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7057A - 휴대용 전화기의 플립카버 조합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화기의 플립카버 조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7057A
KR19990077057A KR1019980705190A KR19980705190A KR19990077057A KR 19990077057 A KR19990077057 A KR 19990077057A KR 1019980705190 A KR1019980705190 A KR 1019980705190A KR 19980705190 A KR19980705190 A KR 19980705190A KR 19990077057 A KR19990077057 A KR 199900770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racket
flip cover
portable telephone
main housing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5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4054B1 (ko
Inventor
주니어 제임스 디 맥도날드
야웨이 마
Original Assignee
찰스 엘 무어 쥬니어
에릭슨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찰스 엘 무어 쥬니어, 에릭슨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찰스 엘 무어 쥬니어
Publication of KR19990077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7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4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40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메인하우징과, 지정 통신모드하에서의 휴대용 전화 작동을 위한 메인하우징내 회로망과, 상기 메인하우징에 착탈식으로 연결된 지지브라켓 조합과, 제1축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브라켓 조합에 대해 회전가능한 상태로 결합된 플립카버와, 지정 통신모드의 신호를 발송 또는 접수하기 위해 상기 회로망에 연결된 안테나를 포함하여 구성된 휴대용 전화기가 공개된다. 상기 플립카버는 또한, 상기 제1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2축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브라켓 조합에 대해 회전가능하다. 상기 지지브라켓 조합은, 상기 메인하우징의 일측단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선단 홈부를 갖는 지지브라켓과, 지지브라켓을 상기 메인하우징에 연결시키기 위한 래칭 메커니즘과, 제1축을 중심으로 상호 회전가능하게 상기 지지브라켓 및 플립카버를 연결하는, 해당 지지브라켓 타측 선단부에 위치한 힌지 메커니즘과, 힌지 메커니즘에 장치되어 상기 제2축을 중심으로 한 플립카버 회전이 가능토록 하는 유니버설 조인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정 통신모드는 셀룰러 및/또는 위성통신이다.

Description

휴대용 전화기의 플립카버 조합
전형적으로 900 메가헤르쯔(Megahertz) 정도 주파수의 신호를 수발신하는 휴대용 셀룰러(cellular) 전화기는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며, 또한, 지난 수년간 실용화되어 왔다. 최근, 그러나, 필수적 셀룰러 타워(cellular tower) 또는 스테이션(station) 부족으로 셀룰러 통신이 불가능한 지역에는 제2통신모드, 즉, 인공위성이 중요수단으로 활용되기에 이르렀다. 그러한 위성통신은 L-밴드(L-band) 범위내의 주파수, 통상은, 1.0 내지 30.0 기가헤르쯔(Gigahertz) 정도의 주파수로 이루어진다.
셀룰러 안테나는 직선형으로 성극되고(polarized), 위성 안테나는 원형으로 성극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셀룰러 및 위성통신 모드에는 별도 안테나가 필수적인 것으로 인식되어 있다. 차이점이라면, 위성통신 모드의 경우, 방향성 부품(directional component)을 구비함에 따라, 해당 위성 안테나가 인공위성을 향해 위치를 잡게 될 때 그 링크마진(link margin)이 증가하는 반면, 상기 셀룰러 통신 모드는 그렇지 않은 점이다. 즉, 위성 안테나 구조 자체가 그렇듯이, 상기 휴대용 전화기에 있어 위성 안테나의 위치설정은 매우 중요하다.
휴대용 전화기의 플립카버는 통상 키보드(key board) 또는 디스플레이(display) 보호용으로 쓰이며, 또한 전화기 베이스 일부분 위로 단순히 연장되어 있다. 어떤 출원의 경우, 그렇지만 플립카버가 안테나를 감싸는 데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미국특허 5,337,061호, 미국특허 5,258,892호, 미국특허 5,014,346호 및 미국특허 5,170,173호). 이하에서 설명하겠거니와, 상기 특허들에서 공개된 바의 안테나들은 본 발명의 위성 안테나와는 각기 상이한 구조이다. 덧붙여, 상기 특허들의 경우, 메인하우징에 대한 플립카버 결합이 개방 및 폐쇄위치간의 단일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으로 이루어져 있다.
더욱이, 그처럼 플립카버내 안테나를 포함한 휴대용 전화기에 있어서는, 해당 플립카버 자체가 상기 메인하우징에 결합된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되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사용자가 독킹 스테이션(docking station), 승용차용 크레이들 어뎁터(cradle adapter) 또는 기타 동일류내에 휴대용 전화기를 두고자 하는 경우, 해당 부속장비들에 자체 안테나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플립카버 구조는 문제시될 수 있다. 상기 부속장비류내에 전화기를 둘 경우 플립카버내 고정형 안테나를 분리할 수는 있으나, 기계식 스위치가 요구되는 관계로, 전기적 기능의 저하를 감수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상기 스위칭 부품 없이도 안테나를 자유로이 바꾸고 싶은 경우를 많이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의 주목적은, 위성통신 및 셀룰러 통신의 양쪽 모드에서 작동가능한 휴대용 전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위성통신 및 셀룰러 통신의 양쪽 모드에서 작동가능한 휴대용 전화기용 안테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링크마진 향상을 위한 개선된 게인/온도(gain/ temperature ratio)비를 갖는, 위성통신 모드에 있어서의 휴대용 전화기용 안테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역시 또다른 목적은, 상기 휴대용 전화기의 위성 안테나를 감싸기 위한 플립카버를 제공하는 것인 바, 해당 플립카버는 상대 인공위성에 대한 상기 위성 안테나의 보다 나은 위치설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하우징에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메인하우징 또는 휴대용 전화기에 착탈식으로 결합된 플립카버 조합(assembly)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휴대용 전화기의 메인하우징에 대해 플립카버를 착탈식으로 결합하기 위한 지지브라켓 조합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휴대용 전화기의 메인하우징에 대해 플립카버를 착탈식으로 결합하기 위한 지지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인 바, 해당 플립카버는 상기 지지브라켓에 대해 대략 2개의 별도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역시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독킹 스테이션용 안테나와의 연결이 용이한 착탈식 안테나 시스템을 갖춘 휴대용 전화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나머지 하나의 목적은 휴대용 위성전화기용 부속장비류의 설계를 단순화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로 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용 전화기,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전화기류의 메인 하우징에 플립카버(flip cover)를 착탈식으로 결합하기 위한 지지브라켓 조합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용 전화기를 나타낸 사시도인 바, 여기서는 플립카버가 닫힌 상태이다.
도 2는 상기 도 1상의 휴대용 전화기의 사시도인 바, 여기서는 제1축을 중심으로 상기 플립카버가 부분적으로 개방된 상태이다.
도 3은 상기 도 1 및 도 2상의 휴대용 전화기의 사시도인 바, 여기서는 제2축을 중심으로 상기 플립카버가 측방으로 회전한 상태이다.
도 4는 상기 도 1 내지 도 3상의 휴대용 전화기의 분해 사시도인 바, 여기서는 상기 지지브라켓 조합을 메인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한 상태이다.
도 5는 상기 도 4상의 플립카버 및 지지브라켓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는, 메인하우징과, 지정 통신모드하에서의 휴대용 전화기 작동을 위해 메인하우징내에 배치된 회로와, 메인하우징에 착탈식으로 결합된 지지브라켓 조합과, 지지브라켓 조합에 대해 일개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플립카버와, 지정 통신모드하의 신호를 수발신하기 위해 상기 회로에 연결된, 상기 플립카버와 일체화된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공개된다. 상기 플립카버는 또한 지지브라켓 조합에 대해 제2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바, 그 축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1축에 대해 수직이다. 상기 지지브라켓 조합은, 메인하우징 한쪽 끝을 수용할 있는 크기의 홈부를 그 선단에 갖는 지지브라켓과, 지지브라켓을 상기 메인하우징에 연결하기 위한 래칭 메커니즘(latching mechanism)과, 상기 지지브라켓의 타측 선단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및 제2축을 연결축으로 해당 지지브라켓을 상기 플립카버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연결시키는 힌지 메커니즘(hinge mechanism)을 포함한다. 상기 지정 통신모드는 셀룰러 및/또는 위성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관점에 따르면, 휴대용 전화기 메인하우징에 플립카버를 결합하기 위한 지지브라켓 조합은, 상기 메인하우징 한쪽 끝을 수용할 수 있는 홈부가 구비된 제1선단을 갖는 지지브라켓과, 지지브라켓을 상기 메인하우징에 연결하기 위한 래칭 메커니즘과, 상기 제1축을 연결축으로 상기 플립카버와 상기 지지브라켓의 제2선단을 상호 결합하는 힌지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여기서, 힌지 메커니즘이 또한 환상 표면을 구비함에 따라, 상기 플립카버는 제2축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브라켓에 대해 회전가능하다.
도면에 관해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동일번호는 전체 도면을 통해 같은 요소를 나타내는 바, 도 1 내지 도 3은, 셀룰러 및 위성 양쪽 통신모드를 작동시킬 수 있는, 손에 들고 쓰는 휴대용 전화기를 나타내며, 공통의 참조번호 '10'으로 표시한다. 상기 휴대용 전화기(10)는, 참조번호 '16'으로 표시된 지지브라켓 조합을 수단으로 상호 연결된 메인하우징(12) 및 플립카버(14)를 포함함을 알 수 있다. 플립카버(14)는 상기 도 1상에서 폐쇄상태로 도시된 바, 실질적으로 메인하우징(12)의 윗면(22)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그 말단측 선단(18)이 윗면(22)상의 수용 레지(receiving ledge)(20)와 접해 있다. 도 2 및 도 3으로부터, 상기 메인하우징(12)의 윗면(22)에 키보드(24), 디스플레이(26) 및 스피커(28)가 구비되어 있음을 알게 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메인하우징(12)은, 본 발명의 양수인이 그 권리자인 동시에 여기서 참고문헌으로 인용되는 출원번호 _/_,_, "양쪽 모드 위성/셀룰러 터미널(terminal)"이라는 명칭의 특허출원서에 도시 및 설명된 바와 같이, 휴대용 전화기로 하여금 셀룰러 및 위성통신이 모두 가능케하는 회로를 포함하고 있음 역시 이해할 것이다.
휴대용 전화기(10)는 또한, 상기 셀룰러 모드하에서의 신호를 수발신하기 위한 메인하우징(12)내 셀룰러 회로에 연결된 제1안테나(30)와, 상기 위성 모드하에서의 신호 수발신을 위한 메인하우징(12)내 위성회로에 연결된 제2안테나(32)를 포함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안테나(직선형으로 성극됨)는, 플립카버(14) 내면상에 위치한 인쇄회로 안테나(30a)로 함이 바람직하다. 선택여하에 따라서는, 상기 제1안테나(30a)를, 플립카버(14) 내부의 와이어 모노폴형(wire monopole type) 안테나(30b)(도 4상으로는 이점쇄선으로 나타냄)로 해도 무방하다.
도 4에서와 같이, 제2안테나(32)는 비록 단일 패치안테나 요소가 두 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는 있으나, 인공위성을 향해 발신하기 위한 제1패치안테나 요소(patch antenna element)(34)와, 인공위성으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제2패치안테나 요소(36)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립카버(14)의 구조와 상기 제1 및 제2패치안테나 요소(34 및 36)의 장착에 관해서는, 역시 본 발명의 양수인이 그 권리자인 한편 여기서 참고문헌으로 인용되는 "휴대용 전화기용 플립카버 및 안테나 조합"이라는 명칭의 동시출원 명세서에 더욱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상호간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패치안테나 요소(34 및 36)는 그 성능에 따라 별개의 작동주파수 대역에 맞춰져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패치안테나 요소(34)는 제1주파수대역(예를 들면, 약 1,626 내지 1,661 기가헤르쯔)내의 신호를 인공위성을 향해 발송하며, 제2패치안테나 요소(36)는 제2주파수대역(예를 들면, 약 1,525 내지 1,560 기가헤르쯔)내의 신호를 인공위성으로부터 접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패치안테나 요소(34 및 36)에 맞는 각각의 주파수대역이 대략 0.035 기가헤르쯔이며 셀룰러 통신에서의 정상 작동주파수, 즉 약 900 메가헤르쯔 정도보다 현저히 높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상기 위성통신 모드에서는 방향성 부품이 관여하기 때문에, 상기 제2안테나(32)를 상대 인공위성과 잘 맞도록 위치설정할 경우, 이들 휴대용 전화기(10) 및 인공위성간 링크마진이 증가하게 되는 바, 본 발명의 중요관점이라면, 과다한 노력 없이도 제2안테나 위치조정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하는 점이다. 덧붙여, 사용자에 대한 방사를 최소화해야 하는 한편 상기 온도/게인비가 링크마진과 직접 관련되기 때문에, 제2안테나(32)는 해당 휴대용 전화기(10) 사용자로부터 멀리하는 것이 좋다. 발신용 패치안테나 요소(34)를 플립카버 말단측 선단(18) 가까이 한 상태로, 상기 제1 및 제2패치안테나 요소(34 및 36)를 플립카버(14)내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
플립카버(14) 및 메인하우징(12)간 결합에 관해서는, 역시 본 발명의 양수인이 그 권리자인 동시에 여기서 참고문헌으로 인용되는 "위성/셀룰러 양쪽 모드 휴대용 전화의 안테나 시스템"이라는 명칭의 동시출원 특허출원서에 하나의 선택예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동출원서상의 플립카버(14) 및 메인하우징(12)간 직접연결 방법은, 메인하우징(12)을 독킹 스테이션, 승용차용 크레이들 어뎁터 또는 기타 부속장비내에 둠으로써 해당 장비류의 자체 안테나를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면, 지지브라켓 조합(16)을 이용하여 상기 플립카버(14) 및 메인하우징(12)을 간접적으로 결합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지지브라켓 조합(16)은, 메인하우징(12)의 일측 선단을 수용할 수 있을 정도 크기의 제1홈부(40)를 갖는 지지브라켓(38)과, 지지브라켓(38)을 메인하우징(12)에 연결하기 위한 래칭 메커니즘(44)(예를 들면, 멈춤쇠 형태)을 포함한다. 이들 지지브라켓(38) 및 메인하우징(12)간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지지브라켓의 제1홈부(40)는, 메인하우징(12)내 상대 개구부(48)내로 수용되는, 그 내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안내핀(46)(도 4 참조)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안내홈(46) 및 개구부(48)는 각각 측면(50 및 52)상에 위치한 도브테일(dovetail)식 안내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도브테일식 안내부재는, 지지브라켓(38)의 제1홈부(40)에 형성된 수놈 부재(51)와, 메인하우징(12)에 형성된 상대 암놈부(53)를 포함한다. 상기 제1홈부(40)내에는 또한 연결구(54, 56 및 58)가 구비되어 있는 바, 이들은 제1안테나(30), 제1패치안테나 요소(34) 및 제2패치안테나 요소(36)용 리드(lead)와 각각 연결된다. 메인하우징 내측 선단(42)으로부터 연장되며 내부의 작동회로와 연결된 연결구(60, 62 및 64)로 하여 상기 배열구조가 완성된다. 지지브라켓(38)을 메인하우징(12)에 연결하는 경우, 상기 각각의 연결구는 서로 맞물리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연결구(54, 56, 58, 60, 62 및 64)를 블라인드 메이트(blind mate) 동일축 케이블 연결구로 하는 것이 좋다.
지지브라켓(38)은 또한, 제1홈부(40) 반대측 선단에 제2홈부(66)(도 5 참조)를 갖는 바, 이를 통해 상기 플립카버(14)와 회전가능 상태로 연결된다. 이는, 상기 플립카버(14)로 하여금 그 내부의 축(72)을 지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축(70)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하는 힌지 메커니즘(68)에 의해 이루어진다. 축(72)은, 한쌍의 베어링(88 및 90)에 그 선단이 잡힌 상태로, 제2홈부(66) 양측에 위치한 지지브라켓 선단부(84 및 86)뿐 아니라, 요오크(78)내 한쌍의 베어링(80 및 82)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축(72)은, 상기 베어링(88 및 90)내 상응하는 'D'자형 개구부(92)와 그 선단이 일치하도록, 'D'자형 단면을 갖는다(베어링(88)에 관해서만 도 5에 나타냄). 상기 형상은, 제1축(70)에 대한 플립카버(14)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여, 그 회전범위를 0°내지 180°범위로 한다(어느 한쪽 방향으로).
요오크(78)는 그 중앙부(96)에 관통공을 갖는 환형 스탭(step)(94)을 포함한다. 요오크(78)는 상기 환형 스탭(94)을 매개로 간격판(98)과 볼트 체결되어 있다. 간격판(98)은 또한, 케이블 해제기구(100)내 개구부(102)로 삽입되어 해당 케이블 해제기구를 붙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케이블 해제기구(100)는, 각각 제1안테나(30), 제1패치안테나 요소(34) 및 제2패치안테나 요소(36)로부터의 리드(104, 106 및 108)를 받아들여 적당한 위치를 잡는 데 쓰인다. 플립카버(14)는 상기 요오크(78)의 환형 스탭(94)과 간격판(98) 사이에 잡힌 내부부재(15)를 갖게 됨을 이해할 것인 바, 이로써 상기 플립카버(14)는 환형 스탭(94) 외주면 주위를 회전 가능하다(요오크(78) 및 간격판(98)을 관통하여 형성된 제2축(112)을 회전중심으로 함). 물론, 플립카버(14)는, 상기 제2축(112)을 중심으로 회전하기에, 상기 제1축(70)을 중심으로 어느 정도 회전해야 한다. 리드(104, 106 및 108)에 작용하는 과도한 굽힘응력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스(110)를 상기 간격판상에 둠으로써, 제2축(112)에 대한 일정치(예를 들면, +90°) 이상의 플립카버(14) 회전을 방지할 수도 있다. 간격판(98)을 관통한 개구부와 요오크(78)상의 환형 스탭(94)은 상기 리드(104, 106 및 108)로 하여금 힌지 메커니즘(68)을 관통할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 도 1 내지 도 3으로부터, 상기 플립카버(14)는 실질적으로 평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플립카버(14)는 또한, 적어도 그 주변 일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메인하우징(12)의 상대 선단부를 감싸주는 플랜지(114)를 포함해도 좋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했으나, 당업자라면 발명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상기 플립카버 및 메인하우징을 연결시킨 본 발명의 휴대용 전화기 및 지지브라켓 조합에 대한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 내지 플립카버 조합은, 위성통신 및 셀룰러 통신의 양쪽 모드에서 작동가능함은 물론, 독킹 스테이션 등의 위성통신용 별도 부속장비용 안테나와의 연결이 용이하여, 통신품질을 포함한 휴대용 전화기의 효용성을 한층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Claims (48)

  1. (a) 메인하우징과;
    (b) 지정 통신모드하에서의 휴대용 전화기 작동을 위하여 상기 메인하우징내에 배치된 회로망과;
    (c) 상기 메인하우징에 착탈식으로 연결된 지지브라켓 조합과;
    (d) 상기 지지브라켓 조합에 대해 제1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상태로 결합된 플립카버와;
    (e) 상기 플립카버와 일체로서 상기 지정 통신모드하에서의 수발신을 위해 상기 회로망에 연결된 안테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망이 셀룰러 통신 모드에서 작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망이 위성통신 모드에서 작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가 상기 플립카버 내부면상에 위치한 인쇄회로 안테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가 상기 플립카버내의 모노폴 안테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가 인공위성을 향해 발신 또는 그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단일 패치안테나 요소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가,
    (a) 인공위성으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제1패치안테나 요소와;
    (b) 인공위성을 향해 발신하기 위한 제2패치안테나 요소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러 회로망이 대략 900 메가헤르쯔의 주파수에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위성 회로망이 대략 1.0∼30.0 기가헤르쯔 주파수대역에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카버가 제2축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브라켓 조합에 대해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축이 실질적으로 제1축과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카버가 상기 제1축을 중심으로 0°∼ 180°범위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카버가 상기 제2축을 중심으로 0°∼ 180°범위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카버가 그 폐쇄시에 있어 상기 메인하우징 전면을 덮을 정도의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 조합이,
    (a) 지지브라켓과;
    (b) 상기 플립카버 및 지지브라켓을 연결하는 힌지 메커니즘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메커니즘이 상기 제1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2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카버가 상기 제1축을 중심으로 최대각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힌지 메커니즘상에 형성된 멈춤쇠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메커니즘이,
    (a) 그 일측단의 제1베어링, 타측단의 제2베어링, 및 이들 제1 및 제2베어링을 상호 연결하며 그 위의 환형 스탭을 포함하는 중앙부를 갖는 요오크와;
    (b) 상기 요오크 중앙부에 첨부되며, 해당 중앙부상의 상기 환형 스탭과 동일방향의 관통공을 갖는 간격판을 추가로 포함하는 한편, 상기 플립카버가, 상기 간격판 및 상기 요오크 사이에 유지되어 상기 환형 스탭 주위를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카버가 상기 제2축을 중심으로 최대각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간격판상에 형성된 멈춤쇠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이 상기 플립카버에 인접한 홈부를 포함하며, 해당 홈부가 상기 제2축을 중심으로 한 상기 플립카버 회전을 허용할 정도의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를 상기 회로망에 연결시키기 위한 수단이 상기 힌지 메커니즘을 관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
  2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이, 상기 플립카버가 상기 제1축을 중심으로 최소각도 이상 회전하기 전에는 진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카버가 실질적으로 평면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카버가,
    (a) 상기 지지브라켓 조합에 연결된 제1실질적 평면부와;
    (b) 상기 제1부분에 대해 일정각도를 이루며, 플립카버 폐쇄시 상기 메인하우징 전면상에 놓이는 제2실질적 평면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카버가 적어도 그 외주부 일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메인하우징의 상대 선단부를 감싸주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카버 제2부분이 그 외주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메인하우징의 상대 선단부를 감싸주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
  2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치안테나 요소가 대략 1.525∼1.560 기가헤르쯔 주파수 대역폭 범위내에서 발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
  2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패치안테나 요소가 대략 1.626∼1.661 기가헤르쯔 주파수 대역폭 범위내에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
  2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 조합이,
    (a) 상기 메인하우징 일측단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홈부를 갖는 지지브라켓과;
    (b) 상기 지지브라켓을 상기 메인하우징에 연결시키기 위한 래칭 메커니즘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 조합이, 상기 지지브라켓 홈부 내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핀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메인하우징이 이들 각각의 안내핀을 접수하기 위한 상대 개구부를 그 내부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 조합이 상기 지지브라켓 홈부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도브테일식 수놈 안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하우징이 상기 각각의 수놈 안내부재를 접수하기 위한 상대 도브테일식 암놈 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 조합이 상기 안테나에 연결된 상기 지지브라켓 홈부 내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연결구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메인하우징이, 상기 지지브라켓 연결구를 접수하기 위한 상대 연결구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지지브라켓 및 메인하우징 연결구 사이의 연결로 인해 상기 안테나 및 회로망간 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 및 메인하우징 연결구가 블라인드 메이트 동심축 케이블 연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
  3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하우징이, 상기 지지브라켓 조합으로부터의 상기 메인하우징 분리시 상기 안테나로부터 상기 회로망을 분리하기 위한 스위치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하우징이 독킹 스테이션에 형성된 별도 안테나와 연결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
  3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망이 셀룰러 통신 모드 및 위성통신 모드 양쪽에 작동가능하며,
    (a) 셀룰러 주파수 대역에서의 수발신을 위한 상기 셀룰러 회로망에 연결된 제1안테나와;
    (B) 인공위성 주파수 대역에서의 수발신을 위한 상기 인공위성 회로망에 연결된 제2안테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
  36. (a) 상기 메인하우징의 일측 선단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홈부가 구비된 제1선단을 갖는 지지브라켓과;
    (b) 상기 지지브라켓 및 상기 메인하우징을 착탈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래칭 메커니즘과;
    (c) 상기 플립카버와 상기 지지브라켓 제2선단을 제1축에 대해 회전가능한 상태로 연결하는 힌지 메커니즘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의 플립카버 및 메인하우징을 착탈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지지브라켓 조합.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메커니즘이 상기 제1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2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의 플립카버 및 메인하우징을 착탈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지지브라켓 조합.
  3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카버가 상기 제1축을 중심으로 0°∼ 180°범위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의 플립카버 및 메인하우징을 착탈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지지브라켓 조합.
  3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카버가 제2축을 중심으로 0°∼ 180°범위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의 플립카버 및 메인하우징을 착탈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지지브라켓 조합.
  40.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카버가 상기 제1축을 중심으로 최대각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힌지 메커니즘상에 형성된 멈춤쇠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의 플립카버 및 메인하우징을 착탈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지지브라켓 조합.
  41. 제37항에 있어서,
    (a) 그 일측단의 제1베어링, 타측단의 제2베어링, 및 이들 제1 및 제2베어링을 상호 연결하며 그 위의 환형 스탭을 포함하는 중앙부를 갖는 요오크와;
    (b) 상기 요오크 중앙부에 첨부되며, 해당 중앙부상의 상기 환형 스탭과 동일방향의 관통공을 갖는 간격판을 추가로 포함하는 한편, 상기 플립카버가 상기 제2축을 중심으로 상기 환형 스탭의 환형 표면상을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의 플립카버 및 메인하우징을 착탈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지지브라켓 조합.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카버가 상기 제2축을 중심으로 최대각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간격판상에 형성된 멈춤쇠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의 플립카버 및 메인하우징을 착탈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지지브라켓 조합.
  43.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이 상기 플립카버에 인접한 제2홈부를포함하며, 해당 홈부가 상기 제2축을 중심으로 한 상기 플립카버 회전을 허용할 정도의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의 플립카버 및 메인하우징을 착탈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지지브라켓 조합.
  44.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판 및 환형 스탭이 중공형이어서, 상기 회로망에 안테나를 연결하기 위한 수단이 상기 힌지 메커니즘을 관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의 플립카버 및 메인하우징을 착탈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지지브라켓 조합.
  45.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이, 상기 플립카버가 상기 제1축을 중심으로 최소각도 이상 회전하기 전에는 진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의 플립카버 및 메인하우징을 착탈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지지브라켓 조합.
  46.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 홈부 내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핀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메인하우징이, 이들 각각의 안내핀을 접수하기 위한 상대 개구부를 그 내부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의 플립카버 및 메인하우징을 착탈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지지브라켓 조합.
  4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 홈부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도브테일식 수놈 안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하우징이, 상기 각각의 수놈 안내부재를 접수하기 위한 상대 도브테일식 암놈 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의 플립카버 및 메인하우징을 착탈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지지브라켓 조합.
  4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에 연결된 상기 지지브라켓 홈부 내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연결구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메인하우징이 상기 지지브라켓 연결구를 접수하기 위한 상대 연결구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지지브라켓 및 메인하우징 연결구 사이의 연결로 인해 상기 안테나 및 회로망간 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의 플립카버 및 메인하우징을 착탈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지지브라켓 조합.
KR1019980705190A 1996-01-16 1997-01-13 휴대전화용착탈식플립커버조립체 KR1003340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586,434 1996-01-16
US08/586,434 US6430400B1 (en) 1996-01-16 1996-01-16 Detachable flip cover assembly for a portable phone
US8/586,434 1996-01-16
PCT/US1997/000337 WO1997026712A1 (en) 1996-01-16 1997-01-13 Detachable flip cover assembly for a portable 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7057A true KR19990077057A (ko) 1999-10-25
KR100334054B1 KR100334054B1 (ko) 2002-10-25

Family

ID=24345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5190A KR100334054B1 (ko) 1996-01-16 1997-01-13 휴대전화용착탈식플립커버조립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430400B1 (ko)
EP (1) EP0875100B1 (ko)
KR (1) KR100334054B1 (ko)
CN (1) CN1143445C (ko)
AU (1) AU725501B2 (ko)
BR (1) BR9706991A (ko)
DE (1) DE69701961T2 (ko)
WO (1) WO199702671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6502A (ko) * 2001-12-28 2003-07-04 주식회사 제론테크놀로지 절첩식 휴대용 전화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73288B1 (fr) * 1997-12-29 2000-03-31 Wavecom Sa Dispositif de radiocommunication a antenne plane pouvant prendre plusieurs positions
US6574293B1 (en) 1998-10-28 2003-06-03 Ericsson Inc. Receivers and methods for reducing interference in radio communications
AU4700900A (en) * 1999-05-06 2000-11-21 Qualcomm Incorporated Two-pin connection for portable phone keypad
US7110802B1 (en) * 1999-08-17 2006-09-19 L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Ltd. Belt clip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nit
JP2001284943A (ja) * 2000-03-30 2001-10-12 Sony Corp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GB2362774B (en) * 2000-05-26 2004-08-18 Nokia Mobile Phones Ltd Radiotelephone
US7194291B2 (en) * 2001-06-26 2007-03-20 Gregory Kim Protective mask of mobile phone
JP4588921B2 (ja) * 2001-05-21 2010-12-01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入力装置
US7203533B1 (en) * 2001-08-15 2007-04-10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 Multipurpose antenna accessory for protection of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JP3951882B2 (ja) * 2001-11-02 2007-08-0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無線通信端末、及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US20030142471A1 (en) 2002-01-29 2003-07-31 Palm, Inc. Replaceable cover for handheld computer
US6781824B2 (en) * 2002-01-29 2004-08-24 Palm, Inc. Encasement for handheld computer
JP4063571B2 (ja) 2002-04-10 2008-03-19 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式携帯通信端末
JP3789416B2 (ja) * 2002-10-03 2006-06-21 Smk株式会社 可動式アンテナ
JP4421829B2 (ja) * 2003-03-24 2010-02-24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
JP2004297590A (ja) * 2003-03-27 2004-10-21 Fujitsu Ltd 移動式無線通信装置
US7023389B2 (en) * 2003-08-26 2006-04-04 Motorola, Inc. Detachable antenna module
US7142899B2 (en) * 2003-09-11 2006-11-2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Portable electronic devices having a locking mechanism for holding and releasing a flipping section
US20050091431A1 (en) * 2003-10-23 2005-04-28 Robert Olodort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TWI237983B (en) * 2004-01-13 2005-08-11 Benq Corp Folding electronic device
US20060099993A1 (en) * 2004-11-05 2006-05-11 Nokia Corporation Multiple antenna portable hand-held electronic device
KR20060072265A (ko) * 2004-12-23 2006-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버 교체형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FR2889399B1 (fr) * 2005-07-27 2009-07-03 Archos Sa Dispositif de television numerique terrestre portable comprenant un dispositif de reception d'un signal numerique de faible puissance
US7502226B2 (en) * 2005-10-31 2009-03-1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Electronic device quick connect system
US20070297125A1 (en) * 2006-06-27 2007-12-27 Nokia Corporation Slim profile foldable device
US20080032758A1 (en) * 2006-08-02 2008-02-07 Ramin Rostami Handheld device protective case
TWI501615B (zh) * 2010-02-10 2015-09-21 Htc Corp 手持裝置
US20120206303A1 (en) * 2010-11-11 2012-08-16 Ethertronics, Inc Antenna system coupled to an external device
USD720734S1 (en) * 2012-03-16 2015-01-06 Incipio Technologies, Inc. Case
KR101398022B1 (ko) * 2012-04-13 2014-05-27 에이피위성통신주식회사 위성 단말기용 크래들
CN104754890A (zh) * 2013-12-31 2015-07-01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机壳及应用该机壳的便携式电子装置
CN106169937A (zh) * 2016-08-15 2016-11-30 武汉中元通信股份有限公司 便携式s频段卫星通信/北斗定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289288S (en) 1984-11-23 1987-04-14 Siemens Aktiengesellschaft Housing for a cordless telephone or similar article
JPH0682974B2 (ja) 1985-04-17 1994-10-19 日本電装株式会社 携帯型受信アンテナ装置
JP2702109B2 (ja) 1985-08-29 1998-01-21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無線機
USD298244S (en) 1986-12-27 1988-10-25 Oki Electric Industry Co., Ltd. Portable handset radio telephone
US5014346A (en) 1988-01-04 1991-05-07 Motorola, Inc. Rotatable contactless antenna coupler and antenna
US5001492A (en) 1988-10-11 1991-03-19 Hughes Aircraft Company Plural layer co-planar waveguide coupling system for feeding a patch radiator array
US4980694A (en) 1989-04-14 1990-12-25 Goldstar Products Company, Limited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folded-slot edge-congruent antenna
US5231407A (en) 1989-04-18 1993-07-27 Novatel Communications, Ltd. Duplexing antenna for portable radio transceiver
USD315731S (en) 1989-04-20 1991-03-26 Oki Electric Industry Co., Ltd. Portable radio telephone
US4973972A (en) * 1989-09-07 1990-11-2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stration Stripline feed for a microstrip array of patch elements with teardrop shaped probes
JP2856263B2 (ja) * 1990-09-07 1999-02-10 富士通株式会社 携帯電話機
US5218370A (en) 1990-12-10 1993-06-08 Blaese Herbert R Knuckle swivel antenna for portable telephone
GB9102935D0 (en) 1991-02-12 1991-03-27 Shaye Communications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antennae
USD325029S (en) 1991-02-26 1992-03-31 Motorola, Inc. Telephone handset housing or similar article
JP3217408B2 (ja) 1991-11-21 2001-10-09 松下電工株式会社 平面アンテナ
US5258892A (en) 1992-01-22 1993-11-02 Motorola, Inc. Molded-in antenna with solderless interconnect
USD352503S (en) 1992-04-03 1994-11-15 Motorola, Inc. Portable telephone
US5170173A (en) 1992-04-27 1992-12-08 Motorola, Inc. Antenna coupling apparatus for cordless telephone
JPH0697713A (ja) 1992-07-28 1994-04-08 Mitsubishi Electric Corp アンテナ
USD355182S (en) 1992-09-15 1995-02-07 Kabushiki Kaisha Toshiba Portable radio telephone
USD353587S (en) 1992-09-15 1994-12-20 Motorola Inc. Portable telephone
US5463406A (en) 1992-12-22 1995-10-31 Motorola Diversity antenna structure having closely-positioned antennas
US5392054A (en) 1993-01-29 1995-02-21 Ericsson Ge Mobile Communications Inc. Diversity antenna assembly for portable radiotelephones
FR2701613B1 (fr) 1993-02-11 1995-03-31 Alcatel Radiotelephone Appareil émetteur-récepteur radiotéléphonique portatif.
FR2707063B1 (ko) * 1993-06-25 1995-09-22 Alcatel Mobile Comm France
USD356084S (en) 1993-08-13 1995-03-07 Motorola, Inc. Portable telephone
IL108358A (en) * 1993-09-14 1997-03-18 Loral Space Systems Inc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extendable antenna
US5422651A (en) 1993-10-13 1995-06-06 Chang; Chin-Kang Pivotal structure for cordless telephone antenna
US5436633A (en) 1993-10-25 1995-07-25 Liu; An-Shuenn Adjustable antenna assembly for a portable telephone
USD359734S (en) 1994-03-07 1995-06-27 Motorola, Inc. Foldable housing for a portable telephone
USD363069S (en) 1994-05-02 1995-10-10 Bro William L Personal communicator
US5535432A (en) * 1994-09-14 1996-07-09 Ericsson Ge Mobile Communications Inc. Dual-mode satellite/cellular phone with a frequency synthesizer
USD363716S (en) 1994-12-02 1995-10-31 Motorola, Inc.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5628089A (en) * 1995-05-18 1997-05-13 Motorola, Inc. Radiotelephone having a self contained hin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6502A (ko) * 2001-12-28 2003-07-04 주식회사 제론테크놀로지 절첩식 휴대용 전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3445C (zh) 2004-03-24
AU1575197A (en) 1997-08-11
BR9706991A (pt) 1999-07-20
EP0875100A1 (en) 1998-11-04
CN1212795A (zh) 1999-03-31
WO1997026712A1 (en) 1997-07-24
DE69701961T2 (de) 2000-10-19
AU725501B2 (en) 2000-10-12
EP0875100B1 (en) 2000-05-10
US6430400B1 (en) 2002-08-06
KR100334054B1 (ko) 2002-10-25
DE69701961D1 (de) 200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4054B1 (ko) 휴대전화용착탈식플립커버조립체
AU718231B2 (en) Antenna system for dual mode satellite/cellular portable phone
US6025816A (en) Antenna system for dual mode satellite/cellular portable phone
US5809403A (en) Coaxial cable assembly for a portable phone
AU705972B2 (en) Antenna connector device for a handheld mobile phone
WO1998028814A9 (en) Antenna system for dual mode satellite/cellular portable phone
KR100292704B1 (ko) 확장가능한인테나를구비한이동통신을위한휴대용전화기
WO1997026713A1 (en) Flip cover and antenna assembly for a portable phone
WO1997039493A1 (fr) Dispositif radio portable
US6046699A (en) Retractable antenna
US6681125B1 (en) Wireless telecommunication terminal
EP0836755B1 (en) Antenna assembly and communications device
US6091368A (en) Device for making RF and data connection to a satellite subscriber unit
EP1261995B1 (en) Combination cellular/satellit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KR20010022792A (ko) 이동 무선 전화에 대한 수축 가능 안테나의 슬라이드 가능한 접속 시스템
WO2011135851A1 (ja) 無線端末
JP2000196488A (ja) 同軸コネクタ及び無線通信装置
KR20000005472A (ko) 휴대용 무선 통신 장치
KR19990051309A (ko) 내장형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전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