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9210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9210A
KR20040009210A KR1020020043059A KR20020043059A KR20040009210A KR 20040009210 A KR20040009210 A KR 20040009210A KR 1020020043059 A KR1020020043059 A KR 1020020043059A KR 20020043059 A KR20020043059 A KR 20020043059A KR 20040009210 A KR20040009210 A KR 20040009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tank
storage
refrigerator
water supply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3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재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3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09210A/ko
Publication of KR20040009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9210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2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 A47L15/13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using sonic or ultrasonic wa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1Sliding do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저장실에 보관한 과일이나 야채 등을 취식 전에 손쉽게 세척할 수 있고, 과일이나 야채 등을 냉각조건이 다른 각각의 저장실에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따른 냉장고는, 내부에 냉각조건이 다른 복수의 저장실이 구획되도록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담수가 가능하도록 마련된 세척조와, 상기 세척조의 내부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초음파 진동기와, 상기 세척조의 배수를 위해 상기 본체에 매설되는 배수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과일이나 야채 등을 씻을 수 있는 세척장치를 구비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음식물, 식료품, 과일, 야채 등을 장기간 신선도를 유지한 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저장물을 저온 상태로 보관하기 위한 저장실과, 저장실의 내부로 냉기를 공급하는 냉각수단을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냉장고의 저장실 내에는 저장물의 다단적재가 가능하도록 복수의 선반이 마련되어 있다. 이는 저장실의 적재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사용자가 각 저장물의 특성을 고려하여 각 저장물의 저장조건에 맞도록 육류, 야채, 식음료 등으로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는 종류가 다른 저장물을 다소 냉각조건이 다른 각 선반에 구분하여 저장할 수는 있지만, 결국 하나의 저장실 내에 특성이 다른 여러 저장물을 함께 저장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각 저장물의 저장조건을 모두 만족시킬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육류 등의 저장조건에 맞도록 저장실의 온도를 낮출 경우에는 열대과일이나 야채 등이 과냉되기 때문에 이들이 손상되기 쉬은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저장실에 보관하는 저장물 중에 과일이나 야채 등은 저장실에 보관할 때 미리 세척해서 저장하거나, 아니면 저장실에 그냥 저장해 두었다가 추후 취식 전에 꺼내어 씻게 된다. 그런데 일반적인 가정에서 과일이나 야채를 씻기 위해서는 과일이나 야채를 개수대로 옮긴 후 세척해야 하기 때문에 세척작업이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장실에 보관한 과일이나 야채 등을 취식 전에 손쉽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과일이나 야채 등을 종류별로 구분하여 냉각조건이 다른 각각의 저장실에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11,12,13: 저장실,
16,17,18: 서랍형 개폐장치,30: 세척장치,
31: 세척조,32: 초음파 진동기,
40: 급수구,41: 급수관,
42: 급수밸브,46: 수위감지센서,
50: 배수구,51: 배수관,
52: 배수밸브.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내부에 냉각 가능한 저장실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담수가 가능하도록 마련된 세척조와, 상기 세척조의 내부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초음파 진동기와, 상기 세척조의 배수를 위해 상기 본체에 매설되는 배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척조는 상기 본체의 상면으로부터 소정깊이 함몰되며 상부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수단은 상기 세척조의 하부에 형성된 배수구와 연결되며 상기 본체에 매설되는 배수관과, 상기 배수관을 개폐하도록 상기 배수관 중도에 설치되는 배수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세척조의 내부로 급수가 가능하도록 상기 세척조에 형성되는 급수구와 연결되며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매설되는 급수관과, 상기 급수관을 개폐하도록 상기 급수관 중도에 설치되는 급수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세척조의 수위를 감지하도록 상기 세척조에 설치되는 수위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장실은 저장물을 종류별로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각기 냉각조건이 다른 복수의 저장공간으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과일이나 야채 등을 종류별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본체(10)의 내부에 상호 구획된 복수의 저장실(11,12,13)이 마련된다. 이때 본체(10)는 내부의 각 저장실(11,12,13)이 외부와 단열될 수 있도록 통상의 단열벽체로 이루어지고, 내부의 저장실(11,12,13)은 복수의 구획벽(14,15)을 통해 좌우 및 상하로 구획되며 전면이 개방된다. 그리고 각 저장실(11,12,13)에는 저장물의 수납을 위한 것으로 전방으로 인출이 가능한 선반(16a) 및 수납용기(17a,18a)와, 각 저장실(11,12,13)의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선반(16a) 및 수납용기(17a,18a)와 일체로 구성되는 도어(16b,17b,18b)를 갖춘 서랍형 개폐장치(16,17,18)가 설치된다.
또 각 저장실(11,12,13)의 외측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저장실의 냉각을 위한 것으로, 각 저장실(11,12,13) 주위를 순회하도록 매설된 냉매관형태의 증발기(19)가 설치되고, 본체(10) 하부의 기계실(20)에는 그 밖의 냉각장치의 구성으로 압축기(21), 응축기(미도시), 냉매팽창장치(미도시) 등이 설치된다. 이때 복수의 저장실(11,12,13)은 저장실 외면에 설치되는 증발기(19)의 용량을 조절(냉매관의 권선 수 조절)하거나, 각 저장실(11,12,13)의 증발기(19)로 공급되는 냉매 순환량을 조절하여 냉각조건이 서로 달라질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저장실 중에서 통상적인 야채의 보관을 위한 저장실(11)은 3~5??의 온도를 유지할 수있도록 하고, 여름야채나 열대과일의 보관을 위한 저장실(12)은 5~8??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건어물이나 쌀 등의 보관을 위한 저장실(13)은 4~6??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사용자가 저장물을 특성에 맞도록 구분하여 별도의 공간에 저장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각 저장물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사용자가 저장실(11,12,13)에 과일이나 야채를 저장하기 전에 또는 저장실(11,12,13)에 보관된 과일이나 야채를 취식하기 전에 손쉽게 씻을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상부의 세척장치(30)를 구비한다.
이 세척장치(30)는 세척수의 담수가 가능하도록 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세척조(31)와, 세척조(31)의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초음파 진동기(32), 세척조(31)의 급수와 배수를 위한 것으로 급수장치와 배수장치를 구비한다. 그리고 세척조(31)의 일측에는 이러한 세척장치(30)를 동작시키는 조작버튼(33)이 마련된다.
세척조(31)는 본체(1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깊이 함몰되는 세척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본체(10)의 상부의 단열벽체에 상부로부터 진입한 상태로 설치되며, 과일이나 야채를 그 내부로 진입시키거나 꺼내기 용이하도록 상부가 개방된다.
초음파 진동기(32)는 진동을 일으키는 진동자가 세척수에 노출된 상태가 되도록 세척조(31)의 바닥에 설치되며, 복수개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은 초음파 진동기(32)에 진동에 의해 세척수가 진동하도록 함으로써 세척조(31) 내의 야채나 과일이 세척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초음파 진동기(32)의 진동자와 과일 등의 세척물이 직접 접촉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는 세척조(31) 내부의 바닥에 그물형태의 지지부재(34)를 설치하는 것이 좋다.
급수장치는 세척조(31)의 측면에 형성된 급수구(40)와 연결되도록 본체(10)의 내부에 매설되는 급수관(41)과, 급수관(41)의 중도에서 급수관(41)을 개폐하는 급수밸브(42)로 구성된다. 이때 급수관(41)은 본체(10)의 상부와 후면부에 매설되며, 본체(10)의 외부로 노출되는 입구포트(43)가 외부급수관(44)을 통해 급수원과 연결된다. 그리고 세척조(31)의 상부 일측에는 세척조(31)의 급수량을 감지하여 급수밸브(42)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수위감지센서(46)가 설치된다.
배수장치는 세척 종료 후 세척조(31) 내부의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것으로, 세척조(31)의 하부에 형성된 배수구(50)와 연결된 상태로 본체(10)의 상부와 후면부에 매설되는 배수관(51)과, 이 배수관(51)을 개폐하도록 배수관(51)의 중도에 설치되는 배수밸브(52)로 구성된다.
다음은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동작 및 사용법을 설명한다.
야채나 과일 등을 저장 할 때는 저장물의 보관조건에 맞도록 각 저장실(11,12,13)에 구분하여 저장한다. 이렇게 하면 각 저장실(11,12,13)의 온도가 각 저장물(야채, 열대과일, 건어물 등)의 보관 조건에 맞도록 최적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각각의 저장물을 장기간 신선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저장실(11,12,13)에 보관된 과일이나 야채 등을 세척할 때는 과일이나 야채를 저장실로부터 꺼내어 본체(10) 상부의 세척조(31) 내에 투입하고, 상부의 조작버튼(33)을 조작하여 세척장치(30)를 동작시킨다. 이때 세척장치는 급수동작, 초음파 세척동작, 배수동작을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과일이나 야채의 세척을 수행한다.
급수동작은 급수관(41)의 중도에 설치된 급수밸브(42)가 열리면서 세척조(31) 내부로 세척수의 공급이 이루어지고, 수위감지센서(46)를 통해 적정량의 세척수가 공급된 것으로 감지되면 급수밸브(42)가 닫혀 세척수의 공급이 중지된다. 이때는 세척조(31) 내부에 세척수가 담수될 수 있도록 배수밸브(52)가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급수동작이 완료된 후에는 초음파 진동기(32)에 전원이 인가되면서 세척수의 발진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동작을 통해 과일이나 야채 표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 농약 등의 세척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소정시간 동안의 세척동작을 거친 후에는 배수밸브(52)가 열려 세척조(31) 내부의 물이 배수됨으로써 세척동작이 종료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에서 꺼낸 과일이나 야채를 상부의 세척장치를 이용해 곧 바로 세척해서 취식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초음파 진동기의 진동에 의해 과일이나 야채를 세척할 수 있기 때문에, 과일이나 채소 표면의 이물질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세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특성이 다른 여러 저장물을 냉각조건 다른 각각의 저장실에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각 저장물을 장기간 신선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내부에 냉각 가능한 저장실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담수가 가능하도록 마련된 세척조와, 상기 세척조의 내부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초음파 진동기와, 상기 세척조의 배수를 위해 상기 본체에 매설되는 배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는 상기 본체의 상면으로부터 소정깊이 함몰되며 상부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수단은 상기 세척조의 하부에 형성된 배수구와 연결되며 상기 본체에 매설되는 배수관과, 상기 배수관을 개폐하도록 상기 배수관 중도에 설치되는 배수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의 내부로 급수가 가능하도록 상기 세척조에 형성되는 급수구와 연결되며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매설되는 급수관과, 상기 급수관을 개폐하도록 상기 급수관 중도에 설치되는 급수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의 수위를 감지하도록 상기 세척조에 설치되는 수위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은 저장물을 종류별로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각기 냉각조건이 다른 복수의 저장공간으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020043059A 2002-07-22 2002-07-22 냉장고 KR200400092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3059A KR20040009210A (ko) 2002-07-22 2002-07-22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3059A KR20040009210A (ko) 2002-07-22 2002-07-22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9210A true KR20040009210A (ko) 2004-01-31

Family

ID=37318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3059A KR20040009210A (ko) 2002-07-22 2002-07-22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0921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400B1 (ko) * 2004-09-03 2007-02-0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증발기 유닛의 배수구조
KR100859461B1 (ko) * 2002-12-06 2008-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척실을 구비한 냉장고
KR100865276B1 (ko) * 2007-07-31 2008-10-29 (주)컴윈스 과일세척기를 겸비한 과일냉장고
CN105546909A (zh) * 2014-10-31 2016-05-04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冰箱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461B1 (ko) * 2002-12-06 2008-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척실을 구비한 냉장고
KR100678400B1 (ko) * 2004-09-03 2007-02-0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증발기 유닛의 배수구조
KR100865276B1 (ko) * 2007-07-31 2008-10-29 (주)컴윈스 과일세척기를 겸비한 과일냉장고
CN105546909A (zh) * 2014-10-31 2016-05-04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冰箱
CN105546909B (zh) * 2014-10-31 2017-12-29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冰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51549B2 (en) Refrigerator
KR100889821B1 (ko) 온도조절 챔버를 구비한 냉장고
US7059142B2 (en) Refrigerator having temperature controlled chamber
JP2019020075A (ja) 冷蔵庫
JP2008106993A (ja) 冷蔵庫
KR20040009210A (ko) 냉장고
KR100859461B1 (ko) 세척실을 구비한 냉장고
KR100498380B1 (ko) 온도전환실을 구비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 냉장고
KR0139501Y1 (ko) 다용도 식품 저장고
JP6326617B2 (ja) 冷蔵庫
US20030098635A1 (en) Refrigerator pan organizer
KR100918447B1 (ko) 냉장고의 송풍장치
KR101118722B1 (ko) 냉장고 야채실의 독립된 온도제어를 위한 야채실 구조
KR200348784Y1 (ko) 기계실이 상부에 형성된 생고기 숙성고
KR100884950B1 (ko) 온도전환실을 구비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 냉장고
WO2020136807A1 (ja) 冷蔵庫
KR19990018258U (ko) 냉장고용 야채박스의 구조
KR200158220Y1 (ko) 냉장고
KR100483069B1 (ko) 수납공간을 갖는 김치저장고
KR100704362B1 (ko) 김치저장고의 소음 저감장치
KR100845588B1 (ko) 곡물 보관 겸용 김치저장고
JP2002107033A (ja) 冷蔵庫
KR200381947Y1 (ko) 다용도 저장함이 구비된 김치냉장고
KR200183033Y1 (ko) 냉장고
JP2018096563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