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6062A - 소형 줌렌즈 - Google Patents

소형 줌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6062A
KR19990066062A KR1019980001680A KR19980001680A KR19990066062A KR 19990066062 A KR19990066062 A KR 19990066062A KR 1019980001680 A KR1019980001680 A KR 1019980001680A KR 19980001680 A KR19980001680 A KR 19980001680A KR 19990066062 A KR19990066062 A KR 19990066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group
lens
object side
refractive power
zoom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1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범
Original Assignee
유무성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무성,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무성
Priority to KR1019980001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66062A/ko
Publication of KR19990066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6062A/ko

Links

Landscapes

  • Lense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소형 줌렌즈에 관한 것으로서, 물체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정의 굴절력을 가진 제1 렌즈군과, 부의 굴절력을 가진 제2 렌즈군으로 이루어져있고,양 렌즈군의 간격을 가변시켜 변배를 수행하는 소형의 줌렌즈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군은 3매, 제2 렌즈군은 1매로 구성하고 상기 제1 렌즈군과 제2 렌즈군 사이에 조리개를 위치시키며, 상기 제1 렌즈군을 구성하는 3매의 렌즈중 적어도 1매 이하의 비구면을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2.2이하 정도의 변배비를 유지하면서 전체 변배 범위에서 양호한 광학 성능을 가지고, 소형화, 간소화에 적합하다.

Description

소형 줌렌즈
이 발명은 소형 줌렌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 말하자면, 렌즈셔터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등에 적합한 2개의 렌즈군으로 소형, 경량화 및 원가 절감을 위해 적은 수의 렌즈 매수로 양호한 성능을 지닌 소형 줌렌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카메라 특히, 렌즈 셔터 카메라나 비디오 카메라는 소형 경량화 추세이며, 그에 따라 카메라에 장착되는 렌즈 또한 소형화 및 경량화가 진행중이다.
상기와 같은 줌렌즈는 2군 형식과 3군 형식이 있다.
그중 상기 2군 형식의 줌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 렌즈군과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 렌즈군으로 구성되고, 제1 렌즈군과 제2 렌즈군의 간격을 가변시킴으로써 변배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2군 형식의 줌렌즈는 순차적으로 정과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렌즈를 채용하여 제1 렌즈군에 2매 제2 렌즈군에 2매 또는, 제1 렌즈군에 3매 제2 렌즈군에 1매의 구성으로 전체 렌즈매수를 4매로 하면서 소형, 경량화를 이루는 동시에 렌즈 전장도 짧게 하며 양호한 광학 성능을 가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2군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은 1)일본특허출원 평 6-18783호, 2)일본특허출원 평 3-185412호, 3)일본특허출원 평 1-307714호, 4)일본특허출원 평2-181110호, 5)일본특허출원 평 3-172813호, 6)미국특허출원 5218478호, 7)미국특허출원 4815830호, 8)미국특허출원 5327290호 등이 있다.
그리고, 상기 종래 기술외에도 일본특허출원 소 62-251710호가 있는데, 상기 특허는 제1 렌즈군을 3매, 제2 렌즈군을 2매로 구성하여 1.5배정도의 간소한 구성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2군 줌렌즈는 렌즈계 전체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하면서 동시에 1.4배이상 정도의 변배비를 가지고 동시에 전 변배 범위에서 양호한 광학성능을 얻기 위해서 각 렌즈군의 렌즈구성을 적절하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특히, 렌즈 구성의 간소화는 소정의 변배비나 촬영화각을 확보하고 변배에 따른 각종 수차의 증대를 야기시킴으로써, 적절한 렌즈 구성은 더 요구된다.
따라서, 이 발명의 종래의 요구를 실현하기 위한 것으로서, 2군 줌렌즈에서 통상의 균질렌즈를 사용하고 렌즈의 적절한 구성을 통하여 소정의 변배비를 유지하면서 전체 변배 범위에서 양호한 성능을 가진 간소한 구성의 줌렌즈를 제공한다.
도 1의 (a)와 (b)는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형 줌렌즈의 렌즈 구성도이고,
도 2의 (a)와 (b)는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형 줌렌즈의 렌즈 구성도이고,
도 3은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형 줌렌즈의 광각단에서의 수차도이고,
도 4는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다른 소형 줌렌즈의 망원단에서의 수차도이고,
도 5는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형 줌렌즈의 광각단에서의 수차도이고,
도 6은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다른 소형 줌렌즈의 망원단에서의 수차도이고,
도 7은 이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소형 줌렌즈의 광각단에서의 수차도이고,
도 8은 이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다른 소형 줌렌즈의 망원단에서의 수차도이고,
도 9는 이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소형 줌렌즈의 광각단에서의 수차도이고,
도 10은 이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다른 소형 줌렌즈의 망원단에서의 수차도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이 발명의 구성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정의 굴절력을 가진 제1 렌즈군과, 부의 굴절력을 가진 제2 렌즈군으로 이루어져, 양 렌즈군의 간격을 가변시켜 변배를 수행하는 소형의 줌렌즈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군은 3매, 제2 렌즈군은 1매로 구성하고 상기 제1 렌즈군과 제2 렌즈군 사이에 조리개를 위치시키며, 상기 제1 렌즈군을 구성하는 3매의 렌즈중 적어도 1매이하의 렌즈에 비구면을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한다.
(조건식 1)
ν21≺1.6
(조건식 2)
0≺ν1121
(조건식 3)
R1≻0 , , n13≺1.83
(조건식 4)
(조건식 5)
상기 조건식에 있어서,
ν11 은 제1 렌즈군에서 물체측으로부터 첫번째 렌즈의 분산치이고,
ν21 는 제2 렌즈군의 분산치이고,
n13 은 제1렌즈군에서 물체측으로부터 세 번째 렌즈의 굴절률이고,
R1은 물체측으로부터 제1 렌즈군의 제1 면 곡률 반경이고,
R2는 물체측으로부터 제1 렌즈군의 제2 면 곡률 반경이고,
fT 는 망원단의 초점거리이고,
fW 는 광각단의 초점거리이고,
f1 은 제1 렌즈군의 초점거리이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의 (a)와 (b)는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형 줌렌즈의 렌즈 구성도이다.
첨부한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양측으로 볼록한 정의 굴절력의 제1 렌즈(11)와 제3 렌즈(13)와 양측으로 오목한 부의 굴절력의 제2 렌즈(12)로 이루어지면서 전체적으로 정의 굴절력을 가진 제1 렌즈군(1)과, 1매의 렌즈로 구성되어 물체측으로 오목한 부의 굴절력을 가진 제2 렌즈군(2)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1 렌즈군(1)과 상기 제2 렌즈군(2) 사이에 광량을 조절하는 조리개(3)를 위치시키고 제2 렌즈군(2)을 상측으로부터 물체측으로 이동시켜 변배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2 렌즈군(2)의 물체측면이 비구면이다.
도 2의 (a)와 (b)는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형 줌렌즈의 렌즈 구성도이다.
첨부한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줌렌즈는,
상기 제1 실시예의 구성과 전체적으로 동일하나, 상기 제2 렌즈군(20)이 양측으로 오목한 부의 굴절력을 가지고 물체측면이 비구면이며, 상기 제1 렌즈군(1)의 제1 렌즈(11)의 물체측면이 비구면인 것이 상기 제1 실시예와 다르다.
상기와 같이 전체 구성 렌즈 매수를 4매로 하고 상기와 같이 구성하면, 이 발명의 줌렌즈는 2배 정도의 줌비를 갖고 양호한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성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상기 조건식을 만족하여야 한다.
특히 본 발명과 같이 렌즈 구성 매수가 5매 미만일 경우에는 코마 수차 및 비점수차 그리고, 상면만곡을 보정하기 어려워지므로, 상기 조건식 1과 조건식 3을 기본적으로 만족하여야 한다.
조건식 1과 조건식 2는 은 상기 제1 렌즈군(1)이 3매이고 상기 제2 렌즈군(2)이 1매인 구성에서의 조건식으로서, 저가의 소재와 기구적인 현합성을 용이하게 하면서 전장의 단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조건식 1과 더불어 조건식 2의 변수값이 조건 범위를 벗어나면 색수차만의 보정은 가능하나 전체적인 수차 밸런스(balance)를 유지하면서 색수차를 보정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조건식 3∼조건식 5는 4매의 렌즈로 구성된 2군 줌렌즈에 적용되어 이 발명의 목적을 만족시키기 위한 조건식이다.
조건식 3은 제품실용화를 위해 전체 변배범위에서 수차특성을 용이하게 하고 좋은 가공성 및 현합성에 반드시 요구되고, 또한 구면 수차 특성 및 컴팩트 줌 카메라에서 요구되는 정도의 주변광량을 얻을 수 있게 하며, 소형 경향화의 달성을 위해 요구되는 전장의 단축을 가능하게 하는 식이다.
따라서, 조건식 3의 변수값이 조건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에서 언급한 조건식 3의 목적 달성이 어려워진다.
조건식 4는 줌배율에 대한 식으로서, 변수값이 하한값을 초과하면 줌카메라의 특징을 살리기 어렵고, 상한값을 초과하면 전체 변배 범위에 대해 좋은 수차 특성을 유지하기 어려워진다.
조건식 5는 소재 가격을 줄이고 더불어 전장을 줄여 소형 컴팩트를 달성하기 위한 식으로, 변수값이 조건 범위를 초과하면 소형 컴팩트화가 어려워진다.
이하, 상기 조건식1∼조건식 5를 만족하여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값을 설명한다.
그러기 위해서 여기서 실시예에 나오는 비구면을 다음의 수학식으로 정의한다.
X : 렌즈의 정점부터 광축 방향으로의 거리
y : 광축에 수직 방향으로의 거리
c : 렌즈의 정점에 있어서의 곡률 반경의 역수
k : 코닉(Conic) 상수
A4,A6,A8,A10 :비구면 계수
우선,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실시예값은 다음의 <표 1>과 같다.
상기 <표 1>에 있어서, 화각은 56.07。∼47.46。∼40.84。이고, 조리개치는 5.3∼6.56∼7.83이고, 초점거리는 39.1342∼48.4487∼57.8355이며, '*' 표시된 면은 비구면을 나타내고, R(i=1∼9)은 굴절면의 곡률 반경, D는 렌즈의 두께 및 렌즈간의 거리, ND은 렌즈의 d-라인(line) 굴절률, V는 렌즈의 아베수이다.
면 번 호 곡률반경(R) 두께 및 거리(D) 굴 절 률(ND) 아 베 수(V)
1 8.15600 2.5100 1.48749 70.44
2 -422.29500 0.2900
3 -22.05900 0.8000 1.80610 33.27
4 9.60500 2.4300
5 22.64100 3.1800 1.62004 36.30
6 -11.73900 1.4000
7 0.00000 A
8* -16.05200 1.2000 1.58547 29.90
9 -94.32700 B
상기 <표 1>에서, A 와 B는 변배시 가변되는 렌즈간의 거리로서, 다음의 <표 2>와 같다.
초점 거리 39.1342(광각단) 48.4487(중간단) 57.8355(망원단)
A 17.452 12.895 9.788
B 12.429 23.512 34.680
그리고, 제8 면의 비구면 계수는 다음의 <표 3>과 같다.
K(코닉 상수) 비구면계수A4 비구면계수A6 비구면계수A8 비구면계수A10
R8 -0.4852615117916E+00 -0.6107141628086E-05 -0.1099929692662E-05 0.1664731777773E-07 -0.1014365223255E-09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실시예값은 다음의 <표 4>와 같다.
상기 <표 4>에서, 화각은 56.27。∼48.21。∼40.72。이고, 조리개치는 5.8∼7.01∼8.55이고, 초점거리는 39.1264∼47.2826∼57.7084이다.
면 번 호 곡률반경(R) 두께 및 거리(D) 굴 절 률(ND) 아 베 수(V)
1 8.80900 2.2200 1.51680 64.20
2 -177.12200 0.3000
3 -20.06300 0.8500 1.80610 40.73
4 11.30900 1.9800
5 32.57600 3.3000 1.65844 50.85
6 -12.05400 1.5800
7 0.00000 A
8* -14.83300 1.3500 1.49176 57.45
9 -190.00000 B
상기 <표 4>에서, A 와 B는 변배시 가변되는 렌즈간의 거리로서, 다음의 <표 5>와 같다.
초점 거리 39.1264(광각단) 47.2826(중간단) 57.7084(망원단)
A 16.538 12.527 9.051
B 12.486 22.132 34.462
그리고, 제8 면의 비구면 계수는 다음의 <표 6>과 같다.
K(코닉 상수) 비구면계수A4 비구면계수A6 비구면계수A8 비구면계수A10
R8 -0.3840161105586E+00 0.2108231481449E-04 -0.1986017057168E-05 0.3548321250033E-07 -0.2197512099460E-09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3 실시예값은 다음의 <표 7>와 같다.
상기 <표 7>에서 화각은 55.83。∼48.59。∼40.74。이고, 조리개치는 4.9∼5.83∼7.21이고, 초점거리는 39.1802∼46.5747∼57.6059이다.
면 번 호 곡률반경(R) 두께 및 거리(D) 굴 절 률(ND) 아 베 수(V)
1 8.80247 1.7155 1.53172 48.84
2 -71.42857 0.3961
3 -20.06362 0.8000 1.83400 37.34
4 11.35556 2.4848
5 40.31792 3.2838 1.65844 50.85
6 -11.92608 1.4000
7 0.00000 A
8* -15.04886 1.2000 1.49176 57.45
9 -1987.41150 B
상기 <표 7>에서, A 와 B는 변배시 가변되는 렌즈간의 거리로서, 다음의 <표 8>와 같다.
초점 거리 39.1802(광각단) 46.5747(중간단) 57.6095(망원단)
A 17.247 13.827 10.356
B 12.507 21.588 33.278
그리고, 제8 면의 비구면 계수는 다음의 <표 9>과 같다.
K(코닉 상수) 비구면계수A4 비구면계수A6 비구면계수A8 비구면계수A10
R8 -0.2598820361414E+00 0.5738825932164E-04 -0.3196364834408E-05 0.5189157957377E-07 -0.2948355199043E-09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값은 다음의 <표 10>과 같다.
상기 <표 10>에서 화각은 56.61。∼39.77。∼30.44。이고, 조리개치는 4.8∼7.38∼9.86이고, 초점거리는 38.6533∼59.4182∼79.4085이다.
면 번 호 곡률반경(R) 두께 및 거리(D) 굴 절 률(ND) 아 베 수(V)
1* 45.12069 3.4420 1.51680 64.20
2 -18.39910 0.2000
3 -22.85255 0.8000 1.80610 40.73
4 20.62005 3.2139
5 158.27011 3.3000 1.56883 56.04
6 -9.95325 1.7000
7 0.00000 A
8* -19.87736 1.2000 1.49176 57.45
9 56.99603 B
상기 <표 10>에서, A 와 B는 변배시 가변되는 렌즈간의 거리로서, 다음의 <표 11>와 같다.
초점 거리 38.6533(광각단) 59.4182(중간단) 79.4085(망원단)
A 21.826 14.231 10.676
B 10.549 32.552 53.734
그리고, 제8 면의 비구면 계수는 다음의 <표 12>과 같다.
K(코닉 상수) 비구면계수A4 비구면계수A6 비구면계수A8 비구면계수A10
R1 -0.2082810622704E+02 -0.2415672490746E-03 -0.6127302492662E-06 0.6106848581007E-07 -0.9699169369803E-09
R8 -0.9379033881111E+00 0.4012494762458E-04 -0.7824020956760E-06 0.6102744153044E-08 -0.2045000352747E-10
상기한 실시예값에 따른 이 발명의 조건식의 변수값은 다음의 <표 13>과 같다.
수 식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조건식 1 n13 1.62004 1.65844 1.56883
조건식 2 ν12 40.54 6.7 6.75
조건식 3 R1 8.156 8.809 8.802 45.121
R2/R1 -51.775 -20.107 -8.115 -0.408
조건식 4 fT/fW 1.470 1.474 1.470 2.504
조건식 5 f1/fW 0.42 0.422 0.379 0.666
이 발명은 2.2이하 정도의 변배비를 유지하면서 전체 변배 범위에서 양호한 광학 성능을 가지고, 소형화, 간소화에 적합하다.

Claims (2)

  1. 물체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정의 굴절력을 가진 제1 렌즈군과, 부의 굴절력을 가진 제2 렌즈군으로 이루어져있고, 양 렌즈군의 간격을 가변시킴으로써 변배를 수행하는 소형의 줌렌즈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군은 3매, 제2 렌즈군은 1매로 구성하고 상기 제1 렌즈군과 제2 렌즈군 사이에 조리개를 위치시키며, 상기 제1 렌즈군을 구성하는 3매의 렌즈중 적어도 1매이하의 렌즈에 비구면을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소형 줌렌즈
    0≺ν1121 , ν21≺1.6
    상기에서 ν11 은 제1 렌즈군에서 물체측으로부터 첫 번째 렌즈의 분산치
    ν21 는 제2 렌즈군의 분산치
  2. 물체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정의 굴절력을 가진 제1 렌즈군과, 부의 굴절력을 가진 제2 렌즈군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총 매수가 4매이고 양 렌즈군의 간격을 변화시켜 변배를 수행하는 하며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소형 줌렌즈
    R1≻0 , , n13≺1.83
    상기에서, R1은 물체측으로부터 제1 렌즈군의 제1 면 곡률 반경이고,
    R2는 물체측으로부터 제1 렌즈군의 제2 면 곡률 반경이고,
    n13 은 제1렌즈군에서 물체측으로부터 세 번째 렌즈의 굴절률이고,
    상기에서, fT 는 망원단의 초점거리이고,
    fW 는 광각단의 초점거리이다.
    상기에서, f1 은 제1 렌즈군의 초점거리이다.
KR1019980001680A 1998-01-21 1998-01-21 소형 줌렌즈 KR199900660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1680A KR19990066062A (ko) 1998-01-21 1998-01-21 소형 줌렌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1680A KR19990066062A (ko) 1998-01-21 1998-01-21 소형 줌렌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6062A true KR19990066062A (ko) 1999-08-16

Family

ID=65892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1680A KR19990066062A (ko) 1998-01-21 1998-01-21 소형 줌렌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6606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1795A1 (ko) * 2017-05-30 2018-12-06 학교법인 한동대학교 주밍기구가 포함된 빔 균질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1795A1 (ko) * 2017-05-30 2018-12-06 학교법인 한동대학교 주밍기구가 포함된 빔 균질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88169A (en) Wide-angle zoom lens
US7180684B1 (en) Zoom optical system
GB2260826A (en) Three group zoom lens having aspheric surface(s)
US6762887B2 (en) Wide-angle zoom lens
JPH0527166A (ja) 2群ズームレンズ
JPS6161656B2 (ko)
JP3245452B2 (ja) 小型の3群ズームレンズ
JP4951915B2 (ja) ズームレンズ
KR100256207B1 (ko) 줌렌즈
JPH06130298A (ja) コンパクトなズームレンズ
JP4799210B2 (ja) ズームレンズ系及びそれを備えたカメラシステム
US6906869B2 (en) Zoom optical system and camera comprising the same
US6396643B1 (en) Zoom lens
JPH05224123A (ja) 望遠ズームレンズ
JPH07104183A (ja) 明るいトリプレットレンズ
JPS60191217A (ja) 小型のズ−ムレンズ
JP4799209B2 (ja) ズームレンズ系及びそれを備えたカメラシステム
JP4333151B2 (ja) ズームレンズ
KR100272336B1 (ko) 고배율 줌렌즈
JP2004258516A (ja) ズームレンズ
US6751028B1 (en) Zoom lens and optical apparatus using the same
JP4725156B2 (ja) ワイドコンバータ
KR19990066062A (ko) 소형 줌렌즈
KR100458547B1 (ko) 줌렌즈
JPH06265787A (ja) コンパクトなズームレン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