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2908A - 생쓰레기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생쓰레기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2908A
KR19990072908A KR1019990006173A KR19990006173A KR19990072908A KR 19990072908 A KR19990072908 A KR 19990072908A KR 1019990006173 A KR1019990006173 A KR 1019990006173A KR 19990006173 A KR19990006173 A KR 19990006173A KR 19990072908 A KR19990072908 A KR 19990072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upper rotating
press
raw waste
opp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6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켄이치 카와무라
Original Assignee
켄이치 카와무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켄이치 카와무라 filed Critical 켄이치 카와무라
Publication of KR19990072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290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7/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 B02C7/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with coaxial discs
    • B02C7/08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with coaxial discs with vertic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7/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 B02C7/11Details
    • B02C7/16Driving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상면이 개방된 수납용기(1), (B)아래쪽 고정원판(2)과 위쪽회전원판(3)으로 이루어진 대향원판쌍 및 (C)위쪽회전원판(3)을 회전시키는 구동기구(5)로 구성된 장치에 있어서, (B)의 대향원판쌍의 대향면 중앙부를 위쪽회전원판(3)에 형성된 생쓰레기도입구(9)에 통하는 조쇄부(11)에, 또한 대향원판쌍의 대향면주변부를 마쇄부(12)에 형성하는 것 및 (A)의 수납용기(1)의 바닥부에 배출구(8)를 형성한 생쓰레기처리장치이며, 생활폐기물이나 산업폐기물로서 대량으로 배출되는 생쓰레기류를, 하수도에 직접 유출해도 아무런 지장을 발생하지 않는 정도까지 궤쇄(潰碎)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생쓰레기처리장치{living-refuse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생활폐기물로서 발생하는 생쓰레기를, 직접 하수도에 투기할 수 있는 크기의 1㎜이하까지 궤쇄(潰碎)하기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생활폐기물로서 주방으로부터, 혹은 산업폐기물로서 생선물처리장으로부터 대량으로 배출되는 생스레기류에 대해서는, 이것을 1㎜이하로 미세화할 수 있는 것이라면, 하수도를 개재해서 오수처리장으로 유입시켜도 특별히 지장없이 처리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이와 같은 조건을 충족시키기 까지 미세화하는 처리장치는 알려져 있지 않기 때문에, 생쓰레기를 하수에 흐르게 하는 일은 행하여지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생활폐기물이나 산업폐기물로서 대량으로 배출되는 생쓰레기류를, 하수도에 직접 유출해도 아무런 지장을 발생하지 않는 정도까지 궤쇄(潰碎)하기 위한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해서 이루어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장치의 일예의 요부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장치에 있어서의 위쪽회전판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장치에 있어서의 회전축의 일예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장치에 있어서의 압입스크루장치의 일예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장치에 있어서의 원형동체의 일예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장치에 있어서의 커터의 일예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수납용기2: 아래쪽 고정원판
3: 위쪽회전원판4: 회전축
5: 구동기구6: 누름볼트
8: 배출구9: 생쓰레기도입구
11: 조쇄(粗碎)부12: 마쇄(磨碎)부
13: 나선면가이드부재16: 압입편부재
19: 원형동체20: 커터
본 발명자는, 생쓰레기류의 처리장치에 대해서 여러가지 연구를 거듭한 결과, 마멸분쇄기(Attrition mill)의 원리를 이용해서 궤쇄처리하면, 생쓰레기류를 1㎜이하의 크기까지 미세화할 수 있고, 처리한 생쓰레기류를 그대로 하수도에 투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이 지견에 의거해서 본 발명을 이루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A)상면이 개방된 수납용기(1), (B)아래쪽고정원판(2)과 위쪽회전원판(3)으로 이루어진 대향원판쌍 및 (C)위쪽회전원판(3)을 회전시키는 구동기구(5)로 구성된 장치에 있어서, (B)의 대향원판쌍의 대향면 중앙부를 위쪽회전원판(3)에 형성된 생쓰레기도입구(9)에 통하는 조쇄부(11)에, 또한 대향원판쌍의 대향면주변부를 마쇄부(12)로 형성하는 것 및 (A)의 수납용기(1)의 바닥부에 배출구(8)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쓰레기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장치에는, 그 수납용기(1)의 상부에, (B)의 위쪽회전원판(3)의 생쓰레기도입구(9)에 대응하는 공급구를 가진 압입스크루장치(30)를 연결함으로써, 생쓰레기수용실에의 생쓰레기의 공급을 보다 원활하게 행할 수 있어, 처리능률을 높일 수 있고, 또 압입스크루장치(30)의 상부에 회전커터(20)를 구비함으로써, 치수가 지나치게커서 상기의 생쓰레기처리장치에 의한 처리가 곤란한 물체를 재단해서, 처리가능한 치수로까지 미세하게 할 수 있다.
다음에 첨부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장치의 일예를 표시한 요부단면도로서, 바닥면에 배출구(8)를 가진, 상면이 개방된 수납용기(1)의 내부에, 아래쪽고정원판(2)과 위쪽화전원판(3)으로 이루어진 대향원판쌍이 수납되어 있다. 이 위쪽회전원판(3)은 회전축(4)에 끼워맞춤되고, 구동기구(5)에 연결되어 있다. 이 위쪽회전원판(3)은, 누름볼트(6) 및 누름부재(7)에 의해 회전축(4)으로부터 탈락되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다.
도 2는, 위쪽회전원판(3)의 평면도로서, 이것에는 회전축(4)에 끼워맞춤시키는 축구멍(10)과, 복수의 생쓰레기도입구(9),…가 형성되어 있다.
아래쪽 고정원판(2)과 위쪽회전원판(3)과의 대향면에는, 방사형상 또는 원호형상으로 다수의 요철(凹凸)이 형성되고, 양자사이의 마찰, 전단작용에 의해 생쓰레기가 분쇄, 미세화되도록 되어 있다. 이 상하원판은 시판되고 있는 마멸분쇄기의 원판을 그대로 이용할 수도 있다.
생쓰레기도입구(9),…로부터 공급되는 생쓰레기는, 먼저 원판대향면의 중심부에 형성된 원판쌍 사이의 간격을 넓게한 조쇄부(11)에 있어서 분쇄되면서 점차 주변부에 이송되고, 주변부에 형성된 원판쌍 사이의 간격을 좁게한 마쇄부(12)에서 보다 잘게 마쇄되어서 소정의 입도 즉 1㎜이하로까지 미세화되어, 배출구(8)로부터 직접하수도에 유출된다.
수납용기(1)는, 유저(有底)통형상으로 형성되나, 이것은 원통형상, 각(角)통형상의 어느것이라도 된다. 또, 회전축(4)은 도 3에 사시도로서 표시한 바와 같이 스풀라인홈을 형성한 것으로 하고, 위쪽회전판(3)의 축구멍을 이것에 끼워붙임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 장치에 있어서는, 통상의 생쓰레기를 처리할때에, 그속에 함유되어 있는 물이나 부착되어 있는 물이 침출(渗出)하기 때문에, 특별히 물을 보급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으나, 보다 원활한 유출을 행하기 위하여 소망에 따라 수분을 보급해서 마쇄된 생쓰레기를 희석할 수도 있다.
본 발명 장치에 있어서는, 생쓰레기의 공급을 신속하게 행하기 위하여, 대향원판쌍 사이의 빈틈에 생쓰레기를 강제적으로 도입하기 위한 압입스크루장치(30)를 연결시킬 수 있다.
도 4는, 이와 같은 압입스크루장치(30)의 일예의 구조를 표시한 분해사시도로서, 이 압입스크루장치(30)는, 나선면가이드부재(13)와 압입편부재(16)로 구성되어 있다.
이 나선면가이드부재(13)에는, 아래쪽을 향해서 구배를 가진 복수의 나선면유도편(14),…이 형성되고, 그 각유도편의 말단은, 각각 위쪽회전원판(3)에 형성된 생쓰레기도입구(9),…와 대응한 위치에 개구하고 있다.
다른 한편, 압입편부재(16)는, 복수의 플랜지(17A)부착벽편(17),…을 가지고, 벽편(17)의 하부가, 나선면 유도편(14)의 최상부에 합치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나선면가이드부재(13)와 압입편부재(16)는 각각의 축구멍(18) 및 (15)에 의해, 회전축(4)의 스플라인홈에 끼워맞춤시켜, 위쪽회전원판(3)과 동축회전할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압입스크루장치(30)는, 그 내경이 압입스크루장치(30)의 최외경보다 약간 큰 원형동체(19)내에 수납되며, 압입스크루장치(30)의 회전에 의해, 위쪽으로부터 공급되는 생쓰레기를, 위쪽회전원판(3)의 도입구(9),…를 통과해서, 조쇄부(11)에 강제적으로 압입하는 작용을 가지고 있다. 도 5는, 이 원형동체의 일예를 표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 장치에 있어서는, 생쓰레기속에 존재하는 물체로서, 압입스크루장치(30)에 완전히 들어갈 수 없는 크기의 것을 재단하여, 압입스크루장치(30)에 의해 원판쌍 사이의 빈틈에 도입가능하게 하기 위한 커터(20)를 장착할 수도 있다.
도 6은, 이 커터(20)의 일예를 표시한 사시도로서, 커터(20)는, 본체(21)와 그것에 장착된 복수의 절단칼(22),…로 이루어지고, 중심에 커터 및 압입스크루장치(30)를 구비한 본 발명장치에 있어서는, 투입된 생쓰레기는, 이 커터(20)에 의해 적당한 크기를 재단되고, 압입스크루장치에 의해, 대향원판쌍의 조쇄부(11)에 강제적으로 도입되어, 점차 작게파쇄되면서 마쇄부(12)에서 1㎜이하로 미세화된 후, 배출구로부터 직접하수도에 배출된다.
본 발명 장치에 있어서의 압입스크루장치(30) 및 커터(20)의 장착은, 도 1에 있어서의 누름부재(7)를 떼어내고, 회전축(4)에 순차적으로 압입스크루장치(30)를 구성하고 있는 나선면가이드부재(13), 압입편부재(16) 및 커터(20)를 각각의 축구멍(18),(15) 및 (23)에 의해서 끼워붙이고, 마지막으로 누름볼트(6)에 의해 죄붙임으로써 행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장치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므로, 누름볼트(6)를 떼어내면, 커터(20), 압입스크루장치(30)의 압입편부재(16), 나선면가이드부재(13) 및 위쪽회전원판(3)을 간단히 분해할 수 있으므로, 내부의 청소, 각 부품의 세정, 각 부품의 검사, 각부품의 교환 등을 간단히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생쓰레기처리장치에 의해서는, 실현불가능이였던 1㎜이하까지의 마쇄를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처리한 쓰레기는 그대로 하수도에 배출할 수 있다. 또, 정비가 간단하고,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기 때문에, 악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

Claims (3)

  1. (A) 상면이 개방된 수납용기, (B) 아래쪽 고정원판과 위쪽회전원판으로 이루어진 대향원판쌍 및 (C) 위쪽회전원판을 회전시키는 구동기구로 구성된 장치에 있어서, (B)의 대향원판쌍의 대향면 중앙부를 위쪽회전원판에 형성된 생쓰레기도입구에 통하는 원판쌍사이의 간격을 넓게한 조쇄부에, 또한 대향원판쌍의 대향면주변부를 원판쌍사이의 간격를 좁게한 마쇄부에 형성하는 것 및 (A)의 수납용기의 바닥부에 배출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쓰레기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B)의 위쪽회전원판의 생쓰레기도입구에 대응하는 공급구를 가진 압입스크루장치를 상기 위쪽회전원판의 상부에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쓰레기처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압입스크루장치의 상부에 회전커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쓰레기처리장치.
KR1019990006173A 1998-02-25 1999-02-24 생쓰레기처리장치 KR199900729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8-43779 1998-02-25
JP10043779A JP2933275B1 (ja) 1998-02-25 1998-02-25 生ごみ処理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2908A true KR19990072908A (ko) 1999-09-27

Family

ID=12673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6173A KR19990072908A (ko) 1998-02-25 1999-02-24 생쓰레기처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933275B1 (ko)
KR (1) KR19990072908A (ko)
TW (1) TW50194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65696B2 (ja) * 2015-03-02 2019-02-06 シャープ株式会社 粉砕装置および飲料製造装置
CN108262114A (zh) * 2018-01-22 2018-07-10 佛山拓达科技有限公司 一种药材研磨装置
CN108402510A (zh) * 2018-01-25 2018-08-17 佛山智敏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改进型烟草制备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933275B1 (ja) 1999-08-09
JPH11239735A (ja) 1999-09-07
TW501944B (en) 2002-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245855A (ja) 生ゴミ粉砕処理装置
KR101217227B1 (ko) 음식물 분쇄처리감량기
KR20040049360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110714511B (zh) 研磨机构和食物垃圾处理器
KR101667958B1 (ko) 분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KR100718588B1 (ko)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KR101410362B1 (ko)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
KR101967687B1 (ko) 내부원통부의 회전을 통한 분쇄 및 교반처리가 가능한 일체형 음식물 처리장치
KR19990072908A (ko) 생쓰레기처리장치
KR20070082135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2000197829A (ja) 生ゴミ処理装置
KR101847093B1 (ko) 싱크대용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
KR101705130B1 (ko) 수직형 디스포져
KR20220112919A (ko) 합체 구성하는 씽크대 분리형 음식물 자동분쇄처리장치
KR100278778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0650132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용 파쇄구
KR200157041Y1 (ko) 잔반 처리장치
KR100950698B1 (ko) 음식물 쓰레기의 미분말 분쇄 장치
KR10250732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388561B1 (ko) 회전수가 다른 이중 분쇄커터를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50104456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분쇄기 및 이를 구비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20230041419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분쇄수단
KR101473197B1 (ko) 음식물 처리장치
KR102254727B1 (ko) 음식물 처리 장치
KR960005745Y1 (ko) 착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