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8479A - 메모리 플레이어의 버튼신호변환장치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메모리 플레이어의 버튼신호변환장치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8479A
KR19990078479A KR1019980034514A KR19980034514A KR19990078479A KR 19990078479 A KR19990078479 A KR 19990078479A KR 1019980034514 A KR1019980034514 A KR 1019980034514A KR 19980034514 A KR19980034514 A KR 19980034514A KR 19990078479 A KR19990078479 A KR 199900784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yer
button
memory
signal
casset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4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4565B1 (ko
Inventor
노세룡
서진우
황인성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34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4565B1/ko
Publication of KR19990078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8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4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45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9Table of cont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11B15/087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recorded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11B27/3036Time code signal

Landscapes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셋트 플레이어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된 메모리 플레이어의 버튼신호 변환기술에 관한 것으로, 메모리 플레이어가 카셋트 플레이어에 장착된 상태에서 메모리 플레이어용 버튼입력장치를 별도로 사용하지 않고 카셋트 플레이어의 버튼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카셋트 플레이어의 각 핀치롤러와 릴의 동작상태를 검출하고 이를 근거로 카셋트플레이어의 입력버튼 장치에서 어떤 버튼이 눌려졌는지 판단하여 각 모드에 상응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버튼신호 변환수단과; 상기 버튼신호 변환수단의 출력신호를 근거로 현재 요구된 모드를 판단하여 메모리를 대상으로 각종 제어기능을 발휘하는 제어수단과; 사용자가 필요로하는 노래, 연주 등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메모리수단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복호처리하여 원래의 데이터로 출력하는 디코더를 포함하여 구현한 것이다.

Description

메모리 플레이어의 버튼신호변환장치 및 제어방법
본 발명은 카셋트 플레이어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된 메모리 플레이어의 제어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모리 플레이어의 외형을 카셋트 형태로 제작하고 이를 별도의 스피커가 장착된 차량의 오디오 또는 가정용 오디오 시스템에 장착하여 겸용으로 사용할 때 별도의 모드선택용 버튼을 사용하지 않고도 카셋트 플레이어의 버튼을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한 메모리 플레이어의 버튼신호변환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개발된 카셋트 플레이어 겸용 메모리(DAD: Digital Audio Data) 플레이어란 오디오 테이프 재생용 카셋트 테이프 대신에 이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메모리 플레이어를 카셋트 데크에 장착하고 그 메모리 플레이어로부터 재생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코일을 통해 자장으로 변환하여 카셋트의 헤드에 근접시킴으써 마치 테이프를 재생하여 듣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한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이 메모리 플레이어를 카셋트 플레이어에 장착하여 사용할 때 각 버튼 입력신호 즉, 재생(PLAY), 정지(STOP), 포즈(PAUSE), 정방향고속주행(FF),되감기(REW) 등의 신호를 어떻게 입력하여 그 메모리 플레이어를 제어할 것인지에 대한 기술에 절실히 요구되어 있는 실정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의 카셋트 데크 메카니즘이나 회로를 변형시키지 않고도 카셋트 플레이어에 메모리 플레이어가 장착된 상태에서 카셋트 플레이어의 각 버튼이 눌리는 것을 감지하고 이를 메모리 플레이어가 인식할 수 있는 코드신호로 변환하여 그 메모리 플레이어에 입력하는 메모리 플레이어의 버튼신호 변환 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도록한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카셋트 플레이어용 메모리 플레이어와 그 메모리 플레이어가 장착되는 카셋트 데크 및 충전송신기의 분해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세트 데크(120)의 릴(121),(122)이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해당위치에 릴삽입구멍(11,12)(21,22)이 각기 형성된 카셋트 플레이어용 메모리 플레이어(P)의 상, 하부 케이스(10),(20)와; 상기 상, 하부 케이스(10),(20)의 내측에 설치되어 컴퓨터와 같은 외부 기기로부터 다운로드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기억장치가 장착된 카셋트 플레이어용 메모리 플레이어(P)의 회로기판(30)과; 카셋트 테이프를 주행시키기 위한 릴(121),(122)과 그 테이프에 기록된 신호를 독취하기 위한 수신헤드(123)가 장착된 카셋트 데크(120)와; 상기 메모리 플레이어(P)에 충전용 전원을 공급하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충전송신단자(114)를 구비하여 상기 카셋트 데크(120)를 수용하는 충전송신기(112)로 구성되었다.
상기 상부 케이스(10)는 각종 조작버튼(15)(16a) 및 액정표시부(16)를 각각 노출시킬 수 있도록 소정위치에 각각 노출구멍(14)(13)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액정 표시부(16)는 기기의 작동 상태를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회로기판(30)에 연결되어 상부 케이스(10)의 외부로 노출며, 조작버튼(15)은 기기의 외부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회로기판(30)에 연결되어 상부 케이스(10)의 외부로 노출되고, 조작버튼(16a)은 액정표시 조작버튼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액정표시부(16)에 대한 리셋 등의 조작을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 케이스(20)는 그 일측 모서리부가 개폐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내부로 충전배터리(24)를 착탈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으며, 회로기판(30)의 접점단자(39)에 대응되는 위치에 단자구멍(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로기판(30)은 상기 조작버튼(15) 및 액정표시 조작버튼(16a)에 대응하는 상면의 소정위치에 상기 각 조작버튼(15)(16a)과 접촉되는 택트스위치(35),(36)와, 중앙부 양측에 형성된 릴삽입구멍(31)(32)과, 내부의 데이터 기억장치로부터 독출되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그 독출신호에 상응되는 자장을 형성하는 송신헤드(33)와, 메모리 플레이어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카셋트 데크(120)에 장착되어 사용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작동감지부(34)와, 상기 릴삽입구멍(31)(32) 주변에 설치되어 카셋트 데크(120)의 릴(121),(122)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릴센서(37)(38)와, 상기 컴퓨터로부터 충전용 전원을 공급받고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접점단자(39)와, 상기 카셋트 데크(120)의 릴(121),(122)과 결합하여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회전전달부(40)와, 기기로부터 재생되는 오디오신호를 이어폰(50)을 통해 청취할 수 있도록하기 위한 잭(35a)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송신헤드(33)는 카셋트 데크(120)에 장착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헤드(123)와 대향지는 위치에 비접촉식으로 설치되고, 이 수신헤드(123)는 송신헤드(33)에 의해 형성된 자장으로부터 원래의 오디오신호를 검출하는 방식으로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작동감지부(34)는 카셋트 데크(120)의 가이드 샤프트(125)와 접촉되어 메모리플레이어(P)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는 제1 마이크로스위치(34a)와, 상기 카셋트 데크(120)의 핀치롤러(124a),(124b)와 각각 접촉되어 그의 작동 여부를 감지하는 제2 마이크로스위치(34b) 및 제3 마이크로스위치(34c)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회전전달부(40)는 카셋트 데크(120)의 릴(121),(122)에 결합되고 외주면 둘레에는 기어치(41a),(42a)가 형성된 복수개의 릴허브(41),(42)와, 이 릴허브(41),(42)의 사이에 인접 배열되어 상호 맞물려 회전함으로써 양쪽 릴허브(41), (42)에 각각 동일한 회전력을 전달하는 아이들기어(43),(44),(45)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아이들기어(43),(44), (45)들 중 어느 한 중심축 상에는 모터가 연결되어 상기 릴허브(41),(42)의 정, 역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전달부(40)에 대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릴허브(41),(42)의 일측면에 회전판(46)을 부착하여 그의 회전 상태를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회전판(46)은 일종의 로터리 엔코더로서 검정색 및 은색이 각기 다른 폭으로 반복교차 인쇄되어 릴(121),(122)의 회전 상태를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카셋트 플레이어용 메모리 플레이어의 작용을 첨부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메모리 플레이어(P)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통신기기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 파일을 컴퓨터에 다운로드하고, 이 컴퓨터 본체의 프린터포트와 충전송신기(112)의 수신포트(113) 간을 프린터용 케이블(111)로 접속한다. 이때, 상기 컴퓨터에는 데이터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별도의 전송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어야 한다.
이후, 접점단자(39)와 충전송신단자(114)가 접촉되도록 상기 충전송신기(112) 내에 메모리 플레이어(P)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컴퓨터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메모리 플레이어(P)의 데이터 기억장치(예: 메모리칩)에 데이터가 전송되어 저장된다.
물론, 상기 플레이어(P)로부터 단독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잭(35a)에 이어폰(50)을 삽입하고, 조작버튼(15)을 조작함으로써 이로부터 재생되는 오디오신호를 청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메모리 플레이어(P)를 가정용 오디오 시스템이나, 특히 도 6에서와 같이 카셋트 삽입구멍(131)을 통해 카오디오 시스템(130)의 카셋트 데크(120)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2 내지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마이크로스위치(34a)가 가이드 샤프트(125)에 접촉되면서 이 가이드 샤프트(125)에 의해 제1 마이크로 스위치(34a)가 온 상태로 절환되므로 이때, 카셋트 플레이어의 제어부에서는 메모리 플레이어(P)가 카셋트 데크(120)에 장착되었음을 인지하여 재생 준비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이 단계에서는 릴허브(41),(42)가 회전되지 않으므로 회전판(46)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따라서 릴센서(37),(38)는 정지 상태를 감지하게 된다.
이러한 준비단계에서 상기 카셋트 데크(120)의 재생버튼(PLAY)을 누르면 상기 두 개의 릴(121),(122)중 어느 하나의 릴(121)이 회전하게 되고, 이에 의해 두 개의 릴허브(41),(42)중 어느 하나가 회전하게 된다. 예로써, 릴허브(41)가 회전하게 되는 경우 이 회전력이 아이들기어(43),(44),(45)를 통해 다른쪽 릴허브(42)에 전달되어 이 릴(122)도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이때부터 상기 카셋트 데크(120)에서 재생동작이 이루어져 카셋트 데크(120)에 설치된 핀치롤러(124a),(124b)중 어느 한쪽의 핀치롤러 예로써, 핀치롤러(124b)가 하강되어 캡스턴축(126b)와 밀착 접촉되므로 이에 의해 그 캡스턴축(126b)도 일체로 회전된다.
또한, 상기 핀치롤러(124b)가 하강하면서 제2 마이크로스위치(34b)를 동작시켜 그 제2 마이크로스위치(34b)가 온 상태로 절환되고, 이에 따라 상기 메모리 플레이어(P)는 회로기판(30)상에 장착된 데이터 기억장치로부터 해당 데이터를 독출하여 송신헤드(33)측으로 출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송신헤드(33)는 상기 독출되어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공급받아 그 오디오신호에 상응되는 자장을 형성하게 되고, 수신헤드(123)는 그 자장을 원래의 오디오신호를 변환하게 되므로 결국, 상기 데이터 기억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는 그 송,수신 헤드(33),(123)를 통해 비접촉식으로 송수신 처리된 후 외부 스피커측으로 출력된다.
결국,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카셋트 플레이어에 있어서는 카셋트 형상으로 제작된 메모리 플레이어(P)를 장착하여 그의 재생동작을 제어하고 이로부터 재생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외부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어폰이나 액정표시부 등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외부의 스피커를 통해 보다 고품질의 재생음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카셋트 플레이어에 있어서는 카셋트 형태의 메모리 플레이어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경우, 그 메모리 플레이어의 정지, 포즈, 정방향고속주행, 되감기, 정,역방향서치 등의 버튼신호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그 메모리 플레이어를 카셋트 플레이어에서 빼내어 해당 버튼을 누른 후 다시 장착해야 하므로 그에 따른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재생 도중 메모리 플레이어를 빼내는 경우 이에 의해 노이즈가 발생되는 결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존의 카셋트 데크 메카니즘이나 회로를 변형시키지 않고도 카셋트 플레이어에 메모리 플레이어가 장착된 상태에서 카셋트 플레이어의 각 모드설정용 버튼이 눌리는 것을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를 메모리 플레이어가 인식할 수 있는 코드신호로 변환하여 메모리 플레이어에 입력하는 카셋트 플레이어의 버튼신호변환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메모리 플레이어 착탈형 카셋트 플레이어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서 메모리 플레이어가 카셋트 데크 내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내부 평면도.
도 3은 도 2에서 A부의 확대도.
도 4는 도 2에서 B-B선의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도 2에서 C-C선의 단면도로서,
도 5a는 메모리 플레이어가 카셋트 데크 내에 장착되기 전 상태의 단면도.
도 5b는 메모리 플레이어가 카셋트 데크 내에 장착되어 재생 준비단계로 전환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종래기술에 의한 메모리 플레이어의 적용예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카셋트 플레이어의 버튼신호 변환 장치의 예시 블록도.
도 8은 도 7에서 버튼신호 변환장치의 일실시 예를 보인 상세도.
도 9는 도 8에서 회전판의 상세도.
도 10은 도 7에서 버튼신호 변환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상세 블록도.
도 11은 도 8에서 포토인터럽터의 출력펄스 발생 원리를 보인 설명도.
도 12는 도 7에서 버튼신호 변환장치의 출력펄스 코드표.
도 13a,13b는 도 10에서 디코더의 동작 신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 ; 메모리 플레이어 10 ; 상부 케이스
11, 12, 21, 22, 31, 32 ; 릴삽입구멍 13, 14 ; 노출구멍
15 ; 조작버튼 16 ; 액정표시부
16a ; 액정표시 조작버튼 20 ; 하부 케이스
23 ; 단자구멍 24 ; 충전배터리
30 ; 회로기판 33 ; 헤드
34 ; 작동감지부 34a ; 제1 마이크로스위치
34b ; 제2 마이크로스위치 34c ; 제3 마이크로스위치
35, 36 ; 택트스위치 35a ; 잭
37, 38 ; 릴센서 39 ; 접점단자
40 ; 회전전달부 41, 42 ; 릴허브
41a, 42a ; 기어치 43, 44, 45 ; 아이들기어
46 ; 회전판 50 ; 이어폰
112 ; 충전송신기 113 ; 수신포트
114 ; 충전송신단자 120 ; 카셋트 데크
121, 122 ; 릴 123 ; 수신헤드
124a, 124b ; 핀치롤러 125 ; 가이드 샤프트
126a, 126b ; 캡스턴축 130 ; 카오디오 시스템
131 ; 카셋트 삽입구멍 132 ; 시스템 액정표시부
133 ; 시스템 조작버튼 201 : 버튼신호 변환장치
202 : 마이크로컴퓨터 203 : 메모리
204,303 : 디코더 205 : 멀티플렉서
206 : D/A변환기 207 : 출력코일
301A,301B : 마이크로스위치 302A,302B : 포토인터럽터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카셋트 플레이어의 버튼신호 변환 장치의 일실시 예를 보인 카셋트 테이프형 메모리 플레이어의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셋트 플레이어의 각 핀치롤러의 수직이동을 검출함과 아울러 릴의 회전상태를 검출하고 이를 근거로 입력버튼 장치에서 어떤 버튼이 눌려졌는지 판단하여 각 모드에 상응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버튼신호 변환장치(201)와; 상기 버튼신호 변환장치(201)의 출력신호를 근거로 현재 요구된 모드를 판단하여 메모리(203)를 대상으로 재생, 정지, 포즈, 정방향고속주행,되감기,서치 등의 제어역할을 수행하는 마이크로컴퓨터(202)와; 사용자가 필요로하는 노래, 연주 등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203)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202)에 의해 상기 메모리(203)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복호처리하여 원래의 데이터로 출력하는 디코더(204)와; 서치모드에서 재생모드로 원할하게 절환할 수 있도록 상기 디코더(204)의 출력신호에 기 설정된 유,무음구간의 신호를 삽입하여 출력하는 멀티플렉서(205)와; 상기 멀티플렉서(205)에서 출력되는 디지탈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헤드용 출력코일(207)측으로 출력하는 D/A변환기(206)로 구성하였다.
도 8은 상기 도 7에서 버튼신호 변환장치의 일실시 구현예를 보인 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셋트 데크에서 핀치롤러가 테이프 근처로 하강되는 것을 감지하는 마이크로스위치(301A),(301B)와; 카셋트 데크의 릴에 설치되어 각 릴의 회전상태를 감지하는 포토인터럽터(302A),(302B)와; 상기 마이크로스위치(301A),(301B) 및 포토인터럽터(302A),(302B)의 출력신호를 근거로 카셋트 플레이어의 버튼입력장치에서 어떤 버튼이 눌려졌는지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메모리 플레이어에서 해당 모드를 인식할 수 있도록 각각의 코드신호를 출력하는 디코더(303)로 구성한 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작용을 첨부한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카셋트 플레이어에 메모리 플레이어가 장착된 상태에서 별도의 버튼입력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그 카셋트 플레이어의 버튼입력장치를 이용하여 메모리 플레이어에 버튼입력신호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그 버튼입력장치의 눌림에 의해 동작상태를 검출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도 8에서와 같이 메모리 플레이어(P)상에서, 두 개의 핀치롤러 주변에 각각의 마이크로스위치(301A),(301B)를 설치하고, 두 개의 릴 주변에 로터리 엔코더와 같은 포토인터럽터(302A),(302B)를 각각 설치하였다.
여기서, 마이크로스위치(301A),(301B)는 핀치롤러가 테이프 근처로 하강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해 설치된 것으로, 정지시 핀치롤러가 완전히 물러나는 것에 의해 오프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온상태로 절환된다. 상기 포토인터럽터(302A),(302B)는 릴의 회전유무와 속도, 회전방향을 검출하기 위해 설치한 것이다.
도 9는 상기 포토인터럽터(302A),(302B)의 회전판(46)에 대한 일실시 구현예를 보인 것으로, 그 회전판(46)을 14구획으로 등분하면 1개의 구획은 약 26°의 각도로 되며, 14구획 중 4구획은 포토인터럽터(302A),(302B)로부터 광이 반사되지 않도록 검은색으로 하고, 4구획은 반사되도록 처리하며, 다음 각 2구획씩을 반사,무반사 처리하고, 다음 각 1구획씩을 반사,무반사 처리한다.
도 11은 그 포토인터럽터(302A),(302B)의 출력펄스 발생 원리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즉, 사용자에 의해 상기 버튼입력장치의 재생버튼(PLAY)이 눌려지면 핀치롤러의 하강동작에 의해 마이크로스위치(301A),(301B)가 눌려져 그들이 온되며, 도 8의 우측릴(121)이 시계방향으로 정속 회전하고, 그 우측릴(121)과의 기어 연결에 의해 좌측릴(122)도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버튼신호 변환장치(201)내의 디코더(303)가 포토인터럽터(302A),(302B)에서 출력되는 펄스의 길이를 분석해 보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4T,2T,1T의 순서로 하이(H) 신호가 검출되며, '하이(H)' 유지시간이 4:2:1 비율로 검출된다. 물론 반대 방향으로 재생을 하는 경우에는 1:2:4의 비율로 검출된다. 따라서, 검출신호의 시간비율을 근거로 정,역방향 재생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재생시 상기 포토인터럽터(302A),(302B)로부터 검출되는 가장 짧은 신호의 길이는 1T이며, 이하 이를 Tplay로 표현한다.
따라서, 상기 디코더(303)는 상기와 같은 형태로 입력되는 펄스를 근거로 현재 재생버튼(PLAY)이 눌려졌음을 인식한 후 메모리 플레이어(P)의 마이크로컴퓨터(202)에 재생명령을 하달하게 된다.
사용자에 의해 상기 버튼입력장치의 정지버튼(STOP)이 눌려지거나 포즈버튼(PAUSE)이 눌려지는 경우에는 상기 릴(121),(122)의 회전이 정지되고, 상기 포토인터럽터(302A),(302B)의 출력펄스의 '하이' 유지시간이 상기 Tplay보다 4배 더 길거나 계속 '로우(L)'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마이크로스위치(301A),(301B)가 오프된 상태로 된다.
따라서, 상기 디코더(303)는 상기와 같은 형태로 입력되는 펄스를 근거로 현재 정지버튼(STOP) 또는 포즈버튼(PAUSE)이 눌려졌음을 인식한 후 메모리 플레이어(P)의 마이크로컴퓨터(202)에 해당 명령을 하달하게 되어 해당 상태가 유지된다.
사용자에 의해 상기 버튼입력장치의 정방향고속주행 버튼(FF),되감기버튼(REW)이 눌려지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상기 마이크로스위치(301A),(301B)가 오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릴(121),(122)이 고속으로 회전하며 상기 포토인터럽터(302A),(302B)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길이는 정방향고속주행의 경우에 4:2:1의 비율로 검출되고, 되감기의 경우에는 1:2:4로 검출된다.
정방향고속주행 또는 되감기시 상기 포토인터럽터(302A),(302B)로부터 검출되는 가장 짧은 신호의 길이를 Tfr이라 칭한다. 이 Tfr값은 릴 회전용 모터가 고속으로 주행할 때 발생되는 값이므로 상기 Tplay에 비하여 매우 작은 값을 갖는다.
상기 디코더(303)는 이와 같은 형태로 입력되는 펄스를 근거로 현재 정방향고속주행 버튼(FF) 또는 되감기버튼(REW)이 눌려졌음을 인식한 후 메모리 플레이어(P)의 마이크로컴퓨터(202)에 해당 명령을 하달하게 되어 해당 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사용자에 의해 상기 버튼입력장치의 정방향서치 버튼(SEARCH+)이 눌려지는 경우에는 상기와 반대 동작에 의해 상기 마이크로스위치(301A),(301B)가 온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릴(121),(122)은 고속주행시의 속도로 회전하고 상기 포토인터럽터(302A), (302B)에서는 4Tfr, 2Tfr,1Tfr의 신호가 출력되므로 상기 디코더(303)는 이와 같은 형태로 입력되는 펄스를 근거로 정방향서치 버튼(SEARCH+)이 눌려졌음을 인식한 후 메모리 플레이어(P)의 마이크로컴퓨터(202)에 해당 명령을 하달하게 되고, 이에 따라 메모리 플레이어(P)는 다음 곡(노래)을 선곡하여 재생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역방향서치 버튼(SEARCH-)이 눌려지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마이크로스위치(301A),(301B)가 온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때, 상기 포토인터럽터(302A),(302B)에서는 1Tfr, 2Tfr,4Tfr의 신호가 출력되므로 상기 디코더(303)는 이와 같은 형태로 입력되는 펄스를 근거로 역방향서치 버튼(SEARCH-)이 눌려졌음을 인식한 후 메모리 플레이어(P)의 마이크로컴퓨터(202)에 해당 명령을 하달하게 되고, 이에 따라 메모리 플레이어(P)는 이전 곡을 선곡하여 재생하게 된다.
즉, 사용자에 의해 상기 버튼입력장치에서 정방향서치 버튼(SEARCH+)이 눌려지거나 역방향서치 버튼(SEARCH-)이 눌려졌을 경우 유음구간 이후에 일정시간 이상 무음구간이 유지되도록 하여야만 카셋트 데크가 서치모드를 해제하고 재생모드로 복귀하게 된다.
도 12는 상기 버튼신호 변환장치(201)내의 디코더(903)가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카셋트 플레이어의 버튼입력장치에서 어떤 버튼이 눌려지는지 검출한 후 콘트롤버스(C_BUS)를 통해 메모리 플레이어(P)의 마이크로컴퓨터(202)에 소정 비트(예:3bit)의 변환된 코드값으로 출력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상기 메모리 플레이어(P)의 마이크로컴퓨터(202)는 상기 콘트롤버스(C_BUS)를 통해 상기 버튼신호 변환장치(201)로부터 입력되는 버튼변환 코드를 근거로 현재 어떤 조작버튼이 눌려졌는지 판단하여 메모리(203)를 상대로 해당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예로써, 재생버튼(PLAY)이 눌려진 것으로 판단되면, 메모리(203)에서 해당 곡의 데이터를 읽어내어 디코더(204)에 출력하게 되고, 그 디코더(204)는 입력되는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원래의 데이터로 출력하게 된다.
상기 디코더(204)에서 복호화된 데이터는 멀티플렉서(205)를 통해 D/A변환기(206)에서 아날로그신호로 변환된 후 출력코일(207)측으로 출력되는데, 이 출력코일(207)은 도 1에서 송신헤드(33)의 코일을 의미한다.
상기 멀티플렉서(205)를 사용하는 이유는 카셋트가 서치모드에 있는 경우 이 상태를 검출한 후 곧바로 테이프를 재생모드로 절환시키기 위하여 일정시간동안 유음구간과 무음구간을 설정해 주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마이크로컴퓨터(202)에서 가청주파수 범위에 속하는 펄스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복호화된 데이터 영역에 삽입하여 상기 D/A변환기(206)측으로 출력하기 위함이다. 이때, 마이크로컴퓨터(202)는 단순히 데이터값을 가청주파수 범위내에서 토글시켜주기만 하면 된다.
한편, 상기 버튼신호 변환장치(202)에서 버튼의 눌림상태를 감지하여 도 12와 같은 코드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을 도 10을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에서 수광부(401)는 상기 도 8에서 포토인터럽터(302A) 또는 포토인터럽터(302B)의 수광부를 의미하는 것이며, 마이크로스위치(403)는 마이크로스위치(301A) 또는 마이크로스위치(301B)를 의미하는 것이다.
포토인터럽터의 발광부에서 투사되는 광이 릴과 함께 회전하는 도 9와 같은 회전판의 반사영역(예:은백색 도포영역)에 투사되는 경우에는 수광부(401)측으로 반사광이 입사되고, 이때 그 수광부(401)에서는 '하이' 신호가 출력된다. 그러나, 상기 발광부에서 투사되는 광이 비반사영역(예: 검은색 도포영역)에 투사되는 경우에는 수광부(401)측으로 반사광이 입사되지 않아 이때 그 수광부(401)에서는 '로우' 신호가 출력된다.
카운터(402)는 상기 수광부(401)에서 '하이' 신호가 출력될때마다 카운트값을 증가시키고 '로우'가 출력될 때 현재까지 카운트된 값을 데이터버스(D_BUS)를 통해 디코더(404)측으로 출력하게 되며, 이때, 데이터 유효신호(D_valid)를 '하이'로 설정한다.
따라서, 상기 디코더(404)는 상기 데이터 유효신호(D_valid)가 '하이'로 될 때마다 카운터(402)로부터 입력되는 카운트값을 저장하고, 그 값을 기 저장된 값과 비교하여 모터가 오른쪽으로 회전하고 있는지 또는 왼쪽으로 회전하고 있는지 판단하게 되며 그 판단결과에 따라 방향신호(DIR)를 '로우'로 출력하거나 '하이'로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마이크로스위치(403)는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핀치롤러(301A),(301B)의 이동을 감지하여 어떤 버튼이 눌려졌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재생모드나 서치모드에서 온되는 스위치이이다.
상기 디코더(404)는 상기 카운터(402)의 출력값과 마이크로스위치(403)의 출력신호를 근거로 현재 카셋트 플레이어의 버튼입력장치에서 어떤 버튼이 눌려졌는지 판단하여 상기 마이크로컴퓨터(202)에 도 12와 같은 코드신호를 출력하게 되는데, 도 13a,13b는 그 디코더(404)의 알고리즘에 대한 신호 흐름도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카셋트 데크 메카니즘이나 회로를 변형시키지 않고도 카셋트 플레이어에 메모리 플레이어가 장착된 상태에서 카셋트 플레이어의 각 버튼이 눌리는 것을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를 메모리 플레이어가 인식할 수 있는 코드신호로 변환하여 메모리 플레이어에 입력함으로써, 메모리 플레이어를 카셋트 플레이어에 장착하여 사용할 때 별도의 비용 상승을 유발시키지 않고도 메모리 플레이어를 보다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카셋트 플레이어의 각 핀치롤러와 릴의 동작상태를 검출하고 이를 근거로 카셋트플레이어의 입력버튼 장치에서 어떤 버튼이 눌려졌는지 판단하여 각 모드에 상응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버튼신호 변환수단과; 상기 버튼신호 변환수단의 출력신호를 근거로 현재 요구된 모드를 판단하여 메모리를 대상으로 각종 제어기능을 발휘하는 제어수단과; 사용자가 필요로하는 노래, 연주 등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메모리수단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복호처리하여 원래의 데이터로 출력하는 디코더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플레이어의 버튼신호 변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서치모드에서 재생모드로 원할하게 절환할 수 있도록 상기 디코더의 출력신호에 기 설정된 유,무음구간의 신호를 삽입하여 출력하는 멀티플렉서와; 상기 멀티플렉서에서 출력되는 디지탈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헤드용 출력코일측으로 출력하는 D/A변환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플레이어의 버튼신호 변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버튼신호 변환수단은 카셋트 데크에서 핀치롤러가 테이프 근처로 하강되는 것을 감지하는 마이크로스위치와; 카셋트 데크에서 릴의 회전상태를 감지하는 포토인터럽터와; 상기 마이크로스위치 및 포토인터럽터의 출력신호를 근거로 카셋트 플레이어의 버튼입력장치에서 어떤 버튼이 눌려졌는지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메모리 플레이어에서 해당 모드를 인식할 수 있도록 각각의 코드신호를 출력하는 디코더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플레이어의 버튼신호 변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카셋트플레이어의 입력버튼 장치는 재생, 정지, 포즈, 정방향고속주행,되감기,서치 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플레이어의 버튼신호 변환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버튼신호 변환수단은 릴과 일체로 회전하며 원호의 길이가 다른 다수의 반사부 또는 무반사부가 형성된 회전판과; 상기 반사부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플레이어의 버튼신호 변환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회전판의 반사부 및 무반사부의 원호의 길이는 1:2:4의 비율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플레이어의 버튼신호 변환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회전판의 반사부 및 무반사부의 원호의 길이는 긴 것부터 짧은 것 순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플레이어의 버튼신호 변환 장치.
  8. 카셋트 플레이어 내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메모리 플레이어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카셋트 플레이어 내에 메모리 플레이어가 장착된 상태에서 릴의 회전속도 및 방향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릴의 회전속도 및 방향을 근거로 메모리 플레이어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플레이어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릴의 회전방향은 상기 릴과 일체로 회전하고 반사부와 무반사부가 교대로 형성됨과 아울러 이들 원호의 길이가 1:2:4의 비율로 된 회전판과, 그 회전판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반사광을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통해 감지시간을 검출하고, 그 감지시간을 근거로 하여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플레이어의 제어방법.
KR1019980034514A 1998-08-25 1998-08-25 메모리 플레이어의 버튼신호변환장치 및 제어방법 KR100304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4514A KR100304565B1 (ko) 1998-08-25 1998-08-25 메모리 플레이어의 버튼신호변환장치 및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4514A KR100304565B1 (ko) 1998-08-25 1998-08-25 메모리 플레이어의 버튼신호변환장치 및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8479A true KR19990078479A (ko) 1999-11-05
KR100304565B1 KR100304565B1 (ko) 2002-04-17

Family

ID=37529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4514A KR100304565B1 (ko) 1998-08-25 1998-08-25 메모리 플레이어의 버튼신호변환장치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45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635A (ko) * 2000-07-27 2000-11-06 장승관 카세트 테입형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재생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635A (ko) * 2000-07-27 2000-11-06 장승관 카세트 테입형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재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04565B1 (ko) 2002-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34897A (en) Cassette adapter for playback device, such as a compact disk player
JP3006728B2 (ja) 接続装置
US6882492B1 (en) Cassette type audio data or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KR100304565B1 (ko) 메모리 플레이어의 버튼신호변환장치 및 제어방법
KR100339535B1 (ko) 카셋트플레이어용디지털오디오데이터플레이어및그재생방법
KR100363706B1 (ko) 카세트 테입형 오디오 데이터 또는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
KR100360390B1 (ko) 카세트 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진 엠펙 플레이어 및 그 제어방법
KR20000063635A (ko) 카세트 테입형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재생장치
KR200205913Y1 (ko) 카세트 테입형 오디오 데이터 기록 및 재생장치
KR100420004B1 (ko) 브이씨알의 모드변환장치 및 방법
KR200261989Y1 (ko) 브이씨알의 모드변환장치
GB2306758A (en) A rotary mode switch for a tape recording apparatus
US6256169B1 (en) Operation mode detection device of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H05250760A (ja) テーププレーヤ
JP2577376Y2 (ja) 学習機
KR0116922Y1 (ko) 카세트기구의 테이프 카세트 양면 검출장치
JPS63179439A (ja) 磁気テ−プ走行制御装置
JPH11119893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再生システム
CA2298386A1 (en) Apparatus for playing stored music through an audio cassette player
JPS60129956A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自動頭出装置
JPS61283056A (ja) 録音再生装置
JPH10188393A (ja)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H0468396A (ja) 楽音情報記憶装置
JPH0329143A (ja) テープレコーダーの動作制御回路
KR20020006657A (ko) 휴대용 음향기기를 자동차에서 사용할 경우 휴대용음향기기의 음향신호를 자동차의 음향기기에 전달하는팩의 오토리버스 작동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