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6601A - 정보매체에정보를저장하거나정보매체로부터정보를재생하는장치 - Google Patents

정보매체에정보를저장하거나정보매체로부터정보를재생하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6601A
KR19990076601A KR1019980704694A KR19980704694A KR19990076601A KR 19990076601 A KR19990076601 A KR 19990076601A KR 1019980704694 A KR1019980704694 A KR 1019980704694A KR 19980704694 A KR19980704694 A KR 19980704694A KR 19990076601 A KR19990076601 A KR 19990076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gripper
contact surface
chassi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4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르베르트 크리스티안 폴만
Original Assignee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요트.게.아. 롤페즈
Publication of KR19990076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660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751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arallel to its main side, i.e. front loading
    • G11B15/67521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arallel to its main side, i.e. front loading of cassette with internal belt drive
    • G11B15/67523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arallel to its main side, i.e. front loading of cassette with internal belt drive with servo contro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751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arallel to its main side, i.e. front loa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Landscapes

  • Automatic Tape Cassette Changer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트릿지 내부에 수납된 정보매체 상에 정보를 저장하거나 이 정보매체로부터 정보를 재생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1)는, 카트릿지(5)의 전동화된 적재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전동화된 적재기(120, 121, 123, 133)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장치(101)는, 상기 카트릿지(5)를 제 1 변속비에 의해 장치(101) 내부로 끌어들인 후 제 2 변속비로 작동위치로 이동시키는 기구(121, 122, 130)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은, 전동화된 적재기구가 서로 일정한 각도로 배치된 2개의 접촉면(131, 132)을 갖는 부재(130)를 구비한다는 사실에 근거한다.

Description

정보매체에 정보를 저장하거나 정보매체로부터 정보를 재생하는 장치
본 발명은, 카트릿지 내부에 수납된 정보매체 상에 정보를 저장하거나 이 정보매체로부터 정보를 재생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 샤시와,
- 상기 카트릿지의 구동가능한 부재를 통해 상기 정보매체를 구동하는 구동부재와,
- 카트릿지를 수납하며, 장치의 벽면에 있는 개구를 통해 접근가능한 카트릿지 공간과,
- 상기 카트릿지 공간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카트릿지를 파지하도록 구성된 이동가능한 그립퍼(gripper)와,
- 전동기와, 상기 전동기에 의해 구동가능하며, 상기 카트릿지가 삽입가능한 적재위치로부터 상기 정보매체가 상기 구동부재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작동위치로 상기 그립퍼를 안쪽으로 직선상으로 움직이고, 상기 작동위치로부터 상기 적재위치로 상기 그립퍼를 바깥쪽으로 움직이기 위한 부재의 일부분을 이루는 제 2 접촉면과 협력하는 제 1 접촉면을 갖는 휠을 지닌 적재기구를 구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장치는 EP 0 638 898호에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3½ 인치 테이프 카트릿지에 대해 기록 및 판독을 수행하는 기록/판독부에 해당한다.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사용자의 손에 의해 삽입된 카트릿지를 장치 내부로 끌어들이는 전동화된 적재기구를 구비한다. 이 장치는, 샤시와, 샤시에 대해 이동가능하고 카트릿지 내부에 맞물릴 수 있도록 구성된 2개의 체결부재를 갖는 카트릿지 그립퍼를 구비한다. 상시 샤시 위에는 워엄기어를 통해 샤프트를 구동하는 전동기가 장착되고, 이 샤프트는 장치의 폭에 걸쳐 연장된다. 상기 샤프트의 양 단부 근처에 장착된 2개의 휠은 카트릿지 그립퍼에 연결된 2개의 기어 랙과 기어가 맞물린다. 상기 전동기에 전력을 가함으로써, 카트릿지는 적재위치로부터 작동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가 갖는 문제점은 적재기구가 너무 큰 공간을 차지한다는 것이다. 또 다른 문제점은, 전동기가 작동하지 않을 때 장치로부터 카트릿지를 제거할 수 없다는 점이다.
결국,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적재기구가 종래의 장치에 비해 더 작은 공간을 차지하는, 서두에서 정의된 형태의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상기 제 2 접촉면이 안쪽으로 연장된 제 1 부분과, 상기 안쪽 방향에 대해 45 내지 90도 사이의 각도로 연장된 제 2 부분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전동기에 의해 구동되는 휠이 상기 제 2 접촉면의 제 1 부분과 협력할 때 전동기 샤프트의 1 회전과 그립퍼의 이동 사이에 제 1 변속비를 형성하고, 상기 휠이 상기 제 2 접촉면의 제 2 부분과 협력할 때 제 2 변속비를 형성한다. 그 결과, 카트릿지는 먼저 적재위치로부터 장치 내부로 비교적 고속으로 움직인 후, 카트릿지는 비교적 저속으로 작동위치로 움직인다. 이러한 제 2 변속비에 의해 상기 카트릿지는 더 큰 동력을 갖고 움직인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카트릿지의 구동가능한 부재와 장치의 구동부재 사이에 적절한 연결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카트릿지의 구동가능한 부재가 상기 적재기구에 의해 장치의 구동부재에 대해 약간의 힘을 갖고 눌려져야 하기 때문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와 같은 서로 다른 변속비를 비교적 소형의 전동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그 결과 적재기구는 비교적 작은 공간을 필요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와 같은 구성은, 카트릿지가 이들 구성에 의해 보다 정확히 작동위치로 옮겨지기 때문에 매우 유리하다.
상기 제 2 부분이 안쪽 방향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연장되기 때문에, 상기 카트릿지는 작동위치로부터, 상기 카트릿지의 구동가능한 부재가 장치의 구동부재로부터 분리되는 순간의 대기위치로 정확하게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구동가능한 부재와 구동부재가 장시간 동안 서로에 대해 눌려있는 경우에는 구동부재가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러한 변형은 구동부재의 원형성을 손상시키며, 이에 따라, 테이프 속도를 변동시킨다. 비가동 시간 동안 카트릿지를 대기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이러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장치가 상기 샤시 또는 그립퍼에 선회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부재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체결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의 결과로써, 상기 그립퍼가 적재위치와 작동위치 사이에서 직선운동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전동기와 이 전동기에 의해 구동되는 휠이 그립퍼 또는 샤시 상에 고정된 위치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는, 상기 부재가, 안쪽으로 연장된 제 3 부분과 상기 안쪽 방향에 대해 45 내지 90도 사이의 각도로 연장된 제 4 부분을 갖는 제 3 접촉면을 구비하고, 상기 그립퍼가 상기 제 3 접촉면과 협력하는 제 4 접촉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그립퍼 또는 상기 샤시는 상기 부재 내부에 슬롯을 한정하는 면과 협력하는 핀을 갖는다. 이 결과, 상기 부재가 선회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경우에, 상기 제 1 및 제 2 접촉면도 맞물림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더구나, 이와 같은 핀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접촉면에 어떠한 큰 수직력도 작용하게 하지 않으면서 그립퍼 상에 큰 힘이 작용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접촉면 상의 톱니가 큰 수직력에 의해 손상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한 이점을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는, 상기 각도가 60 내지 70도 사이의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은, 적재기구를 붙잡지 않고도 적재기구를 자기제동 상태로 만든다. 이 결과, 워엄기어 동력전달장치가 필요없게 되므로, 적재기구가 거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는, 상기 제 1 접촉면이 제 1 톱니를 갖고, 상기 제 2 접촉면이 제 2 톱니를 가지며, 상기 제 1 톱니는 상기 제 2 톱니와 톱니가 맞물린 상태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톱니를 갖는 동력전달장치는, 예를 들어 마찰 동력전달장치보다 큰 힘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상기 톱니를 갖는 동력전달장치는 매우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는, 상기 전동기가 상기 그립퍼 상에 장착되고, 상기 부재가 상기 샤시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EP 0 638 898호에 공지된 장치에 있어서는, 전동기의 크기가 너무 크기 때문에 이 전동기를 그립퍼 상에 장착하는데에는 실제적인 문제에 마주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 의하면, 소형 전동기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전동기를 그립퍼 상에 장착하는 것이 문제가 되지 않는다. 또한, 전동기를 그립퍼 상에 장착함으로써, 전체 높이를 줄일 수 있고 안쪽 방향으로의 전체 깊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는, 상기 장치가 전동기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으면서 작동위치로부터 적재위치로 상기 그립퍼를 바깥쪽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된 인출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인출기구는 상기 부재와 상기 샤시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 체결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 구성의 결과로써,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 장치로부터 카트릿지를 간단히 제거할 수 있다. 샤시로부터 상기 부재를 분리하여 이 부재를 바깥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그립퍼와 카트릿지를 바깥쪽으로 이동한 다음, 손으로 상기 카트릿지를 상기 크립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접촉면과 제 2 접촉면은 서로에 대해 이동하기 않기 때문에, 이들 접촉면을 서로 분리하는데 어떠한 기구도 필요하지 않다. 더구나, 이러한 구성은 더 작은 공간을 필요로 한다. 더우기,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은, 적재위치와 동작위치 사이의 거리에 무관하게, 항상 그립퍼가 적재위치로 후퇴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체결수단이 슬라이더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부재와 협력하여 상기 부재가 상기 샤시에 대해 바깥쪽으로 움직이지 못하게 잠긴 위치로부터 상기 부재가 바깥쪽으로 움직일 수 있는 위치로 상기 부재를 이동시키는 안내면을 갖고, 상기 장치는 상기 슬라이더를 구동하는 핸들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은 핸들을 간단히 당김으로써 상기 부재가 샤시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하며, 그 결과 스냅 커플링이 해제된다. 다음에, 상기 핸들을 장치로부터 더욱 떨어지도록 당김으로써, 상기 그립퍼를 적재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단 한 번의 이동으로 카트릿지를 장치에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와 정보매체를 수납한 카트릿지를 구비한 정보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다음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2는, 장치의 그립퍼가 적재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 평면도이며,
도 3은 그립퍼가 작동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본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 평면도이고,
도 4는 그립퍼가 사용자의 손에 의해 적재위치로 옮겨진 상태를 나타낸 본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 평면도이며,
도 5는 체결수단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카트릿지를 갖는 그립퍼가 대기위치로 옮겨진 상태의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은 3½ 인치 테이프 드라이브(101)의 형태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정면도이다. 테이프 카트릿지(5)는 전방 벽면(15)에 있는 개구(14)를 통해 장치(101)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카트릿지(5)는 그립퍼(120)에 의해 장치 내부에서 지지된다.
도 2는 상기 장치(101)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이 장치(101)는 카트릿지(5) 내부에 수납된 자기 테이프(2) 상에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장치에 해당한다. 상기 장치(101)는, 카트릿지(5)를 수납하는 카트릿지 공간(13)과, 벽면(15)에 있는 개구(14)를 통해 장치 내부로 삽입된 카트릿지를 파지하는 그립퍼(120)를 구비한다(참조: 도 1). 상기 카트릿지(5)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그립퍼(120)는 카트릿지(5) 내부의 함몰부와 협력하는 2개의 탄성 돌출부(25, 26)를 갖는다. 더구나, 이 장치(101)는 샤시(11) 상에 장착된 자기헤드(12), 구동 로울러(18) 및 구동 모터(19)를 구비한다. 이 그립퍼(120)는 적재기구에 의해 적재위치(참조: 도 2)로부터 작동위치(참조: 도 3)로 이동가능하다. 이와 같은 적재기구는 전동기(121)와 이 전동기에 의해 구동가능한 휠(122)을 구비하는데, 이들 모두는 그립퍼(120)에 고정된다. 상기 휠(122)은 톱니가 형성된 표면(133)의 형태를 갖는 제 2 접촉면과 협력하는 제 1 접촉면, 즉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톱니가 형성된 면(123)을 갖는다, 이때, 톱니가 형성된 표면 133은 샤시(111)에 연결된 부재(130)의 일부분을 구성한다. 상기 전동기(121)에 전압이 가해지면, 상기 톱니가 형성된 면 123은 톱니가 형성된 면 133과 상호작용하여, 그립퍼(120)를 샤시(111)에 대해 움직이는 힘을 발생한다. 상기 부재(130)는 핀 커플링(143)을 통해 핸들(141)에 선회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핸들(141)은 스냅 커플링을 통해 샤시(111)에 연결된다. 상기 스냅링은 샤시(111) 위에 장착된 복수의 핀(145)을 구비하고, 이 핀 사이에는 핸들(141)이 착탈가능하게 클램핑된다. 또한, 그립퍼(120)는 부재(130)의 슬롯(135) 내부에 맞물리는 핀(124)을 구비한다. 상기 핀(124)은, 부재(130)가 핸들(141)을 통해 샤시(111)에 선회축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구성에도 불구하고, 톱니가 형성된 면 123과 톱니가 형성된 면 133을 서로 톱니가 맞물린 상태로 유지한다.
도 3은, 카트릿지(5)와 그립퍼(120)가 작동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상기 장치(101)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작동위치에서, 상기 자기헤드(12)는 자기 테이프(2)와 접촉하고, 구동 로울러(18)는 카트릿지(5)의 구동가능한 로울러(6)와 접촉상태로 존재한다. 이와 같은 구동가능한 로울러(6)는 가요성의 무단상(endless) 벨트(7)를 구동하고, 이 무단상 벨트는 한편으로 테이프 릴(8, 9)을 구동함으로써, 자기 테이프(2)는 헤드(12)를 통과하여 움직이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 휠(122)의 톱니(123)는 톱니 133의 제 2 부분(132)과 맞물리고, 상기 부재(130)는 도 2에 도시된 상태에 대해 핀(143)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때, 톱니 133의 제 2 부분(132)은 안쪽 방향(16)에 대해 예각 phi2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결과, 휠(122)의 일정한 회전은, 휠(122)이 톱니 133의 제 1 부분(131)과 맞물린 경우에 비해, 그립퍼(120)의 안쪽 방향(16)으로의 더 작은 이동에 대응하게 된다. 상기 전동기(121)가 일정한 속도로 구동하면, 카트릿지(5)는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 시작하여 비교적 고속으로 장치 내부에 이끌려 들어간 다음, 휠(122)이 톱니 132의 제 2 부분과 맞물린 상태가 되면 비교적 저속으로 작동위치로 들어가게 된다. 사실상, 상기 톱니의 제 2 부분(132)은 전동기(121)와 그립퍼(120)의 이동 사이에 또 다른 변속비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그립퍼(120)의 핀(124)의 표면(126)은 상기 부재(130) 내부에 슬롯을 한정하는 면(139)과 협력한다. 이러한 구성은, 휠(122)의 접촉면(123)에 어떠한 큰 수직력을 발생하지 않으면서, 상당한 힘이 핀(124)을 통해 그립퍼(120)에 가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각도 phi2를 예를 들면 70°로 선택함으로써, 그립퍼(120)를 움직이는 기구를 자기제동 상태로 만들 수 있다. 상기한 값의 각도 phi2에 대해서는, 구동 로울러(18)와 헤드(12)에 의해 카트릿지(5)를 통해 그립퍼(120)에 가해진 힘이 그립퍼(120)의 이동을 일으키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장치(101)에 고장이 발생하여 전동기(121)가 더 이상 작동하기 않는 경우에, 사용자는 예를 들어 장치를 수리하기 이전에, 이와 같은 상황에도 불구하고 장치로부터 카트릿지(5)를 제거하기를 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장치(101)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그립퍼(120)를 작동위치로부터 적재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구를 구비한다.
도 4는 카트릿지(5)를 갖는 그립퍼(120)가 사용자의 손에 의해 적재위치로 옮겨진 상태에 있는 장치(101)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 핸들(141)을 당김으로써 이러한 상태가 얻어진다. 그후, 핸들(141)을 복수의 핀(145)으로부터 해제시킴으로써, 부재(130)의 일부분을 장치 밖으로 꺼낼 수 있다. 그후, 그립퍼(120)에 고정된 핀(124)이 부재(130) 내부의 슬롯(135)에 맞물리기 때문에, 카트릿지(5)가 장착된 그립퍼(120)를 적재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상기 장치의 전기 부품이 동작을 하지 않더라도, 사용자는 장치에서 카트릿지(5)를 제거하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종이클립 또는 손톱을 사용하여 핸들을 치켜올릴 수 있도록, 장치의 선단부 위치에서 핸들(141)의 입구를 넓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체결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샤시(111)는 제 1 슬롯(155)을 갖는데, 이 슬롯 내부에서 슬라이더(150) 내부에 있는 제 2 슬롯(157)에 의해 핀의 위치가 정해진다. 상기 핀(156)은 부재(130)에 고정되어, 그 결과 상기 부재(130)는 샤시(111)에 선회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동시에, 부재(130)는 바깥쪽(17)으로의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잠겨진다. 또한, 슬라이더(150)는 샤시(111) 위에 장착된 복수의 핀(152)에 의해 안내된다. 이 슬라이더는 핸들(153)을 당김으로써 바깥쪽(17)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동 중에는, 안내면(151)이 핀(156)을 슬롯 155로부터 슬롯 158로 밀어, 이 위치에서는 핸들(153)을 계속 당김으로써 상기 부재(130)를 바깥쪽(17)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이 갖는 이점은, 부재(130)를 샤시(111)에 대해 이동시키지 않으면서, 안쪽 방향(16) 또는 바깥쪽 방향(17)으로 큰 힘을 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다른 이점은, 샤시(111)에 대한 부재(130)의 위치를 정확히 설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것과 같은 장치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자명하다. 본 발명은, 카트릿지 내부에 존재하는 디스크 형태의 정보매체에 정보를 저장하거나 이 정보매체로부터 정보를 재생하는 장치에 유사한 이점을 가지면서 사용될 수 있다. 더구나, 상기 제 1 기구에 대해 다른 구성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부재(130)가 샤시(111)에 선회가능하지 않게 연결되고, 상기 전동기(121) 및/또는 휠(122)이 안쪽 방향(16)에 수직한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그립퍼(120)에 접속됨으로써, 휠(122)이 제 2 톱니(132)를 따르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 이외에도, 상기 제 2 접촉면의 제 2 부분과 상기 제 3 접촉면의 제 4 부분을 평탄한 표면 대신에 원통형 단편 또는 또 다른 굴곡된 표면으로 구성하고, 이러한 굴곡진 표면에 대한 접선이 안쪽 방향에 대해 45 내지 90도 사이의 각도로 경사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6은 카트릿지(5)를 갖는 그립퍼가 대기위치로 이동한 상태에 있는 장치(101)를 나타낸 것이다. 더구나, 상기 장치는 적재기구의 전동기(121)를 제어하는 제어수단(201)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제어수단(201)은, 작동위치로부터 카트릿지의 구동가능한 부재(6)가 장치의 구동부재(18)에서 막 분리되었을 때의 위치인 대기위치로 상기 카트릿지(5)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Claims (11)

  1. 카트릿지(5) 내부에 수납된 정보매체(2) 상에 정보를 저장하거나 이 정보매체로부터 정보를 재생하며,
    - 샤시(11)와,
    - 상기 카트릿지의 구동가능한 부재를 통해 상기 정보매체를 구동하는 구동부재와,
    - 카트릿지를 수납하며, 장치의 벽면(15)에 있는 개구(14)를 통해 접근가능한 카트릿지 공간(13)과,
    - 상기 카트릿지 공간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카트릿지를 파지하도록 구성된 이동가능한 그립퍼(120)와,
    - 전동기(121)와, 상기 전동기에 의해 구동가능하며, 상기 카트릿지가 삽입가능한 적재위치로부터 상기 정보매체가 상기 구동부재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작동위치로 상기 그립퍼를 안쪽(16)으로 직선상으로 움직이고, 기 작동위치로부터 상기 적재위치로 상기 그립퍼를 바깥쪽(17)으로 움직이기 위한 부재(130)의 일부분을 이루는 제 2 접촉면(133)과 협력하는 제 1 접촉면(123)을 갖는 휠(122)을 지닌 적재기구를 구비한 장치에 있어서,
    - 상기 제 2 접촉면(133)은 안쪽(16)으로 연장된 제 1 부분(131)과, 상기 안쪽 방향에 대해 45 내지 90도 사이의 각도(phi1)로 연장된 제 2 부분(13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0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샤시(111) 또는 그립퍼(120)에 선회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부재(130)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체결수단(14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01).
  3.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부재(130)는 안쪽(16)으로 연장된 제 3 부분(138)과 상기 안쪽 방향에 대해 45 내지 90도 사이의 각도(phi2)로 연장된 제 4 부분(139)을 갖는 제 3 접촉면(137)을 구비하고,
    - 상기 그립퍼는 상기 제 3 접촉면(137)과 협력하는 제 4 접촉면(126)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01).
  4.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접촉면은 상기 그립퍼(120) 또는 상기 샤시(111)에 고정된 핀(124)의 일부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01).
  5.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phi1, ph12)는 60 내지 70도 사이의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01).
  6.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촉면은 제 1 톱니(123)를 갖고, 상기 제 2 접촉면은 제 2 톱니(133)를 가지며, 상기 제 1 톱니는 상기 제 2 톱니와 톱니가 맞물린 상태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01).
  7.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기(121)는 상기 그립퍼(120) 상에 장착되고, 상기 부재(130)는 상기 샤시(111)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01).
  8. 제 2 항에 있어서,
    - 상기 장치는 전동기(121)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으면서 작동위치로부터 적재위치로 상기 그립퍼(120)를 바깥쪽(17)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된 인출기구를 구비하고,
    - 상기 인출기구는 상기 부재(130)와 상기 샤시(111)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 체결수단(14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01).
  9. 제 7 항에 있어서,
    - 상기 체결수단은 슬라이더(150)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부재(130)와 협력하여 상기 부재가 상기 샤시(111)에 대해 바깥쪽(17)으로 움직이지 못하게 잠긴 위치로부터 상기 부재가 바깥쪽으로 움직일 수 있는 위치로 상기 부재(130)를 이동시키는 안내면(151)을 갖고,
    - 상기 장치는 상기 슬라이더를 구동하는 핸들(153)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01).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적재기구의 전동기(121)를 제어하는 제어수단(201)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작동위치로부터 상기 카트릿지의 구동가능한 부재(6)가 장치의 구동부재(18)에서 막 분리되었을 때의 위치인 대기위치로 상기 카트릿지(5)를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01).
  11.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장치와, 정보매체를 수납하는 카트릿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록 및 재생장치.
KR1019980704694A 1996-10-21 1997-10-13 정보매체에정보를저장하거나정보매체로부터정보를재생하는장치 KR199900766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6202935 1996-10-21
EP96202935.1 1996-10-21
PCT/IB1997/001266 WO1998018124A1 (en) 1996-10-21 1997-10-13 Apparatus for the storage and/or reproduction of information on/from an information carri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6601A true KR19990076601A (ko) 1999-10-15

Family

ID=8224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4694A KR19990076601A (ko) 1996-10-21 1997-10-13 정보매체에정보를저장하거나정보매체로부터정보를재생하는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016236A (ko)
EP (1) EP0875061A1 (ko)
JP (1) JP2001516488A (ko)
KR (1) KR19990076601A (ko)
CN (1) CN1103103C (ko)
WO (1) WO19980181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84725B1 (en) * 1997-06-10 2003-05-07 Alps Electric Co., Ltd.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H1139746A (ja) * 1997-07-17 1999-02-12 Alps Electric Co Ltd 磁気記録再生装置
EP1112571A1 (en) * 1998-09-10 2001-07-04 OnStream, Inc. Apparatus for writing and/or reading information
US6392836B1 (en) * 1999-01-15 2002-05-21 Seagate Removable Storage Solutions Llc Tape cartridge-loading mechanism
TWI480037B (zh) 2012-12-27 2015-04-11 Ind Tech Res Inst 可拆裝動力模組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3138A (en) * 1982-04-12 1986-04-15 Mikiharu Imazaike Device for transporting cassette
JPS61273747A (ja) * 1985-05-30 1986-12-04 Alps Electric Co Ltd 光センサブロツク
JP2521979B2 (ja) * 1987-09-21 1996-08-07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カ―トリッジのエジェクト機構
US5036413A (en) * 1988-07-01 1991-07-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assette loading apparatus having a supplemental force imparting unit
JPH0490040U (ko) * 1990-11-26 1992-08-06
JP2842952B2 (ja) * 1991-05-24 1999-01-06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記録媒体搬送装置
KR940007628B1 (ko) * 1992-04-21 1994-08-22 대우전자 주식회사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카세트 로딩장치
US5907529A (en) * 1993-08-06 1999-05-25 Sony Corporation, Japan Translation and rotation mechanism for cartridge loading
US5373406A (en) * 1993-08-12 1994-12-13 Tandberg Data A/S Auto load/eject system for tape cassette
JPH0765462A (ja) * 1993-08-30 1995-03-10 Tanashin Denki Co テープカセットのローディン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75061A1 (en) 1998-11-04
WO1998018124A1 (en) 1998-04-30
JP2001516488A (ja) 2001-09-25
US6016236A (en) 2000-01-18
CN1103103C (zh) 2003-03-12
CN1206487A (zh) 1999-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33568B1 (en) Cartridge manipulation and reference system for magnetic tape recorder
KR19990076601A (ko) 정보매체에정보를저장하거나정보매체로부터정보를재생하는장치
EP0310273A2 (en) Ejecting mechanism for disk cartridges
US6345027B1 (en) Disk driving apparatus
KR19990076600A (ko) 정보매체에정보를저장하거나정보매체로부터정보를재생하는장치
US5006941A (en) Reversible drive mechanism for a tape recording apparatus
JPH01146157A (ja) カートリッジ磁気テープ操作装置
WO2006030689A1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970003700Y1 (ko) 카세트 테이프 인출장치
KR0147576B1 (ko) 카세트 로딩장치
JP2578625B2 (ja) カセット装着装置
JPH01192049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US6122137A (en) Loading mechanism for a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wherein a switch mechanism and the loading mechanism are a single unit
JPH01192050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US6233113B1 (en) Magnetic recording/regenerating apparatus
EP0622795B1 (en) Device with soft touch mechanics for reproducing recorded tapes
JPH0695418B2 (ja) カセツト式記録再生装置
JP3063391B2 (ja) 記録再生装置
JP2503566Y2 (ja) カセツト着脱装置
JPH05116410A (ja) インクフイルムカセツト
JP3008528B2 (ja) テーププレーヤ
JPS6325558Y2 (ko)
KR950002294Y1 (ko) 비디오 테이프의 고속감기/되감기 장치
KR970003691Y1 (ko) 핀치로울러의 구동변환장치
JPH0648595Y2 (ja) テープ案内体位置決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