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2021A - 과립형 해면철의 고온 브리켓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과립형 해면철의 고온 브리켓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2021A
KR19990072021A KR1019980704314A KR19980704314A KR19990072021A KR 19990072021 A KR19990072021 A KR 19990072021A KR 1019980704314 A KR1019980704314 A KR 1019980704314A KR 19980704314 A KR19980704314 A KR 19980704314A KR 19990072021 A KR19990072021 A KR 19990072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quettes
debris
hot
strip structure
high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4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4249B1 (ko
Inventor
작센 프레이타그
헬무트 하우스만
마르틴 히르시
지그프리드 쉬모
미첼 스트뢰더
페터르 베버
Original Assignee
호르스트 크벨, 브루노 부쎄
메탈게젤샤프트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르스트 크벨, 브루노 부쎄, 메탈게젤샤프트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호르스트 크벨, 브루노 부쎄
Publication of KR19990072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2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4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42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13/00Making spongy iron or liquid steel, by direct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13/00Making spongy iron or liquid steel, by direct processes
    • C21B13/0086Conditioning, transformation of reduced iron or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00Preliminary treatment of ores or scrap
    • C22B1/14Agglomerating; Briquetting; Binding; Granulating
    • C22B1/24Binding; Briquetting ; Granu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tallur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Iron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 Glanulating (AREA)

Abstract

과립형 해면철은 고온 브리켓을 형성하기 위하여 600℃ 내지 850℃의 온도로 롤러 프레스에 공급된다. 서로 일정한 거리로 배치된 고온 브리켓을 갖는 해면철의 스트립 구조가 생성된다. 상기 스트립 구조를 파괴하므로써, 고온 브리켓은 서로 분리되며, 이에 따라 스트립 구조의 파편을 얻을 수 있다. 파편의 적어도 일부와 고온 브리켓은 20℃ 내지 400℃의 온도로 냉각되며, 냉각된 브리켓과 파편은 회전형 드럼을 통과한다. 회전형 드럼에서, 브리켓과 파편의 미립자가 생산된다. 이어서, 이러한 미립자는 자연발화성을 나타내는 브리켓과 파편으로부터 분리된다.

Description

과립형 해면철의 고온 브리켓 처리방법
공지된 이러한 형태의 처리는 미국 특허 제 5.082.251 호에 기재되어 있다. 롤러 프레스에 의해 성형된 고온 브리켓은 고온 상태에서 회전형 드럼에 직접 충진된다. 그 결과, 회전형 드럼이 빨리 마모된다.
본 발명은 과립형 해면철의 고온 브리켓 처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과립형 해면철은 고온 브리켓을 성형하기 위하여 600℃ 내지 850℃의 온도에서 롤러 프레스로 공급되어, 형성된 고온 브리켓에 의해 해면철의 스트립 구조를 생성하며, 이러한 스트립 구조로부터 상기 고온 브리켓은 상기 구조를 분쇄하므로써 분리되며, 따라서 스트립 구조를 갖는 파편을 얻을 수 있다.
도 1 은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2 는 상승시 롤러 프레스로부터 유출되는 해면철의 스트립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 은 확대도시된 회전형 드럼의 내면의 단면도.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마모성과 파손성이 가능한한 적은 설비를 다량으로 요하지 않고 고온 브리켓을 저렴하게 생산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목적은 스트립 구조를 파괴함에 따라 고온 브리켓과 적어도 일부의 파편은 20℃ 내지 400℃, 양호하기로는 200℃ 이하의 온도로 냉각되며, 냉각된 브리켓과 파편은 회전형 드럼을 통과하고, 브리켓과 파편은 미립자를 형성하며, 상기 미립자는 브리켓과 파편으로부터 분리된다.
과립형, 특히 미립형 해면철은 자연발화성(pyrophoric)이 매우 강하므로, 보호성 가스 환경하에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용한 보호성 가스로는 질소나 이산화탄소 또는 이러한 불활성 가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과립형 해면철이 브리켓되었을 때는 더 이상 자연발화성을 갖지 않으며, 이에 따라 브리켓의 취급과 그 저장이 매우 간단해진다. 600℃ 내지 850℃ 의 온도에서, 예를 들어 해면철이 리덕션 플랜트(reduction plant)로부터 유출되는 형태인 경우, 롤러 프레스에 의해 고온 브리켓을 형성하는 공지의 방법으로 동일한 것이 성형될 수도 있다. 서로 이격된 거리로 고온 브리켓이 부착된 해면철의 스트립 구조가 생산된다. 이러한 스트립 구조는 고온 브리켓들을 서로 분리시키기 위하여 연속적으로 파괴되며, 따라서 스트리 구조를 갖는 파편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파편들이 너무 클 때, 고온 브리켓으로 이들을 처리하는 것이 편리하다.
이러한 처리에 적합한 해면철은 공지된 종류의 철광석에서 생산될 수 있다. 해면철은 일반적으로 90 내지 98 중량%의 Fe 성분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처리에서 중요한 사항중 한가지는 고온 브리켓과 파편은 회전형 드럼에 유입되기 전에 냉각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냉각에 의해, 고온 재료가 드럼에 충진되는 것을 피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형 드럼이 이러한 고온 재료를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드럼의 마모는 400℃ 이상의 온도를 갖는 고온 재료가 회전형 드럼에 충진될 때 매우 높으며, 회전형 드럼은 자주 유지보수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빈번한 유지보수로 인하여, 고온 브리켓의 연속적인 생산이 필요할 때 유용한 회전형 드럼 대체물이 필요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처리는 회전형 드럼에는 단지 냉각된 재료만 공급되므로 드럼의 마모가 감소되고 유지보수를 위한 동작 정지가 거의 없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와 동시에 드럼의 수리중 냉각된 재료는 보호성 가스하에서 컨테이너에 일시적으로 저장될 필요가 없으며, 재료는 보수가 완료되었을 때 회전형 드럼에 공급될 수 있다.
하기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처리의 실시예가 상세히 서술될 것이다.
고온의 과립형 해면철은 저장조(1)에 600℃ 내지 850℃, 일반적으로는 650℃ 내지 750℃의 온도로 함유되어 있다. 해면철은 자연발화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하기와 같은 처리 단계에서 불활성 가스하에 유지되어야 한다. 상기 처리 단계는 공지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해서는 상세히 서술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고온의 해면철은 리덕션 로 또는 히터(6)로부터 유출되며, 라인(6a)을 통하여 공급된다. 해면철은 저장조(1)로부터 롤러 프레스(2)로 흐르며, 상기 롤러 프레스에서 해면철은 몰드로부터 해제된 고온의 브리켓(3)을 갖는 스트립 구조로 가압된다. 도 2 는 상승한 고온 브리켓(3a)과 스트립 구조(3)를 도시하고 있다.
스트립 구조(3)는 정지된 충격면(4)의 하방으로 이동되어, 회전하는 해머 롤러(5)에 의해 파괴된다. 상기 롤러(5)는 롤러의 회전중 스트립 구조(3)상에서 특히, 브리켓(3a) 사이의 영역에서 파괴효과를 갖는 비터 캠(5a)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입자 크기가 다른 파편과 고온의 브리켓은 충격면(4)으로부터 스크린(7)상에 낙하되므로 미세한 입자를 분리할 수 있다. 그 최대 크기가 2 내지 6 ㎜ 범위에 속하는 이러한 미립자는 라인(8)을 통하여 수거되어 재사용된다. 이를 위하여, 라인(8)내의 미립자는 예를 들어 수냉식 스크류 컨베이어로 설계된 냉각기(22)를 제일 먼저 통과한다. 200℃ 이하의 양호한 온도에서, 미립자는 라인(23)으로부터의 불활성 가스로 채워진 공압식 컨베이어 통로(21)에 도달되어 미립자를 리덕션 로 또는 히터(6)로 상향으로 이동시킨다. 선택적으로, 라인(8)의 미립자는 냉각되지 않은 채로 점선으로 도시된 이송 통로(24)를 따라 컨테이너(17)로 직접 재순환될 수 있다. 고온의 브리켓과 거친 파편들은 통로(9)를 통하여 먼저 냉각기(10)에 낙하되어, 50℃ 내지 400℃, 일반적으로는 200℃ 이하의 온도로 냉각된다. 도 1 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상기 냉각기(10)는 예를 들어 수조나 물분사 냉각기로 설계될 수 있지만, 차가운 가스에 의한 냉각도 가능하다.
차가운 브리켓과 파편은 통로(11)를 통하여 냉각기(10)를 떠나서 회전형 드럼(12)에 충진된다. 그 내측에서 드럼(12)은 도 3 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축방향으로 평행한 픽업핀(12a)을 갖는다. 드럼(12)이 길이방향 축선 주위로 회전할 때, 그 내측의 재료도 격렬하게 교반되므로, 낙하 부하도 작용하게 되어 몸체의 엣지와 코너는 라운딩 되며 미립자가 생성된다. 이러한 라운딩은 차후의 이송중 자연발화성을 나타내는 미립자가 형성될 위험을 감소시킨다. 회전형 드럼내의 브리켓을 강력한 낙하 부하에 노출시키기 위하여, 드럼의 직경을 그 길이보다 크게 할 것이 요망된다. 도시되지 않은 방식으로, 상기 회전식 드럼(12)은 처리될 재료를 예를 들어 냉각수 재킷에 의해 냉각되도록 설계된다.
20℃ 내지 150℃의 온도, 일반적으로는 100℃ 이하의 온도에서 드럼에서 교반되는 재료는 스크린 장치(15)로 낙하되며, 브리켓은 먼저 대형 스크린(15a)을 통하여 분리되어 라인(16)을 통하여 후퇴된다. 파편과 미립자는 제 2 스크린(145b)에 낙하되어 적어도 3 내지 6 ㎜의 입자 크기를 갖는 거친 파편은 라인(17)을 통하여 후퇴된다. 미립자는 라인(18)을 통하여 후퇴되며, 라인(8)의 미립자와 함께 리덕션 로 또는 히터(6)로 재순환된다. 라인(16, 17)의 파편과 브리켓은 불활성 가스하의 저장이 더 이상 필요없는 도시않은 중간 스토어로 공급된다.
도 1 에는, 수리를 위한 주기중 회전형 드럼(12)의 작동이 정지될 때, 냉각기(10)로부터의 냉각 재료가 점선(19) 방향으로 공급되는 중간 컨테이너(20) 또는 스토어가 도시되어 있다. 드럼(12)이 다시 작동준비중일 때, 컨테이너(20)로부터의 재료는 드럼(12)으로 충진되어 계속 처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미립자를 함유한 라인과 컨테이너와 모든 장치는 보호 가스하에 있어야 한다.
실시예
처리는 720℃ 의 온도로 저장조(1)에 제공된 과립형 해면철로부터 시작되어 부품(21,22, 24)이 없는 도면에 대응하는 플랜트에서 처리된다. 데이터는 부분적으로 저장조(1)로부터 롤러 프레스(2)로 단위시간당 0.67t의 해면철을 재순환시킨다. 해면철의 양과 온도에 관한 것은 다음과 같다.
냉각기(10)에서, 재료는 고착된 미세한 먼지가 냉각수와 함께 후퇴되는 수조에 위치된다. 회전형 드럼(12)은 외측 쉘의 물분사에 의해 냉각된다. 스크린(15a)은 적어도 12 ㎜ 의 직경을 갖는 브리켓을 분리시키며, 라인(17)의 파편은 4 ㎜ 내지 12 ㎜ 의 범위에 속한다. 스크린(7)은 4 ㎜ 직경의 구멍을 갖는다.
기준 번호 8 9 11 16 17 18
양(t/h) 1.7 65.3 65.1 62.1 1.3 1.7
온도(℃) 680 120 120 90 90 90

Claims (4)

  1. 고온 브리켓을 성형하기 위하여 과립형 해면철이 600℃ 내지 850℃의 온도로 롤러 프레스에 공급되고, 형성된 고온 브리켓에 의해 서로 일정한 거리로 배치된 해면철의 스트립 구조가 생산되며, 이러한 스트립 구조를 파괴하므로써 고온 브리켓이 분리되어 스트립 구조의 파편을 얻을 수 있는 과립형 해면철의 고온 브리켓 처리에 있어서,
    파편의 일부와 고온 브리켓을 20℃ 내지 400℃ 로 냉각하는 단계와,
    냉각된 브리켓과 파편을 회전형 드럼을 통과시켜 브리켓과 파편의 미립자을 생산하는 단계와,
    미립자를 브리켓 및 파편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면철의 고온 브리켓 처리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브리켓과 파편과 미립자는 회전형 드럼에서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면철의 고온 브리켓 처리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브리켓과 파편과 미립자는 20℃ 내지 150℃의 온도에서 회전식 드럼에서 후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면철의 고온 브리켓 처리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트립 구조의 파괴에 따라, 최대 2 ㎜ 내지 6 ㎜의 입자 크기를 갖는 미립자는 파편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면철의 고온 브리켓 처리방법.
KR10-1998-0704314A 1995-12-09 1996-12-05 과립형해면철의고온브리켓처리방법 KR1004442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545985A DE19545985A1 (de) 1995-12-09 1995-12-09 Verfahren zum Heißbrikettieren von körnigem Eisenschwamm
DE19545985.7 1995-12-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2021A true KR19990072021A (ko) 1999-09-27
KR100444249B1 KR100444249B1 (ko) 2004-11-17

Family

ID=7779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4314A KR100444249B1 (ko) 1995-12-09 1996-12-05 과립형해면철의고온브리켓처리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074456A (ko)
EP (1) EP0865505B1 (ko)
KR (1) KR100444249B1 (ko)
AR (1) AR004865A1 (ko)
AU (1) AU705558B2 (ko)
CA (1) CA2238383C (ko)
DE (2) DE19545985A1 (ko)
EA (1) EA000266B1 (ko)
ES (1) ES2131970T3 (ko)
IN (1) IN190918B (ko)
MY (1) MY115660A (ko)
WO (1) WO1997021840A1 (ko)
ZA (1) ZA96103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407258B (de) * 1999-03-17 2001-02-26 Voest Alpine Ind Anlagen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heissbrikettiertem metallschwamm, insbesondere heissbrikettiertem eisenschwamm
US6352573B2 (en) * 2000-03-21 2002-03-05 Midrex International B.V. Rotterdam Method for the separation and recycling of hot fines in hot briquetting of reduced iron
DE60321221D1 (de) 2002-12-21 2008-07-03 Posco Pohang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schmelzflüssigem eisen durch heissverdichtung von feinem, direkt reduzierten eisen und kalzinierten zusatzstoffen und verfahren zu dessen verwendung
WO2006043770A1 (en) 2004-10-19 2006-04-27 Posco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mpacted irons of reduced materials comprising fine direct reduced iron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molten irons using the same
KR100797843B1 (ko) * 2006-12-27 2008-01-24 주식회사 포스코 괴성체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철제조장치
WO2011001288A2 (en) 2009-06-29 2011-01-06 Bairong Li Metal reduction processes, metallurgical processes and products and apparatus
AT509357B1 (de) * 2010-01-15 2012-01-15 Siemens Vai Metals Te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reduktion von eisenerzhältigen einsatzstoffen oder zur herstellung von roheisen oder flüssigen stahlvorprodukten
WO2014043205A1 (en) * 2012-09-14 2014-03-20 Valerio Thomas A System and method for iron ore byproduct processing
KR101429643B1 (ko) * 2012-12-07 2014-08-13 주식회사 포스코 판상 hbi 입자 분리 장치
DE102014111906A1 (de) * 2014-08-20 2016-02-25 Maschinenfabrik Köppern Gmbh & Co. Kg Anlage zum Heißbrikettieren
KR102077689B1 (ko) * 2019-05-03 2020-02-14 제일산기 주식회사 고온 브리켓 철의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215666A (fr) * 1958-02-19 1960-04-20 R N Corp Procédé de production de fer, appareil pour sa réalisation et produit obtenu
DE1533852B2 (de) * 1967-03-29 1973-10-04 Metallgesellschaft Ag, 6000 Frankfurt Brikettierung von Eisenschwamm
US4033559A (en) * 1975-06-05 1977-07-05 Midrex Corporation Apparatus for continuous passivation of sponge iron material
US4076520A (en) * 1975-06-05 1978-02-28 Midrex Corporation Method for continuous passivation of sponge iron material
US4057978A (en) * 1976-02-17 1977-11-15 Sumitomo Heavy Industries, Ltd. Apparatus for cooling pellets
US4165979A (en) * 1978-02-21 1979-08-28 The International Nickel Company, Inc. Flash smelting in confined space
US4165978A (en) * 1978-07-14 1979-08-28 Midrex Corporation Briquet sheet breaking by cooling and bending
JPS59170213A (ja) * 1983-03-16 1984-09-26 Nippon Steel Corp 還元鉄ブリケツトの製造方法
US5082251A (en) * 1990-03-30 1992-01-21 Fior De Venezuela Plant and process for fluidized bed reduction of o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05558B2 (en) 1999-05-27
AR004865A1 (es) 1999-03-10
WO1997021840A1 (de) 1997-06-19
MY115660A (en) 2003-08-30
DE59602029D1 (de) 1999-07-01
ZA9610347B (en) 1998-06-09
US6074456A (en) 2000-06-13
EP0865505B1 (de) 1999-05-26
MX9804595A (es) 1998-10-31
EP0865505A1 (de) 1998-09-23
IN190918B (ko) 2003-08-30
DE19545985A1 (de) 1997-06-12
EA000266B1 (ru) 1999-02-25
EA199800543A1 (ru) 1998-12-24
CA2238383C (en) 2004-05-18
AU1191097A (en) 1997-07-03
KR100444249B1 (ko) 2004-11-17
ES2131970T3 (es) 1999-08-01
CA2238383A1 (en) 1997-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72021A (ko) 과립형 해면철의 고온 브리켓 처리방법
DE69908176T2 (de) Erzeugung von eisen in einem drehherdofen und verbesserter ofen
US4342647A (en) Treatment of scrap
US4681267A (en) Method of regenerating old casting sand
JPH0224791B2 (ko)
KR100726208B1 (ko) 철부산물을 이용한 선철용 강괴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EP3096101B1 (de) Kühlvorrichtung zum kühlen von schüttgut
US4033559A (en) Apparatus for continuous passivation of sponge iron material
AT404361B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bkühlen von heissem eisenschwamm
US3542299A (en) Foundry sand recovery methods
US5291935A (en) Process for the mechanical cleaning of foundry used sand
JPH06256814A (ja) 製鋼スラグの鉄分回収方法
US4015780A (en) Powder forming
DE2451775A1 (de) Verfahren zur gewinnung von relativ reinem metall und aus diesem metall bestehendes produkt
JP2521564B2 (ja) 鋼滓類の冷却処理方法
US3382911A (en) Casting ferroalloys
US3764078A (en) Apparatus for regenerating foundry sand
JP3110198B2 (ja) 水冷破砕された製鋼スラグの排出装置
KR100530084B1 (ko) 스테인레스강 정련로의 슬래그 재활용 설비 및 방법
US3359100A (en) Production of welding steel
JP3107675B2 (ja) 製鋼スラグの分別方法および装置
MXPA98004595A (en) Hot briquetation process of granu dehierro sponge
US4209055A (en) Proceeding and apparatus for cooling, drying and separating castings and foundry sand in a cooling device
DE2925665A1 (de) Verfahren und anordnung zur aufbereitung von gebranntem material
EP4153788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trockengranulier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