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8367A - 복합형폐쇄회로카메라모니터링장치 - Google Patents

복합형폐쇄회로카메라모니터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8367A
KR19990068367A KR1019990015522A KR19990015522A KR19990068367A KR 19990068367 A KR19990068367 A KR 19990068367A KR 1019990015522 A KR1019990015522 A KR 1019990015522A KR 19990015522 A KR19990015522 A KR 19990015522A KR 19990068367 A KR19990068367 A KR 19990068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oor
camera
output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5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만
Original Assignee
제영도,노창영
주식회사 제이 앤드 알 시큐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영도,노창영, 주식회사 제이 앤드 알 시큐텍 filed Critical 제영도,노창영
Priority to KR1019990015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68367A/ko
Publication of KR19990068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836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형 폐쇄회로 카메라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폐쇄회로 카메라와, 인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도어센서와, 도어카메라와, 도어버튼과,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도어개폐기 및, 상기 복수의 폐쇄회로 카메라 각각을 통해 촬영된 영상을 이용자가 선택한 화면출력모드에 상응하게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도어센서 또는 상기 도어버튼으로부터의 소정의 신호가 입력되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상기 도어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으로 전환하는 한편, 이용자의 키조작에 따라 상기 도어개폐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모니터로 구성되어, 폐쇄회로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함 외에도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여 감지된 사람의 영상을 도어카메라를 통해 촬영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원격지에서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등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복합형 폐쇄회로 카메라 모니터링 장치 {MULTIPLE CLOSED CIRCUIT TELEVISION CAMERA MONITORING DEVICE}
본 발명은 폐쇄회로 카메라의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폐쇄회로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함 외에도 다른 여타의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하여 그 활용도 및 효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복합형 폐쇄회로 카메라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쇄회로 카메라 모니터링 장치는 보안이나 방범을 필요로 하는 지역이나 건물 내에 다수의 폐쇄회로 카메라를 설치하고 이 다수의 폐쇄회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모니터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이용자가 상기 모니터를 통해 표시되는 영상을 통해 해당 구역을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상기 폐쇄회로 카메라 모니터링 장치는, 일정 구역을 촬영하여 이를 디지털형태의 전기적인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폐쇄회로 카메라(Closed Circuit TeleVision Camera; "CCTV Camera")와 상기 폐쇄회로 카메라로부터 출력된 디지털형태의 영상신호를 아날로그형태의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이 변환된 영상신호에 실린 영상을 재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니터(Monitor)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폐쇄회로 카메라 모니터링 장치는, 소수의 사람이 상대적으로 다수의 지역을 동시에 감시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보안을 필요로 하는 건물 등에 그 채용이 증가되는 추세이며, 이와 관련되어 상기한 폐쇄회로 카메라 모니터링 장치의 기능을 복합화하여 그 활용도 및 효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가 근래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폐쇄회로 카메라 모니터링장치의 기능을 복합화하여 그 활용도 및 효용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연구에 관련하여 안출한 것으로, 폐쇄회로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함 외에도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여 감지된 사람의 영상을 도어카메라를 통해 촬영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원격지에서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등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그 활용도 및 효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복합형 폐쇄회로카메라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폐쇄회로 카메라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니터의 개략적인 블록구성도,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모니터에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각기 다른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6: 폐쇄회로카메라 20: 도어센서
30: 도어개폐기 40: 도어카메라
80: 모니터 100: 음성신호전송수단
200: 조작/표시수단 300: 제어부
400: 입력신호처리수단 500: 음성출력수단
700: 영상출력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폐쇄회로 카메라 모니터링 장치는, 복수의 폐쇄회로 카메라와, 인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도어센서와, 도어카메라와, 도어버튼과,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도어개폐기 및, 상기 복수의 폐쇄회로 카메라 각각을 통해 촬영된 영상을 이용자가 선택한 화면출력모드에 상응하게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도어센서 또는 상기 도어버튼으로부터의 소정의 신호가 입력되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상기 도어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으로 전환하는 한편, 이용자의 키조작에 따라 상기 도어개폐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모니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폐쇄회로 카메라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로서, 동도면을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폐쇄회로 카메라 모니터링 장치는, 복수의 폐쇄회로 카메라(10, 12, 14, 16)와 도어센서(20)와 도어버튼(21)과 도어개폐장치(30)와 도어카메라(40)와 보조모니터(50)와 비디오 카세트 리코더(Video Cassette Recorder; 이하, "VCR"이라 약칭함; 60)와 모니터(70)와 리모트 콘트롤러 송신기(Remote Controller Transmitter; 이하, "리모콘이라 약칭함"; 80)로 구성된다.
도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폐쇄회로 카메라(10, 12, 14, 16)는 보안이나 방범을 필요로 하는 지역에 설치되어 해당 영역의 화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화상을 그에 상응하는 디지털형태의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각기 음성을 전기적인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전기적인 음성신호를 역으로 가청의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마이크 겸 스피커(10a, 12a, 14a, 16a)를 구비한다.
상기 도어센서(20)는 도어측에 설치되어 인체의 접근을 감지하여 인체접근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인체의 적외선을 감지하는 방식 또는 초음파를 이용하는 방식 등 어느 방식의 센서를 써도 무방하다.
상기 도어버튼(21)은 상기 도어센서(20)의 몸체 전면에 설치되어 버튼부가 조작되는 경우 그에 상응하는 키신호를 모니터(80)로 출력하고, 상기 도어개폐기(30)는 도시생략된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장치로서 상기 모니터(80)로부터 출력되는 도어개방제어신호에 의해 내장된 액츄에이터를 동작시켜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제한다.
상기 도어카메라(40)는 도어에 접근하는 사람의 화상을 촬영하여 그에 상응하는 디지털 형태의 영상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보조모니터(50)는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로, 복수의 폐쇄회로 카메라(10, 12, 14, 16) 또는 도어카메라(40)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를 모니터(80)를 통해 인가받아 해당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VCR(60)은 상기 모니터(8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복수의 폐쇄회로 카메라(10, 12, 14, 16) 또는 도어카메라(4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비디오 카세트 테입에 녹화하는 한편, 상기 비디오 카세트 테입에 녹화된 영상을 재생하여 재생된 영상 및 음성신호를 상기 모니터(80)로 출력한다,
상기 리모콘(70)은 모니터(80)의 각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선택버튼을 구비하고 이용자가 상기 선택버튼을 조작하면 그에 상응하는 키신호를 적외선신호로 변환하여 모니터(80)로 송신한다.
상기 모니터(80)는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복수의 폐쇄회로 카메라(10, 12, 14, 16)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순차적으로 한번에 하나씩 또는 다중분할된 형태로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지정된 폐쇄회로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거나 도어카메라(4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도어개폐기(30)로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한편,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VCR(60)로 복수의 폐쇄회로 카메라(10, 12, 14, 16) 또는 도어카메라(40)를 통해 촬영된 영상 및 음성을 녹화하기 위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출력하고 VCR(60)로부터 재생되어 출력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비디오 카세트 테입에 녹화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와 같은 모니터(80)는 도 2를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음성신호전송수단(100)과 조작/표시수단(200)과 제어부(300)와 입력신호처리수단(400)과 음성출력수단(500)과 VCR신호출력부(600)와 영상출력수단(700) 및 전원공급부(800)로 구성된다.
도 2에 있어서, 상기 음성신호전송수단(100)은 이용자의 음성을 전기적인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콘덴서 마이크로폰(Condenser Microphone; 이하, "콘덴서 마이크"라 약칭함;110)과, 이 콘덴서마이크(110)로부터 출력된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음성신호증폭부(120)와, 이 음성신호증폭부(120)를 통해 증폭된 음성신호를 제어부(30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후술될 입력신호처리수단(400)의 카메라신호입출력부(410)을 통해 각 폐쇄회로 카메라의 마이크 겸 스피커(10a, 12a, 14a, 16a)로 출력하는 음성신호절환부(1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조작/표시수단(200)은 리모콘(70)으로부터 송신된 적외선신호를 본래의 키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300)로 입력하는 리모콘신호수신부(210)와, 모니터(80)의 각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선택버튼과 모니터(80)의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소자(예를 들면, 액정표시소자 등)를 구비하여 이용자가 상기 선택버튼을 조작하면 그에 상응하는 키신호를 제어부(300)로 입력하는 한편 제어부(300)로부터의 표시신호에 의해 모니터(80)의 동작상태 또는 소정의 에러코드 등을 상기 표시소자를 통해 표시하는 키입력/표시부(220)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300)는 리모콘신호수신부(210)와 키입력/표시부(220)로부터 인가된 키신호에 따라 복수의 폐쇄회로 카메라(10, 12, 14, 16)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한번에 하나씩 소정의 시간간격을 갖고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거나 다중분할된 화면으로 동시에 디스플레이 또는 지정된 영상만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입력신호처리수단(400)으로 출력하는 한편, 도어센서(20)로부터의 감지신호에 따라 도어카메라(4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입력신호처리수단(400)으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도어버튼(21)으로부터 인가되는 키신호에 따라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도어개폐기(30)로 출력하는 한편, 복수의 폐쇄회로 카메라(10, 12, 14, 16)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한번에 하나씩 소정의 시간간격을 갖고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거나 동시에 다중분할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음성신호를 뮤트(Mute)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음성출력수단(500)으로 출력하며, 카메라센서(420)로부터 인가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각 폐쇄회로 카메라의 이상상태를 에러코드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신호를 키입력/표시부(220)로 출력한다.
상기 입력신호처리수단(400)은, 복수의 폐쇄회로 카메라(10, 12, 14, 16) 각각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 또는 음성신호를 후술될 카메라센서(420)와 화면분할부(430) 및 신호분배부(460)로 인가하고 상기 음성신호전송수단(100)으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복수의 폐쇄회로 카메라 각각의 마이크 겸 스피커(10a, 12a, 14a, 16a)로 출력하는 카메라신호입출력부(410)와, 상기 카메라신호입출력부(410)로부터 인가되는 각 폐쇄회로 카메라(10, 12, 14, 16)의 영상 또는 음성신호(바람직하게는, 영상신호)의 유무를 통해 해당 폐쇄회로 카메라와 모니터(80)간에 신호회선 단선여부를 감지하여 그에 상응하는 감지신호를 제어부(300)로 출력하는 카메라센서(420)와, 상기 카메라신호입출력부(410)로부터 출력되는 각 폐쇄회로카메라의 영상신호가 나타내는 영상의 크기를의 크기로 축소한 다음 이를 다중화면으로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단일의 영상신호를 후술될 신호분배부(460)로 출력하는 화면분할부(4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N"은 전체 폐쇄회로 카메라의 개수이다.
또한, 상기 입력신호처리수단(400)은, VCR(6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및 음성신호를 후술될 신호분배부(460)로 인가하는 VCR신호입력부(440)와, 도어카메라(4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후술될 신호분배부(460)로 인가하는 보조신호입력부(450)와, 제어부(30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신호입출력부(410)으로부터 인가되는 각각의 영상 및 음성신호를 소정의 시간단위로 절환하여 한번에 하나씩 순차적으로 또는 복수의 영상 및 음성신호 중 지정된 영상 및 음성신호만을 음성출력수단(500) 및 영상출력수단(700) 또는 보조모니터(50)로 출력하거나 상기 화면분할부(430)로부터 출력된 다중분할영상신호를 음성출력수단(500) 및 영상출력수단(700) 또는 보조모니터(50)로 출력하거나 상기 도어카메라(40)로부터 상기 보조신호입력부(45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영상출력수단(700) 또는 보조모니터(50)로 출력하는 신호분배부(460)를 포함한다.
상기 음성출력수단(500)은, 상기 신호분배부(460)로부터 출력된 영상 및 음성신호 중 음성신호를 소정시간 지연시켜 출력하는 음성신호버퍼(510)와 제어부(30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음성신호버퍼(510)로부터 출력된 음성신호를 선택적으로 소거시키는 음성신호뮤트부(520)와 상기 음성신호버퍼부(510)로부터 상기 음성신호뮤트부(520)를 매개로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음성신호증폭부(530)와 상기 음성신호증폭부(530)에서 증폭된 전기적인 음성신호를 가청의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540)로 구성된다.
상기 VCR신호출력부(600)는 상기 음성신호버퍼(510)로부터 출력된 음성신호를 VCR(60)로 입력함과 동시에, 후술될 영상출력수단(700)의 영상신호버퍼(71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형태의 영상신호를 아날로그형태의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VCR(60)로 입력한다.
상기 영상출력수단(700)은, 상기 신호분배부(460)로부터 출력된 영상 및 음성신호 중 영상신호를 소정시간 지연시켜 출력하는 영상신호버퍼(710)와, 이 영상신호버퍼(710)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영상신호증폭부(720)와, 상기 영상신호증폭부(720)에서 증폭된 영상신호 중 적, 녹, 청의 색신호와 휘도신호로 분리 취출 및 신호처리하여 출력하는 영상처리부(7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영상출력수단(700)은, 상기 영상처리부(730)로부터 출력된 적, 녹, 청의 색신호와 휘도신호에 상응하게 주사선을 발생하는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 740)과, 상기 영상신호증폭부(720)로부터 증폭된 영상신호를 디지털형태에서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한 다음 이중 수평동기신호 및 수직동기신호를 취출하여 출력하는 H/V신호처리부(750)와, 이 H/V신호처리부(750)로부터 출력된 수직동기신호 및 수평동기신호에 상응하게 수직톱니파펄스 및 수평톱니파펄스를 발생시켜 이를 각기 수직편향코일(760a) 및 수평편향코일(760b)로 인가함으로써 상기 음극선관(740)의 내부에 주사선을 소정의 주사방식(예를 들면, 비월주사방식 등)에 따라 편향시키는 편향부(760)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공급부(800)는 제어부(30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상용교류전압을 각기 다른 레벨의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모니터(80)의 각 구성부로 공급하는 장치로서, 안정적인 전압의 공급을 위해 스위칭모드전원공급장치(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예를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각 구성부로 전원이 공급되면, 감시하고자 하는 각 구역의 화상이 복수의 폐쇄회로 카메라(10, 12, 14, 16)를 통해 디지털 형태의 영상신호로 변환되어 출력됨과 동시에 감시하고자 하는 각 구역의 소리 즉 음성신호가 각 폐쇄회로 카메라의 스피커 겸 마이크(10a, 12a, 14a, 16a)를 통해 전기적인 음성신호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이에 따라, 이용자는 각 폐쇄회로 카메라를 통해 경고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폐쇄회로 카메라(10, 12, 14, 16)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는 각 신호선을 통해 모니터(80)내의 카메라신호입출력부(410)로 입력되고 상기 카메라신호입출력부(410)로 입력된 복수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의 모두가 신호분배부(460)로 출력되는 한편,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 중 영상신호만이 카메라센서(420) 및 화면분할부(430)로 출력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의 입력유무에 따른 감지신호가 상기 카메라센서(420)로부터 제어부(300)로 입력되고, 제어부(300)는 상기 감지신호에 의해 각 폐쇄회로 카메라와 모니터(80)간의 단선유무를 판단하고, 복수의 폐쇄회로 카메라(10, 12, 14, 16) 중 단선고장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폐쇄회로카메라의 에러코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신호를 키입력/표시부(220)로 출력하며, 상기 제어부(300)로부터의 표시신호에 의해 키입력/표시부(200)의 표시소자에 해당 에러코드가 표시된다.
이때, 이용자가 리모콘(70) 또는 키입력표시부(220)의 선택버튼을 조작하여 각 폐쇄회로카메라(10, 12, 14, 16)을 통해 촬영된 복수의 영상을 소정시간단위로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설정하면, 제어부(300)는 각 폐쇄회로카메라의 영상을 소정시간단위로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신호분배부(460)로 출력함과 동시에 음성신호를 뮤트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음성신호뮤트부(520)로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30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카메라신호입출력부(410)로부터 출력된 각 폐쇄회로 카메라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가 신호분배부(460)로부터 소정시간단위로 순차적으로 절환 출력되어 음성출력수단(500) 및 영상출력수단(700)으로 인가된다.
상기 신호분배부(460)로부터 순차적으로 출력된 각 음성신호는 음성신호버퍼(510)에서 소정시간 지연된 다음 음성신호뮤트부(520)로 인가되어 이 음성신호뮤트부(520)에서 소거된다.
상기 신호분배부(460)로부터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각 영상신호는 영상신호버퍼(710)를 통해 소정시간 지연된 다음 영상신호증폭부(720)로 인가되고 이 영상신호증폭부(720)를 통해 소정의 증폭률로 증폭된 다음 영상처리부(730) 및 H/V신호처리부(750)로 인가된다.
상기 영상신호증폭부(720)로부터 출력되어 영상처리부(730)로 입력된 영상신호 중 적, 녹, 청의 색신호와 휘도신호가 상기 영상처리부(730)를 통해 분리 취출되어 음극선관(740)으로 인가되고, 상기 영상처리부(730)로부터 인가된 적, 녹, 청의 색신호와 휘도신호에 의해 음극선관(740)의 도시생략된 전자총으로부터 주사선이 방출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영상신호증폭부(720)로부터 H/V신호처리부(750)로 인가된 디지털형태의 영상신호가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된 다음 그 중 수직동기신호 및 수평동기신호가 분리 취출되어 편향부(760)로 인가되고, 상기 H/V신호처리부(750)로부터 인가되는 수직동기신호 및 수평동기신호에 의해 편향부(760)로부터 수직톱니파펄스 및 수평톱니파펄스가 수직편향코일(760a) 및 수평편향코일(760b)로 각각 인가된다.
상기 편향부(760)로부터 출력된 수직톱니파펄스 및 수평톱니파펄스에 의해 수직편향코일(760a) 및 수평편향코일(760b)로부터 각기 수직편향자계 및 수평편향자계가 발생되고, 이 수직편향코일(760a) 및 수평편향코일(760b)로부터 발생된 수직편향자계 및 수평편향자계에 의해 음극선관(740)의 주사선이 편향됨으로써, 도시생략된 새도우마스크의 표면에 화상이 형성된다.
여기서, 각 폐쇄회로카메라(10, 12, 14, 16)으로부터 출력된 각 영상신호가 신호분배부(460)로부터 영상출력수단(700)으로 한번에 하나씩 순차적으로 인가되기 때문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이 화면에 한번에 하나씩 소정시간단위로 순차적으로 절환되어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상기 카메라신호입출력부(410)로부터 출력되어 상기 화면분할부(430)로 입력되는 복수의 영상신호는 상기 카메라신호입출력부(410)에서크기의 화상으로 표시되도록 축소된 다음 복수의 영상이 하나의 화면에 동시에 표시되도록 단일의 영상신호로 신호처리되어 신호분배부(460)로 출력된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가 실린 반송파와 거기에 포함된 수직동기신호 및 수평동기신호의 주파수를분주하여 원래의 영상신호가 나타내는 화상의 크기를로 축소한다. 단, 상기 "N"은 폐쇄회로카메라의 전체 개수이다.
이에 따라, 이용자가 각 폐쇄회로카메라(10, 12, 14, 16)을 통해 촬영된 복수의 영상을 다중분할된 화면으로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설정한 경우에는, 제어부(300)로부터 각 폐쇄회로카메라의 영상을 다중분할하여 하나의 화면으로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신호가 신호분배부(460)로 출력됨과 동시에 음성신호를 뮤트시키기 위한 제어신호가 음성신호뮤트부(520)로 출력된다.
상기 제어부(30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화면분할부(430)로부터 출력된 단일의 다중분할영상신호가 절환 출력되어 영상출력수단(700)으로 인가된다.
상기 신호분배부(460)로부터 출력된 다중분할영상신호는 영상신호버퍼(710)를 통해 소정시간 지연된 다음 영상신호증폭부(720)로 인가되고 이 영상신호증폭부(720)를 통해 소정의 증폭률로 증폭된 다음 영상처리부(730) 및 H/V신호처리부(750)로 인가된다.
상기 영상신호증폭부(720)로부터 출력되어 영상처리부(730)로 입력된 다중분할영상신호 중 적, 녹, 청의 색신호와 휘도신호가 상기 영상처리부(730)를 통해 분리 취출되어 음극선관(740)으로 인가되고, 상기 영상처리부(730)로부터 인가된 적, 녹, 청의 색신호와 휘도신호에 의해 음극선관(740)의 도시생략된 전자총으로부터 주사선이 방출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영상신호증폭부(720)로부터 H/V신호처리부(750)로 인가된 디지털형태의 다중분할영상신호가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된 다음 그 중 수직동기신호 및 수평동기신호가 분리 취출되어 편향부(760)로 인가되고, 상기 H/V신호처리부(750)로부터 인가되는 수직동기신호 및 수평동기신호에 의해 편향부(760)로부터 수직톱니파펄스 및 수평톱니파펄스가 수직편향코일(760a) 및 수평편향코일(760b)로 각각 인가된다.
상기 편향부(760)로부터 출력된 수직톱니파펄스 및 수평톱니파펄스에 의해 수직편향코일(760a) 및 수평편향코일(760b)로부터 각기 수직편향자계 및 수평편향자계가 발생되고, 이 수직편향코일(760a) 및 수평편향코일(760b)로부터 발생된 수직편향자계 및 수평편향자계에 의해 음극선관(740)의 주사선이 편향됨으로써, 도시생략된 새도우마스크의 표면에 화상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화면분할부(430)로부터 출력된 다중분할영상신호가 신호분배부(460)을 매개로 영상출력수단(700)으로 인가되고 있기 때문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카메라(10, 12, 14, 16)에 촬영된 영상이 하나의 화면으로 다중분할 되어 동시에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이용자가 각 폐쇄회로카메라(10, 12, 14, 16) 중 원하는 카메라의 영상만을 선택해서 보고자 할 경우에 리모콘(70) 또는 키입력/표시부(220)의 해당버튼을 조작하면 그에 대한 키신호가 리모콘신호수신부(210) 또는 키입력/표시부(220)로부터 제어부(300)로 입력되고, 상기 키신호의 입력에 따라 제어부(300)로부터 이용자가 선택한 폐쇄회로 카메라의 영상을 디스플레이시키기 위한 제어신호가 신호분배부(460)로 출력된다.
상기 제어부(30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카메라신호입출력부(410)로부터 출력된 각 폐쇄회로 카메라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 중 이용자가 선택한 폐쇄회로 카메라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가 분리 출력되어 음성출력수단(500) 및 영상출력수단(700)으로 인가된다.
상기 신호분배부(460)로부터 출력된 해당 폐쇄회로카메라의 음성신호는 음성신호버퍼(510)에서 소정시간 지연된 다음 음성신호뮤트부(520)를 거쳐 음성신호증폭부(530)에서 소정의 증폭률로 증폭된다.
상기 음성신호증폭부(530)에서 증폭된 음성신호는 스피커(540)로 인가되고, 이 스피커(540)를 통해 가청의 음성신호로 변환되어 출력됨에 따라 이용자는 소망하는 폐쇄회로 카메라가 설치된 구역내의 소리를 감청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신호분배부(460)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는 영상신호버퍼(710)를 통해 소정시간 지연된 다음 영상신호증폭부(720)로 인가되고 이 영상신호증폭부(720)를 통해 소정의 증폭률로 증폭된 다음 영상처리부(730) 및 H/V신호처리부(750)로 인가된다.
상기 영상신호증폭부(720)로부터 출력되어 영상처리부(730)로 입력된 영상신호 중 적, 녹, 청의 색신호와 휘도신호가 상기 영상처리부(730)를 통해 분리 취출되어 음극선관(740)으로 인가되고, 상기 영상처리부(730)로부터 인가된 적, 녹, 청의 색신호와 휘도신호에 의해 음극선관(740)의 도시생략된 전자총으로부터 주사선이 방출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영상신호증폭부(720)로부터 H/V신호처리부(750)로 인가된 디지털형태의 영상신호가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된 다음 그 중 수직동기신호 및 수평동기신호가 분리 취출되어 편향부(760)로 인가되고, 상기 H/V신호처리부(750)로부터 인가되는 수직동기신호 및 수평동기신호에 의해 편향부(760)로부터 수직톱니파펄스 및 수평톱니파펄스가 수직편향코일(760a) 및 수평편향코일(760b)로 각각 인가된다.
상기 편향부(760)로부터 출력된 수직톱니파펄스 및 수평톱니파펄스에 의해 수직편향코일(760a) 및 수평편향코일(760b)로부터 각기 수직편향자계 및 수평편향자계가 발생되고, 이 수직편향코일(760a) 및 수평편향코일(760b)로부터 발생된 수직편향자계 및 수평편향자계에 의해 음극선관(740)의 주사선이 편향됨으로써, 도시생략된 새도우마스크의 표면에 화상이 형성된다.
여기서, 각 폐쇄회로카메라(10, 12, 14, 16) 중 이용자가 선택한 영상신호만이 신호분배부(460)로부터 영상출력수단(700)으로 인가되고 있기 때문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용자가 선택한 폐쇄회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도어에 사람이 접근하거나 도어버튼(21)이 조작되면, 도어센서(20)로부터 인체감지신호가 출력되어 제어부(300)로 입력되거나 도어버튼(21)으로부터 키신호가 제어부(300)로 입력되고, 이 경우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 도어카메라(40)에 전원이 인가되어 도어에 접근한 사람의 화상이 도어카메라(40)를 통해 촬영되어 촬영된 사람의 영상이 도어카메라(40)를 통해 그에 상응하는 디지털형태의 영상신호로 변환되어 보조신호입력부(450)로 입력된다.
이와 동시에 제어부(300)로부터 도어카메라(40)에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신호분배부(460)로 출력되고, 상기 제어부(30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도어카메라(40)로부터 보조신호입력부(450)로 입력된 영상신호가 신호분배부(460)를 통해 영상출력수단(700)으로 출력된다.
상기 신호분배부(460)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는 영상신호버퍼(710)를 통해 소정시간 지연된 다음 영상신호증폭부(720)로 인가되고 이 영상신호증폭부(720)를 통해 소정의 증폭률로 증폭된 다음 영상처리부(730) 및 H/V신호처리부(750)로 인가된다.
상기 영상신호증폭부(720)로부터 출력되어 영상처리부(730)로 입력된 영상신호 중 적, 녹, 청의 색신호와 휘도신호가 상기 영상처리부(730)를 통해 분리 취출되어 음극선관(740)으로 인가되고, 상기 영상처리부(730)로부터 인가된 적, 녹, 청의 색신호와 휘도신호에 의해 음극선관(740)의 도시생략된 전자총으로부터 주사선이 방출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영상신호증폭부(720)로부터 H/V신호처리부(750)로 인가된 디지털형태의 영상신호가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된 다음 그 중 수직동기신호 및 수평동기신호가 분리 취출되어 편향부(760)로 인가되고, 상기 H/V신호처리부(750)로부터 인가되는 수직동기신호 및 수평동기신호에 의해 편향부(760)로부터 수직톱니파펄스 및 수평톱니파펄스가 수직편향코일(760a) 및 수평편향코일(760b)로 각각 인가된다.
상기 편향부(760)로부터 출력된 수직톱니파펄스 및 수평톱니파펄스에 의해 수직편향코일(760a) 및 수평편향코일(760b)로부터 각기 수직편향자계 및 수평편향자계가 발생되고, 이 수직편향코일(760a) 및 수평편향코일(760b)로부터 발생된 수직편향자계 및 수평편향자계에 의해 음극선관(740)의 주사선이 편향됨으로써, 도시생략된 새도우마스크의 표면에 화상이 형성된다.
여기서, 도어카메라(40)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가 신호분배부(460)를 매개로 영상출력수단(700)으로 인가되고 있기 때문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카메라(40)를 통해 촬영된 영상 즉, 도어에 접근한 사람의 영상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이용자가 모니터(80)의 음극선관(740)에 표시된 사람의 영상을 확인하고 리모콘(70) 또는 키입력/표시부(220)를 통해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한 버튼을 조작하면 그에 상응하는 키신호가 리모콘신호수신부(210) 또는 키입력/표시부(220)로부터 제어부(300)로 입력된다.
상기 리모콘신호수신부(210) 또는 키입력/표시부(220)로부터 입력되는 키신호에 의해 제어부(300)로부터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한 제어신호가 도어개폐기(30)로 출력되고, 상기 제어부(30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도어개폐기(30)에 내장된 액츄에이터가 동작되어 도어의 잠금상태가 해제된다.
한편, 신호분배부(46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는 각기 음성출력수단(500) 및 영상출력수단(700)을 매개로 VCR신호출력부(600)로 인가되고, 이 VCR신호출력부(600)를 통해 상기 영상신호의 형태가 디지털형태에서 아날로그형태로 변환되어 이 변환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가 VCR(60)로 출력됨으로써,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모니터(80)의 음극선관(740)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모든 영상 및 음성이 VCR(60)을 통해 비디어 카세트 테입에 녹화된다.
다른 한편, 이용자가 VCR(60)을 통해 비디오 카세트 테입에 녹화된 화면을 재생하는 경우 VCR(60)로부터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가 출력되고, 이 VCR(60)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는 모니터(80)의 VCR신호입력부(440)로 인가된 다음 이 VCR신호입력부(440)를 통해 상기 영상신호의 형태가 아날로그에서 디지털형태로 변환된다.
상기 VCR신호입력부(440)를 통해 변환된 영상신호와 음성신호가 신호분배부(460)를 통해 음성출력수단(500) 및 영상출력수단(700)으로 인가됨으로써, VCR(60)에서 재생되는 영상 및 음성이 모니터(80)의 음극선관(740)을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또 다른 한편, 현재 모니터(80)의 음극선관(740)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신호와 스피커(540)을 통해 출력되는 음성신호가 신호분배부(460)로부터 보조모니터(50)로 출력되기 때문에, 모니터(80)에 표시되는 영상 및 음성이 보조모니터(50)를 통해서도 출력된다.
따라서, 본 발명을 이용하면, 폐쇄회로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표시함 외에도 도어에 접근하는 사람을 감지하고 도어카메라를 통해 촬영하여 그 영상을 표시하고 원격지에서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며 경고음성을 출력하고 영상 및 음성을 VCR에 녹화 및 재생하는 등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으로써, 폐쇄회로 카메라 모니터링 장치의 활용도 및 효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복수의 폐쇄회로 카메라와,
    인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도어센서와,
    도어카메라와,
    도어버튼과,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도어개폐기 및,
    상기 복수의 폐쇄회로 카메라 각각을 통해 촬영된 영상을 이용자가 선택한 화면출력모드에 상응하게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도어센서 또는 상기 도어버튼으로부터의 소정의 신호가 입력되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상기 도어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으로 전환하는 한편, 이용자의 키조작에 따라 상기 도어개폐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모니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폐쇄회로 카메라 모니터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는,
    이용자가 화면출력모드를 선택하고 도어 잠금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한 키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수단과,
    상기 조작수단을 통해 이용자가 선택한 화면출력모드에 상응하게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되 상기 도어센서나 도어버튼으로부터의 소정의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도어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환 출력하는 한편 상기 조작수단으로부터 인가되는 키신호에 따라 상기 도어개폐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폐쇄회로 카메라 각각으로부터 입력되는 각 영상신호를 다중분할된 동시화면으로 출력하기 위한 단일의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거나 상기 각 영상신호를 소정시간단위로 한번에 하나씩 순차적으로 출력하거나 상기 각 영상신호 중 특정의 영상신호만을 선택적으로 출력하거나 상기 도어카메라로부터 입력된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입력신호처리수단 및,
    상기 입력신호처리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에 상응하는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영상출력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폐쇄회로 카메라 모니터링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신호처리수단은,
    상기 복수의 폐쇄회로카메라 각각으로부터 영상신호를 입력받는 카메라신호입출력부와,
    상기 카메라신호입출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각 영상신호를 다중분할된 단일의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단일의 다중분할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화면분할부와,
    상기 도어카메라로부터 영상신호를 입력받는 보조신호입력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화면분할부에서 변환된 단일의 다중분할영상신호를 출력하거나 상기 카메라신호입출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각 영상신호를 소정시간단위로 한번에 하나씩 순차적으로 출력하거나 상기 각 영상신호 중 지정된 영상신호만을 선택적으로 출력하거나 상기 보조신호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도어카메라의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신호분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폐쇄회로 카메라 모니터링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카메라 각각으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그 감지결과에 상응하는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카메라센서 및,
    상기 카메라센서로부터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표시신호에 의해 폐쇄회로 카메라의 이상상태를 표시하는 에러코드 등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폐쇄회로 카메라 모니터링 장치.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폐쇄회로카메라에는, 음성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한 마이크 겸 스피커가 구비되며,
    상기 모니터에는, 이용자의 음성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각 폐쇄회로카메라의 마이크 겸 스피커로 출력하는 음성신호전송수단과 상기 각 폐쇄회로카메라의 마이크 겸 스피커를 통해 변환 입력된 전기적인 음성신호를 가청의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성출력수단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폐쇄회로 카메라 모니터링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출력수단에는,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음성신호를 소거하는 음성신호뮤트부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복합형 폐쇄회로 카메라 모니터링 장치.
KR1019990015522A 1999-04-29 1999-04-29 복합형폐쇄회로카메라모니터링장치 KR199900683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5522A KR19990068367A (ko) 1999-04-29 1999-04-29 복합형폐쇄회로카메라모니터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5522A KR19990068367A (ko) 1999-04-29 1999-04-29 복합형폐쇄회로카메라모니터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8367A true KR19990068367A (ko) 1999-09-06

Family

ID=54776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5522A KR19990068367A (ko) 1999-04-29 1999-04-29 복합형폐쇄회로카메라모니터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6836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061B1 (ko) * 2006-07-11 2008-09-10 (주)탑마이크로시스템즈 통신망을 이용한 단지 내 통합 보안시스템
KR20160058550A (ko) * 2014-11-17 2016-05-25 간종민 현관감시방법
KR20230054988A (ko) * 2021-10-18 2023-04-25 주식회사 투익트 피사체 형상인식 기반의 멀티 소스 영상을 제공하는 인터넷 방송 스튜디오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061B1 (ko) * 2006-07-11 2008-09-10 (주)탑마이크로시스템즈 통신망을 이용한 단지 내 통합 보안시스템
KR20160058550A (ko) * 2014-11-17 2016-05-25 간종민 현관감시방법
KR20230054988A (ko) * 2021-10-18 2023-04-25 주식회사 투익트 피사체 형상인식 기반의 멀티 소스 영상을 제공하는 인터넷 방송 스튜디오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286283A (en) A recording apparatus for use in a video door phone or telephone
US20040036767A1 (en) Surveillance camera apparatus having a selecting operation of image information in a receiving side
US7064778B1 (en) Multi-camera system for implementing digital slow shutter video processing using shared video memory
KR19990068367A (ko) 복합형폐쇄회로카메라모니터링장치
RU68734U1 (ru) Видеодомофонная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доступом на охраняемый объект
JP3299827B2 (ja) テレビドアホン装置
US575743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caption broadcast and teletext on the screen of a double-wide television
KR940005388B1 (ko) Tv 수상기에 의한 방문자 확인장치
KR100279354B1 (ko) 가정용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유/무선 자동제어 장치
JPH07322164A (ja) 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
JPH0746514A (ja) テレビ電話付きvtr内蔵テレビ受像機
JP3520580B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0191170B1 (ko) 텔레비젼을 이용한 메시지 전달 장치 및 방법
KR960011229B1 (ko) 도어비젼 운영방법 및 그 장치
KR100978516B1 (ko) Cctv에 연동하여 방문자의 감시제어가 이루어지는비디오 폰 시스템
JPH0638650B2 (ja) カラ−テレビジヨン受信機
KR19980036767A (ko) 텔레비전의 화상기억에 의한 방범기능제어장치
JP3846660B2 (ja) カメラコントロール装置
JP2534985B2 (ja) テレビジヨン受像機
JPH04122184A (ja) テレビ会議システム
JPS634790A (ja) ホ−ムコントロ−ルシステム
KR950011654B1 (ko) Osd의 rgb 입력장치
JPH04120891A (ja) ドアカメラシステム
JPH0438628Y2 (ko)
KR20000054086A (ko) 무선 인터폰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