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2142A - 구름운동안내장치의이동블록성형방법 - Google Patents

구름운동안내장치의이동블록성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2142A
KR19990072142A KR1019980704474A KR19980704474A KR19990072142A KR 19990072142 A KR19990072142 A KR 19990072142A KR 1019980704474 A KR1019980704474 A KR 1019980704474A KR 19980704474 A KR19980704474 A KR 19980704474A KR 19990072142 A KR19990072142 A KR 19990072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block
block body
rolling
ball
roll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4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0323B1 (ko
Inventor
다케키 시라이
Original Assignee
데라마찌 아끼히로
티에치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라마찌 아끼히로, 티에치케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데라마찌 아끼히로
Publication of KR19990072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2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0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03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4Ball or roller bearings
    • F16C29/06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4Ball or roller bearings
    • F16C29/06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 F16C29/0602Details of the bearing body or carriage or parts thereof, e.g.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assemb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4Ball or roller bearings
    • F16C29/06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 F16C29/0633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with a bearing body defining a U-shaped carriage, i.e. surrounding a guide rail or track on three sides
    • F16C29/0652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with a bearing body defining a U-shaped carriage, i.e. surrounding a guide rail or track on three sides whereby the return paths are at least partly defined by separate parts, e.g. covers attached to the legs of the main body of the U-shaped carriage
    • F16C29/0654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with a bearing body defining a U-shaped carriage, i.e. surrounding a guide rail or track on three sides whereby the return paths are at least partly defined by separate parts, e.g. covers attached to the legs of the main body of the U-shaped carriage with balls
    • F16C29/0657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with a bearing body defining a U-shaped carriage, i.e. surrounding a guide rail or track on three sides whereby the return paths are at least partly defined by separate parts, e.g. covers attached to the legs of the main body of the U-shaped carriage with balls with two rows of balls, one on each side of the rai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4Ball or roller bearings
    • F16C29/06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 F16C29/0633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with a bearing body defining a U-shaped carriage, i.e. surrounding a guide rail or track on three sides
    • F16C29/0652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with a bearing body defining a U-shaped carriage, i.e. surrounding a guide rail or track on three sides whereby the return paths are at least partly defined by separate parts, e.g. covers attached to the legs of the main body of the U-shaped carriage
    • F16C29/0654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with a bearing body defining a U-shaped carriage, i.e. surrounding a guide rail or track on three sides whereby the return paths are at least partly defined by separate parts, e.g. covers attached to the legs of the main body of the U-shaped carriage with balls
    • F16C29/0659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with a bearing body defining a U-shaped carriage, i.e. surrounding a guide rail or track on three sides whereby the return paths are at least partly defined by separate parts, e.g. covers attached to the legs of the main body of the U-shaped carriage with balls with four rows of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4Ball or roller bearings
    • F16C29/06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 F16C29/0633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with a bearing body defining a U-shaped carriage, i.e. surrounding a guide rail or track on three sides
    • F16C29/0652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with a bearing body defining a U-shaped carriage, i.e. surrounding a guide rail or track on three sides whereby the return paths are at least partly defined by separate parts, e.g. covers attached to the legs of the main body of the U-shaped carriage
    • F16C29/0654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with a bearing body defining a U-shaped carriage, i.e. surrounding a guide rail or track on three sides whereby the return paths are at least partly defined by separate parts, e.g. covers attached to the legs of the main body of the U-shaped carriage with balls
    • F16C29/0659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with a bearing body defining a U-shaped carriage, i.e. surrounding a guide rail or track on three sides whereby the return paths are at least partly defined by separate parts, e.g. covers attached to the legs of the main body of the U-shaped carriage with balls with four rows of balls
    • F16C29/0664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with a bearing body defining a U-shaped carriage, i.e. surrounding a guide rail or track on three sides whereby the return paths are at least partly defined by separate parts, e.g. covers attached to the legs of the main body of the U-shaped carriage with balls with four rows of balls with load directions in X-arran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20/00Shaping
    • F16C2220/02Shaping by casting
    • F16C2220/04Shaping by casting by injection-moul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636Process for making bearing or component thereof
    • Y10T29/49705Coating or ca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체구름주행홈의 거스러미 발생을 방지하고, 또한 금형내에서의 이동블록본체의 위치결정을 정확히 할 수 있는 구름운동 안내장치의 이동블록 성형방법을 제공한다.
즉, 이동블록본체의 폭방향, 높이 방향 및 길이 방향의 위치결정을 이동블록본체의 전동체구름주행홈과는 다른 일반면에서 행함으로써, 전동체구름주행홈의 손상을 방지하고, 또한, 전동체구름주행홈의 양끝단과 측테두리의 적어도 한쪽에서 용탕끈음함으로써, 전동체구름주행홈내로의 성형재료의 침입을 저지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구름운동 안내장치의 이동블록 성형방법
종래에 이러한 종류의 구름운동 안내장치는, 전동체 구름주행홈이 형성된 궤도레일과, 이 궤도레일의 전동체 구름주행홈과 대향하는 전동체 구름주행홈을 가지며, 궤도레일을 따라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이동블록과, 궤도레일과 이동블록이 대향하는 전동체 구름주행홈사이에 설치되는 전동체열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동블록에는 전동체열을 순환시키는 순환로가 설치되고, 이 순환로의 적어도 일부를 형상성형부로 구성한 것을 이미 본 출원인은 제안하고 있다(일본국 특개평7-317762호공보참조).
형상성형은, 이동블록본체를 금형내에 배치하고, 형틀 닫힘시에 금형내면과 이동블록본체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캐비티내에 성형재료를 충전하여 일체성형하는 것인데, 종래는 금형내에 전동체 구름주행홈에 걸어맞춤하는 지지부를 설치하고, 전동체 구름주행홈을 기준으로 하여 이동블록본체를 위치결정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이동블록의 성형방법에 있어서는, 전동체 구름주행홈을 금형내의 지지부에 걸어맞춤시키기 때문에, 전동체 구름주행홈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전동체 구름주행홈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지지부와 전동체 구름주행홈과의 끼워맞춤력을 경감하면 되지만, 그렇게 하면, 전동체 구름주행홈내에 성형재료가 침입하여 거스러미가 생길 우려가 있으며, 위치결정도 불안정하게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전동체 구름주행홈내의 거스러미의 발생을 방지하고, 그 위에 이동블록본체의 위치결정을 정확하게 이룰수 있는 구름운동 안내장치의 이동블록 성형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궤도레일에 전동체열을 통하여 이동블록을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한 구름운동 안내장치의 이동블록 성형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구름운동 안내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동도면 (a)는 궤도레일에 대하여 직교하는 단면도, 동도면 (b)는 볼순환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동도면 (c)는, 방향전환로의 부분분해단면도, 동도면 (d)는 볼유지부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구름운동 안내장치를 나타내는 것이며, 동도면 (a)는 이동블록의 반단면정면도, 동도면 (b)는 반단면측면도이다.
도 3은 이동블록 성형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동도면 (a)는 이동블록본체를 삽입한 고정금형의 횡단면도, 동도면 (b)은 형틀열림상태의 금형의 종단면도, 동도면 (c)는 형틀닫힘상태의 금형의 종단면도, 동도면 (d)은 볼구름주행홈의 홈측테두리의 용탕끈음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동도면 (e)은 볼구름주행홈 양끝단의 용탕끈음상태의 개략부분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구름운동 안내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동도면 (a)은 궤도레일에 대하여 직교하는 단면도, 동도면 (b)은 순환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동도면 (c)은 방향전환로의 부분분해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구름운동 안내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동 도면 (a)은 이동블록의 측덮개를 반정도 생략하여 나타낸 정면도, 동도면 (b)은 측면도이다.
도 6은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블록성형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동도면 (a)은 이동블록을 삽입한 고정금형의 횡단면도, 동도면 (b)은 형틀열림상태의 금형의 종단면도, 동도면 (c)는 형틀닫힘상태의 금형의 종단면도, 동도면 (d)는 볼구름주행홈의 측테두리의 용탕끈음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동도면 (e)은 볼구름주행홈 양단부의 용탕끈음상태의 개략부분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구름운동 안내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동도면 (a)는 이동블록 끝단면의 측덮개를 제거한 상태의 반단면정면도, 동도면 (b)는 일부파단 측면도, 동도면 (c)는 방향전환로의 부분확대단면도이다.
도 8은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블록의 성형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동도면 (a)은 이동블록을 삽입한 상태의 고정금형의 횡단면도, 동도면 (b)은 형틀닫힘상태의 금형의 일부생략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구름운동 안내장치를 나타내며, 동도면 (a)은 궤도레일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도, 동도면 (b)은 볼순환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동도면 (c)은 방향전환로의 부분분해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구름운동 안내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동도면 (a)은 이동블록의 반단면 정면도, 동도면 (b)는 측면도이다.
도 11(a)는 이동블록을 고정금형에 삽입한 상태의 횡단면도, 동도면 (b)는 형틀닫힘상태의 금형의 일부생략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구름운동 안내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동도면 (a)는 궤도레일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도, 동도면 (b)는 볼순환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동도면 (c)은 방향전환로의 부분분해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구름운동 안내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동도면 (a)는 이동블록 끝단면의 반단면 정면도, 동도면 (b)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이동블록의 금형을 나타내는 것으로, 동도면 (a)은 고정금형의 횡단면도, 동도면 (b)은 형틀닫힘상태의 금형의 부분종단면도, 동도면 (c)은 형틀열림상태의 부분종단면도, 동도면 (d)은 볼구름주행홈 양끝단의 용탕끈음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전동체 구름주행홈이 형성된 궤도레일과, 이 궤도레일의 전동체 구름주행홈과 대향하는 전동체 구름주행홈을 가지고, 궤도레일에 따라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된 이동블록과, 상기 궤도레일과 이동블록의 대향하는 전동체 구름주행홈 사이에 설치되는 전동체열을 구비하며, 이동블록에는 상기 전동체열을 순환시키는 순환로가 설치되고, 이 순환로의 적어도 일부를 형상성형부에 의하여 구성하며, 이 형상성형부를 이동블록본체를 금형내에 배치하는 인서트성형에 의하여 이동블록본체와 일체성형하는 구름운동 안내장치의 이동블록 성형방법에 있어서, 금형내에서, 상기 이동블록본체의 전동체 구름주행홈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일반면을 지지하여 이동블록본체의 폭방향과 높이 방향의 위치결정을 함과 동시에, 상기 이동블록본체의 길이방향 양끝단면을 지지하여 이동블록본체의 길이방향의 위치결정을 하고, 전동체 구름주행홈의 양끝단 또는 양측테두리에서 용탕끈음을 하여 전동체 구름주행홈내로 성형재료의 침입을 저지하며, 상기 형상성형부를 블록본체에 일체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금형은, 이동블록본체의 전동체 구름주행홈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일반면을 지지하여 이동블록본체의 폭방향과 높이방향의 위치결정을 함과 동시에, 상기 이동블록본체의 길이방향 양끝단면을 지지하여 이동블록본체의 길이방향의 위치결정을 하고, 전동체 구름주행홈의 양끝단 또는 양측테두리에서 용탕끈음을 하여 전동체 구름주행홈내로 성형재료의 침입을 저지하는 블록지지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블록본체의 폭방향, 높이방향 및 길이방향의 위치결정이 전동체 구름주행홈과는 다른 일반면에서 행하므로, 전동체 구름주행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동체 구름주행홈의 양끝단과 측테두리의 적어도 한쪽에서 용탕끈음함으로써, 전동체 구름주행홈내로의 성형재료의 침입을 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동체 구름주행홈과는 관계없이 이동블록본체를 강한 힘으로 지지함으로써, 안정되게 위치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이동블록본체가 폭방향과 길이방향으로 퍼지는 수평부와, 이 수평부의 폭방향 양끝단부로부터 궤도레일의 측면과 대향하도록 높이방향으로 돌출하는 한쌍의 다리부를 구비하고, 다리부의 내측면이, 다리부의 돌출끝단을 향하여 서서히 궤도레일측을 향하여 기울어지는 경사면을 가지는 경우에는, 금형내에서, 적어도 양다리부의 양내측면의 경사면과 수평부의 하면을 지지하여 이동블록본체의 폭방향과 높이방향의 위치결정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금형은, 적어도 이동블록본체의 양다리부의 양내측면의 경사면과 수평부의 하면을 지지하고, 이동블록의 폭방향과 높이방향의 위치결정을 하는 블록지지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이동블록본체의 높이방향의 흔들림은 양 다리부의 내측면의 경사면과 수평부하면 사이에 의하여 지지되고, 이동블록본체의 폭방향의 흔들림은 양 다리부의 내측면에 의하여 지지된다.
또한 이동블록본체가 폭방향과 길이방향으로 퍼지는 수평부와, 이 수평부의 폭방향 양끝단부에서 궤도레일의 측면과 대향하도록 높이방향으로 돌출하는 한쌍의 다리부를 구비하고, 다리부의 내측면이 거의 수직면을 가지는 경우에는, 금형내에서 적어도 양 다리부의 양 내측면의 수직면과 수평부의 하면 및 상면을 지지하고, 이동블록본체의 폭방향과 높이방향의 위치결정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금형내는, 적어도 양 다리부의 양내측면의 수직면과 수평부의 하면 및 상면을 지지하고, 이동블록본체의 폭방향과 높이방향의 위치결정을 하는 블록지지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에서는 양 다리부의 내측면은 수직면이므로, 이동블록본체의 높이방향의 흔들림은 수평부하면 사이에 의하여 지지되고, 이동블록본체의 폭방향의 흔들림은 양 다리부의 내측면에 의하여 지지된다.
또한 이동블록본체가 폭방향과 길이방향으로 퍼지는 수평부와, 이 수평부의 폭방향 양끝단부에서 궤도레일의 측면과 대향하도록 높이방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다리부를 구비하고, 다리부의 내측면이 다리부의 돌출끝단을 향하여 서서히 궤도레일과 반대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면이 되어 있는 경우에는, 금형내에서, 적어도 양 다리부의 양내측면의 경사면과, 수평부의 상면을 지지하여, 이동블록본체의 폭방향과 높이방향의 위치결정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금형내는 적어도 양 다리부의 양 내측면의 경사면과, 수평부의 상면을 지지하여 이동블록본체의 폭방향과 높이방향의 위치결정을 하는 블록지지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이동블록본체의 높이방향의 흔들림은 양 다리부의 내측면과 수평부상면 사이에 의하여 지지되고, 이동블록본체의 폭방향의 흔들림은 양 다리부의 내측면에 의하여 지지된다.
또한, 이동블록본체가 폭방향과 길이방향으로 퍼지는 수평부와, 이 수평부의 폭방향 일끝단부에서 궤도레일의 일측면과 대향하도록 높이방향으로 돌출하는 다리부를 구비하고, 다리부의 내측면이 거의 수직면 또는 돌출끝단을 향하여 서서히 궤도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면을 가지는 경우에는 금형내에서, 적어도 다리부의 내측면 및 외측면과, 수평부의 하면 및 상면을 지지하여, 이동블록본체의 폭방향과 높이방향의 위치결정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금형내는, 적어도 다리부의 내측면 및 외측면과, 수평부의 하면 및 상면을 지지하고, 이동블록본체의 폭방향과 높이방향의 위치결정을 하는 블록지지부를 구비하고 있다.
다리부의 내측면이 거의 수직면인 경우, 이동블록본체의 높이방향의 흔들림은 수평부의 상면과 하면에 의하여 지지되고, 이동블록본체의 폭방향의 흔들림은 다리부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의하여 지지된다.
다리부의 내측면이 경사면인 경우에는, 이동블록본체의 높이방향의 흔들림은 수평부의 상면과 하면에 의하여 지지된다.
금형내의 이동블록본체의 길이방향의 위치결정은, 이동블록본체의 전동체 구름주행홈의 양끝단에 형성된 방향전환유도부를 지지함으로써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금형은, 이동블록본체의 전동체 구름주행홈의 양끝단에 형성된 방향전환유도부를 지지하고, 이동블록본체의 길이방향의 위치결정을 행하는 블록지지부를 구비하고 있다.
방향전환유도부는, 전동체가 무부하지역에서 부하지역으로 이동할 때, 전동체에 서서히 하중이 작용하도록 하여 전동체의 방향전환을 원활하게 행하게 하는 것이다. 이 방향전환유도부에 의하여 위치결정하면, 위치결정과 동시에 용탕끈음을 행할 수 있다.
순환로는, 이동블록에 설치되는 전동체 구름주행홈과 이 전동체 구름주행홈과 병행하여 설치되는 전동체귀환통로와, 상기 전동체 구름주행홈과 전동체귀환통로 사이를 연결하는 방향전환로를 구비하고, 형상성형부는, 전동체 구름주행홈의 양측테두리에 설치되는 전동체유지부, 전동체귀환통로를 형성하는 귀환통로형성 및 방향전환로의 안쪽둘레안내부를 형성하는 방향전환로 안쪽둘레안내형성부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금형내의 이동블록본체의 위치가 정확하게 위치결정되므로, 이동블록의 전동체 구름주행홈의 끝단부와 방향전환로 안쪽둘레안내부와의 경계를 단차없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전동체귀환통로와 이동블록본체를 일체성형하는 경우에는, 이동블록본체에 대한 전동체귀환통로의 위치를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전동체유지부와 이동블록본체를 일체성형하는 경우에는, 전동체 구름주행홈에 대한 전동체유지부의 위치를 정확하게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전동체귀환통로 및 방향전환로 안쪽둘레안내부의 양쪽을 이동부재와 일체성형하면, 전동체귀환통로와 방향전환로 안쪽둘레안내부의 접속부가 단자없이 연속면으로 성형할 수 있다.
방향전환로 안쪽둘레안내부 및 전동체유지부를 일체성형하는 경우에는, 전동체유지부와 방향전환로 안쪽둘레안내부의 접속부에 단차없이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전동체유지부, 방향전환로 안쪽둘레안내부 및 전동체귀환통로를 모두 이동블록본체와 일체성형하면, 순환로 전길이에 걸쳐서 각 접속부에 단차가 생기는 일없이 성형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서술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도시한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구름운동 안내장치를 나타낸다.
이 구름운동 안내장치(1)는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궤도레일(2)과 이 궤도레일(2)의 상면측에 2열, 좌,우측면측에 1열씩 합계 4열의 볼(3)을 통하여 궤도레일(2)에 이동자유롭게 지지되는 단면 ㄷ자 형상인 이동블록(4)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궤도레일(2)은 대략 단면직사각형상으로 성형된 긴부재로, 그 좌우측면 상반부는, 위쪽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외측으로 돌출한 듯한 테이퍼면(21)이 형성되어 있고, 이 테이퍼면(21)에 전동체 구름주행홈으로서의 볼구름주행홈(6)이 좌우로 1조씩 합계 2조의 볼구름주행홈(5)이 설치되어 있다.
이동블록(4)은, 단면 ㄷ자형상의 높은강성의 블록체이며, 궤도레일(2) 상면에 대향하는 수평부(41)와, 이 수평부(41)의 좌우양측단에서 궤도레일(2)의 좌우양측면을 끼워넣도록 아래쪽을 향하여 뻗는 한쌍의 다리부(42,42)로 이루어지는 이동블록본체(40)를 구비하고 있다. 수평부(41)의 아래면에는, 궤도레일(2)의 상면에 형성된 한쌍의 볼구름주행홈(5,5)에 대응하는 한쌍의 볼구름주행홈(7,7)이 설치되고, 또한 좌우다리부(42,42)의 내측면에는, 궤도레일(2)의 좌우측면에 형성되는 볼구름주행홈(6,6)에 대응하는 볼구름주행홈(8,8)이 1조씩 형성되어 있다.
이 좌우 다리부(42,42)는 돌출끝단방향을 향하여 서서히 궤도레일(2)과 떨어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져 뻗는 외향경사면(421)과, 이 궤도레일(2)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져 뻗는 내향경사면(422)을 가지고 있으며, 내향경사면(422)에 볼구름주행홈(7,7)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이동블록(4)과 궤도레일(2)의 대향면간에 설치된 서로 대응하는 4조의 볼구름주행홈(5,7;6,8)사이에 다수의 볼(3)을 개재시켜 궤도레일(2)과 이동블록(4) 사이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탱하는 볼열을 구성하고 있다. 볼(3)에는 소정의 예압이 가해지고 있다. 전동체로서는, 볼(3) 이외에 로울러등도 적용할 수 있다.
볼구름주행홈(7,8)의 양끝단부는 라운딩되어 양끝단을 향하여 서서히 깊어지는 구배가 형성된 볼유도부(48)가 형성되어 있고, 무부하지역의 방향전환로(10)로부터 서서히 하중을 지탱하여 하중지탱지역의 볼구름주행홈(5,7;6,8) 사이에 구름운동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각 볼(3)의 볼구름주행홈(5,7;6,8)과의 접촉점을 잇는 접촉각선(L1)은, 궤도레일(2) 상면과 이동블록본체(40)의 수평부(41)에 개재되는 볼(3)에 대해서는, 볼(3) 중심을 지나는 수평선(H)에 대하여 거의 90도 정도로 설정되고, 궤도레일(2) 좌우측면과 이동블록본체(40)의 좌우 다리부(42,42)사이에 개재되는 볼(3)에 대해서는, 볼(3) 중심을 지나는 수평선(H)에 대하여 궤도레일(2)의 중심을 향하여 소정각도 α만큼 위쪽으로 기울어져 있으며, 좌우측면의 2열의 볼(3,3)과 상면측의 2열의 볼(3)에 의하여, 궤도레일(2)의 위끝단 좌우 양다리부(22,22)를 끼워넣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동블록(4)은, 상기 4열의 볼(3)을 순환안내하기 위한 4조의 볼귀환통로(9)가 설치되어 있다. 볼귀환통로(9)는, 이동블록(4)에 설치된 각 볼구름주행홈(7,8)과 평행하여 직선적으로 뻗는 구멍에 의하여 구성되고, 수평부(41)에 2조, 좌우의 다리부(42)에 2조씩 형성되어 있다.
이동블록본체(40)의 수평부(41)에는, 상기 볼귀환통로(9)의 통로단면보다도 큰지름의 관통구멍(43)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구멍(43) 안쪽둘레에 볼귀환통로(9)를 형성하기 위한 귀환통로형성부재로서의 수지제의 제 1 파이프부(91)가 일체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한편, 이동블록본체(40)의 좌우 다리부(42)의 외측면 아래끝단부에는 원호형상의 오목부(44)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44)에 볼귀환통로(9)를 형성하는 수지제의 제 2 파이프부(92)가 일체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이 제 2 파이프부(92)는 다리부(42)의 아래끝단면을 피복하는 두께의 아래끝단면 수지부(93)와, 다리부(42)의 외측면 아래끝단을 피복하는 측면수지부(94)와 연이어 있다. 측면수지부(94)의 위끝단에는, 다리부(42) 외측면에 설치된 걸어맞춤홈(42a)에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돌기(94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동블록본체(40)의 양끝단에는, 도 1(b),(c)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궤도레일(2)과 이동블록본체(40) 사이에 설치되는 볼(3)을 볼귀환통로(9)로 방향전환시키는 U자파이프형상의 방향전환로(10)를 구성하는 측덮개(11)가 부착되어 있다. 측덮개(11) 자체에는, U자파이프형상인 방향전환로(10)중, 바깥둘레부(10a)만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동블록본체(40)의 양끝단에는, 방향전환로(10)의 안쪽둘레부(10b)를 형성하는 방향전환로 안쪽둘레형성부재로서의 방향전환로 안쪽둘레피스부(12)가 일체적으로 접합되어 있고, 측덮개(11)와 방향전환로 안쪽둘레피스부(12)에 의하여 방향전환로(10)가 구성된다. 또한 도면중, 11a는 궤도레일(2)과의 빈틈을 시일하는 엔드시일, 11b는 그리스니플이다.
또한 이동블록(4)에는,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4열의 볼(3)에 따라 이동블록(4)을 궤도레일(2)에서 제거하였을 때의 볼(3)의 탈락을 방지하는 볼유지부재(13)가 설치되어 있다. 볼유지부재(13)는 수지제로, 이동블록본체(40)의 수평부(41)의 하면에 일체적으로 접합되는 제 1 리테이너부(13a)와, 수평부(41)와 좌우의 다리부(42)와의 오목형상의 모서리각부에 일체적으로 접합되는 좌우의 제 2 리테이너부(13b)와, 좌우의 다리부(42)의 내측면 아래끝단부에 일체적으로 접합되는 좌우의 제 3 리테이너부(13c)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제 3 리테이너부(13c)는, 상기 다리부(42) 아래끝단부를 피복하는 아래끝단 피복부(93)와 연이어 제 2 파이프부(92)와 일체로 되어 있다.
상기 제 1 리테이너부(13a)의 좌우양끝단부와 제 2 리테이너부(13b)의 위끝단부 사이에, 궤도레일(2) 상면에 위치하는 2열의 볼(3)이 유지되고, 좌우 제 2 리테이너부(13b)와 제 3 리테이너부(13c)와의 사이에, 궤도레일(2) 좌우측면에 좌우 2열의 볼(3)이 유지된다.
상기 제 1 리테이너부(13a) 및 제 2 리테이너부(13b)에는, 이동블록본체(40)의 수평부(41)의 하면 및 내측면의 내향경사면(422)이 노출하는 제 1, 제 2 오목부(45,4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 제 2 오목부(45,46)는, 인서트성형시에 이동블록본체(40)를 금형내에 지지하기 위한 볼록부의 형상에 대응하고 있다. 이 제 1, 제 2 오목부(45,46)는 이동블록본체(40)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연이어 형성하여도 좋고, 연이어 형성하지 않고 부분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한편, 제 1, 제 2 및 제 3 리테이너부(13a∼13c)의 볼구름주행홈(7,8)과 접하는 테두리부는, 도 1(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구름주행홈(7,8)의 홈측테두리와의 사이에 평탄부(47)가 노출하고 있다. 이 평탄부(47)는, 인서트성형시에 볼구름주행홈(7,8)으로의 성형재료의 침입을 저지하는 볼록부가 맞닿아 있다.
그리고, 상기한 귀환통로형성부재로서의 제 1, 제 2 파이프부(91,92), 볼유지부재(13)로서의 제 1∼제 3 리테이너부(13a,13b) 및 방향전환로 안쪽둘레피스부(12)가 모두 이동블록본체(40)와 일체성형된 형상성형부로 되어 있다.
이 일체성형은, 이동블록본체(40)에 설치한 볼구름주행홈(7)을 기준으로 하여 이동블록본체(40)를 금형(14)내에 배치하고, 금형(14) 내벽과 이동블록본체(40) 사이에 상기 성형할 수지성형부에 대응하는 캐비티를 형성하고, 이 캐비티내에 성형재료를 충전하여 성형하는 인서트성형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도 3에는, 인서트성형시의 이동블록본체(40)와 금형(14)과의 형틀닫힘, 형틀열림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고정금형(14a)에는, 이동블록본체(40)의 일반면인 수평부(41) 하면에 닿는 제 1 볼록부(14a1)과 다리부(42) 내측면중 외향경사면(421)에 닿는 제 2 볼록부(14a2)와, 상기 수평부(41) 하면의 볼구름주행홈(7,8)의 홈측테두리의 평탄부(47)에 닿아 용탕끈음하는 제 3 볼록부(14a3)와, 내측면의 내향경사면(422)의 볼구름주행홈(8)의 홈측테두리의 평탄부(47)에 닿는 제 4 볼록부(14a4)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볼록부(14a1) 및 제 2 볼록부(14a2)는, 이동블록본체(40)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연이어 뻗어있을 필요는 없고, 불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지만, 제 3, 제 4 볼록부(14a3,14a4)는 볼구름주행홈(7,8)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한편, 가동금형(14c)에는 볼귀환통로(9)를 성형하기 위한 핀(14d)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3(b), (c)에 대해서는 다리부(42)측의 볼귀환통로(9) 주위만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이동블록본체(40)의 수평부(41)의 관통구멍(43)내에는 제 1 파이프부(91)를 성형하기 위한 캐비티(15a)가, 다리부(42) 외각부의 오목부외측에는 제 2 파이프부(92)를 성형하기위한 캐비티(15b)가, 수평부(41) 및 다리부(42)의 안쪽둘레에는 제 1∼제 3 리테이너부(13a∼13c)를 성형하기 위한 캐비티(15c∼15e)가, 이동블록본체(40)의 전후양끝단에는 방향전환로 안쪽둘레피스부(12)를 성형하기 위한 캐비티(15f)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제 2 볼록부(14a1,14a2)가 각각 캐비티(15c,15d)에 돌출하고 볼구름주행홈(7,8) 이외의 일반면인 이동블록본체(40)의 수평부(41)하면과 다리부(42) 내측면의 외향경사면(422)에 맞닿고, 또한 제 3 볼록부(14a3)가 수평부(41)의 볼구름주행홈(7,8)의 홈측테두리에, 제 4 볼록부(14a4)가 다리부(42)내측면의 내향경사면(422)에 맞닿아 이동블록본체(40)의 폭방향 및 높이방향의 위치결정이 된다.
즉, 이동블록본체(40)의 높이방향의 흔들림은, 수평부(41)하면에 닿는 제 1 볼록부(14a1) 및 양다리부(42)의 내측면의 외향경사면(421)에 닿는 제 2 볼록부(14a2), 내향경사면(422)에 닿는 제 3, 제 4 볼록부(14a3,14a4)에 의하여 지지된다. 또한 이동블록본체(40)의 폭방향의 흔들림은, 제 2∼제 4 볼록부(14a2∼14a4)에 의하여 지지된다.
또한, 제 3, 제 4 볼록부(14a3, 14a4)에 의하여, 도 3(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블록본체(40)의 볼구름주행홈(7,8)으로의 수지재료등의 성형재료의 침입을 저지할 수 있다.
한편, 이동블록본체(40)의 길이 방향의 위치 결정은, 이동블록본체(40)의 길이 방향양끝단면이 접촉하는 고정금형(14a)의 저벽(14a5)과 가동금형(14c)의 끝단벽(14c1)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볼구름주행홈(7,8) 양끝단부와 방향전환로 안쪽둘레피스부(12)와의 용탕끈음은, 도 3(b), (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구름주행홈(7,8)의 양끝단부에 설정된 라운딩된 볼유도부(48)에 끼워맞춤하는 끼워맞춤볼록부(14a6,14c2)에 의해서 용탕끈음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블록본체(40)의 폭방향, 높이 방향 및 길이 방향의 위치결정이 볼구름주행홈(7,8)과는 다른 일반면에서 하기 때문에, 볼구름주행홈(7,8)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볼구름주행홈(7,8)과는 관계없이, 이동블록본체(40)를 강한 힘으로 지지함으로써, 안정되게 위치결정할 수가 있다.
따라서, 제 l 파이프부(91)를 성형하기 위한 캐비티(15a), 제 2 파이프부(92)를 성형하기 위한 캐비티(15b), 제 1∼제 3 리테이너부(13a∼13c)를 성형하기위한 캐비티(15c∼15e), 방향전환로 안쪽둘레피스부(12)를 성형하기위한 캐비티(15f)의 이동블록(4)상의 위치가 정확히 정해지고, 그 결과, 방향전환로 안쪽둘레피스부(12)와 볼구름주행홈(7,8)사이, 방향전환로 안쪽둘레피스부(12)와 제 1, 제 2 파이프부(91,92)에 의해서 형성되는 볼귀환통로(9) 사이의 이음매에, 편성 오차에 의해 단차가 생기는 일이 없고, 볼(3)의 순환이 원활하게 되고, 또한, 소음의 발생도 적어진다.
여기서, 거스러미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이동블록본체(40)의 볼구름주행홈(7,8) 측테두리의 평탄부(47)와 금형(14)의 제 3, 제 4 볼록부(14a3, 14a4) 및 끼워맞춤볼록부(14a6,15c2)와 각 볼유도부(48)가 완전히 밀착하고 있을 필요는 없고, 빈틈이 벌어져 있어도, 빈틈이 성형재료의 침입을 저지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라면 허용범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형상성형부인 볼귀환통로형성부재로서의 제 1, 제 2 파이프부(91,92), 볼유지부재로서의 제 1, 제 3 리테이너부(13a∼l3c), 또한 방향전환로 안쪽둘레부형성부재로서의 방향전환로 안쪽둘레피스부(12)의 전체를 인서트성형에 의해 이동블록본체(4)와 일체성형하였지만, 적어도 1개를 인서트성형하도록 하여도 좋다.
즉, 제 1, 제 2 파이프부(91,92)만을 일체성형하는 경우, 제 1∼제 3 리테이너부(13a∼l3c)만을 일체성형하는 경우, 방향전환로 안쪽둘레피스부(12)만을 일체성형하는 경우, 제 1, 제 2 파이프부(91,92)과 제 l∼제 3 리테이너부(13a∼13c)를 일체성형하는 경우, 제 1∼제 3 리테이너부(13a∼13c)와 방향전환로 안쪽둘레피스부(12)를 일체성형하는 경우, 제 1, 제 2 파이프부(91,92)와 방향전환로 안쪽둘레피스부(12)를 일체성형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구름운동 안내장치가 나타나 있다.
이 구름운동 안내장치(201)는, 궤도레일(202)과, 이 궤도레일(202)의 좌우측면측에 상하 2열씩 합계 4열의 볼(203)을 통해 궤도레일(202)에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단면 ㄷ자형상의 이동블록(204)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있다.
궤도레일(202)은 대략 단면 사각형형상으로 성형된 긴부재로, 그 좌우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돌출부(2021)가 형성되고, 이 좌우 돌출부(2021)의 상하측면에 전동체구름주행홈으로서의 볼구름주행홈(205,206)이 설치된다.
이동블록(204)은 단면 ㄷ자형상인 높은강성의 블록체로, 궤도레일(202) 상면에 대향하는 수평부(2041)와, 이 수평부(2041)의 좌우양측단에서 궤도레일(202)의 좌우양측면을 끼워넣도록 아래쪽을 향하여 뻗는 한쌍의 다리부(2042)로 이루어지는 이동블록본체(204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좌우다리부(2042) 내측면은, 거의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면(20423)과, 좌우다리부(2042)의 밑동아리부의 외향경사면(20421) 및 첨단부의 내향경사면(20422)을 갖고 있고, 외향경사면(20421)과 내향경사면(20422)에, 각각 궤도레일(202)의 좌우측면에 형성되는 볼구름주행홈(205,206)에 해당하는 볼구름주행홈(207,208)이 2조씩 설치되어 있다.
이들, 이동블록본체(2040)와 궤도레일(202)의 대향면 사이에 형성된 서로 대응하는 4조의 볼구름주행홈(205,208;206,207)사이에 다수의 볼(203)을 개재시켜 궤도레일(202)과 이동블록본체(2040) 사이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탱하는 볼열을 구성하고 있다. 볼(203)에는 소정의 예압이 가해지고 있다. 전동체로서는, 볼 이외에 로울러등도 적용할 수 있다.
볼구름주행홈(207,208)의 양끝단부는 라운딩되어 양끝단을 향하여 서서히 깊어지는 구배가 형성된 볼유도부(2048)가 형성되어 있고, 무부하지역의 방향전환로(210)에서 서서히 하중을 지탱하여 하중지탱지역의 볼구름주행홈(205,207;206,208) 사이에 구름운동 이동시키게 되어 있다.
각 볼(203)의 볼구름주행홈(205,208;206,207)의 접촉점을 연결하는 접촉각선은, 궤도레일(202)의 중심을 향해서 수평선(H)에 대하여 좁아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구조로 되어 있고, 접촉각은 대략 45°로 설정되어 있다.
이동블록본체(2040)의 좌우다리부(2042)에는, 상기 4열의 볼을 순환안내하기위한 4조의 볼귀환통로(209)가 형성된다. 볼귀환통로(209)는, 이동블록본체(2040)에 형성된 각 볼구름주행홈(207,208)과 평행하여 직선적으로 연이어지는 구멍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동블록본체(2040)의 좌우다리부(2042)의 외측면에는, 사각형형상의 절결흠(2043)이 형성되고, 이 절결홈(2043)에 볼귀환통로(209)를 형성하는 수지제의 귀환통로형성부재(2091)가 일체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이 귀환통로형성부재(2091)에, 상하 2조의 볼귀환통로(209,209)가 형성된다.
귀환통로형성부재(2091)는 다리부(2042)의 아래끝단면을 피복하는 단면수지부(2092)와 연이어 있다.
또한, 이동블록본체(2040)의 양끝단에는, 궤도레일(202)과 이동블록본체(2040) 사이에 개재되는 볼(203)을 볼귀환통로(209)로 방향전환시키는 U자 파이프형상의 방향전환로(210)를 구성하는 측덮개(211)가 부착되어 있다. 측덮개(211) 자체에는, U자 파이프형상의 방향전환로(210)의 바깥둘레부(210a)만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동블록본체(2040)의 양끝단에는, 방향전환로(210)의 안쪽둘레부(210b)를 형성하는 방향전환로 안쪽둘레형성부재로서의 방향전환로 안쪽둘레피스부(212)가 일체적으로 접합되어 있고, 측덮개(211)와 방향전환로 안쪽둘레피스부(212)에 의하여 방향전환로(210)가 구성된다.
또한, 이동블록(204)에는, 4열의 볼(203)에 따라, 이동블록(204)을 궤도레일(202)로부터 제거하였을 때의 볼(203)의 탈락을 방지하는 볼유지부재(213)가 설치된다. 볼유지부재(213)는 수지제로, 수평부(2041)의 하면의 좌우 모서리각부에 일체적으로 접합되는 제1 리테이너부(213a)와, 좌우의 다리부(242)의 내측면 중앙부에 일체적으로 접합되는 좌우의 제 2 리테이너부(213b)와, 좌우의 다리부(242)의 안쪽면 아래끝단부에 일체적으로 접합되는 좌우의 제 3 리테이너부(213c)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제 3 리테이너부(213c)는 상기 다리부(242) 아래끝단부를 피복하는 아래끝단 피복부(2092)와 연이어 볼귀환통로형성부재(2091)와 일체로 되어 있다.
상기 제 1 리테이너부(213a)의 좌우양끝단부와 제 2 리테이너부(213b)의 상단부와의 사이에, 상단의 2열의 볼(203)이 유지되고, 좌우의 제 2 리테이너부(213b)와 제 3 리테이너부(213c)와의 사이에, 궤도레일(202) 좌우측면에 좌우 2열의 볼(203)이 유지된다.
상기 제 2 리테이너부(213b)에는, 다리부(242)의 안쪽면의 수직면이 노출하는 제 2 오목부(2046)가 형성된다. 이 제 2 오목부(2046)는 인서트성형시에 이동블록본체(2040)를 금형(214)내에 지지하기 위한 볼록부의 형상에 대응하고 있다. 이 제 2 오목부(2046)는 이동블록본체(2040)의 전체길이에 걸쳐 연이어 설치하여도 좋고, 불연속적이고 부분적으로 설치하여도 좋다.
한편, 제 1, 제 2 및 제 3 리테이너부(13a∼13c)의 볼구름주행홈(207,208)과 접하는 테두리부는, 볼구름주행홈(207,208)의 홈 측테두리와의 사이에 외향 및 내향경사면(20421,20422)의 평탄면이 노출하고 있다. 이 평탄한 외향 및 내향경사면(20421, 20422)이, 인서트성형시에 볼구름주행홈(207,208)으로의 수지재료등의 성형재료의 침입을 저지하는 용탕끈음면이 된다.
상기한 귀환통로형성부재(209), 볼유지부재(213)로서의 제 1∼제 3 리테이너부(213a∼213c) 및 방향전환로 안쪽둘레피스부(212)가, 전부 이동블록본체(2040)와 일체 성형되어 있다.
이 일체성형은, 이동블록본체(2040)를 금형(214)내에 배치하여, 금형(214) 안쪽둘레벽과 이동블록본체(2040) 사이에 상기 성형해야 할 수지성형부에 해당하는 캐비티를 형성하고, 이 캐비티내에 성형재료를 충전하여 성형하는 인서트성형에 의하고 있다.
도 6에는, 인서트성형때의 이동블록본체(2040)와 금형(214)과의 끼워맞춤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고정금형(214a)에는, 이동블록본체(2040)의 수평부(2041) 하면에 접촉하는 제 1 볼록부(214a1)와, 다리부(2042)의 안쪽면중 수직면(20423)에 접촉하는 제 2 볼록부(214a2)와, 외향경사면(20422)에 접촉하여 용탕끈음하는 제 3 볼록부(214a3)와, 내향경사면(20422)에 접촉하여 용탕끈음하는 제 4 볼록부(214a4)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볼록부(214a1) 및 제 2 볼록부(214a2)는, 이동블록본체(2040)의 전체길이에 걸쳐 연속하여 뻗어 있을 필요는 없고, 불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지만, 제 3, 제 4 볼록부(214a3,214a4)는 볼구름주행홈(207,208)의 전체길이에 걸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가동금형(214c)에는 볼귀환통로(209)를 성형하기위한 핀(214d)이 설치된다.
좌우의 다리부(2042) 외측면의 절결부(2043)에는 귀환통로형성부재(2091)를 성형하기 위한 캐비티(215a)가, 수평부(241) 및 다리부(242)의 안쪽둘레에는 제 1∼제 3 리테이너부(213a∼213c)를 성형하기 위한 캐비티(215b∼215d)가, 이동블록본체(2040)의 전후양끝단에는 방향전환로 안쪽둘레피스부(212)를 성형하기 위한 캐비티(215e)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 1 볼록부(214a1)는 좌우의 캐비티(215b)의 사이에 돌출하고, 제 2 볼록부(214a2)가 캐비티(215c)에 돌출하며, 볼구름주행홈(207,208) 이외의 일반면인 이동블록본체(2040)의 수평부(2041) 하면과 다리부(2042) 내측면의 수직면(20423)에 접촉한다. 또한, 제 3 볼록부(214a3)가 수평부(2041)의 볼구름주행홈(207)의 홈 측테두리에, 제 4 볼록부(214a4)가 다리부(2042) 내측면의 내향경사면(20422)에 접촉하여, 이동블록본체(2040)의 폭방향 및 높이 방향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진다.
즉, 이동블록본체(2040)의 높이방향의 위치결정은, 수평부(2041) 하면에 맞닿는 제 1 볼록부(214a1) 및 양다리부(2042)의 내측면의 외향 및 내향경사면(20421, 20422)에 맞닿는 제 3 및 제 4 볼록부(214a3,214a4)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이동블록본체(2040)의 폭방향의 위치결정은, 제 2∼제 4 볼록부(214a2∼214a4)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제 3, 제 4 볼록부(214a3,214a4)에 의하여 이동블록본체(2040)의 볼구름주행홈(207,208)으로의 수지등의 성형재료의 침입을 저지할 수 있다.
한편, 이동블록본체(2040)의 길이 방향의 위치결정은, 이동블록본체(2040)의 길이방향 길이끝단벽이 접촉하는 고정금형(214a)의 저벽(214a5)과 가동금형(214c)의 끝단벽(214c1)에 따라 이루어진다.
볼구름주행홈(207,208)의 양끝단부의 용탕끈음은, 도 6(b), (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구름주행홈(207,208)의 양끝단부에 형성된 라운딩형상의 볼유도부(2048)에 끼워맞춤하는 끼워맞춤볼록부(214a6,214c2)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블록본체(2040)의 폭방향, 높이 방향 및 길이 방향의 위치결정이 볼구름주행홈(207,208)과는 다른 일반면에서 행하여지기 때문에, 볼구름주행홈(207,208)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볼구름주행홈(207,208)과는 관계없이 이동블록본체(2040)를 강한 힘으로 지지함으로써 안정하게 위치결정할 수가 있다.
특히, 볼귀환통로형성부재(2091)를 성형하기 위한 캐비티(215a), 제 1∼제 3 리테이너부(213a∼213c)를 성형하기 위한 캐비티(215c∼215e), 방향전환로 안쪽둘레피스부(212)를 성형하기 위한 캐비티(125f)와 이동블록본체(2040)의 위치관계가 정확하게 정해진다.
[제 3 실시형태]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구름운동 안내장치(301)는, 궤도레일(302)과, 이 궤도레일(302)의 좌우측면측에 상하 2열씩 합계 4열의 볼(303)을 통해 궤도레일(302)에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단면 ㄷ자형상의 이동블록(304)을 구비한 구성이다.
궤도레일(303)은 대략 단면 사각형형상으로 성형된 긴부재로, 거의 수직의 좌우측면에 전동체구름주행홈으로서의 볼회전주행홈(305,306)이 2조씩 설치된다.
이동블록(304)은 단면 ㄷ자형상의 높은강성의 블록체로, 궤도레일(302) 상면에 대향하는 수평부(3041)와, 이 수평부(3041)의 좌우양측단에서 궤도레일(302)의 좌우측면을 끼워넣도록 아래쪽을 향하여 뻗는 한쌍의 다리부(3042)로 이루어지는 이동블록본체(304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좌우다리부(3042) 내측면은 거의 수직면에서, 각각 궤도레일(302)의 좌우측면에 형성되는 볼구름주행홈(305,306)에 대응하는 볼구름주행홈(307,308)이 2조씩 설치된다.
이들, 이동블록본체(3040)와 궤도레일(302)의 대향면사이에 형성된 서로 대응하는 4조의 볼구름주행홈(305,307;306,308) 사이에 다수의 볼(303)을 개재시켜 궤도레일(302)과 이동블록본체(3040) 사이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탱하는 볼열을 구성하고 있다. 볼(303)에는 소정의 예압이 가해지고 있다. 전동체로서는, 볼 이외에도 로울러등도 적용할 수 있다.
볼구름주행홈(307,308)의 양끝단부는 라운딩되어 양끝단을 향해서 서서히 깊어지는 구배가 형성된 볼유도부(3048)가 형성되어 있고, 무부하지역의 방향전환로(310)에서 서서히 하중을 지탱하여 하중지탱지역의 볼구름주행홈(305,307;306,308) 사이에 구름운동 이동시키게 되어 있다.
이동블록본체(3040)의 좌우다리부(3040)에는, 상기 4열의 볼을 순환안내하기위한 4조의 볼귀환통로(309)가 형성된다. 볼귀환통로(309)는, 이동블록본체(304)에 형성된 각 볼구름주행홈(307,308)과 평행하여 직선적으로 뻗는 구멍에 의해서 구성된다.
이동블록본체(3040)의 좌우다리부(3042)에는 관통구멍(3043)이 형성되고, 이 관통구멍(3043)에 볼귀환통로(309)를 형성하는 수지제의 귀환통로형성부재(3091)가 일체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이 귀환통로형성부재(3091)에, 상하 2조의 볼귀환통로(309,309)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동블록본체(3040)의 양끝단에는, 궤도레일(302)과 이동블록본체(3040) 사이에 개재되는 볼(303)을 볼귀환통로(309)로 방향전환시키는 U자 파이프형상의 방향전환로(310)를 구성하는 측덮개(311)가 부착되어 있다. 측덮개(311) 자체에는, U자 파이프형상의 방향전환로(310)의 바깥둘레부(310a)만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동블록본체(3040)의 양끝단에는, 방향전환로(310)의 안쪽둘레부(310b)를 형성하는 방향전환로 안쪽둘레형성부재로서의 방향전환로 안쪽둘레피스부(312)가 일체적으로 접합되어 있고, 측덮개(311)와 방향전환로 안쪽둘레피스부(312)에 의하여 방향전환로(310)가 구성된다.
또한, 이동블록본체(3040)의 볼구름주행홈(307,308) 측테두리에는,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와 달리, 볼(303)의 탈락을 방지하는 볼유지부재가 설치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한 귀환통로형성부재(309)와 방향전환로 안쪽둘레피스부(312)가, 이동블록본체(3040)와 일체성형되어 있다.
이 일체성형은, 이동블록본체(3040)를 금형(314)내에 배치하여, 금형(314) 안쪽둘레벽과 이동블록본체(3040) 사이에 상기 성형해야 할 수지성형부에 대응하는 캐비티를 형성하고, 이 캐비티내에 성형재료를 충전하여 성형하는 인서트성형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8에는, 인서트성형시의 이동블록본체(3040)와 금형(314)과의 끼워맞춤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고정금형(314a)에는, 이동블록본체(3040)의 수평부(3041) 하면에 접촉하는 제 1 볼록부(314a1)와, 다리부(3042)의 수직면(30423)에 접촉하는 제 2 볼록부(314a2)와, 수평부(3041)의 상면을 누르는 제 3 볼록부(314a3)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내지 제 3 볼록부(314a1∼314a3)는, 이동블록본체(3040)의 전체길이에 걸쳐 연속하여 뻗어있을 필요는 없고, 불연속적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가동금형(314c)에는 볼귀환통로(309)를 성형하기 위한 핀(314d)이 설치된다.
좌우의 다리부(3042)의 관통구멍(3043)에는 귀환통로형성부재(3091)를 성형하기 위한 캐비티(315a)가, 이동블록본체(3040)의 전후양끝단에는 방향전환로 안쪽둘레피스부(312)를 성형하기 위한 캐비티(315E)가 각각 형성된다.
제 1∼제 3 볼록부(314a1∼314a3)는, 볼구름주행홈(307,308) 이외의 일반면인 이동블록본체(3040)의 수평부(3041)의 하면, 다리부(3042)의 내측면(30423) 및 수평부(3041)의 표면을 지지하여, 이동블록본체(3040)의 폭방향 및 높이 방향의 위치결정을 한다.
즉, 이동블록본체(3040)의 높이방향의 위치결정은, 수평부(3041)의 하면에 접촉하는 제 1 볼록부(314a1)와 표면에 접촉하는 제 3 볼록부(314a3)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이동블록본체(3040)의 폭방향의 위치결정은, 좌우다리부(3042)의 내측면(3043)에 접촉하는 제 2 볼록부(314a2)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이동블록본체(3040)의 길이 방향의 위치결정은, 이동블록본체(3040)의 길이방향 길이끝단벽이 접촉하는 고정금형(314a)의 저벽(314a4)과 가동금형(314c)의 끝단벽(314c1)에 의해 이루어진다.
볼구름주행홈(307,308)의 양끝단부의 용탕끈음은, 볼구름주행홈(307,308)의 양끝단부에 형성된 라운딩 형상의 볼유도부(348)에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볼록부(314a5,314c2)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블록본체(3040)의 폭방향, 높이방향 및 길이방향의 위치결정이 볼구름주행홈(307,308)과는 다른 일반면에서 행하기 때문에, 볼구름주행홈(307,308)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소정위치에 정확히 위치결정할 수가 있다.
특히, 볼귀환통로형성부재(3091)를 성형하기 위한 캐비티(315a) 및 방향전환로 안쪽둘레피스부(312)를 성형하기 위한 캐비티(315f)와 이동블록본체(3040)의 위치관계가 정확히 정해진다.
또한, 볼구름주행홈(307,308)의 양끝단부의 볼유도부(348)에서 용탕끈음함으로써, 볼구름주행홈(307,307)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수지등의 성형재료의 침입을 저지할 수가 있다.
[제 4 실시형태]
도 9 내지 도 11에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구름운동 안내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 구름운동 안내장치(401)는, 궤도레일(402)과, 이 궤도레일(402)의 좌우측면측에 l열씩 합계 2열의 볼(403)을 통해 궤도레일(2)에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단면 ㄷ자형상의 이동블록(404)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궤도레일(402)은 대략 단면 사각형형상으로 성형된 긴부재로, 그 좌우측면상반부는, 윗쪽을 향하여 서서히 안쪽으로 좁아지는 테이퍼면(4021)으로 되어 있고, 이 테이퍼면(4021)에 전동체구름주행홈으로서의 볼구름주행홈(405)이 좌우에 1조씩 설치된다.
이동블록(404)은 단면 ㄷ자형상의 높은강성의 블록체로, 궤도레일(402) 표면에 대향하는 수평부(4041)와, 이 수평부(4041)의 좌우양측단에서 궤도레일(402)의 좌우양측면을 끼우도록 아래쪽으로 향하여 뻗는 한 쌍의 다리부(4042,4042)로 이루어지는 이동블록본체(4040)를 구비하고 있다. 좌우다리부(4042,4042)내측면에는, 궤도레일(402)의 좌우측면에 형성되는 볼구름주행홈(405,405)에 대응하는 볼구름주행홈(407,407)이 1조씩 형성된다. 이 좌우다리부(405,405)의 내측면(40421)은 아래쪽으로 향해 벌어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외향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이들, 이동블록(4040)과 궤도레일(402)의 대향면 사이에 형성된 서로 대응하는 4조의 볼구름주행홈(405,407) 사이에 다수의 볼(403)을 개재시켜 궤도레일(402)과 이동블록(404) 사이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탱하는 볼열을 구성하고 있다. 볼(403)에는 소정의 예압이 가해지고 있다. 전동체로서는, 볼(403) 이외의 로울러등도 적용할 수 있다.
볼구름주행홈(407)의 양끝단부는 라운딩되어 양끝단을 향해서 서서히 깊어지는 구배가 형성된 볼유도부(4048)가 형성되어 있고, 무부하지역의 방향전환로(410)에서 서서히 하중을 지탱하여 하중지탱지역의 볼구름주행홈(405,407) 사이에 구름운동 이동시키게 되어 있다.
각 볼(403)의 볼구름주행홈(405,407)과의 접촉점을 맺는 접촉각선(L4)은, 궤도레일의 중앙을 향하여 서서히 내려가는 방향으로 소정각도(α4) 경사져 있다.
이동블록(404)에는, 상기 2열의 볼(403)을 순환안내하기 위한 2조의 볼귀환통로(409)가 형성된다. 볼귀환통로(409)는, 이동블록(404)에 형성된 각 볼구름주행홈(407)과 평행하여 직선적으로 뻗는 구멍에 의해서 구성되고, 좌우의 다리부(4042)에 1조씩 형성되어 있다.
이동블록(4040)의 좌우다리부(4042)의 외측면 아래끝단다리부에는 원호형상의 오목부(4043)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4043)에 볼귀환통로(409)를 형성하는 수지제의 파이프부(4091)가 일체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이 파이프부(4091)는 다리부(4042)의 아래끝단면을 피복하는 아래끝단면 수지부(4092)와 연속하고 있다. 이 아래끝단면 수지부(4092)의 첨단에는, 다리부(4042) 아래끝단면에 형성된 걸어맞춤홈(4042a)에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돌기(4092a)가 형성된다.
또한, 이동블록(4040)의 양끝단에는, 궤도레일(402)과 이동블록(4040) 사이에 개재되는 볼(403)을 볼귀환통로(409)로 방향전환시키는 U자 파이프형상의 방향전환로(410)를 구성하는 측덮개(411)가 부착되어 있다. 측덮개(411) 자체에는, U자 파이프형상의 방향전환로(410)의 바깥둘레부(410a)만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동블록(4040)의 양끝단에는, 방향전환로(410)의 안쪽둘레부(410b)를 형성하는 방향전환로 안쪽둘레형성부재로서의 방향전환로 안쪽둘레피스부(4012)가 일체적으로 접합되어 있고, 측덮개(411)와 방향전환로 안쪽둘레피스부(412)에 의해 방향전환로(410)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귀환통로형성부재로서의 파이프부(4091) 및 방향전환로 안쪽둘레피스부(412)가, 이동블록(4040)과 일체성형되어 있다.
이 일체성형은, 이동블록(4040)을 금형내에 배치하고, 금형내벽과 이동블록(4040) 사이에 상기 성형해야 할 수지성형부에 대응하는 캐비티를 형성하여, 이 캐비티내에 성형재료를 충전하여 성형하는 인서트성형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11에는, 인서트성형시의 이동블록(4040)과 금형(414)과의 끼워맞춤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고정금형(414a)에는, 이동블록(4040)의 수평부(4041)의 표면에 접촉하는 제 1 볼록부(414a1)와, 좌우다리부(4042)의 기울어진 외향경사면(40421)에 밀접하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다리부(4042)의 외측면에는 볼귀환통로(409)를 성형하기 위한 핀(414b)이 삽입되는 오목부(4043)가 형성되어 있고, 고정금형(414a)에는 이 오목부(4043)의 각부에 걸어맞춤하는 단부(414a3)가 형성된다. 이 오목부(4043)와 핀(414b)의 사이에 파이프부(4091)를 성형하기 위한 캐비티(415a)가 형성된다.
또한, 이동블록판(4040)의 전후양끝단에는 방향전환로 안쪽둘레피스부(412)를 성형하기 위한 캐비티(415b)가 각각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볼록부(414a1)에 의해서 수평부(4041) 표면이 지지되고, 제 2 볼록부(414a2)에 의해서 수평부(4041) 하면이 지지되어 이동블록(4040)의 높이 방향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제 2 볼록부(414a2)의 좌우측면에 의해서 이동블록(4040)의 다리부(4042)의 내측면(40421)이 지지되어 이동블록(4040)의 폭방향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제 2 볼록부(414a2)의 좌우측면이 지지 다리부(4042)의 내측면(40421)에 쐐기형상으로 끼워맞춤되기 때문에, 볼구름주행홈(407,407) 안쪽둘레에 거스러미가 발생하는 경우는 없다.
또한, 이동블록(4040)의 길이방향끝단면은, 고정금형(414a)의 저면(414a4)과 가동금형(414c)의 끝단벽(414c1)에 의해 형틀닫힘 방향으로 지지되어 위치결정된다.
이와 같이, 이동블록(4040)이 금형(414)내에 흔들림이 없고 안정되게 위치 결정되기 때문에, 볼귀환통로(409)를 형성하는 파이프부(4091)를 성형하기 위한 캐비티(415a)가 이동블록(4040)의 주위에 정확히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좌우다리부(4042)의 외각부의 오목부(4043)의 위끝단부(4043a)가 금형(4014) 안쪽둘레의 단부(414a3)에 접촉하고 있어, 이동블록(4040)은 한층 더 안정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볼구름주행홈(407)의 양끝단부의 용탕끈음은, 볼구름주행홈(407)의 양끝단부에 형성된 라운딩 형상의 볼유도부(4048)에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오목부(414a5,414c2)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제 5 실시형태]
도 12 내지 도 14에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구름운동 안내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 구름운동 안내장치(501)는, 궤도레일(502)과, 이 궤도레일(502)의 표면측의 좌우양측끝단 내의 일측끝단부에 설치되는 볼(503)과, 궤도레일(502)의 좌우측면중의 상기 볼(503)과는 반대측의 다른 측면에 설치되는 볼(503)을 개재하여 이동 자유롭게 지지되는 이동블록(504)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궤도레일(502)은 대략 단면 사각형형상으로 성형된 긴부재로, 그 상면의 도면중 좌측끝단에 전동체구름주행홈으로서의 1조의 볼구름주행홈(5)이 형성된다. 한편, 궤도레일(502)의 도면중 우측면의 상반부는, 윗쪽에 향하여 서서히 외측으로 돌출하는 테이퍼면(5021)으로 되어 있고, 이 테이퍼면(5021)에 전동체구름주행홈으로서의 1조의 볼구름주행홈(506)이 형성된다.
이동블록(504)은 단면 L자형형상의 높은강성의 블록체로, 궤도레일(502) 상면에 대향하는 수평부(5041)와, 이 수평부(5041)의 우측끝단에서 궤도레일(502)의 우측면에 대향하도록 아래쪽을 향하여 뻗는 다리부(5042)로 이루어지는 이동블록본체(5040)를 구비하고 있다. 수평부(5041)의 하면에는, 궤도레일(502)의 표면에 형성된 볼구름주행홈(505)에 대응하는 볼구름주행홈(505)이 형성되고, 또한, 다리부(5042) 내측면에는, 궤도레일(502)의 좌우측면에 형성되는 볼구름주행홈(505)에 대응하는 볼구름주행홈(508)이 형성된다.
수평부(5041)의 하면에 형성되는 볼구름주행홈(507)은, 수평부(5041) 하면에 형성된 오목부(50411)의 경사진 위바닥(50412)에 형성된다. 또한, 다리부(5042)의 내측면의 아래끝단부 근방에는 아래쪽으로 향하여 서서히 안쪽으로 좁아지는 내향경사면(50422)이 형성되어 있고, 이 내향경사면(50422)에 볼구름주행홈(508)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이동블록본체(5040)와 궤도레일(502)의 대향면 사이에 형성된 서로 대응하는 2조의 볼구름주행홈(505,507;506,508) 사이에 다수의 볼(503)을 개재시켜 궤도레일(502)과 이동블록본체(5040) 사이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탱하는 볼열을 구성하고 있다. 볼(503)에는 소정의 예압이 가해지고 있다. 전동체로서는, 볼(503) 외에 로울러등도 적용할 수 있다.
볼구름주행홈(507,508)의 양끝단부는 라운딩되어 양끝단을 향하여 서서히 깊어지는 구배가 형성된 볼유도부(5048)가 형성되어 있고, 무부하지역의 방향전환로(510)에서 서서히 하중을 지탱하여 하중지탱지역의 볼구름주행홈(505,507;506,508) 사이에 구름운동 이동시키게 되어 있다.
궤도레일(502) 상면측의 볼(503)의 볼구름주행홈(505,507)과의 접촉점을 맺는 접촉각선(L3)은 볼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V)에 대하여 반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α1)만큼만 기울어진 경사선으로 되어 있고, 궤도레일(502)의 측면측의 볼(503)의 볼구름주행홈(506,508)과의 접촉점을 맺는 접촉각선(L3)은 볼(503)의 중심을 지나는 수평선(H)에 대하여 시계회전에 소정각도(α2)만큼 기울어진 경사선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동블록(504)에는, 상기 2열의 볼(503)을 순환안내하기 위한 2조의 볼귀환통로(509)가 형성된다. 볼귀환통로(509)는, 이동블록(504)에 형성된 각 볼구름주행홈(505,506)과 평행하여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구멍에 의해서 구성되고, 수평부(5041)의 좌측 위다리부와, 다리부(5042)의 오른쪽 아래모서리부에 설치된다.
이동블록본체(5040)의 수평부(5041)의 좌측위다리부에는 원호형상의 오목부(5043)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5043)에 볼귀환통로(509)를 형성하는 수지제의 제 l 파이프부(50091)가 일체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이 제 1 파이프부(5091)는 수평부(5041)의 좌측면을 피복하는 측면수지부(5093)와, 수평부(5041)의 좌측하면을 피복하는 하면수지부(5094)와 연속하고 있다.
한편, 이동블록본체(5040)의 다리부(5042)의 오른쪽 아래모서리부에는, 원호형상의 오목부(5044)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5044)에 볼귀환통로(509)를 형성하는 수지제의 제 2 파이프부(5092)가 일체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이 제 2 파이프부(5092)는 다리부(42)의 외측면을 피복하는 측면수지부(5095)와, 다리부(5042)의 아래끝단면을 피복하는 단면피복부(5094)와 연속하고 있다.
또한, 이동블록본체(5040)의 양끝단에는, 궤도레일(502)과 이동블록본체(5040) 사이에 개재되는 볼(503)을 볼귀환통로(509)로 방향전환시키는 U자 파이프형상의 방향전환로(510)를 구성하는 측덮개(511)가 부착되어 있다. 측덮개(511) 자체에는, U자 파이프형상의 방향전환로(510)의 바깥둘레부(510a)만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동블록(4)의 양끝단에는, 방향전환로(510)의 안쪽둘레부(510b)를 형성하는 방향전환로 안쪽둘레형성부재로서의 방향전환로 안쪽둘레피스부(512)가 일체적으로 접합되어 있고, 측덮개(511)와 방향전환로 안쪽둘레피스부(512)에 의해 방향전환로(510)가 구성된다.
또한, 이동블록본체(5040)에는, 2열의 볼을 따라서 이동블록본체(5040)를 궤도레일(502)로부터 제거했을 때의 볼(503)의 탈락을 방지하는 볼유지부재(513)가 설치되어 있다. 볼유지부재(513)은 수지제로, 수평부(5041)에 형성한 볼구름주행홈(507)의 양측테두리를 끼워넣도록 뻗는 한쌍의 제 1, 제 2 리테이너부(513a,513b)와, 다리부(5042)에 형성된 볼구름주행홈(508)의 양측테두리를 끼워넣도록 뻗는 한쌍의 제 3, 제 4 리테이너부(513c,513d)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리테이너부(513a)는 오른쪽 하면피복부(5094)와 연속하여 제 1 파이프부(5091)와 일체로 되어있다. 또한, 제 2 리테이너부(513b)와 제 3 리테이너부(513c)는, 수평부(341) 아래면을 피복하는 중앙아래면 피복부(5097)를 통해 연속하고 있다. 또한, 제 4 리테이너부(513d)는 단면피복부(5096)와 연속하여, 제 2 파이프부(5092)와 일체로 되어있다.
한편, 제 1, 제 2 및 제 3 리테이너부(513a∼513c)의 볼구름주행홈과 접하는 가장자리는, 볼구름주행홈(507,508)의 홈 측테두리와의 사이에 평탄부(547)가 노출하고 있다. 이 평탄부(547)에는, 인서트성형시에 볼구름주행홈(507,508)으로의 성형재료의 침입을 저지하는 볼록부가 접촉한다.
그리고, 상기한 귀환통로형성부재로서의 제 1, 제 2 파이프부(5091,5092), 볼유지부재(513)로서의 제 1∼제 4 리테이너부(513a∼513d) 및 방향전환로 안쪽둘레피스부(5040)가, 전부 이동블록본체(5040)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이 일체성형도, 이동블록본체(5040)에 형성한 볼구름주행홈(507,508)을 기준이동블록본체(5040)를 금형내에 배치하여, 금형내벽과 이동블록본체(5040)사이에 상기 성형해야 할 수지성형부에 대응하는 캐비티를 형성하고, 이 캐비티내에 성형재료를 충전하여 성형하는 인서트성형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도 14에는, 인서트성형시의 이동블록본체(5040)와 금형(514)과의 끼워맞춤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금형의 고정금형(514a)에는, 이동블록본체(5040)의 수평부(5041)의 상하면에 접촉하는 제 1, 제 2 볼록부(514a1,514a2)와, 수평부(5041)의 오목부 위바닥(50412)에 접촉하여 볼구름주행홈(507)의 양측테두리에 걸어맞춤하는 제 3 볼록부(514a3)와, 다리부(5042)의 내측면중 내향경사면(50422)에 걸어맞춤하는 제 4 볼록부(514a4)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볼록부(514a1) 및 제 2 볼록부(514a2)는, 이동블록본체(5040)의 전체길이에 걸쳐 연속하여 뻗어있을 필요는 없고, 불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지만, 제 3, 제 4 볼록부(514a3,514a4)는 볼구름주행홈(507,508)의 전체길이에 걸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수평부(5041)의 좌측 위모서리부의 오목부(5043)에 핀(514d)이 삽입되어, 제 1 파이프부(5091)를 성형하기 위한 캐비티(515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동블록본체(5040)의 다리부(5042)의 외측면에 설정된 오목부(5044)에도 핀(514d)이 삽입되어, 오목부(5045) 내에 제 2 파이프부(5092)를 성형하기위 한 캐비티(515b)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금형(514a) 안쪽둘레에는, 수평부(5041)의 왼쪽 위모서리부의 오목부(5043)의 위끝단부에 접촉하는 제 1 단부(514a5), 다리부(5042)의 오른쪽 아래모서리부의 오목부(5044)의 위끝단부에 접촉하는 제 2 단부(514a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평부(5041) 및 다리부(5042)의 안쪽둘레에는 제 1∼제 4 리테이너부(513a∼513d)를 성형하기 위한 캐비티(515c∼515f)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동블록본체(5040)의 전후양끝단에는 방향전환로 안쪽둘레피스부를 성형하기 위한 캐비티(515f)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볼록부(514a1)에 의해서 이동블록본체(5040)의 수평부(5041) 표면이 지지되고, 제 2 볼록부(514a2)에 의해서 수평부(5041)의 하면이 지지되어, 이동블록본체(5040)의 높이 방향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제 3 볼록부(514a3)와 제 4 볼록부(514a4), 또한 제 1, 제 2 단부(514a5, 514a6)에 의해서 이동블록본체(5040)의 폭방향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제 3, 제 4 볼록부(514a3,514a4)에 의해서 이동블록본체(5040)의 볼구름주행홈(507,508)의 성형재료의 침입을 저지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이동블록본체(5040)는 금형(514)내에서 소정위치에 위치결정되어 있다.
한편, 이동블록본체(5040)의 길이방향의 위치결정은, 고정금형(514a)의 바닥벽(514a7)과 가동금형(514c)의 끝단벽부(514c1)에 의해서 지지된다.
이 볼구름주행홈(507,508)의 양끝단부의 용탕끈음은, 볼구름주행홈(507,508)의 양끝단부에 형성된 라운딩 형상의 방향전환유도부(548)에 끼워맞춤부(514a8,514c2)를 걸어맞춤시켜 용탕끈음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블록본체(5040)의 폭방향, 높이 방향 및 길이 방향의 위치결정이 볼구름주행홈(507,508)과는 다른 일반면에서 행하기 때문에, 볼구름주행홈(507,508)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볼구름주행홈(507,508)의 양끝단과 측테두리의 적어도 한쪽에서 용탕끈음함으로써, 볼구름주행홈(507,508)내로의 성형재료의 침입을 저지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볼구름주행홈(507,508)과는 무관하게, 이동블록본체(5040)를 강한 힘으로 지지함으로써, 안정되게 위치 결정할 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금형내에서의 이동블록본체의 폭방향, 높이 방향 및 길이 방향의 위치 결정이 전동체구름주행홈과는 다른 일반면에서 행하기 때문에, 전동체구름주행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동체구름주행홈의 양끝단과 측테두리의 적어도 한쪽에서 용탕끈음함으로써, 전동체구름주행홈내로의 성형재료의 침입을 저지할 수가 있다.
따라서, 전동체구름주행홈과는 무관하게, 이동블록본체를 강한 힘으로 지지함으로써, 안정되게 위치 결정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름운동 안내장치의 이동블록 성형방법은, 직선볼 안내장치, 볼스플라인, 볼부시등의 전동체를 통하여 궤도레일에 이동 자유롭게 조립되는 이동블록에 유용하고, 특히 수지부를 이동블록본체와 일체성형하는 데 적합하다.

Claims (7)

  1. 전동체구름주행홈이 형성된 궤도레일과,
    이 궤도레일의 전동체구름주행홈과 대향하는 전동체구름주행홈을 가지며, 궤도레일을 따라 이동 자유롭게 설치되는 이동블록과,
    상기 궤도레일과 이동블록의 대향하는 전동체구름주행홈 사이에 개재되는 전동체열을 구비하며,
    이동블록에는 상기 전동체열을 순환시키는 순환로가 설정되고, 이 순환로의 적어도 일부를 형상성형부에 의하여 구성하며, 이 형상성형부를 이동블록본체를 금형내에 배치하는 인서트성형에 의해서 이동블록본체와 일체성형하는 구름운동 안내장치의 이동블록 성형방법이고,
    금형내에서, 상기 이동블록본체의 전동체구름주행홈이 형성되지 않은 일반면을 지지하여 이동블록본체의 폭방향과 높이 방향의 위치결정을 함과 동시에, 상기이동블록본체의 길이방향 양끝단면을 지지하여 이동블록본체의 길이방향의 위치결정을 하며,
    전동체구름주행홈의 양끝단 또는 양측테두리에서 용탕끈음을 하여 전동체구름주행홈내로 성형재료의 침입을 저지하고,
    상기 형상성형부를 블록본체와 일체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름운동 안내장치의 이동블록 성형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이동블록본체가, 폭방향과 길이방향으로 넓어지는 수평부와, 이 수평부의 폭방향 양끝단부에서 궤도레일의 측면과 대향하도록 높이방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다리부를 구비하고,
    다리부의 내측면이, 다리부의 돌출끝단을 향해서 서서히 궤도레일측을 향하여 기울어지는 경사면을 갖는 경우에는,
    금형내에서, 적어도 양다리부의 양내측면의 경사면과 상기 수평부의 하면을 지지하여, 이동블록본체의 폭방향과 높이방향의 위치결정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름운동 안내장치의 이동블록 성형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이동블록본체가, 폭방향과 길이방향으로 넓어지는 수평부와, 이 수평부의 폭방향 양끝단부에서 궤도레일의 측면과 대향하도록 높이방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다리부를 구비하며,
    다리부의 내측면이 거의 수직면을 갖는 경우에는,
    금형내에서, 적어도 양다리부의 양내측면의 수직면과, 수평부의 하면 및 표면을 지지하여, 이동블록본체의 폭방향과 높이방향의 위치결정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름운동 안내장치의 이동블록 성형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이동블록본체가, 폭방향과 길이방향으로 넓어지는 수평부와, 이 수평부의 폭방향 양끝단부에서 궤도레일의 측면과 대향하도록 높이방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다리부를 구비하며,
    다리부의 내측면이 다리부의 돌출끝단을 향하여 서서히 궤도와 반대측으로 지울어지는 경사면을 갖는 경우에는,
    금형내에서, 적어도 양다리부의 양내측면의 경사면과 수평부의 표면을 지지하여, 이동블록본체의 폭방향과 높이방향의 위치결정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름운동 안내장치의 이동블록 성형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이동본체가, 폭방향과 길이방향으로 넓어지는 수평부와, 이 수평부의 폭방향 일끝단부에서 궤도레일의 일측면과 대향하도록 높이방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다리부를 구비하며,
    다리부의 내측면이 거의 수직면 또는 돌출끝단을 향하여 서서히 궤도레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면을 갖는 경우에는,
    금형내에서, 적어도 다리부의 내측면의 수직면 또는 경사면 및 외측면과, 수평부의 하면 및 표면을 지지하여, 이동블록본체의 폭방향과 높이방향의 위치결정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름운동 안내장치의 이동블록 성형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동블록본체의 길이방향의 위치결정은, 이동블록본체의 전동체구름주행홈의 양끝단에 형성된 방향전환유도부를 지지함으로써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름운동 안내장치의 이동블록 성형방법.
  7. 순환로는, 이동블록에 형성되는 전동체구름주행홈과, 이 전동체구름주행홈과 병행하여 형성되는 전동체귀환통로와, 상기 전동체구름주행홈과 전동체귀환통로 사이를 연결하는 방향전환로를 구비하며,
    형상성형부는, 전동체구름주행홈의 양측테두리에 설치되는 전동체유지부, 전동체귀환통로를 형성하는 귀환통로형성부 및 방향전환로의 안쪽둘레안내부를 형성하는 방향전환로 안쪽둘레안내형성부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형성하는 것인 구름운동 안내장치의 이동블록 성형방법.
KR10-1998-0704474A 1996-10-14 1997-10-14 구름운동안내장치의이동블록성형방법 KR1003603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9116196A JP3299455B2 (ja) 1996-10-14 1996-10-14 転がり運動案内装置の移動ブロックの成形方法
JP96-291161 1996-10-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2142A true KR19990072142A (ko) 1999-09-27
KR100360323B1 KR100360323B1 (ko) 2003-04-10

Family

ID=17765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4474A KR100360323B1 (ko) 1996-10-14 1997-10-14 구름운동안내장치의이동블록성형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080351A (ko)
EP (1) EP0863324B1 (ko)
JP (1) JP3299455B2 (ko)
KR (1) KR100360323B1 (ko)
CN (1) CN1071865C (ko)
DE (1) DE69729175T2 (ko)
TW (1) TW359726B (ko)
WO (1) WO199801675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1989B1 (ko) * 2000-11-17 2006-03-17 티에치케이 가부시끼가이샤 안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2005A (en) 1992-09-14 1994-12-13 Lawler; Shawn P.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generation
JP3571911B2 (ja) * 1997-06-16 2004-09-29 Thk株式会社 直線運動案内装置
JP4062574B2 (ja) * 1999-09-07 2008-03-19 Thk株式会社 転動体連結体の製造方法
DE10248236A1 (de) * 2002-10-16 2004-04-29 Ina-Schaeffler Kg Linearführungseinheit
EP1830080B1 (en) * 2004-12-21 2012-02-22 Thk Co., Ltd. Movement guiding device
CN100480525C (zh) * 2005-02-05 2009-04-22 上银科技股份有限公司 具滚动元保持链线性滑轨
JP5236462B2 (ja) * 2006-04-28 2013-07-17 Thk株式会社 ねじ装置
CN100348353C (zh) * 2006-04-29 2007-11-14 林怡如 直线滚动导轨的滚动滑块制造方法
EP2068016B1 (en) * 2006-09-29 2010-05-12 THK Co., Ltd. Linear guidance device
TWI500858B (zh) * 2012-12-11 2015-09-21 Chieftek Prec Co Ltd 線性滑軌之滾動體保持鏈導引溝槽構造
DE102014210180A1 (de) * 2014-05-28 2015-12-03 Robert Bosch Gmbh Führungswagen mit Wälzkörperführungsteil aus einem Elastomer
JP6981746B2 (ja) * 2016-10-26 2021-12-17 日本トムソン株式会社 直動案内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448B2 (ja) * 1991-09-19 1995-03-06 テイエチケー株式会社 リニアベアリング用スライダ及びその製造法
JPH0666319A (ja) * 1992-06-19 1994-03-08 Nippon Thompson Co Ltd 転がり案内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3349238B2 (ja) * 1994-01-24 2002-11-20 テイエチケー株式会社 直線案内装置
JP3412914B2 (ja) * 1994-05-20 2003-06-03 Thk株式会社 転がり案内装置および転がり案内装置の移動ブロックの製造方法
US5755516A (en) * 1994-05-20 1998-05-26 Thk Co., Ltd. Rolling guide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movable block of rolling guide apparatus
JP3301873B2 (ja) * 1994-11-18 2002-07-15 光洋精工株式会社 樹脂巻き部品の成形方法
JPH1047343A (ja) * 1996-08-06 1998-02-17 Thk Kk 直線案内装置のスライ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1989B1 (ko) * 2000-11-17 2006-03-17 티에치케이 가부시끼가이샤 안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8016755A1 (fr) 1998-04-23
JPH10122237A (ja) 1998-05-12
US6080351A (en) 2000-06-27
DE69729175D1 (de) 2004-06-24
JP3299455B2 (ja) 2002-07-08
CN1071865C (zh) 2001-09-26
DE69729175T2 (de) 2005-05-04
EP0863324B1 (en) 2004-05-19
EP0863324A1 (en) 1998-09-09
KR100360323B1 (ko) 2003-04-10
EP0863324A4 (en) 2000-03-01
TW359726B (en) 1999-06-01
CN1211305A (zh) 1999-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72142A (ko) 구름운동안내장치의이동블록성형방법
KR100300768B1 (ko) 직선 로울러 안내장치
KR100319446B1 (ko) 복렬 볼체인을 갖춘 직선운동 안내장치
US4576421A (en) Linear slide bearing
KR100755419B1 (ko) 직선운동안내장치
CA2058558C (en) Linear motion bearing
EP1048860B1 (en) Spacer for linear motion apparatus and linear motion apparatus provided with spacer
KR100758018B1 (ko) 직선운동 안내장치
US7762722B2 (en) Linear motion guide unit
EP1199487B1 (en) Linear motion guide units with separator couplers
EP1645763A1 (en) Linear motion guide unit
EP1245845B1 (en) Linear motion guide unit
KR19990044158A (ko) 미끄럼운동 안내장치 및 그의 유단부 전동체 체인
US4988215A (en) Linear guide apparatus using a combination of balls and rollers
JPH034021A (ja) 直線運動ベアリング
US6682218B2 (en) Linear motion guide unit with separator between any two adjoining rolling elements
JP3296716B2 (ja) 転がり運動案内装置および転がり運動案内装置の移動部材の製造方法
US4662763A (en) Tubular bearing for linear motion
JP4447781B2 (ja) リニア転がり軸受け
JPH0637622U (ja) 直動転がり案内ユニット
EP1347188B1 (en) Linear motion guide unit with separator between any two adjoining rollers
US5911509A (en) Slider for linear guide unit
JP2000320553A (ja) 直線運動案内装置及び移動ブロック並びに移動ブロックの製造方法
JP2022541209A (ja) 運動案内装置および該運動案内装置において使用される潤滑経路部品
JP4336015B2 (ja) 運動案内装置およびそのインナーシ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