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8474B1 - 냉난방시스템 - Google Patents

냉난방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8474B1
KR100468474B1 KR10-2003-0016230A KR20030016230A KR100468474B1 KR 100468474 B1 KR100468474 B1 KR 100468474B1 KR 20030016230 A KR20030016230 A KR 20030016230A KR 100468474 B1 KR100468474 B1 KR 100468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way valve
hot water
pipe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6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0863A (ko
Inventor
김성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16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8474B1/ko
Publication of KR20040080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0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8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84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40Fluid lin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1Indoor unit or outdoor unit with auxiliary heat exchanger not forming part of the indoor or outdoor unit
    • F25B2313/0215Indoor unit or outdoor unit with auxiliary heat exchanger not forming part of the indoor or outdoor unit the auxiliary heat exchanger being used parallel 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during heating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7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 F25B2313/02731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using one three-way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7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 F25B2313/02741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using one four-way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Machines With Reversible 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난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냉방운전과 난방운전의 전환이 가능하고, 냉방과 난방운전시 모두 급탕의 제조가 가능할 뿐 아니라, 시스템의 열교환 효율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시스템은, 압축기, 사방밸브, 사방밸브의 일측과 연계되는 분기배관에 각각의 일측이 병렬로 연결되는 급탕열교환기와 실내열교환기, 급탕열교환기와 실내열교환기의 타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하나로 합류되는 배관에 설치되는 팽창밸브, 양측이 팽창밸브와 사방밸브의 타측에 각각 배관을 통해 연결되는 실외열교환기를 구비하고, 냉방운전시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고온고압냉매가 사방밸브를 통해 실외열교환기를 거쳐 급탕열교환기로 공급될 수 있도록 실외열교환기와 팽창밸브사이의 배관으로부터 분기되어 급탕열교환기 입구 쪽 배관에 연결되는 제1우회배관, 냉방운전시 팽창밸브를 통과한 냉매가 실내열교환기를 거쳐 사방밸브 쪽으로 흐를 수 있도록 팽창밸브의 출구 쪽 배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실내열교환기 쪽으로 연결되는 제2우회배관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냉난방시스템{COOLING AND HEATING SYSTEM}
본 발명은 냉난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방운전과 난방운전이 가능하고, 냉방과 난방운전시 모두 뜨거운 물의 공급이 가능하며 효율이 높은 냉난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수의 제조가 가능한 히트펌프식 급탕시스템은 압축기, 응축기의 기능을 하는 온수열교환기, 팽창장치, 증발기의 기능을 하는 공기열교환기를 갖춘 냉매계통회로를 구비하고, 온수열교환기와 연계되는 수(水)계통회로를 구비한다. 수계통회로는 고온인 온수열교환기를 통해 제조되는 온수를 저장하는 온수탱크, 온수탱크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배관, 사용자가 온수를 이용할 수 있도록 온수탱크와 연결되는 급탕배관을 포함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히트펌프식 급탕시스템은 온수의 제조와 실내의 냉방을 위한 시스템이기 때문에 실내공간의 난방을 위해서는 별도의 공조시스템을 구비해야 하는 결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시스템은 증발기의 기능을 하는 공기열교환기를 통해 실내공간의 냉방을 수행할 수 있으나 실내공간의 난방을 수행할 수 없었기 때문에 시스템의 이용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냉방운전과 난방운전의 전환이 가능하고, 냉방과 난방운전시 모두 급탕의 제조가 가능할 뿐 아니라, 시스템의 열교환효율 및 이용효율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냉난방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시스템 제1실시 예의 사이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시스템 제2실시 예의 사이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시스템 제3실시 예의 사이클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압축기, 11: 사방밸브,
13: 급탕열교환기, 14: 실내열교환기,
17,31,32: 팽창밸브, 18: 실외열교환기,
21: 제1우회배관, 22: 제1삼방밸브,
23: 제2삼방밸브, 24: 제2우회배관,
25: 제3삼방밸브, 26: 보조열교환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시스템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의 토출 측과 흡입 측에 배관을 통해 각각 연결되며 냉매의 흐름방향을 전환시키는 사방밸브, 상기 사방밸브의 일측과 연계되는 분기배관에각각의 일측이 병렬로 연결되는 급탕열교환기와 실내열교환기, 상기 급탕열교환기와 상기 실내열교환기의 타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하나로 합류되는 배관에 설치되는 팽창밸브, 양측이 상기 팽창밸브와 상기 사방밸브의 타측에 각각 배관을 통해 연결되는 실외열교환기를 구비하고, 냉방운전시 상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고온고압냉매가 상기 사방밸브를 통해 상기 실외열교환기를 거쳐 상기 급탕열교환기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실외열교환기와 상기 팽창밸브사이의 배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급탕열교환기 입구 쪽 배관에 연결되는 제1우회배관, 냉방운전시 상기 팽창밸브를 통과한 냉매가 상기 실내열교환기를 거쳐 상기 사방밸브 쪽으로 흐를 수 있도록 상기 팽창밸브의 출구 쪽 배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실내열교환기 쪽으로 연결되는 제2우회배관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냉방운전시와 난방운전시의 유로변경을 위해 상기 제1우회배관의 상기 실외열교환기 쪽 배관분기부에 마련되는 제1삼방밸브, 상기 제1우회배관의 상기 급탕열교환기 쪽 배관연결부에 마련되는 제2삼방밸브, 상기 제2우회배관의 상기 실내열교환기 쪽 배관연결부에 마련된 제3삼방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난방운전시 상기 압축기로부터 공급되는 고온고압의 냉매가 상기 제2삼방밸브와 상기 제3삼방밸브의 선택적인 개폐동작에 의해 상기 실내열교환기와 상기 급탕열교환기 중 어느 한쪽으로 공급되거나 양쪽으로 동시에 공급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사방밸브를 거쳐 상기 압축기의 흡입 측으로 복귀하는 저온저압의 냉매가 상기 팽창밸브 상류 측 고온고압의 냉매와 열교환을 하도록 하는 보조열교환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시스템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의 토출 측과 흡입 측에 배관을 통해 각각 연결되며 냉매의 흐름방향을 전환시키는 사방밸브, 상기 사방밸브의 일측과 연계되는 분기배관에 각각 일측이 병렬로 연결되는 급탕열교환기와 실내열교환기, 상기 급탕열교환기와 상기 실내열교환기 타측의 배관에 각각 설치되는 제1팽창밸브와 제2팽창밸브, 상기 두 팽창밸브로부터 연장되어 하나로 합류되는 배관에 그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사방밸브에 연결되는 실외열교환기를 구비하고, 냉방운전시 상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고온고압냉매가 상기 사방밸브를 통해 상기 실외열교환기를 거쳐 상기 급탕열교환기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실외열교환기와 상기 두 팽창밸브사이를 연결하는 배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급탕열교환기 입구 쪽 배관에 연결되는 우회배관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난방운전시 상기 압축기로부터 상기 급탕열교환기와 상기 실내열교환기로 공급되는 냉매의 양이 상기 제1팽창밸브와 상기 제2팽창밸브의 개도조절을 통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냉방운전시 상기 우회배관과 상기 급탕열교환기를 거친 냉매가 상기 제1팽창밸브와 상기 제2팽창밸브를 거쳐 상기 실내열교환기로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시스템의 제1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냉난방시스템은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10)를 구비한다. 또 냉난방시스템은 압축기(10)의 토출 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냉매의 흐름방향을 선택적으로 변환시키는 사방밸브(11)와, 사방밸브(11)와 연계되는 배관(12)으로부터 두 갈래로 분기되는 배관에 각각 병렬로 연결되는 급탕열교환기(13)와 실내열교환기(14)를 구비한다. 급탕열교환기(13)는 순환하는 고온의 냉매와 열교환을 통해 뜨거운 물을 만들 수 있도록 외부의 물이 공급되는 급수구(15)와 뜨거운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16)를 구비한다.
또 냉난방시스템은 냉매의 감압팽창을 위한 팽창밸브(17)와, 순환하는 냉매가 외기와 열교환되도록 하는 실외열교환기(18)를 구비한다. 팽창밸브(17)는 급탕열교환기(13)와 실내열교환기(14)로부터 연장되어 하나로 합류되는 배관(19)의 중도에 설치되고, 실외열교환기(18)는 그 양측이 각각 팽창밸브(17)와 사방밸브(11)에 배관을 통해 연결된다. 따라서 압축기(10)로부터 토출되는 고온고압의 냉매는 사방밸브(11)의 전환동작에 따라 실내열교환기(14)와 급탕열교환기(13) 쪽으로 흐르거나 실외열교환기(18) 쪽으로 흐를 수 있게 되는데, 냉매가 실외열교환기(18) 쪽으로 흐르면 냉방운전이 되고 그 반대로 흐르면 난방운전이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냉방운전시 압축기(10)로부터 토출되는 고온 고압의 냉매가 실외열교환기(18)를 거쳐 급탕열교환기(13) 쪽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실외열교환기(18)와 팽창밸브(17) 사이의 배관(20)으로부터 분기되어 급탕열교환기(13)의 입구 쪽 배관에 연결되는 제1우회배관(21)을 구비한다. 또 제1우회배관(21)의 실외열교환기(18) 쪽 배관분기부에는 제1삼방밸브(22)가 설치되고, 제1우회배관(21)의 급탕열교환기(13) 쪽 배관연결부에는 제2삼방밸브(23)가 설치된다. 제1삼방밸브(22)와 제2삼방밸브(23)는 냉방운전시와 난방운전시 유로변경을 통해 냉매의 순환방향이 바뀌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냉방운전시 팽창밸브(17)를 통과한 냉매가 실내열교환기(14)를 거쳐 사방밸브(11) 쪽으로 흐를 수 있도록 팽창밸브(17)의 출구 쪽 배관(20)으로부터 분기되어 실내열교환기(14) 쪽으로 연결되는 제2우회배관(24)을 구비하며, 제2우회배관(24)이 연결되는 실내열교환기(14) 쪽 배관연결부에는 제3삼방밸브(25)가 설치된다. 제3삼방밸브(25)는 냉방운전시와 난방운전시의 유로변경을 통해 냉매순환방향이 바뀌도록 한다. 한편 이러한 급탕기능을 갖춘 냉난방시스템에 있어서 냉매는 이산화탄소(CO2)가 이용된다.
다음은 제1실시 예에 따른 냉난방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에서 실선으로 된 화살표는 난방운전시의 냉매흐름을 보인 것이고, 파선으로 된 화살표는 냉방운전시의 냉매흐름을 보인 것이다.
난방운전시에는 사방밸브(11)의 동작에 의해 압축기(10)로부터 토출되는 고온고압의 냉매가 실내열교환기(14)와 급탕열교환기(13) 쪽으로 흐르도록 유로가 전환된다. 또 제1삼방밸브(22)는 팽창밸브(17)를 거친 냉매가 실외열교환기(18) 쪽으로 흐르도록 유로가 전환되고, 제2삼방밸브(23)는 압축기(10)로부터 공급되는 냉매가 급탕열교환기(13) 쪽으로 흐르도록 유로가 전환되며, 제3삼방밸브(25)는 실내열교환기(14)를 거친 냉매가 팽창밸브(17) 쪽으로 흐르도록 유로가 전환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10)가 가동되면 압축기(10)에서 토출되는 고온 고압의 냉매는 사방밸브(11)를 거친 후 병렬로 배열된 급탕열교환기(13)와 실내열교환기(14)에 공급된다. 따라서 실내열교환기(14)를 통해 실내공간의 난방을 수행함과 동시에 급탕열교환기(13)를 통해 온수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급탕열교환기(13)는 급수구(15)를 통해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이 고온의 냉매에 의해 가열되어 온수가 된 후 배출구(16)로 배출된다. 또한 이때는 제2삼방밸브(23)와 제3삼방밸브(25)의 선택적인 유로전환동작을 통해 압축기(10)로부터 공급되는 고온 고압의 냉매가 실내열교환기(14)와 급탕열교환기(13) 중 어느 한 쪽으로 공급되도록 하거나 양쪽으로 동시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난방기능과 급탕기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거나 두 기능을 동시에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급탕기능만을 사용할 때는 제3삼방밸브(25)의 유로전환을 통해 실내열교환기(14) 출구가 폐쇄하도록 하면 된다.
급탕열교환기(13)와 실내열교환기(14)를 거치면서 열교환된 냉매는 팽창밸브(17)를 통과하면서 저온 저압의 냉매가 된다. 그리고 이 냉매는 실외열교환기(18)와 사방밸브(11)를 차례로 거쳐 압축기(10)의 흡입 측으로 흐른다. 이때 실외열교환기(18)를 통과하는 냉매는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외기와 열교환을 하며 외기로부터 열을 흡수하면서 기체상태로 된다.
한편 냉방운전시에는 상술한 경우와 반대로 사방밸브(11)의 동작에 의해 압축기(10)로부터 토출되는 고온고압의 냉매가 실외열교환기(18) 쪽으로 흐르도록 유로가 전환된다. 또 제1삼방밸브(22)와 제2삼방밸브(23)는 실외열교환기(18)를 거친냉매가 제1우회배관(21)을 통해 급탕열교환기(13) 쪽으로 흐를 수 있도록 각각 유로가 전환되고, 제3삼방밸브(25)는 팽창밸브(17)를 거친 냉매가 제2우회배관(24)을 통해 실내열교환기(14) 쪽으로 흐를 수 있도록 유로가 전환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10)가 동작하면 압축기(10)에서 토출되는 고온 고압의 냉매는 사방밸브(10)를 거친 후 실외열교환기(18)로 공급되어 외기와 열교환을 하고, 계속해서 제1우회배관(21)을 통해 급탕열교환기(13) 쪽으로 공급되어 뜨거운 온수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급탕열교환기(13)를 거친 냉매는 팽창밸브(17)를 거치면서 저온 저압의 냉매가 되고, 이 냉매는 제2우회유로(24)를 통해 실내열교환기(14)로 공급되어 실내공간의 냉방을 수행한다. 그리고 실내열교환기(14)를 거친 냉매는 사방밸브(11)를 거쳐 압축기(10)의 흡입 측으로 흐른다. 이처럼 본 발명은 고온고압의 냉매가 실외열교환기(18) 뿐 아니라 급탕열교환기(13)를 거치면서 냉각되기 때문에 종래의 냉난방시스템보다 효율이 현저히 향상될 뿐 아니라, 냉방운전과 난방운전 모두에서 뜨거운 온수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시스템의 제2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는 상술한 제1실시 예의 구성에 더하여 사방밸브(11)를 거쳐 압축기(10)의 흡입 측으로 복귀하는 저온 저압의 냉매가 팽창밸브(17) 상류 측의 고온 고압의 냉매와 열교환을 하도록 함으로써 시스템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팽창밸브(17) 상류 측 배관(19)에는 보조열교환기(26)가 설치되고, 사방밸브(11)로부터 압축기(10)의 흡입 측으로 흐르는 냉매가 보조열교환기(26)를 경유하도록 하는배관(27)이 마련된다.
제2실시 예에 따른 냉난방시스템의 동작은 압축기(10)의 흡입 측으로 흐르는 냉매가 보조열교환기(26)를 거쳐 순환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제1실시 예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시스템의 제3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는 상술한 제1실시 예(도 1)의 냉난방시스템에 존재하는 제2우회배관(24)과 제3삼방밸브(25)가 없는 대신에, 난방운전에 따른 냉매의 순환조건에서 급탕열교환기(13)와 실내열교환기(14)를 거친 냉매가 각각의 출구에 인접하도록 마련된 제1팽창밸브(31)와 제2팽창밸브(32)를 통해 감압 팽창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두 팽창밸브(31,32)를 통과한 냉매는 하나의 배관(19)으로 합류가 된 후 실외열교환기(18) 쪽으로 공급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3실시 예에 따른 냉난방시스템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난방운전시에는 사방밸브(11)의 동작에 의해 압축기(10)로부터 토출되는 고온고압의 냉매가 실내열교환기(14)와 급탕열교환기(13) 쪽으로 흐르도록 유로가 전환된다. 또 제1삼방밸브(22)는 팽창밸브(17)를 거친 냉매가 실외열교환기(18) 쪽으로 흐를 수 있도록 유로가 전환되고, 제2삼방밸브(23)는 압축기(10)로부터 공급되는 냉매가 급탕열교환기(13) 쪽으로 흐르도록 유로가 전환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10)가 가동되면 압축기(10)에서 토출되는 고온 고압의냉매는 사방밸브(11)를 거친 후 병렬로 배열된 급탕열교환기(13)와 실내열교환기(14)에 공급된다. 따라서 실내열교환기(14)를 통해 실내공간의 난방을 수행함과 동시에 급탕열교환기(13)를 통해 온수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급탕열교환기(13)와 실내열교환기(14)를 거치면서 열교환된 냉매는 각각 제1팽창밸브(31)와 제2팽창밸브(32)를 통과하면서 감압 팽창되어 저온 저압의 냉매가 된다. 또한 이때는 제1팽창밸브(31)와 제2팽창밸브(32)의 개도 조절을 통해 급탕열교환기(13)와 실내열교환기(14)를 통과하는 냉매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급탕열교환기(13)의 능력과 실내열교환기(14)의 능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1팽창밸브(31)와 제2팽창밸브(32) 중 어느 하나를 완전히 닫음으로써 급탕기능과 난방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만을 선택할 수도 있게 된다.
그리고 두 팽창밸브(31,32)를 통과한 저온 저압의 냉매는 실외열교환기(18)와 사방밸브(11)를 차례로 거쳐 압축기의 흡입 측으로 흐른다. 이때 실외열교환기(18)를 통과하는 냉매는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외기와 열교환을 하며 외기로부터 열을 흡수하면서 기체상태로 된다.
제3실시 예의 냉방운전시에는 상술한 경우와 반대로 사방밸브(11)의 동작에 의해 압축기(10)로부터 토출되는 고온고압의 냉매가 실외열교환기(18) 쪽으로 흐르도록 유로가 전환된다. 또 제1삼방밸브(22)와 제2삼방밸브(23)는 실외열교환기(18)를 거친 냉매가 제1우회배관(21)을 통해 급탕열교환기(13) 쪽으로 흐를 수 있도록 각각 유로가 전환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10)가 동작하면 압축기(10)에서 토출되는 고온 고압의냉매는 사방밸브(11)를 거친 후 실외열교환기(18)로 공급되어 외기와 열교환을 하고, 계속해서 제1우회배관(21)을 통해 급탕열교환기(13) 쪽으로 공급되어 뜨거운 온수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급탕열교환기(13)를 거친 냉매는 제1팽창밸브(31)와 제2팽창밸브(32)를 차례로 거치면서 저온 저압의 냉매가 되고, 이 냉매는 실내열교환기(14)로 공급되어 실내공간의 냉방을 수행한다. 그리고 실내열교환기(14)를 거친 냉매는 사방밸브(11)를 거쳐 압축기(10)의 흡입 측으로 흐른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시스템은 사방밸브의 전환을 통해 냉방운전과 난방운전의 전환이 가능할 뿐 아니라 냉방과 난방운전시 모두 급탕의 제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냉방운전과 난방운전 및 급탕을 위한 운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용효율이 높은 이점이 있으며, 압축된 고온 냉매가 팽창밸브로 흐르기에 앞서 급탕열교환기를 통해 열교환되기 때문에 시스템의 열교환효율이 높은 이점이 있다.

Claims (8)

  1.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의 토출 측과 흡입 측에 배관을 통해 각각 연결되며 냉매의 흐름방향을 전환시키는 사방밸브, 상기 사방밸브의 일측과 연계되는 분기배관에 각각의 일측이 병렬로 연결되는 급탕열교환기와 실내열교환기, 상기 급탕열교환기와 상기 실내열교환기의 타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하나로 합류되는 배관에 설치되는 팽창밸브, 양측이 상기 팽창밸브와 상기 사방밸브의 타측에 각각 배관을 통해 연결되는 실외열교환기를 구비하고,
    냉방운전시 상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고온고압냉매가 상기 사방밸브를 통해 상기 실외열교환기를 거쳐 상기 급탕열교환기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실외열교환기와 상기 팽창밸브사이의 배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급탕열교환기 입구 쪽 배관에 연결되는 제1우회배관, 냉방운전시 상기 팽창밸브를 통과한 냉매가 상기 실내열교환기를 거쳐 상기 사방밸브 쪽으로 흐를 수 있도록 상기 팽창밸브의 출구 쪽 배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실내열교환기 쪽으로 연결되는 제2우회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냉방운전시와 난방운전시의 유로변경을 위해 상기 제1우회배관의 상기 실외열교환기 쪽 배관분기부에 마련되는 제1삼방밸브, 상기 제1우회배관의 상기 급탕열교환기 쪽 배관연결부에 마련되는 제2삼방밸브, 상기 제2우회배관의 상기 실내열교환기 쪽 배관연결부에 마련된 제3삼방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난방운전시 상기 압축기로부터 공급되는 고온고압의 냉매가 상기 제2삼방밸브와 상기 제3삼방밸브의 선택적인 개폐동작에 의해 상기 실내열교환기와 상기 급탕열교환기 중 어느 한쪽으로 공급되거나 양쪽으로 동시에 공급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방밸브를 거쳐 상기 압축기의 흡입 측으로 복귀하는 저온저압의 냉매가 상기 팽창밸브 상류 측 고온고압의 냉매와 열교환을 하도록 하는 보조열교환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시스템.
  5.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의 토출 측과 흡입 측에 배관을 통해 각각 연결되며 냉매의 흐름방향을 전환시키는 사방밸브, 상기 사방밸브의 일측과 연계되는 분기배관에 각각 일측이 병렬로 연결되는 급탕열교환기와 실내열교환기, 상기 급탕열교환기와 상기 실내열교환기 타측의 배관에 각각 설치되는 제1팽창밸브와 제2팽창밸브, 상기 두 팽창밸브로부터 연장되어 하나로 합류되는 배관에 그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사방밸브에 연결되는 실외열교환기를 구비하고,
    냉방운전시 상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고온고압냉매가 상기 사방밸브를 통해 상기 실외열교환기를 거쳐 상기 급탕열교환기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실외열교환기와 상기 두 팽창밸브사이를 연결하는 배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급탕열교환기 입구 쪽 배관에 연결되는 우회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냉방운전시와 난방운전시의 유로변경을 위해 상기 우회배관의 상기 실외열교환기 쪽 배관분기부에 마련되는 제1삼방밸브, 상기 우회배관의 상기 급탕열교환기 쪽 배관연결부에 마련되는 제2삼방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난방운전시 상기 압축기로부터 상기 급탕열교환기와 상기 실내열교환기로 공급되는 냉매의 양이 상기 제1팽창밸브와 상기 제2팽창밸브의 개도조절을 통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냉방운전시 상기 우회배관과 상기 급탕열교환기를 거친 냉매가 상기 제1팽창밸브와 상기 제2팽창밸브를 거쳐 상기 실내열교환기로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냉난방시스템.
KR10-2003-0016230A 2003-03-14 2003-03-14 냉난방시스템 KR100468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6230A KR100468474B1 (ko) 2003-03-14 2003-03-14 냉난방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6230A KR100468474B1 (ko) 2003-03-14 2003-03-14 냉난방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0863A KR20040080863A (ko) 2004-09-20
KR100468474B1 true KR100468474B1 (ko) 2005-01-27

Family

ID=37365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6230A KR100468474B1 (ko) 2003-03-14 2003-03-14 냉난방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847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808B1 (ko) 2008-12-10 2009-11-12 주식회사 강남 바닥 난방과 동시 급탕이 가능한 히트펌프식 냉난방 시스템
WO2011145780A1 (en) * 2010-05-20 2011-11-24 Lg Electronics Inc. Hot water supply device associated with heat pump
KR20180026986A (ko) * 2016-09-05 2018-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형 공기조화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776B1 (ko) * 2008-01-24 2009-09-01 주식회사 위비전 냉난방 겸용 냉온수 생산 장치
KR100860047B1 (ko) * 2008-03-07 2008-09-25 (주)일진기건 히트펌프를 이용하여 물을 가열 및 냉각하는 장치 및 방법
CN102155817B (zh) * 2010-02-12 2013-03-27 海尔集团公司 热水空调器及其电控控制方法
CN102192616B (zh) * 2010-03-12 2014-05-14 杭州三花研究院有限公司 一种空调热水装置
CN101813401B (zh) * 2010-03-26 2012-08-22 江乐新 节能型空调热水三联供系统
JP2013007523A (ja) * 2011-06-24 2013-01-10 Panasonic Corp 冷温水給湯装置
CN102305495B (zh) * 2011-08-29 2013-05-29 李声铨 一种改进的冷暖式空调热水器
CN102506520B (zh) * 2011-10-31 2014-12-10 刘雄 空调制冷设备
CN102853594A (zh) * 2012-09-24 2013-01-02 刘雄 空调制冷设备
CN103499162B (zh) * 2013-09-14 2015-12-02 江西清华泰豪三波电机有限公司 低温型风冷螺杆冷热水机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808B1 (ko) 2008-12-10 2009-11-12 주식회사 강남 바닥 난방과 동시 급탕이 가능한 히트펌프식 냉난방 시스템
WO2011145780A1 (en) * 2010-05-20 2011-11-24 Lg Electronics Inc. Hot water supply device associated with heat pump
KR101190407B1 (ko) 2010-05-20 2012-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히트펌프 연동 급탕장치
KR20180026986A (ko) * 2016-09-05 2018-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형 공기조화 시스템
KR102466760B1 (ko) 2016-09-05 2022-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형 공기조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0863A (ko) 2004-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71721B2 (ja) 空気調和装置
KR100468474B1 (ko) 냉난방시스템
CN105485767A (zh) 多联机空调系统和控制方法
US20080028773A1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11237928B (zh) 一种双温双闪发空调制冷系统
KR20050074066A (ko) 냉난방시스템
WO2009122512A1 (ja) 空気調和装置
WO2020088425A1 (zh) 空调机及其控制方法
WO2018078810A1 (ja) 空気調和機
CN112594985B (zh) 一种具有双四通阀多功能多联机系统的回油控制方法
JP2522361B2 (ja) 空気調和装置
JP2005147409A (ja) ヒートポンプ式冷暖房装置
CN210220276U (zh) 可供冷风、热风、热水、冷水的系统
KR100794779B1 (ko) 히트 펌프식 멀티 공기 조화기
CN112577103A (zh) 一种多联机空调及其控制方法
CN108007010B (zh) 一种热泵系统
KR100744504B1 (ko) 냉난방 시스템
KR100643689B1 (ko) 히트 펌프 공기조화기
KR100448542B1 (ko) 냉난방시스템
KR20040094101A (ko) 멀티 에어컨 시스템의 유량 가변형 바이패스 장치
KR20190070233A (ko) 히트펌프 시스템, 이의 양방향 인젝션 운전 방법
JPH0297847A (ja) 多室対応分離形空気調和機
CN219101540U (zh) 压缩机及空调系统
CN218599856U (zh) 一种空调热水机
CN214249792U (zh) 一种多联机空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