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8475A - 쇄석용탐침을갖는결석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쇄석용탐침을갖는결석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8475A
KR19990068475A KR1019990018823A KR19990018823A KR19990068475A KR 19990068475 A KR19990068475 A KR 19990068475A KR 1019990018823 A KR1019990018823 A KR 1019990018823A KR 19990018823 A KR19990018823 A KR 19990018823A KR 19990068475 A KR19990068475 A KR 199900684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stone
stones
probe
bas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8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8411B1 (ko
Inventor
채현석
Original Assignee
채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현석 filed Critical 채현석
Priority to KR1019990018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8411B1/ko
Priority to JP25143499A priority patent/JP3145688B2/ja
Publication of KR19990068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8475A/ko
Priority to CNB991190351A priority patent/CN1150859C/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8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84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1Gripping devices in the form of loops or baskets for gripping calculi or similar types of ob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031Gripping instruments, e.g. forceps, for removing or smashing calcul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61B18/2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the beam being directed along or through a flexible conduit, e.g. an optical fibre; Couplings or hand-pieces therefor
    • A61B18/2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the beam being directed along or through a flexible conduit, e.g. an optical fibre; Couplings or hand-pieces therefor with a catheter
    • A61B18/24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the beam being directed along or through a flexible conduit, e.g. an optical fibre; Couplings or hand-pieces therefor with a catheter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or calcul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61B2017/0029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mounted on an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031Gripping instruments, e.g. forceps, for removing or smashing calculi
    • A61B2017/22034Gripping instruments, e.g. forceps, for removing or smashing calculi for gripping the obstruction or the tissue part from ins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22038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a guide wire
    • A61B2017/22045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a guide wire fixed to the catheter; guiding ti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22051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an inflatable part, e.g. balloon, for positioning, blocking, or immobilisation
    • A61B2017/22065Functions of balloons
    • A61B2017/22069Immobilising; Stabil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2208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 introduction of a substance
    • A61B2017/22084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 introduction of a substance stone- or thrombus-dissolv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529Liver
    • A61B2018/00535Biliary tra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77Abl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tolaryng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분야에서 사용되는 결석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적은 인원으로 시술이 가능하도록 하고 특수장비가 필요없으며 우수한 쇄석력을 얻기 위하여, 내부공간이 형성된 제 1튜브, 제 1튜브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연결부재, 연결부재의 일측단에 결합되어 연결되며 제 1튜브의 내부공간으로 인입되어 결석을 포획하여 고정시키는 포획수단, 제 1튜브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며 포획수단에 포획된 결석과 접촉하여 전기적 충격을 인가하는 쇄석용 탐침, 및 제 1튜브의 일측에 결합되어 있으며 연결부재와 쇄석용 탐침을 독립적으로 운동시키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석용 탐침을 갖는 결석 제거 장치를 제공한다. 이에 따르면, 결석의 포획 제거와 결석의 쇄석이 모두 하나의 장치를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x-선 투시 화면을 보고 직접 시술할 수 있어 별도로 내시경이 필요하지 않다. 또한, 포획수단에 결석이 고정된 상태에서 결석의 중앙부에 충격파가 전달되기 때문에 충격효과가 우수하며, 쇄석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등 여러 가지 이점을 갖는다.

Description

쇄석용 탐침을 갖는 결석 제거 장치{Calculus-removing device having smashing probe}
본 발명은 의료 분야에서 사용되는 결석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쇄석용 탐침을 내장하여 인체 내에 형성된 결석의 쇄석과 제거가 동시에 가능한 쇄석용 탐침을 갖는 결석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 내에 존재하는 결석은 유기질 이온이 pH의 변화에 따른 용해도 변화에 의해 침착된 것으로서 결석이 발생하는 부위에 따라 요로결석, 담관결석(담석)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결석이 형성될 경우에는 정상적인 흐름의 장애를 유발하여 이에 따른 증상 유발의 요인이 된다. 이와 같은 결석의 제거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지만, 보통 내시경, 바스켓 카테터(basket catheter), 쇄석용 탐침을 갖는 전기수압쇄석장치 등을 이용하여 제거하게 된다. 그 예로 유두괄약근 절개술을 시행한 후의 담관결석 제거와 이에 사용되는 장치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직경이 10㎜ 이내의 담관결석의 제거는 종래부터 이용되고 있는 유두부 괄약근의 절개와 바스켓 또는 풍선 등을 이용한 제거 방법으로 약 90%에서 제거가 가능하다. 그러나, 직경 10㎜ 이상의 담석의 제거는 상기 방법으로 불가능하여 담석의 쇄석 후 제거가 가능하다. 쇄석 방법에는 크게 기계적 쇄석법, 전기수압쇄석법의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특히, 유두부의 대절개 후 담관결석의 직경이 10㎜ 이내의 것은 바스켓 카테터로 회수할 수 있으나, 10-20㎜의 것은 절개 직후 쇄석과 바스켓 카테터를 이용하여 제거하게 된다.
도 1은 담관결석의 제거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바스켓 카테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담관결석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바스켓 카테터(200)는 튜브(240)의 내부공간에 네 가닥의 금속선이 꼬여져 이루어진 와이어(250)가 삽입되어 그 와이어 선단에서 네 가닥의 와이어(250)가 고착되고, 각각의 와이어(250)가 굴곡되어 그 끝이 고정되어 형성된 바스켓(220)을 갖는 구조이다. 담석을 제거하는 시술을 보면, 튜브(240) 선단을 담관결석이 자리한 위치까지 삽입된 후 바스켓(220)을 벌려서 담관결석을 바스켓(220) 내로 포착한 후 바스켓(220)을 튜브(240) 내부로 끌어당겨 결석을 바스켓(220)에 조여 고정시킨 상태로 끄집어냄으로써 담관결석이 제거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바스켓 카테터를 이용한 담관결석의 제거는 담관결석의 크기와 존재부위에 따라 한계가 있다. 실제로 담관결석의 장경이 10㎜ 이상인 경우 제거가 어렵고 장경이 20㎜ 이상의 거대결석은 유두괄약근 절개법을 시행한다하여도 담관결석의 제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결석의 크기에 대한 한계점을 타파하기 위해 고안된 장치가 기계식 쇄석 바스켓 카테터와 전기수압쇄석장치이며, 이들에 의하면 장경이 30㎜이상의 거대결석도 쇄석이 가능하다.
도 2는 전기수압쇄석장치의 쇄석용 탐침이 내시경 내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기수압쇄석장치는 전기수압발생장치(320)와 쇄석용 탐침(310)으로 이루어진다. 전기수압발생장치(320)로부터 공급된 전압에 의해 쇄석용 탐침(310)은 그 선단의 방전전극(312)에서 1800-2000V의 높은 전압을 순간적으로 방전시켜 0.6-5ws의 방전 에너지를 갖는 충격파가 발생된다. 내시경(330)하에 담관결석을 내시경 정면에 위치한 다음 내시경(330)의 겸자구(340)를 통해 쇄석용 탐침(310)을 삽입하여 선단의 방전전극(312)을 결석으로 접근 또는 접촉시킨 후 방전하여 파괴시킨다. 파괴된 결석은 자연배출법 또는 바스켓 카테터를 이용하여 제거된다.
도 3은 기계식 쇄석 바스켓 카테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 기계식 쇄석 바스켓 카테터(400)는 앞서 설명한 바 있는 바스켓 카테터와 그 구조가 유사하나 바스켓(420)이 인입되는 튜브(440)가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는 특징이 있다. 바스켓 카테터(400)의 튜브(440) 선단을 결석 위치까지 삽입한 후 바스켓(420)을 벌린 다음 결석을 바스켓(420) 내로 포착한 후 사람의 힘으로 바스켓(420)을 금속재질의 튜브(440) 내부로 강제적으로 인입시켜 담관결석을 물리적인 힘으로 파쇄한 후 담관결석을 바스켓(420)으로 포획하여 제거하거나 또는 자연배출법으로 제거하게 된다.
그러나, 기계식 바스켓 카테터를 이용하여 결석을 제거할 경우에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먼저, 기계식 쇄석 바스켓 카테터를 이용하여 결석을 제거할 경우에 결석이 포획된 바스켓을 금속재질의 튜브 내로 힘을 가하여 인입시켜야 하기 때문에 쇄석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고, 금속재질이므로 유연성이 떨어져 조작이 용이하지 않아 시술자의 숙련이 필요하다. 또한, 바스켓 사이즈에 한계가 있어서 30㎜ 이상의 담관결석을 쇄석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충분한 유두부 절개가 불가능한 경우(십이지장게실)에 여러 번의 쇄석 작업이 필요하여 쇄석에 걸리는 시간이 길어지고 환자에 대한 고통이 있으며 통상적으로 근위부 결석보다는 원위부의 결석을 먼저 쇄석해야 한다.
그리고, 전기수압쇄석장치를 이용하여 결석을 제거할 경우에 직접 결석을 관찰하며 쇄석을 해야하기 때문에 반드시 고가의 특수 목적의 담도 내시경(경피적 담도 내시경, 경유두적 담도 내시경)과 병행하여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내시경으로 결석을 확인한 후에 결석의 가운데 부위를 정확하게 맞추어야 하는 부담이 있다. 그리고, 최종적인 결석의 제거를 위해서는 쇄석용 탐침으로 쇄석을 한 후 별도의 바스켓 카테터의 삽입이 필요하다. 따라서, 시술을 위해서는 전기수압쇄석장치 외에 내시경을 조정해야 하는 등 적어도 2명 이상의 잘 숙련된 시술자가 필요하며 시술도 용이하지 않다. 경피적 담도 내시경과 경구적 담관 내시경을 포함하여 내시경을 사용할 경우에 모두 2인 또는 3인 이상의 보조 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술에 필요한 인원이 적으며 특수한 숙련이 필요하지 않더라도 쉽게 조작할 수 있고 시술시간이 짧으며 쇄석력이 우수하여 시술이 용이하고 안전하며 환자의 고통이 적으며 제작비용이 높지 않은 결석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담관결석의 제거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바스켓 카테터(basket catheter)의 사시도.
도 2는 전기수압쇄석장치의 쇄석용 탐침이 내시경 내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기계식 쇄석 바스켓 카테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결석 제거 장치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를 부분 절개하여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도 4의 결석 제거 장치에 의해 결석 제거가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낸 동작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결석 제거 장치의 제 2실시예를 부분 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00: 바스켓 카테터 20,120: 바스켓
25: 머리부 40,140: 제 1튜브
41,141: 내부공간 42,142: 튜브 보호부
50: 와이어 51: 제 2튜브
52: 연결편 153: 튜브 보호부
154: 제 3튜브 55,155: 쇄석용 탐침
56,156: 도전심 57,157: 탐침 몸체
58,158: 방전전극 60: 손잡이
61: 손잡이 몸체 62: 푸싱(pushing)부
63: 연결심 64: 주입부
65: 쇄석용 탐침 배출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쇄석용 탐침을 갖는 결석 제거 장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제 1튜브, 제 1튜브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연결부재, 연결부재의 일측단에 결합되어 연결되며 제 1튜브의 내부공간으로 인입되어 결석을 포획하여 고정시키는 포획수단, 제 1튜브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며 포획수단에 포획된 결석과 접촉하여 전기적 충격을 인가하는 쇄석용 탐침, 및 제 1튜브의 일측에 결합되어 있으며 연결부재와 쇄석용 탐침을 독립적으로 운동시키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포획수단으로는 탄성력을 갖는 복수의 금속세선을 바구니 형태로 형성한 바스켓을 제 1튜브에 결석을 밀착하여 고정시키기에 유리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부재로는 금속선이나 튜브를 이용할 수 있으며, 금속선을 이용하는 경우 쇄석용 탐침을 둘러싸도록 튜브형태의 연결편을 이용하여 바스켓과 와이어가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동작에 있어서의 신뢰성을 향상시켜 바람직하다.
더욱이, 제 1튜브의 재질을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하고 그 선단을 금속재로 덮여지도록 하면 결석의 밀착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제 1튜브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x-선 투시 화면에 잘 나타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쇄석용 탐침을 갖는 결석 제거 장치의 실시예로서 바스켓 카테터를 도면을 참조하여 소개하기로 한다. 여기서, 소개되는 바스켓 카테터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서 본 발명이 이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결석 제거 장치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를 부분 절개하여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도 4의 결석 제거 장치에 의해 결석 제거가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낸 동작 상태도.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결석 제거 장치로서의 바스켓 카테터(10)는 결석을 포획하기 위한 바스켓(20)과 그 바스켓(20)을 결석 위치로 안내하는 제 1튜브(40), 결석에 충격파를 가하는 쇄석용 탐침(55), 쇄석용 탐침(55)가 삽입되는 제 2튜브(51), 및 바스켓(20)과 와이어(50)의 운동을 조정하는 손잡이(60)를 포함한다. 바스켓(20)이 제 1튜브(40)의 내부공간(41)에 내재된 와이어(50)와 연결되어 제 1튜브(40)의 일측 말단부에서 출입되며, 출입의 조정은 제 1튜브(40)의 타측 말단부에 결합된 손잡이(60)에서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는 구조이다.
제 1튜브(4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유연성을 가지며, 제 1튜브(40)의 길이와 직경은 필요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튜브(40)의 일측 말단부에는 금속재질로 제 1튜브(40)를 감싸도록 덮여져 튜브 보호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 1튜브(40)는 내부가 보일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인 플라스틱 재질, 예컨데 테프론 재질의 것이다.
제 1튜브(40)의 내부공간(41)에는 복수의 와이어(50)가 삽입되어 있으며, 그 와이어(50)의 일측 선단이 제 2튜브(51)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있는 튜브 형태의 연결편(52)의 관통구멍(53)을 통해 반대쪽의 선단부 손잡이(60)에 연결되어 있다. 바스켓(20)은 제 1튜브(40)의 외측으로 배출될 경우에 바구니 형태가 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갖는 복수의 금속세선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바스켓(20)의 선단에는 머리부(25)가 결합되어 있다. 바스켓(20)은 제 1튜브(40)를 따라 움직이게 된다. 여기서, 머리부(25)는 결석위치로 제 1튜브(40)가 이동될 때 제 1튜브(40)의 내부공간(41)을 폐쇄하는 크기의 것이며 인체조직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선단부가 각지지 않고 매끄럽게 가공되어 있다. 바스켓(20)을 구성하는 금속세선의 수는 필요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다.
제 1튜브(40)의 내부공간(41)을 관통하도록 하여 쇄석용 탐침(55)이 삽입되어 있다. 쇄석용 탐침(55)은 탐침 몸체(56)의 내부에 전기전도성의 도전심(57)을 내재한 것으로 이 도전심(57)이 탐침 몸체(56)의 말단에 결합된 방전전극(58)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쇄석용 탐침(55)에 전압이 인가되면 그 선단의 방전전극(58)에 1800-2000V의 높은 전압이 인가되어 방전 에너지를 갖는 충격파가 발생된다.
제 2튜브(51)의 외주면에 형성된 연결편(51)은 관통구멍(53)을 통하여 와이어(50)가 삽입되어 있다. 이에 따라, 와이어(50)가 제 1튜브(40)에서 운동될 때 꼬임이 방지될 수 있다. 와이어(50)는 제 2튜브(51)과 제 1튜브(40)의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제 1튜브(40)의 일측 말단에 결합된 손잡이(60)는 와이어(50)와 결합되어 있는 철심(63)과 그 철심과 결합되어 있는 푸싱(pushing)부(62) 및 결석 제거시 필요한 조영재 또는 생리 식염수 등의 주입을 위한 주입부(64) 및 제 2튜브(51)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쇄석용 탐침 배출부(65)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갖고 있다. 노출된 제 2튜브(51)을 통하여 배출되는 쇄석용 탐침(55)은 그 길이가 충분히 길도록 하여 쇄석용 탐침(55)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압발생장치(도시 안됨)와 연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위에 소개된 바스켓 카테터를 이용한 결석 제거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단, 도 6에서는 내시경(430)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나, 내시경(430)을 사용하지 않고 직접 바스켓 카테터(10)을 사용할 수 있다.
시술의 순서를 보면, 장경이 10㎜ 이하인 결석(72)의 경우에 시술자는 손잡이(60)의 푸싱부(62)를 잡아당겨 와이어(50)가 손잡이 쪽으로 당겨지도록 하여 바스켓(20)을 제 1튜브(40)의 내부공간(41)으로 끌려들어가도록 한다. 이때, 바스켓(20)과 결합되어 있는 머리부(25)가 제 1튜브(40)의 내부공간(41)을 폐쇄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시술자는 별도로 통상의 내시경(430)을 사용하여 x-선 투시 화면을 보면서 바스켓 카테터(10)의 제 1튜브(40) 선단을 결석(72)이 자리한 위치까지 밀어 넣는다. 결석(72)의 위치에 제 1튜브(40)의 선단이 다다르면, 시술자는 계속해서 x-선 투시 화면을 보면서 푸싱부(62)를 밀어 결석(72)이 바스켓(20) 내측에 들어오도록 한 후 푸싱부(62)를 잡아 당긴다. 바스켓(20)은 제 1튜브(40)의 내부공간(41)으로 인입됨과 동시에 결석(72)이 제 1튜브(40)의 선단에 밀착된 상태가 되어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제 1튜브(40)를 빼내어 포획된 결석을 제거(72)하게 된다. 단, 이러한 시술에 있어서, 손잡이(60)에서 외부로 노출된 쇄석용 탐침(55)을 제 1튜브(40)의 내부공간(41)에 쇄석용 탐침(55)이 위치하도록 하여 바스켓(20)과의 전기적인 단락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10㎜이상의 장경을 갖는 비교적 크기가 큰 결석(70)일 경우, 제 1튜브(40)의 선단이 결석(70)의 위치에 다다르게 하는 동작은 결석의 크기가 작은 경우와 동일하다. 결석(70)의 위치에 제 1튜브(40)의 선단이 다다르게 되면, 시술자는 계속해서 x-선 투시 화면을 보면서 푸싱부(62)를 밀어 결석(70)이 바스켓(20) 내측에 들어오도록 한 후 푸싱부(62)를 잡아 당겨 바스켓(20)이 제 1튜브(40)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한다. 바스켓(20)은 제 1튜브(40)의 내부로 인입됨과 동시에 결석(70)이 제 1튜브(40)의 선단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된다. 다음에, 전기수압발생장치에 연결된 쇄석용 탐침(55)을 밀어넣어 쇄석용 탐침의 방전전극(58)을 결석(70)에 근접 또는 접촉시킨 상태에서 결석에 충격파를 가한다. 이때, 결석(70)이 제 1튜브(40)의 선단에서 바스켓(20)에 의해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정확하고 강하게 충격파가 결석에 가해질 수 있다. 미세하게 파괴된 결석은 자연배출법에 의해 제거될 수 있고, 자연배출법에 의해 제거되지 못하는 10㎜이하의 크기로 파괴된 결석은 장경이 10㎜이하인 결석을 제거할 때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거될 수 있다. 위의 시술은 제 1튜브(40)가 담관 내에서 바스켓(20)에 담관결석이 포획된 후 1번의 시술로 가능하다.
이와 같은 결석 제거에 있어서, 결석(70)이 바스켓(20)에 의해 포획되어 제 1튜브(40)로 당겨질 때 제 1튜브(40)의 선단에 튜브 보호부(42)가 있기 때문에 당겨질 때 제 1튜브(40)의 선단에서 받는 힘에 의해 플라스틱 재질의 제 1튜브(40)가 파손되지 않는다. 그리고, 튜브 보호부(42)는 금속재질이기 때문에 x-선 투시 화면에 뚜렷하게 나타나 시술이 용이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결석 제거 장치의 제 2실시예를 부분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결석 제거 장치의 제 2실시예로서의 이 바스켓 카테터(100)는 쇄석용 탐침(155)과 제 1튜브(140)의 내부에 연결부재로서, 제 2튜브(151)를 갖고 있고 쇄석용 탐침(155)의 절연 및 삽입이 가능하도록 제 2튜브(151)의 내부에서 쇄석용 탐침(155)을 둘러싸도록 제 3튜브(154)를 더 내재하고 있는 구조이다. 그리고, 바스켓(120)은 그 말단부가 일반적인 바스켓의 머리부와 달리 원형의 와이어(123)에 의해 결속되어 있는 형태이다. 쇄석용 탐침(155)은 제 3튜브(154)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고 바스켓(120)의 상부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삽입이 용이하고, 여러 사이즈의 바스켓(20)을 이용하여 여러 사이즈의 담관결석의 쇄석을 가능하게 하며, 가이드 와이어와 같은 별도의 안내수단의 삽입이 용이하다. 제 1튜브(140)와 바스켓(120) 및 쇄석용 탐침(155)에 대해서는 앞서 기술한 제 1실시예와 동일하여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 바스켓 카테터(100)는 바스켓(120)이 제 2튜브(151)의 일측단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단이 손잡이의 푸싱부(도시하지 않음, 이하 동일)에 결합되어 있다. 푸싱부를 잡아당기면 제 2튜브(151)가 당겨져 바스켓(120)이 제 1튜브(140)의 내부공간(141)으로 인입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튜브(151)의 일측단부도 제 1튜브(140)와 같이 튜브 보호부(153)가 형성되어 물리적인 강도가 우수하며 x-선 투시 화면상에 잘 나타나게 된다.
이상에서 소개된 실시예들과 같은 본 발명의 결석 제거 장치는 결석을 제거하기 위한 포획수단 외에 결석의 쇄석을 위한 쇄석용 탐침을 자체적으로 내재하고 있다. 크기가 작은 결석의 경우 포획수단만을 이용하여 제거하고 크기가 큰 결석의 경우 쇄석용 탐침을 이용하여 쇄석한 후 포획수단을 이용하여 1번의 담관 삽입으로 제거한다. 결석의 제거를 위한 결석 제거 수단의 조작은 x-선 투시 화면을 보면서 이루어질 수 있고, 제 1튜브의 말단 부분이 튜브 보호부가 형성되어 바스켓이 제 1튜브의 선단에 밀착될때 제 1튜브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제 1튜브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쇄석용 탐침을 갖는 결석 제거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① 여러 가지 결석의 포획 제거와 결석의 쇄석이 모두 하나의 장치를 사용하여 제거가 가능하기 때문에 결석 제거를 위한 특수한 목적의 담도 내시경, 바스켓 카테터, 및 전기수압쇄석장치의 이용을 따로 하지 않아도 된다.
② x-선 투시 화면을 보고 직접 시술할 수 있어 전기수압쇄석장치의 동작을 위하여 별도로 고가인 내시경이 필요하지 않다. 물론, 내시경에 삽입하여 내시경으로 결석을 확인하고 결석을 파쇄한 후 제거하는 작업도 가능하다.
③ 종래에 기계식 쇄석 바스켓 카테터를 사용할 때와 같이 쇄석을 위해 여러 번의 담관 삽입을 통한 시술자의 번거로운 작업이 없이 쇄석용 탐침으로 간단하게 쇄석이 가능하다.
④ 1인이 시술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석의 포획 제거와 결석 파쇄 작업이 하나의 장치로 이루어 질 수 있어 종래에 각각의 결석 제거에 필요했던 장치를 조작하기 위해 필요했던 인력들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이다.
⑤ 포획수단에 결석이 고정된 상태에서 쇄석용 탐침이 결석 중앙부에 위치하고 가장 근접한 거리에서 충격을 주기 때문에 결석의 중앙부에 충격파가 전달되어 충격효과가 우수하고 쇄석용 탐침이 흔들려서 생기는 정상담도의 손상이 없다.
⑥ 제 1튜브가 들어가기만 하면 담도 내부에서 결석의 쇄석이 가능하기 때문에 유두부의 절개(대절개)가 곤란한 경우에도 여러 번에 걸쳐 쇄석이 가능하기 때문에 쉽게 결석을 한 번의 내시경 삽입으로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다.
⑦ 원위부와 근위부의 순서에 상관없이 제거가 가능하다.
⑧ 제 2실시예에서와 같이 제 3튜브 내부로 바스켓 카테터의 안내를 위한 가이드 와이어 등의 삽입이 가능하다.
⑨ 진단용 내시경이나 치료용 내시경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⑩ 부가적으로, 결석과 악성종양이 있는 드문 경우에 악성 종양의 진단을 위한 세포진 검사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쇄석용 탐침을 갖는 결석 제거 장치는 실시예로 소개한 바스켓 카테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중심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Claims (9)

  1. 내부공간이 형성된 제 1튜브;
    상기 제 1튜브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단에 결합되어 연결되며 상기 제 1튜브의 내부공간으로 인입되어 결석을 포획하여 고정시키는 포획수단;
    상기 제 1튜브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며 상기 포획수단에 포획된 결석과 접촉하여 전기적 충격을 인가하는 쇄석용 탐침; 및
    상기 제 1튜브의 일측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와 쇄석용 탐침을 독립적으로 운동시키는 손잡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석용 탐침을 갖는 결석 제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수단은 탄성력을 갖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와이어로 구성되는 바스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석용 탐침을 갖는 결석 제거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와이어가 내재된 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석용 탐침을 갖는 결석 제거 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쇄석용 탐침의 외주면에 형성된 튜브형 연결편과 상기 연결편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통하여 삽입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석용 탐침을 갖는 결석 제거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쇄석용 탐침과 상기 제 1튜브의 사이에 제 3튜브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석용 탐침을 갖는 결석 제거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튜브는 상기 포획수단이 인입되는 말단 부분에 금속재질의 튜브 보호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석용 탐침을 갖는 결석 제거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포획수단이 결합되는 말단부에 금속재질의 튜브 보호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석용 탐침을 갖는 결석 제거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튜브는 플라스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석용 탐침을 갖는 결석 제거 장치.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은 말단부가 개방되도록 원형의 와이어에 의해 결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석용 탐침을 갖는 결석 제거 장치.
KR1019990018823A 1999-05-25 1999-05-25 쇄석용 탐침을 갖는 결석 제거 장치 KR100318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8823A KR100318411B1 (ko) 1999-05-25 1999-05-25 쇄석용 탐침을 갖는 결석 제거 장치
JP25143499A JP3145688B2 (ja) 1999-05-25 1999-09-06 砕石用プローブを有する結石除去装置
CNB991190351A CN1150859C (zh) 1999-05-25 1999-09-10 具有粉碎结石用探针的结石去除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8823A KR100318411B1 (ko) 1999-05-25 1999-05-25 쇄석용 탐침을 갖는 결석 제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8475A true KR19990068475A (ko) 1999-09-06
KR100318411B1 KR100318411B1 (ko) 2001-12-22

Family

ID=19587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8823A KR100318411B1 (ko) 1999-05-25 1999-05-25 쇄석용 탐침을 갖는 결석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145688B2 (ko)
KR (1) KR100318411B1 (ko)
CN (1) CN1150859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9223A (ko) * 2000-03-10 2001-06-15 박찬수 담석파괴 장치기용 엘록트로드
KR100928706B1 (ko) * 2008-01-03 2009-11-2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결석 제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92470B2 (en) 2006-06-08 2012-01-10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Calculus crushing apparatus and medical procedure using endoscope
CN102319113A (zh) * 2011-09-02 2012-01-18 王宝根 多功能取石器
CN102293676A (zh) * 2011-09-02 2011-12-28 王宝根 气控取石器
KR101418809B1 (ko) 2012-03-27 2014-07-17 주식회사 루트로닉 신장결석 제거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N103445822A (zh) * 2013-09-25 2013-12-18 刘丹青 具有碎石功能的取石器
CN105615942B (zh) * 2016-03-18 2018-08-31 浙江大学滨海产业技术研究院 一种定点碎石装置及粉碎方法
DE102018101221B4 (de) * 2018-01-19 2023-05-17 Ferton Holding S.A. System zum Zertrümmern und/oder Entfernen von Körpersteinen und Verfahren zum Bereitstellen eines derartigen Systems
WO2020003377A1 (ja) * 2018-06-26 2020-01-0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結石破砕装置
CN112206035B (zh) * 2020-09-09 2021-07-16 河南科技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肝胆手术结石取出装置
CN112957101B (zh) * 2021-01-29 2021-10-01 四川大学 扁桃体结石清除装置及清除系统
CN116019524B (zh) * 2022-12-26 2024-01-26 扬州大学 一种结石取出装置
CN116849759B (zh) * 2023-07-06 2024-03-12 朱昌毫 一种临床取石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9223A (ko) * 2000-03-10 2001-06-15 박찬수 담석파괴 장치기용 엘록트로드
KR100928706B1 (ko) * 2008-01-03 2009-11-2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결석 제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45688B2 (ja) 2001-03-12
JP2000333967A (ja) 2000-12-05
KR100318411B1 (ko) 2001-12-22
CN1150859C (zh) 2004-05-26
CN1274565A (zh) 2000-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8411B1 (ko) 쇄석용 탐침을 갖는 결석 제거 장치
EP2219534B1 (en) Device for fragmenting and removing concretions from body ducts and cavities
KR101782250B1 (ko) 결석 제거 장치
US669583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one removal from a body
US3413976A (en) Arrangement for removal of concretions from urinary tract
US20200121338A1 (en) Lithotripsy apparatus using a flexible endoscope
US20080058586A1 (en) Hood member for use with an endoscope
WO2002003873A3 (en) Radiofrequency probes for tissue treatment and methods of use
Reuter Electronic lithotripsy: transurethral treatment of bladder stones in 50 cases
IL205798A (en) Anchored rf ablation device for the destruction of tissue masses
US6319261B1 (en) Electrohydraulic lithotripsy basket
US2004009796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integrating urinary tract stones
KR101768660B1 (ko) 의료용 스네어 장치
JP2010515536A (ja) 砕石バスケットドリル
Clayman Techniques in percutaneous removal of renal calculi Mechanical extraction and electrohydraulic lithotripsy
CN215384412U (zh) 一种碎石取石装置
RU2664959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ндоскопической литотрипсии конкрементов в желчевыводящих путях
US10363087B2 (en) Tissue resection device
KR20200080124A (ko) 결석 제거 장치
RU2463973C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инструмент для захвата и удержания камня в литотрипторе
Martin et al. Use of the electrohydraulic lithotriptor in the biliary tree in dogs.
US7530983B1 (en) Surgical device for removing polyps
CN219538431U (zh) 一种经自然腔道保胆取石吸取器
CN112334082A (zh) 结石破碎装置
CN113116463B (zh) 前列腺腺体移除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