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8039A - 에어백 수납용 케이싱 - Google Patents

에어백 수납용 케이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8039A
KR19990068039A KR1019990001744A KR19990001744A KR19990068039A KR 19990068039 A KR19990068039 A KR 19990068039A KR 1019990001744 A KR1019990001744 A KR 1019990001744A KR 19990001744 A KR19990001744 A KR 19990001744A KR 19990068039 A KR19990068039 A KR 19990068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asing
airbag
parts
wal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1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2606B1 (ko
Inventor
사토이즈미
도노오카마사미
하마나카다츠오
오오야마히로시
Original Assignee
히로세 마꼬또
니혼 플라스트 가부시키가이샤
고사이 아끼오
스미또모 가가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 마꼬또, 니혼 플라스트 가부시키가이샤, 고사이 아끼오, 스미또모 가가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 마꼬또
Publication of KR19990068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8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2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26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a tear line for defining a deploymen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ir Bag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에어백 수납용 케이싱은 에어백 억제계(restraint system)용 에어백 수납용 케이싱이다. 본 발명의 에어백 수납용 케이싱은, (A) 30 내지 50중량부의 프로필렌중합체, (B) 무니(Mooney) 점성도(ML1+4, 121℃)가 10 내지 100의 범위에 있는 50 내지 70중량부의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러버, 및 (C) 상기 (A)의 중량부와 (B)의 중량부를 합한 100중량부에 대해 0.05 내지 0.5중량부의 윤활제를 함유하고 있는 혼합물로 구성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elastomer) 조성물로 형성된 본체(main body)로 구성된다. 이 본체는, 파단용의 얇은 벽부, 및 이 얇은 벽부의 파단에 의해 형성되는 도어부를 가지고 있는 베이스 벽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베이스 벽부는 엠보싱이 적어도 80㎛의 깊이로 처리된 엠보싱 표면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에어백 수납용 케이싱{Airbag storing casing}
본 발명은 차량 충돌시 그 충격을 감지하여 작동되는 인플레이터(inflator)로부터 고압 가스의 영향하에서 부풀어지고 펼쳐지는 에어백을 수납하는 에어백 수납용 케이싱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에어백 수납용 케이싱으로서, 차량의 내장부를 구성하는 케이싱의 표피층부에 부드러운 감촉을 제공하기 위해 폴리우레탄 폼(foam)이 그 재료로서 사용되는 등의 각종 에어백 수납용 케이싱이 인지되어 있다. 이러한 케이싱들에 있어서, 예를 들어 일본국 특허공개 63-23205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 작동시에 케이싱이 소정의 파단선(breaking line) (얇은 벽부)을 따라서만 파단하고, 동시에 도어부(door part) 등이 소정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커버체(cover body) 중에 경질 수지재료나 그물형 섬유 보강재가 케이싱에 코어(core)로서 사용된다.
그러나, 이들 케이싱에 있어서, 케이싱이 다층 구조이기 때문에 그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수율(yield) 또는 생산성이 낮으며, 인서트(insert)나 코어층의 사용으로 표면이 울퉁불퉁하게 형성되는 경향이 있다는 문제점에 부닺친다.
또한, 섬유 보강재가 내부에 삽입되는 케이싱은, 섬유보강재의 낮은 강도때문에, 제조시 섬유 보강재의 위치가 바뀌는 경향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생산 비용을 낮춘다는 관점으로, 예를 들어 일본국 특허공개 2-171364호에는, 상술한 인서트를 사용하지 않고 열가소성 엘라스토머(elastomer)의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에어백 수납용 케이싱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생산된 케이싱은 덮개 부분의 파단 부분에서 얇은 벽부위를 가지고 있다. 게다가 이 케이싱은, 파단 부분의 얇은 벽부위로부터 이 벽의 두께가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얇은 벽부위의 면적이 넓어진다. 그 결과, 이 얇은 벽부위는 차량 내의 열이나 빛에 의해 영향을 받기 쉽게 되어, 케이싱의 외관이 악화된다.
이러한 문제점들에 대해서는, 이 케이싱의 표면에 장식 보호층 또는 코팅막을 형성하는 것이 고려될 것이다. 그러나, 에어백 수납용 케이싱의 재료로서 폴리올레핀계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 케이싱의 표면에 코팅막을 견고하게 접착하기 위해서는, 소위 말하는 투-코팅 투-베이킹(two-coat and two-bake) 또는 투-코팅 원-베이킹(two-coat and one-bake)의 방법이 필요하고, 따라서 생산비용이 증가된다. 투-코팅 투-베이킹 방법에는, 프라이머(primer)가 먼저 도포, 건조되며, 그 후 도료(paint)를 도포, 건조한다. 투-코팅 원-베이킹 방법에는, 프라이머가 도포되고, 그리고나서 도료를 도포, 건조한다. 상기 도료 공정중에 부닺치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을 포함하고 있는 그룹은, 에어백 수납용 케이싱과 코팅막의 재료로서, 예를 들어 일본국 특허공개 6-156178호, 특허공개 8-32437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한번으로 보다 많은 노동력 소비로 코팅과 막형성 기술이 행해지는 소위 말하는 원-코팅 원-베이킹 방법에 적합한 새로운 재료를 제안하였다.
이러한 기술로, 저온의 조건하에서도 안정하게 개구되어 펼쳐질 수 있는 외관이 양호한 에어백 수납용 케이싱을 얻게 된다. 그러나, 여기에는, 비용을 절감한다하더라도 장식 보호층을 형성하는 비용이 부가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식 보호층 뿐만 아니라 보강용 인서트도 구비하고 있지 않는 단층구성이더라도, 에어백의 작동시에 원활하게 펼쳐지는 에어백 수납용 케이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간에 따라 외관이 악화되지 않은 에어백 수납용 케이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생산가가 낮은 에어백 수납용 케이싱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수납용 케이싱의 한 구현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위에서부터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 Ⅱ-Ⅱ를 실질적으로 따라서 화살표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선 Ⅲ-Ⅲ를 실질적으로 따라서 화살표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단면 ⅣA와 ⅣB를 상세하게 도시한다.
도 5는 베이스 벽부를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그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다.
도 6은 비교예 2에 따라 베이스 벽부의 외면을 도료(paint)로 코팅한 에어백 수납용 케이싱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 에어백 수납용 케이싱 2 ... 베이스 벽부
3 ... 파단선 5 ... 도어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A) 30 내지 50중량부의 프로필렌중합체, (B) 무니(Mooney) 점성도(ML1+4, 121℃)가 10 내지 100의 범위에 있는 50 내지 70중량부의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러버, 및 (C) 윤활제로서, 상기 (A)의 중량부와 (B)의 중량부를 합한 100중량부에 대해 0.05 내지 0.5중량부의 고급 지방산아미드를 함유하고 있는 혼합물로 구성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로 형성된 본체(main body)를 포함하고 있는 에어백 억제계(restraint system)용 에어백 수납용 케이싱을 제공한다. 이 본체는, 파단용의 얇은 벽부, 및 이 얇은 벽부의 파단에 의해 형성되는 도어부를 가지고 있는 베이스 벽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베이스 벽부는 엠보싱이 적어도 80㎛의 깊이로 처리된 엠보싱 표면을 가지고 있다.
바람직하게, 프로필렌중합체는 랜덤(random)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있으며, 용융유량이 10분 당 0.1g 내지 100g의 범위에 있다.
바람직하게, 랜덤 공중합체는 용융점이 130℃∼165℃ 이다.
바람직하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러버는 10중량%∼60중량% 범위의 프로필렌을 함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수납용 케이싱에 대해서, 이 케이싱을 구성하는 재료는 중요하며, 이 재료의 특성을 활용하고 표면에 특정 엠보싱을 형성함으로써, 외관이 양호한 에어백 수납용 케이싱을 얻게 되고, 또 다른 구조 등에는 특정한 제한은 없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수납용 케이싱은 특히 온도 변화에 관련하여 팽창수축량이 작고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며, 이런 점들에 비추어보아 외관도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개선된 장식 보호층을 구비하고 있는 종래의 에어백 수납용 케이싱을 한층 더 향상시키고 상당히 저가로 제공되는 에어백 수납용 케이싱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그 결과, 본 발명들은 단층 구성으로 구성될 수 있는 에어백 수납용 케이싱 재료의 조성물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코팅되지 않았지만, 외관이 우수하여 어떠한 장식 보호층의 형성도 필요하지 않은 에어백 수납용 케이싱을 개발하였고, 이 에어백 수납용 케이싱은 수지성형 공정으로 직접 제조되어, 에어백 모듈(module) 조립공정에 공급되며, 따라서 본 발명의 원리를 확립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 수납용 케이싱 1은 얇은 벽부를 가지고 있는 소정의 파단선 3 및 이 얇은 벽부를 파단시켜 형성된 도어부 5를 가지고 있는 베이스 벽부 2를 포함하고 있다.
에어백 수납용 케이싱 1은 예를 들어 조수석에도 사용되고, 벽부 주위의 홀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리테이너(retainer) 또는 반응캔(reaction-can) 등의 박스(box)의 후크(hook)와 걸리게 고정되어 있다. 박스에는 접히는 에어백, 불활성가스가 압축적으로 저장되는 컨테이너, 및 다량의 불활성가스가 즉시 주입되는 인플레이터가 포함된다. 이 박스는 계기패널(instrument panel)의 내부 보강부재에 고정되어 있고, 평면에서 직사각형인 베이스 벽부는 에어백을 부풀리기 위해서 계기패널의 개구를 덮도록 위치되어 있다. 벽부 주의의 외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핑거 (finger)는 에어백을 부풀리기 위한 개구의 주위와 결합되고, 계기패널의 상면은, 베이스 벽부의 두께에 해당하는 깊이를 가지고 있는 계단부에 의해 에어백 수납용 케이싱의 베이스 벽부의 외면과 거의 동일 평면 상에 있다. 즉, 에어백 수납용 케이싱의 베이스 벽부의 외면은 보조석의 반대쪽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외면으로는 주위 환경과 조화되는 바람직한 외관을 가지고 있고, 부분적인 차이가 없고, 에어백을 부풀리는 파단선과 확실하게 동일시되는 색조와 광택의 약화가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벽부 2는 적어도 80㎛, 바람직하게는 110㎛∼140㎛의 깊이로 엠보싱 처리된 표면으로 형성된다. 엠보싱 표면은 올록볼록한 디자인 또는 패턴으로 장식된 미세하게 울퉁불퉁한 표면을 말한다. 이 엠보싱 표면의 깊이는 울퉁불퉁한 표면의 꼭대기 위치와 바닥 위치 사이의 길이로 정해진다. 엠보싱 표면의 깊이가 80㎛ 미만이면, 외관이 균일하게 올록볼록하고, 적당한 광택이 있는 표면을 얻을 수 없다. 또한, 깊이는 최고 160㎛이어야 한다. 엠보싱 표면의 깊이가 160㎛를 초과하면, 표면의 외관이 거칠고, 에어백 수납용 케이싱에 적합하지 않다.
에어백 수납용 케이싱 1은 (A) 30 내지 50중량부의 프로필렌중합체, (B) 무니 점성도(ML1+4, 121℃)가 10 내지 100의 범위에 있는 50 내지 70중량부의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러버, 및 (C) 상기 (A)의 중량부와 (B)의 중량부를 합한 100중량부에 대해 0.05 내지 0.5중량부의 윤활제를 함유하고 있는 혼합물로 구성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로 형성된 본체로 구성된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수납용 케이싱 1에 사용되는 재료에 대해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기술할 것이다.
폴리프로필렌은, 바람직하게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수지이고, 용융유량의 범위는 0.1∼100g/10min, 바람직하게는 0.5∼70g/10min 이다. 용융유량이 0.1g/10min 보다 작거나 100g/10min을 초과하면, 성형가공성에 반드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 공중합체의 용융점은 130∼165℃이다. 사용된 프로필렌중합체 (A)의 양이 총량 (A)+(B)의 100중량부에 대해 30중량부 미만이면, 얻어진 재료의 성형가공성이 불충분하여, 제조특성 및 가공성에 문제가 발생할 것이다. 반면에, 사용된 프로필렌중합체 (A)의 양이 총량 (A)+(B)의 100중량부에 대해 50중량부를 초과하면, 저온에서의 충격성 강도에 문제가 발생할 것이다.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러버는 무니 점성도(ML1+4, 121℃)가 1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20∼70의 범위에 있다. 무니 점성도가 100을 초과하면, 유동성이 저하되고, 성형성을 악화시키거나, 선팽창계수를 증가시킨다. 무니 점성도가 10 미만이면, 광택이 강화되어 외관을 악화시키거나, 웰드(weld) 접착성을 저하시킨다. 이 공중합체러버는 프로필렌을 10∼60중량%, 바람직하게는 30∼60중량%를 함유하고 있다. 프로필렌을 10중량% 미만 또는 60중량%를 초과하여 함유하면, 저온 충격성에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구성성분을 각 특정 비율로 함유하고 있는 100중량부에 대해 윤활제로 고급 지방산아미드를 0.05∼0.5중량부를 함유하고 있다. 윤활제로서의 고급 지방산아미드에는 올레아미드, 에루크아미드, 염스테아르아미드, 리놀릭아미드 등이 포함된다. 상기 윤활제의 함유량이 상기 특정 범위의 최저치를 벗어나면, 금형 탈형성이 악화되거나, 성형체 표면의 미끄럼성이 악화되며, 표면이 스크래치(scratch)되기 쉽다. 상기 윤활제의 함유량이 상기 특정 범위의 최상치를 벗어나면, 연무성(fogging property)이 악화되며, 증산(蒸散)이 발생하고, 유리가 흐려지게 되거나, 성형체 표면에서 윤활제가 블롬(bloom)되어 외관이 악화된다.
혼합혼련 기구로는, 종래에 공지된 비개방형 반버리 믹서(Banbury mixer), 이축 압출기(twin-screw extruder) 등이 사용된다. 혼련은 150℃∼300℃의 온도에서 1∼30분 동안 수행된다. 이 조성물의 제조시에, 무기 충전제, 산화 방지제, 내광제, 대전 방지제(antistatic agent), 착색제 등의 각종 부재료가 필요에 따라 배합되어도 된다.
상기 각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수지 조성물은 소위 말하는 인성(toughness)이 강하고, 내광성, 내열노화성이 우수하며, 저온부터 고온까지의 광범위한 온도 영역에서의 내충격성이 우수하다. 또한, 선팽창계수가 작고, 스크래치가 나타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 결과, 이 조성물을 성형하여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수납용 케이싱은 단층 구성으로, 보호층이 형성되지 않은 구성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에어백 장치의 작동시에, 설계된 방향으로 에어백이 원활하게 부풀어져 펼쳐지도록, 에어백 수납용 케이싱을 소정의 파단선으로 파단할 수 있으며, 에어백 수납용 케이싱으로서의 가장 기본적인 요구 성능을 만족한다.
부가하여, 동계에서의 저온조건으로부터 하계에서 뜨거운 태양하의 고온조건까지의 광범위한 온도영역에서는, 치수 변화가 어렵고, 에어백 수납용 케이싱과 그의 주변 부품 사이에서 온도 변화에 의한 간극(clearance)의 발생을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결합에 대한 품질이 향상된다.
상술한 단층을 포함하고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수납용 케이싱의 성형방법에 있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사출성형, 수지 트랜스퍼(transfer) 성형, 성형 프레싱(pressing) 또는 스탬핑(stamping), 또는 통용되는 성형방법이 이용되어도 되며, 특히 사출성형법이 바람직하다.
이제, 하기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에어백 수납용 케이싱의 형성 재료에 대해서 설명한다.
용융유량이 30g/10min이고 에틸렌을 3.4중량% 함유하고 있는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50중량부, 무니 점성도(ML1+4, 121℃)가 29이고 프로필렌을 53중량%을 함유하고 있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러버 10중량부, 무니 점성도 (ML1+4, 121℃)가 68이고 프로필렌을 31중량% 함유하고 있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러버 40중량부, 및 상기 조성물의 100중량부에 대해 올레아미드 0.1중량부와 에루크아미드 0.1중량부의 혼합물을 12분 동안 반버리믹서 내에서 용융혼합하였다. 그리고나서, 이 혼합물을 단축조립기(monoaxial pelletizing machine)를 사용하여 펠릿(pellet) 형상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얻었다.
용융혼합시에 재료의 온도는 180℃이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준비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펠릿은 수지온도 230℃, 사출압력 770㎏/㎠에서 성형체 내로 용융주입되었다. 이 펠릿은 주입개시로부터 1.5초 내에 제품중량의 95%까지 주입되었고, 다음으로 나머지 5%에 해당하는 수지는 15초 내에 홀딩(holding) 압력으로 천천히 주입되었다.
이 성형에 사용되는 금형은 제품의 표면측에 깊이 120㎛의 엠보싱 표면을 가지고 있다. 부가하여, 이 표면측에서 적당한 광택을 보이기 위해서, 금형 캐버티 (cavity) 표면에 유리 비드(bead)를 불어서, 각각 나오고 들어간 부분을 형성하여 미세하게 울퉁불퉁한 엠보싱 표면을 형성하여도 된다. 이 게이트(gate)는 고속충전이 가능한 사이드 게이트이고, 압력손실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게이트 통로의 단면은 폭 4.0㎜× 두께 1.5㎜ 이었다. 금형 캐버티의 표면온도는 20℃∼45℃의 범위에 있어서, 수지 주입 직후에 급격한 냉각을 방지하였다. 따라서, 균일한 광택을 얻게 되었고, 표면 외관도 향상되었다.
이 방법으로 얻어진 에어백 수납용 케이싱 1의 표면측에는 소정의 파단선 3에 해당하는 부분 및 그 부분의 주위에서 불균일한 광택이나 싱크 마크(sink mark)의 발생이 없게 되고, 성형후 다듬질 코팅을 도포하지 않고도 만족할만한 표면 외관을 이루게 되었다.
실시예 2
실시예 2의 에어백 수납용 케이싱은 베이스 벽부 2의 엠보싱 표면의 깊이를 80㎛로 형성하는 특징이 있고, 그 외의 다른 부분들은 실시예 1과 동일하였다. 실시예 2에 따르면, 얇은 벽부의 광택은 일반적인 두꺼운 벽부의 광택과 유사하고, 외관도 양호하였다.
비교예 1
비교예 1의 에어백 수납용 케이싱은 베이스 벽부 2의 엠보싱 표면의 깊이를 60㎛로 형성하는 특징이 있고, 그 외의 다른 부분들은 실시예 1과 동일하였다. 비교예 1에 따르면, 엠보싱 표면의 깊이는 얕고, 얇은 벽부는 광택의 차이를 관찰할 수 있기 때문에 베이스 벽부와 동일시된다. 그러나, 내광성은 악화되지 않았고, 내부 단계에서의 외관도 유지되었다.
비교예 2
비교예 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1-코팅 1-베이킹 공정에 의해 장식 보호층이 형성되는 에어백 수납용 케이싱에 관한 것이다.
무니 점성도(ML1+4, 100℃)가 85이고, 프로필렌 50중량%, 디시클로펜타디엔 4중량%를 함유하고 있는 에틸렌-프로필렌-디시클로펜타디엔 공중합체러버 100중량부, 용융유량이 10g/10min인 호모폴리프로필렌 25중량부, 및 2, 5-디메틸-2, 5-디(터셜리부틸퍼옥시)헥산의 0.4중량부의 혼합물을, 12분간 반버리믹서에서 용융혼합하여 동적 열처리를 시행하였다. 그 후에, 파라핀계 가공유(이데미츠코산제사 제품 다이아나(DIANA) 가공유 PW380) 37.5중량부를 첨가하여, 펠릿형상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얻었다. 동적 열처리 종료시의 재료의 온도는 약 180℃이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얻어진 조성물은 성형온도 180℃∼220℃, 사출압력 500∼1000㎏/㎠, 금형온도 20∼50℃, 냉각시간 30∼50초, 사출시간 7∼12초로 사출성형되어, 에어백 수납용 케이싱 1이 형성되었다.
비교예 2의 에어백 수납용 케이싱 성형 금형은 베이스 벽부가 되는 제품 표면 측에 모조가죽을 입힌 엠보싱 표면을 가지고 있고, 엠보싱 표면의 깊이는 80∼115㎛이며, 소정의 파단선 3에 해당하는 부분에서는 주위와 외관상으로 인식이 가능한 광택차이(불균일한 광택)가 인식되었지만, 표면에는 싱크 마크가 없고, 부드러워진다.
[수지 성분]
염소화폴리올레핀수지 17.0중량%
(산요고쿠사쿠펄프사 제품 "슈퍼크론(Superchlon) 892L")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수지 5.0중량%
(미츠비시사사쿠고교사 제품 PTMG-1000)
에폭시수지 1.0중량%
(유카셀에폭시사 제품 에피코튼(Epicoton) 834)
[용제 성분]
톨루엔 65.0중량%
크실렌 3.5중량%
메틸에틸케톤 1.0중량%
[안료]
카본블랙 3.0중량%
[광택 조정제]
실리카 미분말 2.0중량%
[변성제]
알콜변성실리콘 1.0중량%
(토레이다우코닝사 제품 8428)
[안정제] 0.5중량%
(아키시마가가쿠사 제품 TS-880)
[내광제]
힌다드아민 1.0중량%
상기 각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주요제(main agent) 100중량부에 대해, 헥사메틸렌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의 부가중합물(아사히카세고교가부시키가이샤 제품 듀라네이트(DURANATE) E402-90T) 29.5중량%,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스미토모바이엘우레탄사 제품 N-75) 19.6중량%, 및 초산에틸 50.9중량%를 함유하고 있는 경화제 10중량부를 첨가하였다. 따라서, 희석제로서 메틸시클로헥산 40중량%, 메틸이소부틸케톤 20중량%, 크실렌 20중량%, 시클로헥산 10중량%, 메톡시프로필아세테이트 10중량%를 함유하고 있는 혼합물 80중량부를 주요제에 첨가하여, 도료를 제조하였다.
이 도료를 상술한 바와 같이 성형된 에어백 수납용 케이싱에 도포하고, 80℃에서 30분간 건조하여 건조막 두께 25㎛의 코팅막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3
비교예 3에 따른 에어백 수납용 케이싱은 표면이 코팅되지 않았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2와 동일하다. 이 에어백 수납용 케이싱은 내부가 스크래치되는 내스크래치성이 있다. 이 에어백 수납용 케이싱의 광택은 내광성 시험에서 전체적으로 증가하고, 두꺼운 벽부에 대한 얇은 벽부의 광택 차이가 커졌다.
상술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에어백 수납용 케이싱을 에어백 모듈 조립공정에 공급하였고, 에어백 모듈이 조립되었다. 조립된 에어백 모듈로부터,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에어백 모듈을 임의로 추출하여 전개 실험을 행하였다.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에어백 수납용 케이싱 1은 특정한 소정의 파단선 3에서 파단하여 도어부 5를 형성하고, 에어백이 원활하게 팽창되었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에어백 수납용 케이싱 1의 검체(specimen)를 선샤인 웨더오메이터(sunshine weatherometer)로 2,200시간 동안 자와선 조사를 행하여, 색조의 변화를 눈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상기 실시예들과 비교예 2에서는 어떠한 이상도 발견되지 않았지만, 비교예 1 및 비교예 3에서 불균일한 광택이 발견되었다.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에어백 수납용 케이싱 1를 사용하여 에어백 모듈을 조립하고, 상기 조건하에서 자외선 조사를 행하였다. 자외선 조사를 행하지 않은 에어백 모듈과의 비교에 의해 인플레이터를 사용하여 전개 실험을 행하였고, 에어백 수납용 케이싱 1의 파단에 의해 도어가 형성되었다. 자외선 조사의 유무에 따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상기 실시예들의 성능을 표 1에 나타낸 결과를 통해 평가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외관(불균일한 광택) A A B A C
내충격성+20℃-20℃-30℃-40℃ AAAA AAAA AAAA AAAA AAAA
내습성(40℃, 99%RH, 120H) A A A A A
내열성(110℃, 300H) A A A A A
내스크래치성500g600g700g AAA AAA AAA AAB ABC
내열성100℃, 1000H110℃, 1000H120℃, 1000H AAA AAA AAA AAA AAA
내습성(50℃, 95%RH, 1000H) A A A A A
내광성에서의 외관 A A B A D
내광성에서의 특성 A A A A A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내지 3의 평가 및 내구도를 하기 표준으로 나타내었다.
[외관(불균일한 광택)]
"A" : 시각적 관찰로 어떠한 불균일한 광택도 발견되지 않음.
"B" : 시각적 관찰로 불균일한 광택이 발견됨.
"C" : 시각적 관찰로 불균일한 광택이 상당히 발견됨.
[내충격성]
상온, -20℃, -30℃ 및 -40℃에서 듀폰 충격 시험기(Du Pont Impact Tester)의 시험을 시행하였다. 듀폰 충격 시험기의 시험은 JIS(Japanese Industrial Standard)에 따른 것이고, 표면과 접촉하며 선단부의 직경이 12.7㎜인 충격부재 위에 높이 50㎝에서 500g의 중량을 떨어트려 시행되었다.
"A" : 균열이 발견되지 않음.
[내습성]
상대습도 99%의 대기에서 40℃의 온도로 120시간 동안, 및 상대습도 95%의 대기에서 50℃의 온도에서 1000시간 동안 표면에 시험하였다.
"A" : 초킹(chalking) 현상이 발견되지 않음.
[내열성]
110℃의 온도에서 300시간 동안, 100℃의 온도에서 1000시간 동안, 110℃의 온도에서 1000시간 동안, 및 120℃의 온도에서 1000시간 동안 표면에 시험하였다.
"A" : 색조 변화와 주목할만한 광택 변화가 발견되지 않음.
[내스크래치성(Scratch resistance)]
스크래치는 표면 상에서 타버(Taber) 스크래치 시험기(야스다세이키세이샤쿠쇼사 제품)를 사용하여 500g, 600g, 700g의 하중으로 시험되었다. 표면 상에 형성된 스크래치가 시각적으로 관찰되었다.
"A" : 스크래치된 초킹이 발견되지 않거나 거의 발견되지 않음.
"B" : 스크래치된 초킹이 발견됨.
"C" : 스크래치된 초킹이 상당히 발견됨.
[내광성]
표면에 선샤인 웨더오메이터로 자외선을 600시간 및 1000시간 동안 조사하였다.
표면의 색조 변화가 600시간의 경우에 시각적으로 관찰되었다.
"A" : 시각적 관찰로 어떠한 불균일한 광택과 균열이 발견되지 않음.
"B" : 시각적 관찰로 불균일한 광택과 균열이 발견됨.
"C" : 시각적 관찰로 불균일한 광택과 균열이 상당히 발견됨.
"D" : 시각적 관찰로 불균일한 광택과 균열이 "C" 보다 많이 발견됨.
굽힘 강도의 시험은 1000시간의 경우에 시험되었다.
"A" : 자외선을 조사시키지 않은 표면과 비교하여 표면 특성의 악화가 발견되지 않음.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수납용 케이스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상술한 재료의 특이한 조합 및 특정한 엠보싱 표면으로, 장식 보호층의 형성없이 구성됨으로써, 에어백 수납용 케이싱에 필요한 성능을 만족한다.
따라서, 장식 보호층의 형성 공정이 생략되고, 에어백 수납용 케이싱의 형성공정과 에어백 모듈 조립공정이 직결되며, 이에 따라 제조공정이 합리화되고, 가격이 저하된다. 유기용제를 함유하고 있는 장식 보호층의 형성 재료가 사용되지 않으므로, 장식 보호층의 관리비용, 대기로의 방산을 방지하는 각종 장치의 비용 및 이 관리비용이 절약된다. 또한, 장식 보호층의 연소 공정이 생략된다. 그러므로, 에너지가 절약되고, 작동자는 가열처리를 수반한 공정의 복잡한 온도관리 및 안전관리를 안해도 된다.
상술한 재료의 조합으로 달성된 특성에 의해, 온도 변화와 관련된 케이싱의 팽창수축량이 작고, 케이싱이 직사광선을 받기 쉬운 실내에 통상적으로 위치될 때, 에어백 장치의 수납 케이싱으로서 케이싱의 주위에 간극이 줄어든다. 그러므로, 치수 고정의 품질이 향상된다. 특히, 이것은 계기패널의 상면에 실장되어 조수석의 에어백 수납용 케이싱에 적합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수납용 케이싱은 제조가 용이하고 외관이 양호할 뿐만아니라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생산가도 저렴한 우수한 제품이다.

Claims (4)

  1. (A) 30 내지 50중량부의 프로필렌중합체;
    (B) 무니(Mooney) 점성도(ML1+4, 121℃)가 10 내지 100의 범위에 있는 50 내지 70중량부의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러버; 및
    (C) 윤활제로서, 상기 (A)의 중량부와 (B)의 중량부를 합한 100중량부에 대해 0.05 내지 0.5중량부의 고급 지방산아미드를 함유하고 있는 혼합물로 구성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로 형성된 본체(main body)를 포함하고 있는 에어백 억제계(restraint system)용 에어백 수납용 케이싱으로서,
    상기 본체는 베이스 벽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베이스 벽부는 파단용의 얇은 벽부, 상기 얇은 벽부의 파단에 의해 형성되는 도어부, 및 엠보싱이 적어도 80㎛의 깊이로 처리되는 엠보싱 표면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수납용 케이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 중합체는 랜덤(random)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있으며, 용융유량이 10분 당 0.1g 내지 100g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수납용 케이싱.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랜덤 공중합체는 용융점이 130℃∼165℃가 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수납용 케이싱.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러버는 10중량%∼60중량% 범위의 프로필렌을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수납용 케이싱.
KR1019990001744A 1998-01-21 1999-01-21 에어백 수납용 케이싱 KR1003126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9685 1998-01-21
JP00968598A JP3476355B2 (ja) 1998-01-21 1998-01-21 エアバッグ収納用ケー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8039A true KR19990068039A (ko) 1999-08-25
KR100312606B1 KR100312606B1 (ko) 2001-11-03

Family

ID=11727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1744A KR100312606B1 (ko) 1998-01-21 1999-01-21 에어백 수납용 케이싱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476355B2 (ko)
KR (1) KR100312606B1 (ko)
DE (1) DE19902123B4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383B1 (ko) * 2006-05-10 2008-11-03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충돌에너지 흡수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레일차량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34698B2 (ja) * 1998-01-21 2003-08-11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エアバッグ収納用ケース
WO2002051929A1 (fr) * 2000-12-25 2002-07-04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Composition elastomere thermoplastique
KR100904849B1 (ko) 2007-04-16 2009-06-25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에어백 고정용 부직포 커버
DE102007046154B4 (de) 2007-09-27 2017-02-0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Airbagabdeckung mit geätzter Sollbruchlinie
EP3950807B1 (en) * 2019-03-25 2023-11-01 Mitsui Chemicals, Inc. Olefin-based polymer composition
JP2022527954A (ja) * 2019-03-29 2022-06-07 Mcppイノベーション合同会社 全tpoエアバッグ組み立て体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07370A1 (de) * 1987-03-07 1988-09-15 Kolbenschmidt Ag Sicherheitslenkrad
DE3837085A1 (de) * 1988-11-01 1990-05-03 Kolbenschmidt Ag Gassack-aufprallschutzvorrichtung
DE3942694C3 (de) * 1988-12-26 2003-05-15 Takata Corp Abdeckung für einen gefalteten Gassack einer Aufprallschutzvorrichtung in Kraftfahrzeugen
JPH0618951B2 (ja) * 1989-07-17 1994-03-16 チッソ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系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の製造方法
JP2961780B2 (ja) * 1989-12-18 1999-10-12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ーバッグ収納用カバー
DE4211416C3 (de) * 1992-04-04 2000-07-13 Benecke Ag J H Folie oder Formkörper aus einem thermoplastischen Kunststoff mit einem Terpolymergehalt sowie deren Verwendung
DE4211413C2 (de) * 1992-04-04 1997-04-24 Benecke Ag J H Folie oder Formkörper aus einem thermoplastischen Kunststoff auf der Basis eines Polypropylen-Block-Copolymerisats und Verwendung der Folie zur Herstellung tiefgezogener Formteile
JP3345686B2 (ja) * 1992-11-30 2002-11-18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エアバッグ収納用ケ−ス
JP3071380B2 (ja) * 1995-05-30 2000-07-31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エアバッグ収納用ケース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383B1 (ko) * 2006-05-10 2008-11-03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충돌에너지 흡수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레일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476355B2 (ja) 2003-12-10
KR100312606B1 (ko) 2001-11-03
DE19902123B4 (de) 2005-10-06
JPH11209536A (ja) 1999-08-03
DE19902123A1 (de) 1999-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65317B1 (en) Injection-molded article
EP0884359B1 (en) Cover for air bag device containing a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US5611565A (en) Airbag storing casing
KR100312606B1 (ko) 에어백 수납용 케이싱
JP3434698B2 (ja) エアバッグ収納用ケース
US6045152A (en) Automobile safety bag assembly incorporating air bag cover of improved thermoplastic elastomer
EP0918070B1 (en) Elastomer composition
US5248532A (en) Air bag-containing cover
JP2961780B2 (ja) エアーバッグ収納用カバー
EP0604776B1 (en) Airbag storing casing
EP0678426B1 (en) Pad for air bag device
GB2254618A (en) Air bag cover
KR930002068B1 (ko) 사출 성형체
US6644684B2 (en) Air bag cover for vehicles
JPH10264759A (ja) エアバッグ内蔵パネル
WO2009042410A1 (en) Polyolefin composition
KR960002431B1 (ko) 에어백 장치용 패드
JP2001191885A (ja) 車輌用内装パネル
Hersman et al. Material Options for Automotive Interior Tri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