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6053B1 - 수직벽 시공용 슬립폼 - Google Patents

수직벽 시공용 슬립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6053B1
KR100456053B1 KR10-2001-0077592A KR20010077592A KR100456053B1 KR 100456053 B1 KR100456053 B1 KR 100456053B1 KR 20010077592 A KR20010077592 A KR 20010077592A KR 100456053 B1 KR100456053 B1 KR 100456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s
support
frame
vertical wall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7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7175A (ko
Inventor
성 환 최
Original Assignee
(주)종합건축사사무소범건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종합건축사사무소범건축 filed Critical (주)종합건축사사무소범건축
Priority to KR10-2001-0077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6053B1/ko
Publication of KR20030047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7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6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60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2Sliding forms raised continuously or step-by-step and being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raising and which are not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Arrangements of lifting means therefor
    • E04G11/24Construction of lifting jacks or climbing rods for sliding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 시공된 수직벽을 지지체로 이용하여 양측 성형틀을 상승 이동시키기 위한 작동잭들을 받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선 시공된 수직벽의 하부에서 후속공정을 병행할 수 있게 하고, 양측 성형틀을 상승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구성품을 단순화시켜 주는 수직벽 시공용 슬립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수직벽 시공용 슬립폼은 양측에 각각 프레임(11)과 성형판(12)을 1개조로 하여 서로 마주하도록 조립되는 양측 성형틀(10)과, 상기 양측 성형틀(10)의 프레임(11) 외측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고정부재(21)들의 상단부를 연결부재(22)로서 수평하게 연결하여서 된 고정틀(20)과, 상기 고정틀(20)의 고정부재(21)들과 상기 양측 성형틀(10)의 프레임(11) 사이에 배치되어서 신축동작하는 1쌍의 작동잭(30)들과, 상기 작동잭(30)들의 상,하부에 배치되어서 그 작동잭들을 받치는 하부 및 상부받침(40)(50)들로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하부받침(40)들은 각각 선 시공된 수직벽(2)에 대접 고정되는 정착철물(41)과, 그 정착철물의 상단부 양측에 마주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작동잭(30)들이 접지 고정되는 받침판(42a)이 상부에 일체로 착설되는 양측의 받침철물(42)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수직벽 시공용 슬립폼{Slip Form For Concrete Wall}
본 발명은 현장 타설되는 미경화콘크리트로서 건축물의 수직벽을 연속적으로 성형 시공할 수 있게 하여 주는 수직벽 시공용 슬립폼에 관한 것이다.
빌딩이나 아파트 등의 고층 건축물공사 현장에서는 수직벽을 선시공 한 후에, 그 수직벽에 각층을 구획하는 층간슬라브를 수평하게 연결 시공하는 공사방법이 채택되고 있는 바, 이와 같이 고층 건축물공사를 수행할 때에 수직벽을 연속적으로 시공하기 위한 장비로서 슬립폼이 사용되어 왔다.
이와 같은 수직벽 시공용 슬립폼과 관련하여 안출된 것으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375O28호(공개번호 제2001-27813호 공개일 2001. 4. 6)에는 "가이드레일 각각의 사이에 설치된 슬립폼 유니트들이 일체적으로 연결된 상태가 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인접해 있는 상기 슬립폼 유니트의 리프팅 슬립폼의 상부 프레임들을 연결하는 상부 연결프레임과, 상기 상부 연결프레임에 고정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레일의 양측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결합공에 보울트로 결착 및 이완되는 상부 브라켓과, 상기 상부 브라켓의 하방에 위치한 채 상기 가이드레일의 양측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결합공에 결착 및 이완되는 하부 브라켓과; 및 상기 하부 브라켓에는 실린더몸체의 저부가 고정 부착되고, 상기 상부 브라켓에는 피스톤로드의 선단이 고정 부착되는 상승작동용 유압실린더; 로 형성되어 슬립폼 유니트를 일정높이씩 단계적으로 연속해서 상승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폼 유니트 상승장치"가 선출원 등록공고되어 있다.
이 슬립폼 유니트 상승장치는 지층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가이드레일들을 사이에 두고 인접한 슬립폼 유니트들의 상부 프레임들을 상부 연결프레임으로 연결하고, 가이드레일에 각각 착탈되는 상부 브라켓과 하부 브라켓에 고정 설치된 상승작동용 유압실린더로서 슬립폼 유니트들을 상승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철근 콘크리트구조물을 연속적으로 구축할 수 있게 하여서 공사기간을 단축시켜 주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 사실이다.그러나, 이와 같은 슬립폼 유니트 상승장치는 슬립폼 유니트들 사이에 지층에 수직으로 세워져서 철근 콘크리트구조물이 구축된 높이에 따라 연장시켜야 하는 가이드레일들에 착탈되는 상부 및 하부 브라켓으로 상승작동용 유압실린더를 지탱하여 주도록 구성된 점을 감안하여 볼 때, 철근 콘크리트구조물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수반하게 되었다. 첫째 철근 콘크리트구조물의 구축이 완료될 때까지 슬립폼 유니트들 사이에 지층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가이드레일들을 그대로 존치시켜야 하기 때문에, 기 시공된 철근 콘크리트구조물의 하부에서 층간슬라브를 연결 시공하거나 미장몰탈로서 마감하는 등의 후속공정을 병행하여 진행할 수 없게 되므로, 전체적인 공사기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둘째 슬립폼 유니트를 다음 작업위치로 상승 이동시킬 때마다 가이드레일들 위에 새로운 가이드레일을 일일이 연결하여 연장시키는 작업을 반복하게 되기 때문에, 작업량이 불필요하게 증가되고 작업부담을 가중시키게 될 뿐만 아니라, 반복해서 연결하기 위하여 다수의 가이드레일을 추가로 구비하게 되는 만큼 공사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선 시공된 수직벽을 지지체로 이용하여 양측 성형틀을 상승 이동시키기 위한 작동잭들을 받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첫째 선 시공된 수직벽의 하부에서 후속공정을 병행할 수 있게 하여 건축물공사에 따른 시공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켜 주는 수직벽 시공용 슬립폼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둘째 양측 성형틀을 상승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구성품을 단순화시켜서 건축물공사에 따른 경제성을 제고하여 주는 수직벽 시공용 슬립폼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슬립폼을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슬립폼을 나타낸 정면도
도3a, 도3b, 도3c는 본 발명의 슬립폼으로서 수직벽을 시공하는 과정을 순서 대로 나타낸 것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슬립폼 10: 성형틀 11: 프레임
12: 성형판 20: 고정틀 21: 고정부재
22: 연결부재 30: 작동잭 31: 유압실린더
32: 신축로드 33: 고정판 40: 하부받침
41: 양측의 정착철물 42: 받침철물 43: 앵커볼트50: 상부받침
본 발명도 양측에 각각 프레임(11)과 성형판(12)을 1개조로 하여 서로 마주하도록 조립되는 양측 성형틀(10)과, 상기 양측 성형틀(10)의 프레임(11) 외측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고정부재(21)들의 상단부를 연결부재(22)로서 수평하게 연결하여서 된 고정틀(20)과, 상기 고정틀(20)의 고정부재(21)들과 상기 양측 성형틀(10)의 프레임(11) 사이에 배치되어서 신축동작하는 1쌍의 작동잭(30)들과, 상기 작동잭(30)들의 상,하부에 배치되어서 그 작동잭들을 받치는 하부 및 상부받침(40)(50)들로서 구성된 점에 있어서는 종래의 것과 기술개념을 같이 한다.
단, 본 발명의 수직벽 성형용 슬립폼(1)은 도1 및 도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받침(40)들은 각각 선 시공된 수직벽(2)에 대접 고정되는 정착철물(41)과, 그 정착철물의 상단부 양측에 마주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작동잭(30)들이 접지 고정되는 받침판(42a)이 상부에 일체로 착설되는 양측의 받침철물(42)로 구성됨을 기술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수직벽 시공용 슬립폼(1)은 선 시공된 수직벽(2)에 대접 고정되는 정착철물(41)과, 상부에 받침판(42a)이 착설된 양측의 받침철물(42)들을 갖는 하부받침(40)으로서, 선 시공된 수직벽(2)을 지지체로 하여 양측 성형틀(10)을 상승 이동시키기 위한 작동잭(30)들을 받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지층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가이드레일을 지지체로 사용하지 않고 양측 성형틀(10)을 상승이동시키면서 연속적으로 수직벽(2)을 성형 시공할 수 있게 함으로써, 첫째 선 시공된 수직벽(2)의 하부에서 층간슬라브를 연결 시공하거나 미장몰탈로서 마감하는 등의 후속공정을 병행할 수 있게 하여서, 전체적인 공사시간을 대폭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으며, 둘째 양측 성형틀(10)을 상승 이동시키기 위해서 갖추어야 할 필수 구성품을 최소한으로 줄여서, 작업부담을 경감시키고 공사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도시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기술내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양측 성형틀(10)은 성형 대상의 수직벽(2)을 감안한 폭과 형상으로서 양측에 서로 마주하여 연이어지는 성형판(12)들과, 그 성형판들의 외면에 서로 직교하도록 복수개의 수평지지대(11a)와 수직버팀대(11b)를 종횡으로 배치 고정하여서 된 프레임(11)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양측 성형틀(10)은 서로 협동하는 고정틀(20)과 작동잭(30)들에 의하여 해당 위치로 상승 이동하면서 현장 타설되는 미경화콘크리트로서 수직벽(2)을 연속적으로 성형하여 주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양측 성형틀(10)은 일자형의 수직벽(2)을 성형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도록 한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 상기 양측 성형틀(10)은 박스형 또는 원통형의 수직벽(2)을 성형할 수 있는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상기 고정틀(20)은 상기 양측 성형틀(10)의 프레임(11) 외측에 수직으로 세워져서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21)들과, 그 고정부재(21)들의 상단부에 고정되어서 수평하게 연이어주는 연결부재(22)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틀(20)은 양측 성형틀(10)을 견고히 연결 고정시켜서, 그 양측 성형틀이 상기 작동잭(30)들에 의하여 일시에 해당 위치로 상승 이동될 수 있게 하면서도 미경화콘크리트를 타설할 때에 가해지는 내부 압력을 감당할 수 있도록 지탱하여 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틀(20)의 고정부재(21)들은 그 하단이 상기 양측 성형틀(10) 보다 약간 더 길게 연장되는 정도로서 기 성형된 수직벽(2)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받침(40)으로 안내 받을 수 있게 하여서, 상기 양측 성형틀(10)을 안정적으로 상승 이동시키는 데 도움이 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도 2의 도시와 같이 상기 고정틀(20)의 고정부재(21)들 양측의 상하부에 종횡으로 연결되는 수직 및 수평앵글(61, 71),(62, 72)들 위에 각각 바닥판(63, 43)을 수평하게 깔아서 된 양측의 상부 및 하부 작업대(60, 70)를 설치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상기 작동잭(30)들은 각각 유압펌프(미도시)로부터 단속적으로 공급되는 작동유가 내부에 유통되는 유압실린더(31)와, 그 유압실린더의 내부에 유통되는 작동유에 의하여 신축동작하는 신축로드(32)로서 구성하되, 유압실린더(31)의 하단은 상기 하부받침(40)에 접지 고정시키고, 신축로드(32)의 상단을 상기 상부받침(40)에 대접 고정시켜서 설치되도록 한다. 이러한 작동잭(30)들은 양측 성형틀(10)의 성형판(12) 내에 미경화콘크리트를 타설한 직후에 신축로드(32)를 반복적으로 짧게 신축시켜서, 양측 성형틀(10)의 성형판(12)에 미경화콘크리트가 달라붙지 않게 하면서 표면이 매끄러운 수직벽(2)을 성형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타설된 미경화콘크리트가 완전히 경화된 후에는 신축로드(32)를 길게 신장시켜서 상기 양측 성형틀(10)을 해당 위치에 상승 이동시킬 수 있게 하여 준다.
여기에서, 상기 작동잭(30)들의 신축로드(32)는 그 상단에 부설된 고정판(33)을 통하여 상기 상부받침(50)에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받침(40)들은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각각 선 시공된 수직벽(2)에 대접 고정되는 정착철물(41)과, 그 정착철물의 상단부 양측에 마주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작동잭(30)들이 접지 고정되는 받침판(42a)이 상부에 일체로 착설되는 양측의 받침철물(42)로 구성된다. 이러한 하부받침(40)은 성형된 일단의 수직벽(2)에 정착철물(41)을 맞대고 관통되는 앵커볼트(43)로서 착탈가능하게 정착시켜서, 양측의 받침철물(42)의 받침판(42a) 위에 고정 설치되는 작동잭(30)들을 안정적으로 떠받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받침(40)들의 양측의 받침철물(42)은 상기 고정틀(20)의 고정부재(21)가 승강할 수 있는 안내통로(42b)가 확보되도록 간격을 유지하고, 그 양측의 받침철물(42)들의 외측단 근처에 안내로울러(42c)를 착설하여서, 상기 작동잭(30)들에 의하여 상하로 동작하는 고정틀(20)의 고정부재(21)를 안내하여 줄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받침(50)은 상기 고정틀(20)의 고정부재(21)들 내측면 중간부에 각각 설치하여서, 상기 작동잭(30)들의 신축로드(32) 상단을 대접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 상부받침(50)은 상기 작동잭(30)들의 신축로드(32)가 신축동작 할 때의 작용력을 상기 고정틀(20)에 전달하여 그 고정틀로서 지탱되는 양측 성형틀(10)이 상하로 동작할 수 있게 하여 준다.
이와 같이 구성되고 실시되는 본 발명의 수직벽 시공용 슬립폼을 이용하여 수직벽을 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에서와 같이, 기 성형된 수직벽(2)의 상단에 하부받침(40)을 앵커볼트(43)로서 정착시켜서, 양측 성형틀(10)의 성형판(12)들이 기 성형된 수직벽(2)의 상부 외측에 위치하도록 안치시키고, 상기 양측 성형틀(10)의 성형판(12)들내에 기 성형된 수직벽(2)과 연이어지도록 미경화콘크리트를 타설한다. 도 3b에서와 같이, 타설된 미경화콘크리트가 응결될 때까지 하부받침(40)에 받쳐진 작동잭(30)의 신축로드(32)를 짧게 신축시켜서 고정틀(20)과 함께 양측 성형틀(10)을 상하로 활동시켜서 성형판(12)에 미경화콘크리트가 달라붙지 않게 하면서 표면이 매끄럽게 수직벽(2)을 성형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도 3c에서와 같이, 해당 위치에 성형된 수직벽(2)이 경화되면 작동잭(30)의 신축로드(32)를 상부로 길게 신장시켜서 고정틀(20)과 함께 양측 성형틀(10)을 다음 작업위치로 상승 이동시키고, 고정틀(20)을 별도의 버팀지주(미도시)로 받힌 후에, 작동잭(30)들로서 하부받침(40)을 상승시켜서 다음 작업위치에 앵커볼트(43)로서 정착시키고, 다음 작업위치에 안치된 양측성형틀(10) 내에 미경화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서 수직벽(2)의 시공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직벽 시공용 슬립폼은 선 시공된 수직벽을 지지체로 이용하여 양측 성형틀을 상승 이동시키기 위한 작동잭들을 받칠 수 있도록 한 하부받침을 구비하여, 지층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가이드레일을 지지체로 사용하지 않고 양측 성형틀을 상승 이동시키면서 연속적으로 수직벽을 성형시공할 수 있게 하여 줌으로써, 전체적인 공사기간을 대폭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게 하여 줄 뿐만 아니라, 작업부담을 경감시키고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양측에 각각 프레임(11)과 성형판(12)을 1개조로 하여 서로 마주하도록 조립되는 양측 성형틀(10)과, 상기 양측 성형틀(10)의 프레임(11) 외측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고정부재(21)들의 상단부를 연결부재(22)로서 수평하게 연결하여서 된 고정틀(20)과, 상기 고정틀(20)의 고정부재(21)들과 상기 양측 성형틀(10)의 프레임(11) 사이에 배치되어서 신축동작하는 1쌍의 작동잭(30)들과, 상기 작동잭(30)들의 상,하부에 배치되어서 그 작동잭들을 받치는 하부 및 상부받침(40)(50)들로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하부받침(40)들은 각각 선 시공된 수직벽(2)에 대접 고정되는 정착철물(41)과, 그 정착철물의 상단부 양측에 마주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작동잭(30)들이 접지 고정되는 받침판(42a)이 상부에 일체로 착설되는 양측의 받침철물(4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벽 시공용 슬립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받침(40)들의 양측의 받침철물(42)은 상기 고정틀(20)의 고정부재(21)가 승강할 수 있는 안내통로(42b)가 확보되도록 간격을 유지하고, 그 양측의 받침철물(42)들의 외측단 근처에 안내로울러(42c)를 착설하여서, 상기 작동잭(30)들에 의하여 상하로 동작하는 고정틀(20)의 고정부재(21)를 안내하여 줄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벽 시공용 슬립폼.
KR10-2001-0077592A 2001-12-08 2001-12-08 수직벽 시공용 슬립폼 KR100456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7592A KR100456053B1 (ko) 2001-12-08 2001-12-08 수직벽 시공용 슬립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7592A KR100456053B1 (ko) 2001-12-08 2001-12-08 수직벽 시공용 슬립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7175A KR20030047175A (ko) 2003-06-18
KR100456053B1 true KR100456053B1 (ko) 2004-11-10

Family

ID=29573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7592A KR100456053B1 (ko) 2001-12-08 2001-12-08 수직벽 시공용 슬립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605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0345A (en) * 1978-09-04 1981-04-07 Pettersson John Paul Arrangement for casting concrete walls
JPH07158264A (ja) * 1993-12-02 1995-06-20 Ohbayashi Corp 滑動型枠工法
KR980009705A (ko) * 1996-07-11 1998-04-30 공용조 슬라이드폼 활동용 요우크장치
KR19990044841A (ko) * 1998-10-08 1999-06-25 고제구 수직터널의 복공벽성형을 위한 슬립폼용요오크장치>
JPH11210225A (ja) * 1998-01-21 1999-08-03 Ohbayashi Corp 滑動型枠装置の型枠材
KR20000046735A (ko) * 1998-12-31 2000-07-25 최성환 소형 수직구조물의 복공벽성형용 시스템폼 및 그를 이용한 소형수직구조물의 복공벽 시공방법
KR20010027813A (ko) * 1999-09-16 2001-04-06 김태유 슬립폼 유니트와 슬립폼 유니트 상승장치 및 이들을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축공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0345A (en) * 1978-09-04 1981-04-07 Pettersson John Paul Arrangement for casting concrete walls
JPH07158264A (ja) * 1993-12-02 1995-06-20 Ohbayashi Corp 滑動型枠工法
KR980009705A (ko) * 1996-07-11 1998-04-30 공용조 슬라이드폼 활동용 요우크장치
JPH11210225A (ja) * 1998-01-21 1999-08-03 Ohbayashi Corp 滑動型枠装置の型枠材
KR19990044841A (ko) * 1998-10-08 1999-06-25 고제구 수직터널의 복공벽성형을 위한 슬립폼용요오크장치>
KR20000046735A (ko) * 1998-12-31 2000-07-25 최성환 소형 수직구조물의 복공벽성형용 시스템폼 및 그를 이용한 소형수직구조물의 복공벽 시공방법
KR20010027813A (ko) * 1999-09-16 2001-04-06 김태유 슬립폼 유니트와 슬립폼 유니트 상승장치 및 이들을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축공법
KR100375028B1 (ko) * 1999-09-16 2003-03-08 주식회사 유원거푸집 슬립폼 유니트와 슬립폼 유니트 상승장치 및 이들을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축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7175A (ko) 2003-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138483B (zh) 一种利用高强混凝土柱与钢滑道交替顶升增层建筑物的装置及其施工方法
KR940007319A (ko) 계단과 계단실의 구축방법 및 계단의 구축방법과 계단부재
KR101013450B1 (ko) 수직터널의 상부에 돔부가 일체로 연결된 지하 콘크리트 구조물의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113235913A (zh) 建筑竖向模板悬挂整拼整提的施工设备及方法
KR100448221B1 (ko) 암거 제작용 이동식 철재 거푸집장치 및 이를 이용한암거의 증기촉진양생 연속시공방법
JPH10339033A (ja) コンクリート高構造物構築装置およびコンクリート斜柱の構築方法
KR100456053B1 (ko) 수직벽 시공용 슬립폼
CN208518323U (zh) 一种剪力墙的内墙爬模装置
JPH07233508A (ja) 橋脚および自昇式型枠工法による橋脚施工方法
CN215717173U (zh) 建筑竖向模板悬挂整拼整提的施工设备
CN113059685B (zh) 一种预制梁施工系统及施工方法
KR20100057293A (ko) 슬라이드 폼을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의 연속 타설방법
CN215660892U (zh) 一种立式模具组件
KR100312817B1 (ko) 소형 수직구조물의 복공벽성형용 시스템폼 및 그를 이용한 소형수직구조물의 복공벽 시공방법
JP2620687B2 (ja) 移動式型枠によるカルバートの施工法
JPH03103569A (ja) 柱構築用型枠装置
KR20010002727A (ko) 건축물 구축용 거푸집
CN215482990U (zh) 可纵翻围檩作业的地下结构的外墙内模板系统
KR100375028B1 (ko) 슬립폼 유니트와 슬립폼 유니트 상승장치 및 이들을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축공법
CN213418468U (zh) 建高楼支撑托吊模架浇灌混凝土的装置
CN219132687U (zh) 一种新型预制l型挡墙施工用模板组件
KR200151563Y1 (ko) 슬라브용 패널 지지장치
KR102561363B1 (ko) 건축물 보 성형을 위한 거푸집의 보지 장치
RU112916U1 (ru) Каркас зданий и сооружений и его элементы (варианты)
KR200267831Y1 (ko) 암거 제작용 이동식 철재 거푸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