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8012A - 다이아프램펌프를 갖는 잉크공급부 - Google Patents

다이아프램펌프를 갖는 잉크공급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8012A
KR19990068012A KR1019990001579A KR19990001579A KR19990068012A KR 19990068012 A KR19990068012 A KR 19990068012A KR 1019990001579 A KR1019990001579 A KR 1019990001579A KR 19990001579 A KR19990001579 A KR 19990001579A KR 19990068012 A KR19990068012 A KR 19990068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chassis
pressure plate
ink
ink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1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3089B1 (ko
Inventor
하인즈폴마크
Original Assignee
디. 크레이그 노룬드
휴렛트-팩카드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 크레이그 노룬드, 휴렛트-팩카드 캄파니 filed Critical 디. 크레이그 노룬드
Publication of KR19990068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8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3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30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Mounting within the printer
    • B41J2/17523Ink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13Inn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96Ink pumps, ink valves

Landscapes

  • Reciprocating Pumps (AREA)
  • Ink J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잉크를 프린트 헤드(16)에 공급하는, 액츄에이터(32)에 의해서 작동하는 다이아프램 펌프(22)를 갖는 유형의 잉크 공급부(12)에 관한 것이다. 다이아프램 펌프(22)는 다이아프램(36)과 섀시(34)를 구비한다. 이 다이아프램(36)은 그 내부에 형성된 일체형 압력판부(42)를 가진다. 섀시(34)와 다이아프램(36)은 가변성 체적 챔버(38)를 형성한다. 섀시(34)는 일체형 압력판부(42)를 결합하도록 그 내부에 기저부(40)를 배치하여 압력판(42)을 섀시(3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압력판(42)은 다이아프램(36)을 섀시(34)로부터 멀어지게 다이아프램(36)을 가압하여 가변성 체적 챔버(38)를 팽창시킨다.

Description

다이아프램 펌프를 갖는 잉크공급부{DIAPHRAGM PUMP HAVING AN INTEGRAL PRESSURE PLATE}
본 발명은 잉크 공급부로부터 프린트 헤드에 잉크를 제공하는 다이아프램 펌프를 갖는 잉크-젯 프린터용 잉크 공급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패없이 반복 싸이클을 운행할 수 있는 신뢰성이 큰 다이아프램 펌프를 형성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린트 헤드로부터 독립적으로 교환가능한 잉크 공급부의 사용이 본 발명의 출원인에게 양도된 발명의 명칭이 "잉크-젯 프린터용 잉크 공급부(Ink Supply For An Ink-Jet Printer)"인 미국 특허 출원 제 08/429,915 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런 유형의 잉크 공급부의 장점은 사용자가 프린트 헤드를 교환하지 않고 잉크 용기를 교환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프린트 헤드는 이것의 수명의 종료지점이나 그 근방에서 교환될 수 있다.
미국 특허 출원 제 08/429,915 호는 다이아프램 펌프를 개시하는 잉크 용기의 사용을 개시한다. 다이아프램 펌프는 잉크 용기로부터 프린트 헤드에 잉크를 공급하기 위해서 잉크-젯 프린터에 결합된 액츄에이터에 의해서 작동된다. 잉크 용기와 결합하여 펌프를 사용하면 잉크-젯 프린트 헤드에 잉크를 신뢰성있게 공급할 수 있다. 프린트 헤드로의 잉크의 흐름을 방해하면 인쇄질의 열화 또는 프린트 헤드의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프린트 헤드의 작동 중에 프린트 헤드로의 잉크의 흐름을 방해하면 프린트 헤드의 과열을 야기할 수 있는 프린트 헤드 디프라임(deprime)을 발생시킬 수 있다. 프린트 헤드가 충분히 심각하게 가열되면, 프린트 헤드 신뢰성이 감소될 수 있거나 프린트 헤드가 고장날 수 있다. 따라서, 잉크 용기로부터 프린트 헤드로 잉크를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장치가 고도의 신뢰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미국 특허 출원 제 08/429,915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다이아프램 펌프는 섀시와 이 섀시에 부착된 다이아프램을 구비한다. 액츄에이터와 다이아프램의 결합에 의해서 섀시와 다이아프램에 의해서 규정되는 챔버의 체적이 변한다. 챔버의 체적이 변하면 잉크가 챔버로 흡인되거나 챔버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잉크가 잉크 저장통으로부터 챔버로 흡인된다. 챔버로부터 추출된 잉크는 잉크 도관에 의해서 프린트 헤드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출원인에게 양도된 발명의 명칭이 "잉크 공급부용 다이아프램 펌프(Diaphragm Pump For Ink Supply"인 미국 특허 출원 제 08/846,785 호에 2층의 다이아프램을 사용하는 잉크 용기 다이아프램 펌프의 사용이 개시되어 있다. 2층의 다이아프램은 다이아프램을 관통하여 챔버로 공기가 분산되는 것을 제한하는 방습층(vapor barrier layer)을 구비한다. 다이아프램의 제 2 층은 섀시와 방습층 사이에 배치된 탄성중합체층이다. 탄성중합체층은 챔버 내부의 액체가 다이아프램을 통과하는 것을 제한한다. 2층 다이아프램은 클림프 캡을 사용하여 섀시에 고정된다.
다이아프램 펌프가 고도의 신뢰성을 갖는 것은 중요하다. 잉크 누출을 발생시킬 수도 있는 다이아프램의 피로 결함을 발생시키지 않고 많은 작동 싸이클에 걸쳐 작동시킬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다이아프램은 잉크 용기가 떨어져 깨지지 않을 만큼의 강도 및 내구성을 가져야 한다.
다이아프램 펌프의 다이아프램은 가요성이 있어서 펌프를 작동시키는데 필요한 힘을 비교적 작게 하여야 한다. 작동력이 작은 다이아프램 펄프의 사용으로 인해서 저 출력 용량을 갖는 액츄에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저 출력 액츄에이터는 대체로 고 출력을 필요로 하는 액츄에이터보다 가격이 저렴하다. 또한, 저출력 액츄에이터를 사용하면 대체로 잉크 용기를 프린터에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보유 시스템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저 비용의 보유 시스템을 사용하면 프린팅 시스템의 비용도 감소시킬 수 있다.
다이아프램은 또한 액체와 가스 양자에 대해서 양호한 배리어이어야 한다. 다이아프램을 관통하여 잉크에 함유된 수분을 증발시키지 못하도록 하는 것은 이것이 잉크의 점성도를 변화시키기 때문에 중요하다. 또한, 챔버 내측에 공기 방울을 발생시키는 공기가 다이아프램을 통해 침투하지 못하게 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들 공기 방울은 펌프의 효율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프린트 헤드에 대해 공기 방울을 도입하는 경향이 있다. 프린트 헤드에 생긴 공기 방울은 일단 잉크 분사 챔버로 도입되어 분사 쳄버내의 잉크의 체적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잉크가 충분히 변위하면 인쇄질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프린트 헤드 냉각의 저하가 일어난다. 이러한 냉각의 저하로 인해서 프린트 헤드가 심각하게 가열되면 가열 소자의 치명적인 고정을 일으킬 수 있는 저항성 가열 소자의 과열을 야기할 수 있다.
끝으로, 다이아프램 펌프는 일정한 방출 체적을 제공하여야 한다. 또한, 잉크 용기를 저 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는 기술로 제조된 체적이 큰 다이아프램 펌프가 적절히 사용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잉크를 프린트 헤드에 제공하기 위해서 액츄에이터에 의해서 작동되는 다이아프램 펌프를 갖는 유형의 잉크 공급부에 관한 것이다. 다이아프램 펌프는 다이아프램과 섀시를 구비한다. 다이아프램의 내부에 일체형 압력판부가 형성되어 있다. 섀시와 다이아프램은 가변성 체적 챔버를 규정한다. 섀시는 일체형 압력판부를 결합하기 위해서 그 내부에 편향부를 가져서 압력판을 새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압력판은 섀시로부터 멀어지게 다이아프램을 가압하여 가변성 체적 챔버를 팽창시킨다.
본 발명의 일 특징은 다이아프램을 잉크 용기와 결합된 섀시에 고정하는 클림프 캡이다. 클림프 캡은 기저부와 이 기저부로부터 멀리 상부 외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직립 측부를 구비한다. 한쌍의 직립 측부 각각은 기저부에 대향하는 직립 측부의 단부를 향하여 배치된 결합부를 가진다. 클림프 캡이 기저부와 섀시 사이에 다이아프램에 대해 배치되어 있으며 한쌍의 직립 측부 각각에 배치된 결합부는 한쌍의 직립 측부가 섀시를 향해 가압되어 결합부가 다이아프램 고정 플랜지를 섀시에 결합할 때 섀시상의 플랜지와 결합하도록 위치설정된다.
도 1은 잉크-젯 프린트 헤드에 잉크를 제공하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이아프램 펌프를 갖는 잉크 용기의 개략적인 대표도,
도 2는 다이아프램 펌프를 작동시키도록 배치된 액츄에이터를 갖는 도 1의 잉크 용기의 A-A'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다이아프램 펌프의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다이아프램 펌프의 전개도,
도 5a는 일체형 압력판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이아프램의 사시도,
도 5b는 도 5a의 다이아프램을 펌프 섀시에 고정하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의 사시도,
도 6a, 도 6b, 도 6c 및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림프 캡을 사용하는 섀시에 고정된 다이아프램을 도시하는 도 3의 B-B' 단면도,
도 7a, 도 7b, 도 7c, 도 7d 및 도 7e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이아프램 펌프의 작동을 도시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속 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바람하지 못한 다이아프램에 대한 작동력 대 변위 곡선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이아프램에 대한 작동력 대 변위 곡선의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잉크 용기14 : 공급 스테이션
16 : 프린트 헤드22 : 다이아프램 펌프부
24 : 입구26 : 출구
32 : 액츄에이터36 : 다이아프램
42 : 압력판부54 : 스프링 결합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이아프램 펌프를 갖는 잉크 용기(12)를 구비하는 잉크-젯 인쇄 시스템(10)을 도시한다. 인쇄 시스템(10)은 또한 잉크 용기(12)를 수납하는 공급 스테이션(14)을 구비한다. 공급 스테이션(14)은 도관(18)에 의해서 프린트 헤드(16)에 대해서 유체 결합된다.
잉크 용기(12)는 잉크 저수통(20), 다이아프램 펌프부(22) 및 유체를 선택적으로 잉크 저수통(20)으로부터 다이아프램 펌프부(22)로 이동하게 하는 입구(24)를 구비한다. 또한 잉크 용기(12)에는 유체를 다이아프램 펌프부(22)로부터 유체 출구(28)로 선택적으로 이동하게 하는 잉크 출구(26)가 설치되어 있다.
공급 스테이션(14)는 유체 입구(30)와 액츄에이터(32)를 구비한다. 잉크 용기(12)가 공급 스테이션(14)에 적절히 배치되어 있으며 잉크 용기와 결합된 유체 출구(28)는 공급 스테이션(14)과 결합하는 유체 입구와 유체 결합한다. 또한, 공급 스테이션(14)안에 잉크 용기(12)를 적당히 배치하면 액츄에이터(32)가 다이아프램 펌프부(22)와 결합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32)와 다이아프램 펌프부(22) 사이의 결합은 잉크 저수통(22)으로부터 프린트 헤드(16)로 유체 통로를 형성한다. 다이아프램 펌프부(22)와 액츄에이터(32)는 프린트 헤드(16)에 공급되는 잉크 공급량을 일정하게 보증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급 스테이션(14)에 장착된 잉크 용기(12)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잉크 용기(12)는 입구(24)에 의해서 다이아프램 펌프부(22)와 유체 연통하는 잉크 저수통(20)을 구비한다. 잉크는 입구(24)를 통해서 다이아프램 펌프부(22)에 선택적으로 제공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입구(24)는 잉크 저수통(20)으로부터 다이아프램 펌프부(22)로 잉크를 이동시키며 다이아프램 펌프부(22)로부터 잉크 저수통(20)으로 잉크가 통과하는 것을 제한하는 체크 밸브로서 작용한다. 다이아프램 펌프부(22)는 출구(26)를 통해 잉크를 내보낸다. 다이아프램 펌프부(22)로부터 추출된 잉크는 공급 스테이션(14)과 도관(18)을 거쳐서 프린트 헤드(16)로 제공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출구(26)는 잉크를 다이아프램 펌프부(22)로부터 프린트 헤드(16)로 이동시키며 프린트 헤드(16), 공급 스테이션(14) 또는 도관(18)중 어느 하나로부터 펌프부(22)로 잉크의 통과를 제한한다. 다이아프램으로 복귀하는 잉크 흐름은 프린트 헤드(16)에 배치된 체크 밸브에 의해서 제한되며, 도관(18)내의 흐름 저항성과 프린트 헤드(16)의 음의 배압이 잉크가 출구(26)를 통해서 다이아프램 펌프부(22)로 복귀하는 것을 제한하는데 사용된다.
잉크 용기(12)는 공급 스테이션(14)안에 적절히 배치되어 있으며 공급 스테이션과 결합된 유체 입구(30)는 잉크 용기(12)와 결합된 유체 출구(28)와 결합되어 잉크 용기(12)와 공급 스테이션(14) 사이의 유체 상호접속부를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다이아프램 펌프부(22)는 가변성 체적 챔버(38)를 규정하는 섀시(34)와 다이아프램(36)을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다이아프램(36)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클림프 캡과 같은 고정 장치(39)를 사용하여 섀시에 부착된다. 액츄에이터(32)를 향해 다이아프램(36)을 편향하는 편향 수단(40)이 챔버(38)안에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편향 수단(40)은 다이아프램(36)과 일체로 형성되는 압력판부(42)를 가압하는 스프링이다.
액츄에이터(32)는 다이아프램(36)과 결합하여 다이아프램(36)을 스프링(40)을 갖는 챔버(38)를 향해 변위시킨다. 다이아프램(36)이 챔버(38)를 향해 변위될 때 챔버(38)의 체적은 감소된다. 이러한 챔버(38) 체적의 감소는 챔버(38)내의 잉크를 가압하여 잉크가 출구(26)를 통해서 프린트 헤드(16)를 향해 통과하게 한다. 액츄에이터(32)가 제거될 때 스프링(40)은 완화되어 다이아프램(36)을 챔버(38)로부터 멀리 변위시키며, 챔버(38) 체적이 증가하고 챔버 압력이 감소하면 입구(24)를 통해서 잉크 저수통(20)으로부터 챔버(38)로 잉크가 흐르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입구(24)는 저수통(20)으로부터 챔버(38)로만 잉크가 흐르게 하는 체크 밸브로서 잉크가 챔버(38)로부터 잉크 저수통(20)로 흐르는 것을 제한한다. 따라서, 다이아프램(36)이 챔버(38)를 향해서 배치될 때, 입구(24)는 챔버(38)로부터 잉크 저수통(20)으로 잉크가 통과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이아프램 펌프부(22)의 사시도이다. 다이아프램 펌프부(22)는 잉크 섀시(34)와 일체로 형성된다. 다이아프램 펌프부(22)는 섀시(34)와 다이아프램(36)을 구비한다. 고정 수단(39)은 섀시(34)와 가압하여 다이아프램(36)을 기계적으로 보유하여 다이아프램(36)과 섀시(34) 사이의 밀봉을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가 고정 수단(39)으로서 클림프 캡을 사용하지만, 섀시(34)와 가압하여 다이아프램(36)을 유지하는 고정 장치라면 어느 것이나 적절할 수도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다이아프램 펌프부(22)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전개도이다. 다이아프램(36)은 기다란 돔 형상을 가지도록 사전성형된다. 고정 장치(39)는 그 내부에 개구를 갖는 기저부를 가진다. 고정 장치(39)는 섀시(34)상에 배치되고 다이아프램은 그들 사이에 배치되어 기다란 돔부가 고정 장치(39)의 기저부내의 구멍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고정 장치(39)는 섀시(34)상에서 플랜지(50) 표면에 클림프되거나 또는 절첩되어 섀시(34)와 다이아프램(36) 사이에 압축 밀봉제를 고정한다.
도 5a는 섀시(34)에서 본 바람직한 다이아프램(36)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다이아프램(36)은 밀봉 표면(52), 압력판부(42) 및 압력판부(42)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스프링 결합부(54)를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밀봉 표면(52), 압력판부(42) 및 스프링 결합부(54)는 다이아프램(36)과 각각 일체형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다이아프램(36)은 고정 장치(39)에 의해서 압축되어 고정될 수 있는 압축성 재료로 제조되어 밀봉 표면(52)은 섀시(34)와 양호한 유체 밀봉을 형성한다. 이 압축성 재료는 누출 또는 고장없이 큰 압력 부하를 지탱할 수 있다. 다이아프램(36)은 잉크 용기(12)가 떨어졌을 때 발생할 수 있는 큰 압력 충격을 지탱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다이아프램(36)은 다수의 펌핑 사이클을 걸쳐서 작동할 수 있는 피로 수명이 길어야 한다. 끝으로, 다이아프램(36)은 다이아프램 펌프부(22)내의 유체에 대한 유체 배리어를 제공하도록 선택된 재료이어야 한다. 잉크-젯 인쇄에 종종 사용되는 수성 잉크는 수분을 함유한다. 따라서, 다이아프램(36)은 물에 대해서 양호한 배리어를 제공하여야 한다.
다이아프램(36) 즉 챔버(38)에 대면하는 외부 표면은 공기와 접촉한다. 따라서, 다이아프램(36)은 챔버(38) 내측에 공기 방울을 부가하는 공기의 다이아프램(36)으로의 침투를 방지한다. 공기가 다이아프램(36)을 침투하면 프린트 헤드(16)의 신뢰성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인쇄질을 저하시킬 수 있는 방울이 프린트 헤드(16)를 통과하는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또한, 다이아프램(36)은 수증기가 챔버(38)로부터 손실되지 않도록 배리어를 제공하여야 한다. 따라서, 다이아프램(36)은 저 침투성 재료로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다이아프램(36)은 침투성의 실질적인 증가 없이 다수의 펌핑 싸이클에 걸쳐 작동할 수 있을 만큼 피로 수명이 길어야 하며 기계적 고정에 적합하여야 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다이아프램(36)은 에틸렌-프로필렌-디엔 단위체(EPDM)으로 형성된 성형 탄성 중합체 다이아프램으로 형성된다. EPDM 재료는 런던 아카데미 프레스(Academic Press) 1994년판 34 페이지에 막크 제임스 이(James E Mark), 에어맨 부락 (Burak Ehrman) 및 아이리히 에프 알(F.R. Eirich)의 "고무 과학 및 기술(Science and Technology of Rubber)"에 보다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이 다이아프램(36)은 라운드형 또는 타원형 돔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이아프램(36)이 기다란 돔 형상을 갖도록 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돔의 중앙부는 압력판(42)을 규정하는 두꺼운 부분을 가진다. 스프링 결합 형상부(54)는 압력판(42)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다이아프램(36), 압력판(42) 및 결합부(54)는 동일 재료로 성형된다. 변형예로서, 시이트재와 같은 보강재가 다이아프램(36)에 성형되어 다이아프램(36)을 보강하여 다이아프램(42)안에 압력판(42)을 형성하게 삽입될 수 있다.
다이아프램(36)의 침투성과, 다이아프램(36)을 해체하기 위해서 필요한 강도 또는 힘 사이에는 바람직하게 하기 위한 교환이 있다. 예컨대, 사용된 탄성 중합체 재료의 두께는 이 재료의 침투성을 ½로 감소시킨다. 그러나, 탄성중합체 재료의 두께의 증가는 펌프를 작동시키는데 피요한 물질의 강도 또는 힘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이 재료의 두께는 침투성을 최소화하는 한편 액츄에이터(32)의 작동력 범위내의 작동력을 제공하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탄성 중합체는 67 쇼어경도 A 듀로미터의 보통 경도를 갖는 브로모 부틸(Bromo Butyl)과 EPDM의 혼합물이다.
도 5b는 다이아프램(36)을 섀시(34)에 고정하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39)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고정 장치(39)는 기저부(56)와 이 기저부(56)로부터 거의 상향으로 연장되는 직립 측부(58)을 구비한다. 기저부(56)는 세장형의 축을 따라 기다랗다. 세장형의 축을 따르른 양 측부상의 직립 측부(60, 62)는 갈매기 날개형으로 기저부(56)로부터 상부 외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갈매기 날개형의 직립 측부(60, 62) 각각은 결합부(64, 66)를 가지며, 기저부(56)와 대향하여, 직립 측부의 단부를 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도 6a 내지 도 6d에 관하여 다음에 전술하는 바와 같이, 결합부(64, 66)를 갖는 갈매기 날개형 직립 측부(60, 62)를 사용하면 다이아프램(36)를 섀시(34)에 대해 신뢰성 있게 부착하도록 직립 측부를 압축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d는 도 3의 B-B' 단면도로서 다이아프램(36)을 섀시(34)에 부착하는 바람직한 방법을 나타내는 조립체 시퀀스를 도시한다. 다이아프램(36)은 섀시(34)상에 배치되어 다이아프램(36)과 연관된 밀봉 표면(52)이 도 6a 내지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섀시(34)와 연관된 대응 밀봉 표면과 결합한다. 또한, 스프링 결합부(54)는 스프링(40)을 압력판(42)과 결합하여 유지하도록 섀시(34)와 연관된 스프링940)에 결합하게 정렬된다. 고정 장치(39)와 관련된 보유 직립 측부(58)은 본 명세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은 미국 특허 출원 제 08/846,785 호에 개시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클림프가공되어 있다.
도 6b, 도 6c, 도 6d는 결합부(64, 66)가 섀시(34)와 연관된 플랜지(50)와 정렬되도록 섀시(34)의 근접부에 고정 장치(39)를 배치하는 단계를 도시한다. 도 6c에 화살표(65)를 사용하여 도시된 대향력이 각각의 직립 측부(60, 62)에 인가되어 이들 직립 측부를 섀시(34)를 향하여 내향으로 가압한다. 화살표로 나타낸 반작용력은 화살표(65)로 나타낸 대향 힘과 동일하게 인가되어 고정 장치(39)의 카운터싱크부를 포집한다. 직립 측부(60, 62)가 섀시를 향해 내향으로 가압될 때 새시에 대응하는 결합부(64, 66)는 섀시(34)와 연관된 플랜지(50)와 결합하여 다이아프램(36)을 섀시(34)에 고정한다. 반작용력은 고정 장치(39)의 부적당한 해체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섀시(34)의 궁형으로 구브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다이아프램(36)은 섀시(34)에 대해서 압축 상태가 되어 신뢰할만한 압축 밀봉을 형성한다.
사전성형된 직립 갈매기 날개형부(60, 62)를 사용하면 고정 장치(39)를 섀시(34)에 대한 부착을 단순화시킨다. 사전성형 갈매기 날개형 직립 측부를 사용하지 않으면 플랜지(50)위로 직립 측부(58)를 절첩하는 힘이 인가되어 섀시(34)의 종축을 따라 직립 측부(58)가 버클 고정되게 하는 경향이 있다. 사전성형 갈매기 날개형 직립 측부(60, 62)는 내향력(65)과 반작용력(67)만을 필요로 하며 접힘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 내향력은 직립 측부(58) 또는 섀시(34)가 버클 결합하지 않게 한다.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이아프램 펌프의 작동을 도시한다. 도 7a는 액츄에이터(32)가 다이아프램(36)과 결합하여 챔버(38)에 유체 압력을 제공하는 펌프 싸이클의 초기 단계를 도시한다. 입구 밸브(24)는 챔버(38)로부터 저수통(20)으로 유체의 흐름을 방지하도록 폐쇄되어 유체가 유체 출구(26)로부터 흐른다. 잉크가 프린트 헤드(16)로부터 분사될 때 다이아프램(36)이 내향으로 가압되어 잉크가 챔버(38)로부터 변위하여 유체 출구(26) 밖으로 그리고 프린트 헤드(16)로 보내져 도 7b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된 잉크를 대체한다.
도 7d와 도 7e는 액츄에이터(32)와 다이아프램(36)의 결합이 분리될 때의 재충전 싸이클을 도시한다. 액츄에이터(32)를 다이아프램(36)으로부터 제거하면 편향 수단(40)이 연장되어 다이아프램(36)을 액츄에이터(32)를 향해 밀어주도록 한다. 다이아프램이 액츄에이터(32)를 향해서 외향으로 이동할 때, 챔버(38)의 체적은 잉크 저수통(20)으로부터 체크 밸브(24)를 통해 유체를 보다 다량으로 견인하게하여 챔버(38)를 다시 채워준다. 프린트 헤드(16)에 배치된 체크 밸브는 유체가 프린트 헤드 또는 도관(18)으로부터 챔버(38)를 다시 채우지 못하게 한다.
도 8, 도 9 및 도 10은 몇 개의 다른 다이아프램 재료에 대한 작용력 대 편향 곡선을 나타낸다. 다이아프램(36)이 비교적 작은 작용력을 나타내어 공급 스테이션(14)에 잉크 용기(12)를 보유하는데 필요한 힘이 비교적 작게 하는 것은 중요하다. 공칭 작용력은 0.8 파운드 이하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공칭 작용력은 0.5 파운드 이하이다. 또한, 다이아프램은 챔버(38)를 잉크로 신속하게 재충전하는 재충전 싸이클 동안 챔버(38)에 충분한 배압을 발생시키기에 충분한 복원력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 끝으로, 유사한 힘 대 변위 곡선이 작동 싸이클과 재충전 싸이클 양자에 대해서 나타나는 것이 중요하다.
도 8은 바람직하지 못한 다이아프램 재료에 대한 공칭 작용력 대 변위 곡선(70)을 도시한다. 이 곡선은 액츄에이터(32)가 다이아프램(36)을 내리누를 때 나타나는 곡선의 일부(72)와, 액츄에이터가 해제되어 스프링(40)이 다이아프램(36)을 원상태로 가압할 때 나타나는 곡선의 일부(74)와의 사이에 비교적 큰 히스테리시스를 나타낸다. 다이아프램을 내리누른데 필요한 힘이 1.0 파운드 정도로, 비교적 크다는 것을 이 곡선(70)으로부터 알 수 있다. 또한, 다이아프램(36)의 복원력은 다이아프램(36)의 버클결합력이 스프링 복원력에 비해 크게 나타날 만큼 비교적 작다. 도 7a 내지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아프램(36)이 비교적 신속하게 회복될 수 있는 충분한 강도를 가져 체크 밸브(24)를 통해 잉크 챔버(38)로 잉크를 견인하는 충분한 흡입력을 발생시킨다.
도 9는 배리어층으로서 작용하는 외막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되는 다이아프램(36)에 대한 공칭 작용력 대 편향력(76)을 나타낸다. 액츄에이터(36)가 내리누르는 다이아프램(36)은 곡선 일부(78)에 의해서 나타내지며 스프링(46)이 원상태로 가압하는 다이아프램(36)은 곡선의 일부(80)으로 나타내진다. 이 곡선(76)으로부터 곡선의 기울기는 액츄에이터의 힘이 매우 센 경우에 매우 가파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이아프램(36)에 대한 공칭 작용력 대 편향 곡선(82)을 나타낸다. 액츄에이터(32)에 의한 다이아프램(36)의 작용은 곡선의 일부(84)에 의해서 나타내지며 스프링(40)에 의한 다이아프램(36)의 복귀는 곡선의 일부(86)로서 나타내어진다. 작동력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다이아프램 재료에 대한 작용력보다 충분히 작은 0.5 파운드 이하라는 것을 도 10으로부터 알 수 있다. 저 작동력이 다이아프램(36)의 가요성 부분을 비교적 얇고 고탄성인 다이아프램 물질을 사용하여 설계함으로써 달성된다. 고탄성의 비교적 얇은 가요성 부분을 사용하면 스프링(40)이 가요성 부분에서 버클 탈착력을 극복할 수 있으며 복원력 대 변위 곡선이 작동력 곡선과 더 긴밀하게 부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이아프램 물질을 선택하면 곡선(82)이 큰 초기 기울기와 큰 최종 기울기 및 작은 중간 기울기를 갖게 된다. 충분한 작동력이 인가되면, 다이아프램(36)은 버클결합되거나 말리는 경향이 있어서 곡선의 비교적 작은 기울기를 갖는 부분을 산출하는데 필요한 작용력을 감소시킨다. 이미 전술한 바와 작용력이 비교적 작아져 액츄에이터의 필요조건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인쇄 시스템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다이아그램(36)이 예견가능한 방식으로 완전히 복귀되도록 보증하는 두꺼운 압력판부(42)의 사용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이아그램 펌프(22)는 피로 결손없이 펌프 싸이클을 반복할 수 있는 펌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펌프(22)는 낙하 실험중에 다이아그램의 누출 및 파손에 대해 저항성이 더 크다. 끝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이아그램 펌프(22)는 신뢰성이 우수한 밀봉을 형성하는 펌프 섀시에 다이아프램이 신속히 부착되어야 하는 고용량의 제조환경(high-volume manufacturing environment)에 아주 적합한다. 또한, 클림프 캡형 고정 장치(39)의 사용은 다이아그램 클림프력이 고도로 제어되어 다이아프램(36)과 섀시(34) 사이에 균일한 밀봉을 형성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이아그램 펌프는 피로 결손없이 펌프 싸이클을 반복할 수 있고, 낙하 실험중에 다이아그램의 누출 및 파손에 대해 저항성이 더 크며, 다이아그램 펌프(22)의 신뢰성이 우수한 밀봉을 형성하도록 펌프 섀시에 다이아프램이 신속히 부착되어야 하는 고용량의 제조환경(high-volume manufacturing environment)에 아주 적합한 펌프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Claims (10)

  1. 잉크를 프린트 헤드(16)에 제공하는 액츄에이터(32)에 의해서 작동되는 다이아프램 펌프(22)를 갖는 유형의 잉크 공급부(12)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그램 펌프(22)는,
    그 내부에 일체형 압력판부(42)를 형성하고 있는 다이아프램(36)과,
    섀시(34)를 포함하며, 섀시(34)와 다이아프램(36)은 가변성 체적 챔버(38)를 규정하며, 섀시(34)는 일체형 압력판부(42)를 결합하도록 그 내부에 배치된 기저부(40)를 가져서 일체형 압력판부(42)를 섀시(3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일체형 압력판부(42)를 가압하며, 일체형 압력판부(42)는 섀시(34)로부터 다이아프램(36)을 멀어지게 가압하여 가변 체적 챔버(38)를 팽창하게 하는 잉크 공급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프램(36)을 상기 섀시(34)에 대해서 고정하여 상기 다이아프램(36)과 상기 섀시(34) 사이에 유체 밀봉을 형성하는 고정 장치(39)를 더 구비하는 잉크 공급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판(42)이 상기 편향부(40)와 결합하도록 결합형상부(54)를 갖는 잉크 공급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프램(36)은 방습층인 잉크 공급부.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39)는 클림프 캡이며, 클림프 캡이 섀시(34)와 다이아프램(36)과 결합하여 다이아프램(36)을 섀시(34)에 대해서 압축되어 섀시(34)와 다이아프램(36) 사이의 유체 밀봉을 형성하는 잉크 공급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프램(36)은 0.5 파운드 이하의 피크 작용력을 가지는 잉크 공급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프램(36)은 초기 작동부 동안 제 1 기울기를 가지며 충분한 작동부 동안 제 2 기울기를 가지며, 제 1 기울기는 제 2 기울기보다 더 큰 잉크 공급부.
  8. 프린트 헤드(16)에 잉크를 제공하는 가변성 체적 챔버(38)를 갖는 유형의 잉크 공급부에 있어서,
    상기 가변성 체적 챔버(38)는 섀시(34)와 다이아프램(36)에 의해서 규정되며
    상기 다이아프램(36)은,
    상기 다이아프램(36)을 통과하는 유체와 공기의 이송을 제한하는 배리어층과, 배리어층 내부에 형성된 압력판부(42)를 포함하며, 상기 압력판부(42)는 불균형력을 압력판(42)에 인가하는 동안 압력판(42) 근처의 배리어층부를 압력판(42)으로 가압하여 가변성 체적 챔버(38)와 관련된 체적을 변화시키는 잉크 공급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층과 압력판부(42)는 탄성중합체층으로 형성되어 있는 잉크 공급부.
  10. 제 8 항에 있어서,
    클림프 캡(39)을 더 포함하며, 상기 크램프 캡(39)은 섀시(34)상에 배치되며 배리어층은 클림프 캡(39)과 섀시(34) 사이에 배치되며, 클림프 캡(39)은 섀시(34)와 결합하여 섀시(34)에 대해 배리어층을 압축하여 적어도 부분적인, 가변성 체적 챔버(38)를 규정하는 잉크 공급부.
KR1019990001579A 1998-01-23 1999-01-20 다이아프램 펌프를 갖는 잉크 공급부 및 가변성 체적 챔버를 갖는 잉크 공급부 KR1006030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012,384 US6305793B1 (en) 1998-01-23 1998-01-23 Diaphragm pump having an integral pressure plate
US9/012,384 1998-01-23
US09/012,384 1998-01-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8012A true KR19990068012A (ko) 1999-08-25
KR100603089B1 KR100603089B1 (ko) 2006-07-20

Family

ID=21754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1579A KR100603089B1 (ko) 1998-01-23 1999-01-20 다이아프램 펌프를 갖는 잉크 공급부 및 가변성 체적 챔버를 갖는 잉크 공급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6305793B1 (ko)
EP (1) EP0931661B1 (ko)
KR (1) KR100603089B1 (ko)
DE (1) DE69924541T2 (ko)
TW (1) TW41589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24139B2 (en) * 2000-09-15 2004-11-3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Overmolded elastomeric diaphragm pump for pressurization in inkjet printing systems
US7452061B2 (en) * 2002-01-30 2008-11-1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nd device for filling a printing-fluid container
US7744202B2 (en) * 2002-01-30 2010-06-2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ing-fluid container
US7147310B2 (en) * 2002-01-30 2006-12-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ing-fluid container
US6962408B2 (en) * 2002-01-30 2005-11-0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ing-fluid container
US6869173B2 (en) * 2003-03-07 2005-03-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aphragm pump for a fluid supply
US7004564B2 (en) * 2003-07-31 2006-02-2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ing-fluid container
US6959985B2 (en) * 2003-07-31 2005-11-0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ing-fluid container
US7104630B2 (en) * 2003-07-31 2006-09-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ing-fluid container
US7374355B2 (en) * 2004-01-21 2008-05-20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Inkjet printer cradle for receiving a pagewidth printhead cartridge
US7441865B2 (en) 2004-01-21 2008-10-28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Printhead chip having longitudinal ink supply channels
US7731327B2 (en) * 2004-01-21 2010-06-08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Desktop printer with cartridge incorporating printhead integrated circuit
US20050157112A1 (en) 2004-01-21 2005-07-21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Inkjet printer cradle with shaped recess for receiving a printer cartridge
US7097291B2 (en) 2004-01-21 2006-08-29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Inkjet printer cartridge with ink refill port having multiple ink couplings
US7364263B2 (en) * 2004-01-21 2008-04-29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Removable inkjet printer cartridge
US7645025B2 (en) * 2004-01-21 2010-01-12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Inkjet printer cartridge with two printhead integrated circuits
US7232208B2 (en) * 2004-01-21 2007-06-19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Inkjet printer cartridge refill dispenser with plunge action
US7469989B2 (en) * 2004-01-21 2008-12-30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Printhead chip having longitudinal ink supply channels interrupted by transverse bridges
US7303255B2 (en) 2004-01-21 2007-12-04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Inkjet printer cartridge with a compressed air port
US7448734B2 (en) * 2004-01-21 2008-11-11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Inkjet printer cartridge with pagewidth printhead
US7188937B2 (en) * 2004-01-29 2007-03-1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ing-fluid venting assembly
US8197231B2 (en) 2005-07-13 2012-06-12 Purity Solutions Llc Diaphragm pump and related methods
US20090153600A1 (en) * 2007-12-17 2009-06-18 Greeven John 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fluid ejection volume
CA2742314C (en) * 2008-12-19 2013-10-22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Ink manifold with multiple conduit shut off valve
US8236247B2 (en) * 2008-12-23 2012-08-07 Intercat Equipment, Inc. Material withdrawal apparatus and methods of regulating material inventory in one or more units
US9610392B2 (en) 2012-06-08 2017-04-04 Fresenius Medical Care Holdings, Inc. Medical fluid cassette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JP6435952B2 (ja) * 2015-03-26 2018-12-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シール構造および圧力変化検出装置
JP6552664B1 (ja) * 2018-03-30 2019-07-31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0761A (en) 1973-01-04 1976-04-13 Casio Computer Co., Ltd. Ink pressurizing apparatus for an ink jet recorder
US4558326A (en) 1982-09-07 1985-12-10 Konishiroku Photo Industry Co., Ltd. Purging system for ink jet recording apparatus
US5252993A (en) 1988-09-07 1993-10-12 Seiko Epson Corporation Capping apparatus for an ink jet printer
US4992802A (en) 1988-12-22 1991-02-12 Hewlett-Packard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extending the environmental operating range of an ink jet print cartridge
US5537134A (en) 1990-01-12 1996-07-16 Hewlett-Packard Company Refill method for ink-jet print cartridge
CA2019290A1 (en) 1990-01-12 1991-07-12 Bruce Cowger Pressure-sensitive accumulator for ink-jet pens
GB2246909B (en) 1990-07-16 1995-02-22 Terasaki Denki Sangyo Kk Circuit breaker including forced contact parting mechanism capable of self-retaining under short circuit condition
US5450112A (en) 1992-12-23 1995-09-12 Hewlett-Packard Company Laminated film for ink reservoir
US5825387A (en) * 1995-04-27 1998-10-20 Hewlett-Packard Company Ink supply for an ink-jet printer
US5777646A (en) * 1995-12-04 1998-07-07 Hewlett-Packard Company Self-sealing fluid inerconnect with double sealing septum
US5721576A (en) * 1995-12-04 1998-02-24 Hewlett-Packard Company Refill kit and method for refilling an ink supply for an ink-jet printer
US5784087A (en) * 1995-04-27 1998-07-21 Owens-Illinois Closure Inc. Liquid containment and dispensing device
US5854646A (en) * 1995-04-27 1998-12-29 Hewlett-Packard Company Diaphragm pump for ink supp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350024B2 (en) 2002-02-26
US20010010530A1 (en) 2001-08-02
EP0931661B1 (en) 2005-04-06
DE69924541D1 (de) 2005-05-12
DE69924541T2 (de) 2006-02-16
EP0931661A3 (en) 2000-10-25
KR100603089B1 (ko) 2006-07-20
US6305793B1 (en) 2001-10-23
TW415891B (en) 2000-12-21
EP0931661A2 (en) 1999-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3089B1 (ko) 다이아프램 펌프를 갖는 잉크 공급부 및 가변성 체적 챔버를 갖는 잉크 공급부
KR100507885B1 (ko) 잉크공급장치및다이어프램펌프형성방법
US6312116B2 (en) Ink cartridge having an integral pressurization apparatus
US6955425B2 (en) Re-circulating fluid delivery systems
US8016398B2 (en) Liquid ej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lying liquid in liquid ejection apparatus
US6854836B2 (en) Liquid container, liquid supply system, liquid using apparatus, ink tank, ink supply system, inkjet print head and print apparatus
RU2330759C1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чернил, печатающая головк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труйной печати
KR100460242B1 (ko) 압력 조절 챔버, 압력 조절 챔버를 구비한 잉크 제트 기록헤드 및 잉크 제트 기록 헤드를 구비한 잉크 제트 기록 장치
JP2004314600A (ja) 液体収納容器、液体使用装置および記録装置、並びにインクジェットカートリッジ
US20030038865A1 (en) Ink supply mechanism and inkjet recording apparatus including the ink supply mechanism
EP2060397A1 (en) Ink storage container
JP2001063098A (ja) 液体収納容器、該液体収納容器に用いられる弁機構および液体供給容器
JPWO2003041963A1 (ja) 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2018154051A (ja) 可撓膜機構、流路部材及び液体噴射装置
WO2005061235A1 (ja) 弁装置、減圧弁、キャリッジ、液体噴射装置、及び、弁装置の製造方法
JP5131046B2 (ja) 液体供給装置及び印刷装置
US8967779B2 (en) Flow channel member, liquid ejecting head, liquid ejecting apparatus, and liquid reservoir
US6286948B1 (en) Ink-jet cartridge with a negative pressure ink reservoir
JP2006224565A (ja) 液体吐出装置
KR100497369B1 (ko) 잉크젯 프린팅 헤드의 카트리지
EP0764536A2 (en) Self selecting inkjet primer system
US7097289B2 (en) Ink delivery apparatus with pressure tuned rolling piston and method of use
JP5729974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KR20050056075A (ko) 잉크젯 카트리지와 그 제조방법
TW200924988A (en) Print ink cartridge having air bag and exhaust assembly for continuous ink suppl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