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2117A - 라이닝 패널과 그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내화재조성물 - Google Patents

라이닝 패널과 그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내화재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2117A
KR19990072117A KR1019980704432A KR19980704432A KR19990072117A KR 19990072117 A KR19990072117 A KR 19990072117A KR 1019980704432 A KR1019980704432 A KR 1019980704432A KR 19980704432 A KR19980704432 A KR 19980704432A KR 19990072117 A KR19990072117 A KR 19990072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nel
binder
lining panel
sodium silic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4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티모 닐란더
Original Assignee
페티 코르베노아
오이 피르모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854454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9990072117(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페티 코르베노아, 오이 피르모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페티 코르베노아
Publication of KR19990072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2117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942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slab-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내화성 절연 라이닝 패널은 광물면으로 된 절연층(1)과 상기 절연층의 양쪽에 위치된 커버링물질층(2, 3)을 포함한다. 절연재로 작용하는 광물면층(1) 위에 먼저 보강직물(2)이 적용되고, 그후 보강직물(2)과 절연재(1) 위에 세팅후 결합재를 불연성으로 만들기에 충분한 양의 염화마그네슘을 함유하는 내화성 결합재층이 적용된다.

Description

라이닝 패널과 그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내화재 조성물
본 발명은 광물면(mineral wool)과 도형재(facing material)가 내포된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내화성 라이닝 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라이닝 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청구항 6의 전제부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청구항 8의 전제부에 따른 내화재 조성에 관한 것이다.
주택건축업과 조선업은 피복 시스템을 쉽게 수용하는 경량이고 저비용의 내화성 절연재를 필요로 하고 있다. 이들의 용이한 취급성으로 인하여 시트/보드/패널 형태의 라이닝재가 바람직하다. 그러나 통상적인 라이닝재는 그의 제조시나 화재시에 방출하는 독성과 보다 나쁜 재순환성에 의해 방해된다. 조선업에 사용하는 내화성 구조물은 대개 얇은 강철판으로 만들어지고 그 뒤쪽이나 안쪽에 만들어진 클래딩 카세트(cladding cassette)는 내화성 열절연층으로 작용하는 광물면 또는 다른 불연성물질에 부착된다. 강철판 클래드 구조물이 갖는 문제점은 그의 높은 중량과 제한된 벽의 형태 변형 가능성이다. 예를 들면, 설치된 패널 사이의 조인트가 뚜렷한 방해 형태로 남는다. 강철 패널 구조물들은 또한 상대적으로 비싸고 제조하기가 어려워 단지 이들을 재료 비용에 임계적이 아닌 위치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게 만든다. 특정 설비가 현재의 클래딩 물질과 강철판 패널 구조물의 제조, 조립에 요구된다. 따라서 조선업을 위해 개발된 절연재들은 통상적인 빌딩건툭에 사용되지 않고, 여기서 감소된 내화성 요구가 적용되고 빌딩 투자에 별도의 비용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비용이 유리하고 사용이 편리한 내화성 물질이 유용하게 사용되면 빌딩의 화재 안전성이 훨씬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후 소정의 피복 시스템을 수용할 수 있고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는 내화성 절연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먼저 광물면 시트 상에 배킹 직물을 위치시키고 세팅후 내화성 결합재를 만들기에 충분한 양의 염화마그네슘을 함유하는 내화성 결합재를 배킹 직물에 적용함으로써 성취된다. 내화성 물질에서 염화마그네슘의 필요량은 적어도 37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7중량%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이닝 패널은 청구항 1의 특징부에 설명된 것에 의해 특징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청구항 6의 특징부에 설명된 것에 의해 특징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내화재 조성은 청구항 8의 특징부에 설명된 것에 의해 특징된다.
본 발명은 명백한 잇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라이닝 패널은 심(seam; 이음을 한 자국)이 없이 매끄럽고 연속적인 평탄면을 형성하고, 패널은 열, 냉, 소리 및 화재에 대한 양호한 절연특성을 제공한다. 패널의 특정 밀도는 낮고, 빠른 배, 비행기 및 상품의 육상운송에 사용되는 콘테이너 같은 절연물의 질량에 임계적인 위치에 사용하기에 적합하게 한다. 자재의 표면은 설치된 시트에 보기 좋은 형태를 주기위해 쉽게 만들어질 수 있다. 시트는 그의 강성으로 인하여 설치가 쉽고, 보조 지지 구조물이 많게 된다. 충분히 높은 내화성을 얻기 위해 패널은 다수의 절연층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개선된 강성을 위해 벌집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패널은 자가 지지 공간 구조물의 선정을 위해 충분한 강성을 갖는다. 화재시에 시트는 독성 가스를 배출하지 않고 그의 기본 구성성분들은 재생 이용할 수 있다.
패널은 표준 크기로 제조될 수 있거나, 또는 소정 치수의 기준크기로 제조되고, 따라서 패널은 설치중에 손질할 필요가 없다. 패널은 제조중에 통상적인 피복재로 피복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내화성 결합재는 접착제로서 작용한다. 제조후, 패널은 통상적인 피복재로 같은 방식으로 피복될 수 있다. 시트는 또한 벽과 바닥 사이의 방수 조인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단일 절연층을 내포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절연 패널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두 개의 절연층을 내포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절연 패널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절연 패널을 이용하여 실행된 습한 공간 바닥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바닥과 벽 사이의 조인트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간단한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라이닝 패널은 단일의 절연층(1)을 포함한다. 상기 절연층 위에는 보강 배킹 직물(reinforcing backing fabric)(2)과 내화성 결합재(3)가 위치되어 있다. 상기 절연층(1)은 두 부품으로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결합재는 상기 두 부품 사이의 조인트에 적용되고, 이에 따라 절연 패널 구조물을 보강하는 다수의 가로 중간벽(4)이 상기 패널에 설비된다.
도 1에 따르면, 여기에 나타난 구조물은 우선 몰드에 스프레딩하거나 또는 보강 직물이 위치된 결합재층의 평면상에 간단히 스프레딩하고, 다음에 결합재 및 보강직물의 또다른 층을 적용하여 제조된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다수의 층이 충분한 강성을 얻기 위해 적층된다. 보강직물 및 결합재의 서로 엇갈린 층으로 된 외층(2, 3)에는 광물면으로 된 절연층이 위치된다. 상기 광물면 섬유는 패널의 평면에 평행하게 또는 직교로 정렬됨으로써 상기 패녈 특성은 이와 같은 방식으로 다양한 광물면의 정렬을 통하여 변형될 수 있다. 광물면 섬유의 직교 방향은 보다 높은 압축강도를 갖는 패널이되도록 하는 한편, 보다 얇은 광물면 블록으로 되도록 절연층의 조립을 필요로 한다. 다수의 블록으로 패널을 조립할 때 상기 블록들 사이의 조인트는 결합재로 채워진다. 따라서, 이들 결합재-충전 조인트는 압축강도-개선 중간체(4)으로 되고, 패널의 압축강도에 대한 그의 기여도는 보다 작은 크기의 광물면 블록보다 더 크다. 상기 패널의 절연층이 단일 시트의 광물면으로 만들어지면, 상기 패널의 압축강도는 시트 자체의 압축강도와 같게된다.
제1 광물면층(1)이 제1 외층(2,3) 위에 위치된 후, 제2 외층은 접착제로서 결합재를 사용하여 절연층 위에 보강직물을 적층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 따라서, 패널의 강성과 포인트 하중에 대한 그의 강도는 외층의 두께와 조성을 변경함으로써 다양해질 수 있고, 외층의 적층은 통상적인 복합 구조물 적층기술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고, 따라서 패널의 외층은 다른 조성을 갖게 된다. 상기 패널의 양쪽 외층이 적층된후, 상기 패널은 60-80℃에서 15분간 가열 프레스에서 경화되어 강성 패널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라이닝 패널의 내화성은 특정 결합재에 기초를 두고 있지만, 그의 강성과 내구성은 결합재와 보강구조물에 의해 형성된 복합구조물에 기인한다. 세팅후 내화성 결합재는 운반이나 설치중에 결합재의 크래킹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 직물에 의해 요구되는 지지물이 다소 부서지기 쉽게 된다. 결합재 화합물의 조성은 다양하지만, 그의 내화 특성은 주로 염화마그네슘의 특성에 기초를 두고 있다. 결합재 화합물의 다른 구성 성분으로는 황산마그네슘, 규산나트륨, 산화마그네슘, 산화티탄, 수산화알루미늄 및 물이 있다. 산화티탄과 수산화알루미늄은 화합물의 내화성을 개선시키고 세팅후 보다 높은 강도를 부여하기 위해 제공되는 첨가혼합물이다. 산화티탄의 또다른 기능은 세팅후 조성물의 건조를 촉진시키는 것이다. 다음의 조성은 바람직한 특성을 얻기 위한 것이다:
물 135g
규산나트륨 120g
황산마그네슘 1000g
염화마그네슘 2500g
산화마그네슘 5000g
수산화알루미늄 800g
산화티탄 800g
상기 조성에 따른 전체 배치 중량은 10355g이고, 산화마그네슘의 비율은 48.3%이다. 혼합물의 내화성은 높은 함량의 산화마그네슘에 기초를 두고 있다. 황산마그네슘과 염화마그네슘은 화합물을 단단하게 하고 그의 내화성을 개선시키고, 규산나트륨은 결합제로서 작용한다. 산화티탄과 수산화알루미늄은 이들이 단지 품질 개선 첨가혼합물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상기 조성에서 제외될 수도 있다. 이들 첨가혼합물이 제외되면 상기 조성에서 산화마그네슘의 양은 57.1%로 증가된다.
상기 조성에서 구성성분의 비율은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상기 조성에서 구성성분의 비율을 중량%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물 1.3%
규산나트륨 1.2%
황산마그네슘 9.7%
염화마그네슘 24.1%
산화마그네슘 48.3%
수산화알루미늄 7.7%
산화티탄 7.7%
원칙적으로, 각 구성성분의 양은 상기 조성의 명목치에서 20% 범위까지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성에서 염화마그네슘의 양은 2000-3000g 범위가 된다. 상기 조성에서 가장 중요한 성분은 염화마그네슘이고, 그의 양은 양호한 내화성을 얻기에 충분한 양이 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내화성"은 화재 테스트의 요구에 적합하게 디자인된 절연 패널에 의해 통과된 테스트에 의해 주어진 내화성을 말하는 것으로, 패널의 내화성은 적용하고자 하는 분야에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그러나, 염화마그네슘의 양은 37-38% 이하로 떨어지지 않아야만 되고, 양호한 내화성은 그 양이 47% 이상이 될 때까지는 얻어지지 않는다.
여기에서 설명된 결합재/내화재는 냉간 프레싱 기법에 의해 제조된 라이닝 패널에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은 또한 다른 종류의 내화재/결합제에 제공된다. 이러한 대체 실시형태에 따르면, 그 조성은 염화마그네슘과 규산나트륨 이외에 규산나트륨과 산의 반응생성물을 함유하여 생성된다. 상기 조성은 열간 프레싱 기법에 특히 적합하지만 냉간 프레싱 기법이 수행되는 곳에서도 또한 이용될 수 있다.
대체 실시형태에 따른 내화재 조성물은 규산나트륨과 산의 반응생성물 및 염화마그네슘 수용액을 분리 제조하고 그리고 성형가능하고 연성인 조성물을 얻기 위해 반응생성물을 수용액과 결합함으로써 성취된다.
규산나트륨과 산의 반응생성물은 우선 규산나트륨과 물을 첨가 혼합하고 이어서 무기산 또는 유기산과 반응시켜 얻어진다. 물의 양은 대개 규산나트륨의 양과 거의 동일하다. 즉, 규산나트륨 100중량부와 물 50-150중량부가 사용된다. 반응에 사용되는 무기산 중에는 붕산, 인산, 염산 및 황산이 있다. 유기산은 포름산, 아세트산, 옥살산, 타르타르산 및 시트르산을 포함한다. SiO2/Na2O 몰비는 1 - 3.5, 바람직하게는 2 - 3.3이다.
규산나트륨과 산의 상대적인 양은 규산나트륨의 이산화규소/산화나트륨 비 뿐만 아니라 사용된 산에 의존한다. 일반적으로 규산나트륨 100중량부에 대해 1-100중량부의 산이 사용된다.
침전된 실리콘 화합물을 포함하는 반응생성물은 염화마그네슘이 완성된 조성물을 단단하게 하는 것처럼 황산마그네슘을 첨가함으로써 보완된다. 반응생성물이 첨가될 때 황산마그네슘은 조성물의 점성을 증가시킨다. 황산마그네슘은 규산나트륨 100중량부에 대해 10-500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00-1000중량부의 양으로 첨가된다.
염화마그네슘은 우선 물에 용해되는데, 10-100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0-200중량부의 염화마그네슘이 100중량부의 물에 용해된다. 염화마그네슘의 용해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물의 온도는 실온보다 높게 유지시킬수 있다. 즉, 30-90℃, 바람직하게는 40-80℃이다. 염화마그네슘의 용해후 산화마그네슘이 수용액에 첨가될 수 있다. 염화마그네슘 100중량부에 대해 산화마그네슘 10-100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0-500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250중량부가 사용된다. 산화마그네슘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물에 잘 용해되지 않고, 따라서 이 성분의 첨가로 유동체가 된다.
규산나트륨과 염화마그네슘 조성은 조합될 수 있다. 규산나트륨 조성은 격렬히 교반하면서 염화마그네슘 조성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여 점성의 가공할 수 있는 조성이 얻어진다. 이 조성은 규산나트륨 100중량부에 대하여 염화마그네슘 10-100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0-5000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3000중량부를 함유한다. 이 조성은 규산나트륨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 100-100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00-2000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1500중량부를 함유한다.
산화티탄은 강도를 개선시키기 위해 상기 조성에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수산화알루미늄과 같은 내화재 조성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금속산화물이 첨가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내화재 조성에서 건물(dry matter)은 규산나트륨과 산 및 그 반응생성물 0.1-10중량%, 황산마그네슘 1-25중량%, 염화마그네슘 10-60중량%, 및 산화마그네슘 10-60중량%를 함유한다.
또한, 이 조성은 수산화알루미늄 및/또는 이산화티탄 0.1-10중량% 함유한다.
도 2에 따르면, 패널 구조물은 두층의 절연재와 세층의 결합재가 놓여있는 보강직물(2)로 되어 있다. 이러한 다층 구조물은 단일층 구조물에 의해 얻어질 수 있는 것보다 더 높은 강성과 내구성을 갖는 패널을 형성하고, 특히 다층구조물은 상당한 두께의 절연재를 필요로 하는 분야에 바람직하다. 단일층의 두꺼운 절연재가 사용되는 경우, 패널의 강도는 감소되게 되고, 예를 들면 통로 고정 수단에 의해 커버되는 하부구조물에 대한 지지 패널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다층구조물은 자체 지지벽으로서 사용되기에 충분한 강성이 있다. 이러한 구조물에서 압축강도 개선 중간벽들(4)은 서로 일치되지 않도록 일직선으로 정렬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특정 분야에서 용이한 절연을 제공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습한 공간의 바닥과 벽의 절연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이닝 패널을 이용하여 실행된다. 바닥은 바닥 축조에 의해 요구된 구배를 제공하기 위해 경사진 절연층(1)을 갖는 클래드(cladding) 패널로 되어 있고, 구배의 최하부 지점에 드레인(5)이 위치되어 있다. 경사진 바닥 패널은 평면벽 패널과 같은 방식으로 적층에 의해 제조될 수 있고, 드레인(5)과 그의 도관 이송통로는 결합재에 의해 패널에 결착된다.
도 3에 따르면, 구조적 배열은 바닥과 벽 사이의 방수 코너 조인트(water-tight corner joint)에 대해 나타낸 것이다. 이 구조에서 바닥 패널 에지(edge)에는 강철 앵글(6)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강철앵글의 한쪽은 패널 아래에 결합되고 다른 한쪽은 바닥 상부 레벨 위쪽 바닥 패널 에지의 평면에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앵글(6)은 바닥 패널의 에지에서 절연체를 보호하고 조인트를 보강한다. 바닥 패널 상부 표면은 배킹물질(backing material)이 내포된 연속적인 타일 커버링(tile covering)과 그 위에 놓인 세라믹 타일(9)로 덮여 있다. 이러한 타일 커버링(8)은 통상적으로 표준 크기의 플레이트로서 이용될 수 있거나 또는 바닥에 깔 부위에 따라 적절한 크기로 절단하여 이용될 수 있다. 타일커버링(8)은 바닥 패널 제조중에 바닥 패널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습한 공간의 벽을 형성하는 패널은 강철앵글(6)에 고정되고, 벽패널의 하부 에지는 벽 패널의 에지 위를 지나 강철앵글(6)까지 벽패널 하부 에지 위로 연장되는 보호 앵글강 섹션(7)에 의해 강철앵글(6)에 단단하게 지지된다. 강철앵글(6)과 보호 강 섹션(7)은 바닥과 벽을 제 위치에 고정시키는 보강지지구조물을 형성한다. 습한 공간의 내부에서 벽패널은 타일(8)의 하부 에지가 바닥 커버링의 타일(8)에 놓여 있도록 위치된 미리 제조된 타일 줄(tile row)(8)로 벽의 하부 에지 주위에 덮어있다. 이러한 형태에서 바닥과 벽 사이의 방수 코너 조인트가 쉽게 성취된다.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은 여러 분야에 적용된다. 예를 들면, 조선업과 주택건축용 도어 패널, 일반적인 벽과 바닥, 및 그의 커버링, 그리고 여러 가지 맨홀 커버 제조에 제공된다. 또한 상기 패널은 습한 공간의 축조 뿐만 아니라 원뿔형 창문틀, 개구 및 이송통로 제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은 또한 열, 소리, 냉기 및 불에 대한 배 내부 공간의 절연 뿐만 아니라 비행기와 기차의 내부를 위한 불연성 절연 패널을 제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전술한 것 이외에 본 발명은 다른 변형된 실시형태를 갖는다. 보강 배킹 구조물은 직포(woven cloths)나 촙섬유 펠트(chopped-fiber felts) 중에서 선택될 수 있고, 이것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결합재를 촙섬유 같은 보강 요소와 블렌드 하기위해 일부 분야에 적용할 수도 있고, 이에따라 보강요소와 결합재는 패널의 제조중에 블렌드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원칙적으로 배널의 외부 표면층 또는 배킹층은 복합 구조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제조기법과 보강요소를 이용하여 만들어진다. 그러나 유리섬유는 그의 낮은 가격과 우수한 특성으로 인하여 보강재로서 비용측면에서 우수하게 선택된다. 제조후 패널 에지는 금속 보호 스트립이 부착 설치될 수 있다.

Claims (17)

  1. 적어도 하나의 광물면으로된 절연층(1)과 상기 절연층의 양쪽에 있는 외층(2,3)을 포함하는 내화성 라이닝 패널에 있어서,
    상기 외층은 결합재가 불연성이 되도록 하기에 충분한 양의 염화마그네슘을 함유하는 결합재(3) 및 적어도 하나의 보강 성분(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보강 성분은 직물이고 적어도 두층의 직물은 외부 표면층을 형성하기 위해 결합재와 함께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 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절연층(1)은 블록을 포함하고 블록간 심 조인트는 외층(2,3) 사이를 연결하는 중간벽(4)을 형성하는 결합재에 의해 결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 패널.
  4. 전술한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절연층의 수는 적어도 둘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 패널.
  5. 전술한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적어도 하나의 패널 에지에 보호 스트립이 부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 패널.
  6. 제1 외층(2, 3)을 위치시키고; 제1 외층(2,3) 상에 광물면 절연층(1)을 위치시키고; 절연층(1) 위에 제2 외층을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라이닝 패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결합재 화합물이 불연성 화합물이 되기에 충분한 양의 염화마그네슘을 함유하도록 제조되고, 각각의 외층이 결합재 화합물과 보강재의 복합물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 패널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절연층(1)은 블록으로 조립되고 블록간 조인트는 결합재 화합물로 충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 패널의 제조방법.
  8. 규산나트륨과 마그네슘화합물을 함유하는 내화재 조성물에 있어서,
    내화재 조성물을 불연성이 되도록 하기 위해 충분한 양의 염화마그네슘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재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염화마그네슘, 황산마그네슘, 규산나트륨, 산화마그네슘 및 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재 조성물.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산화티탄과 수산화알루미늄을 부가적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재 조성물.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염화마그네슘의 함량은 37중량%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재 조성물.
  12. 제8항에 있어서, 내화재의 조성 비율은 중량%로 아래에 나타낸 바와 같고, 각 구성성분의 양은 아래 조성의 명목치에 대하여 20% 범위까지 변화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재 조성물:
    물 1.3%
    규산나트륨 1.2%
    황산마그네슘 9.7%
    염화마그네슘 24.1%
    산화마그네슘 48.3%
    수산화알루미늄 7.7%
    산화티탄 7.7%.
  13. 제8항에 있어서, 규산나트륨과 산의 반응생성물, 및 규산나트륨 100중량부에 대하여 염화마그네슘 10-10000중량부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재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규산나트륨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 100-10000중량부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재 조성물.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산화마그네슘, 황산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및/또는 산화티탄을 부가적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재 조성물.
  16.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화재 조성에서의 건물(dry matter)은 규산나트륨과 산 및 그 반응생성물 0.1-10중량%, 황산마그네슘 1-25중량%, 염화마그네슘 10-60중량%, 산화마그네슘 10-60중량%, 및 선택적으로 수산화알루미늄 및/또는 이산화티탄 0.1-10중량%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7. 내화성 라이닝 패널용 결합제로서 제8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이용하는 방법.
KR1019980704432A 1995-12-14 1996-12-16 라이닝 패널과 그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내화재조성물 KR199900721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956010 1995-12-14
FI956010A FI956010A (fi) 1995-12-14 1995-12-14 Verhouslevy ja menetelmä sen valmistamiseksi
PCT/FI1996/000664 WO1997021884A1 (en) 1995-12-14 1996-12-16 Lining panel,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a fire retardant composition for use in the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2117A true KR19990072117A (ko) 1999-09-27

Family

ID=8544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4432A KR19990072117A (ko) 1995-12-14 1996-12-16 라이닝 패널과 그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내화재조성물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EP (1) EP0865549B2 (ko)
KR (1) KR19990072117A (ko)
AU (1) AU1098997A (ko)
DE (2) DE69607375T3 (ko)
DK (1) DK0865549T3 (ko)
ES (1) ES2144794T3 (ko)
FI (1) FI956010A (ko)
GR (1) GR3033743T3 (ko)
NO (1) NO309903B1 (ko)
PT (1) PT865549E (ko)
WO (1) WO199702188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274B1 (ko) * 2012-08-31 2013-02-12 동위기업 (주) 목재판재 및 플로어링보드를 위한 난연 방부성 고밀도 목재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99779B1 (fr) 1999-10-15 2002-01-11 Campenon Bernard Sge Cloison coupe-feu
DE19962820A1 (de) * 1999-12-23 2001-06-28 Kaefer Isoliertechnik Verbindungselement zum Verbinden von Ausbauplatten für den Innenausbau sowie Verbindungsanordnung für Ausbauplatten für den Innenausbau
GR1003563B (el) * 2000-06-01 2001-03-22 Caretta Interiors �.�. Συστημα πυρανθεκτικων και ηχομονωτικων πετασματων για επενδυση εσωτερικων χωρων πλοιων
DE102004050442B4 (de) * 2004-10-16 2012-12-13 Martin Hess Gehäuse, insbesondere Instrumentenschutzhaus für elektrische Instrumente und Analysegeräte
DE102006041560A1 (de) * 2005-10-07 2007-04-19 Deutsche Rockwool Mineralwoll Gmbh + Co Ohg Dämmelement
AU2007271713A1 (en) * 2006-07-07 2008-01-10 Central Systems Pty Ltd Fire resistant lining system
DE102010023633A1 (de) * 2010-06-14 2011-12-15 Martin Reuter Bauelement
CN111718179B (zh) * 2020-06-22 2022-05-17 张家港市盛港绿色防火建材有限公司 一种耐热防腐蚀材料及墙体板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8062A (en) * 1974-01-21 1975-09-23 United States Gypsum Co Fire-resistant, composite panel and method of making same
US4003752A (en) * 1974-05-22 1977-01-18 Asahi Kasei Kogyo Kabushiki Kaisha Magnesia cement composition, process of its manufacture, and composite comprising same
BE886016A (nl) * 1980-11-04 1981-05-04 Vuzdugan Stefan F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vuurbestendige gietwaren alsmede voor het onbrandbaar maken van allerlei stoffen en produkten
DE3248663C1 (de) * 1982-12-30 1984-06-07 Grünzweig + Hartmann und Glasfaser AG, 6700 Ludwigshafen Beschichtete Fassaden- oder Dachdaemmplatte aus Mineralfasern,sow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DE8532239U1 (de) * 1985-11-14 1986-01-16 Deutsche Heraklith Ag, 8346 Simbach Anorganische Mehrschicht-Leichtbauplatte
DE3634125A1 (de) * 1986-10-07 1988-04-21 Allanco Ind Ltd Feuerloeschloesung zum loeschen von phosphor- und metallbraenden
DE4036088A1 (de) * 1990-11-13 1992-05-14 Gruenzweig & Hartmann Brandschutzmittel aus metallhydroxid und magnesiabinder, sowie dessen verwendung
FI914231A (fi) * 1991-09-06 1993-03-07 Paroc Oy Ab Belagd isolerskiva
AU2740295A (en) * 1995-04-26 1996-11-18 Tomislav Atevic Laminated structure with improved fire resistance and proced ure for the manufacture of the structu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274B1 (ko) * 2012-08-31 2013-02-12 동위기업 (주) 목재판재 및 플로어링보드를 위한 난연 방부성 고밀도 목재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T865549E (pt) 2000-09-29
DE69607375T3 (de) 2006-01-05
AU1098997A (en) 1997-07-03
DK0865549T3 (da) 2000-08-28
EP0865549B2 (en) 2005-04-27
NO982739L (no) 1998-08-12
NO982739D0 (no) 1998-06-12
DE69607375T2 (de) 2000-09-21
EP0865549B1 (en) 2000-03-22
FI956010A0 (fi) 1995-12-14
NO309903B1 (no) 2001-04-17
DE69607375D1 (de) 2000-04-27
EP0865549A1 (en) 1998-09-23
ES2144794T3 (es) 2000-06-16
GR3033743T3 (en) 2000-10-31
WO1997021884A1 (en) 1997-06-19
FI956010A (fi) 1997-06-15
DE29624258U1 (de) 2001-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11872B2 (en) Lightweight panel construction
US20080115442A1 (en) Composite Sandwich Wall Panel
US20030033774A1 (en) Building panels with plastic impregnated paper
WO2008124430A1 (en) Gypsum wood fiber structural insulated panel arrangement
KR19990072117A (ko) 라이닝 패널과 그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내화재조성물
JPS6282145A (ja) フアイバ−セメントパネルとその形成方法及びそのフアイバ−セメントパネルを利用した浮ドツク構造
AU779805B2 (en) Fire-resistant and sound-isolating paneling system for ships internal areas lining
GB2177048A (en) Mineral fibre insulating laminates
JPH0532579Y2 (ko)
JPH0140190B2 (ko)
KR100476153B1 (ko) 선박의 내부 라이닝용 패널, 그 형성 방법 및 선박용 내화도어
CN212001823U (zh) 组合楼板
WO2023243150A1 (ja) 耐火間仕切壁
JPS6375236A (ja) 耐火遮音間仕切壁
RU81219U1 (ru) Профилированный конструкционный брус и строительная панель на его основе
KR19990022895A (ko) 고온 내성 절연요소
US3878009A (en) Glass fiber reinforced gypsum building components and method
KR950011802B1 (ko) 건축구조용 샌드위치 판넬
JPH053631Y2 (ko)
JP3230211B2 (ja) 複合板
JP4087966B2 (ja) 目地構造
JP3142981B2 (ja) 防火ハニカムコア
JP3230774B2 (ja) 複合板
KR20220087817A (ko) 내화 구조체
JP6138418B2 (ja) 鉄骨の耐火被覆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