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5845A - 스피커 출입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스피커 출입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5845A
KR19990075845A KR1019980010299A KR19980010299A KR19990075845A KR 19990075845 A KR19990075845 A KR 19990075845A KR 1019980010299 A KR1019980010299 A KR 1019980010299A KR 19980010299 A KR19980010299 A KR 19980010299A KR 19990075845 A KR19990075845 A KR 19990075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signal
housing
input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0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3117B1 (ko
Inventor
이종민
Original Assignee
김충환
한국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충환, 한국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충환
Priority to KR1019980010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3117B1/ko
Publication of KR19990075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5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3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31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5Transducer mountings or cabinet supports enabling variable orientation of transducer of cabi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btaining Desirable Characteristics In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피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에 스피커를 출입시킬 수 있는 하우징을 설치하고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스피커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외부로 출입시켜 스피커의 위치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어, 영상기기의 총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고, 스피커의 음향 출력 방향을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만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는 스피커 출입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피커 출입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스피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에 스피커를 출입시킬 수 있는 하우징을 설치하고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스피커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외부로 출입시킬 수 있는 스피커 출입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1)의 스피커 위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스크린(3)의 좌·우측(메인 스피커;5)에 설치되거나 상측(보조 스피커;7)에 설치되어 그 위치가 고정적이였고, 스피커의 사이즈 만큼이나 표시수단의 사이즈도 증가되었다.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이즈가 증가됨에 따라 완제품의 포장과 운반 상에 있어 비경제적인 문제가 발생되었고, 스피커의 위치가 고정적이므로 스피커에서 출력하는 음향의 방향도 일방향으로 고정될 수 밖에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스피커를 출입시킬 수 있는 하우징을 설치하고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스피커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외부로 출입시켜 스피커의 음향 출력 방향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는 스피커 출입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장치는, 소정의 위치에 스피커를 출입시킬 수 있는 하우징을 구비한 표시수단; 상기 하우징과 회전축이 상호 결합되고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하우징으로부터 출입될 수 있는 스피커;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스피커를 하우징으로부터 출입시키는 구동수단; 상기 스피커와 하우징 상에 설치되어 스피커의 출입 여부를 감지하고 그에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출입감지수단; 상기 표시수단에 인가되는 전원을 온/오프 시키는 전원스위치; 상기 스피커의 위치 및 음향 출력 각도를 조정하는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스위치; 및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 스피커를 조정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스피커의 조정 방향을 판단한 후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스피커를 일정 방향으로 조정하고, 상기 전원스위치의 온/오프 신호에 따라 스피커의 출입 여부를 결정한 후 스피커를 출입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작동 방법은, 외부 입력수단으로부터 전원을 온 시키는 신호가 입력되면, 표시수단과 각종 전기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스피커를 작동시키는 모터를 제어하여 스피커 하우징에 내장된 스피커를 외부로 인출시키는 단계; 상기 스피커의 인출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스피커의 인출이 완료되었으면, 모터를 정지시키는 단계; 외부 입력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검출하여 각 스피커의 위치를 조정하는 미세 조정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에서 스피커 조정신호가 입력되었으면, 입력된 신호를 계산하여 스피커 조정 방향을 판단한 후 그 판단 방향에 따라 스피커를 원하는 각도 및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피커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피커 출입 제어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상기 도 2의 스피커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도 2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디스플레이 장치. 12 : 스피커 하우징.
15 : 스피커. 17 : 스피커 회전축.
20 : 구동수단(모터 및 기어) 25 : 출입감지수단.
30 : 전원스위치. 35 : 조정스위치.
40 : 수신부. 45 : 원격조정기.
50 : 제어수단.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피커 출입 제어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디스플레이 장치(10), 스피커(15), 구동수단(20), 출입감지수단(25), 전원스위치(30), 조정스위치(35), 수신부(40), 원격조정기(45) 및 제어수단(50)을 포함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측면 또는 상단에 스피커를 출입(인출 및 인입)시킬 수 있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고, 스피커(15)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하우징과 소정의 회전축(17)이 상호 결합되고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회전축(17)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하우징으로부터 출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스피커(15)는 디스플레이 본체(10)와 그 회전축(17)이 결합되어 있어 스피커(15)는 그 회전축(17)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하우징으로부터 인출 및 인입되고, 사용자 임의로 스피커(15)의 회전각도를 조정하여 음향의 출력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구동수단(20)은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스피커(15)를 하우징으로부터 출입시키는 모터(21) 및 기어 들(22,23)로 구성되어 있고, 출입감지수단(25)은 스피커(15)와 하우징 상에 설치되어 스피커(15)의 출입 여부를 감지하고 그에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 또는 광 센서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수단(20)은 상기 스피커(15)의 일측면에 설치된 회전축(17)을 회전시켜 스피커(15)의 음향 출력 방향을 조정하는 모터(21) 및 복수개의 기어(22, 23)로 구성되어 있고, 출입감지수단(25)은 모터(21)의 회전 방향 및 각도를 검출하여 스피커(15)의 출입 여부를 판단하는 엔코더로 구현할 수 있고, 또한 하우징 상에 광소자(발광소자, 수광소자)를 설치하고 스피커(15) 상에 광반사판을 각각 설치하여 스피커의 출입 여부를 감지하는 광센서로 구현할 수도 있고, 스피커(15)의 입·출시에 각각 스위칭되도록 스피커(15)의 일측면에 돌출부를 형성하고 하우징의 일측면에 상기 돌출부와 접속되는 스위치를 각각 형성하는 기계적인 스위치 및 리드(reed) 스위치 등으도 구현할 수 있으며, 경제적인 측면과 설계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적절한 센서를 선택하여 설치하면 된다.
또한, 전원스위치(30)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 및 각종 전기부하에 인가되는 전원을 온/오프 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고, 조정스위치(35)는 사용자 임의로 상기 스피커의 위치 및 음향 출력 각도를 조정하는 명령을 입력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수신부(40)는 소정의 송신수단으로부터 송신된 소정의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원격조정기(45)는 상기 스피커 조정모드를 구비하고 외부로부터 제공된 전원 온/오프 명령과 스피커 조정 명령에 따라 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적외선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수신부(40)로 송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조정스위치(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에 설치된 스피커 출입 조정모드이고, 원격조정기(45)는 스피커의 조정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장치이며, 스피커 조정 모드는 업/다운 키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수단(50)은 상기 제반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며, 외부 입력수단(35, 45)으로부터 스피커(15)의 위치를 조정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스피커의 조정 방향을 판단한 후 구동수단(20)을 제어하여 스피커(15)를 특정 위치로 조정시키고, 상기 전원스위치(30)로부터 출력되는 전원 온/오프 신호에 따라 스피커(15)의 출입 여부를 결정한 후 스피커의 출입을 자동으로 제어하게 된다.
즉, 제어수단(50)은 전원이 턴-온되면 스피커(15)를 하우징으로부터 인출시키고 전원이 턴-오프되면 스피커(15)를 하우징으로 인입시키며, 조정스위치(35) 또는 원격조정기(45)의 조정 모드로부터 스피커를 조정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 또는 각도에 따라 스피커(15)의 음향 출력 방향을 조정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상기 도 2의 스피커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3a는 스피커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하우징에 안착시킨 상태를 도시했고, 도 3b는 스피커를 하우징으로부터 인출한 상태를 도시했다.
스피커(15)의 출입(인입 또는 인출) 여부는 스피커(15)와 하우징(12) 상에 설치된 출입감지수단(25)으로 그 상태를 알 수 있고, 스피커(15)의 A지점이 B′지점에서 검출되면 스피커(15)가 인입된 상태임을 알 수 있고(도 3a), 스피커(15)의 A지점이 B″지점에서 검출되면 스피커(15)가 인출된 상태(도 3b)임을 쉽게 알 수 있다.
상기 출입감지수단(25)은 상기 스피커(15)의 A지점과 하우징(12)의 B′, B″지점에 각각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이외의 다수 지점에 설치하여 스피커의 미세 조정 각도를 검출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에 내장되는 스피커(15)가 복수개 이상일 경우에는, 스피커(15)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스위치(35)을 스피커(15)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하여 복수개의 스피커(15)를 각각으로 조정시키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도 2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로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수단(50)은 외부 입력수단(30)으로부터 전원을 턴-온 시키는 키 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고(S1), 전원 온 신호이면 전원을 제어하여 오프된 디스플레이 장치(10)에 전원을 공급시킨다(S2).
이어, 제어수단(50)은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구동수단(20)의 모터(21)를 회전시키고, 상기 모터(21)의 샤프트와 결합된 복수의 기어(22,23)를 통해 필요한 방향으로 동력을 발생하여 하우징(12)에 결합된 스피커(15)의 회전축(17)을 작동하여 하우징(12)에 내장된 스피커(15)를 각각 하우징(12)으로부터 인출시키게 된다(S3).
이후, 제어수단(50)은 출입감지수단(25)을 통해 스피커(15)의 A 지점이 B″의 지점에 도달하였는가를 검출 즉, 스피커(15)의 인출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고(S4), 스피커(15)의 인출이 완료되었으면 모터(21)를 제어하여 모터(21)의 회전을 정지시킨다(S5).
한편, 제어수단(50)은 외부 입력수단(35,45)으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검출하여 각 스피커(15)의 위치를 조정하는 미세 조정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한다(S6).
상기(S6)에서 스피커 조정신호가 입력되었으면, 제어수단(50)은 입력수단(35,45)으로부터 제공된 신호를 계산하여 스피커 조정 방향을 판단한 후 그 판단 방향에 따라 스피커 구동모터(21)를 회전시켜 스피커를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 및 위치로 이동시킨다(S7).
한편, 상기 전원을 온 시키는 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S1)하는 과정에서 전원을 오프 시키는 신호가 입력되었으면(S8), 제어수단(50)은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구동수단(20)의 모터(21)를 회전시키고, 상기 모터(21)의 샤프트와 결합된 복수의 기어(22,23)를 통해 필요한 방향으로 동력을 발생하여 하우징(12)과 결합된 스피커(15)의 회전축(17)을 작동하여 인출된 스피커(15)를 각각 하우징(12)으로 인입시키게 된다(S9).
이어, 제어수단(50)은 출입감지수단(25)을 통해 스피커(15)의 A 지점이 B′의 지점에 도달하였는가를 검출 즉, 스피커(15)의 인입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스피커(15)의 인입이 완료되었으면, 모터(21)를 제어하여 정지시킨다(S10).
또한, 상기 스피커를 조정하는 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S6)하는 과정에서 스피커를 조정하는 신호의 입력이 아니라 다른 키 신호가 입력되었으면(S11), 그 입력신호에 해당하는 기능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S12). 예를 들면, 볼륨 조정신호 또는 채널 조정신호 등 각종 기능을 실행시키는 명령이 입력되면 그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 또는 상단에 메인 스피커와 보조 스피커(Surround System)를 각각 출입시킬 수 있는 복수개의 하우징을 설치하여 전원신호나 사용자 임의로 스피커를 하우징에 인입시킬 수도 있고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본 발명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에 크게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텔레비젼 수상기와 모니터 등 모든 영상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스피커를 디스플레이 본체에 내장하여 그 출입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써, 영상기기의 총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스피커의 음향 출력 방향을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임의로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소정의 위치에 스피커를 출입시킬 수 있는 하우징을 구비한 표시수단;
    상기 하우징과 회전축이 상호 결합되고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하우징으로부터 출입될 수 있는 스피커;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스피커를 하우징으로부터 출입시키는 구동수단;
    상기 스피커와 하우징 상에 설치되어 스피커의 출입 여부를 감지하고 그에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출입감지수단;
    상기 표시수단에 인가되는 전원을 온/오프 시키는 전원스위치; 상기 스피커의 위치 및 음향 출력 각도를 조정하는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스위치; 및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 스피커를 조정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스피커의 조정 방향을 판단한 후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스피커를 일정 방향으로 조정하고, 상기 전원스위치의 온/오프 신호에 따라 스피커의 출입 여부를 결정한 후 스피커를 출입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출입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스피커의 일측면에 설치된 회전축과 접속된 제 1 기어와, 상기 제 1 기어를 회전시키는 제 2 기어, 및 상기 제 2 기어를 회전시키는 모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출입 제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감지수단은,
    구동수단에 설치된 모터의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를 검출하여 스피커의 출입 여부를 판단하는 엔코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출입 제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감지수단은,
    스피커 하우징 상에 복수개의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설치하고 스피커 상에 반사판을 설치하여 스피커의 출입 여부를 감지하는 광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출입 제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감지수단은,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 하우징의 각 일측면에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와 접속되는 스위치를 각각 형성하여 스피커의 출입시에 각각 전기적으로 스위칭되는 기계적인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출입 제어 장치.
  6. 외부 입력수단으로부터 전원을 온 시키는 신호가 입력되면, 표시수단과 각종 전기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스피커를 작동시키는 모터를 제어하여 스피커 하우징에 내장된 스피커를 외부로 인출시키는 단계;
    상기 스피커의 인출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스피커의 인출이 완료되었으면, 모터를 정지시키는 단계;
    외부 입력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검출하여 각 스피커의 위치를 조정하는 미세 조정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에서 스피커 조정신호가 입력되었으면, 입력된 신호를 계산하여 스피커 조정 방향을 판단한 후 그 판단 방향에 따라 스피커를 원하는 각도 및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출입 제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을 온 시키는 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전원을 오프 시키는 신호가 입력되었으면, 스피커를 작동시키는 모터를 제어하여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된 스피커를 하우징으로 인입시키는 단계; 및
    상기 스피커의 인입이 완료되었는지를 검출하여 스피커의 인입이 완료되었으면, 모터를 정지시키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출입 제어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를 조정하는 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스피커를 조정하는 신호의 입력이 아니라 다른 키 신호가 입력되었으면, 그 입력신호에 해당하는 기능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출입 제어 방법.
KR1019980010299A 1998-03-25 1998-03-25 스피커출입제어장치및그방법 KR100273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0299A KR100273117B1 (ko) 1998-03-25 1998-03-25 스피커출입제어장치및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0299A KR100273117B1 (ko) 1998-03-25 1998-03-25 스피커출입제어장치및그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5845A true KR19990075845A (ko) 1999-10-15
KR100273117B1 KR100273117B1 (ko) 2000-12-01

Family

ID=19535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0299A KR100273117B1 (ko) 1998-03-25 1998-03-25 스피커출입제어장치및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311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777B1 (ko) * 2008-07-04 2015-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600931B1 (ko) * 2015-11-09 2016-03-08 주식회사 탑시스템 스프라켓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치
KR101605041B1 (ko) * 2015-11-09 2016-03-21 주식회사 탑시스템 이동형 스피커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WO2017082601A1 (ko) * 2015-11-09 2017-05-18 주식회사 탑시스템 힌지축 구동형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WO2017082602A1 (ko) * 2015-11-09 2017-05-18 주식회사 탑시스템 섹터기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KR20220043000A (ko) * 2020-09-28 2022-04-05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사운드박스 어셈블리, 디스플레이 장치, 오디오 출력 방법 및 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777B1 (ko) * 2008-07-04 2015-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600931B1 (ko) * 2015-11-09 2016-03-08 주식회사 탑시스템 스프라켓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치
KR101605041B1 (ko) * 2015-11-09 2016-03-21 주식회사 탑시스템 이동형 스피커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WO2017082601A1 (ko) * 2015-11-09 2017-05-18 주식회사 탑시스템 힌지축 구동형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WO2017082599A1 (ko) * 2015-11-09 2017-05-18 주식회사 탑시스템 스프라켓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WO2017082602A1 (ko) * 2015-11-09 2017-05-18 주식회사 탑시스템 섹터기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WO2017082600A1 (ko) * 2015-11-09 2017-05-18 주식회사 탑시스템 이동형 스피커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JP2018538564A (ja) * 2015-11-09 2018-12-27 トップ システム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Top System Co., Ltd. スプロケットを利用したディスプレイ位置調節装置
KR20220043000A (ko) * 2020-09-28 2022-04-05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사운드박스 어셈블리, 디스플레이 장치, 오디오 출력 방법 및 장치
US11641547B2 (en) 2020-09-28 2023-05-02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Sound box assembly, display apparatus, and audio output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3117B1 (ko) 200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93272B1 (en) An electronic appliance control apparatus
US7436140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stand for image display device
KR100273117B1 (ko) 스피커출입제어장치및그방법
EP0795769B1 (en) Imaging apparatus having an optical zoom lens and an electronic zoom circuit
KR101704566B1 (ko) 차량용 빔 프로젝터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80040992A (ko) 모니터링장치
JP2000295543A (ja) テレビ受像機用電源制御装置
JP2005238885A (ja) 車載表示装置
KR100628142B1 (ko) 360도 회전기능을 갖는 영상 표시기
KR100692540B1 (ko) 벽걸이형 디스플레이장치의 입력단자
JPH11102210A (ja) 無線表示機能付数値制御装置
KR101100165B1 (ko) 스피커 위치 자동 조정이 가능한 오디오/비디오 기기 및그의 스피커 위치 자동 조정 방법
KR0183827B1 (ko) 펜 마우스를 이용한 감시용 카메라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211246B1 (ko) 티브이 수상기의 안테나 자동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76477A (ko) Pdp 경사 조정 장치 및 그 방법
JPH0654379A (ja) リモコン操作時のレベル設定表示装置
KR940017807A (ko) 스피커 자동 조정장치를 갖는 텔리비젼 수상기
KR100839081B1 (ko) 수신 모드 전환 장치
KR100812643B1 (ko) 디스플레이 회동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940011083B1 (ko) 다이얼설정장치
JP2002344768A (ja) テレビ装置
KR100671997B1 (ko) 적외선 리시버를 장착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
KR19990060725A (ko) 화상 통신 시스템의 카메라 조정장치
JPH11261873A (ja) テレビカメラのレンズ装置
KR19990010074U (ko) 스피커 방향전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