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1498A - 펄프 쿠킹액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펄프 쿠킹액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1498A
KR19990071498A KR1019980703770A KR19980703770A KR19990071498A KR 19990071498 A KR19990071498 A KR 19990071498A KR 1019980703770 A KR1019980703770 A KR 1019980703770A KR 19980703770 A KR19980703770 A KR 19980703770A KR 19990071498 A KR19990071498 A KR 19990071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p
weight
activated sludge
cooking
sodium carbo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3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블라디미르 빠블로비치 그루디닌
아렉산드로 블라디미로비치 그루디닌
Original Assignee
그루디닌 알렉산드르 블라디미로비치
블라디미르 빠블로비치 그루디닌
뿌까노프 비딸리 발레리에비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루디닌 알렉산드르 블라디미로비치, 블라디미르 빠블로비치 그루디닌, 뿌까노프 비딸리 발레리에비치 filed Critical 그루디닌 알렉산드르 블라디미로비치
Publication of KR19990071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1498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CPRODUCTION OF CELLULOSE BY REMOVING NON-CELLULOSE SUBSTANCES FROM CELLULOSE-CONTAINING MATERIALS; REGENERATION OF PULPING LIQUORS; APPARATUS THEREFOR
    • D21C11/00Regeneration of pulp liquors or effluent waste waters
    • D21C11/0021Introduction of various effluents, e.g. waste waters, into the pulping, recovery and regeneration cycle (closed-cycle)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CPRODUCTION OF CELLULOSE BY REMOVING NON-CELLULOSE SUBSTANCES FROM CELLULOSE-CONTAINING MATERIALS; REGENERATION OF PULPING LIQUORS; APPARATUS THEREFOR
    • D21C3/00Pulping cellulose-containing materials
    • D21C3/02Pulping cellulose-containing materials with inorganic bases or alkaline reacting compounds, e.g. sulfate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CPRODUCTION OF CELLULOSE BY REMOVING NON-CELLULOSE SUBSTANCES FROM CELLULOSE-CONTAINING MATERIALS; REGENERATION OF PULPING LIQUORS; APPARATUS THEREFOR
    • D21C3/00Pulping cellulose-containing materials
    • D21C3/04Pulping cellulose-containing materials with acids, acid salts or acid anhydrides
    • D21C3/06Pulping cellulose-containing materials with acids, acid salts or acid anhydrides sulfur dioxide; sulfurous acid; bisulfites sulfi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aper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이 펄프 공업, 구체적으로는 섬유성 반-피니쉬된 제품을 얻는데 사용되는 펄프 쿠킹 용액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다. 이것은 펄프 산업 유출물의 생물학적 정제로 얻어지는 폐수내 소듐 카보네이트 용액을 18-40 g/l의 농축 잉여 활성 슬러지로 포화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쿠킹 혼합물의 2.5-5.6 중량%까지 15℃의 온도에서 고체 침전물을 제거하면서 25-40℃의 온도에서 Na2O 단위당 50-90 중량%의 소듐 카보네이트 및 10-50 중량%의 칼슘 옥사이드를 함유하는 1.55-2.50 중량%의 염기를 함유하는 농도 18-40 g/l의 잉여 활성 슬러지로 종이 공업 유출물을 생물학적으로 정제하여 얻은 폐수를 처리함으로써 얻어지는 알카리성 가수분해물 또는 Na2O 단위에 1.55-2.5 중량% 농도의 소듐 카보네이트 농도를 가진다. 본 방법은 섬유성 반-피니쉬된 제품의 수율을 증대시키고 이의 물리적 및 기계적인 지시자를 개선시킨다. 또한 이것은 펄프 산업 유출물의 생물학적 정제로부터 얻어지는 폐기물의 사용을 허용하고 펄프 쿠킹 용액을 제조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원료물질의 범위를 확장시킨다.

Description

펄프 쿠킹액 제조방법
본 발명은 펄프 및 종이 제조, 특히 섬유성 반가공품을 제조하기 위한 펄프 쿠킹액 제조방법에 관한다.
수 매질에 설페이트를 가하여 펄프 쿠킹액을 제조하는 방법은 공지되어 있다[1].
요구되는 pH-값에 도달할때까지 수 매질을 황산 무수물로 포화시키는 것은 산 쿠킹액을 제조하는 또다른 널리 공지된 방법이다[2,3].
상기 방법들의 단점은 열거해보면 다음과 같다 : 쿠킹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필요한 신선한 물의 양이 상당하고 결과하는 유출물에 필요한 처리가 비교적 비싸고 최종적인 펄프의 수율이 낮다는 것이다.
섬유성 반가공품 제조용 쿠킹액을 제조하는 널리 공지된 방법은 본 발명에 가장 근접하다. 문제의 방법은 수 매질로서 생물학적으로 처리한 폐수를 사용할 것을 요한다. 이러한 통상적으로 0.5-17.0 g/l의 과량의 활성화된 슬러지를 함유하는 폐수는 설페이트를 용해시키는 2타 증량제로부터 배출되어야 한다. 설파이트 또는 비설파이트 쿠킹 방법을 사용할 경우 상기 언급한 수 매질은 요구되는 pH값에 도달할때까지 황산 무수물로 포화되어야 한다[4].
이 방법은 신선한 물을 생물학적 처리 후의 폐수로 대체함으로써 얻어지는 비용 이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는 비교적 펄프 수율이 낮고 현재 필요로하는 질적 파라미터의 요구 수준에 이르게 될 것임을 보장하지 못한다. 게다가 활성화된 슬러지 농도가 낮은 폐수는 여기서 수 매질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최종 생성물의 수율을 증대시키고 설파이트 쿠킹액을 제조하는데 필요한 원료물질 공급원을 확장시킬 뿐만 아니라 그 질을 개선시키는 방식으로 섬유성 반가공품 제조용 펄프 쿠킹액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언급한 본 발명 목적들은 25-40℃의 온도에서 염기성 염들의 혼합물[Na2O를 기준으로 하여 1.5-2.5 중량%의 CaO 및 50-90 중량%의 Na2CO3]로 유출물을 처리하고 얻어지는 침전물을 제거하여 얻어지는 18-40 g/l의 현탁된 고체 또는 알카리성 가수분해물로 흐르는 펄프 및 종이 제조의 생물학적으로 처리된 유출물내 용액 형태인 소다 애쉬[Na2O를 기준으로 하여 1.5-2.50 중량%]를 쿠킹액내 함량이 용액 총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2.2-5.5 중량%가 될 때까지 35-40℃에서 황산 무수물로 포화시키면서 수 매질로서 사용할 경우 도달된다.
본 방법은 25-40℃의 온도에서 염기성 염들의 혼합물[Na2O를 기준으로 하여 1.5-2.5 중량%의 CaO 및 50-90 중량%의 Na2CO3]로 유출물을 처리하고 얻어지는 침전물을 제거하여 얻어지는 18-40 g/l의 현탁된 고체 또는 알카리성 가수분해물로 흐르는 펄프 및 종이 제조의 생물학적으로 처리된 유출물내 용액 형태인 소다 애쉬[Na2O를 기준으로 하여 1.5-2.50 중량%]를 수 매질로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널리 공지된 방법과 상이하다.
펄프 및 종이 유출물에 용해되어 있는 소다 애쉬 또는 동일 유출물에서 유래하는 가수분해물을 사용하면 쿠킹액내에서 발견되는 알카리성 또는 산성 가수분해 산물이 방해제로 작용하여 카보하이드레이트의 열적 산화 분해 과정을 생략하게 하므로 펄핑 효율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소다 애쉬 용액을 포화시키기 위하여 황산 무수물을 사용할 경우 과량의 황성화된 슬러지를 함유하는 생물학적으로 처리된 폐수에는 바이오-유기 부분이 건조시킨 잔기를 기준으로 할 때 83중량%에 달하므로 바이오-유기 부분의 산성 가수분해가 일어난다.
상기 언급한 폐수를 처리하기 위하여 염기성 염의 혼합물을 사용할 경우 활성화된 슬러지의 바이오-유기 부분의 알카리 가수분해를 동반하는 완전한 포화 이전에 가성화 반응이 진행될 것이다.
Na2CO3+ CaO + H2O = 2NaOH + CaCO3
활성화된 슬러지 생물자원의 산 및 알카리 가수분해물 모두의 주요 성분은 아미노산 및 이들의 소듐염[용액을 통과하는 총 유기 물질을 기준으로 하여 약 68-80 중량%],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염[10-15 중량%], 중성 에테르-가용성 물질[5-12 중량%] 및 페놀[2-12 중량%]이다.
펄프 및 종이 폐수 처리 플랜트로부터 얻어지는 활성화된 슬러지 생물자원은 상당한 양의 섬유 미분, 이사-리그닌 및 톱밥을 함유하며 이들의 총량은 건조 잔기를 기준으로 하여 17 중량% 이하임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조심스럽게 혼합할 경우 상기 언급한 가성화 반응에 따라 생성된 칼슘 카보네이트는 주로 활성화된 슬러지 생물자원의 가수분해되지 않은 고체 입자 사이에 분포한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반드시 수분을 보유하므로 거의 분리되지 않을 수 있는 활성화된 슬러지 생물자원의 가수분해되지 않은 앙금은 이들이 용이하게 여과 또는 침전되도록 위치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바람직한 구조를 얻게된다.
본 방법은 농도 18-40g/l의 활성화된 슬러지 생물자원으로 생물학적으로 처리한 후의 공업용수를 사용하는 것을 의도한다. 특정 침강기내에서 활성화된 슬러지 생물자원의 1차 고화에 의하여 얻어지는 이러한 농축은 이것이 제조시 통상적인 쿠킹액내 생성되는 산 및 알카리 가수분해 산물 함량보다 더 높이 유지되어 쿠킹을 더 효과적으로 하므로 최적이다. 더욱이, 고농도의 활성화된 슬러지[18-40 g/l]와 함께 공업용 폐수를 사용하는 것은 활성화된 슬러지 생물자원의 이용을 가능하게 한다.
무엇보다 35-40℃에서 2.5-5.5 중량% 농도의 황산 무수물로 수 매질을 포화시키는 것은 활성화된 슬러지 생물자원의 완전한 산 가수분해에 도달한 다음 쿠킹액의 질을 증대시키는 물질의 생성에 이르게 할 수 있으며 두 번째로 쿠킹의 최적 조건 즉 섬유성 반가공품 수율 증대 및 이의 기계적인 특성 개선을 의도한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수 매질로서 알카리 가수분해물을 사용하는 것은 완전히 건조시킨 물질을 기준으로 하여 17 중량% 이하가 되는 활성화된 슬러지 생물자원의 가수분해되지 않은 부분으로부터 [칼슘 카보네이트와 공침전법으로]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으므로 섬유성 반가공품에 요구되는 질적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본 알카리 가수분해물 생성 조건[25-40℃에서 Na2O를 기준으로 하여 1.55-2.55 중량%의, 50-90 중량%의 소듐 카보네이트 및 10-15 중량%의 칼슘 옥사이드를 함유하는 염기성 염 혼합물로 처리한 다음 침전물을 제거함]은 활성화된 슬러지의 바이오-유기 부분의 완전한 알카리 가수분해에 도달하여 불용성 이사를 제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들 모두는 쿠킹 공정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섬유성 반가공품의 질을 더 양호하게 한다.
본 방법은 다음 방식으로 수행된다:
활성화된 슬러지 농도가 18-40 g/l에 이를때까지 방사성 또는 수직 농축장치내에 위치시킨 후 펄프 및 종이 밀의 생물학적으로 처리된 폐수에 소듐 카보네이트[용액내 농축물을 만들도록 Na2O를 기준으로 하여 1.55-2.55 중량%에 달하는 양으로]를 가한다. 농도가 2.5-5.5 중량%가 되고 슬러지의 유기 부분이 용해될때까지 얻어지는 소다 애쉬 용액을 35-45℃의 온도에서 황산 무수물로 포화시키기 위하여 흡수장치로 보낸다. 생물학적으로 처리하여 과량의 활성화된 슬러지의 농도가 18-40 g/l에 이르기까지 농축장치에 저장한 펄프 및 종이 밀 폐수를 혼합기로 옮겨 25-40℃의 온도에서 Na2O를 기준으로 하여 1.55-2.50 중량%의 혼합된 염기성 염으로 처리시킨다(활성화된 슬러지 생물자원이 완전히 용해될때까지 철저한 혼합이 동반됨).
알카리 가수분해물, 용해되지 않은 이사 및 칼슘 카보네이트를 함유하는 얻어진 혼합물을 여과 또는 침전법으로 탈수시킨다. 이렇게 얻어진 맑은 알카리 가수분해물을 흡수장치로 보내어 농도가 2.5-5.5 중량%에 이르기까지 35-45℃의 온도에서 황산 무수물로 포화시킨다.
본 방법은 다음 실시에로 예시된다.
실시예 1
스테인레스 강철로 만들어진 15L 들이 오토클레이브 안에 9L의 쿠킹액을 가함과 동시에 360g의 에어 드라이 칩을 로딩시켰다. 상기 쿠킹액은 펄프 및 제지 공장에서 배출되는 폐수를 포화시켜 제조었으며, 최종의 상기 액은 다음 조성: 30g/l 함량의 활성 슬러지 생물량 및 Na2O를 베이스로 하는 2 중량% 함량의 소다회를 갖는다. 포화액은 아황산 무수물의 농도가 4.5 중량%에 이를 때까지 40℃의 온도로 계속 실시해 주어야 한다.
온도가 25℃에서 100℃로 상승되는 2시간 15분 동안 쿡킹 공정을 수행해 주었고, 이 후 45분 동안 온도를 120℃로 유지시켜 주었으며, 추가로 1시간 30분에 걸쳐 온도를 120℃에서 160℃로 상승시켜 주었다. 이 후, 한 시간 더 160℃ 온도하에 상기 방법을 수행하였다. 쿡킹물이 75g/l 이상일 경우, 상기 얻어진 중간 제조물의 견본을 발췌하여 이의 백색도 및 기계적 성질 모두를 측정하였다. 상기 얻어진 결과는 표로 주어진다.
실시예 2
쿠킹액은 하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었다:
펄프 및 제지 공장으로 부터 배출되는, 활성 슬러지 30g/l로 구성되는 폐수를 Na2O를 베이스로 하는 2.5 중량% 함량의 소듐 카보네이트 및 칼슘 옥사이드가 동일한 비율로 함유되어 있는 혼합된 염기로 35℃ 온도하에 처리하였다. 침전물을 제거한 후, 상기 알카리 가수분해물을 이 농도가 5.5 중량%에 이를 때 까지 40℃ 온도하에 아황산 무수물로 포화시켰다. 활성 슬러지를 알카리 가수분해하여 얻어진 생성물과 함께 이 결과로 얻어진 쿠킹액은 1.9의 pH 값을 갖는다. 쿡킹 공정은 실시예 1에 기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조건하에서 수행되었다. 이 결과를 표로 나타낸다.
얻어진 데이터에서는, 쿠킹액을 제조키 위해 필요한 조건들의 조합이 공지된 방법과 비교하여 수율을 상당히 증가시키고, 최종 생성물의 기계적 성질이 개선되도록 하였음을 보여준다.
더우기, 쿠킹액 제조시 증류수의 사용이 배제되고, 생성물을 위해 비축된 원료는 확대된다. 동시에, 본 발명은 펄프 및 제지 공장에서 배출되는 모든 폐수의 이용 방법 및 환경에 대한 실제 위협으로 부터의 해결 방법을 제공한다.
실시예번호 펄프의산출량(%) 반쯤 완성된 섬유성 제품의 특성
목질화되지 않는 정도(Kappa) 인열길이(m) 내인열성(g) 내압축성(kg/sm2) 백색도(%)
1 73 79 11280 64 3.5 58.8
2 78 86 11920 67 3.8 59.7
3* 52 57 10360 61 2.9 55.8
*실시예 3은 제 USSR1746002 호인 본인의 증명서에 따라, 공지된 쿡킹 방법을 나타낸다.
상기 쿡킹 공정은 실시예 1의 조건하에 실시된다.

Claims (1)

18-40 g/l의 활성화된 슬러지 생물자원 및 Na2O를 기준으로 하여 1.55-2.55 중량%의 소다 애쉬 또는 25-40℃의 온도에서 소듐 카보네이트를 함유하는 염기성 염 혼합물[Na2O를 기준으로 하여 50-90 중량%]로 폐수를 처리한 다음 고체 침전 제거로 얻어지는 알카리 가수분해물을 함유하는 생물학적으로 처리된 펄프 및 종이 밀 폐수를 황산 무수물을 사용하여 농도가 2.5-5.5 중량%가 될 때까지 35-45℃의 온도에서 황산 무수물로 포화시키는 것으로 인하여 다른 방법들과 구별되는, 수 매질을 황산 무수물로 포화시켜 수행하는 섬유성 반가공품 제조용 쿠킹액(cooking liquor) 제조 방법.
KR1019980703770A 1995-11-21 1996-11-13 펄프 쿠킹액 제조 방법 KR199900714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RU95119640 1995-11-21
RU9595119640A RU2091529C1 (ru) 1995-11-21 1995-11-21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варочного раствора для получения волокнистого полуфабриката
PCT/RU1996/000323 WO1997019220A2 (fr) 1995-11-21 1996-11-13 Procede de preparation d'une liqueur de cuisson permettant d'obtenir un produit semi-fini fibreux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1498A true KR19990071498A (ko) 1999-09-27

Family

ID=20173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3770A KR19990071498A (ko) 1995-11-21 1996-11-13 펄프 쿠킹액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0863250A4 (ko)
JP (1) JP2000500538A (ko)
KR (1) KR19990071498A (ko)
CN (1) CN1207782A (ko)
AU (1) AU7713796A (ko)
BR (1) BR9611644A (ko)
CA (1) CA2238100A1 (ko)
NO (1) NO982293L (ko)
RU (1) RU2091529C1 (ko)
WO (1) WO199701922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17790B (zh) * 2017-12-13 2018-12-07 济南圣泉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生产高活性木质素和副产糠醛的方法及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32245A (en) * 1972-05-01 1976-04-14 Westvaco Corp Method of pulping wood
FR2184608B1 (ko) * 1972-05-15 1975-04-04 Owens Illinois Inc
GB1433307A (en) * 1974-07-11 1976-04-28 Texaco Development Corp Integrated kraft pulping process
US4155804A (en) * 1975-03-17 1979-05-22 International Telephone And Telegraph Corporation Removal of volatile organic components from spent sulfite effluent
DE2640885C3 (de) * 1975-09-16 1979-02-22 Pwa Papierwerke Waldhof-Aschaffenburg Ag, 8000 Muench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Zellstoff nach dem Sulfitverfahren
SU746002A1 (ru) * 1978-05-30 1980-07-07 Всесоюзное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целлюлозно-бумажно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Варочный раствор дл получени волокнистого полуфабриката
SU783386A1 (ru) * 1978-07-17 1980-11-30 Всесоюзное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целлюлозно-бумажно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Варочный раствор дл получени волокнистого целлюлозосодержащего полуфабриката
SU896125A1 (ru) * 1980-05-14 1982-01-07 Централь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бумаг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целлюлозы
SU903417A1 (ru) * 1980-05-26 1982-02-07 Всесоюзное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целлюлозно-бумажно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целлюлозы дл химической переработки
FI67105C (fi) * 1980-11-14 1985-02-20 Rauma Repola Oy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kokvaetska erforderilig i neutralsulfitkok med antrakinonoekning
SU1074929A1 (ru) * 1982-10-19 1984-02-23 Всесоюзное Ордена Трудового Красного Знамени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Целлюлозно-Бумажно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 сульфитной варочной кислоты дл производства целлюлозы
SU1164347A1 (ru) * 1984-01-03 1985-06-30 Ленинградская Ордена Ленина Лесотехническая Академия Им.С.М.Кирова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целлюлозы
SU1608274A1 (ru) * 1988-01-21 1990-11-23 Ленинградская лесотехническая академия им.С.М.Кирова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 сульфитной варочной жидкости дл получени целлюлозы дл химической переработк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500538A (ja) 2000-01-18
NO982293L (no) 1998-07-20
NO982293D0 (no) 1998-05-20
RU2091529C1 (ru) 1997-09-27
AU7713796A (en) 1997-06-11
EP0863250A4 (en) 1998-11-25
CN1207782A (zh) 1999-02-10
CA2238100A1 (en) 1997-03-29
EP0863250A2 (en) 1998-09-09
WO1997019220A3 (fr) 1997-08-14
BR9611644A (pt) 1999-07-13
WO1997019220A2 (fr) 1997-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35024A (en) Process for separating lignins and dissolved organic compounds from kraft spent liquor
US3639206A (en) Treatment of waste water from alkaline pulping processes
RU2211190C2 (ru)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технологической воды
DE2415498A1 (de) Bleich- und rueckgewinnungsverfahren fuer kraftzellstoff
BR8805400A (pt) Metodo para limpeza de solucao verde em moinhos de polpa de sulfato
WO2007120091A1 (en) Method for separating polymeric pentose from a liquid/slurry
CA1130023A (en) Method of treating pulp bleaching effluents
JPH03500791A (ja) パルプ及び紙製造工程からの流出液からの有機物質の除去方法
US3945917A (en) Decolorizing method for waste kraft paper mill effluents
KR19990071498A (ko) 펄프 쿠킹액 제조 방법
WO1986004888A1 (en) A method of removing macromolecular organic dissolved and colloidal material from wood processing industry effluents
US2734037A (en) Method of introducing sulfite waste
FI73253C (fi) Foerfarande foer aotervinning av material i avloppsvatten.
US1147245A (en) Tanning material and process of preparing the same.
US3003908A (en) Processes of preparing cooking liquor for neutral sulphite digestion of cellulosic material
SU536268A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целлюлозы
CA2291722C (en) Process for treating spent, waste, alkaline digestion liquor from paper pulping operations and product
SU1141130A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 упаковочной бумаги
SU737358A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гидроалюмокарбоната натри
US428509A (en) Ebenezer kennard hitting
SU746002A1 (ru) Варочный раствор дл получени волокнистого полуфабриката
SU1708851A1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диффузионного сока
SU1006389A1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производства целлюлозы
SU834296A1 (ru) Способ подготовки наполнител дл пОлучЕНи буМАги
SU649756A2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гидролизных сре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