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4184A - 오수의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오수의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4184A
KR19990064184A KR1019980702665A KR19980702665A KR19990064184A KR 19990064184 A KR19990064184 A KR 19990064184A KR 1019980702665 A KR1019980702665 A KR 1019980702665A KR 19980702665 A KR19980702665 A KR 19980702665A KR 19990064184 A KR19990064184 A KR 199900641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logical
sewage
reaction vessel
oxygen
b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2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7025B1 (ko
Inventor
프리드리히 시이프만
Original Assignee
이스코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스코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이스코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19990064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4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7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70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G01N33/1886Water using probes, e.g. submersible probes, buo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G01N33/1806Biological oxygen demand [BOD] or chemical oxygen demand [CO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5/00Chemistry: molecular biology and microbiology
    • Y10S435/817Enzyme or microbe electrod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ctivated Sludge Processe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Food Preservation Except Freezing, Refrigeration, And Drying (AREA)

Abstract

오수의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오수 샘플을 생물학적 욕(2)이 교반기에 의하여 와류상태로 유동하는 반응 용기(1)내에 주입하고 산소 프로브(8)를 이용하여 단위 시간 당 산소 소비량을 측정한다.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은 반응 용기(1)내의 오수 샘플과 희석수 사이의 희석비 및 단위 시간 당 산소 소비량으로부터 결정된다. 매 측정 사이클 후에는 뒤 이은 측정 사이클을 위하여 반응 용기(1)를 희석수로 세척한다. 측정시는 반응 용기(1)를 측정할 오수속으로 삽입하면 오수 샘플이 개구(12)를 통해 반응 용기(1)내로 유입되도록 되었다.

Description

오수의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BOD)은 생물학적으로 분해되는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때문에 오수의 오염도를 표시하는 중요한 특성값으로 알려졌다. 오염도를 측정하기 위한 공지된 방법에서는 공통적으로 통상적으로 표면 성장체에 서식하는 호기성 미생물로 이루어진 바이오매스가 검사할 생물학적 욕에서 오수 또는 오수의 희석수에 의해 자양된다. 생물학적 반응으로 인해 나타나는 산소의 소비는 생물학적 욕의 산소 농도를 감소시키므로, 산소 농도를 측정하여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 및 그에 따라 검사할 오수의 오염도를 결정할수 있다.
종래의 장시간을 요구하는 방법에 비해 BOD-측정이 신속하게 이루어 지도록 개량된 유럽 특허 제 0 049 887호의 방법에서는, 검사할 오수의 샘플이 생물학적 욕내로 연속적으로 유입되기 전에 정하여진 비율로 오수 샘플이 희석되도록 일정량의 희석수를 욕 내로 주입하게 되었다. 이 방법에서는 오수 샘플 흐름이 생물학적 욕내로 유입되기 전에 산소농도를 측정하고 생물학적 욕으로부터 배출된 후에 또 한번 산소 농도를 측정한다. 측정값의 차는 희석률의 변동에 의해 미리 주어진 값으로 일정하게 조절된다. 상기 희석률은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충분한 반응 속도가 나타나도록 하기 위하여 생물학적 용액을 포함하는 액체를 연속적으로 재펌핑함으로써 생물학적 욕내에서 바이오매스의 와류 순환이 이루어 지도록 하여야 한다.
상기 공지된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는 샘플 흐름 및 희석수의 공급을 정량적으로 조절하여야 하므로 비교적 복잡하게 구성되었다. 또한, 산소 농도의 측정이 2개의 장소에서 이루어져야 하고, 생물학적 욕으로부터 액체를 재펌핑하기 위해서 부가의 펌프를 필요로 하였다.
본 발명은 오수 샘플을 생물학적으로 중성인 희석수와 미리 주어진 희석 비율로 혼합하고, 생물학적 욕(bath)에서 미리 주어진 바이오매스와 희석된 오수 샘플의 생물학적 반응을 기초로 세팅되는 산소 농도를 측정하는 방식으로된 오수의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BOD)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오수의 생물학적 요구량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비용이 적게 드는 간단한 장치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작업할수 있는 생물학적 산소요구량 측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미리 주어진 양의 오수 샘플을 산소로 포화된 희석수로 채워진 생물학적 욕에 불연속적으로 첨가하여 혼합하고, 세팅된 단위 시간 당 산소 소비량을 측정하며, 생물학적 욕를 희석수로 세척하도록 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방법은 불연속적으로 실시되며 -하나 또는 다수의 측정 사이클에 의해 수행되는 작업 조건의 보정 후에- 매 측정 사이클 마다 검사된 오수의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의 측정값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액체의 이송은 매 측정 사이클 동안 오수 샘플을 생물학적 욕내로 주입하고, 측정이 이루어진 후에 생물학적 욕내의 생물학적으로 분해 가능한 물질의 함량이 무시될 수 있을 정도로 작아질 때까지 상기 욕을 희석수로 세척할때만 필요하다. 이 경우, 희석수는 주입량을 측정함이 없이 공급되어도 되므로, 희석수용 정량 펌프가 필요없다. 따라서 희석수 공급 라인은 물 공급 라인에 접속되기만 하면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오수량을 측정하여 첨가하기 위해 불연속적으로 작동하는 간단한 양변위 펌프만 있으면 된다. 따라서, 본 방법은 설비비용이 매우 적게 들며, 간단하고 신속하게 작업할수 있으며 충분히 높은 측정 정확도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매 사이클 동안 일정량의 오수 샘플 첨가에 의해 생물학적 욕내에 일정한 희석률이 세팅되고, 세팅된 단위 시간 당 산소 소비량 및 희석률로부터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이 결정된다. 일정한 희석률은 매 사이클 동안 동일한 오수량이 생물학적 욕내로 첨가되는 방식으로 매우 간단히 얻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매 사이클 동안 첨가되는 오수 샘플의 양을 측정하고 생물학적 욕에 대한 단위 시간 당 미리 주어진 일정한 산소 소비량을 세팅하고, 선택된 희석률로부터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을 결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장치에도 관계된다. 본 발명의 장치는 생물학적 욕를 수용하는 반응 용기, 오수 샘플용 정량 공급장치, 희석수 공급장치, 생물학적 욕의 산소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및 생물학적 욕을 위한 순환장치를 포함하는 공지된 장치(유럽 특허 제 0 049 887호)에 있어서, 반응 용기가 밀폐된 용기이고, 상기 용기내로 희석수용 공급 라인이 연결되었으며, 단위 시간 당 산소 소비량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는 반응 용기내에 설치된 산소 프로브를 포함하고, 반응 용기가 오수 샘플용 공급구와 생물학적 욕을 세척할 때 배출구 겸용으로 사용되는 개구를 통해 검사할 오수와 접속되도록 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학적 산소요구량 측정장치로 구성된다.
이 경우, 오수가 흐르기 때문에 오염될 수 있는 라인은 완전히 생략된다. 액체가 흐르는 시스템은 그 안에서 이루어지는 생물학적 반응 및 세척 공정으로 인해 거의 유지 관리없이 작동될 수 있는 밀폐된 반응 용기로만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반응 용기에 검사할 오수내로 삽입되는 프로브 헤드가 설치된다. 장치는 매우 작은 장소를 필요로 하고 간단한 방식이므로 다양한 측정 장소에서 사용할수 있으며, 프로브 헤드를 검사할 오수내로 담그기만 하면 된다.
측정 공정을 위해 필요한 모든 장치는 프로브 베이스에 설치할수 있다. 프로브 헤드로 구성된 반응 용기는 상기 프로브 베이스에 밀봉 결합된다. 검사할 오수내에 삽입된 측정 프로브는 희석수용 공급 라인, 펌프 구동 및 교반기 구동용 전기 에너지 공급 라인 및 측정 및 제어 라인을 통해서 평가 장치를 포함하는 중앙 유니트에 접속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청구범위의 종속항에 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원통형의, 폐쇄된 반응 용기(1)내에는 생물학적 욕(2)이 배치된다. 상기 생물학적 욕(2)은 자유로이 이동 가능한 표면 성장체(3)를 포함한다. 예를들면, 작은 중공 실린더로서 구성되는 표면 성장체(3)는 바이오매스를 형성하는 호기성 미생물용 성장 표면을 갖고 있다. 상기 바이오매스는 용해된 산소를 소비하면서 생물학적으로 분해 가능한 물질을 분해시킨다.
반응 용기(1)는 프로브 베이스(4)에 밀봉되게 결합되고 검사할 오수(5)내에 삽입된다.
프로브 베이스(4)에는 교반기(6)의 샤프트가 지지되었으며, 교반기(6)는 전동기(7)에 의해 구동되고 생물학적 욕(2)을 계속적으로 와류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회동되게 되었다. 반응 용기(1)내로 돌출한 교반기(6)는 생물학적 욕(2)의 순환 방향을 결정한다.
프로브 베이스(4)에는 산소 프로브(8)가 설치되었다. 산소 프로브(8)는 생물학적 욕(2)에서 단위 시간 당 산소 소비량을 측정하여 상기 측정값을 중앙 제어장치(9)로 공급한다. 제어장치(9)에 의해 작동되는 밸브가 배치된 물 공급 라인(10)을 통하여 산소로 포화된 희석수가 반응 용기(1)내로 공급될 수 있게 되었다.
반응 용기(1)는 하부 영역에 개구(12)를 갖고 있으며, 상기 개구(12)는 오수 샘플용 공급구로서 그리고 생물학적 욕(2)의 세척시 배출구로서 사용된다. 개구(12)를 통해 생물학적 욕(2)은 오수(5)와 접촉한다.
오수 샘플의 공급을 위한 측정 공급 장치로서는 반응 용기(1)에 연결되도록 프로브 베이스(4)에 설치된 양변위 흡입 펌프(13)가 사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 펌프(13)는 흡입 피스톤(14)을 포함하고, 흡입 피스톤의 실린더(15)는 반응 용기(1)에 고정되었다. 흡입 펌프(13)는 제어장치(9)에 의해 전류를 공급받는 전동기(16)에 의하여 구동된다.
예를들면 하나의 측정 사이클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표면 성장체(3)는 생물학적 욕(2)에서 교반기(6)에 의해 와류 운동을 한다. 매 측정 사이클은 밸브(11)를 개방시켜 라인(10)으로 공급하는 산소- 포화 희석수로 반응 용기(1)를 세척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라인(10)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반응 용기(1)의 상부로 유입되고 반응용기내의 물은 반응 용기(1)의 하부에 있는 개구(12)를 통해 반응 용기(1)로부터 배출된다.
세척 공정이 완료되고 이전의 측정 사이클에서 형성된 반응 용기(1)내의 물 혼합물이 배출된후, 흡입 피스톤(14)의 상승 운동에 의해 일정하게 미리 주어진 량의 오수가 개구(12)를 통해 반응 용기(1)내로 흡입된다. 상기 오수 첨가에 의해 생물학적 욕(2)에 희석수와 오수로 이루어진 자양물이 생긴다. 상기 자양물은 바이오 매스로 사용된다. 흡입 피스톤(14)이 하부 출발위치로 되돌아 가면, 실린더(15)의 내부 공간에는 충분히 혼합되지 않은 액체가 남아 있지 않게 된다. 흡입 피스톤(14) 대신에 양변위 펌프가 사용될 수도 있다.
희석률, 즉 흡입된 오수 샘플의 양과 반응 용기(1) 체적의 비는 혼합물의 BOD-농도가 BOD-농도와 바이오매스에 의해 소모된 산소량 사이에 선형 관계가 생기는 범위에 놓이도록 선택된다. 상기 관계는 유럽 특허 제 0 049 887호에 기재된 미카엘리스 등식에 알려져 있다.
일정한 희석률 및 산소 프로브(8)에 의해 측정된 산소 농도로부터 결정되는 단위 시간 당 산소 소비량은 중앙 제어장치(9)내의 평가 컴퓨터에서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결정된 BOD는 디스플레이 장치(17)에 디스플레이되고 경우에 따라 기록된다.
측정을 실시한 후에, 반응 용기(1)는 다음의 측정 사이클에 이용할수 있도록 전술한 방식으로 라인(10)을 통하여 공급되는 희석수로 세척한다. 측정은 배치-방식으로 불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BOD를 계산하기 위한 다른 방법은 매 측정 사이클에서 혼합물의 BSD-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흡입된 오수 샘플의 양을 선택하는 것이다. 선행 측정은 후속 측정을 보정하는데 사용된다. 유기체의 산소 소비량은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하며, 제어 값으로서 사용된다. 여기서, 흡입 펌프(13)는 조절 가능한 정량 펌프로 구성되며, 흡입 피스톤(14)의 행정은 제어할수 있도록 되었다.
제어장치(9)의 평가 컴퓨터에서, 선택된 희석율로부터 BOD가 결정된다.
동일한 방식의 별도의 제2 측정 프로브를 사용하여 BOD와 더불어 동시에 오수의 독성도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는, 제1 측정 프로브를 전술한 방식으로 작동시켜 BOD를 측정하고, 제2 측정 프로브에서는 매 측정 사이클 동안 현저히 많은 량의 오수가 반응 용기(1)내로 흡입됨으로써 낮은 희석률이 세팅되면, 오수 중에 독성이 없는 경우 바이오매스의 최대 산소 소비량이 얻어진다. 제1 측정 프로브 중의 희석률은 오수에 독성이 있는 경우에도 독성에 의해 측정 프로브의 측정 결과가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선택된다. 이에 비해, 제2 측정 프로브의 희석률은 오수의 독성이 나타날 정도의 크기로 선택된다. 제2 측정 프로브에서 오수 및 희석수로 이루어진 혼합물의 BOD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제1 측정 프로브에서 보다 적어도 5배 더 크게 선택된다. 2개의 측정 프로브가 동일한 BOD-값을 나타내면 독성이 없는 것을 의미한다. 2개의 측정된 BOD-값의 차는 독성 정도를 나타낸다.
일정한 오수 생태의 산소 소비량은 정상적인 도시 오수의 경우 BOD와 관련해서 대략 25mg/l 까지 선형이다. 예를들면, 200ml 체적을 가진 BOD를 측정하기 위한 전술한 측정 프로브의 경우 25mg/l의 BOD 농도(Xm)에서 약 1mg O2/min의 산소 소비량(Ym)이 세팅된다. BOD 농도가 대략 제로에 이르면, 산소 소비량(Y0)이 약 0.12mg O2/min의 기본 호흡으로 세팅된다. 이러한 데이타로부터, 하기의 직선 등식이 얻어진다:
Y = Y0+m X
Y = 0 - 25mg BOD/l 생태의 O2소비량(mg/min).
상기 식에서, Y0는 0.12mg O2/min의 기본 호흡임.
상기 식으로부터 직선 등식의 상수 m 이 얻어진다:
상기 식으로부터 BOD-농도 Xm= 25mg BOD/l이 얻어진다.
1:20의 오수/희석수 비율에서 BOD-측정 프로브에 의해 0 - 500mg/l의 BOD-농도가 결정될 수 있다. BOD는 하기와 같이 계산된다:
BOD = , 상기 식에서 n은 희석수의 양이다.
수치예:
Y = 0.72mg O2/min
BOD =

Claims (9)

  1. 오수 샘플을 생물학적으로 중성인 희석수와 미리 주어진 희석 비율로 혼합하고, 생물학적 욕에서 미리 주어진 바이오매스와 희석된 오수 샘플의 생물학적 반응을 기초로 세팅되는 산소 농도를 생물학적 욕에서 측정하는 방식으로된 오수의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BOD)을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미리 주어진 양의 오수 샘플을 불연속적으로 산소로 포화된 희석수로 채워진 생물학적 욕에 첨가하여 혼합하고, 세팅된 단위 시간 당 산소 소비량을 측정하며, 사용된 생물학적 욕를 희석수로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매 사이클 동안 일정량의 오수 샘플 첨가에 의해 생물학적 욕내에 일정한 희석률이 세팅되고, 세팅된 단위 시간 당 산소 소비량 및 희석률로부터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매 사이클 동안 생물학적 욕에 첨가되는 오수 샘플의 양이 측정되어 단위 시간 당 미리 주어진 일정한 산소 소비량이 세팅되고, 선택된 희석률로부터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생물학적 욕을 수용하는 반응 용기, 오수 샘플용 정량 공급장치, 희석수용 공급장치, 생물학적 욕의 산소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및 생물학적 욕을 위한 순환장치를 포함하는 제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반응 용기(1)가 밀폐된 용기이고, 상기 용기내로 희석수용 공급 라인(10)이 연결되었으며, 단위 시간 당 산소 소비량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는 반응 용기(1)내에 배치된 산소 프로브(8)를 포함하고, 반응 용기(1)가 오수 샘플용 공급구와 생물학적 욕(2)의 세척시 배출구로 겸용되는 개구(12)를 통해 테스트될 오수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반응 용기(1)가 테스트될 오수내에 잠길 수 있는 프로브 헤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오수 샘플용 측정 공급장치가 반응 용기(1)에 접속된 양변위 형태의 흡입 펌프(13)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흡입 펌프(13)가 흡입 피스톤(14) 또는 양변위 피스톤을 포함하며, 펌프(13)의 실린더(15)가 반응 용기(1)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4항에 있어서, 생물학적 욕(2)의 순환 장치가 반응 용기(1)내로 돌출되게 삽입된 교반기(6)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4, 5, 6 및 8항에 있어서, 산소 프로브(8), 흡입 펌프(13) 및 교반기(6)가 프로브 베이스(4)에 함께 설치되며, 프로브 헤드로 구성된 반응 용기(1)가 프로브 베이스(4)에 밀봉 결합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8-0702665A 1995-10-13 1996-09-18 오수의생물학적산소요구량을측정하기위한방법및장치 KR1004270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538180.7 1995-10-13
DE19538180A DE19538180A1 (de) 1995-10-13 1995-10-13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stimmung des biologischen Sauerstoffbedarfs von Abwass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4184A true KR19990064184A (ko) 1999-07-26
KR100427025B1 KR100427025B1 (ko) 2004-07-12

Family

ID=7774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2665A KR100427025B1 (ko) 1995-10-13 1996-09-18 오수의생물학적산소요구량을측정하기위한방법및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114172A (ko)
EP (1) EP0855023B1 (ko)
JP (1) JP3863566B2 (ko)
KR (1) KR100427025B1 (ko)
AT (1) ATE209351T1 (ko)
CA (1) CA2234695C (ko)
DE (2) DE19538180A1 (ko)
WO (1) WO19970149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07868B (en) * 2003-10-27 2007-07-11 Markes Int Ltd Probe assembly
EP2510345A4 (en) 2009-12-08 2015-07-08 Cambrian Innovati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RVEY MONITORING ON A MICROBIAL BASIS
WO2012174270A1 (en) * 2011-06-14 2012-12-20 Cambrian Innovation Inc. Biological oxygen demand sensors
ITRM20110468A1 (it) * 2011-09-08 2013-03-09 Univ Roma Dispositivo per la determinazione automatica in tempo reale della tossicità aspecifica di un substrato liquido organico .
FR2982953B1 (fr) 2011-11-23 2019-05-24 Ams France Procede, kit et systeme de mesure directe de multiples biodegradabilites.
CN111579618B (zh) * 2020-05-25 2022-10-28 广州中国科学院沈阳自动化研究所分所 基于微生物燃料电池的生化需氧量在线自动检测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10406A (en) * 1964-11-17 1970-05-05 Pennwalt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rate of consumption of dissolved gas in a liquid
DE2415771A1 (de) * 1974-04-01 1975-10-02 Friedrich Letschert Verfahren zur bestimmung der toxizitaet fuer die in der sauerstoffzehrung zum ausdruck kommenden stoffwechselprozesse eines abwassers
US4073692A (en) * 1975-04-21 1978-02-14 Ciaccio Leonard L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ed measurement of energy oxygen
US4350763A (en) * 1978-03-23 1982-09-21 Ajinomoto Company, Inc. Method for determining biochemical oxygen demand
DE3004855A1 (de) * 1980-02-09 1981-08-20 Ihle Ingenieurgesellschaft mbH, 4000 Düsseldorf Vorrichtung zum messen der zustandsaenderung einer fluessigkeit
US4314969A (en) * 1980-08-29 1982-02-09 Arthur Technology, Inc. Submersible respirometer
DE3038305A1 (de) * 1980-10-10 1982-05-19 Friedrich Wilhelm Dipl.-Ing. 6100 Darmstadt Siepmann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erfassung von biologisch abbaubaren und toxischen inhaltsstoffen und waessrigen loesungen, z.b. abwasser
DE3221966A1 (de) * 1982-06-11 1983-12-15 Friedrich Wilhelm Dipl.-Ing. 6100 Darmstadt Siepmann Verfahren und einrichtungen zur messung des biologisch aktiven schlammgehalts in waessrigen loesungen, z.b. belebtschlamm
US4650767A (en) * 1984-06-15 1987-03-17 Tech-Line Instruments Respirometer module with replaceable sample chamber
US5085759A (en) * 1989-11-13 1992-02-04 Duncan Instrument Company Apparatus for rapid biological oxidation demand of liqui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863566B2 (ja) 2006-12-27
DE59608279D1 (de) 2002-01-03
DE19538180A1 (de) 1997-04-17
WO1997014960A1 (de) 1997-04-24
US6114172A (en) 2000-09-05
KR100427025B1 (ko) 2004-07-12
CA2234695C (en) 2011-11-01
JPH11513791A (ja) 1999-11-24
ATE209351T1 (de) 2001-12-15
EP0855023A1 (de) 1998-07-29
CA2234695A1 (en) 1997-04-24
EP0855023B1 (de) 2001-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98829A (en) Apparatus for the detection of biodegradable and toxic substances in aqueous solutions
EP004562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toxicity of pollutants to aquatic living organisms
KR19990071799A (ko) 액체 샘플 분석 장치
US407369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ed measurement of energy oxygen
US4314969A (en) Submersible respirometer
KR19990064184A (ko) 오수의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Reiber et al. Biologically enhanced oxygen transfer in a fixed-film system
US6063617A (en) On-line respirometer using constant oxygen concentration in reaction vessel
KR960016715B1 (ko) 신속 생화학적 산소요구량(bod) 측정방법 및 그 장치
AU533429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nox and nitrification/ denitrification rates in biochemical processes
AU76565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NOx and Nitrification/Denitrification rates in biochemical processes
NL8600396A (nl) Werkwijze voor het bepalen van de respiratiesnelheid van een respirerend materiaal in een continue processtroom alsmede een voor een dergelijke toepassing geschikte inrichting.
CN107055764A (zh) 一种污泥活性的简易测定装置及测定方法及其在污水生物处理中的应用
CN109231437A (zh) 一种在线污水生物毒性快速监测预警装置
US6905872B1 (en) On-line respiromete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Ludzack et al. Estimating biodegradability and treatability of organic water pollutants
US5856119A (en) Method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biological activity in fluids
KR100511225B1 (ko) 수중 침지형 연속식 미생물 활성도 및 용존산소 다목적측정기
SU106577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онтрол токсичности жидкости
CN107505219A (zh) 一种快速测定硝化菌剂性能的装置及方法
ITMI951686A1 (it) Metodo per il controllo della concentrazione in liquidi di sostanze che vengono degradate da microorganismi acidificanti o
RU209479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окисляемых веществ
KR100363438B1 (ko) 층류 흐름 호흡실을 이용한 활성슬러지 연속 호흡률 및순간 bod 측정장치
JPH09155380A (ja) 硝酸濃度測定装置
SU148801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пределени оптимального расхода флотационных реагент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