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2540A - 레피어직기의위사넣음장치및레피어밴드 - Google Patents

레피어직기의위사넣음장치및레피어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2540A
KR19990072540A KR1019990004579A KR19990004579A KR19990072540A KR 19990072540 A KR19990072540 A KR 19990072540A KR 1019990004579 A KR1019990004579 A KR 1019990004579A KR 19990004579 A KR19990004579 A KR 19990004579A KR 19990072540 A KR19990072540 A KR 199900725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band
weft
rapier
woven fabri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4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2674B1 (ko
Inventor
즈츠키마코토
야스에마사히코
긴바라마사히코
니이다에이키
Original Assignee
이소가이 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지도숏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소가이 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지도숏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이소가이 지세이
Publication of KR19990072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2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2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26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12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single picks of weft thread are inserted, i.e. with shedding between each pick
    • D03D47/24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single picks of weft thread are inserted, i.e. with shedding between each pick by gripper or dummy shuttle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7Drive or guide mechanisms for weft inserting
    • D03D47/271Rapiers
    • D03D47/272Rapier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마모성에 우수한 레피어 밴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그 수단으로서는 레피어 밴드(12)는 3차원 직물제의 심재(18)와, 한쌍의 직포(19, 20)로 이루어지는 적층 구조체이다. 직포(19, 20)는 경사(T)및 위사(Y)로 이루어지는 수자직(satinet)직포이다. 직포(19, 20)의 경사(T)는 레피어 밴드(1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모여져 있으며, 위사(Y)는 레피어 밴드(12)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모여져 있다. 경사(T)는 위사(Y)를 복수개 연속하여 뛰어넘어서 직포(19, 20)의 표면측에 노출하고 있다.

Description

레피어 직기의 위사 넣음장치 및 레피어 밴드{Rapier band and apparatus for supplying a weft in rapier loom}
본 발명은, 레피어 직기에 있어서의 위사 넣음장치 및 레피어 밴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레피어 직기에 있어서의 위사 넣음장치에는, 레피어 밴드를 고정장착한 레피어 밴드와, 레피어 밴드를 감아붙인 레피어 휠로 이루어지는 기구가 있다. 레피어 밴드와 같이 강성이 있어서 휨 변형가능한 밴드를 구동하는 경우에는, 이와같은 밴드를 감아 걸치는 휠이 사용되어 진다. 레피어 휠은 왕복 회전 운동되며, 레피어 밴드에 고정 장착된 레피어 밴드가 경사 개구내로 진입함과 동시에, 경사 개구내로부터 퇴치하여 위사의 위사넣음이 행해진다.
일본 특개평 8-29615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듯이, 레피어 밴드에 늘어서 설치된 동력받이 구멍에 레피어 휠의 둘레면에 늘어서 설치한 동력 전달기어를 기어 결합하는 위사 넣음장치에서는, 레피어 휠의 둘레면의 일부에 레피어 밴드를 감어 걸치면 좋다. 그러나, 동력받이 구멍이 없는 레피어 밴드를 레피어 휠에 감어 걸치는 경우에는 레피어 휠의 전체 둘레에 감아 걸칠 필요가 있으며, 이와같이 전체 둘레에 감아 걸쳐도 레피어 휠의 지름이 동력받이 구멍을 갖는 레피어 밴드를 감아 걸치는 레피어 휠의 지름보다도 매우 크게되어 버린다. 레피어 휠의 지름이 크면 레피어 휠의 관성모멘트가 크게되며, 직기의 고속화가 저해된다. 따라서, 동력받이 구멍을 갖는 레피어 밴드는 직기의 고속화로서 유리하다.
밴드를 만곡한 경우에는 밴드의 두께 방향의 중앙은 신축되지 않고, 밴드의 만곡면(즉, 표면 및 이면)측이 신축한다. 그때문에, 만곡한 레피어 밴드의 내측 만곡면측이 압축함과 동시에, 만곡한 레피어 밴드의 외측의 만곡면측이 신당한다. 동력받이 구멍을 갖는 레피어 밴드의 길이 방향에 관하여 구멍이 있는 범위에서는 레피어 밴드의 휨 강성이 다르다. 그때문에 레피어 밴드는 한결같이 구멍이 있는 범위에서 만곡한다. 이와같은 만곡 상태에서는 레피어 밴드의 표리(겉과 속)양면에서 구멍인 범위와 구멍이 아닌 범위와의 경계, 특히 구멍의 각(모서리)부에 응력이 집중되며, 레피어 밴드에 균열이 생기기 쉽다.
일본 특개평 8-296150호 공보의 레피어 밴드에서는, 전체가 직포를 적층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직포는 상기와 같은 균열의 진행의 방지에 효과가 있다.
레피어 밴드의 표리 양면은, 레피어 밴드의 주행경로를 규정하기 위한 밴드 가이드(예를들면, 일본 특개평9-324342호 공보의 고정 가이드나, 일본 특개평5-209341호 공보의 간격기어등)등이 미끄럼 접촉한다. 이 미끄럼 접촉에 의한 레피어 밴드의 마찰은 레피어 밴드의 수명을 단축한다. 일본 실개소62-114079호 공보에서는, 레피어 밴드의 표면에 폴리 테트라 훌루오로에틸렌(polytetra fluoroethyene)층을 설치한 레피어 밴드가 개시되어 있다. 폴리 테트라 훌루오로에틸렌층은 상기 밴드 가이드와의 미끄럼 접촉에 있어서의 마찰 저항을 저감하는 것이다. 그러나, 폴리 테트라 훌루오로에틸렌은 조기에 마멸된다고 하는 결점이 있으며, 폴리 테트라 훌루오로에틸렌은 레피어 밴드의 표면의 마모 방지재로서는 부적격하다.
본 발명은, 내마모성에 우수한 레피어 밴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를 위한 본 발명은, 레피어 밴드에 고정장착된 레피어 헤드를 경사 개구내로 삽입함과 동시에, 경사 개구내에서 퇴피시켜서 위사를 위사넣음 하는 위사 넣음장치를 대상으로 하며, 상기 레피어 밴드의 한쌍의 만곡면의 양쪽에 직포를 적층한 레피어 밴드를 구성하며, 상기 직포의 표면측의 경사와 위사중에서 어느 한쪽의 실 방향을 레피어 밴드의 길이방향으로 구비하며, 상기 직포의 전체 표면을 구획하는 복수의 소정면적 부분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상기 소정 면적부분에 노출하는 상기 길이방향의 실 노출길이의 총량이 상기 소정면적부분에 노출하는 레피어 밴드의 폭방향의 실 노출 길이의 총량보다도 크게되도록 하며, 또한, 상기 소정 면적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길이방향 실의 적어도 하나가 상기 표면측에서 상기 폭 방향의 실을 적어도 2개 튀어넘도록 하고 있다.
실을 그 실 방향으로 미끄럼 접촉시킨 경우의 마모량은, 실을 그 실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미끄럼 접촉시킨 경우의 마모량보다도 적다. 직포의 표면측의 어느 소정 면적부분에 노출하는 상기 길이방향의 실의 노출길이의 총량이 상기 소정 면적부분에 노출하는 레피어 밴드의 폭방향의 실의 노출 길이의 총량 보다도 크게한 직포에서는, 레피어 밴드의 길이방향으로의 미끄럼 접촉에 의한 마모가 평직 직포에 비하여 적게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직포를 수자직으로 하였으며, 수자직은 마모 방지용의 직포로서 최적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경사의 실 피치와 상기 위사의 실 피치를 거의 동일하게 하였으며, 이와같은 실 피치의 구성은 직포의 조직의 흐트러짐을 방지하는데 유효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경사의 실 방향을 레피어 밴드의 길이방향으로 따르게 하였으며, 경사의 실 방향을 레피어 밴드의 길이방향으로 따르게한 구성은, 레피어 밴드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휨 강성을 높이는데 유효하다.
또한, 본 발명은, 심재의 표리 양면에 상기 직포를 적층하였으며, 레피어 밴드의 방향에 있어서의 휨 강성을 상기 심재로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심재를 3차원 직물로 하였으며, 3차원 직물은 심재로서 바람직 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직포를 탄소 섬유제로 하였으며, 탄소 섬유는 내마모성으로서 바람직 하다.
도 1은 제 1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주요부 확대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
도 5a는 직포의 표면측의 확대 평면도.
도 5b는 직포의 이면측의 확대 평면도.
도 6a는 제 2실시예 직포의 표면측 확대 평면도.
도 6b는 제 2실시예 직포의 이면측 확대 평면도.
도 7a는 제 3실시예 직포의 표면측 확대 평면도.
도 7b는 제 3실시예 직포의 이면측 확대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14 : 레피어 밴드 121, 122 : 만곡부
18 : 심재 19, 20, 23, 24 : 직포
T :경사 Y : 위사
W, H : 소정면적 부분으로서의 장방형
P : 실 피치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제 1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5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부호 11은 위사넣음 시작단측에서 경사(도시생략)의 개구내에 삽입되는 전달용 레피어 밴드이다. 전달용 레피어 밴드(11)는 레피어 밴드(12)의 선단에 고정 장착되어 있으며, 레피어 밴드(12)는 지축(131)을 중심으로 왕복 회전운동하는 레피어 휠(13)에 감겨져 걸쳐져 있다. 위사넣음 말단측에도 레피어 밴드(14)가 왕복 회전운동 하는 레피어 휠(도시생략)에 감겨 걸쳐져 있다. 레피어 밴드(14)의 선단에는 수취용 레피어 밴드(15)가 고정 장착되어 있다. 양 레피어 휠의 왕복 회전운동에 의해 전달용 레피어 밴드(11)및 수취용 레피어 밴드(15)가 경사 개구내로 삽입되며, 전달용 레피어 밴드(11)및 수취용 레피어 밴드(15)가 직기 폭의 중압부에서 만난다. 전달용 레피어 밴드(11)에 의해 경사 개구내로 삽입된 위사는 수취용 레피어 밴드(15)에 전달된다. 양 레피어 휠의 왕복 회전운동에 의해 전달용 레피어 밴드(11)및 수취용 레피어 밴드(15)가 경사 개구내로부터 퇴피되며, 위사가 경사 개구내를 통한다.
레피어 밴드(12)를 감아 걸치는 레피어 휠(13)의 둘레면에는 대형 형상의 동력 전달기어(16)가 늘어서 설치되어 있으며, 레피어 밴드(12)에는 4각형상의 동력 받이 구멍(17)이 늘어서 설치되어 있다. 레피어 밴드(12)를 감아 걸치는 레피어 휠(13)의 감아 걸치는 범위에서는 동력 전달기어(16)는 동력 받이 구멍(17)과 기어가 맞으며, 레피어 휠(13)의 왕복 회전이 동력 전달기어(16)및 동력 받이 구멍(17)을 통해 레피어 밴드(12)에 전달된다. 레피어 밴드(12)의 주행경로는, 도시생략된 밴드 가이드에 의해 규정된다.
도 2및 도 3에 나타내듯이, 레피어 밴드(12)는, 예를들면 일본 특개평 2-259248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3차원 브레이더(braider)에 의해 제직되는 3차원 직물로 이루어지는 심재(18)와, 한쌍의 직포(19, 20)로 이루어지는 적층 구조체이다. 심재(18)는 직포(19, 20)의 사이에 있으며, 직포(19, 20)의 표면은 레피어 밴드(12)의 만곡면(121, 122)으로 이루어져 있다. 심재(18)의 섬유의 방향성분에 관해서는, 레피어 밴드(12)의 길이방향의 방향성분이 레피어 밴드(12)의 폭방향의 방향성분 혹은 두께방향의 방향성분 보다도 크다.
도 4 및 도 5a, 도 5b에 나타내듯이, 직포(19, 20)는 경사(T)및 위사(Y)로 이루어지는 수자직(satinet) 직포이다. 도 5a, 도 5b에서는 위사(Y)에 해칭이 들어가 있다. 수자직이란, 경사(T) 및 위사(Y)가 4개이상 뜨고, 또한, 경사(T)와 위사(Y)와의 교차점이 규칙적으로 넘어서 위치를 이동하고 있는 조직의 것을 말한다. 직포(19, 20)의 경사(T)는 레피어 밴드(1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모여져 있으며, 위사(Y)는 레피어 밴드(12)의 폭 방향에 연장되어 모여져 있다. 도 5a는 직포(19, 20)의 표면측을 나타내며, 도 5b는 직포(19, 20)의 이면을 나타낸다. 직포(19, 20)의 이면은 심재(18)에 접합되는 측의 면이며, 직포(19, 20)의 표면은 상기 밴드 가이드에 미끄럼 접촉하는 측의 면이다. 도 5a에 나타내듯이, 경사(T)는 위사(Y)를 7개 연속하여 뛰어 넘어 직포(19, 20)의 표면측에 노출되어 있다. 도 5b에 나타내듯이, 위사(Y)는 경사(T)를 7개 연속으로 하여 뛰어넘어 직포(19, 20)의 이면측에 노출되어 있다. 경사(T)와 위사(Y)와는 동일 실 종류이며, 경사(T)의 실 지름과 경사(T)의 실 지름은 동일하다. 또한, 도 5a, 도 5b에 나타내듯이, 경사(T)의 실 피치(P)와 위사(Y)의 실 피치(P)는 동일하다.
심재(18)의 섬유, 경사(T)및 위사(Y)는 어느것도 탄소 섬유로 이루어진다. 심재(18)및 직포(19, 20)에는 에폭시수지, 비스마레이비드 수지라는 열 경화성 수지가 포함되어 있다. 레피어 밴드(14)도 레피어 밴드(12)와 동일한 적층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제 1실시예에서는 이하의 효과가 얻어진다.
(1-1) 직포(19, 20)에 있어서의 경사(T)의 실 지름과 위사(Y)의 실 지름과는 동일하며, 또한, 경사(T)의 실 피치와 위사(Y)의 실 피치도 동일하다. 그 때문에, 직포(19, 20)에 있어서의 경사(T)의 길이의 총량과, 직포(19, 20)에 있어서의 위사(Y)의 길이의 총량과는 거의 동일하다. 또한, 경사(T)와 위사(Y)가 동일 실 종류이기 대문에 직포(19, 20)에 있어서의 경사(T)의 중량의 총량과, 직포(19, 20)에 있어서의 위사(Y)의 중량의 총량과는 거의 동일하다. 그러나, 직포(19, 20)의 표면측에 노출하는 경사(T)의 노출길이의 총량은, 직포(19, 20)의 표면측에 노출하는 위사(Y)의 노출길이의 총량보다도 크게된다.
도 5a에 쇄선으로 나타내는 장방향(W)내에는 7개의 경사(T)와 1개의 위사(Y)가 노출되어 있다. 장방형(W)와 동일 면적의 장방형(H)내에는 1개의 경사(T)와 7개의 위사(Y)가 노출되어 있다. 직포(19, 20)의 표면측에 있어서 장방형(W)내에서 노출하는 경사(T)의 노출길이의 총량은, 장방형(W)내에서 노출하는 위사(Y)의 노출길이의 총량의 거의 7배이다. 동일하게 직포(19, 20)의 표면측에 있어서의 장방형(H)내에서 노출하는 경사(T)의 노출길이의 총량은, 장방형(W)내에서 노출하는 위사(Y)의 노출길이의 총량의 약 7배이다. 즉, 직포의 전표면을 장방형(W)혹은 장방형(H)로 구획한 복수의 소정 면적부분중 어느것에 있어서도, 경사(T)의 노출길이의 총량은 위사(Y)의 노출길이의 총량의 약 7배이다. 따라서, 장방형(W, H)의 면적의 정수배의 장방형에서 나타내는 임의의 면적부분에 노출되는 경사(T)의 노출길이의 총량은, 상기 임의의 면적부분에 노출하는 위사(Y)의 노출길이의 총량의 거의 7배로 된다.
실을 그 실 방향으로 미끄럼 접촉시킨 경우의 마모량은, 실을 그 실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미끄럼 접촉시킨 경우의 마모량보다도 적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수자직(satinet)의 직포(19, 20)에서는, 레피어 밴드(12)의 길이방향으로의 미끄럼 접촉에 의한 마모가 평직 직포에 비하여 적게된다. 본원 발명자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직포(19, 20)의 표면의 마모량이 평직 직포에 비하여 반 정도라는 시험결과를 얻고있다.
(1-2) 레피어 밴드(12)의 폭 방향에 연장되어 모여진 위사(Y)는, 레피어 밴드(12)의 폭 방향의 휨 강성의 향상에 기여한다. 본 실시예의 수자직의 직포(19, 20)에서는, 위사(Y)의 실 피치가 경사(T)의 실 피치와 동일하며, 경사(T)의 실 밀도와 위사(Y)의 실 밀도와는 동일하다. 이와같은 위사(Y)의 실 밀도 구성은 레피어 밴드(12)의 폭 방향의 휨 강성을 향상하는데 유효하다. 게다가, 평직 직포에 비하여 위사(Y)의 교락도 맞음이 적은 수자직 직포(19, 20)는, 레피어 밴드(12)의 폭 방향에 대한 휨 강성을 증가한다. 따라서, 레피어 밴드(12)의 폭 방향의 휨 강성을 향상하기 위한 별도의 직포를 겹쳐 사용하는 일 없이 직포(19, 20)만으로서 레피어 밴드(12)의 폭 방향의 휨 강성이 동일 실 밀도의 평직 조직의 직포 이상으로 확보된다. 또한, 평직 직포에 비하여 경사(T)의 교락도 맞음이 적은 수자직 직포(19, 20)는, 레피어 밴드(12)의 길이방향에 대한 직선도를 증가하며, 레피어 밴드(12, 14)전체의 직선도가 향상한다. 따라서, 수자직의 직포(19, 20)는, 마모방지용의 직포로서 최적이다.
(1-3) 경사(T)의 실 피치와 위사(Y)의 실 피치를 거의 동일하게 한 구성은, 직포(19, 20)의 조직의 흐트러짐을 방지하는데 유효하다.
(1-4) 동력 받이 구멍(17)은, 그 길이범위(h)내의 레피어 밴드(12)의 부위의 휨강성을 길이 범위(h)이외의 레피어 밴드(12)의 부위의 휨 강성보다도 저감한다. 길이 범위(h)내의 휨 강성과 길이 범위(h)이외의 휨 강성과의 차는, 특히 레피어 밴드(12)의 만곡면(121, 122)에 있어서의 동력 받이 구멍(17)의 각(모서리)부(171)로의 응력 집중을 갖고 온다. 이 응력 집중은, 각부(171)에 있어서 미시적으로 보면 직포(19, 20)의 직포(19, 20)에 들어간 열경화성 수지에 가늘은 균열을 방생시킨다. 그러나, 동력 받이 구멍(17)의 둘레 테두리부(172, 173)을 포함하는 직포(19, 20)의 경사(T)와 위사(Y)에 의한 조직구조는 각부(171)로의 응력집중에 의해서도 파단되기 어려우며, 직포(19, 20)는 열경화성 수지에 있어서 가늘은 균열의 확대를 저지한다. 따라서, 만곡면(121, 122)을 형성하는 직포(19, 20)는, 각부(171)에 있어서의 균열의 발생을 실질적으로 저지한다.
(1-5) 레피어 밴드(12)의 만곡면(121, 122)의 전체에 설치된 직포(19, 20)는, 각부(171)이외의 만곡면(121, 122)에 있어서의 균열의 발생도 저지한다.
(1-6) 수자직 직포(19, 20)의 경사(T)는, 직포(19, 20)의 제직시에 위사(Y)보다도 높은 장력을 부여한 상태로 있다. 따라서, 직포(19, 20)는, 위사(Y)의 실 방향으로의 인장력에 대하여 보다도 경사(T)의 실 방향으로의 인장력에 대하여 강하다. 레피어 밴드(12)를 레피어 휠(13)에 감아 걸치는 상태에서는 직포(19)가 레피어 밴드(12)의 길이방향으로 인장된다. 직포(19)의 경사(T)의 실 방향을 레피어 밴드(12)의 길이 방향에 맞춘 구성은, 직포(19)의 균열 방지작용을 높이는데 유효하다.
(1-7) 레피어 밴드(12)의 길이방향의 방향성분을 압도적으로 갖는 섬유를 구비한 심재(18)는, 그것만 동력 받이 구멍(17)의 열의 좌우에서 레피어 밴드(12)에 휨 강성을 부여한다. 심재(18)의 섬유의 방향은 레피어 밴드(12)를 만곡상태로부터 직선상태로 신속하게 이행하기 위해 필요한 휨 강성을 높이는데 바람직하다. 이와같은 심재(18)의 존재는, 레피어 밴드(19)를 만곡상태에서 직선상태로 신속하게 이행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레피어 밴드(12)는 직기의 고속화에 유리하다.
(1-8) 레피어 밴드(12)의 만곡면(121, 122)은 레피어 밴드(12)를 안내하는 상기 밴드 가이드와 미끄럼 접촉한다. 또한, 레피어 밴드(12)가 레피어 휠(13)에 감겨 걸쳐진 상태에서는 직포(19)는 레피어 밴드(12)의 길이방향에 인장력을 받아 직포(20)는 압축력을 받는다. 인장 강도가 높은 탄소섬유는, 마모에 강하며, 게다가 압축에 대하여서도 강하다. 따라서, 탄소섬유는 마모방지의 직포의 소재로서 바람직하다.
(1-9) 반복하여 휘는 것에 의해 피스톤 밴드(12, 14)에 발생하는 내부 선단력은 단면 중앙부근이 최대로 된다 그러나, 3차원 직물제의 심재(18)는, 반복하여 휨이 작용하여도 종래의 적층구조인 레피어 밴드와같이 층간 박리가 발생되지 않고, 레피어 밴드이 심재로서 최적인다.
본 발명에서는, 도 6a, 도 6b의 직포(23)를 심재(18)의 양곡으로 접합한 제 2실시예, 도 7a, 도 7b의 직포(24)를 심재(18)의 양곡에 접합한 제 3실시예도 가능하다.
도 6a, 도 6b의 직포(23)는 겹쳐지는 수자직이며, 도 6a는 직포(23)의 표면측을 나타내며, 도 6b는 직포(23)의 이면측을 나타낸다. 경사(T)는, 직포(23)의 표면측에서 위사(Y)를 6개 뛰어 넘고 있으며, 직포(23)의 이면측에서 위사(Y)를 2개 뛰어 넘고 있다. 위사(Y)는 직포(23)의 이면측에서 경사(T)를 4개 뛰어넘은 후에 2개 뛰어넘고 있다.
도 6a에 쇄선으로 나타낸 장방형(W)내에는 6개의 경사(T)와 2개의 위사(Y)가 노출되어 있다. 장방형(W)과 동일 면적의 장방형(H)내에서는 1개의 경사(T)와 2개의 위사(Y)등이 노출되어 있다. 직포(23)의 표면측에 있어서 장방형(W)내에서 노출하는 경사(T)의 노출길이의 총량은, 장방형(W)내에서 노출하는 위사(Y)의 노출길이의 총량의 약 3배이다. 동일하게 직포(23)의 표면측에 있어서 장방형(H)내에서 노출하는 경사(T)의 노출길이의 총량은, 장방형(W)내에서 노출하는 위사(Y)의 노출길이의 총량의 약 3배이다. 즉, 직포(23)의 표면측중 어느 부분에 있어서도, 장방형(W, H)의 면적의 정수배의 장방형에서 나타나는 소정면적 부분에 노출하는 경사(T)의 노출길이의 총량은, 상기 소정면적 부분에 노출하는 위사(Y)의 노출길이의 총량의 약 3배로 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 1실시예에 비교하여 내마모성은 저하하는 것으로서, 경사와 위사와의 교락도가 더욱 증가하는 것에의해 직포 조직이 안정되며, 수지함침 공정에서의 조직 붕괴(흐트러짐)가 방지된다.
도 7a, 도 7b의 직포(24)는 능직(twill)이며, 도 7a는 직포(24)의 표면측을 나타내며, 도 7b는 직포(24)의 이면측을 나타낸다. 경사(T)는, 직포(24)의 표면측에서 위사(Y)를 2개 뛰어넘고 있다.
도 7a에 쇄선으로 나타내는 장방형(W)내에는 2개의 경사(T)와 1개의 위사(Y)가 노출되어 있다. 장방형(W)과 동일 면적의 장방형(H)내에는 1개의 경사(T)와 1개의 위사(Y)가 노출되어 있다. 직포(24)의 표면측에 있어서 장방형(W)내에서 노출되는 경사(T)의 노출길이의 총량은, 장방형(W)내에서 노출하는 위사(Y)의 노출길이의 총량의 거의 2배이다. 동일하게 직포(24)의 표면측에 있어서 장방형(H)내에서 노출하는 경사(T)의 노출길이의 총량은, 장방형(W)내에서 노출하는 위사(Y)의 노출길이의 총량의 약 2배이다. 즉, 직포(24)의 표면측 어느부분에 있어서도, 장방형(W, H)의 면적의 정수배의 장방형에서 나타나는 소정 면적부분에 노출하는 경사(T)의 노출길이의 총량은, 상기 소정 면적부분에 노출하는 위사(Y)의 노출길이의 총량의 약 2배로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 1실시예 및 도 6에 기재된 다른 실시예에 비교하여 내마모성은 저하하는 것으로서, 경사와 위사와의 교락도가 더욱 증가하는 것에의해 직포 조직이 안정되며, 수지 함침공정에서의 조직 붕괴가 방지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하의 실시예도 가능하다.
(1) 수자직 직포에 있어서 위사를 레피어 밴드의 길이방향에 따르게 하는 것.
(2) 수자직이나 능직이외에 직포의 표면측에서 소정 면적부분에 노출하는 레피어 밴드의 길이방향의 실의 노출길이의 총량이 레피어 밴드의 폭 방향의 실의 노출길이의 총량보다도 크며, 또한, 상기 소정 면적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길이방향의 실의 적어도 1개가 상기 표면측에서 상기 폭 방향의 실을 적어도 2개 뛰어넘고 있는 직포를 사용하는 것.
(3) 경사의 실 피치를 위사의 실 피치보다도 작게하는 것.
(4) 경사의 실 지름을 위사의 실 지름보다도 크게 하는 것.
(5) 레피어 밴드의 각 만곡면측에서 복수매의 직포를 적층하는 것.
(6) 직포의 소재로서 알라미드 섬유 혹은 유리섬유를 사용하는 것.
(7) 경사의 소재와 위사의 소재를 다르게 하는 것.
(8) 1장의 직포를 절곡하여 심재를 끼워 넣도록 레피어 밴드를 적층 구성하는 것.
(9) 동력 받이 구멍이 없는 레피어 밴드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
이상 상술하였듯이 본 발명에서는, 레피어 밴드의 한쌍의 만곡면의 양쪽에 적층시키는 직포의 경사와 위사와의 어느 한쪽의 실 방향을 레피어 밴드의 길이방향으로 모으며, 상기 직포의 표면측의 어느 한쪽의 소정 면적부분에 노출하는 상기 길이방향의 실의 노출 길이의 총량이 상기 소정 면적 부분에 노출하는 레피어 밴드의 폭 방향의 실의 노출 길이의 총량보다도 크게되도록 하며, 또한, 상기 소정면 적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길이방향의 실의 적어도 1개가 상기 표면측에서 상기 폭 방향의 실을 적어도 2개 뛰어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레피어 밴드는 내마모성에 우수하여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이룬다.

Claims (7)

  1. 레피어 밴드(12)에 고정장착된 레피어 헤드(11)를 경사 개구내로 삽입함과 동시에, 경사 개구내에서 퇴피시켜서 위사를 위사넣음 하는 위사 넣음장치를 구비한 레피어 직기의 위사 넣음장치에 있어서,
    심재의 겉과 속 양면에 직포(19, 20)를 적층하여 레피어 밴드를 구성하며,
    상기 직포(19, 20)의 경사(T)와 위사(Y)중에서 어느 한쪽의 실 방향을 레피어 밴드(12)의 길이방향으로 구비하며, 상기 직포(19, 20)의 표면에서 길이방향의 실(T)의 노출길이의 총량이 레피어 밴드의 폭 방향의 실(Y)의 노출 길이의 총량 보다도 크게 되도록 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길이방향의 실(T)이 표면측에서 폭 방향의 실(Y)을 적어도 2개 뛰어넘고 있도록 한 레피어 직기의 위사 넣음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직포(19, 20)는 수자직(satine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피어 직기의 위사 넣음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T)의 실 피치와 상기 위사(Y)의 실 피치는 동일에 가까운 레피어 직기의 위사 넣음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T)의 실 방향을 레피어 밴드의 길이방향에 따른 레피어 직기의 위사 넣음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18)는 3차원 직물인 레피어 직기의 위사 넣음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직포(19, 20)는 탄소섬유로 이루어지는 레피어 직기의 위사 넣음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피어 밴드.
KR1019990004579A 1998-02-18 1999-02-10 레피어 직기의 위사 넣음장치 및 레피어 밴드 KR1003126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607498 1998-02-18
JP98-36074 1998-02-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2540A true KR19990072540A (ko) 1999-09-27
KR100312674B1 KR100312674B1 (ko) 2001-11-03

Family

ID=12459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4579A KR100312674B1 (ko) 1998-02-18 1999-02-10 레피어 직기의 위사 넣음장치 및 레피어 밴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0939155A3 (ko)
KR (1) KR100312674B1 (ko)
TW (1) TW42289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544B1 (ko) * 2002-09-10 2009-05-14 파인텍스 주식회사 중조직의 레피어 밴드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28184B1 (en) * 1999-02-09 2004-06-23 Kabushiki Kaisha Toyota Jidoshokki Weft insertion apparatus and rapier band for rapier loo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10932B (it) * 1982-09-03 1989-09-29 Omv Off Mecc Vilminore Nastro di comando di pinze portatrama in telai di tessitura avente rigidita' variabile.
IT8521893V0 (it) * 1985-05-22 1985-05-22 Lamiflex Srl Struttura di nastro per telai senza navetta.
DE58903434D1 (de) * 1988-07-22 1993-03-18 Sulzer Ag Schusseintragsvorrichtung einer greiferwebmaschine.
FI83791C (fi) * 1989-08-24 1991-08-26 Neste Oy Slitstarkt band och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detta.
IT1236649B (it) * 1989-11-03 1993-03-25 Nuovo Pignone Spa Sistema perfezionato di azionamento a nastro della pinza portatrama per un telaio tessile senza navett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544B1 (ko) * 2002-09-10 2009-05-14 파인텍스 주식회사 중조직의 레피어 밴드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22899B (en) 2001-02-21
EP0939155A2 (en) 1999-09-01
EP0939155A3 (en) 1999-09-08
KR100312674B1 (ko) 2001-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80005B2 (ja) テープ状のたて糸とよこ糸を含む織物およびこの織物を製造する装置
EP3252194A1 (en) Protective woven fabric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KR950700442A (ko) 두꺼운 벨트 및 그것을 생산하기 위한 장치(thick belt and device for producing the same)
JPH0791725B2 (ja) 異形断面の三次元織物
EP0302012B1 (en) Apparatus for weaving spheroidally contoured fabric
KR19990072540A (ko) 레피어직기의위사넣음장치및레피어밴드
KR20160029828A (ko) 레노 셀비지 형성 장치를 구비한 직조기
JP2012251288A (ja) リンク機構およびカバー部を備えるからみ織り装置
JPH03180542A (ja) よこ糸グリッパのテープ駆動機構
JP2001164441A (ja) 開繊糸織物
JP3518388B2 (ja) レピア織機における緯入れ装置及びレピアバンド
GB2147322A (en) Rapier looms
US4671327A (en) Weaving machine including a device for forming a leno edge
JP2007023449A (ja) 多層織物及び摩擦材並びにフィルター
JPH10130994A (ja) レピア織機用キャリアテープ及び繊維構造体
EP0845552A2 (en) Carrier tape and fabric for rapier loom
KR101988892B1 (ko) 부분적으로 다수의 포일층으로 구성되는 헤들 본체를 갖는 헤들
EP1028184B1 (en) Weft insertion apparatus and rapier band for rapier loom
JPH1181085A (ja) レピア織機における緯入れ装置及びレピアバンド
JPH0912256A (ja) 移動通路用手すり
JP2008121155A (ja) 三次元中空構造布帛および三次元中空構造材
CN205856749U (zh) 单侧驱动钢筘横动机构
JPH05140840A (ja) 直列型開口式織機
US4487234A (en) Reinforced loom shuttle and method
JP2000110048A (ja) 開繊糸織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