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8964A - 온라인 시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 시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8964A
KR19990078964A KR1019990035370A KR19990035370A KR19990078964A KR 19990078964 A KR19990078964 A KR 19990078964A KR 1019990035370 A KR1019990035370 A KR 1019990035370A KR 19990035370 A KR19990035370 A KR 19990035370A KR 19990078964 A KR19990078964 A KR 19990078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aminee
test
database
comput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5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재근
Original Assignee
양재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근 filed Critical 양재근
Priority to KR1019990035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78964A/ko
Publication of KR19990078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8964A/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상에서 온라인으로 자격인증관련 시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온라인 시험 서비스 방법은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수험자가 자신의 컴퓨터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서버에 접속하였을 때, 상기 수험자 컴퓨터로 인증 시험의 절차를 안내하고, 상기 절차 안내에 따라 상기 수험자가 제공한 수험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상기 온라인 시험에 필요한 수험번호 및 시험기간을 제공한다. 이후, 상기 시험기간에 맞추어 상기 수험자가 시험응시를 요청할 때,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문제지를 추출하여 상기 수험자의 컴퓨터로 제공하며, 상기 수험자 컴퓨터에서 작성된 상기 문제지에 대한 답안이 제공될 때, 상기 답안을 채점하여 채점 결과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함과 동시에 상기 수험자의 컴퓨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자격인증을 취득하고자 하는 수험자는 통상의 시험장에서 시험지를 이용하여 시험을 치르지 않고도 자신의 컴퓨터를 통하여 자격인증시험에 응시하고 그 결과를 통보받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온라인 시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SYSTEM FOR SERVING AN ON-LINE EXAMINATION AND THE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터넷상에서 온라인 시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근래 컴퓨터의 보급이 확산되면서, 정보의 중요성이 새롭게 인식됨에 따라 기관, 학교, 기업 및 각 개인 간에도 통신망을 통하여 정보의 교환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더욱이, 그 정보 교환의 범위를 전세계로 확장한 인터넷의 경우, 그 이용자 수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인터넷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는 정보검색, 정보제공, 전자 상거래 등 수많은 분야에서 다양한 아이템을 서비스하고 있으며, 이러한 서비스는 글자기반의 정보, 그림, 소리 또는 움직이는 영상정보로 전송되고 있다.
전자 상거래는 근래 새로운 사업영역으로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며, 이는 사용자에게 실체의 물건을 판매하는 것과 가공된 지식 정보를 판매하는 등의 사업이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상술한 실체의 물건을 판매하거나 가공된 지식 정보를 판매하는 전자 상거래 개념과 전혀 다른 새로운 개념의 온라인 거래를 창출하고자 통상의 필기시험 등에 의존한 자격 인증시험을 탈피하여 인터넷상에서 자격인증 관련시험을 실시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 인터넷상에서 온라인으로 자격인증 관련 시험을 서비스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시험 서비스 방법은 온라인 시험 인증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갖는 서버와 상기 온라인 시험 인증을 필요로 하는 다수의 수험자의 컴퓨터가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을 통해 수행되며, 본 방법은 상기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수험자의 컴퓨터가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인증시험을 위한 절차를 개시하고자 수험응시 신청을 요청할 때,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수험자 컴퓨터로 시험 응시에 필요한 수험자 정보 및 입회자 정보의 등록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수험자 컴퓨터에서 상기 수험자 정보 및 입회자 정보의 등록요청에 따라 제공된 수험자 정보 및 입회자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상기 수험자 컴퓨터로 상기 온라인 시험에 필요한 수험번호 및 시험기간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시험기간에 맞추어 상기 사용자의 컴퓨터로부터 시험응시 요청을 수신할 때,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되어 구성된 문제지를 상기 수험자의 컴퓨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수험자 컴퓨터에서 작성된 상기 문제지에 대한 답안이 제공될 때, 상기 서버에서 상기 문제지 답안을 채점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의 채점 결과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함과 동시에 상기 수험자의 컴퓨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온라인 시험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시험 서비스 시스템의 데이터 베이스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시험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4a 내지 도 4f는 각기 도 3에 도시된 동작 흐름도의 상세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5a 내지 도 5e는 각기 본 발명의 동작중에 서버로부터 수험자에게 제공되는 예시적인 입력화면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102, 103 : 수험자 컴퓨터 200 : 인터넷
300 : 서버 400 : 수험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500 :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시험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온-라인 시험 서비스 시스템은 시험제도를 이용하기 위한 다수의 수험자 또는 수험자 컴퓨터(101, 102, 103, . . .)(본 발명에서는 간략한 도시를 위하여 단지 세 개만의 수험자 컴퓨터를 도시한다), 수험자 컴퓨터(101, 102, 103)가 본 발명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웹 브라우저를 이용한 인터넷(200)을 통해 접속이 가능하게 해주는 웹 서버(300), 수험자의 정보를 저장하여 인증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수험자정보 데이터베이스(400)와 시험종목별, 난이도별로 구별된 문제들을 제공하기 위한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500)를 포함한다.
웹 서버(300)는 인터넷 사용자라면 누구나 인터넷(200)을 통한 접속에 의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홈페이지 정보나 교육관련 정보를 기본적으로 사용가능하게 하여 컴퓨터나 인터넷 관련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웹 서버(300)는 수험자 정보 데이터베이스(400)와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500)를 제어하며, 이들 데이터베이스(400, 500)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하고, 수험자 컴퓨터(101, 102, 103)로부터 새로이 입력되는 정보를 저장 및 갱신하는 전반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수험자 정보 데이터베이스(400)는 수험자의 식별코드(ID)와 비밀번호 등을 저장하고 있으며, 추후 웹상에서 입력되는 정보와 비교하여 정식 서비스가 가능한 지를 식별하도록 한다.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500)는 시험종목의 난이도별로 상세 구별되어지며 각 난이도별로 다수의 문제들을 보유하고 있으며, 선별과정없이 무작위로 추출되어 문제지가 형성되어 불특정 수험자(101, 102, 103)에게 전달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수험자정보 데이터베이스(400)와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 (500)의 상세 구성도가 도시된다.
수험자정보 데이터베이스(400)는 입회자 데이터베이스(412), 수험자 응시등록 데이터베이스(414), 인증시험 데이터베이스(416), 응시기록 데이터베이스(418)와 모의 테스트 데이터베이스(420)를 구비한다. 한편,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500)는 교수, 강사, 선생등 교육계에 종사하는 사람들로 구성된 출제위원회 등에서 출제된 시험문제가 기록되어 있으며, 각기 난이도에 따라 다수개로 구별되는 객관식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512, 514, 516)와 주관식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522, 524) 등을 구비한다.
입회자 데이터베이스(412)는 온라인 시험을 관리 감독하는 입회자를 등록한다. 본 발명의 서비스는 온라인상에서 시험을 치르기 때문에 이의 공정성을 위한 첫 단계로서 수험자가 시험을 치를 때 감독의 성격을 갖는 입회자, 예를 들면 현재 교육계에서 몸담고 있는 사람등을 대상으로 등록하도록 구성된다. 등록된 입회자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입회자 ID, 비밀번호 등을 부여받으며, 입회자는 이후 부여된 권한으로 본 발명에서 실시하는 모든 시험 서비스에 입회자로서의 자격을 갖는다.
수험자 응시등록 데이터베이스(414)는 입회자의 등록 식별코드(ID)와 함께 시험에 응시신청을 할 수 있는 대상과 응시 신청사실이 등록된다. 이러한 수험자 응시 등록 데이터베이스(414)는 수험자의 응시확인 및 수험응시에 합격하였을 때 인증서 발급을 위하여 수험자 신상을 기록하는 수험자 데이터베이스(432)와 수험자가 시험에 응시한 사항을 기록하여 확인해주는 응시등록 데이터베이스(434)를 구비한다.
인증시험 데이터베이스(416)는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500)로부터 형성된 문제지와 수험자 ID, 비밀번호, 수험번호 등을 저장하며 최종적으로 수험자에 의해 제출된 답안을 저장한다. 인증시험 데이터베이스(416)에 저장된 시험문제는 웹상에서 인터넷 장애로 수험생(101, 102, 103)에게 다시 문제를 재전송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응시기록 데이터베이스(418)는 수험자 ID, 수험생 이름, 응시종목 코드, 응시년도, 응시회차, 응시시험결과 등을 영구적으로 보관하며, 본 발명의 서비스에서 인증서를 발급하는데 참조된다.
모의테스트 데이터베이스(420)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정식 서비스에 의한 인증을 받지못하는 대신 인증시험을 위한 예비절차로서 인증시험절차와 유사하게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500)로부터 무작위로 선별된 문제지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모의 테스트 데이터(420)에 저장된 문제지는 입회자 ID 없이 수험자 수험번호와 비밀번호만 입력될 때 수험자 컴퓨터(101, 102, 103)에게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시험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은 도 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될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온라인 시험 서비스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방법의 포괄적인 흐름도가 도시된다. 이때, 본 발명의 온라인 시험서비스 시스템에는 입회자의 등록신청과 입회자의 활동이 인정되어 입회자의 ID 및 비밀번호가 부여된 상태에 있다고 가정한다.
본 발명의 서비스 방법은 홈페이지 접속 단계(710), 자격증을 취득하고자하는 수험자가 본 발명의 시스템에 수험신청을 요청하여 등록하는 응시신청/등록 단계(720), 응시등록된 수험자에게 수험번호 및 수험기간을 정해주는 수험번호 발급단계(730), 수험 응시자가 자신의 수험번호와 응시기간을 확인하는 수험정보 확인단계(740), 수험자가 자격증 취득을 목적으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인증시험문제지로 시험을 치르는 인증 시험단계(750), 수험자가 작성한 인증시험 답안을 채점하고 기준이상의 점수를 취득한 수험자를 선별하여 공지하고 시험종목에 기준점수 이상을 획득한 수험자에게 인증서를 발급해 주는 합격자 발표 및 인증서 발급 단계(760)를 포함하며, 각각의 단계는 도 4와 도 5에 예시된 절차도와 예시 화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도 4a에 예시된 바와같이, 홈 페이지 접속단계(710)는 각각의 사용자(101, 102, 103)가 온라인 시험서비스 시스템의 서버(300)에 접속하면(단계 712),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증 시험 절차를 안내하는 서버(300)의 홈페이지(810)가 전송되어 서버(300)로부터 수험자 컴퓨터(101, 102, 103)에게 제시된다(단계 714). 수험자 컴퓨터(101, 102, 103)상에 제시된 홈 페이지(810)상에는 시험안내(812), 시험일정(814), 예상문제(816), 질문과 답(818), 접수(819)등과 같은 아이콘이 제시된다.
그 다음, 도 4b에 예시된 응시신청/등록 단계(720)는 도 5a에 예시된 홈페이지(810)상에서 사용자가 접수 아이콘(819)을 클릭하면(단계 722), 응시신청 명령이 서버(300)로 전송되어 서버(300)로부터 수험자 컴퓨터(101, 102, 103)로 도 5b에 예시된 등록 및 조회 양식(820)이 전송된다(단계 724). 응시등록 양식(820)상에는 수험자 개인정보로서 식별번호, 비밀번호와 신상정보등을 기록하는 항목등이 구비되며, 응시정보로서 응시종목, 입회자 식별번호 등을 기록하는 항목등이 구비한다. 수험자가 자신의 컴퓨터(101, 102, 103)에서 등록 및 조회 양식(820)을 작성하고, 응시등록 버튼(822)을 클릭하면(단계 726), 수험자 개인정보와 응시정보를 등록하라는 명령이 서버(300)로 제공되며, 서버(300)에 의해 수험자 개인정보는 수험자 데이터베이스(432)에 저장되고, 응시정보는 응시등록 데이터베이스(434)에 저장됨으로써 응시신청 및 응시등록 절차가 완료된다(단계 728).
본 발명에 따른 인증시험 서비스 방법은 인터넷을 사용하는 모든 개인에게 적용될 수 있지만, 특히 인터넷 사용환경이 조성된 학교등과 같은 단체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입회자는 수험장소에 입회하여 수험생들에게 자신의 식별번호를 제공해줌으로써 대리시험과 같은 부정시험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서비스는 무료로 제공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유료로 제공될 수도 있다. 유료 서비스인 경우 도 5b의 응시등록 양식(820)의 하단에 예시된 바와 같은 수험료 납부절차를 안내하는 항목이 포함될 수도 있으며, 수험료 납부 여부에 따라 다음번 과정이 진행되게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응시신청 및 응시등록 절차의 완료후, 도 4c에 예시된 수험번호 발급단계(730)에서, 서버(300)는 수험자 데이터베이스(432)에 등록된 수험자를 확인하고(단계 732), 확인된 수험자들에 대하여 접수순서대로 각기 수험번호를 할당하고 시험기간을 결정하며(단계 734), 수험번호와 시험기간에 대한 정보는 응시등록 데이터베이스(434)에 접수번호, 식별번호, 응시종목, 입회자 식별번호와 같은 응시정보와 관련되어 등록된다(단계 736). 이와 관련하여, 유료서비스인 경우에는 수험료 납부여부를 판단한 후 수험번호와 시험기간이 결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수험번호 발급 절차이후, 도 4d에 예시된 수험번호/수험기간 확인 단계(740)에서, 수험자는 자신의 컴퓨터(101, 102, 103)를 통하여 서버(300)에 접속하여 도 5a에 예시된 홈페이지(810)상의 접수 아이콘(819)을 클릭하여 서버(300)로부터 도 5b에 예시된 등록 및 조회 양식(820)을 다운로드 받는다(단계 742). 이후, 수험자는 등록 및 조회 양식(820)상에서 개인정보 조회하기 아이콘(824)을 클릭하여 개인정보 조회요청을 서버(300)로 전송하면, 서버(300)는 도 5c에 예시된 조회 화면(830)을 수험자 컴퓨터(101, 102, 103)에게 제공한다(단계 744). 컴퓨터(101, 102, 103)상에 다운로드된 조회화면(830)상에서 수험자가 자신의 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한 다음 조회 버튼(832)을 클릭하면, 서버(300)는 수험자로부터 전송된 조회명령에 따라 응시등록 데이터베이스(434)로부터 수험자의 응시종목, 수험번호, 기간, 입회자 정보를 검색하여 수험자 컴퓨터(101, 102, 103)로 제공한다(단계 746). 수험자는 이로부터 자신의 수험번호와 시험기간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시험기간에 맞추어 다음과 같은 인증시험을 치르게 된다.
인증시험 단계(750)는, 도 4e에 예시된 바와 같이, 수험자가 정해진 수험기간에 자신의 컴퓨터(101, 102, 103)로 인터넷(200)을 통하여 본 발명의 서버(300)에 접속하여 홈페이지(810)를 다운로드 받고, 홈페이지(810)상의 인터넷 기능기사 인증시험 아이콘(840)을 클릭함으로써, 인증시험 응시요청을 서버(300)로 전송하면, 서버(300)는 이에 응답하여 도 5d에 예시된 바와 같은 인증시험에 필요한 입력화면(850)을 수험자 컴퓨터(101, 102, 103)로 전송한다(단계 752). 수험자는 서버(300)로부터 전송된 컴퓨터(101, 102, 103)상의 인증시험 입력화면(850)상에 자신의 수험번호, 비밀번호, 입회자 ID, 입회자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문제다운 받기 버튼(852)을 클릭함으로써 수험응시를 알리는 신호를 서버(300)로 제공한다(단계 754). 서버(300)는 수험자 컴퓨터(101, 102, 103)로부터 제공된 수험응시 신호에 응답하여, 인증시험 데이터베이스(416)에 저장되어 있는 수험자 정보와 입력화면(850)을 통해 입력된 수험자 정보가 동일한지를 판단하여,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500)의 객관식 데이터베이스(512, 514, 516)와 주관식 데이터베이스(522, 524)로부터 문제를 무작위로 추출하여 도 5e에 예시된 바와 같은 문제지(860)를 구성하여 인증시험 데이터베이스(416)에 저장함과 동시에 구성된 문제지를 수험자 컴퓨터(101, 102, 103)로 전송한다(단계 756).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500)로부터 추출된 문제지를 인증시험 데이터베이스(416)에 저장하는 것은 시험도중 통신불능 또는 시스템 다운 등에 대비하여 문제지를 재전송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후, 수험자는 서버(300)로부터 전송된 문제지(860)를 다운로드하여 제한된 시간내에 문제지에 대한 답안지를 작성하고, 제한된 시간내에 답안지가 작성되면, 도 5e에 예시된 바와 같은 문제지(860)상의 제출하기 아이콘(862)을 클릭함으로써 답안 제출을 서버(300)로 알린다(단계 758).
답안이 제출된 후 진행되는 합격자 발표 및 인증서 발급단계(760)에서, 서버(300)는 수험자로부터 전송된 답안지를 정답지와 비교하여 채점하고(단계 762), 기준점 이상 취득자들을 선별하고(단계 764), 선별된 취득자들의 정보, 즉 수험자 ID, 수험자 신상, 응시종목코드, 응시년도, 응시회차, 응시결과, 입회자 ID 등에 대한 정보를 응시기록 데이터베이스(418)에 보관하고 취득자 명단을 홈페이지(810)상에 공고한다(단계 766).
그 다음, 서버(300)는 응시기록 데이터베이스(418)를 검색하여 기준점 이상 취득자를 체크하여 인증서를 발급하는데, 이러한 인증서 발급은 온라인 상에서 발급될 수도 있으며, 또는 보다 권위있는 인증서확인을 위하여 수험자의 사진 등을 첨부한후 우편등으로 발급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인증서 발급 여부는 응시기록 데이터베이스(418)에 보관된다(단계 768).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시험 서비스 방법은 자격인증 관련 시험을 치르고자 하는 수험자가 시험장소에 직접 출석하지 않고도 자격인증 관련 시험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접속하여 자신의 컴퓨터를 통하여 온라인으로 시험을 치르고 그 결과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5)

  1. 온라인 인증시험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갖는 서버와 상기 온라인 시험 인증을 필요로 하는 다수의 수험자의 컴퓨터가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시험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험자의 컴퓨터가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온라인 인증시험을 위한 절차를 개시하고자 수험응시 신청을 요청할 때,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수험자 컴퓨터로 시험 응시에 필요한 수험자 정보의 등록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수험자 정보의 등록요청에 따라 상기 수험자 컴퓨터에서 제공된 수험자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상기 수험자 컴퓨터로 상기 온라인 시험인증에 필요한 수험번호 및 시험기간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시험기간에 맞추어 상기 사용자의 컴퓨터로부터 상기 수험번호와 함께 시험응시 요청을 수신할 때,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되어 구성된 문제지를 상기 수험자의 컴퓨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수험자의 컴퓨터에서 작성된 상기 문제지에 대한 답안이 제공될 때, 상기 서버에서 상기 문제지 답안을 채점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의 채점 결과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함과 동시에 상기 수험자의 컴퓨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시험 서비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상기 인증시험에 사용되는 시험문제가 난이도에 따라 구분되어 저장된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 상기 수험자의 정보가 등록되는 수험자 데이터베이스, 상기 수험자의 시험응시 확인을 위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응시등록 데이터베이스, 상기 구성된 문제지가 저장되는 인증시험 데이터베이스, 상기 시험결과가 저장되는 응시기록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시험 서비스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온라인 인증시험의 정당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컴퓨터로 입회자의 식별번호와 비밀번호의 등록을 요청하고, 상기 입회자의 식별번호와 비밀번호를 상기 수험자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시험 서비스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험자의 정보는 수험자의 신상정보와 응시정보를 구비하며,
    상기 신상정보는 상기 수험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상기 수험자의 식별번호, 비밀번호와 개인정보로 구성되고,
    상기 응시정보는 상기 응시등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상기 수험자의 식별번호, 응시종목, 입회자 식별번호로 구성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시험 서비스 방법.
  5. 다수의 컴퓨터가 연결되는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시험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온라인 시험에 사용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는 문제은행 데이터 베이스;
    상기 컴퓨터를 통하여 접속되는 시험 인증을 필요로 하는 수험자로부터의 인증시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수험자에게 시험응시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문제은행데이터베이스로부터 문제지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문제지를 상기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수험자의 컴퓨터에게 전송하는 수단;
    상기 수험자에 의해 작성한 문제지에 대한 답안을 채점하고, 상기 채점 수단의 결과에 따라 상기 수험자의 합격여부를 상기 인터넷을 통하여 전송하는 수단;
    상기 채점 수단의 결과를 상기 수험자의 응시 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수험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시험 서비스 시스템.
KR1019990035370A 1999-08-25 1999-08-25 온라인 시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99900789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5370A KR19990078964A (ko) 1999-08-25 1999-08-25 온라인 시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5370A KR19990078964A (ko) 1999-08-25 1999-08-25 온라인 시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8964A true KR19990078964A (ko) 1999-11-05

Family

ID=54765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5370A KR19990078964A (ko) 1999-08-25 1999-08-25 온라인 시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78964A (ko)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7481A (ko) * 2000-04-27 2000-07-05 이상철 인트라넷을 이용한 자동차 운전면허 발급방법
KR20000072325A (ko) * 2000-08-29 2000-12-05 연대성 가상현실을 이용한 광고삽입형 주행 시뮬레이션 게임방법
KR20010025708A (ko) * 2001-01-19 2001-04-06 이호상 실시간 프로그램 채점 방법 및 시스템
KR20010034971A (ko) * 2000-05-10 2001-05-07 김덕중 인터넷을 통한 운전면허 모의시험 서비스 방법
KR20010044069A (ko) * 2000-07-26 2001-06-05 정연섭 사용자 시스템에서의 네트워크를 통한 시험평가방법 및시스템
KR20010062999A (ko) * 1999-12-21 2001-07-09 송정부 광고잡지와 이를 이용한 광고학습 및 보상시스템
KR20010097568A (ko) * 2000-04-24 2001-11-08 이병철 실시간 학습 시스템
KR20020021514A (ko) * 2000-09-15 2002-03-21 박상력 인터넷을 이용한 시험문제 구성방법
KR20020029831A (ko) * 2000-10-14 2002-04-20 노규성 인터넷망을 이용한 자격인증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020045407A (ko) * 2000-12-08 2002-06-19 정재윤 인터넷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자기개발프로그램을 통한평생교육 방법
KR100342436B1 (ko) * 1999-11-15 2002-07-04 김혜숙 인터넷 가상환경에 접속되어 시험을 응시 하는 방법
KR20020064818A (ko) * 2001-02-03 2002-08-10 주식회사 디지털텍 디지털 전자시험지를 이용한 시험 서비스 시스템
KR20030080780A (ko) * 2002-04-10 2003-10-17 (주)송원정보시스템 사이버 자격증 관리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040020780A (ko) * 2002-09-03 2004-03-09 주식회사 넷채널 가상 체험 방식을 이용한 os,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네트워크 장비 운용 시험 방법 및 그 방법이프로그램화하여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040021170A (ko) * 2002-09-03 2004-03-10 주식회사 이코리아이십일 온라인 네트웍을 이용한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44064B1 (ko) * 2000-02-01 2006-01-23 이재영 다양한 문제출제시스템
KR100590624B1 (ko) * 2005-04-07 2006-06-19 변규일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수능 답안 채점 및 통계 서비스제공 시스템
WO2006078092A1 (en) * 2005-01-24 2006-07-27 Jong Min Lee Test question constructing method and apparatus, test sheet fabricated using the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test question construct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2436B1 (ko) * 1999-11-15 2002-07-04 김혜숙 인터넷 가상환경에 접속되어 시험을 응시 하는 방법
KR20010062999A (ko) * 1999-12-21 2001-07-09 송정부 광고잡지와 이를 이용한 광고학습 및 보상시스템
KR100544064B1 (ko) * 2000-02-01 2006-01-23 이재영 다양한 문제출제시스템
KR20010097568A (ko) * 2000-04-24 2001-11-08 이병철 실시간 학습 시스템
KR20000037481A (ko) * 2000-04-27 2000-07-05 이상철 인트라넷을 이용한 자동차 운전면허 발급방법
KR20010034971A (ko) * 2000-05-10 2001-05-07 김덕중 인터넷을 통한 운전면허 모의시험 서비스 방법
KR20010044069A (ko) * 2000-07-26 2001-06-05 정연섭 사용자 시스템에서의 네트워크를 통한 시험평가방법 및시스템
KR20000072325A (ko) * 2000-08-29 2000-12-05 연대성 가상현실을 이용한 광고삽입형 주행 시뮬레이션 게임방법
KR20020021514A (ko) * 2000-09-15 2002-03-21 박상력 인터넷을 이용한 시험문제 구성방법
KR20020029831A (ko) * 2000-10-14 2002-04-20 노규성 인터넷망을 이용한 자격인증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020045407A (ko) * 2000-12-08 2002-06-19 정재윤 인터넷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자기개발프로그램을 통한평생교육 방법
KR20010025708A (ko) * 2001-01-19 2001-04-06 이호상 실시간 프로그램 채점 방법 및 시스템
KR20020064818A (ko) * 2001-02-03 2002-08-10 주식회사 디지털텍 디지털 전자시험지를 이용한 시험 서비스 시스템
KR20030080780A (ko) * 2002-04-10 2003-10-17 (주)송원정보시스템 사이버 자격증 관리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040020780A (ko) * 2002-09-03 2004-03-09 주식회사 넷채널 가상 체험 방식을 이용한 os,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네트워크 장비 운용 시험 방법 및 그 방법이프로그램화하여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040021170A (ko) * 2002-09-03 2004-03-10 주식회사 이코리아이십일 온라인 네트웍을 이용한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06078092A1 (en) * 2005-01-24 2006-07-27 Jong Min Lee Test question constructing method and apparatus, test sheet fabricated using the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test question construct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KR100590624B1 (ko) * 2005-04-07 2006-06-19 변규일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수능 답안 채점 및 통계 서비스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78964A (ko) 온라인 시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120135388A1 (en) Online Proctoring
US2003007306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training through an electronic network to remote electronic devices
US7618259B2 (en) Worksheet wizard—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educational worksheets
US7219097B2 (en) Authentication history certif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US20230260065A1 (en) Enhanced teaching method and security protocol in testing students
KR20020023519A (ko) 웹 자격증 시험에서 문제 은행식 평가 및 동일 난이도유지를 위한 모듈 장치 및 그 방법
Billings et al. Development of continuing nursing education offerings for the World Wide Web
CN112907407B (zh) 基于区块链技术的终身教育学分积累方法及学分银行系统
JP2004133490A (ja) インセンティブベースの訓練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1111564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 online, proctored examination
KR20100110986A (ko) 온라인 학력 평가방법
JP2006276887A (ja) 教育支援システム
KR20000037160A (ko) 인터넷상에서의 사이버 자격증 취득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시스템
US20090023124A1 (en) Software Application System as an Efficient Client or Case Management Tool
KR20100036507A (ko) 출결관리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방법
KR20090002057A (ko) 온라인 학력 평가방법
KR20050077244A (ko) 컴퓨터를 기반으로 한 독서인증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3208086A (ja) 通信回線を利用した試験システム
Chaiwattanayon et al. Share-IT: A sharing platform for a smart campus
JP4056253B2 (ja) 事務処理支援システム、サーバ装置、サーバ装置の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JP2002007586A (ja) 遠隔教育支援システム
Al-Khasawneh et al. Challenges to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Online Voting for E-Democracy in Developing Countries' Initiatives: Jordan as a Case Study
KR20000024145A (ko)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자격시험 원서접수 시스템 및 방법
JP2003058036A (ja) インターネットによる復習方法,復習情報提供サーバおよび復習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