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3627A - 컴퓨터 본체에 설치되는 물품 보관장치 - Google Patents

컴퓨터 본체에 설치되는 물품 보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3627A
KR19990073627A KR1019990031584A KR19990031584A KR19990073627A KR 19990073627 A KR19990073627 A KR 19990073627A KR 1019990031584 A KR1019990031584 A KR 1019990031584A KR 19990031584 A KR19990031584 A KR 19990031584A KR 19990073627 A KR19990073627 A KR 199900736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box
shelf
front cover
exit
ent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1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2711B1 (ko
Inventor
서상원
Original Assignee
서상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상원 filed Critical 서상원
Priority to KR1019990031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2711B1/ko
Priority to TW090212076U priority patent/TW487194U/zh
Publication of KR19990073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3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2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27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1Enclos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1Locks; La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본체에 설치되는 물품 보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컴퓨터 본체 내부의 빈 공간에 설치되는 선반과, 이 선반에 안치되어 물품을 보관하는 보관함으로 구성된 물품 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컴퓨터 본체에 있어서, 드라이브 설치부의 빈 공간에 장착될 수 있도록 밑판과 체결수단이 구비된 양 측벽이 일체로 이루어진 선반과, 상기 선반의 전방에 결합되고 그 중앙부에 입출구가 구비된 프론트 커버와, 상기 프론트 커버의 입출구를 통해 상기 선반에 안착되며 그 내부에 물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밑판과 전후 및 좌우 측벽이 일체로 형성된 보관함과, 선반 내에 안착된 상기 보관함을 항상 앞쪽으로 밀어내는 가압수단과, 상기 보관함을 상기 선반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 및 컴퓨터 메인 프로세서의 명령에 따라 상기 고정수단을 해제시키는 결합해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장치는 컴퓨터를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한 경우에만 보관함을 열 수 있어 개인 물품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고, 보관함의 입출입이 구동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사용하기에 매우 편리하다.

Description

컴퓨터 본체에 설치되는 물품 보관장치{Disk storage device}
본 발명은 컴퓨터 본체에 설치되는 물품 보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컴퓨터 본체 내부의 빈 공간에 설치되는 선반과, 이 선반에 안치되어 물품을 보관하는 보관함으로 구성된 물품 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스크 탑 컴퓨터에는 프로피 디스크 드라이브와 콤팩트 디스크 드라이브를 장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또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추가적으로 필요한 드라이브를 더 설치할 수 있도록 여분의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여분의 드라이브 설치 공간에 장착되는 물품 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는 컴퓨터 본체에 설치되는 디스크 보관함에 관한 발명을 이미 특허출원(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98-14084호)한 바 있다.
본 발명자에 의해 발명된 상기 디스크 보관함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디스크 보관함은 양측 벽면(221)과 후방 벽면(222)으로 이루어진 케비넷(220)과, 상기 케비넷 전방에 결합되고 그 중앙부에 입출구(241)가 구비된 프론트 커버(240)와, 상기 프론트 커버의 입출구 하단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입출구를 개폐하는 도어(250) 및 상기 케비넷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를 열었을 때 수납된 디스크를 앞쪽으로 밀어내는 탄성부재(238)로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보관 케이스에 담겨진 콤팩트 디스크(CD)를 케비넷(220) 내에 넣고, 열려진 도어(250)와 함께 안으로 밀어 넣어 도어가 프론트 커버(240)에 고정되도록 하면, 컴퓨터 본체의 케비넷(220)에 디스크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디스크를 인출할 때는 도어(250)를 프론트 커버(240)로부터 분리시키면, 케비넷(220) 후방 벽면(222)에 설치되어 있는 탄성부재(238)의 복원력에 의해 디스크가 전방의 입출구(241)를 통해 앞으로 나오게 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238)의 선단면을 단차지게 형성하면, 디스크가 차례로 단차되어 돌출되므로 원하는 디스크를 쉽게 꺼낼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디스크 보관함은 디스크 보관 케이스에 보관된 규격화된 디스크만을 보관할 수 있도록 된 것이어서 디스크 이외의 물품은 넣거나 꺼내기가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디스크 보관함은 프론트 커버에서 도어를 분리시키면, 곧바로 수납된 디스크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되어 있어 보관 물품이 분실될 우려가 있고, 또 프라이버시가 침해될 염려가 컸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디스크와 같이 딱딱하고 규격화된 물품뿐만 아니라 작거나 부드러우며 다양한 형태를 갖는 물품도 쉽게 보관할 수 있는 물품 보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를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하지 않으면 보관된 물품을 꺼낼 수 없는 물품 보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품 보관함을 자동으로 꺼내고 넣을 수 있는 자동 이송장치가 구비된 물품 보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본체에 설치되는 물품 보관장치가 장착된 컴퓨터 본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본체에 설치되는 물품 보관장치를 컴퓨터 본체에 설치하는 것을 보여주는 부분 절단 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컴퓨터 본체에 설치되는 물품 보관함,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장치에 적용되는 고정장치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A∼6C는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가압수단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장치에 적용되는 선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장치에 적용되는 도어용 탄성수단을 보여주는 부분 절단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장치에 적용된 도어 및 도어용 탄성수단의 회동운동을 보여주기 위한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장치에 적용되는 도어용 탄성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배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장치의 이송수단을 보여주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12A 및 12B는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장치의 탈착수단의 결합관계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 및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장치에 적용되는 보관함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장치의 선반에 보관함이 삽입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장치의 평면도,
도 16은 도 15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물품 보관장치의 횡단면도,
도 17은 도 15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물품 보관장치의 종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장치에 적용되는 데이터 전송용 케이블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장치의 보관함에 삽입되는 시디 트레이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물품 보관장치 5. 선반
6. 이송수단 7. 보관함
9. 프론트 커버 11. 도어
31. 구동제어 프로세서 35. PCB
37. 전원공급용 커넥터 39. 데이터 전송용 커넥터
41. 도어용 탄성수단 42. 슬라이더
45. 탈착수단 63. 스크루 스프링
65. 가이드 바 68. 구동모터
73. 걸림홈 78. 지지돌부
81. 제1플레이트 83. 제2플레이트
89. 위치탐지돌기 92. 탄성후크
94. 탄성편 121. 데이터 전송용 케이블
본 발명은 컴퓨터 본체에 있어서, 드라이브 설치부의 빈 공간에 장착될 수 있도록 밑판과 체결수단이 구비된 양 측벽이 일체로 이루어진 선반과, 상기 선반의 전방에 결합되고 그 중앙부에 입출구가 구비된 프론트 커버와, 상기 프론트 커버의 입출구를 통해 상기 선반에 안착되며 그 내부에 물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밑판과 전후 및 좌우 측벽이 일체로 형성된 보관함과, 선반 내에 안착된 상기 보관함을 항상 앞쪽으로 밀어내는 가압수단과, 상기 보관함을 상기 선반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 및 컴퓨터 메인 프로세서의 명령에 따라 상기 고정수단을 해제시키는 결합해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론트 커버는 프론트 커버의 입출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를 항상 바깥쪽으로 가압하는 탄성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선반은 선반의 상부와 선반의 후방부를 커버하는 선반 뚜껑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관함은 보관함의 후방부가 힌지 결합되어 전방부가 상하로 회동되는 보관함 뚜껑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예는, 컴퓨터 본체에 있어서, 드라이브 설치부의 빈 공간에 장착될 수 있도록 밑판과 체결수단이 구비된 양 측벽이 일체로 이루어진 선반과, 상기 선반의 전방에 결합되고 그 중앙부에 입출구가 구비된 프론트 커버와, 상기 프론트 커버의 입출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를 항상 바깥쪽으로 가압하는 토션 스프링과, 상기 프론트 커버의 입출구를 통해 상기 선반에 안착되며 그 내부에 물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밑판과 전후 및 좌우 측벽이 일체로 형성된 보관함과, 선반 내에 안착된 상기 보관함을 전후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 및, 상기 이송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송수단은 보관함과 결합 및 이탈이 가능한 탈착수단과, 상기 탈착수단과 결합되어 보관함을 전후로 밀거나 끄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를 안내하는 가이드 바와, 상기 슬라이더를 이송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수단은 동력 전달용 스크루 스프링(Screw Spring)과, 이 스크루 스프링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동력을 스크루 스프링에 전단하는 동력전달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제어수단은 상기 보관함의 위치를 탐지하는 위치탐지센서와, 보관함의 위치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제어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제어수단은 상기 보관함의 위치를 탐지하는 위치탐지센서에서 제공되는 보관함 위치정보와, 컴퓨터의 메인 프로세서에서 제공되는 보관함 모드정보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제어 프로세서와, 상기 컴퓨터의 메인 프로세서와 구동제어 프로세서 간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데이터 송수신 장치는 상기 구동제어 프로세서와 접속된 테이터 접속용 커넥터와, 상기 데이터 접속용 커넥터와 컴퓨터 시리얼 포트 사이를 접속하는 데이터 전송용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컴퓨터 본체에 설치되는 물품 보관장치가 장착된 컴퓨터 본체의 사시도이다. 컴퓨터 본체(1)에는 프로피 디스크 드라이브(13) 및 콤팩트 디스크 드라이브(15) 등이 설치되는 드라이브 설치부(10)가 있다. 일반적으로 이 드라이브 설치부(10)에는 하나의 프로피 디스크 드라이브(13)와 콤팩트 디스크 드라이드(15)가 각각 장착되는 것이 보통이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드라이브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도록 여분의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장치(3)는 이러한 드라이브 설치부(10)의 빈 공간에 장착된다. 이 드라이브 설치부(10)에는 드라이브를 설치하는 샤시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도 본 발명의 물품 보관장치(3)를 쉽게 설치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장치(3)를 컴퓨터 본체(1)에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부분 절단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 보관장치(3)에는 나사구멍(19)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나사(14)를 체결하여 본체의 샤시(16)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물품 보관장치(3)는 크게 컴퓨터 본체(1)에 고정되는 선반(5)과, 상기 선반(5)에 슬라이드 되어 안착되는 보관함(7)으로 구성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5는 선반이다. 이 선반(5)은 양 측벽(51)과 밑판(52)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양 측벽(51)에는 본체(1)의 샤시(16)에 나사 결합하기 위한 나사구멍(19)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선반(5)의 전면에는 프론트 커버(9)가 고정되어 있다. 이 프론트 커버(9)는 중앙부에 보관함(7)의 출입이 가능한 입출구(91)가 형성되어 있다.
참조번호 7은 보관함이다. 이 보관함(7)은 상기 선반(5) 내에 슬라이드 되어 장착되며, 보관 물품을 담을 수 있도록 밑판(75)과 전후· 좌우 측벽(76)으로 구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보관함(7)의 상부를 덮을 수 있는 뚜껑(7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관함(7)은 물품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시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건장치(77)는 열쇠를 이용하거나 비밀번호를 이용하는 것 등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나, 도면에서는 열쇠를 이용하는 시건장치(77)가 예시되어 있다.
한편, 선반(30)의 후방에는 선반(5) 내로 삽입된 보관함(7)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55)과, 보관함(7)을 전방으로 밀어내는 가압수단(5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압수단(53)의 가장 간단한 예는 탄성력을 갖도록 절곡된 탄성편이다. 이 가압수단(53)은 삽입되는 보관함(7)의 후단부에 의해 뒤쪽으로 휘어져서 보관함(7)을 앞쪽으로 가압하는 복원력을 갖게 된다.
상기 고정수단(55)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함(7)의 밑판(75)에 형성된 걸림홈(73)에 탈착되는 후크부재(57)와, 이 후크부재(57)를 작동시켜 보관함(7)과의 결합을 해제시키는 결합해제부재(59)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해제부재(59)는 외부 신호, 바람직하기로는 컴퓨터 메인 프로세서의 명령에 따라 후크부재(57)를 회동시켜 보관함(7)과의 결합을 해제시키는 액츄에이터이다.
따라서, 도선(58)을 통해 접속되어 있는 스위치를 온(ON)시키면, 경사면이 형성된 액츄에이터의 가동봉(56)이 전진하여 후크부재(57)의 후단을 위쪽으로 회동시켜 후크부재(57)가 보관함(7)의 걸림홈(73)을 벗어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고정장치(55)를 해제시키면, 상기 보관함은 가압수단(53)의 복원력에 의해 앞쪽으로 밀려나오게 된다. 그러면, 보관함(7)의 전방부가 프론트 커버(9)의 앞쪽으로 노출되므로 쉽게 꺼낼 수 있게 된다.
도 6A 내지 6C는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가압수단을 예시한 것이다. 도 6A는 탄성편이나 탄성띠를 이용한 가압수단이고,도 6B는 탄성고분자 물질이나 공기 튜브를 이용한 가압수단이며, 도 6C는 압축스프링이나 인장스프링이 내장된 여러 가지 가압수단들이다. 이러한 가압수단(53)은 보관함(7)이 무리 없이 삽입될 수 있는 정도의 탄성을 갖는 동시에 적어도 보관함(7)의 전방부가 프론트 커버(9)의 앞쪽으로 돌출될 정도의 복원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장치에 적용되는 선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이 선반(5)은 선반 뚜껑(61)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선반 뚜껑(61)은 후단에 선반(5)의 후방부를 커버하는 측벽(63)이 일체로 절곡되어 있다. 상기 선반(5)의 앞쪽에 결합되어 있는 프론트 커버(9)는 그 뒷면에 돌설된 탄성 후크(93)를 선반의 양 측벽(51)에 형성된 탈착홈(64)에 결합시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커버(9)의 입출구(91)에는 입출구(91)를 개폐하는 도어(11)가 힌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도어(11)는 좌우 양측으로 돌설된 힌지돌기(95)를 입출구(91)에 형성된 힌지구멍(97)에 끼워 결합된다. 또한 상기 힌지돌기(95)의 하부로는 도어(11)가 입출구(91)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99)가 돌설되어 있다.
한편, 상기 도어(11)는 탄성수단에 의해 항상 바깥쪽으로 가압되어 있다. 상기 도어용 탄성수단(41)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는 "??"자 형태를 갖고, 양측 자유단의 중간부분이 코일형태로 감긴 토션 스프링(43)과, 이 토션 스프링(43)을 지지하도록 선반 뚜껑(61)의 전단부에 형성된 지지홈(45)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도 9는 보관함(7)이 선반(5)으로 삽입될 때 상기 도어(11)의 회동 운동과 상기 토션 스프링(43)이 접혀져서 복원력을 갖게 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10은 도어용 탄성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프론트 커버(9)의 배면도이다. 이 도어용 탄성수단(41)은 일자 형태의 토션 스프링(47)과, 이 토션 스프링(47)을 지지하도록 프론트 커버(9)와 도어(11)에 형성된 다수의 지지돌기(49)들로 구성되어 있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선반(5)의 일측에는 보관함(7)을 전후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6)이 설치되어 있다. 이 이송수단(6)은 보관함과 탈착이 가능한 탈착수단과, 이 탈착수단과 결합되어 있으며 전후 직선운동이 가능한 슬라이더와, 이 슬라이더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더(42)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상으로 감긴 스크루 스프링(63)의 나선 사이에 개재되는 제1플레이트(81)와, 보관함(7)의 밑판(75)에 결착되어 보관함(7)과 결합되는 탈착수단(45)이 고정되는 제2플레이트(83) 및 가이드 바(65)의 가이드 홈(85)을 따라 안내되는 슬라이드부(49)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은 일정한 간격의 피치(Pitch)가 일정구간 반복되는 스크루 스프링(Screw Spring; 63)과, 이 스크루 스프링(63)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68)와, 구동모터(68)의 동력을 스크루 스프링(63)에 전단하는 동력전달수단(69)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크루 스프링(63)은 비교적 탄성이 적은 철사를 나선형으로 감은 동력전달용 코일 스프링이다. 이 코일 스프링(63)의 일단은 자유단이고, 반대측 단은 구동모터(68)에 의해 구동되는 피동기어 축(74)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41)의 제1플레이트(81)는 상기 스크루 스프링(63)의 나사선 사이에 개재된다. 따라서 상기 제1플레이트(81)는 상기 스크루 스프링(63)의 하나의 피치보다 적은 폭과, 상기 스크루 스프링(63)의 지름보다 낮은 높이를 갖게 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 바(65)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된 관체로서, 안쪽에는 상기 스크루 스프링(63)이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원통형의 안착홈(87)이 형성되고, 바깥쪽으로는 상기 슬라이더(41)의 슬라이드부(49)가 안내되는 가이드 홈(8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홈(85)의 외측으로는 보관함(7)의 밑판(75)과 접촉되어 보관함(7)을 안내하는 안내돌부(88)가 형성되어 있어, 선반(5)의 다른 편에 설치된 안내돌부(86)와 함께 보관함의 운동을 원활히 한다. 그리고 상기 안착홈(87)과 가이드 홈(85)은 서로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홈(85)의 바깥쪽은 외부와 관통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스크루 스프링(63)이 구동모터(68)의 구동에 의해 일측을 회전하게 되면, 상기 스크루 스프링(63)의 나선 사이에 개재된 상기 제1플레이트(81)는 회전하는 나선에 의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압력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플레이트(81)와 일체로 결합된 상기 슬라이더(42)가 가이드 바(65)의 가이드 홈(85)을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직선 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탈착수단(45)은 나사를 통해 상기 슬라이더(41)의 제2플레이트(83)에 고정된다. 상기 탈착수단(45)은 보관함(7)의 걸림홈(73)에 탈착되는 탄성후크(92)와, 보관함(7)의 후단부를 항상 앞쪽으로 가압하는 탄성편(94)이 형성되도록 절곡되어 있다.
상기 탄성후크(92)는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함(7) 밑판에 형성된 걸림홈(73)에 결착되어 슬라이더(41)와 보관함(7)이 일체로 이동할 수 있게 하고, 상기 탄성편(94)은 도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함(7)의 후단부를 가압하여 보관함이 전후로 일정거리 움직일 수 있는 유격을 갖게 한다. 이러한 유격은 후술하는 위치탐지센서의 반응을 좋게 하고, 선반(5)내에 안착된 보관함(7)의 전면이 프론트 커버(9)의 전면과 일치되게 한다.
한편, 도 12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후방으로 이송된 탈착수단(45)의 탄성후크(92)는 선반(5)의 밑판에 형성된 지지돌부(78)에 의해 지지되므로 탄성후크(92)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된다. 그리고 참조번호 54는 보관함(7)이 더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이다.
한편,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장치에 삽입되는 보관함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 보관함(7)은 전후, 좌우 측벽(76)과 밑판(75) 및 뚜껑(71)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관함(7)의 전면에는 시건장치(77)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측벽(76)의 후단부 일측에는 후술하는 위치탐지센서와 접촉하는 위치탐지돌부(89)가 돌설되어 있으며, 밑판(75)에는 가이드 바(65)의 안내돌부(88)에 대응하는 가이드 홈(78)과, 탈착수단(45)의 탄성후크(92)가 결합되는 걸림홈(7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관함 뚜껑(71)은 다양한 방법으로 보관함(7)에 고정될 수 있으나, 보관함(7)의 좌우 측벽(76)의 후단부에 힌지 구멍(111)을 형성하여 이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관함 뚜껑(71)의 후단부에 원호상의 보조 플레이트(113)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보관함(7)의 좌우 측벽(76)에는 원호상의 요홈(115)을 형성하여, 상기 보조 플레이트(113)에 돌설되어 있는 가이드 돌기(117)가 상기 요홈(115)을 따라 안내되도록 함으로써 보관함 뚜껑(71)이 원활하게 회동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보관함(7)은 도시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물품을 담아 선반(5)에 장착할 수 있는 형태라며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보관함 뚜껑(71)은 보관함(7)의 일 측벽(76)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보관함(7)의 형태는 취향에 따라 다양하게 만들 수 있다. 그리고 보관함(7) CD를 보관하는 경우에는 도 19에 도시되어 있는 CD 트레이(125)를 사용하면 편리하다.
한편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반에 보관함이 삽입되는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서 선반 뚜껑은 도시되지 않았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관함(7)이 프론트 커버(9)의 입출구(91)를 통해 선반(5)으로 삽입되면, 프론트 커버(9)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도어(11)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며 이에 따라 프론트 커버(9)의 입출구(91)가 개방되게 된다. 이때, 토션 스프링(43)은 일자로 접혀져서 복원력을 갖게 된다.
그리고 보관함(7)은 선반(5)의 전방부에 위치하고 있는 슬라이더(41)의 탈착수단(45)과 결합되어 일체를 이루게 된다. 이와 동시에 선반(5)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위치탐지센서가 보관함(7)의 위치를 탐지하여 그 정보를 구동제어수단으로 보내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15,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물품보관 장치의 결합관계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16는 도 15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장치의 횡단면도이며, 도17 도 15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보관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선반(5)의 앞쪽에 배치되어 있는 제1위치탐지센서(67)와 선반(5)의 뒤쪽에 배치되어 있는 제2위치탐지센서(69)가 보관함(7)의 측벽에 돌설되어 있는 위치탐지돌기(89)에 접촉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위치탐지센서(67, 69)가 이송수단(6)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나 다른 측벽에 설치하는 것도 무방하다. 이들 위치탐지센서(67,69)는 보관함(7)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구동제어수단으로 보낼 수 있도록 도선(119)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상기 위치탐지센서(67,69)는 보관함(7)의 측면에 돌출된 위치탐지돌기(89)와 접촉될 때 ON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보관함(7)이 삽입되면, 제1위치탐지센서(67)가 보관함(7)의 위치탐지돌기(89)와 접촉되어 ON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러면, 이 신호를 받은 구동제어수단은 구동모터(68)를 구동시켜 슬라이더(41)가 보관함(7)을 후방으로 끌고 들어가게 한다. 그리고 보관함(7)의 위치탐지돌기(89)가 제1위치탐지센서(67)를 통과하게 되면 제1위치탐지센서(67)는 다시 OFF신호를 발생시킨다. 그 후 보관함(7)이 계속 슬라이드 되어 위치탐지돌기(89)가 제2위치탐지센서(69)와 접촉하게 되면 이번에는 상기 제2위치탐지센서(69)가 ON신호를 발생시켜 구동제어수단이 구동모터(68)의 회전을 정시시키게 한다. 이와 같이 보관함(7)이 완전히 수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위치탐지센서(67)는 OFF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2위치탐지센서(69)는 ON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보관함(7)이 선반(5)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된 경우에는 상기 제1위치탐지센서(67)와 제2위치탐지센서(69) 모두가 OFF상태가 된다. 즉, 보관함(7)이 완전히 수납된 상태에서 구동모터(68)가 구동되어 보관함(7)이 전방으로 슬라이드 되면, 먼저 상기 제2위치탐지센서(69)가 OFF 상태로 전환되고, 계속하여 보관함(7)이 슬라이드 되어 위치탐지돌기(89)가 제1위치탐지센서(67)와 접촉되면 상기 제1위치탐지센서(67)가 ON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위치탐지센서(67)가 ON신호를 발생하면 상기 구동제어수단는 구동모터(68)의 회전을 정지시키게 된다. 그후, 사용자가 보관함(7)을 선반(5)으로부터 꺼내면 상기 제1 및 제2위치탐지센서(67, 69) 모두가 OFF상태로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위치탐지센서(67,69)가 모두 OFF인 상태에서는 상기 구동모터(68)가 작동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제1 또는 제2위치탐지센서(67, 69) 중 어느 하나는 ON상태인 경우에는 후술하는 보관함(7)의 모드선택에 따라 보관함(7)이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선반(5)의 후방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 위치감지센서(67,69)의 위치정보를 근거로 구동모터(68)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제어 프로세서(31)가 PCB(35)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PCB(35)에는 구동모터(68)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용 커넥터(37)와 컴퓨터의 메인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용 커넥터(39)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 데이터 전송용 커넥터(39)를 통해 접속되는 컴퓨터의 메인 프로세서에는 보관함 모드('보관함 열림' 또는 '보관함 담힘')를 선택할 수 있는 별도의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다. 가칭 '물품 보관장치 프로그램'인 상기 프로그램은 보관함 모드에 관한 정보를 상기 구동제어 프로세서(31)에 전달하여 구동모터(68)의 회전방향을 결정한다. 즉, 보관함 닫힘 모드가 선택되고, 제1위치탐지센서(67)가 ON상태이면, 상기 구동제어 프로세서(31)는 보관함(7)이 닫히는 방향으로 구동모터(68)를 회전시킨다. 반대로, 보관함 열림 모드가 선택되고, 제2위치탐지센서(69)가 ON상태이면 상기 구동제어 프로세서(31)는 보관함(7)이 열리는 방향으로 구동모터(68)를 회전시킨다.
도 18은 컴퓨터 본체의 메인 프로세서와 구동제어 프로세서와의 접속을 위한 테이터 전송용 케이블의 접속관계를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동제어 프로세서(31)와 컴퓨터 메인 프로세서를 접속시키는 데이터 전송용 케이블(121)은 컴퓨터 본체(1)의 시리얼 포트(123)와 PCB(35)에 장착되어 있는 데이터 전송용 커넥터(39)를 접속시킨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본체에 설치되는 물품 보관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보관함(7)을 컴퓨터 본체(1)에 고정된 선반(5)에 넣고자 하는 경우, 컴퓨터를 작동시켜 물품 보관장치 프로그램을 구동시키고, 보관함 모드선택에서 보관함 닫힘을 선택한 다음 요구하는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그러면, 컴퓨터 메인 프로세스는 보관함 모드에 관한 정보를 구동제어 프로세서(31)로 보내게 된다.
이때, 프론트 커버(9)의 입출구로 보관함(7)을 밀어 넣으면, 보관함(7)의 걸림홈(73)이 탈착수단(45)의 탄성후크(92)와 결합되는 동시에 선반(5)의 입구쪽에 배치된 제1위치탐지센서(67)가 ON 신호를 발생시켜 구동제어 프로세서(31)로 보내게 된다.
그러면, 구동제어 프로세서(31)는 보관함 모드가 '보관함 닫힘'이고 상기 제1위치탐지센서(67)가 'ON' 상태이면, 구동모터(68)를 일측으로 회전시켜 상기 보관함(7)을 선반(5)의 안쪽으로 끌게 된다.
이렇게, 구동모터(68)가 회전하게 되면, 스크루 스프링(63)이 일측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 스크루 스프링(63)에 연결되어 있는 슬라이더(41)가 후방으로 이동되게 되므로 이 슬라이더(41)에 결합되어 있는 보관함(7)도 후방으로 이송되게 된다.
후방으로 이송된 보관함(7)이 선반(5)의 후방에 배치된 제2위치탐지센서(69)와 접촉하게 되면, 제2위치탐지센서(69)는 ON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그러면, 구동제어 프로세서(31)는 구동모터(68)의 회전을 정시시키게 된다. 이때, 탈착수단(45)의 탄성후크(92)는 선반 바닥에 형성되어 있는 잠금돌부(79)에 지지되어 잠김상태가 된다.
반대로, 상기 선반(5)에서 보관함(7)을 꺼내고자 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우선 컴퓨터의 물품 보관장치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보관함 열림' 모드를 선택한 다음 요구하는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그러면 컴퓨터 메인 프로세스는 보관함 모드에 관한 정보를 PCB(35)에 장착된 구동제어 프로세서(31)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구동제어용 프로세서(31)는 보관함 모드가 보관함 열림이고, 제2위치탐지센서(69)가 ON상태이므로 구동모터(68)를 반대측으로 회전시켜 보관함(7)이 선반(5)의 앞쪽으로 슬라이드 되게 한다.
즉, 구동모터(68)와 연결된 스크루 스프링(63)이 반대측으로 회전하여, 스크루 스프링(63)의 나선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슬라이더(41)의 제1플레이트(81)를 바깥쪽으로 밀어내게 된다. 따라서 슬라이더(41)는 가이드 바(65)의 가이드 홈(85)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슬라이더(41)와 탈착수단(45)을 통해 결합되어 있는 보관함(7)도 함께 전방으로 이송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보관함(7)이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보관함의 위치탐지돌기(89)는 제1위치탐지센서(67)와 접촉되어 ON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위치탐지센서(67)가 ON상태로 되면, 구동제어 프로세서(31)는 구동모터(68)의 회전을 정지시키게 된다. 이때, 보관함(7)은 프론트 커버(9)의 앞쪽으로 대부분 돌출되어 있고, 탄성후크(92)도 지지하고 있던 잠금돌부(79)를 이미 벗어난 상태이므로 사용자는 보관함(7)을 손쉽게 꺼낼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사용자가 보관함(7)을 완전히 꺼내게 되면 프론트 커버(9)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도어(11)가 전방으로 회동되어 입출구(91)를 막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보관함의 뚜껑(71)을 상부로 회동시켜 보관함에서 물건을 꺼내거나 새로운 물건을 넣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본체에 설치되는 물품 보관함은 컴퓨터를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한 경우에만 보관함을 개폐할 수 있으므로 개인 물품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 본체에 고정되어 있는 선반에 보관함 자체가 입출되는 것이므로 어떠한 물건이든지 보관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보관함을 휴대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다.

Claims (10)

  1. 컴퓨터 본체에 있어서, 드라이브 설치부의 빈 공간에 장착될 수 있도록 밑판과 체결수단이 구비된 양 측벽이 일체로 이루어진 선반과,
    상기 선반의 전방에 결합되고 그 중앙부에 입출구가 구비된 프론트 커버와, 상기 프론트 커버의 입출구를 통해 상기 선반에 안착되며 그 내부에 물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밑판과 전후 및 좌우 측벽이 일체로 형성된 보관함과,
    상기 선반내에 안착된 상기 보관함을 항상 앞쪽으로 밀어내는 가압수단과,
    상기 보관함을 상기 선반내에 고정시키시 위한 고정수단 및,
    컴퓨터 메인 프로세서의 명령에 따라 상기 고정수단을 해제시키는 결합해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본체에 설치되는 물품 보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커버는 프론트 커버의 입출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를 항상 바깥쪽으로 가압하는 탄성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본체에 설치되는 물품 보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은 선반의 상부와 선반의 후방부를 커버하는 선반 뚜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본체에 설치되는 물품 보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함은 보관함의 후방부가 힌지 결합되고 전방부가 상하로 회동되는 보관함 뚜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본체에 설치되는 물품 보관장치.
  5. 컴퓨터 본체에 있어서, 드라이브 설치부의 빈 공간에 장착될 수 있도록 밑판과 체결수단이 구비된 양 측벽이 일체로 이루어진 선반과,
    상기 선반의 전방에 결합되고 그 중앙부에 입출구가 구비된 프론트 커버와,
    상기 프론트 커버의 입출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를 항상 바깥쪽으로 가압하는 토션 스프링과,
    상기 프론트 커버의 입출구를 통해 상기 선반에 안착되며 그 내부에 물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밑판과 전후 및 좌우 측벽이 일체로 형성된 보관함과,
    상기 선반내에 안착된 상기 보관함을 전후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 및,
    상기 이송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본체에 설치되는 물품 보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보관함과 결합 및 이탈이 가능한 탈착수단과,
    상기 탈착수단과 결합되어 보관함을 전후로 밀거나 끄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를 안내하는 가이드 바와,
    상기 슬라이더를 이송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본체에 설치되는 물품 보관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동력전달용 스크루 스프링(Screw Spring)과,
    상기 스크루 스프링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스크루 스프링에 전단하는 동력전달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본체에 설치되는 물품 보관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제어수단은 상기 보관함의 위치를 탐지하는 위치탐지센서와,
    상기 위치탐지센서에서 제공하는 상기 보관함의 위치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제어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본체에 설치되는 물품 보관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제어수단은 상기 보관함의 위치를 탐지하는 위치탐지센서와,
    상기 위치탐지센서에서 제공되는 보관함 위치정보와 컴퓨터의 메인 프로세서에서 제공되는 보관함 모드정보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제어 프로세서 및,
    상기 컴퓨터 메인 프로세서와 구동제어 프로세서 간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본체에 설치되는 물품 보관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 장치는 상기 구동제어 프로세서와 접속된 테이터 접속용 커넥터와,
    상기 데이터 접속용 커넥터와 컴퓨터 시리얼 포트 사이를 접속하는 데이터 전송용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본체데 설치되는 물품 보관장치.
KR1019990031584A 1999-07-31 1999-07-31 컴퓨터 본체에 설치되는 물품 보관장치 KR100402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1584A KR100402711B1 (ko) 1999-07-31 1999-07-31 컴퓨터 본체에 설치되는 물품 보관장치
TW090212076U TW487194U (en) 1999-07-31 1999-08-13 Article storage device mounted in the computer main bod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1584A KR100402711B1 (ko) 1999-07-31 1999-07-31 컴퓨터 본체에 설치되는 물품 보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3627A true KR19990073627A (ko) 1999-10-05
KR100402711B1 KR100402711B1 (ko) 2003-10-22

Family

ID=19605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1584A KR100402711B1 (ko) 1999-07-31 1999-07-31 컴퓨터 본체에 설치되는 물품 보관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402711B1 (ko)
TW (1) TW487194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9250A (ko) * 2000-07-25 2002-02-01 한정식 컴퓨터 함
WO2012161548A2 (ko) * 2011-05-25 2012-11-29 Oh June Soo 이동식 단말기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9250A (ko) * 2000-07-25 2002-02-01 한정식 컴퓨터 함
WO2012161548A2 (ko) * 2011-05-25 2012-11-29 Oh June Soo 이동식 단말기기
WO2012161548A3 (ko) * 2011-05-25 2013-03-21 Oh June Soo 이동식 단말기기
KR101879873B1 (ko) * 2011-05-25 2018-07-18 오준수 이동식 단말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87194U (en) 2002-05-11
KR100402711B1 (ko) 2003-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31552A (en) Magazine and receiver for media cartridge loader
US5862468A (en) Device for moving and detaching a panel
US5868333A (en) Tape media cartridge system and components thereof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CA2029221A1 (en) Mass loader mechanism and method
JP2002530794A (ja) テープ引き出し素子及び結合素子並びにこれら素子をともに保持するロック手段を有する記録再生装置
KR100402711B1 (ko) 컴퓨터 본체에 설치되는 물품 보관장치
US5926341A (en) Data cartridge interlock and release system
US6028733A (en) Data cartridge caddy-to-storage rack interlock and release system
JP3710406B2 (ja) 記録テープカートリッジ
US6560062B1 (e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evice having compact drive means for actuating means for the actuation of holder means for a cassette
JPH1040615A (ja) データカートリッジ用ピッカー
KR100340837B1 (ko) 디스크 드라이버의 트레이 이젝트장치
US6526017B1 (en) Media cartridge retention and ejection system
JP2003123433A (ja) 記録テープカートリッジ
WO2000034079A1 (en) Dual mode car stereo system capable of playing two different types of recording mediums
JPS63500371A (ja) カセットテ−プおよびコンパクトディスクの収容器
KR0124835Y1 (ko) 노데크 플레이어의 메모리 카드 착탈장치
US6188542B1 (en) Apparatus for loading a disk cartridge
KR200160651Y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프론트 도어 장치
JPS6312440Y2 (ko)
US6892974B2 (en) Recording tape cartridge
KR0119632Y1 (ko) 전자제품의 리모콘 수납장치
KR100942578B1 (ko) 휴대형 디스크 재생기의 도어개폐장치
KR200299910Y1 (ko) 디스크드라이브 작동 장치
JP3455317B2 (ja) 記録媒体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