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3801A - 배기 송풍기의 분리 용구 - Google Patents

배기 송풍기의 분리 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3801A
KR19990073801A KR1019980006931A KR19980006931A KR19990073801A KR 19990073801 A KR19990073801 A KR 19990073801A KR 1019980006931 A KR1019980006931 A KR 1019980006931A KR 19980006931 A KR19980006931 A KR 19980006931A KR 19990073801 A KR19990073801 A KR 199900738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er
jig
shaft
exhaust blower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6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승태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06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73801A/ko
Publication of KR19990073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3801A/ko

Links

Landscapes

  • Automatic Assembly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기 송풍기의 분리 용구에 관한 것으로서, 배기용 송풍기의 팬으로부터 축을 분리하기 위한 배기 송풍기의 분리 용구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의 후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대향되는 복수의 나사 삽입공을 가진 원판형의 지그와, 상기 지그 중앙의 나사 삽입공에 결합되어 회전됨에 따라 송풍기의 축을 푸싱시킬 수 있는 회동 부재와, 상기 지그의 다른 삽입공에 삽입된 후 송풍기에 체결 고정되는 고정 수단과, 상기 지그에 걸림 고정되어 회동 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축을 밀어줄 수 있도록 나사 체결된 기어 풀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배기용 송풍기의 팬 및 축을 상호 분리시킬 때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분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 공수도 상당히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배기 송풍기의 분리 용구
본 발명은 배기 송풍기의 분리 용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기용 송풍기의 축 및 팬을 상호 분리할 때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분리 작업을 할 수 있게 하는 배기 송풍기의 분리 용구에 관한 것이다.
주로 반도체 제조 공장 내에는 각 라인의 온도나 습도를 유지하기 위한 배기 시스템이 년중 가동되고 있으나, 송풍기의 수리 작업시 작업 장소가 협소하거나 치공구의 미비로 인하여 작업 공수의 관리에 대한 개선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배기 시스템에서, 특히 송풍팬과 축의 상호 분리가 어려운데 이는 배기 가스의 영향이나 부식으로 인한 때문이다.
도 1 은 종래의 배기 송풍기의 분리 용구의 조립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에서 보면, 종래의 분리 용구(1)는 원판형의 지그(2) 중앙 및 외주연에 복수의 나사 삽입공(2a)(2b)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지그(2)의 외주연 쪽 나사 삽입공(2a)에는 나사와 같은 고정 수단(3)이 배기용 송풍기(5)의 팬(6)에 체결 고정된다.
반면에, 상기 지그(2)의 중앙 쪽 나사 삽입공(2a)에는 회동 부재(4)가 나사 체결되어 축(7)에 접촉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회동 부재(4)는 나사산이 형성된 몸통부(4a)와, 육각형상의 머리부(4b)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의 분리 용구는 회동 부재(4)를 회전시킴에 따라 고정 수단(3)에 의하여 팬(6)을 고정시킨 상태로 잡고있는 동안, 축(7)에는 푸싱력이 작용되므로 축(7)과 팬(6)은 서로 분리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팬(6)과 축(7)은 배기 가스나 부식 등의 영향으로 회동 부재(4)를 충분히 회전시킬 수 없을 정도가 되면, 주로 해머로 송풍기(5)의 축(7)을 가격한 후 분해 작업을 실시하게 되지만, 해머링에 따른 나사산의 파손으로 분해 작업을 더욱 어렵게 할 우려도 있었다.
또는, 종래의 지그(2)만으로는 축(7)을 밀어낼 만한 힘이 충분치도 않을 뿐만 아니라 가해질 수도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기용 송풍기의 축 및 팬을 상호 분리할 때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분리 작업을 할 수 있게 하는 배기 송풍기의 분리 용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기 송풍기의 분리 용구는, 배기용 송풍기의 팬으로부터 축을 분리하기 위한 배기 송풍기의 분리 용구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의 후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대향되는 복수의 나사 삽입공을 가진 원판형의 지그와, 상기 지그 중앙의 나사 삽입공에 결합되어 회전됨에 따라 송풍기의 축을 푸싱시킬 수 있는 회동 부재와, 상기 지그의 다른 삽입공에 삽입된 후 송풍기에 체결 고정되는 고정 수단과, 상기 지그에 걸림 고정되어 회동 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축을 밀어줄 수 있도록 나사 체결된 기어 풀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종래의 배기 송풍기의 분리 용구의 조립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 송풍기의 분리 용구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분리 용구, 12 : 지그.
12a, 12b : 나사 삽입공, 13 : 고정 수단,
14 : 회동 부재, 16 : 기어 풀러,
20 : 배기용 송풍기, 22 : 팬,
24 : 축.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 송풍기의 분리 용구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부호 11 은 본 발명의 분리 용구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는 배기용 송풍기(20)의 팬(22)으로부터 축(24)을 분리하기 위한 수단이다.
즉, 상기 분리 용구(11)는 상기 송풍기(20)의 후면에 원판형의 지그(12)를 대향 구비하고, 여기서 상기 지그(12)의 중앙 및 외주연에는 복수의 나사 삽입공(12a)(12b)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지그(12) 중앙의 나사 삽입공(12b)에 회동 부재(14)가 결합되어 회전함에 따라 송풍기(20)의 축(24)을 푸싱시킬 수 있도록 접촉하고 있다. 이러한 회동 부재(14)는 나사산이 형성된 몸통부(14a)와, 육각형상의 머리부(14b)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지그(12)의 다른 삽입공, 즉 외주연 측의 나사 삽입공(12a)에는 보올트와 같은 고정 수단(13)이 삽입 체결되어 송풍기(20)의 팬(22)을 고정하고 있다.
특히, 상기 회동 부재(14)의 몸통부(14a)에는 기어 풀러(16)가 너트 체결되어, 지그(12)의 가장 자리 쪽에 걸림 고정됨으로서 회동 부재(14)의 회전에 따라 송풍기(20)의 축(24)을 밀어 줄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상기 기어 풀러(16)의 밀어내는 너트 부분은 햄머링을 하더라도 파손되지 않도록 열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기 송풍기의 분리 용구(11)는 종래에 비하여 기어 풀러(16)를 활용하게 되므로 지그(12)를 통하여 회동 부재(14)를 회전시킴으로써 송풍기(20)의 축(24)을 밀어낼 때 훨씬 편할 뿐만 아니라 힘도 적게 든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배기용 송풍기의 팬 및 축을 상호 분리시킬 때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분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 공수도 상당히 줄일 수 있다.

Claims (1)

  1. 배기용 송풍기의 팬으로부터 축을 분리하기 위한 배기 송풍기의 분리 용구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의 후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대향되는 복수의 나사 삽입공을 가진 원판형의 지그와,
    상기 지그 중앙의 나사 삽입공에 결합되어 회전됨에 따라 송풍기의 축을 푸싱시킬 수 있는 회동 부재와,
    상기 지그의 다른 삽입공에 삽입된 후 송풍기에 체결 고정되는 고정 수단과,
    상기 지그에 걸림 고정되어 회동 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축을 밀어줄 수 있도록 나사 체결된 기어 풀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송풍기의 분리 용구.
KR1019980006931A 1998-03-03 1998-03-03 배기 송풍기의 분리 용구 KR199900738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6931A KR19990073801A (ko) 1998-03-03 1998-03-03 배기 송풍기의 분리 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6931A KR19990073801A (ko) 1998-03-03 1998-03-03 배기 송풍기의 분리 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3801A true KR19990073801A (ko) 1999-10-05

Family

ID=65894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6931A KR19990073801A (ko) 1998-03-03 1998-03-03 배기 송풍기의 분리 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7380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2539B1 (ko) * 2000-11-17 2003-02-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샤프트 분해 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2539B1 (ko) * 2000-11-17 2003-02-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샤프트 분해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44694A (en) Fastening spindle and method of assembly for attaching rotor elements of a gas-turbine engine
JP4181528B2 (ja) ロータエンドプレートの保持システム
JPH03131468A (ja) 研削工具及び該研削工具に用いるスペーサ・アッセンブリ
US6752588B2 (en) Vacuum pump
JPH11173315A (ja) ねじ及びドライバービットまたはレンチとの組合せ
JP2000334632A (ja) 固定具
EP0802021A2 (en) Swaging tool for bearing installation
JP2911415B2 (ja) せん断破砕機
KR19990073801A (ko) 배기 송풍기의 분리 용구
JPH11257320A (ja) ファスナ
JPH10324108A (ja) ベアリングロックナット・ワッシャ構造
US6799358B2 (en) Method for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cutting inserts
JP2852604B2 (ja) プーリプーラ
JP2558607Y2 (ja) 止め輪を具えた軸と回転体の締結装置
JP2802047B2 (ja) 孔加工工具
JPH06346910A (ja) ねじ具
JP2000176853A (ja) 拡開式リベットの締結用治具
JP2002066937A (ja) 多機能レンチソケット
JP2834422B2 (ja) 孔加工工具
JPH07118977B2 (ja) 大口径孔の加工工具
JP3227757U (ja) 共回り防止具及び締緩ユニット
JP3394987B2 (ja) 締付工具用ソケット
JPS5933594Y2 (ja) リングの着脱具
JPH09174542A (ja) 孔加工工具
JPH10184710A (ja) 軸受固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