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9430A - 냉매량 조절을 위한 바이패스부를 가지는 멀티에어컨 - Google Patents

냉매량 조절을 위한 바이패스부를 가지는 멀티에어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9430A
KR19990079430A KR1019980012050A KR19980012050A KR19990079430A KR 19990079430 A KR19990079430 A KR 19990079430A KR 1019980012050 A KR1019980012050 A KR 1019980012050A KR 19980012050 A KR19980012050 A KR 19980012050A KR 19990079430 A KR19990079430 A KR 199900794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compressor
pair
refrigerant
byp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2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4257B1 (ko
Inventor
박혁범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12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4257B1/ko
Priority to US09/148,495 priority patent/US6026654A/en
Priority to CN98119564A priority patent/CN1231401A/zh
Priority to ES009802093A priority patent/ES2147524B1/es
Priority to JP10329939A priority patent/JPH11294880A/ja
Priority to IT1998TO001041A priority patent/IT1303580B1/it
Publication of KR19990079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9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4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42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0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 for the subsequent treatment of primary air in the room units
    • F24F3/065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 for the subsequent treatment of primary air in the room units with a plurality of evaporators or 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326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refrigerant piping outside the heat exchanger within the unit ca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9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the layout or mutual arrangement of components, e.g. of compressors or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25B41/24Arrangement of shut-off valves for disconnecting a part of the refrigerant cycle, e.g. an outdoor p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5/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evaporator circuits, e.g. for varying refrigerating capacity
    • F25B5/0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evaporator circuits, e.g. for varying refrigerating capacity arranged in parall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06Several compression cycles arranged in parallel

Abstract

실외 열 교환기의 입구측과 압축기를 연결하는 바이패스 관과, 이 바이패스 관에 설치되며 각각의 실내 열 교환기에 연결된 한 쌍의 개폐 밸브 중 어느 하나가 닫힐 때 열리는 바이패스 밸브를 가지는 바이패스부가 설치된 멀티 에어컨이 개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한 쌍의 실내 열 교환기 중 어느 하나만이 작동되는 경우에는 작동되는 측의 개폐 밸브와 바이패스 밸브가 열리게 된다. 따라서, 압축기에서 압축되어 실외 열 교환기로 유입되는 냉매중 일부가 바이패스부를 통해 바이패스되어 다시 압축기로 유입되므로, 실내 열 교환기로 유입되는 냉매의 양이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냉매량 조절을 위한 바이패스부를 가지는 멀티 에어컨
본 발명은 하나의 압축기와 둘 이상의 실내 열 교환기가 연결된 멀티 에어컨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동일한 압축기에 연결된 다수의 실내 열 교환기들의 작동 상태에 따라 각각의 실내 열 교환기로 공급되는 냉매의 양이 항상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냉매량 조절을 위한 바이패스부를 가지는 멀티 에어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은 압축기와, 실외 열 교환기, 모세관, 및 실내 열 교환기로 이루어진 장치로서, 이들을 계속해서 순환하는 냉매의 열 교환 작용에 의해 실내의 온도를 원하는 수준으로 조절하게 된다.
최근에는 용량이 큰 하나의 압축기에 다수의 실내 열 교환기를 병렬로 연결하고, 각각의 실내 열 교환기를 각각 다른 실내에 설치하도록 된 멀티 에어컨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 에어컨의 일례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멀티 에어컨은 두 개의 압축기(11, 12)와, 하나의 실외 열 교환기(20) 및 세 개의 실내 열 교환기(51, 52)를 포함한다.
압축기는 독립측 압축기(11)와 멀티측 압축기(12)로 나누어져 있다.
실외측 열 교환기(20)는 독립측 압축기(11) 및 멀티측 압축기(12)에서 압축된 냉매가 각각 순환되는 독립측 순환 통로(21) 및 멀티측 순환 통로(22)를 가진다.
독립측 순환 통로(21)의 출구는 냉매 파이프(1)를 통해 독립측 실내 열 교환기(51)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 냉매 파이프(1)의 중간에는 이 냉매 파이프(1)를 통해 흐르는 냉매의 압력을 저하시키기 위한 모세관(31)이 설치되어 있다.
멀티측 순환 통로(22)의 출구와 연결된 냉매 파이프(2)는 그 중간에서 두 갈래로 갈라져 각각 한 쌍의 멀티측 실내 열 교환기(52)의 입구로 연결된다.
도면에서 참조 부호 2a로 지시된 냉매 파이프가 두 갈래로 갈라지기 전의 부분에 냉매의 압력을 저하시키기 위한 모세관(33)이 설치되며, 그 중간 일측에 유량 제어 밸브(43)가 설치된 유량 제어관(3)이 모세관(33)에 대하여 병렬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참조 부호 2b로 지시된 냉매 파이프(2)의 갈라진 부분에도 각각 모세관(32)이 설치되어 있고, 한 쌍의 개폐 밸브(42)가 각 모세관(32)에 대하여 직렬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독립측 실내 열교환기(51)의 출구는 독립측 압축기(11)의 입구와 연결되며, 멀티측 실내 열 교환기(52)의 각 출구는 멀티측 압축기(12)의 입구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되어, 독립측 압축기(11)에서 압축된 냉매는 실외 열 교환기(20)의 독립측 순환 통로(21)와, 모세관(31) 및 독립측 실내 열 교환기(51)를 거쳐 다시 독립측 압축기(11)로 유입되는 독립측 냉매 싸이클을 이룬다.
그리고, 멀티측 압축기(12)에서 압축된 냉매는 실외 열 교환기(20)의 멀티측 순환 통로(22)와, 모세관(32, 33), 및 멀티측 실내 열 교환기(52)를 거쳐 다시 멀티측 압축기(12)로 유입되는 멀티측 냉매 사이클을 이룬다.
이들 독립측 냉매 사이클과 멀티측 냉매 사이클은 그의 작동이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된다.
여기서, 한 쌍의 멀티측 실내 열 교환기(52)를 동시에 사용할 경우에는 유량 조절 밸브(43)는 잠긴 상태, 한 쌍의 개폐 밸브(42)는 열린 상태가 된다.
그리고, 유량 조절 밸브(43)를 열고 한 쌍의 개폐 밸브(42) 중 어느 하나를 잠그면, 한 쌍의 멀티측 실내 열 교환기(52) 중 어느 하나만을 사용하는 상태가 된다. 이때 유량 제어 밸브(43)는 냉매가 모세관(33)을 거치지 않고 흐르게 함으로써 실내 열 교환기(52)를 거쳐 다시 멀티측 압축기(12)로 유입되는 냉매의 양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멀티 에어컨은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었다.
즉, 멀티측 사이클에서 한 쌍의 실내 열 교환기(52) 중 어느 하나만을 작동시키는 경우, 유량 제어 밸브(43)를 여는 것에 의해 멀티측 압축기로 유입되는 냉매의 양은 일정하게 조절될 수 있으나, 작동되는 실내 열 교환기(52)로 유입되는 냉매의 양은 증가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실내 열 교환기(52)로 유입된 냉매가 충분히 증발되지 못하고, 액체 상태에서 압축기(12)로 유입됨으로써 압축기(12)의 작동에 이상이 발생될 우려가 높았다. 또한 많은 양의 냉매가 실내 열 교환기(52)로 유입됨으로써 냉매의 증발열에 의해 증발기가 동결되는 현상이 발생되기도 하였다.
본 발명은 멀티 에어컨에서 작동되는 실내 열 교환기의 수가 바뀌어도 실내 열교환기로 유입되는 냉매의 양이 항상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멀티 에어컨의 일례를 보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에어컨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102 ; 냉매 파이프 111 ; 독립측 압축기
112 ; 멀티측 압축기 120 ; 실외 열 교환기
121 ; 독립측 순환 통로 122 ; 멀티측 순환 통로
131, 132, 163 ; 모세관 142, 142' ; 개폐 밸브
151 ; 독립측 실내 열 교환기
152, 152' ; 멀티측 실내 열 교환기
161 ; 바이패스 관 162 ; 바이패스 밸브
상기와 같은 목적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냉매의 온도를 낮추는 실외 열 교환기와; 실외 열 교환기와 압축기의 사이에서 서로 병렬로 연결되는 한 쌍의 실내 열 교환기와; 실외 열 교환기와 한 쌍의 실내 열 교환기를 연결하는 각각의 냉매 파이프의 중간에 설치되는 한쌍의 모세관과; 실외 열교환기와 한 쌍의 실내 열 교환기를 연결하는 각각의 냉매 파이프에 설치되는 한 쌍의 개폐 밸브; 및 한 쌍의 개폐 밸브 중 어느 하나가 닫힐 때 실외 열 교환기의 입구로 유입되는 냉매의 일부를 압축기의 입구측으로 바이패스시키기 위한 바이패스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에어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바이패스부는 실외 열 교환기의 입구측과 압축기를 연결하는 바이패스 관과, 이 바이패스 관에 설치되며 한 쌍의 개폐 밸브 중 어느 하나가 닫힐 때 열리는 바이패스 밸브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이 바이패스 관의 일측에 이 바이배스 관을 통해 바이패스되는 냉매의 압력을 저하시키기 위한 모세관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되어, 한 쌍의 실내 열 교환기 중 어느 하나만이 작동되는 경우에는 작동되는 측의 개폐 밸브와 바이패스 밸브가 열리게 된다. 이에 따라 압축기에서 압축되어 실외 열 교환기로 유입되는 냉매중 일부가 바이패스부를 통해 바이패스되어 다시 압축기로 유입되므로, 실내 열 교환기로 유입되는 냉매의 양이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 에어컨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부호 120은 실외 열 교환기로서, 두 개의 냉매 순환 통로, 즉 독립측 순환 통로(121)와 멀티측 순환 통로(122)를 가진다.
독립측 순환 통로(121)의 입구는 독립측 압축기(111)와 연결되며, 그 출구는 독립측 실내 열 교환기(151)와 연결된다. 독립측 순환 통로(121)의 출구와 독립측 실내 열 교환기(151)를 연결하는 냉매 파이프(101)의 중간에는 모세관(131)이 설치된다. 그리고, 독립측 실내 열 교환기(151)의 출구는 독립측 압축기(111)의 입구와 연결된다.
한편, 멀티측 순환 통로(122)의 입구는 멀티측 압축기(112)와 연결된다. 그리고, 이 멀티측 순환 통로(122)의 입구에 가까운 일측과 멀티측 압축기(111)의 입구측을 연결하는 바이패스 관(161)이 설치되며, 이 바이패스 관(161)에 모세관(163)과 바이패스 밸브(162)가 설치되어 바이패스부를 이룬다.
또한, 멀티측 순환 통로(122)의 출구는 한 쌍의 멀티측 실내 열 교환기(152, 152')와 연결된다. 멀티측 순환 통로(122)의 출구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를 이송하는 냉매 파이프(102)는 그 중간이 두 갈래로 갈라져 각각의 멀티측 실내 열 교환기(152, 152')와 연결된다. 이 냉매 파이프(102)의 두 갈래로 갈라진 부분에는 모세관(132)과 개폐 밸브(142, 142')가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이 한 쌍의 멀티측 실내 열 교환기(152, 152')의 각 출구는 멀티측 압축기(112)의 입구와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에어컨은 독립측 사이클과 멀티측 사이클로 나누어져 각각 별도로 작동된다.
독립측 사이클은 냉매가 독립측 압축기(111)로부터 실외 열 교환기(120)의 독립측 순환 통로(121)과 모세관(131) 및 독립측 실내 열 교환기(151)를 거쳐 다시 독립측 압축기(111)로 유입된다.
그리고, 멀티측 사이클은 한 쌍의 개폐 밸브(142, 142')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한 쌍의 멀티측 실내 열 교환기(152, 152')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자.
우선 한 쌍의 멀티측 실내 열 교환기(152, 152')를 동시에 작동시킬 경우, 한 쌍의 개폐 밸브(142, 142')는 모두 열린 상태이다. 한 쌍의 개폐 밸브(142, 142')가 모두 열리면 바이패스 밸브(162)는 잠기게 된다.
이와 같이 되어, 멀티측 압축기(112)에서 압축된 냉매는 실외 열 교환기(120)의 멀티측 순환 통로(122)를 통과한다. 이때, 바이패스 밸브(162)는 잠긴 상태이므로 냉매는 바이패스 관(161)을 통해 멀티측 압축기(112)의 입구측으로 바이패스되지 않고 모두 멀티측 순환 통로(122)의 출구를 통해 유출된다. 멀티측 순환 통로(122)의 출구로부터 유출된 냉매는 냉매 파이프(102)를 따라 이송되면서 갈라지게 되고, 각각 모세관(132)을 통과하면서 압력이 저하된다. 각각의 모세관(132)을 통과한 냉매는 한 쌍의 실내측 열 교환기(152, 152')로 유입되어 열 교환된다. 각 실내 열 교환기(152, 152')로부터 유출된 냉매는 다시 하나로 합쳐져 멀티측 압축기(112)로 유입된다.
그리고, 한 개의 실내 열 교환기만(152')을 작동시킬 경우, 작동되지 않는 측의 실내 열 교환기(152)로 이어지는 냉매 파이프(102)에 설치된 개폐 밸브(142)는 잠기게 된다. 이때, 바이패스 밸브(162)는 열리게 된다.
이에 따라, 멀티측 압축기(112)에서 토출되어 실외 열 교환기(120)의 멀티측 순환 통로(122)로 유입되는 냉매는, 멀티측 순환 통로(122)의 출구로부터 이어진 냉매 파이프(102)를 따라 멀티측 실내 열 교환기(152')로 이송된다. 냉매는 개폐 밸브(142')가 열린 쪽으로만 흐르게 되고, 이 개폐 밸브(1422')가 설치된 냉매 파이프(102)에 연결된 멀티측 실내 열 교환기(152')로 유입된다.
이때, 바이패스 밸브(162)가 열린 상태이므로, 멀티측 순환 통로(122)로 유입되는 냉매의 일부는 바이패스 관(161)을 통해 다시 멀티측 압축기(112)의 입구측으로 바이패스된다. 바이패스 관(161)을 통해 바이패스되는 냉매는 모세관(163)을 통과하면서 압력이 저하된다. 이처럼 바이패스 관(161)의 일측에 모세관(163)을 설치하여 냉매의 압력을 저하시키는 것은, 고압의 냉매가 다시 압축기(112)로 유입되어 과압축되는 것을 방지하여, 결과적으로 많은 양의 냉매가 멀티측 사이클을 통해 순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실외 열 교환기의 멀티측 순환 통로로 유입되는 냉매의 일부가 바이패스 관을 통해 멀티측 압축기로 바이패스되는 것에 의해 압축기의 입구측으로 유입되는 냉매의 양도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음은 물론, 작동되는 멀티측 실내 열교환기로 유입되는 냉매의 양도 항상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쌍의 멀티측 실내 열 교환기 중 어느 하나만이 사용될 때 냉매의 일부가 실내 열 교환기로 유입되기 전에 바이패스부를 통해 다시 멀티측 압축기로 바이패스된다. 따라서, 압축기의 입구측으로 유입되는 냉매의 양 및 실내 열 교환기로 흐르는 냉매의 양이 항상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와 같이 실내 열 교환기로 과도한 양의 냉매가 유입되어 실내 열 교환기가 동결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냉매가 충분히 증발되지 못하여 액체 상태의 냉매가 압축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압축기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6)

  1.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냉매의 온도를 낮추는 실외 열 교환기;
    상기 실외 열 교환기와 상기 압축기의 사이에서 서로 병렬로 연결되는 한 쌍의 실내 열 교환기;
    상기 실외 열 교환기와 상기 한 쌍의 실내 열 교환기를 연결하는 각각의 냉매 파이프의 중간에 설치되는 한쌍의 모세관;
    상기 실외 열교환기와 상기 한 쌍의 실내 열 교환기를 연결하는 각각의 냉매 파이프에 설치되는 한 쌍의 개폐 밸브; 및
    상기 한 쌍의 개폐 밸브 중 어느 하나가 닫힐 때 상기 실외 열 교환기의 입구로 유입되는 냉매의 일부를 압축기의 입구측으로 바이패스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멀티 에어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수단은 상기 실외 열 교환기의 입구측과 상기 압축기를 연결하는 바이패스 관과, 상기 바이패스 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개폐 밸브 중 어느 하나가 닫힐 때 열리는 바이패스 밸브를 가지는 멀티 에어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수단은 상기 실외 열 교환기의 입구측과 상기 압축기를 연결하는 바이패스 관과, 상기 바이패스 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개폐 밸브 중 어느 하나가 닫힐 때 열리는 바이패스 밸브, 및 상기 바이패스 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바이패스 관을 통해 바이패스되는 냉매의 압력을 저하시키기 위한 모세관을 가지는 멀티 에어컨.
  4.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독립측 압축기와, 멀티측 압축기;
    상기 독립측 압축기 및 멀티측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순환되는 독립측 및 멀티측 순환 통로를 각각 가지는 실외 열 교환기;
    상기 실외 열 교환기의 독립측 순환 통로와, 독립측 압축기 사이에 위치되는 독립측 실내 열 교환기;
    상기 실외 열 교환기의 멀티측 순환 통로와, 멀티측 압축기 사이에 서로 병렬로 위치되는 한 쌍의 멀티측 실내 열 교환기;
    상기 실외 열 교환기와, 상기 독립측 및 한 쌍의 멀티측 실내 열 교환기를 연결하는 각각의 냉매 파이프의 중간에 설치되는 세 개의 모세관;
    상기 실외 열 교환기와, 상기 한 쌍의 멀티측 실내 열 교환기를 연결하는 각각의 냉매 파이프에 설치되는 한 쌍의 개폐 밸브; 및
    상기 한 쌍의 개폐 밸브 중 어느 하나가 닫힐 때 상기 실외 열 교환기의 멀티측 순환 통로의 입구로 유입되는 냉매의 일부를 멀티측 압축기의 입구측으로 바이패스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멀티 에어컨.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수단은 상기 실외 열 교환기의 멀티측 순환 통로의 입구측과 상기 멀티측 압축기를 연결하는 바이패스 관과, 상기 바이패스 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개폐 밸브 중 어느 하나가 닫힐 때 열리는 바이패스 밸브를 가지는 멀티 에어컨.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수단은 상기 실외 열 교환기의 멀티측 순환 통로의 입구측과 상기 멀티측 압축기를 연결하는 바이패스 관과, 상기 바이패스 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개폐 밸브 중 어느 하나가 닫힐 때 열리는 바이패스 밸브, 및 상기 바이패스 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바이패스 관을 통해 바이패스되는 냉매의 압력을 저하시키기 위한 모세관을 가지는 멀티 에어컨.
KR1019980012050A 1998-04-06 1998-04-06 냉매량 조절을 위한 바이패스 부를 가지는 멀티 에어컨 KR100274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2050A KR100274257B1 (ko) 1998-04-06 1998-04-06 냉매량 조절을 위한 바이패스 부를 가지는 멀티 에어컨
US09/148,495 US6026654A (en) 1998-04-06 1998-09-04 Multi-unit air conditioner having a by-pass section for adjusting a flow rate of refrigerant
CN98119564A CN1231401A (zh) 1998-04-06 1998-09-24 具有可调节致冷剂流速的旁路部分的多元空调器
ES009802093A ES2147524B1 (es) 1998-04-06 1998-10-08 Acondicionador de aire de tipo multiple que presenta una seccion de derivacion para ajustar el caudal de refrigerante.
JP10329939A JPH11294880A (ja) 1998-04-06 1998-11-19 冷媒流量制御用バイパス部を有するマルチエアコン
IT1998TO001041A IT1303580B1 (it) 1998-04-06 1998-12-11 Condizionatore d'aria a piu' unita' avente una sezione di bypass perregolare la portata di refrigeran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2050A KR100274257B1 (ko) 1998-04-06 1998-04-06 냉매량 조절을 위한 바이패스 부를 가지는 멀티 에어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9430A true KR19990079430A (ko) 1999-11-05
KR100274257B1 KR100274257B1 (ko) 2001-03-02

Family

ID=19535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2050A KR100274257B1 (ko) 1998-04-06 1998-04-06 냉매량 조절을 위한 바이패스 부를 가지는 멀티 에어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026654A (ko)
JP (1) JPH11294880A (ko)
KR (1) KR100274257B1 (ko)
CN (1) CN1231401A (ko)
ES (1) ES2147524B1 (ko)
IT (1) IT13035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2773B1 (ko) * 1999-09-13 2002-04-17 구자홍 히트 펌프의 증발기 유량 분배장치
JP4032634B2 (ja) * 2000-11-13 2008-01-1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US6553778B2 (en) * 2001-01-16 2003-04-29 Emerson Electric Co. Multi-stage refrigeration system
US6735964B2 (en) 2002-06-05 2004-05-18 Carrier Corporation Air conditioning system with refrigerant charge management
KR101073501B1 (ko) * 2004-05-18 2011-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다단운전 공기조화기
JP3742933B2 (ja) * 2004-05-24 2006-02-0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分岐用管継手及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US7779648B2 (en) * 2004-11-01 2010-08-24 Tecumseh Products Company Heat exchanger with enhanced air distribution
KR100712928B1 (ko) * 2005-08-24 2007-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혼합형 유니터리 공기조화장치의 압축기 선택 운전방법
CN100445658C (zh) * 2005-12-19 2008-12-24 上海约顿机房设备有限公司 一种精确控制温湿度的恒温恒湿空调
KR20090022119A (ko) * 2007-08-29 2009-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비스밸브 결합체를 구비한 분리형 멀티에어컨
JP5263522B2 (ja) * 2008-12-11 2013-08-14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冷凍装置
US9038404B2 (en) 2011-04-19 2015-05-26 Liebert Corporation High efficiency cooling system
US9845981B2 (en) * 2011-04-19 2017-12-19 Liebert Corporation Load estimator for control of vapor compression cooling system with pumped refrigerant economization
WO2012166338A2 (en) * 2011-05-31 2012-12-06 Carrier Corporation Hybrid compressor system and methods
WO2013093991A1 (ja) * 2011-12-19 2013-06-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冷却装置
KR20160016436A (ko) * 2014-08-05 2016-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04792057A (zh) * 2015-04-20 2015-07-22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制冷装置及其控制方法
KR102353913B1 (ko) * 2017-04-25 2022-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10969145B2 (en) * 2018-04-09 2021-04-06 Lennox Indust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hybrid dehumidification
US10801742B2 (en) 2018-04-09 2020-10-13 Lennox Indust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heat circuit operation
CN110805979B (zh) * 2019-11-28 2021-08-24 河北工业大学 一种梯级蒸发与温湿度独立控制相耦合的建筑供能系统
CN114087745B (zh) * 2020-07-29 2023-09-26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及其空调控制方法、控制装置和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61760A (en) * 1944-04-01 1949-02-15 Honeywell Regulator Co Multiple refrigeration system with controls therefor
US2936595A (en) * 1956-05-07 1960-05-17 American Radiator & Standard Air conditioning system
US3390540A (en) * 1966-08-16 1968-07-02 Carrier Corp Multiple evaporator refrigeration systems
US3464226A (en) * 1968-02-05 1969-09-02 Kramer Trenton Co Regenerative refrigeration system with means for controlling compressor discharge
US3779031A (en) * 1970-08-21 1973-12-18 Hitachi Ltd Air-conditioning system for cooling dehumidifying or heating operations
JPS59164860A (ja) * 1983-03-09 1984-09-18 株式会社東芝 冷蔵庫の冷凍サイクル
JPH0327249Y2 (ko) * 1984-10-26 1991-06-12
JPS61134545A (ja) * 1984-12-01 1986-06-21 株式会社東芝 冷凍サイクル装置
DE69533120D1 (de) * 1994-05-30 2004-07-15 Mitsubishi Electric Corp Kühlmittelumlaufsystem
JPH10238879A (ja) * 1997-02-21 1998-09-08 Mitsubishi Heavy Ind Ltd マルチ型ヒートポンプ式空気調和機及びその運転方法
JPH10238880A (ja) * 1997-02-28 1998-09-08 Mitsubishi Heavy Ind Ltd マルチ形ヒートポンプ式空気調和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294880A (ja) 1999-10-29
CN1231401A (zh) 1999-10-13
ITTO981041A1 (it) 2000-06-11
ITTO981041A0 (it) 1998-12-11
ES2147524A1 (es) 2000-09-01
ES2147524B1 (es) 2001-03-01
IT1303580B1 (it) 2000-11-14
KR100274257B1 (ko) 2001-03-02
US6026654A (en) 2000-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4257B1 (ko) 냉매량 조절을 위한 바이패스 부를 가지는 멀티 에어컨
EP0514086B1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US20230184471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with capacity control and controlled hot water generation
JP2006317063A (ja) 空気調和機
KR101269462B1 (ko) 냉난방 동시형 멀티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JPH0886528A (ja) 冷凍装置
KR102548912B1 (ko) 냉방 시스템 및 냉방 시스템의 제어 방법
JP4270555B2 (ja) 再熱除湿型空気調和機
KR100225634B1 (ko) 공기조화기의 냉매량 조절장치
WO2021014520A1 (ja) 空気調和装置
CN113874662A (zh) 空调装置
KR20040094101A (ko) 멀티 에어컨 시스템의 유량 가변형 바이패스 장치
KR100274259B1 (ko) 열 교환 매체량 조절을 위한 바이패스부를 가지는 냉난방 겸용 멀티 에어컨
KR100535807B1 (ko) 냉난방사이클
JP2018128167A (ja) 空気調和装置
JPH09310931A (ja) 空気調和機
KR0115204Y1 (ko) 공기조화기의 냉매 분배장치
KR20220006813A (ko) 유체순환시스템
KR101797500B1 (ko) 공기조화기
KR100239477B1 (ko) 멀티 공기조화기의 냉,난방 사이클
KR100188994B1 (ko) 다실 냉난방기의 냉매제어장치
KR100187254B1 (ko) 다수의 실내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KR100350415B1 (ko) 공조기기및그제어방법
KR20220159613A (ko) 차량용 냉난방 시스템
KR20230120202A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3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