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2213A - 무선통신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2213A
KR19990072213A KR1019980704604A KR19980704604A KR19990072213A KR 19990072213 A KR19990072213 A KR 19990072213A KR 1019980704604 A KR1019980704604 A KR 1019980704604A KR 19980704604 A KR19980704604 A KR 19980704604A KR 19990072213 A KR19990072213 A KR 19990072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base station
transmission power
base stations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4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5535B1 (ko
Inventor
다이스케 야마다
오사무 가토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찌
마츠시타 덴키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찌, 마츠시타 덴키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찌
Publication of KR19990072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2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5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55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18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allowing seamless reselection, e.g. soft re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CRC 신호 비교 회로(21)에 있어서, 기지국 BS#1 및 기지국 BS#2로부터 전송되어 온 CRC 신호의 평가 결과를 비교한다. CRC 신호가 모두 OK 신호 또는 모두 NG 신호인 경우에는 TPC 비교 회로(22)에 있어서, 기지국 BS#1 및 기지국 BS#2로부터 전송되어 온 TPC의 평가 결과, 즉 TPC 비트가 "0" 심볼인 회수를 비교한다. 또한, 만일 TPC 신호에서 차(差)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그 이전의 수프레임에 있어서의 TPC 비트가 "0" 심볼인 회수를 평가한다. 상술한 방법에 따라, 제어국 MCC는 기지국을 선정하여 거기로부터 정보 신호를 얻도록 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
서비스 에리어(service area)를 복수의 셀로 분할하여 구성되는 CDMA 이동 통신 방식에 있어서, 현재 접속 중인 기지국 또는 이동국의 수신 품질이 열화한 경우에, 주변 셀의 기지국과 셀간 DH0를 행하여 수신 품질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종래부터 채용되고 있다.
여기서, 종래의 셀간 DHO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CDMA 이동 통신 방식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동국 MS가 제 1 셀 #1과 제 2 셀 #2의 거의 중간을 따라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 때, 각각의 셀을 관리하는 기지국 BS#1 및 기지국 BS#2는 각각 셀간 핸드오버(hand over) 상태로 되어 이동국 MS와 접속이 행해지고, 이동국 MS와 각각의 기지국 BS#1 및 BS#2의 접속에 의해 얻어진 정보 신호 및 제어 신호를 제어국 MCC에 송신한다.
제어국 MCC는 기지국 BS#1 및 기지국 B2#2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핸드오버후의 기지국을 결정하여 소정의 정보 신호를 얻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서는 제어국이 제어 신호 중의 데이터 오류를 체크하는 CRC(Cyclic Redundancy Check) 신호에 근거하여 셀간 DHO를 실행하였다고 해도 DHO후의 기지국을 정확하게 결정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도 2는 제어국 MCC에 있어서 각각의 기지국 BS#1 및 BS#2가 제어국 MCC에 송신한 제어 신호 중의 데이터 오류를 체크하는 CRC 신호에 근거하여 셀간 DHO를 행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프레임도이다. 도 2에 있어서, 예를 들면 프레임 번호 1(FRN #1)이나 프레임 번호 2(FRN #2)와 같이 어느쪽 인가의 기지국의 CRC 신호가 OK이고, 또 한쪽 기지국의 CRC 신호가 NG인 경우에는, 제어국 MCC는 셀간 DHO후의 기지국을 간단하게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프레임 번호 3, 9(FRN #3, #9)와 같이, 양쪽 기지국의 CRC 신호가 모두 NG 신호인 경우에는, 제어국 MCC는 DHO후의 제어국 MCC를 정확하게 결정할 수 없다.
제어국 MCC가 DHO후의 기지국을 정확하게 결정하기 위해, 종래부터 예를 들어 수신 레벨, 프레임 에러율, 비트 에러율 등의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신 레벨을 이용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수신 레벨이 높은 기지국을 DHO후의 기지국으로서 선택한다. 그러나, 수신 레벨이 낮은 경우에서도 정확히 정보 신호를 얻을 수 있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반드시 상기 정보에 근거하여 DHO후의 기지국을 정확하게 선택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본 발명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동 통신 방식에 있어서의 셀간 DHO(Diversity Hand-Over)를 행할 때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어국(control station)이 셀간 DH0후의 기지국을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CDMA 이동 통신 방식에 있어서 셀간 DHO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셀간 DHO에 있어서 CRC 신호에 근거하여 기지국을 선택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프레임도,
도 3은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기지국 BS측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국 MCC측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신뢰도 검출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6은 TPC 신호의 평가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어국이 셀간 DHO후의 기지국을 정확하게 결정하는 것이 가능한 무선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목적은 복수의 기지국의 각각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있어서의 데이터 오류의 유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데이터 오류가 없는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한 기지국을 선택하는 기지국 선택부를 구비하는 제어국을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목적은 복수의 기지국 각각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있어서의 데이터 오류의 유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과, 데이터 오류가 없는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한 기지국을 선택하여 교신을 행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서비스 에리어를 복수의 셀로 각각 분할하고, 1개의 셀은 복수의 섹터로 분할되며, 또한 1개의 섹터에 1개의 기지국을 배치하여 복수의 기지국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국을 갖는 CDMA 이동 통신 방식의 셀간 DHO에 따른 기지국 선택 시스템에 있어서, 한쪽의 기지국으로부터 얻어지는 CRC 신호가 OK 신호이고 다른쪽의 기지국으로부터 얻어지는 CRC 신호가 NG 신호인 경우에는, CRC 신호가 OK 신호인 기지국을 선택한다.
양쪽의 기지국으로부터 얻어지는 CRC 신호가 모두 OK 신호이거나 모두 NG 신호인 경우에는, CRC 신호 이외의 신뢰도 정보인 TPC(Transmission Power Control) 비트에 있어서의 "0" 심볼인 회수가 많은 쪽의 기지국을 선택한다.
이에 따라, 셀간 DHO후의 기지국을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어, 제어국은 셀간 DHO후의 정보 신호의 취득을 종래 방식보다도 정확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양쪽의 기지국으로부터 얻어지는 CRC 신호가 모두 OK 신호이거나 모두 NG 신호인 경우에 있어서, CRC 신호 이외의 신뢰도 정보인 TPC 비트에 있어서의 "0" 심볼인 회수가 동일한 경우에는 과거의 신뢰도 정보에 근거하여 기지국을 선택한다.
이에 따라, 셀간 DHO후의 기지국을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어, 제어국은 셀간 DHO후의 정보 신호의 취득을 종래 방식보다도 정확하게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셀간 DHO가 수행되는 기지국 BS측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또한, 도 4는 셀간 DHO가 수행되는 제어국 MCC측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셀간 DHO에 관한 기지국 BS는 주로 제어국 MCC와의 사이에서 음성이나 데이터를 수수하는 인터페이스 회로(1)와, 입력된 신호를 프레임 구성하고, 그 프레임에 대하여 CRC 신호(Cyclic Redundancy Check) 부호화, 오류 정정 부호화를 행하는 송신 데이터 변환 회로(2)와, 송신 데이터를 변조하는 변조 회로(3)와, 변조된 신호에 대하여 부호 확산을 행하는 확산 회로(4)와, 부호 확산된 송신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회로(5)와, 송신 부재인 송신 안테나(6)와, 수신 부재인 수신 안테나(7)와, 수신 신호를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하는 수신 회로(8)와, 베이스밴드 신호값에 대하여 상관 검출을 행하는 역확산 회로(9)와, 역확산된 수신 데이터를 복조하는 복조 회로(10)와, 수신 데이터에 대하여 CRC 신호 검출을 행하여 오류 정정 복호를 행하는 수신 데이터 변환 회로(11)와, TPC(Transmit Power Control) 신호에 있어서의 비트 내용을 검출하는 신뢰도 검출 회로(12)와,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송신 전력 제어 회로(13)와, 장치의 전(全)타이밍 및 시퀀스의 제어를 행하는 타이밍 제어 회로(1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기지국 BS에 있어서, 송신측에서는 우선 인터페이스 회로(1)에서 제어국 MCC로부터의 음성 또는 데이터가 추출되고, 이 데이터가 송신 데이터 변환 회로(2)에 출력된다. 송신 데이터 변환 회로(2)에서는 입력된 신호에 파이롯트 신호(PL), TPC 신호 및 제어 신호 등이 부가되어 프레임이 구성되고, 이 프레임에 대하여 CRC 신호의 부호화와 에러 정정 부호화가 행해진다.
이어서, 변조 회로(3)에 있어서, CRC 신호 부호화가 행해진 데이터가 각종 변조 방식에 의해 변조된다. 이어서, 확산 회로(4)에서 변조된 신호에 대하여 부호 확산이 행해지고, 송신 신호로서의 이 결과적인 신호가 소망하는 캐리어 주파수의 신호로 변환되어 이것이 송신 안테나(6)로부터 송신된다.
또한, 수신측에서는, 수신 안테나(7)에서 수신된 신호는 수신 회로(8)에서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된다. 이 베이스밴드 신호는 역확산 회로(9)에서 상관 검출이 행해진다. 또한, 복조 회로(10)에서 각종 검파 방식에 따라 수신 데이터가 복조된다. 이어서, 수신 데이터는 수신 데이터 변환 회로(11)에서 음성 또는 데이터로 분리되어 CRC 신호의 검출이 행해진다. 분리된 음성 또는 데이터는 인터페이스 회로(1)에 송신되고, 신뢰도 검출 회로(12)로부터의 신뢰도 정보와 함께 제어국 MCC에 전송된다.
송신 전력 제어 회로(13)에서는 복조 회로(10)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수신 레벨 등에 따라 송신 전력 및 TPC 신호를 결정한다. 이 TPC 신호는, 송신 데이터 변환 회로(2) 및 신뢰도 검출 회로(12)에 송신된다.
또한, TPC 신호는 통상 1 비트로 나타낸다. TPC 신호가 "0" 심볼이면 폐루프(closed loop)의 송신 전력 제어에 있어서의 송신 전력의 인하를 지시하며, TPC 신호가 "1" 심볼이면 폐루프의 송신 전력 제어에 있어서의 송신 전력의 인상을 지시한다. 따라서, 폐루프의 송신 전력 제어에 있어서 TPC 신호가 "0" 심볼을 연속하고 있는 것은 충분한 수신 레벨이 유지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신뢰도 검출 회로(12)에서는 송신 전력 제어 회로(13)로부터의 TPC 신호가 “0"인 경우를, 예를 들어 1 프레임에 걸쳐 카운트하여 그 회수를 인터페이스 회로(1)에 출력한다. 이 TPC신호는 기지국 BS와 이동국 MS 사이의 데이터 수수의 신뢰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용된다.
타이밍 제어 회로(14)는 장치의 전(全)타이밍 및 시퀀스의 제어를 행한다.
다음에, 도 4를 이용하여 셀간 DHO에 관한 제어국 MCC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4에 있어서, 셀간 DHO에 관한 제어국 MCC는 주로 CRC 신호 비교 회로(21)와 TPC 비교 회로(22)와 TPC 이력 보존 회로(23)와 정보 선택 회로(24)로 구성되어 있다.
인터페이스 회로(1)로부터 송신되어 온 기지국 BS#1 및 기지국 BS#2로부터의 신호는 제어국 MCC에서 정보 신호 및 제어 신호로 각각 나눠진다. 이들 각각은 CRC 신호 비교 회로(21), TPC 비교 회로(22) 및 정보 선택 회로(24)에 입력된다.
CRC 신호 비교 회로(21)는 기지국 BS#1 및 기지국 BS#2로부터 송신되어 온 CRC 신호의 평가 결과, 즉 OK 신호 또는 NG 신호를 비교한다.
한쪽의 CRC 신호가 OK 신호이고 다른쪽의 CRC 신호가 NG 신호인 경우는, CRC 신호가 OK 신호인 정보 신호를 출력하는 기지국을 정보 선택 회로(24)가 선택하고, 제어국 MCC는 선택된 기지국으로부터 정보 신호를 얻도록 한다.
한편, CRC 신호가 모두 OK 신호 또는 모두 NG 신호인 경우에는 CRC 신호의 평가 결과에 근거하는 기지국 선택을 정지하고, TPC 비교 회로(22)에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TPC 비교 회로(22)에 의한 TPC 신호의 평가 결과의 비교를 지시한다.
TPC 비교 회로(22)는 기지국 BS#1 및 기지국 BS#2로부터 송신되어 온 TPC 신호의 평가 결과, 즉 소정 시간내에서의 TPC 비트가 "0" 심볼 인 회수를 비교하고, TPC 비트가 "0" 심볼인 회수가 많은 정보 신호를 출력하는 기지국을 정보 선택 회로(24)가 선택한다. 그리고, 제어국 MCC는 선택된 기지국으로부터 정보 신호를 얻도록 한다.
또한, 만일 소정 시간내에 있어서 TPC 비트가 "0" 심볼인 회수를 비교한 결과, 그 회수가 동일한 경우에는 그 이전의 수프레임에 있어서의 TPC 비트가 "0" 심볼인 회수를 비교한다. 그리고, TPC 이력을 TPC 이력 보존 회로(23)로부터 판독하여 TPC 신호가 "0" 심볼인 회수가 많은 기지국을 선정한다. 제어국 MCC는 선택된 기지국으로부터 정보 신호를 얻도록 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례에 대하여, 도 5 및 도 6의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어국 MCC는 2개의 기지국 BS#1, BS#2로부터 CRC 신호를 수신하여(S1), 이들 CRC 신호가 서로 상이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2).
2개의 기지국으로부터의 CRC 신호가 동일하고, 즉 양자가 OK 신호(데이터 오류 없음) 혹은 양자가 NG 신호(데이터 오류 있음)인 경우에는 2개의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 중 TPC 신호를 추출하여 TPC 신호에 있어서의 "0" 심볼인 수를 1 프레임 구간 계측한다(S3).
한편, 2개의 기지국으로부터의 CRC 신호가 상이한, 즉 한쪽의 CRC 신호가 OK 신호이고 다른쪽의 CRC 신호가 NG 신호인 경우에는, CRC 신호가 OK 신호인 기지국을 선택하고(S4), 제어국 MCC는 선택한 기지국과 교신을 계속한다(S9).
여기서, TPC 신호에 있어서의 "0" 심볼인 수를 1 프레임 구간 계측하는 경우에 대하여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TPC 신호의 최초의 비트가 "0" 심볼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1). 그 비트가 "0" 심볼인 경우에는 "0" 심볼의 수를 증가시킨다(S32).
이어서, 평가 구간인 1 프레임이 종료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3). 1 프레임이 종료하지 않은 경우에는 TPC 신호의 다음 비트가 "0" 심볼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한편, TPC 신호의 최초의 비트가 "0" 심볼이 아닌 경우에는 평가 구간인 1 프레임이 종료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3). 1 프레임이 종료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TPC 신호의 다음 비트가 "0" 심볼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러한 조작을 1 프레임이 종료할 때까지 반복하여 실행한다. 1 프레임이 종료하면 계측된 TPC 신호에 있어서의 "0" 심볼의 수를 TPC 비교 회로(22)에 출력한다(S34).
다음에,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TPC 비교 회로(22)에 있어서, 양쪽 기지국의 TPC 신호에 있어서의 "0" 심볼의 수를 비교한다(S5). 그리고, 2개의 기지국의TPC 신호에 있어서의 "0" 심볼의 수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6).
2개의 기지국의 TPC 신호에 있어서의 "0" 심볼의 수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2개의 기지국 중 TPC 신호에 있어서의 "0" 심볼의 수가 많은 기지국을 선택하고(S8), 제어국 MCC은 선택한 기지국과 교신을 계속한다(S9).
한편, 2개의 기지국의 TPC 신호에 있어서의 "0" 심볼의 수가 동일한 경우에는, 이미 평가한 프레임보다도 이전의 프레임을 평가하고(S7), 2개의 기지국의 TPC 신호에 있어서의 "0" 심볼의 수를 비교하여(S5), 2개의 기지국의 TPC 신호에 있어서의 "0" 심볼의 수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6).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2개의 기지국으로부터 얻어지는 CRC 신호가 모두 OK 신호이거나 모두 NG 신호인 경우에 있어서도, 제어국 MCC는 CRC 신호 이외의 신뢰도 정보인 TPC 비트가 "0" 심볼의 회수가 많은 쪽의 기지국을 선택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DHO후의 기지국을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어, 제어국은 셀간 DHO후의 정보 신호의 취득을 종래 방식보다도 정확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만일 TPC 비트가 "0" 심볼인 회수가 양쪽 기지국에서 동일하였다고해도, 그 이전의 수프레임에 있어서의 TPC 이력을 참조하여 기지국을 선택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이 경우에서도, DHO후의 기지국을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어, 제어국은 셀간 DHO후의 정보 신호의 취득을 종래 방식보다도 정확하게 실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제어국이 셀간 DHO후의 기지국을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는 기지국 선택 시스템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지국이 2개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기지국이 3개 이상인 경우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TPC 신호가 "0" 심볼인 회수를 1 프레임 사이에서 계측하여 평가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TPC 신호가 "0" 심볼인 회수를 1 프레임 이상의 구간에서 평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시스템은 휴대 전화 등의 무선 통신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분야에서 유용하다.

Claims (21)

  1. 제어국을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있어서의 데이터 오류의 유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데이터 오류가 없는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한 기지국을 선택하는 기지국 선택 수단을 포함하는, 제어국을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데이터 오류가 없는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기지국이 복수인 경우에, 충분한 수신 레벨이 유지되어 있는 기지국과 교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데이터 오류가 없는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기지국이 복수인 경우에, 송신 제어 신호를 신뢰도 신호로서 이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송신 전력의 인하를 지시하는 송신 전력 신호를 계속하여 송신하는 기지국과 교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송신 전력의 인하를 지시하는 송신 전력 신호를 가장 많이 송신하는 기지국과 교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송신 전력의 인하를 지시하는 송신 전력 신호를 가장 많이 송신하는 기지국이 복수인 경우에, 송신 전력 신호의 이력에 따라 기지국을 선택하여 선택된 기지국과의 교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송신 전력 신호의 이력에 있어서 송신 전력의 인하를 지시하는 송신 전력 신호를 가장 많이 송신하는 기지국과 교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8. 복수의 기지국의 각각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있어서의 데이터 오류의 유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데이터 오류가 없는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한 기지국을 선택하여 교신을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데이터 오류가 없는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기지국이 복수인 경우에, 충분한 수신 레벨이 유지되고 있는 기지국과 교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데이터 오류가 없는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기지국이 복수인 경우에, 송신 제어 신호를 신뢰도 신호로서 이용하는 무선 통신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송신 전력의 인하를 지시하는 송신 전력 신호를 계속하여 송신하는 기지국과 교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송신 전력의 인하를 지시하는 송신 전력 신호를 가장 많이 송신하는 기지국과 교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송신 전력의 인하를 지시하는 송신 전력 신호를 가장 많이 송신하는 기지국이 복수인 경우에, 상기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송신 전력 신호의 이력에 따라 기지국을 선택하여 교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송신 전력 신호의 이력에 있어서 송신 전력의 인하를 지시하는 송신 전력 신호를 가장 많이 송신하는 기지국과 교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방법.
  15. 복수의 기지국의 각각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있어서의 데이터 오류의 유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데이터 오류가 없는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한 기지국을 선택하는 기지국 선택 수단을 포함하는 제어국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데이터 오류가 없는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기지국이 복수인 경우에, 송신 제어 신호를 신뢰도 신호로서 이용하는 제어국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송신 전력의 인하를 지시하는 송신 전력 신호를 가장 많이 송신하는 기지국이 복수인 경우에, 송신 전력 신호의 이력에 따라 기지국을 선택하여 교신을 행하는 제어국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송신 전력 신호의 이력에 있어서 송신 전력의 인하를 지시하는 송신 전력 신호를 가장 많이 송신하는 기지국과 교신을 행하는 제어국 장치.
  19. 데이터 오류의 유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 수단과,
    송신 전력의 인하를 지시하는 신호를 검출하는 신뢰도 검출 수단을 포함하는 기지국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신뢰도 검출 수단은 1 프레임에 걸쳐 송신 제어 신호를 평가하는 기지국 장치.
  21. 이동국에 있어서,
    청구항 19 항 또는 청구항 20 항에 기재된 기지국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이동국.
KR1019980704604A 1996-10-18 1997-10-17 무선통신방법과이를이용한무선통신시스템및기지국 KR1003355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9592696 1996-10-18
JP96-295926 1996-10-18
PCT/JP1997/003762 WO1998018273A1 (fr) 1996-10-18 1997-10-17 Systeme de communication radio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2213A true KR19990072213A (ko) 1999-09-27
KR100335535B1 KR100335535B1 (ko) 2002-06-20

Family

ID=17826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4604A KR100335535B1 (ko) 1996-10-18 1997-10-17 무선통신방법과이를이용한무선통신시스템및기지국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275711B1 (ko)
EP (1) EP0878973B1 (ko)
KR (1) KR100335535B1 (ko)
CN (1) CN1160972C (ko)
AU (1) AU718221B2 (ko)
CA (1) CA2240952C (ko)
DE (1) DE69732622T2 (ko)
WO (1) WO19980182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281049T3 (es) * 2000-10-24 2007-09-16 Nortel Networks Limited Metodos, sistemas y estructura de canal compartido.
US6799045B1 (en) * 2000-11-07 2004-09-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eliable congestion control in a CDMA-based mobile radio commmunications system
US6985739B2 (en) * 2000-12-15 2006-01-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dmission and congestion control in a CDMA-based mobile radio communications system
DE60237857D1 (de) * 2001-01-13 2010-11-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Leistungssteuerung für ein WCDMA Kommunikationssystem, dass ein Hochgeschwindigkeitabwärtsrichtungspaketzugriffverfahren verwendet
JP3577021B2 (ja) * 2001-09-12 2004-10-13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局および移動局における電界状態判定方法
US7522689B2 (en) * 2002-09-23 2009-04-2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Clock recovery in communication systems
JP4167485B2 (ja) * 2002-12-26 2008-10-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通信端末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
JP4458251B2 (ja) * 2004-07-13 2010-04-28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送信電力制御方法及び移動局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17233A1 (de) * 1984-05-10 1985-11-14 Standard Elektrik Lorenz Ag, 7000 Stuttgart Funksystem
US4613990A (en) * 1984-06-25 1986-09-23 At&T Bell Laboratories Radiotelephone transmission power control
JPS63233623A (ja) * 1987-03-20 1988-09-29 Iwatsu Electric Co Ltd 移動体通信の無線チヤネル切替方法とシステム
US5200957A (en) * 1989-06-26 1993-04-0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Mobile assisted handoff
US5212803A (en) * 1990-09-06 1993-05-1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Method for reducing equalizer usage in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US5280630A (en) * 1992-01-21 1994-01-18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channel allocation
EP0565507A3 (en) * 1992-04-10 1994-11-30 Ericsson Ge Mobile Communicat Power control for random access call set-up in a mobile telephone system
SE9300681D0 (sv) * 1993-03-01 1993-03-01 Ericsson Telefon Ab L M A method and an apparatusfor handing off a mobile station from a first to a second channe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2802870B2 (ja) * 1993-03-10 1998-09-24 エヌ・ティ・ティ移動通信網株式会社 符号分割多重移動通信機及び符号分割多重移動通信のセル選択方法
US5491717A (en) * 1993-10-18 1996-02-13 Motorola, Inc.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during handoff in a communication system
JPH07131400A (ja) * 1993-10-28 1995-05-19 N T T Idou Tsuushinmou Kk デジタル移動通信の伝送方法
JP2526517B2 (ja) 1993-12-10 1996-08-21 日本電気株式会社 基地局選択型発呼方式
JPH07231483A (ja) * 1993-12-22 1995-08-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データ通信システム
JP3148506B2 (ja) 1994-04-27 2001-03-19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セル判定方法及びその移動局装置
JP2939114B2 (ja) 1994-04-27 1999-08-25 エヌ・ティ・ティ移動通信網株式会社 移動通信ハンドオーバ方法および移動局装置と基地局装置
JP2939115B2 (ja) 1994-04-27 1999-08-25 エヌ・ティ・ティ移動通信網株式会社 移動通信ハンドオーバ方法および移動局装置と基地局装置
JP2904335B2 (ja) 1994-04-27 1999-06-14 エヌ・ティ・ティ移動通信網株式会社 送信電力制御方法および移動局装置
JPH0888877A (ja) 1994-09-19 1996-04-02 Fujitsu Ltd 移動通信における移動機の基地局選択方式
JP3078193B2 (ja) 1995-01-05 2000-08-2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基地局選択方法およびその基地局選択装置
JP2693922B2 (ja) * 1995-02-13 1997-12-24 日本電気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移動無線端末機のチャンネル切替判定装置
JPH08289366A (ja) * 1995-04-13 1996-11-01 Hitachi Ltd 移動体通信システム
US5960350A (en) * 1996-12-05 1999-09-28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a traffic channel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5946357A (en) * 1997-01-17 1999-08-3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multi-stage, encoded and interleaved digital communication signal
US5946346A (en) * 1997-10-07 1999-08-31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power control comman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732622D1 (de) 2005-04-07
CA2240952C (en) 2002-07-09
KR100335535B1 (ko) 2002-06-20
US6275711B1 (en) 2001-08-14
DE69732622T2 (de) 2005-07-21
AU718221B2 (en) 2000-04-13
EP0878973A4 (en) 2000-09-20
CN1205156A (zh) 1999-01-13
EP0878973B1 (en) 2005-03-02
AU4573997A (en) 1998-05-15
EP0878973A1 (en) 1998-11-18
CA2240952A1 (en) 1998-04-30
CN1160972C (zh) 2004-08-04
WO1998018273A1 (fr)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7277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rate determination
US7154915B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base station and mobile station to be employed in the same
KR100319995B1 (ko) 가변비트율부호분할다원접속송신전력제어시스템및이동전화시스템
KR100434466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하향 공유 채널의 전력 제어를 위한통신 수행 장치 및 방법
US7885677B2 (en) Radio channel control method and receiving apparatus
US6577617B1 (en)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base st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KR100220139B1 (ko)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이동 통신 방법, 시스템 및 이동국장치
KR100291403B1 (ko) 대역확산통신시스템에서핸드오프를수행하는방법및장치
BRPI0013206B1 (pt) método e equipamento para medir a intensidade de sinal em um sistema de comunicação sem fio
KR960706273A (ko) 소프터 핸드오프동안 베이스 스테이션으로부터 평균 다운링크 전송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the average downlink transmitted power from base stations during soft handoff)
US687957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frame quality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335535B1 (ko) 무선통신방법과이를이용한무선통신시스템및기지국
WO2004015892A1 (en) Method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optimal cell id code
US20050186964A1 (en) Mobile station
JPH0865201A (ja) 移動通信装置
AU733293B2 (en) Base station for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JP3075341B2 (ja) 送受信装置
JP3263376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
JP2000197095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3143058A (ja) Cdma受信システムおよびcdma受信方法
KR20010025772A (ko) 고속 순방향 전력제어 방법
JP2003264863A (ja) セルラー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携帯無線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