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7889A - 활동형틀장치의 형틀재 - Google Patents

활동형틀장치의 형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7889A
KR19990067889A KR1019990000764A KR19990000764A KR19990067889A KR 19990067889 A KR19990067889 A KR 19990067889A KR 1019990000764 A KR1019990000764 A KR 1019990000764A KR 19990000764 A KR19990000764 A KR 19990000764A KR 19990067889 A KR19990067889 A KR 199900678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concrete
active
support yoke
reaction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0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쿠다유키오
Original Assignee
구로사와 시게오
가부시키가이샤 오바야시구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로사와 시게오, 가부시키가이샤 오바야시구미 filed Critical 구로사와 시게오
Publication of KR19990067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7889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2Sliding forms raised continuously or step-by-step and being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raising and which are not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Arrangements of lifting means therefor
    • E04G11/24Construction of lifting jacks or climbing rods for sliding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활동형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콘크리이트에 대한 형틀의 연절성을 보다 향상시킴으로써, 장시간 작업정지상태로 부터 상승동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활동형틀장치의 형틀재를 제공한다.
작업상량(10)의 하부에 그 수평방향에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지지요우크(12)와, 이 지지요우크(12)의 하부에 대향 배치된 형틀(22)과, 이 형틀(22)상에서, 콘크리이트(C)중에 매설된 주근이 되는 로드(34)에 계합하여 이 로드(34)를 따라 지지요우크(12)를 상방으로 상승시키는 반력잭(32)을 구비하며, 이 반력잭(32)에 의한 상승동작에 수반하여 지지요우크(12)와 함께 형틀(22)을 상승시키는 활동형틀장치에 있어서, 상기 형틀(22)의 콘크리이트(C)와 접하는 내면측에는 활성이 풍부한 수지소재인 테프론시이트(42)를 일체적으로 배치하고 있다.

Description

활동형틀장치의 형틀재{A mold of slide molding device}
본 발명은 활동(滑動)형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형틀의 잭(jack)을 올릴 때 콘크리이트에 대한 형틀의 연절성(緣切性)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형틀재에 관한 것이다.
고층의 교각이나 연돌, 현수교나 사장교의 주탑 등의 RC 통형상 구조물을 구축하는 수단으로서 슬립포옴공법이 채용되고 있다. 이 슬립포옴공법은 형틀요우크에 지지된 1조의 형틀사이에 콘크리이트를 타설하고, 이 콘크리이트중에 매설된 반력용 로드에 반력을 취해 유압잭을 상승시킴으로써, 형틀요우크를 상승시켜 형틀을 탈형하며, 다시 그 상부에 콘크리이트를 타설하는 것을 연속하여 되풀이하여, 귀찮은 형틀의 교환작업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형틀은 일반적으로 강으로 제조되며, 콘크리이트타설후에 콘크리이트에 소정의 강도가 발현되는 단계에, 상기 잭을 조작하여 형틀을 잭으로 올림으로써, 형틀을 콘크리이트로 부터 연절하면서 순차적으로 상승시켜, 연속적으로 콘크리이트를 타설한다.
이 공법에서는 콘크리이트에 대한 형틀의 연절을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형틀내면의 콘크리이트 접촉면에 윤활제를 도포하는 등의 연절처리를 행함과 함께, 콘크리이트타설을 수시간이상 휴지하는 경우는 타설완료후 수시간에 걸쳐 공슬라이드라고 하는 연절작업을 행할 필요가 있다. 또, 이와 같은 종래의 공법에서는 점핑형식의 시공법은 불가능하였다.
상기 윤활제는 실제로는 콘크리이트에 대한 박리성이 낮으며, 이와 같은 상황하에서 잭업(jack up)작업을 행하면 소위 무리한 발췌에 가까운 상태가 되므로, 콘크리이트표면에 크랙이나 결락이 생겨, 후보수작업에 수고와 시간이 드는 불편이 있고, 이런 종류의 불편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형틀을 항상 잭업시켜 연절하여 두지 않으면 안되며, 잭업작업에 시간이 걸려, 다른 배근 등의 작업시간이 압축되고, 시간관리가 어려워지는 외에도, 형틀의 종방향 치수를 크게 할 수 없어, 1회당 콘크리이트타설량도 적었다.
또, 따라서 예를 들어 그 날의 타설작업종료로 부터 다음 날까지 등과 같이 장시간 작업을 중단하는 경우에는 콘크리이트와의 고착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틀만 공슬라이드작업을 행하는 것이 불가결하며, 시공효율저하의 원인이 되고 있다.
구축하려고 하는 구조물의 철근량이 많아, 철근이음작업에 시간을 필요로 하는 경우등과 같이 콘크리이트의 연속타설이 곤란한 경우에는 점핑형틀공법에 의존하지 않으면 안되며, 이 경우에는 형틀이 콘크리이트와 고착하여, 탈형이 불가능해지므로, 타설위치로 부터의 형틀의 교환 및 다음 콘크리이트 타설위치로의 재설치작업을 포함하는 것이어서, 이것들에 수고와 시간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그 목적은 콘크리이트에 대한 형틀의 연절성을 보다 향상시킴으로써, 장시간 작업정지상태로 부터 상승동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한 불편을 해소할 수 있게 한 활동형틀장치의 형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을 적용한 활동형틀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2 는 본 장치의 형틀에 콘크리이트를 타설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 은 본 형틀의 상승위치에서 다음의 콘크리이트타설 준비상태를 나타내는 측 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작업상량 12 - 지지요우크
14 - 하부지보공 22 - 형틀
32 - 반력잭 34 - 반력용 로드
42 - 테프론시이트(활성시이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작업상량(作業床梁)의 하부에 배치된 지지요우크와, 이 지지요우크의 하부에 대향 배치된 형틀과, 이 형틀상에, 콘크리이트중에 매설된 반력용 로드에 계합하여 이 반력용 로드를 따라 상기 지지요우크를 상방으로 상승시키는 반력잭을 구비하며, 이 반력잭에 의한 상승동작에 수반하여 지지요우크와 함께 상기 형틀을 상승시키는 활동형틀장치에 있어서, 상기 형틀의 콘크리이트와 접하는 내면측에는 활성이 풍부한 수지 소재로 된 활성시이트를 일체적으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활성시이트에 의한 연절효과에 의해 형틀의 잭업시에 연절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사용되는 활성시이트로서는 불소수지나, 고밀도폴리에틸렌수지등으로 부터 선택할 수 있다.
《 실시예 》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을 적용한 활동형틀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서 형틀장치는 작업상량의 하부에 현수지지된 지지요우크(12)와, 지지요우크(12)의 하부에 현수고정된 하부 지보공(支保工)(14)으로 되어 있다.
지지요우크(12)는 상부 작업상량(10)의 직하에 이동 가능하게 평행 배치된 요우크량(16)과, 요우크량(16)의 하방에 평행 배치되며, 상면에 족장판(18a)을 설치한 하부상량(18)과, 요우크량(16)과 각 하부상량(18)간을 연결한 요우크지주(20)와, 양 하부상량(18)의 하부 대향단에 대향 배치된 형틀(22)과, 각 하부샹량(18)의 외측에 설치되며, 지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난간(24)을 배치한 지지스테이(26)로 대략 구성되어 있다.
이 지지요우크(12)는 요우크량(16)의 상부로 돌출하며, 각 지주(20)에 각각 브레이스(28a)에 의해 연결된 지지재(28)를 개재하여 작업상량(10)의 하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현수지지되어 있다.
상기 요우크지주(20)사이에는 연결비임(30)이 수평으로 배치되며, 이 연결비임(30)의 거의 중앙에는 반력잭(32)이 고정되어 있다.
이 반력잭(32)은 형틀(22)에 타설된 콘크리이트(C)의 중앙을 관통하여 매설되며, 콘크리이트(C)의 상부로 돌출하는 반력용 로드(34)에 삽통되어, 이 로드(34)를 따라 형틀장치전체를 상승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각 형틀(22)은 상하를 상기 연결비임(30) 및 각 하부상량(18)에 경사상태로 연결된 지지프레임(36) 및 지주(20)의 하부에 일체로 설치된 지지프레임(38)의 내측에 이동조정장치(40)를 개재하여 기울기 변화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서, 상기 형틀(22)은 강제 형틀이며, 도1의 원내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내면에는 활성시이트로서 예를 들어 테프론시이트(42)가 일체로 라이닝되어 있으며, 이 테프론시이트(42)에 의해 콘크리이트(C)와의 연절을 행하고 있다.
또, 테프론시이트를 대체하여, 고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활성시이트를 라이닝하여도 좋다. 그리고, 라이닝방법으로서는 소부도장( 燒付塗裝) 또는 다른 물리적 고정수단 등 각종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도2, 3 은 이상의 활동형틀장치를 사용하여 점핑형식의 시공을 행하는 경우의 콘크리이트의 타설후 및 타설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 도면에서 콘크리이트(C)내에 수평으로 표시된 파선은 1타설작업마다의 콘크리이트상단(CL)을 나타내며, 하부지보공(14)의 주위를 둘러싸는 파선은 낙하양생용 네트를 나타내고 있다. 또, 형틀(22)은 전술한 테프론시이트(42)의 개재에 의해 콘크리이트(C)와의 연절성이 높혀짐으로써, 도1에 도시된 것보다도 그 높이치수를 크게 취해 점핑형틀공법에 적합시키고 있다.
즉, 도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콘크리이트(C)의 타설후, 충분히 강도가 발현할 때까지의 사이, 상승을 정지함으로써, 로드(34)의 주위에 배근된 종근(縱筋)(44)의 계족작업이나, 횡근의 배근작업을 행할 수 있게 한다.
배근이 완료된 후, 도3에 도시한 것과 같이 1타설량 분만큼 전체를 상승시킴으로써, 다음의 콘크리이트의 타설준비작업이 완료한다. 상승시에 있어서 콘크리이트(C)와 형틀(22)의 계면에 개재된 테프론시이트(42)의 활성에 의해 충분한 활성으로 형틀(22)을 상승시킬 수 있다.
즉, 점핑포옴공법을 틀의 교환작업을 행하지 않고 가능하게 되어, 형틀의 이동이 간헐적으로 되게 되므로, 배근작업을 충분한 시간 행할 수 있으며, 잭업작업을 단시간에 안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 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활동형틀장치의 형틀재에 있어서는 콘크리이트와의 연절성을 높힘으로써, 형틀의 상승작업을 콘크리이트의 경화시간에 영항을 받지 않고 행할 수 있어, 시공관리가 간단해 진다.
또, 형틀의 종방향 치수를 크게 취해, 1회당의 콘크리이트타설량을 크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점핑형틀공법을 형틀의 교환을 행하지 않고 실시할 수 있어, 시공마무리에 있어 콘크리이트표면도 평활하고 미려하게 된다.

Claims (3)

  1. 작업상량의 하부에 배치된 지지요우크와, 이 지지요우크의 하부에 대향 배치된 형틀과, 이 형틀상에서 콘크리이트중에 매설된 반력용 로드에 계합하여 이 반력용 로드를 따라 상기 지지요우크를 상방으로 상승시키는 반력잭을 구비하며, 이 반력잭에 의한 상승동작에 수반하여 지지요우크와 함께 상기 형틀을 상승시키는 활동형틀장치에 있어서, 상기 형틀의 콘크리이트와 접하는 내면측에는 활성이 풍부한 수지소재로 되는 활성시이트를 일체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동형틀장치의 형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시이트가 불소계수지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동형틀장치의 형틀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시이트가 고밀도 폴리에틸렌수지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동형틀장치의 형틀재.
KR1019990000764A 1998-01-21 1999-01-14 활동형틀장치의 형틀재 KR199900678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0961398A JP3425353B2 (ja) 1998-01-21 1998-01-21 滑動型枠装置の型枠材
JP10-9613 1998-01-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7889A true KR19990067889A (ko) 1999-08-25

Family

ID=11725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0764A KR19990067889A (ko) 1998-01-21 1999-01-14 활동형틀장치의 형틀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425353B2 (ko)
KR (1) KR1999006788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053B1 (ko) * 2001-12-08 2004-11-10 (주)종합건축사사무소범건축 수직벽 시공용 슬립폼
CN106738224A (zh) * 2016-11-24 2017-05-31 中交天航滨海环保浚航工程有限公司 扭王字块成型模具
JP7159660B2 (ja) * 2018-07-17 2022-10-25 スターライト工業株式会社 水和硬化体の型枠用積層シート及びこれを備える水和硬化体の型枠
CN111347529A (zh) * 2018-12-20 2020-06-30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轨道梁的侧模系统及模具系统
CN110241738A (zh) * 2019-06-24 2019-09-17 中交一航局第二工程有限公司 一种自动化滚动式爬模装置及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425353B2 (ja) 2003-07-14
JPH11210225A (ja) 1999-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61833B2 (ja) プレストレスを導入した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セグメントの製造方法
KR101889064B1 (ko) 장대교량의 주탑 시공방법
KR19990067889A (ko) 활동형틀장치의 형틀재
CN209128884U (zh) 一种液压自升降爬模
CN108643213B (zh) 水下承台施工结构的施工方法
CN108118620B (zh) 用于桥塔施工的整体自爬式集成平台及其施工方法
JP4310794B2 (ja) アンカーボルト及びこのアンカーボルトを用いた移動式型枠工法
CN217537008U (zh) 实体护坡施工装置
CN107160542B (zh) 托架式内模支撑系统施工方法
CN214644569U (zh) 一种装配式承重墙板的浇筑模具
KR200231051Y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교량의 박스거더 시공용 이동형내부 거푸집
CN113059685A (zh) 一种预制梁施工系统及施工方法
CN213390222U (zh) 一种生态护坡挡土墙浇筑模具
CN107558734B (zh) 一种建筑浇筑装置及浇筑方法
KR20040102272A (ko) 연속압출공법을 적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더블-티이 교량 상판 및 그 거푸집
JP3063548B2 (ja) 型枠工法および装置
CN110172918A (zh) 预制箱梁预埋钢板定位方法
JPH08105240A (ja) 塔状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型枠骨組及び構築工法
CN218255766U (zh) 一种承重桥梁混凝土预制件成型模具
JPH08135182A (ja) 支保工スライド工法
CN214034888U (zh) 混凝土竖向构件的替换结构
CN210507092U (zh) 可调式墩梁现浇支架
CN220977683U (zh) 一种v型短悬臂梁支座分级顶升温度自适应结构
CN207295489U (zh) 薄壁高墩施工止浆装置
CN215943305U (zh) 一种带肋薄壳楼梯活动模具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