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6675A - 다심기판쌍 기판커넥터 - Google Patents

다심기판쌍 기판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6675A
KR19990066675A KR1019980008205A KR19980008205A KR19990066675A KR 19990066675 A KR19990066675 A KR 19990066675A KR 1019980008205 A KR1019980008205 A KR 1019980008205A KR 19980008205 A KR19980008205 A KR 19980008205A KR 19990066675 A KR19990066675 A KR 19990066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d connecting
connecting pin
inverted
shaped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8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8506B1 (ko
Inventor
쇼지 야마다
Original Assignee
티. 사노
제이피에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00151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380849B2/ja
Application filed by 티. 사노, 제이피에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티. 사노
Publication of KR19990066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6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8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85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2Printed circuits being in the same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2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26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the printed circuits being on the same boar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6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05K3/368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parallel to each other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과제
기판의 팽창 등에 의해 생긴 외부 응력에 의해 접속 핀이 변위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함으로써, 접속 핀의 손상 등에 의한 전기적인 접촉 불량의 발생을 회피함과 동시에, 간단하고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는 다심 기판쌍 기판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수단
리셉터클 부재의 역 L 자형 접속 핀은, 그의 받침대형 단면 형상의 부분이 그에 대응한 단면 형상의 요 (凹) 홈에 의해 기계적으로 보지되어 있기 때문에, 기판의 팽창 등에 의한 외부 압력에 의해 역 L 자형 접속 핀이 변위되어 L 자형 및/또는 역 L 자형 핀이 손상됨으로 인해 전기적인 접촉 불량을 일으키는 것을 확실하게 회피한다. 또한, 역 L 자형 접속 핀의 받침대형 단면 부분에서의 첨두 주변측의 면도 또한 다른 수직 부분과 마찬가지로 플러그 부재의 L 자형 접속 핀과 접촉하기 때문에 접촉 핀 상호간의 전기적인 접촉 면적에 부족이 생기지 않는다.

Description

다심기판쌍 기판커넥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한쌍의 프린트 기판을 직접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프린트 기판에 직접 장착하여 상호 계합 및 착탈이 자유롭게 접속하기 위한 다심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프린트 기판에 직접 장착하는 형태의 다심 기판쌍 기판 커넥터는, 한쌍의 프린트 기판에 각각 장착되는 제 1 및 제 2 커넥터 부재로 구성되고, 제 1 및 제 2 커넥터 부재는 상호 착탈이 자유롭게 계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1 커넥터 부재는 플라스틱제의 프레임의 총체적으로 가늘고 긴 직방체 형상의 돌기부의 측면에 복수의 총체적으로 L 자형의 강성을 구비한 접속 핀이 배치된 구조를 지니고, 그리고 제 2 커넥터 부재는 플라스틱제의 프레임의 총체적으로 가늘고 긴 직방체 형상의 비어 있는 부분의 측면에 복수의 총체적으로 역 L 자형의 접속 핀이 배치된 구조를 지니고 있다.
접속시, 제 1 커넥터 부재의 L 자형 접속 핀은, 강성을 구비하고 있음으로써 적당히 강성변형하여 제 2 커넥터 부재의 역 L 자형 접속 핀에 접합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제 2 커넥터 부재의 역 L 자형 접속 핀은 선상 또는 봉상의 도전 부재를 단순한 역 L 자형으로 만곡시킨 것이지만, 그의 프레임에의 조입을 위해 90°미만의 각도로 만곡되어 있고, 또한 소자의 장착 작업등을 할 때의 기판의 팽창에 의해 그의 수직 방향 단부 또는 수직 부분과 수평 부분의 천이 부위가 프레임의 측면으로 부터 떨어져 버리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커넥터를 접속하기 곤란하게 할 뿐만 아니라, 역 L 자형 접속 핀을 만곡시켜 접속 불량을 생기게 하기에 용이한 것이었다.
본 발명은, 기판의 팽창 등에 의해 생긴 외부 응력에 의해 접속 핀이 변위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함으로써, 접속 핀의 손상 등에 의한 전기적인 접촉 불량의 발생을 회피함과 아울러, 간단하고 값싸게 제조할 수 있는 다심기판쌍 기판커넥터를 제공하려고 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부재와 리셉터클 부재로 구성되는 다심기판쌍 기판커넥터의 분리상태에서의 부분 측면도로서, 리셉터클 부재는 그의 길이 방향을 따른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 는 도 1 의 선 Ⅱ-Ⅱ 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3 은 플러그 부재와 리셉터클 부재가 접속된 상태에서의 도 2 의 선 Ⅲ-Ⅲ 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 는 플러그 부재와 리셉터클 부재가 접속된 상태에서의 도 2 의 선 Ⅳ-Ⅳ 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5 는 접속 핀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 4 와 마찬가지인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 : 플러그 부재 2 : 리셉터클 부재
3 : 돌기부 4 : L 자형 접속핀
5 : 비어 있는 부분 6 : 요 (凹) 홈
7 : 역 L 자형 접속 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의한 다심기판쌍 기판커넥터는, 한쌍의 프린트 기판에 각각 장착되는 플러그 부재 및 리셉터클 부재로 구성된 커넥터이다. 플러그 부재는, 총체적으로 가늘고 긴 직방체 형상의 돌기부를 지니고, 이러한 돌기부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한쪽의 측면에 소정의 이간 (離間) 간격으로 형성된 요 (凹) 홈에 각각 수용되고 또한 상기 플러그 부재의 각 L 자형 접속 핀의 수직 부분과 계합 및 착탈이 자유롭게 접속하기 위한 수직 부분을 각각 지니는 복수의 역 L 자형의 접속 핀을 구비하고 있고, 그리고 이러한 역 L 자형 접속 핀의 각 수평 방향 단부를 다른 한쪽의 프린트 기판의 회로에 각각 접속하여 고정한다.
리셉터클 부재의 역 L 자형 접속 핀의 수직 부분은, 적어도 그의 수직 방향 단부에서 요홈의 저면에 접면하는 측을 저변으로 하는 총체적으로 받침대형의 단면 형상을 각각 지니고 있다. 또한 리셉터클 부재의 요홈의 적어도 역 L 자형 접속 핀의 받침대형 단면 형상의 부분을 수용하는 부분은, 역 L 자형 접속 핀의 받침대형 단면 형상에 대응한 단면 형상을 지니고 있다.
리셉터클 부재의 역 L 자형 접속 핀은, 그의 받침대형 단면 형상의 부분이 그에 대응한 단면 형상의 요홈에 의해 기계적으로 보지되어 있기 때문에, 기판의 팽창 등에 의한 외부 응력에 의해 역 L 자형 접속 핀이 변위되어 L 자형 및/또는 역 L 자형 접속 핀이 손상되어 전기적인 접촉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확실하게 회피한다. 또한, 역 L 자형 접속 핀의 받침대형 단면부분에서의 첨두 주변측의 면도 또한 다른 수직 부분과 마찬가지로 플러그 부재의 L 자형 접속핀과 접촉하기 때문에, 접촉 핀 상호간의 전기적인 접촉 면적에 부족이 생기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한 다심기판쌍 기판커넥터는 또한, 리셉터클 부재로 형성되는 요홈의 깊이를 역 L 자형 접속 핀의 받침대형 단면의 높이 또는 그 이상으로 선택하고, 그리고 요홈의 역 L 자형 접속 핀의 받침대형 단면 부분을 수용하는 부분에서의 비어 있는 부분의 측면 부위에서의 폭을, 적어도 역 L 자형 접속핀의 받침대형 단면의 저변의 길이보다도 작게 되도록 선택할 수 있음으로써, L 자형 접속핀과 역 L 자형 접속핀간의 접촉을 확실하게 행하게 함과 동시에, 역 L 자형 접속 핀이 요홈으로 부터 유리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다심기판쌍 기판커넥터는, 리셉터클 부재로 형성되는 요홈의 깊이를 역 L 자형 접속 핀의 받침대형 단면의 높이보다도 크게하고, 요홈의 역 L 자형 접속 핀의 받침대형 단면 부분을 수용하는 부분에서의 비어 있는 부분의 측면부위에서의 폭을 적어도 역 L 자형 접속 핀의 받침대형 단면의 저변의 길이보다도 작게 하며, 그리고 상기 플러그 부재의 L 자형 접속 핀의 적어도 역 L 자형 접속 핀에 접합하는 측의 부분의 폭을 요홈의 폭보다도 작게 하는 것도 가능함으로써, 각 L 자형 접속 핀을 대응하는 각 요홈내에 안내하여 L 자형 접속 핀과 역 L 자형 접속 핀간의 접촉을 보다 더 확실하게 행하게 함과 동시에, 역 L 자형 접속 핀이 요홈으로 부터 유리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한다.
발명의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심기판쌍 기판커넥터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한쪽의 프린트 기판 ( 도시되지 않음 ) 에 장착되는 플러그 부재 (1) 와, 다른 한쪽의 프린트 기판 ( 도시되지 않음 ) 에 장착되는 리셉터클 부재 (2) 로 구성된다.
플러그 부재 (1) 는 플라스틱 등의 절연 재료로 작성되어 있고, 총체적으로 가늘고 긴 직방체 형상의 돌기부 (3) 를 구비하고 있다. 돌기부 (3) 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한쪽의 측면 ( 도시된 경우, 양측면 ) 에는 소정의 이간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총체적으로 L 자형의 접속 핀 (4) 이 설치되어 있다. L 자형 접속 핀 (4) 은, 리셉터클 부재 (2) 를 접속시킨 경우에 그의 접속 핀과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적당한 탄성을 일으킬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L 자형 접속 핀 (4) 의 각 수평 방향 단부는 프린트 기판에 형성된 회로에 소프트솔더링 ( soft soldering ) 등의 수단에 의해 직접 접속되어 고정되어 있다.
리셉터클 부재 (2) 는 플라스틱 등의 절연 재료에 의해 작성되어 있고, 플러그 부재의 돌기부 (3) 를 착탈이 자유롭게 수용하기 위한 총체적으로 가늘고 긴 직방체 형상의 비어 있는 부분 (5) 을 구비하고 있다. 비어 있는 부분 (5) 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한쪽의 측면 ( 도시된 경우, 양측면 ) 에는 L 자형 접속 핀 (4) 의 이간 간격에 따른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요홈 (6) 이 설치되어 있다. 각 요홈 (6) 에는 역 L 자형의 접속 핀 (7) 의 수직 부분이 각각 삽입되어 장착되어 있다. 역 L 자형 접속 핀 (7) 의 수직 부분은 선상 또는 봉상의 도전성 부재를 단순한 L 자상으로 만곡시킴으로써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 전술한 L 자형 접속핀 (4) 의 형상적인 탄성에 의해 L 자형 접속핀 (4) 의 수직 부분과 상호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각 역 L 자형 접속 핀 (7) 의 수평 방향 단부는, 플러그 부재 (1) 에서와 마찬가지로, 프린트 기판에 형성된 회로에 소프트 솔더링 등의 수단에 의해 직접 접속되어 고정되어 있다.
리셉터클 부재 (2) 의 역 L 자형 접속 핀 (7) 의 수직 부분은 각각 도 3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방형의 단면 형상을 지니고 있지만, 그의 수직 방향 단부는, 도 4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요홈 (6) 의 저면 (6a) 에 접면하는 측을 저변으로 하는 총체적으로 받침대형의 단면 형상을 지니고 있다. 그에 대응하여, 리셉터클 부재 (2) 의 요홈 (6) 은 전체적으로 방형의 단면 형상을 지니고 있지만 ( 도 3 참조 ), 역 L 자형 접속 핀 (7) 의 수직 부분의 받침대형 단면 부분을 수용하는 부분은, 요홈 (6) 의 저면 (6a) 에 접면하는 측을 저변으로 하는 총체적으로 받침대형의 단면 형상을 지니고 있다 ( 도 4 참조 ).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커넥터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플러그 부재 (1) 의 L 자형 접속 핀 (4) 및 리셉터클 부재 (2) 의 역 L 자형 접속 핀 (7) 의 수평 방향 단부의 각 수평 방향 단부를 소프트 솔더링 등의 수단에 의해 대응하는 프린트 기판에 형성된 회로에 각각 접속시킨다. 리셉터클 부재 (2) 의 역 L 자형 접속 핀 (7) 에 기판의 팽창 등에 의한 외부 응력이 가해진 경우, 역 L 자형 접속 핀 (7) 의 수직 방향 단부는 그의 단면 형상을 받침대형으로 형성시키고, 또한 당해 받침대형 단면 부분을 요홈 (6) 의 받침대형 단면 부분이 기계적으로 보지하고 있음으로써, 역 L 자형 접속 핀 (7) 의 수직 부분 또는 수직 부분과 수평 부분의 천이 부위가 비어 있는 부분 (5) 의 측면으로 부터 변위 또는 유리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종래에서와 같은, 역 L 자형 접속 핀이 손상 또는 굴곡되어 접촉 불량을 생기게 하거나, 접속할 수 없게 되거나 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역 L 자형 접속 핀 (7) 의 받침대형 단면형상과 요홈 (6) 의 받침대형 단면 형상간의 치수 관계는, 적어도 역 L 자형 접속 핀 (7) 을 요홈 (6) 의 펴서 늘리는 방향에 삽입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선정되어 있으면 충분하지만, 역 L 자형 접속 핀 (7) 의 받침대형 단면 부분을 요홈 (6) 의 받침대형 단면 부분에 삽입함으로써, 적어도 조립 작업중, 역 L 자형 접속 핀 (7) 을 요홈 (6) 의 소정 위치에 보지할 수 있는 바와 같은 치수 관계로 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요홈 (6) 의 역 L 자형 접속 핀 (7) 의 받침대형 단면 부분을 수용하는 부분은, 반드시 도시된 바와 같이 역 L 자형 접속 핀 (7) 의 받침대형 단면 형상으로 합치시킬 필요는 없으며, 비어 있는 부분 (5) 의 측면 부위의 요홈 (6) 의 폭 (d1) 을 적어도 역 L 자형 접속 핀의 받침대형 단면의 저변의 길이 (d2) 보다도 작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는 것은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한편, 이러한 받침대형 단면 부분에서의 요홈 (6) 의 깊이 (d3) 는, 플러그 부재의 L 자형 접속 핀 (4) 이 역 L 자형 접속 핀 (7) 에 당접하는 것을 저해하는 것이 없도록, 역 L 자형 접속 핀 (7) 의 받침대형 단면의 높이 (d4) 를 넘지 않게 선정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도 5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부재 (2) 에 형성되는 요홈 (6) 의 깊이 (d3) 를 역 L 자형 접속 핀 (7) 의 받침대형 단면의 높이 (d4) 보다도 크게 형성하며, 그리고 플러그 부재의 L 자형 접속 핀 (4) 의 적어도 역 L 자형 접속 핀 (7) 에 접합하는 측의 부분의 폭 (d5) 을 요홈 (6) 의 폭 (d1) 보다도 작게 함으로써, 각 L 자형 접속 핀 (4) 은 대응하는 각 요홈 (6) 내에 각각 안내되어 역 L 자형 접속 핀 (7) 에 접촉함으로써, 각 접속 핀 사이를 보다 확실하게 접속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리셉터클 부재 (2) 의 역 L 자형 접속 핀 (7) 의 수직 방향 단부에 형성된 받침대형 단부형상의 부분이 요홈 (6) 의 그에 대응한 단면 형상에 기계적으로 보지되어 있기 때문에, 기판의 팽창 등에 의한 외부 응력에 의해 역 L 자형 접속 핀 (7) 이 변위되어 접속 핀 (4, 7) 의 손상과 전기적인 접촉 불량을 생기게 하는 것을 확실하게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역 L 자형 접속 핀 (7) 의 받침대형 단면 부분에서의 첨두 주변측의 면도 또한 다른 수직 부분과 마찬가지로 플러그 부재 (1) 의 L 자형 접속 핀 (4) 과 접속하기 때문에, 상호간의 전기적인 접촉 면적에 부족이 생기는 염려가 없다.
또한, 리셉터클 부재 (2) 에 형성되는 요홈 (6) 의 깊이를 역 L 자형 접속 핀 (7) 의 받침대형 단면의 높이 또는 그 이하로 선정하며, 그리고 요홈 (6) 의 역 L 자형 접속 핀의 받침대형 단면 부분을 수용하는 부분에서의 비어 있는 부분의 측면 부위에서의 폭을, 적어도 역 L 자형 접속 핀 (7) 의 받침대형 단면의 저변의 길이보다 작게 되도록 선정함으로써, L 자형 접속 핀 (4) 과 역 L 자형 접속 핀 (7) 사이의 접촉을 확실하게 행함과 동시에, 역 L 자형 접속 핀 (7) 이 요홈 (6) 으로 부터 변위 또는 유리되어 버리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우기, 리셉터클 부재 (2) 에 형성되는 요홈 (6) 의 깊이를 역 L 자형 접속 핀 (7) 의 받침대형 단면의 높이보다도 크게하고, 요홈 (6) 의 역 L 자형 접속 핀의 받침대형 단면 부분을 수용하는 부분에서의 비어 있는 부분의 측면 부위에서의 폭을 적어도 역 L 자형 접속 핀의 받침대형 단면의 저변의 길이보다도 작게 하며, 그리고 플러그 부재 (1) 의 L 자형 접속 핀 (4) 의 적어도 역 L 자형 접속 핀에 접합하는 측의 부분의 폭을 요홈 (6) 의 폭보다 작게 함으로써, 각 L 자형 접속 핀 (4) 을 대응하는 각 요홈 (6) 내에 안내하여 역 L 자형 접속 핀 (7) 에 보다 더 확실하게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마찬가지로 역 L 자형 접속 핀 (7) 이 요홈 (6) 으로 부터 변위 또는 유리되어 버리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3)

  1. 총체적으로 가늘고 긴 직방체 형상의 돌기부를 지니고, 당해 돌기부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한쪽의 측면에 소정의 이간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탄성을 지니는 총체적으로 L 자형의 접속 핀을 구비하며, 그리고 당해 L 자형 접속 핀의 각 수평 방향 단부를 프린트 기판의 회로에 각각 접속하여 고정하는 플러그 부재와,
    상기 플러그 부재의 돌기부를 착탈이 자유롭게 수용하는 비어 있는 부분을 지니고, 상기 비어 있는 부분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한쪽의 측면에 소정의 이간 간격으로 형성된 요홈에 각각 수용되며 상기 플러그 부재의 각 L 자형 접속 핀의 수직 부분과 계합 및 착탈이 자유롭게 접속하기 위한 수직 부분을 각각 지니는 복수의 역 L 자형의 접속 핀을 구비하고, 당해 역 L 자형 접속 핀의 각 수평 방향 단부를 다른 프린트 기판의 회로에 각각 접속하여 고정하는 리셉터클 부재
    로 구성된 다심기판쌍 기판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부재의 역 L 자형 접속 핀의 수직 부분은 적어도 그의 수직 방향 단부에서 요홈의 저면에 접면하는 측을 저변으로 하는 총체적으로 받침대형의 단면 형상을 각각 지니며, 상기 리셉터클 부재의 요홈의 적어도 역 L 자형 접속 핀의 받침대형 단면 부분을 수용하는 부분은 당해 받침대형 단면 형상에 대응한 단면 형상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부재에 형성되는 요홈의 깊이는 역 L 자형 접속 핀의 받침대형 단면의 높이를 넘지 않도록 선정되며, 요홈의 역 L 자형 접속 핀의 받침대형 단면 부분을 수용하는 부분에서의 비어 있는 부분의 측면 부위에서의 폭은 적어도 역 L 자형 접속 핀의 받침대형 단면의 저변의 길이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부재에 형성되는 요홈의 깊이는 역 L 자형 접속 핀의 받침대형 단면의 높이보다도 크게 하며, 요홈의 역 L 자형 접속 핀의 받침대형 단면 부분을 수용하는 부분에서의 비어 있는 부분의 측면 부위에서의 폭은 적어도 역 L 자형 접속 핀의 받침대형 단면의 저변의 길이보다도 작게 하고, 상기 플러그 부재의 L 자형 접속 핀의 적어도 역 L 자형 접속 핀에 접합하는 측의 부분의 폭은 요홈의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19980008205A 1998-01-05 1998-03-12 다심기판쌍 기판커넥터 KR1002785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0015198A JP3380849B2 (ja) 1997-02-06 1998-01-05 処理レート算出方法
JP151/1998 1998-01-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6675A true KR19990066675A (ko) 1999-08-16
KR100278506B1 KR100278506B1 (ko) 2001-01-15

Family

ID=11466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8205A KR100278506B1 (ko) 1998-01-05 1998-03-12 다심기판쌍 기판커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278506B1 (ko)
TW (1) TW407386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647B1 (ko) * 2012-08-07 2014-06-03 교우세라 커넥터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KR101488266B1 (ko) * 2013-08-06 2015-01-30 주식회사 유니드 착탈형 전기 접속 구조와 이를 구비한 전기 접속용 커넥터, 반도체 패키지 조립체 및 전자기기
WO2016117760A1 (ko) * 2015-01-22 2016-07-28 주식회사 유니드 착탈형 전기 접속 구조와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WO2016117761A1 (ko) * 2015-01-22 2016-07-28 주식회사 유니드 전기 접속 구조의 제조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647B1 (ko) * 2012-08-07 2014-06-03 교우세라 커넥터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KR101488266B1 (ko) * 2013-08-06 2015-01-30 주식회사 유니드 착탈형 전기 접속 구조와 이를 구비한 전기 접속용 커넥터, 반도체 패키지 조립체 및 전자기기
WO2015020258A1 (ko) * 2013-08-06 2015-02-12 주식회사 유니드 착탈형 전기 접속 구조와 이를 구비한 전기 접속용 커넥터, 반도체 패키지 조립체 및 전자기기
US9601842B2 (en) 2013-08-06 2017-03-21 Unid Co., Ltd. Connecting unit having a column with a plurality of planar elastic fins extending from the column
EP3032655A4 (en) * 2013-08-06 2017-08-30 Unid Co., Ltd. Separable electrical connecting structure and connector for electrical connection which includes same, semiconductor package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WO2016117760A1 (ko) * 2015-01-22 2016-07-28 주식회사 유니드 착탈형 전기 접속 구조와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WO2016117761A1 (ko) * 2015-01-22 2016-07-28 주식회사 유니드 전기 접속 구조의 제조 방법
KR20160090548A (ko) * 2015-01-22 2016-08-01 주식회사 유니드 착탈형 전기 접속 구조와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07386B (en) 2000-10-01
KR100278506B1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7973B1 (ko) 미세피치 고밀도 고속 직교형 카드 에지 커넥터
US3466591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printed-circuit boards
US5961347A (en) Micro connector
JP4592462B2 (ja) 基板接続用コネクタ
JP3452662B2 (ja) 基板用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保持装置
KR950012475B1 (ko) 인쇄 기판의 가장자리를 안에 수평으로 내장 및 유지시키기 위한 기판 가장자리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77069A (ko) 전기 커넥터
JP2007128876A (ja) 電気コネクタ
US3631380A (en) Universal circuit board connector
KR100621392B1 (ko) 간단한 구조의 소형 커넥터
JP4623735B2 (ja) コネクタ
US6053757A (en) Printed circuit board edge card connector having two non-redundant rows of contacts
JP4102747B2 (ja) コネクタ
KR960016024A (ko) 표면실장형 컨넥터 및 그 전기 콘택트
KR100278506B1 (ko) 다심기판쌍 기판커넥터
KR101049007B1 (ko) 커넥터
US3894784A (en) Plug connector for a printed circuit board
JP4758465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KR950024377A (ko) 회로기판용 전기 커넥터
JP2007157408A (ja) コネクタ
KR940004436Y1 (ko) 다극코넥터
KR100303412B1 (ko) 프린트기판용커넥터
JP4498890B2 (ja) 一対のヘッダーコンタクト及びこれを用いたヘッダーコネクタ
JP3050420U (ja) 多芯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2000100501A (ja)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