(11)내부는 대기압 상태가 되어 손으로 도어(12, 14)를 열 수 있게 된다. 이 때, 제 2라인(L2)상에는 체크밸브(32)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에어밸브(34)에 의해서 유입되는 공기가 진공모터(30)로 공급되는 것이 차단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진공실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기 위한 수단으로서 진공모터를 예시하였으나, 본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진공모터에 의해 진공펌프가 작동되어 진공이 생성되는 원리는 주지의 사실이므로 총괄적으로 진공모터로서 설명하였다. 또한, 이 진공모터 및 펌프에 체크밸브를 비롯하여 에어밸브와 공명기 및 압력게이지 등을 내장하여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저장고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었기 때문에, 농산물을 장기간에 걸쳐서 신선하게 보존할 수 있으며, 특히 우유나 육류와 같이 쉽게 변질되기 쉬운 제품의 경우에도 저온 보관이 가능하므로 산패로 인한 낭비를 막을 수 있다.

Claims (1)

  1. 진공모터(30)의 작동에 따라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어 진공상태로 유지되는 진공실(11)과,
    제 2라인(L2)을 통해서 외부의 공기를 상기 진공실(11)로 공급하는 에어밸브(34)와,
    상기 에어밸브(34)의 작동에 따라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진공모터(30)쪽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32)와,
    진공 스위치(22)에서 전달되는 동작신호 및 압력 게이지(20)로부터 전달되는 진공실(11)내부의 압력에 따라 상기 진공모터(30)에 전기적인 신호를 보내 진공실(11)의 압력을 적절하게 제어하는 컨트롤러(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저장고.
KR1019980012188A 1998-04-07 1998-04-07 진공 저장고 KR199900795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2188A KR19990079546A (ko) 1998-04-07 1998-04-07 진공 저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2188A KR19990079546A (ko) 1998-04-07 1998-04-07 진공 저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9546A true KR19990079546A (ko) 1999-11-05

Family

ID=65860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2188A KR19990079546A (ko) 1998-04-07 1998-04-07 진공 저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7954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2020B1 (ko) * 2002-05-15 2004-03-11 최병철 곡물 보관용 저온진공용기 시스템
KR102575376B1 (ko) * 2023-05-16 2023-09-06 권혁동 모듈형 진공 탱크구조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2020B1 (ko) * 2002-05-15 2004-03-11 최병철 곡물 보관용 저온진공용기 시스템
KR102575376B1 (ko) * 2023-05-16 2023-09-06 권혁동 모듈형 진공 탱크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48875A (en) Vacuum food storage system
US389885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soft serve products
KR101919888B1 (ko) 약진공 알고리즘에 의한 냉장고 야채실 신선보관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신선보관방법
CN105276907A (zh) 具有食品处理单元的家用制冷器具和运行该器具的方法
EP3132214B1 (en) Refrigerator
WO2007096698A1 (en) Modular type apparatus adapted to store in particular foodstuffs
KR20180024297A (ko) 냉장고
KR20020022837A (ko) 김치저장고의 야채실 히팅구조
KR19990079546A (ko) 진공 저장고
KR970009964B1 (ko) 음식물 보관용 진공실을 구비한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US10591198B2 (en) Refrigerator appliance and methods of operation
KR100290719B1 (ko) 진공냉장저장고
ITRN20070056A1 (it) Dispositivo di refrigerazione.
KR20100065499A (ko) 냉장고의 음식물 보관방법
KR100269459B1 (ko) 김치저장고의 구동제어방법
KR200223874Y1 (ko) 진공 냉장 저장고용 진공용기
CN219103428U (zh) 一种带有指纹锁和除味保鲜功能的冰柜
KR100305061B1 (ko) 김치저장고의 압축기 구동제어방법
KR200169837Y1 (ko) 김치저장고의 내기차단 장치
KR20020088486A (ko) 김치냉장고 겸용 쌀통 시스템
KR20040009210A (ko) 냉장고
KR200184848Y1 (ko) 진공 냉동 및 냉장고
KR0139240Y1 (ko) 쌀통이 장착된 냉장고
KR101293344B1 (ko) 식품저장고
KR100756713B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