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1997B1 - 적외선 리시버를 장착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 - Google Patents

적외선 리시버를 장착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1997B1
KR100671997B1 KR1020030073378A KR20030073378A KR100671997B1 KR 100671997 B1 KR100671997 B1 KR 100671997B1 KR 1020030073378 A KR1020030073378 A KR 1020030073378A KR 20030073378 A KR20030073378 A KR 20030073378A KR 100671997 B1 KR100671997 B1 KR 100671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rared receiver
unit
mode selection
binary code
selec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3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8147A (ko
Inventor
남호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인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인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인콤
Priority to KR1020030073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1997B1/ko
Publication of KR20050038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8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1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1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14Calling by using pul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외선 리시버를 장착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은 리모콘의 사용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선택신호를 출력하는 키입력부,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수신되는 적외선 펄스신호를 이진 코드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적외선 리시버, 및 상기 이진 코드 수신시 이를 분석하여 대응되는 키 코드값을 알아내고 상기 키 코드값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며, 상기 모드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이진 코드로 인한 인터럽트의 발생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리모트 컨트롤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적외선 리시버의 출력신호에 의한 인터럽트 발생을 디스에이블시킴으로써 불필요한 인터럽트 발생에 따른 시스템 스케줄링 방해와 전력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적외선 리시버를 장착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Remote control system with InfraRed receiv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리시버를 구비한 휴대용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본 발명은 적외선 리시버를 장착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스템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적외선 리시버의 출력신호에 따른 인터럽트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적외선(InfraRed, IR) 리시버는 리모트 컨트롤러(리모콘)에서 출 력되는 적외선 펄스신호를 입력받아 시스템을 구동시키게 되는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의 수신측 장치이다. 그런데, 이러한 적외선 리시버는 실내조명 등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발생되는 노이즈의 영향으로 IR 리시버가 오동작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적외선 리시버로 수신되는 노이즈 성분이 시스템내에서 인터럽트를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이렇게 발생된 인터럽트는 시스템내 정상적인 스케줄링을 방해하여 예기치 않은 문제를 발생시킬 소지가 있으며, 지속적인 인터럽트 발생으로 프로세스가 불필요하게 동작되어 불필요하게 전력을 낭비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적외선 리시버를 시스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리시버 전단에 차폐막을 별도로 두어 노이즈 성분에 의한 외란을 방지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차폐막도 노이즈 성분을 완전히 차단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특히 TV나 오디오 시스템과 같이 고정된 자리에서 사용되는 경우와 달리 휴대용 기기와 같이 잦은 이동이 있는 기기의 경우에는 계속해서 주변 환경이 변할 수 있기 때문에 그러한 차폐막의 효과를 크게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리모콘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적외선 리시버로 수신된 노이즈 성분에 의한 오동작의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시켜 시스템의 정상적인 스케줄링 방해와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최소화하는데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은 리모콘의 사용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선택신호를 출력하는 키입력부;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수신되는 적외선 펄스신호를 이진 코드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적외선 리시버; 및 상기 이진 코드 수신시 이를 분석하여 대응되는 키 코드값을 알아내고 상기 키 코드값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며, 상기 모드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이진 코드로 인한 인터럽트의 발생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리시버를 구비한 휴대용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은 전원부(11), 키입력부(12), 인터페이스부(13), 메모리부(14), 디스플레이부(15), 오디오코덱(16), 적외선 리시버(17) 및 제어부(18)를 구비한다.
전원부(11)는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키입력부(12)는 다수의 입력키를 구비하며, 사용자의 키 조작을 감지하여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제어부(18)로 출력한다. 특히, 키입력부(12)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리모콘의 사용여부를 선택하는 모드선택신호를 제어부(18)로 출력한다.
인터페이스부(13)는 텔레비젼이나 컴퓨터 등과 같은 외부 기기들과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기 위한 단자들을 구비한다.
메모리부(14)는 시스템 동작을 위해 필요한 로직이나 데이터들 및 시스템의 동작에 따라 생성되는 데이터들(예컨대, 영상이나 음성 데이터)을 저장한다. 이러한 메모리부(14)는 데이터 저장 수단으로 SDRAM 및 플레쉬 메모리 등을 구비한다.
디스플레이부(15)는 시스템의 동작 설정을 위한 메뉴화면, 시스템의 동작에 따른 출력화면 등을 모니터상에 현시한다.
오디오코덱(16)은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기 위해 메모리에 저장된 오디오 신호를 복호화하여 스피커나 이어폰 등을 통해 출력하고, 마이크 등을 통해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를 부호화한다.
적외선 리시버(17)는 적외선 LED를 통해 리모콘으로부터 인가되는 적외선 펄스신호를 이진 코드의 동작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러한 적외선 리시버(17)는 3개의 포트(Port) 즉, 전원전압 포트, 접지전압 포트 및 신호출력 포트를 가지며, 신호출력 포트를 통해 이진 코드로 변환된 동작제어신호를 제어부(11)로 출력한다.
제어부(18)는 기 설정된 동작로직 및 키입력부(12)나 적외선 리시버(17)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8)는 모드선택신호에 따라 적외선 리시버(17)와 연결된 포트에 대한 인터럽트를 선택적으로 인에이블 시키거나 디스에이블 시킨다.
즉, 제어부(18)는, 모드선택신호에 따라 인터럽트가 인에이블된 상태에서는, 적외선 리시버(17)로부터 동작제어신호가 수신되면 기 진행중인 동작을 일시 멈추기 위한 인터럽트를 발생시킨 후, 수신된 이진 코드를 분석하여 이에 대응되는 키(KEY) 코드값을 알아내어 해당 키 코드값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반대로, 제어부(24)는 모드선택신호에 따라 인터럽트가 디스에이블된 상태에서는, 적외선 리시버(17)로부터 어떠한 신호들이 인가되더라도 이에 반응하지 않고 수신된 모든 신호들을 무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제어부(18)는 키입력부(12)로부터 모드선택신호가 인가되면(단계 210), 인가된 신호가 리모콘을 사용하겠다는 신호인지 반대로 리모콘을 사용하겠다는 신호가 아닌지를 확인한다(단계 220).
리모콘의 사용 여부에 대한 선택은 리모콘의 사용 여부를 설정하는 메뉴를 두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5)를 통해 현시되는 메뉴화면을 보면서 키입력부(12)를 조작하여 원하는 모드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키입력부(12)의 어느 한 특정 키를 리모콘 사용여부 선택을 위한 전용키(모드선택키)로 정하여, 사용자의 원터치 동작으로 리모콘 사용여부가 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모드선택키를 누르면 제어부(18)가 현재 적외선 리시버(17)와 연결된 포트에 대한 인터럽트가 인에이블되었는지 디스에이블되었는지를 확인하여 현재 설정된 상태와 반대 모드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8)는 인가된 모드선택신호가 리모콘을 사용하지 않겠다는 신호인 경우 적외선 리시버(17)와 연결된 포트에 대한 인터럽트를 디스에이블시켜 해당 포트를 통해 인가되는 모든 신호들을 무시한다(단계 230).
반대로, 제어부(24)는 인가된 모드선택신호가 리모콘을 사용하겠다는 신호가 아닌 경우 적외선 리시버(17)와 연결된 포트에 대한 인터럽트를 인에이블시켜 해당 포트를 통해 동작제어신호가 인가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240).
동작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8)는 인터럽트를 발생시킨 후 수신된 동작제어신호를 분석하여 그에 대응되는 키 코드값을 알아내어 그에 대응되는 동작을 처리한다(단계 250).
이러한 동작은 시스템의 동작이 종료될때까지 반복 수행된다(단계 260).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리모콘 사용여부에 따라 적외선 리시버(17)와 제어부(18) 사이의 연결을 물리적으로 온/오프시켜 제어부(18)로의 데이터 인가를 선택적으로 완전히 차단시킨다.
이를 위해,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은 도 3에서와 같이 적외선 리시버(17)와 제어부(18) 사이에 스위치부(19)를 구비한다.
이때, 제어부(28)는 모드선택신호에 따라 스위치부(19)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여 적외선 리시버(17)와 제어부(28) 사이의 연결을 선택적으로 온/오프 시킨다. 즉, 적외선 리시버(17)의 출력신호가 아예 제어부(28)로 인가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스위치부(19)의 동작 제어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28)는 도 1에서와 같이 적외선 리시버(17)와 연결된 포트에 대한 인터럽트 제어 기능을 갖지 않아도 된다. 물론, 도 1의 구성에 스위치부(19)를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3의 실시예에서, 스위치부(19)를 논리적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가 제어되는 논리적 소자가 아니라 사용자의 직접적인 조작에 따라 적외선 리시버(17)와 제어부(28) 사이의 데이터선을 물리적으로 단락시키는 단락스위치로 대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동작되므로 모드선택신호를 발생시키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리모콘 선택메뉴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며, 모드선택키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이때에도 역시 도 1의 구성에 수동으로 조작되는 단락스위치를 추가적으로 구비하거나, 도 3의 구성에서 스위치부(19)를 수동으로 조작되는 단락스위치로 대체하여 운용할 수도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에서는 키입력부(12)의 조작에 따른 모드선택신호에 따라 제어부(18, 28)가 인터럽트의 발생 여부 또는 스위치부(18)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이 리모콘으로부터 수신되는 적외선 펄스신호에 따라 외부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이 외부기기와 접속되는 경우에만 실질적으로 리모콘을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제어부(18, 28)가 인터페이스부(13)의 커넥터 연결상태를 감지하여 외부기기와의 접속여부를 파악한 후 자동으로 인터럽트의 발생 여부 또는 스위치부(18)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의 구성을 나 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터페이스부(13)와 외부기기와의 접속여부를 센싱하여 그 결과를 제어부(18, 28)로 전달하는 센싱부(20)를 구비한다.
이러한 센싱부(20)로는 인터페이스부(13) 내부에 발광부(미도시)와 수광부(미도시)를 구비하여 외부기기의 잭(JACK)이 인터페이부(13)에 삽입되면서 발광부(미도시)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차단하게 되면 이를 감지하는 광센서 또는 외부기기의 잭이 인터페이스부(13)에 삽입되면서 인터페이스부(13)내 일정 부분에 기계적 압력을 가해도록 구성하여 이를 감지하는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종래 사용되고 있는 어떠한 종류의 센서들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제어부(18, 28)는 인터페이스부(13)가 외부기기와 접속되었다는 신호를 센싱부(20)로부터 전달받으면 인터럽트를 인에이블 시키거나 스위치부(18)를 온시켜 적외선 리시버(17)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수신한 후 그 신호에 따라 외부기기들을 동작시킨다.
이처럼, 센싱부(20)를 이용해 외부기기와 연결되는 경우에만 자동으로 적외선 리시버(17)의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함으로써 도 1 또는 도 3의 구성에서 키입력부(12)를 통한 제어가 불필요하므로 모드선택신호의 발생을 위한 메뉴 및 모드선택키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도 4는 도 3의 구성에 센싱부(20)를 추가로 구성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도 3 또는 도 1의 구성에 센싱부(20)를 추가로 구비하여 제어부(18, 28)에서 모드선택신호 또는 센싱부(20)의 센싱결과에 따라 인터럽트의 발생 여부 또는 스위치부(18)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하여도 무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은 리모콘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적외선 리시버로부터 수신되는 모든 신호들에 대한 인터럽트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불필요한 인터럽트 발생에 따른 시스템 스케쥴링 방해와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8)

  1. 리모콘의 사용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선택신호를 출력하는 키입력부;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수신되는 적외선 펄스신호를 이진 코드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적외선 리시버; 및
    상기 이진 코드 수신시 이를 분석하여 대응되는 키 코드값을 알아내고 상기 키 코드값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며, 상기 모드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이진 코드로 인한 인터럽트의 발생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적외선 리시버를 구비한 전자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드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적외선 리시버와 연결된 포트에 대한 인터럽트를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시킴으로서 상기 이진 코드로 인한 인터럽트의 발생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리시버를 구비한 전자기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키 코드값에 따라 외부기기를 제어하기 위해 외부기기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외부기기와의 접속 여부를 감지하는 센싱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리시버를 구비한 전자기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의 센싱결과에 따라 상기 인터럽트의 발생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리시버를 구비한 전자기기.
  5. 리모콘의 사용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선택신호를 출력하는 키입력부;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수신되는 적외선 펄스신호를 이진 코드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적외선 리시버;
    상기 적외선 리시버의 출력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선을 선택적으로 온/오프 시키는 스위치부; 및
    상기 이진 코드 수신시 이를 분석하여 대응되는 키 코드값을 알아내고 상기 키 코드값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며, 상기 모드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적외선 리시버를 구비한 전자기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따라 상기 적외선 리시버와 상기 제어부 사이의 데이터선을 물리적으로 단락시키는 단락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리시버를 구비한 전자기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키 코드값에 따라 외부기기를 제어하기 위해 외부기기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외부기기와의 접속 여부를 감지하는 센싱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리시버를 구비한 전자기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의 센싱결과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리시버를 구비한 전자기기.
KR1020030073378A 2003-10-21 2003-10-21 적외선 리시버를 장착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 KR100671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3378A KR100671997B1 (ko) 2003-10-21 2003-10-21 적외선 리시버를 장착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3378A KR100671997B1 (ko) 2003-10-21 2003-10-21 적외선 리시버를 장착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8147A KR20050038147A (ko) 2005-04-27
KR100671997B1 true KR100671997B1 (ko) 2007-01-19

Family

ID=37240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3378A KR100671997B1 (ko) 2003-10-21 2003-10-21 적외선 리시버를 장착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199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8147A (ko) 2005-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1515B2 (en) Remote control with low battery indication
CN102722268A (zh) 光学信号输出、处理装置及方法以及成像装置及投影机
KR100713849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65821A (ko)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0671997B1 (ko) 적외선 리시버를 장착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
JP4932566B2 (ja) 電源制御装置
KR20050038148A (ko) 적외선 리시버를 장착한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
JP2014121059A (ja) 遠隔操作システムおよび電源接続装置
KR101012100B1 (ko) 전자기기의 절전을 위한 제어장치 및 방법
KR20200141860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6258833A (ja) 投射型映像表示装置
KR100936423B1 (ko) 전체 조명의 작동상황이 디스플레이되는 조명 제어장치 및조명의 작동상황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KR10096845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KR101646778B1 (ko) 절전모드 기능을 구비한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40078342A (ko) 입력장치 자동감지형 입력모드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
KR200241663Y1 (ko) 영상기기의 입력신호 자동 선택장치
KR20050078317A (ko) 영상표시기기의 전원제어방법 및 장치
KR960016013B1 (ko) 텔레비젼 수상기의 리모콘 신호 입력장치
KR20030072061A (ko) 전원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94540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KR20040068443A (ko) 외부입력장치 및 그의 제어신호 처리방법
KR20030033726A (ko) 원격 전원 제어 장치
KR20080042197A (ko) 영상표시기기의 DDC-Ci 기능 제어 장치 및 방법.
TW201830975A (zh) 可於顯示螢幕關閉時播放音訊之電視系統及其操作方法
KR19990029546U (ko) 복수장치의 기능조정이 가능한 리모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