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6813A - 유체순환시스템 - Google Patents

유체순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6813A
KR20220006813A KR1020200084696A KR20200084696A KR20220006813A KR 20220006813 A KR20220006813 A KR 20220006813A KR 1020200084696 A KR1020200084696 A KR 1020200084696A KR 20200084696 A KR20200084696 A KR 20200084696A KR 20220006813 A KR20220006813 A KR 20220006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flow path
connection
fluid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4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성
김형준
사용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4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6813A/ko
Publication of KR20220006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68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0/00Heat pumps
    • F25B30/02Heat pumps of the compressio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40Fluid lin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5/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evaporator circuits, e.g. for varying refrigerating capacity
    • F25B5/0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evaporator circuits, e.g. for varying refrigerating capacity arranged in parall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6/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condenser circuits
    • F25B6/0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condenser circuits arranged in parall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5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outdoor units
    • F25B2313/0253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outdoor units in paralle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24Low amount of refrigerant in the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31Low ambient temper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유체순환시스템이 개시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순환 시스템은 제1실외기, 제2실외기, 실내기 및 연결모듈을 포함하고, 제1실내유로, 제1압축기 연결유로,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 및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모듈은 제1난방모드에서 상기 제1압축기 연결유로 및 상기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 각각으로부터 전달되는 유체를 상기 제1실내유로를 통해 상기 실내기로 전달하되 상기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의 유체 유동은 차단하고, 제2난방모드에서 상기 제1압축기 연결유로로부터 전달되는 유체를 상기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를 통해 상기 제2압축기로 공급하되 상기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로부터 전달되는 유체를 상기 제1실내유로를 통해 상기 실내기로 공급한다.

Description

유체순환시스템{FLUID CIRCULATION SYSTEM}
본 발명은 유체순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유체가 순환하며 열을 흡수하거나 방출하여 대상 공간의 온도를 조절하는 유체 순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유체순환시스템은 유체의 발열 및 흡열을 통해 대상 공간의 온도를 목표온도로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여름과 같은 계절적 특성 또는 고온지대와 같은 지역적 특성에 의해 대기 온도가 높은 경우 유체순환시스템을 이용하여 대상 공간, 예컨대 사용자가 거주하는 실내 공간을 냉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양한 특성에 의해 대기 온도가 낮은 경우 유체순환시스템을 이용하여 실내 공간을 난방할 수도 있다.
유체순환시스템은 유체와 공기 사이의 열교환에 의한 대상 공간 온도 조절이 수행될 수 있다. 유체순환시스템은 유체, 예컨대 냉매의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 과정을 포함하는 유체순환사이클이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유체순환시스템은 온도 조절이 요구되는 대상공간과 구분되는 외부공간에 설치되는 실외기와 상기 대상공간에 설치되는 실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 및 실내기는 각각 공기와 유체간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유체순환시스템의 사용환경이 극저온지대와 같은 극저온환경인 경우, 유체의 유량이 감소되거나 압축기의 압력비 등 운전상 제한에 의해 난방 운전 능력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극저온 환경에서도 효과적으로 충분한 유체 유량을 확보하고 압축기에 의한 압력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유체순환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은 본 기술분야에 있어 중요한 과제가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환경에 따라 효과적으로 유체의 유량을 확보하고 목표 압축비가 만족될 수 있는 유체순환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환경에 따라 효과적으로 복수의 난방모드 및 냉방모드가 구현될 수 있는 유체순환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복수의 실외기를 구비하며 복수의 운전모드가 효율적으로 전환될 수 있는 유체순환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유체, 예컨대 냉매의 유량이 가변하는 VRF시스템(VARIABLE REFRIGERANT FLOW SYSTEM)은 실외온도가 매우 낮은 경우, 예컨대 -20℃이하의 사용환경에서 압축기의 운전 제한으로 인하여 난방 운전 능력이 급격히 저하될 수 있다.
즉, 실외온도가 낮으면 유체순환시스템의 저압이 하락하고, 압축기에 의한 고압과 저압의 차이가 증가하며, 압축기의 기계적 신뢰성으로 인하여 압축기의 압축률, 즉 압축기 주파수를 충분히 향상 시킬 수 없어 능력 향상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극저온환경의 운전에 필요한 능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냉매 유량의 확보가 중요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외기를 2대 구비하고 가변장치(KIT)를 장착하여 1단난방운전과 2단난방운전간의 가변이 가능한 유체순환사이클을 형성함으로써, 난방 운전 시 냉매 유량을 확보하고 압력비를 최소화 하여 낮은 외기 온도에서도 운전 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순환시스템은 제1열교환기 및 제1압축기를 포함하며 유체가 순환되는 제1실외기, 제2열교환기 및 제2압축기를 포함하며 유체가 순환되는 제2실외기, 제3열교환기를 포함하며 유체가 순환되는 실내기 및 상기 제1실외기, 상기 제2실외기 및 상기 실내기와 연결되어 유체가 순환되는 연결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모듈과 상기 실내기를 연결하는 제1실내유로, 상기 제1압축기와 상기 제1실내유로를 연결하는 제1압축기 연결유로, 상기 제2압축기와 상기 제1실내유로를 연결하는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 및 상기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와 병렬적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2압축기와 상기 제1실내유로를 연결하는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모듈은 제1난방모드에서 상기 제1압축기 연결유로 및 상기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 각각으로부터 전달되는 유체를 상기 제1실내유로를 통해 상기 실내기로 전달하되 상기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의 유체 유동은 차단하고, 제2난방모드에서 상기 제1압축기 연결유로로부터 전달되는 유체를 상기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를 통해 상기 제2압축기로 공급하되 상기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로부터 전달되는 유체를 상기 제1실내유로를 통해 상기 실내기로 공급한다.
상기 연결모듈은 제1연결밸브 및 제2연결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밸브는 상기 제1실내유로상에 마련되고, 상기 제1압축기 연결유로로부터 전달되는 유체가 상기 제1실내유로로 유동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허용할 수 있고, 제2연결밸브는 상기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상에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1난방모드에서 상기 제1연결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2연결밸브는 폐쇄함으로써, 상기 제1압축기 연결유로 및 상기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의 유체를 상기 제1실내유로를 통해 상기 실내기측으로 유동시키고, 상기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의 유체 유동은 차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난방모드에서 상기 제1연결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제2연결밸브는 개방함으로써, 상기 제1압축기 연결유로의 유체를 상기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를 통해 상기 제2압축기로 유동시키고, 상기 제2압축기로부터 유출되는 유체를 상기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 및 상기 제1실내유로를 통해 상기 실내기로 유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는 상기 제1압축기 연결유로 및 상기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보다 상기 실내기측에 더 가까운 위치에서 상기 제1실내유로와 연결되고, 상기 제1연결밸브는 상기 제1실내유로상에서 상기 제1압축기 연결유로 및 상기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보다 상기 실내기측에 더 가깝고, 상기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보다 상기 실내기측으로부터 더 멀리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실외기는 제2압축기 유입유로, 제2압축기 유입측 분기유로, 제2압축기 유출유로 및 제2압축기 멀티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압축기 유입유로는 상기 제2압축기의 유체유입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2압축기 유입측 분기유로는 상기 제2압축기 유입유로로부터 분기될 수 있고, 제2압축기 유출유로는 상기 제2압축기의 유체유출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2압축기 멀티밸브는 상기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 상기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 상기 제2압축기 유출유로 및 상기 제2압축기 유입측 분기유로가 함께 연결되고, 연결된 복수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난방모드에서 상기 제2압축기 멀티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제2압축기 유출유로와 상기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를 연통시키고 상기 제2압축기 유입측 분기유로와 상기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를 연통시키며, 상기 제2난방모드에서 상기 제2압축기 멀티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제2압축기 유출유로와 상기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를 연통시키고 상기 제2압축기 유입측 분기유로와 상기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를 연통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실외기는 제2압축기 유출측 분기유로, 제2열교환기유로 및 제2열교환기 멀티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압축기 유출측 분기유로는 상기 제2압축기 유출유로로부터 분기되고, 유체 유동을 단속하는 제2압축기 분기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열교환기유로는 상기 제2열교환기와 연결될 수 있고, 제2열교환기 멀티밸브는 상기 제2압축기 유출측 분기유로, 상기 제2열교환기유로 및 상기 제2압축기 유입유로가 함께 연결되고, 연결된 복수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난방모드에서 상기 제2열교환기 멀티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제2열교환기유로와 상기 제2압축기 유입유로를 연통시키고 상기 제2압축기 분기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제2압축기 유출측 분기유로의 유체 유동을 차단하며, 상기 제2난방모드에서 상기 제2열교환기 멀티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제2열교환기유로, 상기 제2압축기 유입유로 및 상기 제2압축기 유출측 분기유로간의 유체 유동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2열교환기 멀티밸브는 유체 유동이 차단되는 차단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난방모드에서 상기 제2열교환기 멀티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제2압축기 유입유로와 상기 차단유로를 연통시키고, 상기 제2열교환기유로와 상기 제2압축기 유출측 분기유로를 연통시키며, 상기 제2압축기 분기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열교환기유로와 상기 제2압축기 유출측 분기유로간의 유체 유동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1실외기는 제1압축기 유입유로를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바이패스유로를 더 포할 수 있다. 제1압축기 유입유로는 상기 제1압축기의 유체유입부에 연결될 수 있다.
바이패스유로는 상기 제2열교환기유로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1압축기 유입유로측으로 유체를 유동시키도록 마련되며, 유체의 유동을 단속하는 바이패스밸브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난방모드에서 상기 바이패스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바이패스유로의 유체 유동을 차단하며, 상기 제2난방모드에서 상기 바이패스유로의 유체 유동을 허용하여 상기 제2열교환기로부터 상기 제1압축기 유입유로측으로 유체를 유동시킬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유로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연결모듈 내부를 지나도록 마련되고, 상기 바이패스밸브는 상기 연결모듈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실외기는 제1압축기 유입측 분기유로, 제1압축기 유출유로 및 제1압축기 멀티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압축기 유입측 분기유로는 상기 제1압축기 유입유로로부터 분기될 수 있고, 제1압축기 유출유로는 상기 제1압축기의 유체유출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1압축기 멀티밸브는 상기 제1압축기 연결유로, 상기 바이패스유로, 상기 제1압축기 유출유로 및 상기 제1압축기 유입측 분기유로가 함께 연결되고, 연결된 복수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난방모드 및 상기 제2난방모드에서 상기 제1압축기 유출유로와 상기 제1압축기 연결유로를 연통시키고 상기 바이패스유로와 상기 제1압축기 유입측 분기유로를 연통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실외기는 제1압축기 유출측 분기유로, 제1열교환기유로 및 제1열교환기 멀티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압축기 유출측 분기유로는 상기 제1압축기 유출유로로부터 분기되고, 유체 유동을 단속하는 제1압축기 분기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열교환기유로는 상기 제1열교환기와 연결될 수 있고, 제1열교환기 멀티밸브는 상기 제1압축기 유출측 분기유로, 상기 제1열교환기유로 및 상기 제1압축기 유입유로와 함께 연결되고, 연결된 복수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난방모드 및 상기 제2난방모드에서 상기 제1압축기 멀티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제1압축기 연결유로와 상기 제1압축기 유출유로를 연통시키고 상기 바이패스유로와 상기 제1압축기 유입측 분기유로를 연통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냉방모드에서 상기 제1압축기 멀티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제1압축기 연결유로와 상기 제1압축기 유입측 분기유로를 연통시키고 상기 바이패스유로와 상기 제1압축기 유출유로를 연통시키며, 상기 바이패스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바이패스유로의 유체 유동을 차단시키고, 상기 제1열교환기 멀티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제1압축기 유입유로의 유체 유동을 차단하고 상기 제1열교환기유로와 상기 제1압축기 유출측 분기유로를 연통시키되 상기 제1압축기 분기밸브를 개방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방모드에서 상기 제2압축기 멀티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와 제2압축기 유입측 분기유로를 연통시키고 상기 제2압축기 유출유로와 상기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를 연통시키며, 상기 제2연결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의 유체 유동을 차단시키고, 상기 제2열교환기 멀티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제2압축기 유입유로의 유체 유동을 차단시키고 상기 제2열교환기유로와 상기 제2압축기 유출측 분기유로를 연통시키며, 상기 제2압축기 분기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제2압축기 유출측 분기유로의 유체 유동을 허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환경에 따라 효과적으로 유체의 유량을 확보하고 목표 압축비가 만족될 수 있는 유체순환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환경에 따라 효과적으로 복수의 난방모드 및 냉방모드가 구현될 수 있는 유체순환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복수의 실외기를 구비하며 복수의 운전모드가 효율적으로 전환될 수 있는 유체순환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순환시스템에서 제1실외기, 제2실외기 및 연결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순환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순환시스템의 각 유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유체순환시스템이 제1난방모드로 운전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유체순환시스템이 제2난방모드로 운전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유체순환시스템이 냉방모드로 운전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실외기(100), 제2실외기(200) 및 연결모듈(300)이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순환시스템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의 제1실외기(100), 제2실외기(200) 및 연결모듈(3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순환시스템에 의해 온도조절이 요구되는 대상공간과 구분되는 외부공간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대상공간에는 실내기(400)가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거주공간 또는 활동공간에 해당되는 실내공간에 실내기(400)가 설치되어 상기 실내공간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고, 실외공간에는 도 1에 도시된 제1실외기(100), 제2실외기(200) 및 연결모듈(300)이 설치될 수 있다.
실내기(400)는 온도조절이 요구되는 대상공간에 설치되는 구성이며, 실외기는 상기 대상공간과 벽 등에 의해 구분되는 외부공간에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실내기(400)가 반드시 옥내에 설치되거나 실외기가 반드시 옥외에 설치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는 제1실외기(100) 및 제2실외기(200)의 외관이 도시되어 있는데, 제1실외기(100) 및 제2실외기(200)는 복수의 유로관통구, 전력연결부 및 팬을 포함하는 통기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실외기(100)는 제1열교환기(110) 및 제1압축기(150)를 포함하며 유체가 순환되고, 제2실외기(200)는 제2열교환기(210) 및 제2압축기(250)를 포함하며 유체가 순환되고, 실내기(400)는 제3열교환기(410)를 포함하며 유체가 순환되고, 연결모듈(300)은 상기 제1실외기(100), 상기 제2실외기(200) 및 상기 실내기(400)와 연결되어 유체가 순환될 수 있다.
제1실외기(100)의 제1열교환기(110) 및 제2실외기(200)의 제2열교환기(210)는 외기와 유체간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며, 제1압축기(150) 및 제2압축기(250)는 유체의 압축을 수행할 수 있다. 실내기(400)의 제3열교환기(410)는 온도조절의 대상공간에서 공기와 유체간의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제1실외기(100)는 유체가 순환되는 제1유체순환계를 가지며, 상기 제1유체순환계에는 제1열교환기(110) 및 제1압축기(150)가 포함된다. 즉, 제1실외기(100)에서 유체는 제1열교환기(110)를 거쳐 제1압축기(150)로 전달되거나 제1압축기(150)를 거쳐 제1열교환기(110)로 전달될 수 있다.
제2실외기(200)는 유체가 순환되는 제2유체순환계를 가지며, 상기 제2유체순환계에는 제2열교환기(210) 및 제2압축기(250)가 포함된다. 즉, 제2실외기(200)에서 유체는 제2열교환기(210)를 거쳐 제2압축기(250)로 전달되거나 제2압축기(250)를 거쳐 제2열교환기(210)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실외기(100)의 제1유체순환계 및 제2실외기(200)의 제2유체순환계는 각각 상기 연결모듈(300) 및 상기 실내기(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폐순환계일 수 있다.
즉, 제1실외기(100)로부터 유출되는 유체는 연결모듈(300) 및 실내기(400)를 거쳐 다시 제1실외기(100)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제2실외기(200)로부터 유출되는 유체는 연결모듈(300) 및 실내기(400)를 거쳐 다시 제2실외기(200)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실외기(100)의 제1유체순환계와 제2실외기(200)의 제2유체순환계는 연결모듈(300)을 통해 서로 병렬적 또는 직렬적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연결모듈(300)의 조절에 의해 상기 제1실외기(100) 및 상기 제2실외기(200)가 서로 병렬적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유체를 상기 실내기(4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라도 상호간의 유체가 일부 공유되어 유동되는 것은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연결모듈(300)의 조절에 의해 상기 제1실외기(100)로부터 유출되는 유체가 연결모듈(300)을 거쳐 제2실외기(200)로 유입되고, 제2실외기(200)로부터 유출되는 유체가 연결모듈(300)을 거쳐 실내기(400)로 전달될 수 있다. 실내기(400)로부터 유출되는 유체는 연결모듈(300)을 거쳐 제1실외기(100)로 전달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유체의 연결모듈(300) 등을 이용하여 유체순환계를 효과적으로 다양하게 변경함으로써, 다양한 운전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연결모듈(300)과 제1실외기(100) 및 제2실외기(200)의 조절에 의해 제1난방모드, 제2난방모드 및 냉방모드를 포함하는 다양한 운전모드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순환시스템의 유로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유체순환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연결모듈(300)과 상기 실내기(400)를 연결하는 제1실내유로(320), 상기 제1압축기(150)와 상기 제1실내유로(320)를 연결하는 제1압축기 연결유로(160), 상기 제2압축기(250)와 상기 제1실내유로(320)를 연결하는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260) 및 상기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260)와 병렬적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2압축기(250)와 상기 제1실내유로(320)를 연결하는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265)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연결모듈(300)과 실내기(400)는 제1실내유로(320) 및 제2실내유로(33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1실내유로(320) 및 제2실내유로(330)는 일측이 상기 연결모듈(300) 내부에 위치될 수 있고, 타측이 상기 실내기(400)의 제3열교환기(41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실내유로(320)는 제1압축기 연결유로(160),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260) 및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265)와 연결될 수 있고, 제2실내유로(330)는 제1열교환기 연결유로(120) 및 제2열교환기 연결유로(22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실내유로(330)상에는 모듈열교환기(36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모듈열교환기(360)는 외기가 유체가 열교환을 이루는 목적 대신 유체의 일부와 나머지간의 열교환을 통해 유체순환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즉, 모듈열교환기(360)는 제2실내유로(330)상에서 유체 일부를 분기시켜 나머지 유체와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고, 이는 유체의 온도를 일부 조절하는 데에 유리하게 활용될 수 있다. 다만, 반드시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듈열교환기(360)를 통해 제2실내유로(330)의 유체와 외기간의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도 3에는 제1실외기(100)의 제1압축기(150)와 제2실외기(200)의 제2압축기(250)가 도시되어 있다. 제1압축기(150) 및 제2압축기(250)는 시스템 효율 등을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실외기(100)의 제1압축기(150)가 2개 마련되고, 제2실외기(200)의 제2압축기(250)가 1개 마련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제1압축기(150)와 제2압축기(250)의 유체 용량이나 압축률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순환시스템은 제1난방모드 및 제2난방모드를 포함하는 난방모드와 냉방모드로 작동될 수 있고, 난방모드에서 제3열교환기(410)로 유입되는 유체는 제1실내유로(320)를 따라 유동되고 제3열교환기(410)로부터 유출되는 유체는 제2실내유로(330)를 따라 유동되며, 냉방모드에서 제3열교환기(410)로부터 유출되는 유체가 제1실내유로(320)를 따라 유동되고 제3열교환기(410)로 유입되는 유체가 제2실내유로(330)를 따라 유동될 수 있다.
제1압축기 연결유로(160)는 제1압축기(150)와 제1실내유로(320)를 연결할 수 있다. 후술할 내용과 같이 제1압축기 연결유로(160)는 제1압축기 멀티밸브(190) 등을 통해 상기 제1압축기(15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압축기 연결유로(160)는 제1실외기(100)로부터 연결모듈(300)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1압축기 연결유로(160)는 적어도 일부가 제1실외기(100) 및 연결모듈(3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1압축기 연결유로(160)에 의해 제1압축기(150)와 제1실내유로(320) 사이의 유체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난방모드에서 제1압축기(150)로부터 토출되는 유체는 제1압축기 연결유로(160)를 통해 제1실내유로(320)를 향해 유동될 수 있고, 냉방모드에서 제1실내유로(320)를 유동하는 유체는 제1압축기 연결유로(160)를 통해 제1압축기(150)로 전달될 수 있다.
제2압축기(250)와 제1실내유로(320)는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260) 및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265)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260) 및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265)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서로 병렬적인 관계에서 상기 제2압축기(250)와 상기 제1실내유로(320)를 연결할 수 있다.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260) 및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265)는 일측이 제2압축기(250)와 연결될 수 있고, 타측이 제1실내유로(320)와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제2압축기(250)로부터 토출되는 유체가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260)와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265)를 통해 동시에 유동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예컨대, 제2압축기(250)로부터 토출되는 유체는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260) 및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265)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유동될 수 있고, 이 경우 나머지는 유체의 유동이 차단되거나 제2압축기(250)로 유입되는 유체가 유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모듈(300)은 제1난방모드에서 상기 제1압축기 연결유로(160) 및 상기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260) 각각으로부터 전달되는 유체를 상기 제1실내유로(320)를 통해 상기 실내기(400)로 전달하되 상기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265)의 유체 유동은 차단하고, 제2난방모드에서 상기 제1압축기 연결유로(160)로부터 전달되는 유체를 상기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260)를 통해 상기 제2압축기(250)로 공급하되 상기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265)로부터 전달되는 유체를 상기 제1실내유로(320)를 통해 상기 실내기(400)로 공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운전모드로 작동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운전모드는 난방모드 및 냉방모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난방모드는 제1난방모드 및 제2난방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모드가 반드시 위와 같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난방모드란 유체가 제1실외기(100) 및 제2실외기(200) 중 어느 하나의 압축기를 거쳐 연결모듈(300)을 통해 실내기(400)로 공급되는 운전모드를 의미하고, 제2난방모드란 제1실외기(100)의 제1압축기(150)로부터 토출되는 유체가 제2실외기(200)의 제2압축기(250)로 유입되어 압축과정이 중첩되어 실내기(400)로 전달되는 운전모드를 의미한다.
즉, 제1난방모드는 제1실외기(100) 및 제2실외기(200)가 연결모듈(300)을 통해 서로 병렬적인 관계로 연결된 상태를 의미하고, 제2난방모드는 제2실외기(200) 및 제2실외기(200)가 연결모듈(300)을 통해 서로 직렬적인 관계로 연결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난방모드에서 제1실외기(100) 및 제2실외기(200)로부터 토출되는 유체는 상기 제1실내유로(320)에서 모여서 함께 실내기(400)로 공급될 수 있고, 제2난방모드에서는 제1실외기(100)로부터 토출되는 유체가 다시 제2실외기(200)로 공급되고, 제2실외기(200)로부터 토출되는 유체가 연결모듈(300)을 통해 실내기(400)의 제3열교환기(410)로 공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모듈(300)은 제1난방모드에서 제1압축기 연결유로(160) 및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260) 각각으로부터 전달되는 유체를 제1실내유로(320)를 통해 실내기(400)로 전달한다.
즉, 제1난방모드에서 제2압축기(250)로부터 유출되는 유체는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260)를 통해 유동된다. 이 경우, 연결모듈(300)은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265)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265)의 유체 유동을 차단하는 데에 밸브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모듈(300)은 제1난방모드에서 상기 제1압축기 연결유로(160) 및 상기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260) 각각으로부터 전달되는 유체를 상기 제1실내유로(320)를 통해 상기 실내기(400)로 전달하되 상기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265)의 유체 유동은 차단한다.
즉, 제1난방모드에서 제1압축기(150)로부터 토출된 유체는 제1압축기 연결유로(160)를 따라 제1실내유로(320)로 유입될 수 있고, 제2압축기(250)로부터 토출된 유체는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260)를 따라 제1실내유로(320)로 유입될 수 있다.
제1압축기(150) 및 제2압축기(250)에서 토출된 유체는 상기 제1실내유로(320)에서 모여 함께 상기 실내기(400)의 제3열교환기(410)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는 도 3의 유체순환시스템이 제1난방모드로 운전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3의 유체순환시스템이 제2난방모드로 운전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순환시스템은 복수의 운전모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운전모드는 난방모드 및 냉방모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난방모드는 제1난방모드 및 제2난방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복수의 운전모드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 내지 5를 참고하면, 연결모듈(300)은 제2난방모드에서 상기 제1압축기 연결유로(160)로부터 전달되는 유체를 상기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260)를 통해 상기 제2압축기(250)로 공급하되 상기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265)로부터 전달되는 유체를 상기 제1실내유로(320)를 통해 상기 실내기(400)로 공급할 수 있다.
연결모듈(300)에서 제1압축기 연결유로(160)로부터 유입되는 유체가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260)로 유입되는 경우, 상기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260)가 제2압축기(250)에 연결되므로, 제1압축기(150)로부터 토출된 유체가 제1압축기 연결유로(160) 및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260)를 통해 제2압축기(250)로 유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압축기(150)를 통해 1차적으로 압축된 유체는 제2압축기(250)를 통해 2차적으로 압축될 수 있다. 따라서, 제2난방모드는 제1압축기(150) 및 제2압축기(250)의 다단계적 압축을 통해 각 압축기의 운전 제한범위 내에서 유체의 압축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제1압축기(150) 및 제2압축기(250)가 병렬적으로 운용되는 제1난방모드와 달리, 제2난방모드는 동일한 유체를 제1압축기(150) 및 제2압축기(250)가 순차적으로 압축하므로, 극저온환경 등에서 유리할 수 있다.
예컨대, 극저온환경에서는 기온 등의 영향으로 유체의 유량이 감소될 수 있고, 따라서 압축기를 통한 압축률에 손실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압축기의 운전 제한 범위, 즉 압축기의 운전 주파수에 대한 허용범위 제한으로 인해 목표 압축비를 달성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2난방모드를 통해 제1압축기(150) 및 제2압축기(250)가 유체를 순차적으로 압축하게 되어 목표 압축비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연결모듈(300)은 제2난방모드에서 제1압축기(150)로부터 토출되어 제1압축기 연결유로(160)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를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260)로 전달하여 제2압축기(250)로 유입시키고,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265)를 개방하여 상기 제2압축기(250)로부터 토출되는 유체가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265)를 통해 제1실내유로(320)로 유입될 수 있다.
연결모듈(300)에서 제1압축기 연결유로(160)로부터 전달되는 유체의 공급 대상을 변경하거나 제2실외기(200)에서 제2압축기(250)로 유입되거나 유출되는 유체의 유동 경로가 되는 유로 선택 방식은 밸브 또는 기타 다양한 구성을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연결모듈(300)을 통해 제1실외기(100) 및 제2실외기(200)의 연결 형태가 병렬 형태 및 직렬 형태로 변경됨에 따라, 유체가 하나의 압축기를 통해 압축되는 제1난방모드 및 유체가 복수의 압축기를 통해 다단계적으로 압축되는 제2난방모드가 효과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유체순환시스템이 사용되는 사용환경에 따라 각 난방모드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온도 조절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모듈(300)은 제1연결밸브(340) 및 제2연결밸브(3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밸브(340)는 상기 제1실내유로(320)상에 마련되고, 상기 제1압축기 연결유로(160)로부터 전달되는 유체가 상기 제1실내유로(320)로 유동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허용할 수 있다. 제2연결밸브(350)는 상기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265)상에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밸브들은 전자식 제어밸브 또는 기계식 밸브 등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다. 제1연결밸브(340)는 제1실내유로(320)상에 마련되어 제1실내유로(320)상의 유체 유동을 선택적으로 허용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예컨대, 제1연결밸브(340)가 개방되면 해당 부분에서 제1실내유로(320)는 유체 유동이 허용되며, 제2연결밸브(350)가 폐쇄되면 해당 부분에서 제1실내유로(320)는 유체 유동이 차단될 수 있다.
제1연결밸브(340)는 제1실내유로(320)상에 마련되되 제1압축기 연결유로(160)로부터 전달되는 유체가 제1실내유로(320)를 통해 유동되는 것은 단속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난방모드를 기준으로 제1실내유로(320)상에서 제1연결밸브(340)는 제1압축기 연결유로(160)보다 하류측에 마련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연결밸브(340)의 개폐에 따라 제1압축기 연결유로(160)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가 제1실내유로(320)를 통해 유동되는 것이 단속될 수 있다.
제2연결밸브(350)는 상기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265)상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연결밸브(350)의 개폐에 따라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265)의 유체 유동이 단속될 수 있다. 즉, 제2연결밸브(350)가 개방되면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265)의 유체 유동이 허용되고, 제2연결밸브(350)가 폐쇄되면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265)의 유체 유동이 차단될 수 있다.
제1연결밸브(340) 및 제2연결밸브(350)는 연결모듈(300)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제1연결밸브(340)는 제1실내유로(320) 중 연결모듈(300) 내부에 위치된 부분에 마련될 수 있고, 제2연결밸브(350)는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265) 중 연결모듈(300) 내부에 위치된 부분에 마련될 수 있다. 연결모듈(300)은 제1연결밸브(340) 및 제2연결밸브(350)를 통해 유체의 유동 여부 및 유동 방향을 설정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순환시스템은 제어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상기 제1난방모드에서 상기 제1연결밸브(340)를 개방하고 상기 제2연결밸브(350)는 폐쇄함으로써, 상기 제1압축기 연결유로(160) 및 상기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260)의 유체를 상기 제1실내유로(320)를 통해 상기 실내기(400)측으로 유동시키고, 상기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265)의 유체 유동은 차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난방모드에서 제어부(500)에 의해 제1연결밸브(340)가 개방되어 제1압축기 연결유로(160)로부터 전달되는 유체가 제1실내유로(320)를 따라 유동되어 실내기(400)로 공급될 수 있고, 제2연결밸브(350)가 폐쇄되어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265)의 유동이 차단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제1실외기(100), 제2실외기(200), 연결모듈(300) 및 실내기(400)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될 수 있고,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별도의 제어모듈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복수로 마련되어 각각의 모듈에 구비될 수도 있다. 제어부(500)의 종류, 설치 위치, 개수 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제1실외기(100), 제2실외기(200), 연결모듈(300) 및 실내기(400)에 마련되는 다양한 밸브, 제1압축기(150) 및 제2압축기(250)와 신호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어부(500)는 상기 다양한 밸브, 제1압축기(150) 및 제2압축기(250)의 작동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난방모드에서 실내기(400)의 제3열교환기(410)를 통과한 유체는 제2실내유로(330)를 통해 연결모듈(300)로 전달되고, 연결모듈(300)로 전달된 유체의 일부는 제1열교환기 연결유로(120)를 통해 제1실외기(100)의 제1열교환기(110)로 유입된 이후 제1압축기(150)로 제공될 수 있다.
제1열교환기 연결유로(120)에는 제1보조열교환기(122)가 마련될 수 있다. 제1보조열교환기(122)는 제1실외기(100) 내부에서 상기 제1열교환기 연결유로(120)상에 마련될 수 있다.
제1보조열교환기(122)는 제1인젝션 팽창밸브 및 제1인젝션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인젝션유로에는 제1인젝션밸브가 마련될 수 있으며, 제1인젝션밸브에 의해 제1인젝션유로의 유체 유동이 단속될 수 있다.
제1인젝션유로는 제1보조열교환기(122)로부터 제1압축기(150)로 연장될 수 있다. 제1인젝션유로는 제1열교환기 연결유로(120)로부터 분기되는 유로일 수 있다. 즉, 제1열교환기 연결유로(120)를 유동하는 유체 중 일부는 제1인젝션유로를 따라 유동되어 제1압축기(150) 내부로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인젝션유로는 제1열교환기 연결유로(120)로부터 분기되고, 제1인젝션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유체는 제1보조열교환기(122)를 통해 제1열교환기 연결유로(120)를 유동하는 유체와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보조열교환기(122)를 지나 제1인젝션유로를 따라 유동되는 유체는 제1압축기(150)에 제공될 수 있다.
제1압축기(150)는 주로 후술하는 제1압축기 연결유로(170)를 통해 유체가 유입되며, 제1인젝션유로를 통해 추가적인 유체 유입이 이루어짐으로써, 유체의 유량을 추가 확보할 수 있으며 제1압축기(150) 내부의 다단 압축에서 유리한 유체 인젝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보조열교환기(122)의 수는 제1압축기(150)의 수와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예컨대, 제1압축기(150)가 복수로 마련된 경우, 제1보조열교환기(122)는 복수로 마련되어 각각 서로 다른 제1압축기(15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2개의 제1압축기(150)가 마련되고, 1개의 제1보조열교환기(122)가 마련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연결모듈(300)의 제2실내유로(330)를 유동하는 유체의 나머지는 제2열교환기 연결유로(220)를 통해 제2열교환기(210)로 유입된 이후 제2압축기(250)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실외기(100) 및 제2실외기(200)는 각각 유체를 제공받아 제1압축기(150) 및 제2압축기(250) 각각을 통해 유체를 압축시킨 뒤 연결모듈(300)로 전달할 수 있다.
제2실외기(200)는 제2열교환기 연결유로(220)상에 마련되는 제2보조열교환기(2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보조열교환기(222)는 전술한 제1보조열교환기(122)와 동일한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2보조열교환기(222)는 제2인젝션 팽창밸브 및 제2인젝션유로 및 제1인젝션밸브를 포함할 수 있고, 제2인젝션유로는 제2보조열교환기(222)로부터 제2압축기(250)로 연장될 수 있다.
제2인젝션유로는 제2열교환기 연결유로(220)로부터 분기될 수 있고, 제2인젝션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유체는 제2보조열교환기(222)를 통해 제2열교환기 연결유로(220)를 유동하는 유체와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보조열교환기(222)를 지나 제2인젝션유로를 따라 유동되는 유체는 제2압축기(250)에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2난방모드에서 상기 제1연결밸브(340)를 폐쇄하고 상기 제2연결밸브(350)는 개방함으로써, 상기 제1압축기 연결유로(160)의 유체를 상기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260)를 통해 상기 제2압축기(250)로 유동시키고, 상기 제2압축기(250)로부터 유출되는 유체를 상기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265) 및 상기 제1실내유로(320)를 통해 상기 실내기(400)로 유동시킬 수 있다.
제1연결밸브(340)가 폐쇄되면 제1압축기 연결유로(160)로부터 전달되는 유체가 제1실내유로(320)를 통해 유동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압축기(150)로부터 토출된 유체는 제1압축기 연결유로(160)를 따라 유동되어 상기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260)를 따라 유동될 수 있다.
즉, 제어부(500)는 제1연결밸브(340)를 폐쇄시킴으로써 제1압축기(150)로부터 토출되는 유체가 제2압축기(250)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제어부(500)는 제2연결밸브(350)를 개방시켜 상기 제2압축기(250)로부터 토출되는 유체가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265)를 통해 유동되어 제1실내유로(320)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제2난방모드에서 실내기(400)의 제3열교환기(410)를 통과한 유체는 제2실내유로(330)를 통해 연결모듈(300)로 전달되고, 연결모듈(300)로 전달된 유체는 제1열교환기 연결유로(120)를 통해 제1실외기(100)의 제1열교환기(110)로 유입된 이후 제1압축기(150)로 제공될 수 있다.
제1압축기(150)에서 토출되는 유체는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260)를 통해 제2압축기(250)로 전달되어 2차 압축이 수행될 수 있고, 제2압축기(250)로부터 토출되는 유체는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265)를 통해 연결모듈(300)의 제1실내유로(320)를 따라 실내기(400)로 전달될 수 있다.
연결모듈(300)의 제2실내유로(330)를 유동하는 유체는 전체로서 제1열교환기 연결유로(120)를 통해 제1실외기(100)로 전달될 수도 있고, 유체의 일부가 제1열교환기 연결유로(120)를 통해 제1실외기(100)로 전달됨과 동시에 유체의 나머지가 제2열교환기 연결유로(220)를 통해 제2실외기(200)로 전달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제2열교환기 연결유로(220)를 통해 유체가 제2열교환기(210)를 통과하는 경우, 상기 제2열교환기(210)를 통과한 유체는 후술할 바이패스유로(232)를 통해 제1실외기(100)로 공급되어 제1압축기(150)에 의해 1차 압축이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난방모드에서 실내기(400)의 제3열교환기(410)를 통과한 유체는 전체로서 제1압축기(150)에 의한 1차 압축이 수행된 이후 제2압축기(250)에 의한 2차 압축이 수행되어 다시 실내기(400)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모듈(300)에서 제1연결밸브(340) 및 제2연결밸브(350)의 배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내지 5를 참고하면, 상기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265)는 상기 제1압축기 연결유로(160) 및 상기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260)보다 상기 실내기(400)측에 더 가까운 위치에서 상기 제1실내유로(320)와 연결되고, 상기 제1연결밸브(340)는 상기 제1실내유로(320)상에서 상기 제1압축기 연결유로(160) 및 상기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260)보다 상기 실내기(400)측에 더 가깝고, 상기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265)보다 상기 실내기(400)측으로부터 더 멀리 위치될 수 있다.
난방모드에서 제1실내유로(320)는 실내기(400)의 제3열교환기(410)로 공급되는 유체가 유동되는 유로에 해당되고, 상기 난방모드를 기준으로,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265)는 상기 제1실내유로(320)에서 제1압축기 연결유로(160) 및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260)보다 하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실내유로(320)에서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265)의 연결점은 제1압축기 연결유로(160)의 연결점 및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260)의 연결점보다 하류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실내유로(320)를 기준으로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265)의 연결점은 타 유로의 연결점보다 실내기(400)에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제1연결밸브(340)는 제1실내유로(320)를 기준으로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265)보다 실내기(400)로부터 더 멀리 위치되고, 제1압축기 연결유로(160) 및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260)보다 실내기(400)에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즉, 제1연결밸브(340)는 제1실내유로(320)는 제1압축기 연결유로(160) 및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260)와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26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연결모듈(300)은 상기 제1연결밸브(340)가 폐쇄되면 제1압축기 연결유로(160)로부터 전달되는 유체가 제1실내유로(320)를 통해 실내기(400)측으로 유동되지 못하고, 제1압축기 연결유로(160)와 연통된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260)를 통해 유동되어 제2압축기(250)로 전달될 수 있다.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265)는 제2연결밸브(350)가 상기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265)상에 마련되므로, 제2연결밸브(350)의 작동에 따라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265)의 유체 유동이 직접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압축기 연결유로(160) 및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260) 각각에 밸브를 마련하는 대신 제1실내유로(320)상의 제1연결밸브(340)만을 이용하여 유로간의 연통관계에 따라 효과적으로 제1압축기(150)로부터 전달되는 유체의 유동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1압축기 연결유로(160), 제1실내유로(320) 및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260)간의 유체 유동 관계에 대해 복잡한 밸브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단일 유로의 유동 조절을 수행하는 제1연결밸브(340)만으로 상기 3개의 유로 사이에서 유동 방향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어 유리하다.
한편, 도 3 내지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실외기(200)는 제2압축기 유입유로(270), 제2압축기 유입측 분기유로(274), 제2압축기 유출유로(280) 및 제2압축기 멀티밸브(29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압축기 유입유로(270)는 상기 제2압축기(250)의 유체유입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2압축기(250)는 유체유입부를 통해 유체를 공급받고, 공급받은 유체를 압축하여 유체유출부를 통해 유출시킬 수 있다.
즉, 제2압축기(250)의 유체유입부에 연결된 제2압축기 유입유로(270)를 따라 유동되는 유체는 제2압축기(250)로 제공되는 유체에 해당된다.
제2압축기 유입유로(270)상에는 제2어큐뮬레이터(272)가 마련될 수 있다. 제2어큐뮬레이터(272)는 제2압축기 유입유로(270)를 유동하는 유체 중 액상 유체와 기상 유체를 분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어큐뮬레이터(272)는 제2압축기 유입유로(270) 내부의 유체 중 액상 유체를 제외하고 기상 유체만을 제2압축기(250)측으로 전달하여 제2압축기(250)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압축기(150)는 제1압축기 연결유로(170)상에 제1어큐뮬레이터(172)가 마련될 수 있으며, 제1어큐뮬레이터(172)는 제2어큐뮬레이터(272)와 마찬가지로 제1압축기 연결유로(170)를 유동하는 유체 중 액상 유체와 기상 유체를 분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제2압축기 유입측 분기유로(274)는 상기 제2압축기 유입유로(270)로부터 분기될 수 있다. 상기 제2압축기 유입유로(270)와의 관계를 고려할 때, 제2압축기 유입측 분기유로(274)를 통해 유동되는 유체는 제2압축기 유입유로(270)로 전달되어 상기 제2압축기(250)의 유체유입부를 통해 제2압축기(250)로 제공되어 압축될 수 있다.
제2압축기 유출유로(280)는 상기 제2압축기(250)의 유체유출부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제2압축기(250)를 통해 압축된 유체는 제2압축기 유출유로(280)를 따라 유동하게 된다. 즉, 제2압축기 유입유로(270) 및 제2압축기 유입측 분기유로(274)를 따라 유동되는 유체는 제2압축기(250)로 공급되어 압축된 이후 제2압축기 유출유로(280)를 따라 유동될 수 있다.
제2압축기 멀티밸브(290)는 상기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260), 상기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265), 상기 제2압축기 유출유로(280) 및 상기 제2압축기 유입측 분기유로(274)가 함께 연결되고, 연결된 복수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압축기 멀티밸브(290)는 유로가 연결되는 포트가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260), 상기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265), 상기 제2압축기 유출유로(280) 및 상기 제2압축기 유입측 분기유로(274)가 함께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압축기 멀티밸브(290)는 연결된 복수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서로 연통시킬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제2압축기 멀티밸브(290)는 연결된 복수의 유로 중 어느 하나를 다른 하나와 연통시킬 수 있고, 나머지 중 하나와 다른 하나의 연통시킬 수 있다.
유체는 상기 제2압축기 멀티밸브(290)에 의해 상호 연통관계에 있는 유로간의 유동만이 허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제2압축기 멀티밸브(290)에 의해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260)와 상기 제2압축기 유입측 분기유로(274)가 연통되는 경우,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260)를 통해 유동되는 유체는 타 유로로 전달되지 못하고 제2압축기 유입측 분기유로(274)로 전달될 수 있다.
제2압축기 멀티밸브(290)는 연결된 복수의 유로, 즉 상기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260), 상기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265), 상기 제2압축기 유출유로(280) 및 상기 제2압축기 유입측 분기유로(274) 중 어느 하나를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킬 수 있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제2압축기 멀티밸브(290)는 각 포트별로 개폐가 가능한 전자식 제어형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각 포트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홀을 포함하는 볼 타입 밸브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4 내지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볼 타입 밸브에 해당되는 제2압축기 멀티밸브(290)가 개략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이 경우, 제2압축기 멀티밸브(290)는 볼 형태의 밸브체의 회전에 따라 서로 연통되는 유로가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260), 상기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265), 상기 제2압축기 유출유로(280) 및 상기 제2압축기 유입측 분기유로(274)가 함께 연결되는 제2압축기 멀티밸브(290)의 제어를 통해 복수의 운전모드에서 유체의 유동 방향을 효과적으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2압축기(250)로 유입되는 유체가 유동되는 유로를 효과적으로 결정할 수 있고, 제2압축기(250)로부터 유출되는 유체가 유동되는 유로를 효과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1난방모드에서 상기 제2압축기 멀티밸브(290)를 제어하여 상기 제2압축기 유출유로(280)와 상기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260)를 연통시키고 상기 제2압축기 유입측 분기유로(274)와 상기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265)를 연통시키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난방모드에서 상기 제2압축기 멀티밸브(290)를 제어하여 상기 제2압축기 유출유로(280)와 상기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265)를 연통시키고 상기 제2압축기 유입측 분기유로(274)와 상기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260)를 연통시킬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제1난방모드에서 제2압축기 멀티밸브(290)에 의해 제2압축기 유출유로(280)와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260)가 연통됨에 따라, 제2압축기(250)로부터 토출되는 유체가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260)를 통해 제1실내유로(320)로 유입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연결밸브(340)가 개방되어 제2압축기(250)로부터 토출된 유체가 결국 실내기(400)의 제3열교환기(410)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2압축기 유입측 분기유로(274)와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265)가 상호 연통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연결밸브(350)가 폐쇄상태로 제어됨에 따라, 상기 제2압축기 유입측 분기유로(274) 및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265)의 유체 유동은 차단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제2난방모드에서 제2압축기 멀티밸브(290)에 의해 제2압축기 유입측 분기유로(274)와 제1압축기(150) 제1연결유로가 연통될 수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연결밸브(340)가 폐쇄됨에 따라 제1압축기(150)로부터 토출되는 유체는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260)를 통해 제2압축기 유입측 분기유로(274)로 유동되어 제2압축기(250)로 공급 및 압축될 수 있다.
또한, 제2압축기 유출유로(280)와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265)가 연통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연결밸브(350)가 개방됨에 따라, 제1압축기(150)에서 토출되어 제2압축기(250)에서 2차적으로 압축된 유체는 제2압축기 유출유로(280)를 통해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265)를 따라 유동되고, 제1실내유로(320)를 통해 실내기(400)로 공급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2압축기(250)로부터 토출되는 유체가 유동될 수 있는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260) 및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265)가 마련되고, 경우에 따라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260)에는 제2압축기(250)로부터 토출되는 유체가 유동되거나 제2압축기(250)로 전달되는 유체가 유동될 수 있으며, 위와 같은 유로간의 연통관계가 제2압축기 멀티밸브(290)를 통해 이루어지므로, 복수의 유로에 대해 간단하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2실외기(200)는 제2압축기 유출측 분기유로(282), 제2열교환기유로(230) 및 제2열교환기 멀티밸브(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압축기 유출측 분기유로(282)는 상기 제2압축기 유출유로(280)로부터 분기되고, 유체 유동을 단속하는 제2압축기 분기밸브(28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압축기(250)에 의해 압축되어 토출되는 유체는 제2압축기 유출유로(280)를 따라 유동되고, 제2압축기 유출측 분기유로(282)는 상기 제2압축기 분기밸브(284)가 개방되면 제2압축기(250)로부터 토출된 유체가 유동될 수 있다.
제2열교환기유로(230)는 상기 제2열교환기(21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열교환기(210)는 일측에 제2열교환기 연결유로(220)가 연결될 수 있고, 타측에 제2열교환기유로(230)가 연결될 수 있다.
도 4 및 5와 같은 난방모드에서 제2열교환기(210)는 제2열교환기 연결유로(220)를 통해 유체가 유입되고 제2열교환기유로(230)를 통해 유체가 유출될 수 있다. 도 6과 같은 냉방모드에서 제2열교환기(210)는 제2열교환기유로(230)를 통해 유체가 유입되고 제2열교환기 연결유로(220)를 통해 유체가 유출될 수 있다. 제1실외기(100)의 제1열교환기(110)는 일측에 제1열교환기 연결유로(120)가 연결될 수 있고 타측에 제1열교환기유로(130)가 연결될 수 있다.
제2열교환기 멀티밸브(240)는 상기 제2압축기 유출측 분기유로(282), 상기 제2열교환기유로(230) 및 상기 제2압축기 유입유로(270)가 함께 연결되고, 연결된 복수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킬 수 있다.
제2열교환기(210)와 연결되는 복수의 유로, 즉 상기 제2압축기 유출측 분기유로(282), 상기 제2열교환기유로(230) 및 상기 제2압축기 유입유로(270)는 상기 제2열교환기 멀티밸브(240)에 의해 상호 연통관계에 있는 유로간의 유동만이 허용될 수 있다. 제2열교환기 멀티밸브(240)는 연결된 복수의 유로 중 어느 하나를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킬 수 있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제2열교환기 멀티밸브(240)는 각 포트별로 개폐가 가능한 전자식 제어형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각 포트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홀을 포함하는 볼 타입 밸브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4 내지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볼 타입 밸브에 해당되는 제2열교환기 멀티밸브(240)가 개략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이 경우, 제2열교환기 멀티밸브(240)는 볼 형태의 밸브체의 회전에 따라 서로 연통되는 유로가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2압축기 유출측 분기유로(282), 상기 제2열교환기유로(230) 및 상기 제2압축기 유입유로(270)가 함께 연결되는 제2열교환기 멀티밸브(240)의 제어를 통해 복수의 운전모드에서 유체의 유동 방향을 효과적으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500)는 상기 제1난방모드에서 상기 제2열교환기 멀티밸브(240)를 제어하여 상기 제2열교환기유로(230)와 상기 제2압축기 유입유로(270)를 연통시키고 상기 제2압축기 분기밸브(284)를 제어하여 상기 제2압축기 유출측 분기유로(282)의 유체 유동을 차단하며, 상기 제2난방모드에서 상기 제2열교환기 멀티밸브(240)를 제어하여 상기 제2열교환기유로(230), 상기 제2압축기 유입유로(270) 및 상기 제2압축기 유출측 분기유로(282)간의 유체 유동을 차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난방모드에서 제2열교환기 멀티밸브(240)는 제어부(500)에 의해 제2열교환기유로(230)와 제2압축기 유입유로(270)를 연통시키도록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실내유로(330), 제2열교환기 연결유로(220) 및 제2열교환기(210)를 지나 제2열교환기유로(230)를 유동하는 유체는 제2열교환기 멀티밸브(240)를 통해 제2압축기 유입유로(270)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제2열교환기 멀티밸브(240)는 제어부(500)에 의해 제2압축기 유출측 분기유로(282) 유체 유동이 차단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2열교환기 멀티밸브(240)가 직접 제2압축기 유출측 분기유로(282)의 유체 유동을 차단시키도록 마련되거나 제어부(500)에 의해 제2압축기 분기밸브(284)가 폐쇄되어 유체 유동이 차단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제1난방모드에서 제2열교환기 멀티밸브(240) 및 제2압축기 분기밸브(284)가 동시에 제2압축기 유출측 분기유로(282)의 유체 유동을 차단시키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난방모드에서 제2압축기 멀티밸브(290)에 의해 제2압축기 유출유로(280)와 제2압축기(250) 연결유로가 연통되어 제2압축기(250)로부터 토출되는 유체가 제2압축기(250) 연결유로를 따라 유동되어 연결모듈(300)로 전달될 수 있고, 제2열교환기 멀티밸브(240)에 의해 제2열교환기유로(230)와 제2압축기 유입유로(270)가 연통되어 제2열교환기(210)를 지난 유체가 제2압축기 유입유로(270)를 따라 제2압축기(250)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제2난방모드에서 제2열교환기 멀티밸브(240)는 제어부(500)에 의해 상기 제2열교환기유로(230), 상기 제2압축기 유입유로(270) 및 상기 제2압축기 유출측 분기유로(282)가 서로 연통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제2난방모드에서 제2열교환기유로(230), 제2압축기 유입유로(270) 및 제2압축기 유출측 분기유로(282)는 서로간의 유체 유동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제2압축기 분기밸브(284)는 제어부(50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제2난방모드에서, 제1압축기(150)로부터 유출되어 제1압축기 연결유로(160)를 따라 연결모듈(300)로 유입되는 유체는 제1연결밸브(340)의 폐쇄에 의해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260)로 유입되고,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260)를 따라 유동되는 유체는 제2압축기 멀티밸브(290)에 의해 제2압축기 유입측 분기유로(274)로 전달될 수 있다. 제2압축기 유입측 분기유로(274)로 전달되는 유체는 제2압축기 유입유로(270)를 통해 제2압축기(250)의 유체유입부로 전달될 수 있다.
제2압축기(250)로부터 유출되는 유체는 제2압축기 유출유로(280)를 따라 유동되고, 제2압축기 멀티밸브(290)에 의해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265)로 전달되어 연결모듈(300)의 제1실내유로(320)로 유동될 수 있다.
제2열교환기 연결유로(220)를 따라 유동되어 제2열교환기(210)를 통과하는 유체는 제2열교환기유로(230)가 제2열교환기 멀티밸브(240)에 의해 유동이 차단됨에 따라 제2압축기(250)로 전달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제2난방모드에서 제2실외기(200)는 연결모듈(300)로부터 전달되는 유체가 제2압축기(250)에 전달되지 않고, 제2압축기 멀티밸브(290) 및 제2열교환기 멀티밸브(240)의 제어에 의해 제1실외기(100)의 제1압축기(150)를 통해 1차적으로 압축된 유체만이 제2압축기(250)로 제공되어 유체의 다단계적 압축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2압축기 멀티밸브(290) 및 제2열교환기 멀티밸브(240)의 제어에 의해 제1난방모드와 제2난방모드가 효율적으로 전환될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열교환기 멀티밸브(240)는 유체 유동이 차단되는 차단유로(242)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2난방모드에서 상기 제2열교환기 멀티밸브(240)를 제어하여 상기 제2압축기 유입유로(270)와 상기 차단유로(242)를 연통시키고, 상기 제2열교환기유로(230)와 상기 제2압축기 유출측 분기유로(282)를 연통시키며, 상기 제2압축기 분기밸브(284)를 제어하여 상기 열교환기유로와 상기 제2압축기 유출측 분기유로(282)간의 유체 유동을 차단할 수 있다.
제2열교환기 멀티밸브(240)에 연결되는 복수의 유로는 제2열교환기 멀티밸브(240)의 제어를 통해 상기 차단유로(242)와 연통되는 경우, 상기 차단유로(242)에 의해 유체 유동이 차단될 수 있다. 즉, 차단유로(242)는 연통된 유로를 폐쇄하는 밸브와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난방모드에서 제2열교환기 멀티밸브(240)는 차단유로(242)와 제2압축기 유출측 분기유로(282)를 연통시키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난방모드에서 제2압축기 유출측 분기유로(282)는 유체 유동이 차단될 수 있다. 제2압축기 분기밸브(284) 또한 제어부(500)에 의해 폐쇄상태로 제어될 수 있다.
제2난방모드에서 제2열교환기 멀티밸브(240)는 차단유로(242)와 제2열교환기유로(230) 또는 제2압축기 유입유로(270)를 연통시킬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열교환기유로(230)와 차단유로(242)가 연통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즉, 제2난방모드에서 제2열교환기유로(230) 및 제2압축기 유입유로(270) 중 어느 하나는 차단유로(242)와 연통되어 유체 유동이 차단될 수 있고, 나머지 하나는 제2압축기 유출측 분기유로(282)와 연통될 수 있으며, 제2압축기 분기밸브(284)가 폐쇄상태로 제어됨으로써 상기 나머지 하나의 유체 유동이 차단될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압축기 유입유로(270)와 차단유로(242)가 연통되고, 제2열교환기유로(230)와 제2압축기 유출측 분기유로(282)가 연통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2열교환기 멀티밸브(240)에 차단유로(242)가 연결됨으로써, 제2열교환기 멀티밸브(240) 및 제2압축기 분기밸브(284)의 제어만으로 복수의 유로가 효과적으로 유체 유동이 차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실외기(100)는 제1압축기 연결유로(17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바이패스유로(232)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1난방모드에서 상기 바이패스밸브(234)를 제어하여 상기 바이패스유로(232)의 유체 유동을 차단하며, 상기 제2난방모드에서 상기 바이패스유로(232)의 유체 유동을 허용하여 상기 제2열교환기(210)로부터 상기 제1압축기 연결유로(170)측으로 유체를 유동시킬 수 있다.
제1압축기 연결유로(170)는 상기 제1압축기(150)의 유체유입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압축기(150)는 제1압축기 연결유로(170)를 따라 전달되는 유체가 유체유입부를 통해 유입되어 압축될 수 있고, 제1압축기 연결유로(170)상에는 제1어큐뮬레이터(172)가 마련될 수 있다.
제1어큐뮬레이터(172)는 제1압축기 연결유로(170)상에서 제1열교환기 멀티밸브(140) 및 제1압축기 유입측 분기유로(174)와 제1압축기(15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제2어큐뮬레이터(272)의 위치 또한 제1어큐뮬레이터(172)와 동일한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바이패스유로(232)는 상기 제2열교환기유로(230)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1압축기 연결유로(170)측으로 유체를 유동시키도록 마련되며, 유체의 유동을 단속하는 바이패스밸브(234)가 마련될 수 있다.
바이패스유로(232)는 제2열교환기유로(230)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2열교환기(210)를 통과한 유체가 유동될 수 있다. 바이패스유로(232)는 제2열교환기유로(230)상에서 제2열교환기(210)와 제2열교환기 멀티밸브(240)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바이패스유로(232)상에는 바이패스밸브(234)가 마련될 수 있고, 바이패스밸브(234)의 개폐여부에 따라 바이패스유로(232) 내의 유체 유동이 단속될 수 있다. 바이패스밸브(234)는 제어부(5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제1난방모드에서 바이패스밸브(234)를 폐쇄시켜 상기 바이패스유로(232)를 통한 유체의 유동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난방모드에서 제2열교환기 연결유로(220)를 통해 제2실외기(200)로 유입되는 유체는 전체로서 제2압축기(250)를 거쳐 다시 연결모듈(300)로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제2난방모드에서 바이패스밸브(234)를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열교환기 멀티밸브(240)를 통해 제2열교환기유로(230)의 유체 유동을 차단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난방모드에서 제2열교환기 연결유로(220)를 통해 유동되어 제2열교환기(210)를 통과하는 유체는 전체로서 바이패스유로(232)를 따라 유동될 수 있다. 즉, 제2실외기(200)로 제공되는 유체는 제2압축기(250)를 거치지 않고 바이패스유로(232)를 통해 제1실외기(100)로 전달되어 제1압축기(150)에 의해 1차적으로 압축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5에 도시되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바이패스유로(232)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연결모듈(300) 내부를 지나도록 마련되고, 상기 바이패스밸브(234)는 상기 연결모듈(300)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바이패스유로(232)는 제1실외기(100)와 제2실외기(200)를 연결하며, 이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실외기(100) 및 상기 제2실외기(2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실외기(100) 및 제2실외기(200)를 연결하는 바이패스유로(232)는 연결모듈(300)을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연결모듈(300) 내부에는 바이패스밸브(234)가 마련될 수 있고, 제어부(500)에 의해 개폐가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실외기(100)는 제1압축기 유입측 분기유로(174), 제1압축기 유출유로(180) 및 제1압축기 멀티밸브(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압축기 유입측 분기유로(174)는 상기 제1압축기 연결유로(170)로부터 분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압축기 유입측 분기유로(174)를 유동하는 유체는 제1압축기 연결유로(170)를 유동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압축기 유입측 분기유로(174)로 유입되는 유체는 제1압축기 연결유로(170)를 따라 유동되어 제1압축기(150)로 유입될 수 있고, 제1압축기 연결유로(170)를 따라 유동되는 유체가 제1압축기 유입측 분기유로(174)로 전달되어 유동될 수도 있다.
제1압축기 유출유로(180)는 상기 제1압축기(150)의 유체유출부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압축기 유출유로(180)상에는 제1압축기(150)에 의해 압축된 유체가 유동될 수 있다.
제1압축기 멀티밸브(190)는 상기 제1압축기 연결유로(160), 상기 바이패스유로(232), 상기 제1압축기 유출유로(180) 및 상기 제1압축기 유입측 분기유로(174)가 함께 연결되고, 연결된 복수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1난방모드 및 상기 제2난방모드에서 상기 제1압축기 유출유로(180)와 상기 제1압축기 연결유로(160)를 연통시키고 상기 바이패스유로(232)와 상기 제1압축기 유입측 분기유로(174)를 연통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난방모드 및 제2난방모드에서, 제1압축기(150)에서 압축되어 토출되는 유체는 제1압축기 유출유로(180) 및 제1압축기 연결유로(160)를 따라 유동되어 연결모듈(300)로 전달될 수 있다.
다만, 제1압축기 연결유로(160)를 따라 연결모듈(300)로 전달되는 유체는 제1난방모드에서 제1실내유로(320)를 통해 실내기(400)로 전달될 수 있고, 제2난방모드에서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260)를 통해 제2실외기(200)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제1난방모드 및 제2난방모드에서, 제1압축기 멀티밸브(190)에 의해 바이패스유로(232)와 제1압축기 유입측 분기유로(174)가 연통되어 상기 바이패스유로(232)를 통해 유동되는 유체가 제1압축기 유입측 분기유로(174)를 거쳐 제1압축기 연결유로(170)를 따라 유동될 수 있다.
즉, 제1난방모드 및 제2난방모드에서 제2실외기(200)로부터 바이패스유로(232)를 따라 유동되는 유체는 제2압축기(250)로 전달될 수 있다. 다만, 제1난방모드에서는 바이패스밸브(234)가 폐쇄되고 제2난방모드에서는 바이패스밸브(234)가 개방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실외기(100)는 제1압축기 유출측 분기유로(182), 제1열교환기유로(130) 및 제1열교환기 멀티밸브(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압축기 유출측 분기유로(182)는 상기 제1압축기 유출유로(180)로부터 분기되고, 유체 유동을 단속하는 제1압축기 분기밸브(184)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압축기(150)로부터 토출되는 유체는 제1압축기 유출유로(180)를 거쳐 제1압축기 유출측 분기유로(182)를 따라 유동될 수 있다.
제1열교환기유로(130)는 상기 제1열교환기(110)와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열교환기(110)의 일측에는 제1열교환기 연결유로(120)가 연결되고 타측에는 제1열교환기유로(130)가 연결될 수 있다.
제1열교환기 멀티밸브(140)는 상기 제1압축기 유출측 분기유로(182), 상기 제1열교환기유로(130) 및 상기 제1압축기 연결유로(170)와 함께 연결되고, 연결된 복수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500)는 상기 제1난방모드 및 상기 제2난방모드에서 상기 제1압축기 멀티밸브(190)를 제어하여 상기 제1압축기 연결유로(160)와 상기 제1압축기 유출유로(180)를 연통시키고 상기 바이패스유로(232)와 상기 제1압축기 유입측 분기유로(174)를 연통시킬 수 있다.
즉, 제1난방모드 및 제2난방모드에서 제1압축기 연결유로(160) 및 제1압축기 유출유로(180)가 연통되어 제1압축기(150)로부터 토출되는 유체가 제1압축기 유출유로(180) 및 제1압축기 연결유로(160)를 따라 유동되어 연결모듈(300)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바이패스유로(232)와 제1압축기 유입측 분기유로(174)가 연통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500)는 제1난방모드에서 바이패스밸브(234)를 폐쇄시켜 바이패스유로(232) 및 제1압축기 유입측 분기유로(174)를 따른 유체의 유동이 차단되도록 하고, 제2난방모드에서 바이패스밸브(234)를 개방시켜 제2열교환기(210)를 거친 유체가 바이패스유로(232) 및 제1압축기 유입측 분기유로(174)를 통해 유동되어 제2압축기(250)에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냉방모드로 운전되는 유체순환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500)는 냉방모드에서 상기 제1압축기 멀티밸브(190)를 제어하여 상기 제1압축기 연결유로(160)와 상기 제1압축기 유입측 분기유로(174)를 연통시키고 상기 바이패스유로(232)와 상기 제1압축기 유출유로(180)를 연통시키며, 상기 바이패스밸브(234)를 제어하여 상기 바이패스유로(232)의 유체 유동을 차단시키고, 상기 제1열교환기 멀티밸브(140)를 제어하여 상기 제1압축기 연결유로(170)의 유체 유동을 차단하고 상기 제1열교환기유로(130)와 상기 제1압축기 유출측 분기유로(182)를 연통시키되 상기 제1압축기 분기밸브(184)를 개방시킬 수 있다.
냉방모드는 난방모드와 달리 실내기(400)의 제3열교환기(410)를 통과한 유체가 제1실내유로(320)를 통해 연결모듈(300)로 제공된 이후 제1실외기(100) 및 제2실외기(200)로 제공될 수 있고, 제1실외기(100) 및 제2실외기(200)로부터 유출되는 유체가 연결모듈(300)에서 제2실내유로(330)를 통해 실내기(400)의 제3열교환기(410)로 제공될 수 있다.
냉방모드에서 제1압축기 멀티밸브(190)는 제1압축기 연결유로(160)와 제1압축기 유입측 분기유로(174)를 연통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실내기(400)로부터 유출되는 유체는 제1실내유로(320), 제1압축기 연결유로(160) 및 제1압축기 유입측 분기유로(174)를 지나 제1압축기(150)에 제공될 수 있다.
제1압축기 멀티밸브(190)는 바이패스유로(232)와 제1압축기 유출유로(180)를 연통시킬 수 있으며, 바이패스밸브(234)는 폐쇄되어 제1압축기 유출유로(180)와 바이패스유로(232)간의 유체 유동이 차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열교환기 멀티밸브(140)는 상기 제1압축기 연결유로(170)의 유체 유동을 차단할 수 있다. 제1열교환기 멀티밸브(140)는 제2열교환기 멀티밸브(240)와 마찬가지로 제1압축기 연결유로(170)만의 유체 유동을 단속할 수 있도록 마련되거나 제1열교환기(110)의 멀티밸브에 마련되는 차단유로(142)와 제1압축기 연결유로(170)를 연통시킴으로써 제1압축기 연결유로(170)를 경유하는 유체의 유동을 차단할 수 있다.
제1열교환기 멀티밸브(140)는 상기 제1열교환기유로(130)와 상기 제1압축기 유출측 분기유로(182)를 연통시키되 상기 제1압축기 분기밸브(184)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압축기(150)로부터 토출되는 유체는 제1압축기 유출측 분기유로(182) 및 제1열교환기유로(130)를 통해 제1열교환기(110)로 유입되고, 제1열교환기(110)로부터 유출되는 유체는 제1열교환기 연결유로(120) 및 제2실내유로(330)를 통해 실내기(400)로 전달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압축기 멀티밸브(190) 및 제1열교환기 멀티밸브(140)의 제어를 통해 제1실외기(100)의 제1난방모드, 제2난방모드 및 냉방모드가 효과적으로 전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냉방모드에서 상기 제2압축기 멀티밸브(290)를 제어하여 상기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260)와 제2압축기 유입측 분기유로(274)를 연통시키고 상기 제2압축기 유출유로(280)와 상기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265)를 연통시키며, 상기 제2연결밸브(350)를 제어하여 상기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265)의 유체 유동을 차단시키고, 상기 제2열교환기 멀티밸브(240)를 제어하여 상기 제2압축기 유입유로(270)의 유체 유동을 차단시키고 상기 제2열교환기유로(230)와 상기 제2압축기 유출측 분기유로(282)를 연통시키며, 상기 제2압축기 분기밸브(284)를 제어하여 상기 제2압축기 유출측 분기유로(282)의 유체 유동을 허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방모드에서 제2압축기 멀티밸브(290)는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260)와 제2압축기 유입측 분기유로(274)를 연통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실내기(400)로부터 유출되는 유체는 제1실내유로(320),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260) 및 제2압축기 유입측 분기유로(274)를 따라 유동되어 제2압축기(250)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2압축기 멀티밸브(290)는 제2압축기 유출유로(280)와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265)를 연통시킬 수 있으며, 연결모듈(300)의 제2연결밸브(350)는 폐쇄상태로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압축기(250)로부터 토출되는 유체가 제2압축기 유출유로(280) 및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265)를 따라 유동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제2열교환기 멀티밸브(240)는 제2열교환기유로(230)와 제2압축기 유출측 분기유로(282)를 연통시킬 수 있다. 제2연결밸브(350)의 폐쇄에 따라 제2압축기(250)로부터 토출되는 유체는 전체로서 제2압축기 유출측 분기유로(282) 및 제2열교환기유로(230)를 따라 유동되어 제2열교환기(210)로 전달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압축기 분기밸브(284)는 개방상태로 제어될 수 있다.
제2열교환기 멀티밸브(240)는 제2압축기 유입유로(270)의 유체 유동을 차단시킬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압축기 유입유로(270)와 제2열교환기 멀티밸브(240)의 차단유로(242)를 연통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제1실외기 110 : 제1열교환기
120 : 제1열교환기 연결유로 122 : 제1보조열교환기
130 : 제1열교환기유로 140 : 제1열교환기 멀티밸브
150 : 제1압축기 160 : 제1압축기 연결유로
170 : 제1압축기 유입유로 180 : 제1압축기 유출유로
184 : 제1압축기 분기밸브 190 : 제1압축기 멀티밸브
200 : 제2실외기 210 : 제2열교환기
220 : 제2열교환기 연결유로 222 : 제2보조열교환기
230 : 제2열교환기유로 232 : 바이패스유로
234 : 바이패스밸브 240 : 제2열교환기 멀티밸브
250 : 제2압축기 260 :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
265 :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 270 : 제2압축기 유입유로
280 : 제2압축기 유출유로 284 : 제2압축기 분기밸브
290 : 제2압축기 멀티밸브 300 : 연결모듈
320 : 제1실내유로 330 : 제2실내유로
340 : 제1연결밸브 350 : 제2연결밸브
400 : 실내기 410 : 제3열교환기

Claims (15)

  1. 제1열교환기 및 제1압축기를 포함하며 유체가 순환되는 제1실외기;
    제2열교환기 및 제2압축기를 포함하며 유체가 순환되는 제2실외기;
    제3열교환기를 포함하며 유체가 순환되는 실내기;
    상기 제1실외기, 상기 제2실외기 및 상기 실내기와 연결되어 유체가 순환되는 연결모듈;
    상기 연결모듈과 상기 실내기를 연결하는 제1실내유로;
    상기 제1압축기와 상기 제1실내유로를 연결하는 제1압축기 연결유로;
    상기 제2압축기와 상기 제1실내유로를 연결하는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 및
    상기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와 병렬적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2압축기와 상기 제1실내유로를 연결하는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모듈은 제1난방모드에서 상기 제1압축기 연결유로 및 상기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 각각으로부터 전달되는 유체를 상기 제1실내유로를 통해 상기 실내기로 전달하되 상기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의 유체 유동은 차단하고, 제2난방모드에서 상기 제1압축기 연결유로로부터 전달되는 유체를 상기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를 통해 상기 제2압축기로 공급하되 상기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로부터 전달되는 유체를 상기 제1실내유로를 통해 상기 실내기로 공급하는 유체순환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모듈은,
    상기 제1실내유로상에 마련되고, 상기 제1압축기 연결유로로부터 전달되는 유체가 상기 제1실내유로로 유동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제1연결밸브; 및
    상기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상에 마련되는 제2연결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난방모드에서 상기 제1연결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2연결밸브는 폐쇄함으로써, 상기 제1압축기 연결유로 및 상기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의 유체를 상기 제1실내유로를 통해 상기 실내기측으로 유동시키고, 상기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의 유체 유동은 차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유체순환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난방모드에서 상기 제1연결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제2연결밸브는 개방함으로써, 상기 제1압축기 연결유로의 유체를 상기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를 통해 상기 제2압축기로 유동시키고, 상기 제2압축기로부터 유출되는 유체를 상기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 및 상기 제1실내유로를 통해 상기 실내기로 유동시키는 유체순환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는 상기 제1압축기 연결유로 및 상기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보다 상기 실내기측에 더 가까운 위치에서 상기 제1실내유로와 연결되고,
    상기 제1연결밸브는 상기 제1실내유로상에서 상기 제1압축기 연결유로 및 상기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보다 상기 실내기측에 더 가깝고, 상기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보다 상기 실내기측으로부터 더 멀리 위치되는 유체순환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실외기는,
    상기 제2압축기의 유체유입부에 연결되는 제2압축기 유입유로;
    상기 제2압축기 유입유로로부터 분기되는 제2압축기 유입측 분기유로;
    상기 제2압축기의 유체유출부에 연결되는 제2압축기 유출유로; 및
    상기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 상기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 상기 제2압축기 유출유로 및 상기 제2압축기 유입측 분기유로가 함께 연결되고, 연결된 복수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제2압축기 멀티밸브;를 포함하는 유체순환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난방모드에서 상기 제2압축기 멀티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제2압축기 유출유로와 상기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를 연통시키고 상기 제2압축기 유입측 분기유로와 상기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를 연통시키며, 상기 제2난방모드에서 상기 제2압축기 멀티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제2압축기 유출유로와 상기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를 연통시키고 상기 제2압축기 유입측 분기유로와 상기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를 연통시키는 유체순환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실외기는,
    상기 제2압축기 유출유로로부터 분기되고, 유체 유동을 단속하는 제2압축기 분기밸브를 포함하는 제2압축기 유출측 분기유로;
    상기 제2열교환기와 연결된 제2열교환기유로; 및
    상기 제2압축기 유출측 분기유로, 상기 제2열교환기유로 및 상기 제2압축기 유입유로가 함께 연결되고, 연결된 복수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제2열교환기 멀티밸브;를 더 포함하는 유체순환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난방모드에서 상기 제2열교환기 멀티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제2열교환기유로와 상기 제2압축기 유입유로를 연통시키고 상기 제2압축기 분기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제2압축기 유출측 분기유로의 유체 유동을 차단하며, 상기 제2난방모드에서 상기 제2열교환기 멀티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제2열교환기유로, 상기 제2압축기 유입유로 및 상기 제2압축기 유출측 분기유로간의 유체 유동을 차단하는 유체순환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열교환기 멀티밸브는 유체 유동이 차단되는 차단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난방모드에서 상기 제2열교환기 멀티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제2압축기 유입유로와 상기 차단유로를 연통시키고, 상기 제2열교환기유로와 상기 제2압축기 유출측 분기유로를 연통시키며, 상기 제2압축기 분기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열교환기유로와 상기 제2압축기 유출측 분기유로간의 유체 유동을 차단하는 유체순환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외기는,
    상기 제1압축기의 유체유입부에 연결되는 제1압축기 유입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열교환기유로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1압축기 유입유로측으로 유체를 유동시키도록 마련되며, 유체의 유동을 단속하는 바이패스밸브가 마련되는 바이패스유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난방모드에서 상기 바이패스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바이패스유로의 유체 유동을 차단하며, 상기 제2난방모드에서 상기 바이패스유로의 유체 유동을 허용하여 상기 제2열교환기로부터 상기 제1압축기 유입유로측으로 유체를 유동시키는 유체순환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유로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연결모듈 내부를 지나도록 마련되고,
    상기 바이패스밸브는 상기 연결모듈 내부에 마련되는 유체순환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외기는,
    상기 제1압축기 유입유로로부터 분기되는 제1압축기 유입측 분기유로;
    상기 제1압축기의 유체유출부에 연결되는 제1압축기 유출유로; 및
    상기 제1압축기 연결유로, 상기 바이패스유로, 상기 제1압축기 유출유로 및 상기 제1압축기 유입측 분기유로가 함께 연결되고, 연결된 복수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제1압축기 멀티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난방모드 및 상기 제2난방모드에서 상기 제1압축기 유출유로와 상기 제1압축기 연결유로를 연통시키고 상기 바이패스유로와 상기 제1압축기 유입측 분기유로를 연통시키는 유체순환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외기는,
    상기 제1압축기 유출유로로부터 분기되고, 유체 유동을 단속하는 제1압축기 분기밸브를 포함하는 제1압축기 유출측 분기유로;
    상기 제1열교환기와 연결되는 제1열교환기유로; 및
    상기 제1압축기 유출측 분기유로, 상기 제1열교환기유로 및 상기 제1압축기 유입유로와 함께 연결되고, 연결된 복수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제1열교환기 멀티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난방모드 및 상기 제2난방모드에서 상기 제1압축기 멀티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제1압축기 연결유로와 상기 제1압축기 유출유로를 연통시키고 상기 바이패스유로와 상기 제1압축기 유입측 분기유로를 연통시키는 유체순환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냉방모드에서 상기 제1압축기 멀티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제1압축기 연결유로와 상기 제1압축기 유입측 분기유로를 연통시키고 상기 바이패스유로와 상기 제1압축기 유출유로를 연통시키며, 상기 바이패스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바이패스유로의 유체 유동을 차단시키고, 상기 제1열교환기 멀티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제1압축기 유입유로의 유체 유동을 차단하고 상기 제1열교환기유로와 상기 제1압축기 유출측 분기유로를 연통시키되 상기 제1압축기 분기밸브를 개방시키는 유체순환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방모드에서 상기 제2압축기 멀티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제2압축기 제1연결유로와 제2압축기 유입측 분기유로를 연통시키고 상기 제2압축기 유출유로와 상기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를 연통시키며, 상기 제2연결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제2압축기 제2연결유로의 유체 유동을 차단시키고, 상기 제2열교환기 멀티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제2압축기 유입유로의 유체 유동을 차단시키고 상기 제2열교환기유로와 상기 제2압축기 유출측 분기유로를 연통시키며, 상기 제2압축기 분기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제2압축기 유출측 분기유로의 유체 유동을 허용하는 유체순환시스템.
KR1020200084696A 2020-07-09 2020-07-09 유체순환시스템 KR202200068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696A KR20220006813A (ko) 2020-07-09 2020-07-09 유체순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696A KR20220006813A (ko) 2020-07-09 2020-07-09 유체순환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6813A true KR20220006813A (ko) 2022-01-18

Family

ID=80052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4696A KR20220006813A (ko) 2020-07-09 2020-07-09 유체순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681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28707B2 (en) Hybrid tandem compressor system with multiple evaporators and economizer circuit
KR100274257B1 (ko) 냉매량 조절을 위한 바이패스 부를 가지는 멀티 에어컨
JPH06100408B2 (ja) 冷却装置
CN105823267B (zh) 热泵系统及其调节方法
EP2597400B1 (en) Heat pump system
US7228700B2 (en) Heating/cooling system
JP4203758B2 (ja) 水冷ヒートポンプ式地中熱利用空調システム
KR100468474B1 (ko) 냉난방시스템
CN111854208B (zh) 热管理系统
KR930009564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KR20220006813A (ko) 유체순환시스템
CN213687362U (zh) 热泵系统和制冷设备
KR100953766B1 (ko) 히트 펌프
JP7477738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
KR100794779B1 (ko) 히트 펌프식 멀티 공기 조화기
CN112082297A (zh) 热泵机组组件及控制方法和热泵机组
WO2008114952A1 (en) Multi-unit air conditioning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JPS581711Y2 (ja) 冷房または暖房用ヘツダ装置
CN217357638U (zh) 换热器和空调器
KR20040094101A (ko) 멀티 에어컨 시스템의 유량 가변형 바이패스 장치
KR20140089797A (ko) 공기조화기
CN115540406B (zh) 用于冷藏冷冻装置的制冷系统以及冷藏冷冻装置
CN112229098B (zh) 热泵系统及其控制方法、控制装置、制冷设备和存储介质
JPH0297847A (ja) 多室対応分離形空気調和機
CN209744779U (zh) 冷水机组和中央空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