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4366A - 습식 현상기의 스퀴즈 롤러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습식 현상기의 스퀴즈 롤러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4366A
KR19990074366A KR1019980007910A KR19980007910A KR19990074366A KR 19990074366 A KR19990074366 A KR 19990074366A KR 1019980007910 A KR1019980007910 A KR 1019980007910A KR 19980007910 A KR19980007910 A KR 19980007910A KR 19990074366 A KR19990074366 A KR 199900743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queeze roller
main block
subblock
sub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7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7754B1 (ko
Inventor
김완하
서지원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07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7754B1/ko
Publication of KR19990074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4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7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77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G03G15/11Removing excess liquid developer, e.g. by hea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88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removing liquid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16Transferring device, details
    • G03G2215/1647Cleaning of transfer member
    • G03G2215/1661Cleaning of transfer member of transfer bel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et Develop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개시된 습식 현상기의 스퀴즈롤러 승강장치는, 스퀴즈롤러를 장착하여 베이스 프레임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블록과; 메인블록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브블록과; 서브블록의 승강에 따라 그 서브블록의 상하단부에 각각 간섭되도록 메인블록에 마련된 상,하측 걸림턱과; 메인블록에 상승방향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와; 서브블록에 상승방향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와; 제2탄성부재의 탄성력과 반대방향으로 서브블록을 선택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2탄성부재에 의한 스퀴즈롤러의 상승력을 감소시키며, 서브블록의 하단부가 하측걸림턱을 눌러내리도록 서브블록을 이동시킴으로써 메인블록을 하강시키는 조절수단;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스퀴즈롤러의 승강동작을 위한 높이를 줄이면서도 원활한 승강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습식 현상기의 스퀴즈롤러 승강장치
본 발명은 습식 현상기의 스퀴즈롤러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스퀴즈롤러의 승강동작에 필요한 높이를 줄일 수 있도록 된 습식 현상기의 스퀴즈롤러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칼라 레이저 프린터와 같은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에는, 정전잠상이 형성된 감광벨트에 소정 색상의 이미지를 현상하기 위한 습식 현상기가 구비되어 있다. 이 습식 현상기에는,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벨트(10)에 소정 이미지가 현상되도록 잉크(I)를 공급하기 위한 현상롤러(13)와, 상기 감광벨트(10)에 현상된 잉크에 포함되어 있는 액상의 캐리어를 제거하는 1,2차스퀴즈롤러(11)(12)가 구비되어 있다. 특히 상기 1차스퀴즈롤러(11)는 인쇄작업시에 감광벨트(10)를 백업롤러(14)와의 사이에서 압착시킴으로써 상술한 액상의 캐리어를 짜내게 된다. 따라서 인쇄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즉, 인쇄모드시에는 1차스퀴즈롤러(11)가 상기 감광벨트(10)를 백업롤러(14)측으로 강하게 압착시키는 상태를 유지한다. 그런데 인쇄작업이 반복되다보면, 1차스퀴즈롤러(11)의 입측과 감광벨트(10) 사이에 잉크가 정체되어서 하방으로 떨어지지 않는 소위 드립라인(D)이 형성된다. 따라서 선명한 화질의 이미지를 계속 인쇄하기 위해서는 이 드립라인(D)을 주기적으로 제거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상기 1차스퀴즈롤러(11)를 인쇄시와 역방향으로 구동시켜야 한다. 이를 드립라인 제거를 위한 제거모드라 칭하고, 이 제거모드에서는 역방향 구동시의 회전부하를 줄이기 위해서, 인쇄작업 때보다 감광벨트(10)에 대한 1차스퀴즈롤러(11)의 압착력을 감소시킨다. 또한 인쇄작업이 종료된 후에는 상기 1,2차스퀴즈롤러(11)(12)를 감광벨트(10)로부터 완전히 떨어뜨리게 된다. 그러므로 감광벨트(10)에 대한 상기 1,2차스퀴즈롤러(11)(12)의 밀착력 및 위치를 상기와 같은 3단계로 승강시킬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된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스퀴즈롤러 승강장치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가 제안된 바 있다. 즉, 프레임(20)에 1,2차스퀴즈롤러(11)(12)가 장착된 메인블록(21)을 소정 간격 승강가능하게 설치하고, 이 메인블록(21)에 압축스프링(23)을 결합시켜서 상승방향, 즉 1,2차스퀴즈롤러(11)(12)가 감광벨트(10)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0)은 구동원(미도시)에 의해 회전되는 캠(22)에 의해 전체가 승강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3단계 모두에 걸쳐서 프레임(20) 전체를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그 승강동작을 위한 공간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감광벨트(10)를 밀착하는 정상적인 인쇄모드에서 드립라인 제거를 위한 제거모드로 변환될 때 상기 프레임(20) 전체가 일단 하강해야 하며, 또한 감광벨트(10)로부터 1,2차스퀴즈롤러(11)(12)를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모드로 변환될 때도 제거모드 상태에서부터 프레임(20) 전체가 다시 하강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한 3단계 모드에 걸쳐 프레임(20) 전체가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이를 위해서는 인쇄기기가 대형화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스퀴즈롤러의 승강동작을 위한 높이를 줄이면서도 원활한 승강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습식 현상기의 스퀴즈롤러 승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습식 현상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스퀴즈롤러 승강장치를 보인 도면,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퀴즈롤러 승강장치를 각 모드별 동작상태에 따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메인블록 30a...상측걸림턱
30b...하측걸림턱 31...1차스퀴즈롤러
32...2차스퀴즈롤러 40...서브블록
41...돌출부재 50...슬라이더
51...캠홈 52...연동핀
53...캠부재 54...인장스프링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습식 현상기의 스퀴즈롤러 승강장치는, 감광벨트를 압착하기 위한 스퀴즈롤러를 장착하여 습식 현상기의 베이스 프레임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블록; 상기 메인블록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브블록; 상기 서브블록의 승강에 따라 그 서브블록의 상하단부에 각각 간섭되도록 상기 메인블록에 마련된 상,하측걸림턱; 상기 스퀴즈롤러가 상기 감광벨트를 압착하도록 상기 메인블록에 상승방향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 상기 서브블록에 상승방향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서브블록의 상단부가 상기 메인블록의 상측걸림턱을 밀어올리게 함으로써, 상기 스퀴즈롤러가 상기 감광벨트를 압착하는 압착력을 증가시키는 제2탄성부재; 상기 제2탄성부재의 탄성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서브블록을 선택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2탄성부재에 의한 상기 스퀴즈롤러의 상승력을 감소시키며, 상기 서브블록의 하단부가 상기 하측걸림턱을 눌러내리도록 상기 서브블록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메인블록을 하강시키는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퀴즈롤러 승강장치를 모드변환에 따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먼저 1,2차 스퀴즈롤러(31)(32)가 장착되는 메인블록(30)과, 상기 메인블록(30)에 형성된 상측걸림턱(30a)과 하측걸림턱(30b) 사이에서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서브블록(40)이 구비되며, 상기 메인블록(30)과 서브블록(40)은 각각 제1,2압축스프링(S1)(S2)에 의해서 베이스 프레임(60)에 대해 상승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60)에는, 상기 서브블록(40)에 결합된 돌출부재(41)가 삽입되는 캠홈(51)이 구비된 슬라이더(50)가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슬라이더(50)는 구동원(미도시)에 의해 회전되는 캠부재(53)에 의해 연동되어 슬라이딩된다. 참조부호 52는 상기 캠부재(53)의 외주면과 접촉되도록 상기 슬라이더(50)에 형성된 연동핀을 나타내며, 참조부호 54는 상기 슬라이더를 도면의 우측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인장스프링을 나타낸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먼저 인쇄모드시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브블록(40)이 상기 메인블록(30)의 상측걸림턱(30a)에 밀착된 상태로 그 메인블록(30)에 상승방향으로의 힘을 가하게 된다. 즉, 이때에는 상기 제1압축스프링(S1)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메인블록(30)이 상승되려는 힘에 더하여, 상기 제2압축스프링(S2)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서브블록(40)이 상기 메인블록(30)을 들어올리는 힘이 합쳐져서 상기 1차스퀴즈롤러(31)가 감광벨트(100)를 밀착하는 밀착력으로 작용한다. 이때 두 개의 탄성력에 의해 작용되는 힘은 예컨대 약 16kgf정도가 된다.
다음으로 드립라인을 제거하기 위한 제거모드시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캠부재(53)를 회전시켜서 슬라이더(50)를 도면의 좌측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서브블록(40)은 상기 캠홈(51)에 삽입되어 있는 돌출부재(41)의 이동을 따라 약간 하강하게 된다. 이때에는 상기 서브블록(40)이 상기 상측걸림턱(30a)과 하측걸림턱(30b) 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그에 따라 상기 메인블록(30)을 들어올리는 힘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감광벨트(100)에는 상기 제1압축스프링(S1)의 탄성력에 의한 1차스퀴즈롤러(31)의 밀착력 만이 작용하게 되어, 인쇄모드에 비해 그 밀착력이 감소되는 효과가 생긴다. 이때의 힘은 예컨대 약 2kgf가 된다.
다음으로 인쇄가 완전히 종료되어 1,2차스퀴즈롤러(31)(32)를 감광벨트(100)로부터 분리시킬 때에는, 상기 슬라이더(50)를 도면의 좌측으로 더 이동시켜서 상기 서브블록(40)이 상기 메인블록(30)의 하측걸림턱(30a)에 접촉된 후 하방으로 계속 힘을 가하게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블록(30)은 상기 서브블록(40)이 상기 하측걸림턱(30b)을 내리누르는 힘에 의해 따라서 하강하게 되며, 이로써 상기 1,2차스퀴즈롤러(31)(32)가 감광벨트(100)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인쇄모드에서 제거모드로 변환될 때 상기 서브블록(40)만이 메인블록(30)의 상,하측걸림턱(30a)(30b) 사이에서 이동하게 되므로, 이때의 모드변환에 대해서는 메인블록(30)의 승강을 위한 공간을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다만, 다음에 분리모드로 변환될 때 메인블록(30)이 승강되는 것에 대한 공간만 고려하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 3단계 모드 각각에 대해 프레임(20; 도 2 참조)이 승강되는 것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스퀴즈롤러 승강장치에서는 2단계에 대한 메인블록(30)의 승강동작이 이루어지므로, 승강동작을 위한 공간이 상대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습식 현상기의 스퀴즈롤러 승강장치는, 스퀴즈롤러의 승강동작을 위한 높이를 줄이면서도 원활한 승강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에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Claims (2)

  1. 감광벨트를 압착하기 위한 스퀴즈롤러를 장착하여, 습식 현상기의 베이스 프레임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블록;
    상기 메인블록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브블록;
    상기 서브블록의 승강에 따라 그 서브블록의 상하단부에 각각 간섭되도록 상기 메인블록에 마련된 상,하측걸림턱;
    상기 스퀴즈롤러가 상기 감광벨트를 압착하도록 상기 메인블록에 상승방향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
    상기 서브블록에 상승방향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서브블록의 상단부가 상기 메인블록의 상측걸림턱을 밀어올리게 함으로써, 상기 스퀴즈롤러가 상기 감광벨트를 압착하는 압착력을 증가시키는 제2탄성부재;
    상기 제2탄성부재의 탄성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서브블록을 선택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2탄성부재에 의한 상기 스퀴즈롤러의 상승력을 감소시키며, 상기 서브블록의 하단부가 상기 하측걸림턱을 눌러내리도록 상기 서브블록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메인블록을 하강시키는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현상기의 스퀴즈롤러 승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서브블록에 돌출되도록 마련된 돌출부재와;
    상기 돌출부재가 삽입되는 캠홈을 구비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일측과 접촉되어 회전함으로써 그 슬라이더를 소정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캠부재; 및,
    상기 캠부재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원;을 포함하여서,
    상기 슬라이더가 슬라이딩됨에 따라 상기 돌출부재가 상기 캠홈을 타고 이동됨으로써 상기 서브블록이 승강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현상기의 스퀴즈롤러 승강장치.
KR1019980007910A 1998-03-10 1998-03-10 습식 현상기의 스퀴즈 롤러 승강장치 KR100297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7910A KR100297754B1 (ko) 1998-03-10 1998-03-10 습식 현상기의 스퀴즈 롤러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7910A KR100297754B1 (ko) 1998-03-10 1998-03-10 습식 현상기의 스퀴즈 롤러 승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4366A true KR19990074366A (ko) 1999-10-05
KR100297754B1 KR100297754B1 (ko) 2001-09-06

Family

ID=37528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7910A KR100297754B1 (ko) 1998-03-10 1998-03-10 습식 현상기의 스퀴즈 롤러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77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82157B (zh) * 2016-06-13 2019-02-19 台州柏恩利自动化设备有限公司 全自动激光打码机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62678A (ja) * 1991-06-10 1992-12-15 Ricoh Co Ltd 転写ローラの駆動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97754B1 (ko) 2001-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7754B1 (ko) 습식 현상기의 스퀴즈 롤러 승강장치
JP3046300B2 (ja) 湿式電子写真方式プリンタのスキ―ズロ―ラ―昇降装置
KR100453063B1 (ko)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전사장치
KR100304630B1 (ko) 습식 현상기의 스퀴즈롤러 승강장치
KR100524062B1 (ko) 습식 프린터의 스퀴즈롤러 구동장치
KR20000031482A (ko) 습식 프린터의 스퀴즈롤러 및 현상 롤러 승강장치
KR100304636B1 (ko) 습식 프린터의 현상 롤러 작동장치
KR100319853B1 (ko) 습식현상기의스퀴즈롤러승강장치
CN1083769C (zh) 热敏式油印制版装置
KR20170133841A (ko) 플랙시블 인쇄회로기판 커버 리프트 유닛
KR20010004136A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전사 유닛
KR19990085061A (ko) 습식 현상기의 스퀴즈롤러 승강장치
KR19990085062A (ko) 습식 현상기의 스퀴즈롤러 승강장치
KR100304619B1 (ko) 습식 현상기의 스퀴즈 롤러 승강장치
JP4385897B2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
CN220763831U (zh) 印刷油墨盒上下升降调节机构
JP2000147854A (ja) 画像形成装置
JPH05147194A (ja) スキージ付着ペーストの掻き取り兼用カバー装置
JP2872212B1 (ja) 湿式画像形成装置
KR100354734B1 (ko) 습식프린터용화상형성장치
KR100316652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스퀴즈롤러 승강장치
KR100224911B1 (ko) 프린팅장치
KR100346697B1 (ko) 습식인쇄기의 스퀴즈롤러 지지구조체 및 현상액 크리닝방법
KR100304614B1 (ko) 화상형성장치의 스퀴지 로울러의 가압 제어방법
KR20000056900A (ko) 습식 프린터의 스퀴즈롤러 및 현상롤러 승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